KR20150027056A - 무선기지국, 유저단말, 무선통신시스템 및 간섭 추정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기지국, 유저단말, 무선통신시스템 및 간섭 추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056A
KR20150027056A KR1020147032406A KR20147032406A KR20150027056A KR 20150027056 A KR20150027056 A KR 20150027056A KR 1020147032406 A KR1020147032406 A KR 1020147032406A KR 20147032406 A KR20147032406 A KR 20147032406A KR 20150027056 A KR20150027056 A KR 20150027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erence
base station
resource
radio bas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7424B1 (ko
Inventor
사토시 나가타
요시히사 키시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50027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73Predicting channel quality or other radio frequency [RF]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04J11/0056Inter-base station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서 다른 DL/UL 구성을 적용하는 경우에,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 있어서의 상향 신호와 하향 신호와의 간섭량을 적절하게 추정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간섭 추정 방법은, 시간 분할 복신(TDD) 방식을 이용하여, 유저단말(#1)로부터 무선기지국(#1)에 대한 상향 신호와, 무선기지국(#1)에 인접하는 무선기지국(#2)으로부터 유저단말(#2)에 대한 하향 신호가 송신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간섭 추정 방법이다. 본 발명의 간섭 추정 방법은, 무선기지국(#2)으로부터의 하향 신호 및 제1 무선기지국(#1)에 인접하는 다른 유저단말로부터의 상향 신호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무선기지국(#1)에 대한 유저단말(#1)로부터의 상기 상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의 추정에 이용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수신하는 공정과,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간섭량을 추정하는 공정을 갖는다.

Description

무선기지국, 유저단말, 무선통신시스템 및 간섭 추정 방법 {WIRELESS BASE STATION, USER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INTERFERENCE ESTIMATION METHOD }
본 발명은, 시간 분할 복신(TDD) 방식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 유저단말, 무선통신시스템 및 간섭 추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주파수 이용효율의 향상, 데이터 레이트의 향상을 목적으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나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를 채용함으로써,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베이스로 한 시스템의 특징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는 것이 수행되고 있다. 이 UMTS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더욱의 고속 데이터 레이트, 저지연 등을 목적으로서 롱 텀 에볼루션(LTE:Long Term Evolution)이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제3 세대의 시스템은, 대략 5MHz의 고정대역을 이용하여, 하향회선에서 최대 2Mbps 정도의 전송 레이트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LTE의 시스템에서는, 1.4MHz∼20MHz의 가변대역을 이용하여, 하향회선에서 최대 300Mbps 및 상향회선에서 최대 75Mbps 정도의 전송 레이트를 실현할 수 있다. 또, UMTS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더욱의 광대역화 및 고속화를 목적으로서, LTE 시스템의 후계인 시스템도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LTE 어드밴스트 또는 LTE 인핸스먼트라고 불리기도 한다(이하, 'LTE―A'라고 한다)).
무선통신에서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복신 방식으로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주파수로 분할하는 주파수 분할 복신(FDD)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시간으로 분할하는 시간 분할 복신(TDD)이 있다. TDD에서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송신에 같은 주파수가 적용되고, 하나의 송신 포인트로부터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시간으로 나뉘어져 송신된다. 같은 주파수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송수신 포인트(무선기지국 또는 유저단말)는 각각 송신과 수신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또, LTE 시스템의 TDD에서는, 무선프레임(10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내에 있어서의 하향링크(DL)와 상향링크(UL)와의 송신 비율의 조합을 나타내는 DL/UL 구성(DL/UL Configuration)이 규정되어 있다(도 1 참조). 예를 들면, 도 1에서는, DL용 서브프레임과 UL용 서브프레임과의 비율이 다른 복수의 DL/UL 구성 0―6이 도시된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접하는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서 같은 DL/UL 구성을 적용함으로써, 인접하는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 있어서의 상향 신호와 하향 신호와의 간섭을 회피한다.
비특허문헌 1:3GPP, TR25.912 (V7.1.0), "Feasibility study for Evolved UTRA and UTRAN", Sept. 2006
그런데, LTE―A 시스템의 TDD에서는, 송수신 포인트마다 무선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하향링크(DL)와 상향링크(UL)와의 송신 비율을 동적(Dynamic) 또는 반고정적으로(Semi―static) 변경하는 것, 즉, 송수신 포인트마다 DL/UL 구성을 동적 또는 반고정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인접하는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서 다른 DL/UL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같은 시간 및 주파수영역을 이용하여 인접 셀 사이에서 상향 신호와 하향 신호가 송신되는 것이 상정된다. 상기 경우, 인접하는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 있어서의 상향 신호와 하향 신호와의 간섭에 의해, 통신품질이 열화될 우려가 있다. 이 통신품질의 열화를 방지하는 방안을 취하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 있어서의 상향 신호와 하향 신호와의 간섭량을 적절하게 추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인접하는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서 다른 DL/UL 구성을 적용하는 경우에, 인접하는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 있어서의 상향 신호와 하향 신호와의 간섭량을 적절하게 추정 가능한 무선기지국, 유저단말, 무선통신시스템 및 간섭 추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기지국은, 시간 분할 복신(TDD) 방식을 이용하여 유저단말로부터의 상향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에 인접하는 다른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상기 TDD 방식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하향 신호 및 상기 무선기지국에 인접하는 다른 유저단말로부터의 상향 신호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한 상기 유저단말로부터의 상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의 추정에 이용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간섭량을 추정하는 추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유저단말은, 시간 분할 복신(TDD)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 신호를 수신하는 유저단말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에 인접하는 다른 무선기지국에 접속하는 다른 유저단말로부터 상기 TDD 방식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상향 신호 및 상기 유저단말에 인접하는 다른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 신호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유저단말에 대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의 추정에 이용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간섭량을 추정하는 추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시간 분할 복신(TDD) 방식을 이용하여, 제1 유저단말로부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한 상향 신호와,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인접하는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제2 유저단말에 대한 하향 신호가 송신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하향 신호 및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인접하는 유저단말로부터의 상향 신호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제1 유저단말로부터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한 상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 또는, 상기 제1 유저단말로부터의 상기 상향 신호 및 상기 제2 유저단말에 인접하는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 신호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제2 유저단말에 대한 하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을 추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간섭 추정 방법은, 시간 분할 복신(TDD) 방식을 이용하여, 제1 유저단말로부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한 상향 신호와,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인접하는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제2 유저단말에 대한 하향 신호가 송신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간섭 추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하향 신호 및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인접하는 유저단말로부터의 상향 신호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제1 유저단말로부터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한 상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 또는, 상기 제1 유저단말로부터의 상기 상향 신호 및 상기 제2 유저단말에 인접하는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 신호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제2 유저단말에 대한 하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을 추정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접하는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서 다른 DL/UL 구성을 적용하는 경우에, 인접하는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 있어서의 상향 신호와 하향 신호와의 간섭량을 적절하게 추정할 수 있다.
도 1은 TDD에 있어서의 DL/UL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인접하는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서 다른 DL/UL 구성을 적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인접하는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서 다른 DL/UL 구성을 적용하는 경우의 간섭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제1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용 리소스와 간섭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제1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6은 제1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은 제1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8은 제1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9는 제2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와 간섭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제2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1은 제2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집중 제어 기지국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2a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은, 셀#1, #2를 각각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 #2와, 무선기지국#1, #2와 각각 통신하는 유저단말(UE)#1, #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a에 도시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무선기지국#1과 유저단말#1과의 사이(무선기지국#2와 유저단말#2와의 사이)와의 무선통신은, 시간 분할 복신(TDD)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즉, 무선기지국#1, #2에 있어서는, DL과 UL의 송신에 같은 주파수영역이 적용되고, 무선기지국#1, #2로부터 DL과 UL이 시간영역에서 분할되어 송신된다. 이 경우, 인접하는 무선기지국#1, #2 사이에서 다른 DL/UL 구성(도 1 참조)을 적용하면, 무선기지국#1 및 #2 사이의 간섭이나 유저단말#1 및 #2 사이의 간섭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1이 DL/UL 구성 1을 적용하고, 무선기지국#2가 DL/UL 구성 2를 적용하는 경우, 서브프레임#3, #8은, 무선기지국#1에서는 상향링크(UL)용인 반면, 무선기지국#2에서는 하향링크(DL)용이다. 이때, 동일한 시간 및 주파수영역을 이용하여 셀#1에 있어서의 상향 신호와 셀#2에 있어서의 하향 신호가 송신될 수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송수신 포인트 사이(무선기지국#1 및 #2 사이 또는 유저단말#1 및 #2 사이)에서 상향 신호와 하향 신호가 간섭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b의 서브프레임#3, #8에 있어서, 유저단말#1로부터 무선기지국#1에 대한 상향 신호는, 무선기지국#2로부터 유저단말#2에 대한 하향 신호에 따른 간섭을 받는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1(피(被)간섭국)에 있어서의 간섭량은, 다른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간섭량과 비교하여 커진다.
마찬가지로, 도 2b의 서브프레임#3, #8에 있어서, 무선기지국#2로부터 유저단말#2에 대한 하향 신호는, 유저단말#1로부터 무선기지국#1에 대한 상향 신호에 따른 간섭을 받는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단말#2(피간섭국)에 있어서의 간섭량도, 다른 서브프레임에 있어서의 간섭량과 비교하여 커진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서 다른 DL/UL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상향 신호와 하향 신호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도 3의 서브프레임#3, #8)에 있어서, 피간섭국(도 2a의 무선기지국#1 또는 유저단말#2)에 있어서의 상대적으로 간섭량이 커진다. 한편, 인접하는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서 같은 상향 신호 또는 하향 신호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도 3의 서브프레임#0, #2 등)에서는, 피간섭국에 있어서의 간섭량은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상기 경우, 서브프레임#0, #2 등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해도, 피간섭국(도 2a의 무선기지국#1 또는 유저단말#2)이 여(與)간섭국(도 2a의 무선기지국#2 또는 유저단말#1)으로부터 받는 간섭의 영향을 저감할 수 없다. 피간섭국이 받는 간섭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피간섭국이 여간섭국의 영향을 받는 서브프레임#3, #8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피간섭국에 있어서의 간섭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피간섭국이 여간섭국으로부터 받는 간섭량을 적절히 추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 기대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 등은, 인접하는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서 다른 DL/UL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간섭량의 추정에 이용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피간섭국에 통지함으로써, 피간섭국이 여간섭국으로부터 받는 간섭량을 적절히 추정 가능하게 한다는 발상을 얻어, 본원 발명에 이르렀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다른 간섭 추정 방법은, 시간 분할 복신(TDD) 방식을 이용하여, 유저단말#1(제1 유저단말)로부터 무선기지국#1(제1 무선기지국)에 대한 상향 신호와, 무선기지국#1에 인접하는 무선기지국#2(제2 무선기지국)로부터 유저단말#2(제2 유저단말)에 대한 하향 신호가 송신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은,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향 신호와 상기 하향 신호가,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시간영역 및 주파수영역에서 송신되는 경우에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에서는, 무선기지국#1에 대한 유저단말#1로부터의 상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 또는, 유저단말#2에 대한 무선기지국#2로부터의 하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의 추정에 이용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가 수신된다. 또, 수신된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간섭량이 추정된다.
여기서, 무선기지국#1에 대한 유저단말#1로부터의 상향 신호가 받는 간섭은, 유저단말#2에 대한 무선기지국#2로부터의 하향 신호에 의한 간섭에 더해, 무선기지국#1에 접속하는 다른 유저단말(무선기지국#1의 근처에 위치하면, 무선기지국#1에 접속해도 좋으며, 다른 무선기지국에 접속해도 좋다)로부터의 상향 신호에 의한 간섭을 포함해도 좋다. 또, 유저단말#2에 대한 무선기지국#2로부터의 하향 신호가 받는 간섭은, 무선기지국#1에 대한 유저단말#1로부터의 상향 신호에 의한 간섭에 더해, 유저단말#2에 인접하는 다른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 신호에 의한 간섭을 포함해도 좋다.
또,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는, 상기 간섭량을 추정해야 하는 무선리소스(이하, 간섭 추정용 리소스라고 한다), 간섭량을 추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무선리소스(이하,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라고 한다) 등을 나타내는 것이다. 간섭 추정용 리소스,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는, 각각, 소정의 시간영역 및 주파수영역의 적어도 하나이며, 예를 들면, 서브프레임이나 무선프레임 등의 시간영역 단위나, 리소스 블록이나 대역폭 등의 주파수영역 단위를 이용하여 특정된다.
이하에서는, 각 송수신 포인트(무선기지국#1, #2, 유저단말#1, #2)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DL/UL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를 예시하나, 각 송수신 포인트가 적용 가능한 DL/UL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각 송수신 포인트에 적용되는 DL/UL 구성은, 통신환경 등에 따라, 반고정적(semi―static) 또는 동적으로 변경되어도 좋다.
(제1 형태)
본 실시형태의 제1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을 설명한다. 제1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에서는, 상술한 간섭 추정용 리소스를 나타내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가 통지되고, 해당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이 추정된다.
도 4는, 제1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용 리소스와 간섭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에서는, 무선기지국#1, #2에서 각각 DL/UL 구성 1, 2가 적용되는 경우의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의 일 예가 도시된다.
도 4에 도시하는 경우, 피간섭국(도 2a의 무선기지국#1 또는 유저단말#2)은, 간섭 추정용 리소스#1, #2를 나타내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수신하고, 간섭 추정용 리소스#1, #2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한다. 이 간섭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피간섭국에 있어서의 수신신호(도 2a의 무선기지국#1에 대한 상향 신호 또는 유저단말#2에 대한 하향 신호)의 패스로스나 페네트레이션 로스나 안테나 게인이 추정되어도 좋다.
간섭 추정용 리소스#1, #2는,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1, #2에 적용되는 DL/UL 구성에 기초하여 규정되고, 피간섭국에 통지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경우, 간섭 추정용 리소스#1은, 무선기지국#1, #2 사이에서 UL/DL이 다른 서브프레임#3, #8과, 피간섭국의 대역폭으로 특정된다. 또, 간섭 추정용 리소스#2는, 무선기지국#1, #2의 쌍방에서 같은 UL이 적용되는 서브프레임#2, #7과, 피간섭국의 대역폭으로 특정된다.
도 4에 있어서, 간섭 추정용 리소스#1의 서브프레임#3, #8에서는, 무선기지국#1, #2 사이에서 다른 UL/DL이 적용되기 때문에, 상향 신호와 하향 신호와의 간섭이 발생하고, 피간섭국(도 2a의 무선기지국#1 또는 유저단말#2)에 있어서의 간섭량은 상대적으로 커진다. 한편, 간섭 추정용 리소스#2의 서브프레임#2, #7에서는, 무선기지국#1, #2 사이에서 같은 UL이 적용되기 때문에, 상향 신호와 하향 신호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피간섭국에 있어서의 간섭량은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간섭 추정용 리소스#1에 있어서의 간섭량은, 서브프레임#3, #8마다 평균화된 것이 이용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간섭 추정용 리소스#2에 있어서의 간섭량은, 서브프레임#2, #7마다 평균화된 것이 이용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은, 간섭 추정용 리소스를 구성하는 소정의 시간영역/주파수영역에서 평균화된 것이어도 좋다.
또, 도 4에서는, 2개의 간섭 추정용 리소스#1, #2가 도시되나, 간섭 추정용 리소스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4에서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1, #2가 각각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나, 각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4에서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1, #2가, 피간섭국의 대역폭으로 구성되나, 주파수영역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간섭 추정용 리소스를 이용한 제1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을 서술한다. 도 5 내지 도 8은, 제1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서는, 무선기지국#1, #2가, 다른 DL/UL 구성 1, 2를 적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무선기지국#2로부터 간섭 추정용 리소스가 통지되는 경우가 도시된다. 도 5에서는, 유저단말#1로부터 무선기지국#1에 대한 상향 신호가 받는 간섭에 대한 간섭 추정 방법이 도시된다. 즉, 도 5에서는, 무선기지국#1이 피간섭국이며, 무선기지국#2가 여간섭국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2는, X2 인터페이스 등의 유선링크를 통해, 상술한 간섭 추정용 리소스를 무선기지국#1에 통지한다(단계 S101). 또한, 간섭 추정용 리소스는, 반고정적(semi―static) 시그널링 또는 동적(dynamic) 시그널링의 어느 하나로 통지되어도 좋다.
또, 단계 S101에 있어서, 무선기지국#2는, 무선링크를 통해, 상술한 간섭 추정용 리소스를 무선기지국#1에 통지해도 좋다. 상기 경우, 간섭 추정용 리소스는, 알림 신호나 상위 레이어 신호(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등의 반고정적 시그너링으로 통지되어도 좋으며, 하향 제어채널(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이하, PDCCH라고 한다)이나 확장 하향 제어채널(ePDCCH:Enhanced PDCCH, E―PDCCH, UE―PDCCH 등이라고도 한다, 이하, ePDCCH라고 한다) 등의 제어 신호를 이용한 동적 시그널링으로 통지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1은, 무선기지국#2로부터 통지된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한다(단계 S102). 구체적으로는, 무선기지국#1은, 도 4에 도시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1, #2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한다.
무선기지국#1은,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에 기초하여, 무선기지국#2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를 송신한다(S103). 구체적으로는, 무선기지국#1은,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무선기지국#2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를 송신한다.
여기서, 간섭 저감 요구란, 피간섭국(도 5에서는, 무선기지국#1)이 여간섭국(도 5에서는, 무선기지국#2)에 대해 간섭의 저감을 요구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여간섭국에 대해 피간섭국과 같은 DL/UL 구성을 적용하도록 요구하거나, 여간섭국에 대해 송신전력의 저감을 요구하거나 하는 것이다.
무선기지국#2는, 무선기지국#1로부터의 간섭 저감 요구에 따라, 간섭 저감 처리를 수행한다(단계S104). 구체적으로는, 무선기지국#2는, 무선기지국#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무선기지국#1과 같은 DL/UL 구성을 적용하거나, 유저단말#2에 대한 하향 신호의 송신전력을 저감하거나 한다.
도 6에서는, 무선기지국#2로부터 유저단말#2에 대한 하향 신호가 받는 간섭에 대한 간섭 추정 방법이 도시된다. 즉, 도 6에서는, 유저단말#2가 피간섭국이며, 유저단말#1이 여간섭국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2는, 무선링크를 통해, 상술한 간섭 추정용 리소스를 유저단말#2에 통지한다(단계 S201). 또한, 간섭 추정용 리소스는, 알림 신호나 상위 레이어 신호(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등의 반고정적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통지되어도 좋으며, PDCCH나 ePDCCH 등의 제어 채널을 이용한 동적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통지되어도 좋다.
유저단말#2는, 무선기지국#2로부터 통지된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한다(단계 S202). 구체적으로는, 유저단말#2는, 도 4에 도시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1, #2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한다.
유저단말#2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에 기초하여, 유저단말#1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를 무선기지국#2로 송신한다(단계 S203). 구체적으로는, 유저단말#2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간섭 저감 요구를 무선기지국#2로 송신한다. 무선기지국#2는, 유저단말#1(피간섭국)이 접속하는 무선기지국#1에 대해, 상기 간섭 저감 요구를 전송한다(단계 S204).
무선기지국#1은, 유저단말#2로부터의 간섭 저감 요구에 따라, 간섭 저감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205). 구체적으로는, 무선기지국#1은, 유저단말#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무선기지국#2와 같은 DL/UL 구성을 적용하거나, 유저단말#1에 상향 신호의 송신전력을 저감하도록 요구하거나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간섭 추정 방법에 의하면, 인접하는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서 다른 DL/UL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무선기지국#2로부터 피간섭국(무선기지국#1 또는 유저단말#2)에 대해 간섭 추정용 리소스가 통지되고, 해당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이 추정된다. 이 때문에, 무선기지국#1, #2 사이의 자율적인 제어에 의해, 피간섭국(무선기지국#1 또는 유저단말#2)이 여간섭국(무선기지국#2 또는 유저단말#1)으로부터 받는 간섭량을 적절히 추정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집중 제어 기지국으로부터 간섭 추정용 리소스가 통지되는 경우가 도시된다. 집중 제어 기지국이란, 무선기지국#1, #2를 제어하는 제어국이다. 이 집중 제어 기지국은, 무선기지국이어도 좋으며, 무선기지국의 상위에 마련되는 장치여도 좋다.
도 7에서는, 유저단말#1로부터 무선기지국#1에 대한 상향 신호가 받는 간섭에 대한 간섭 추정 방법이 도시된다. 즉, 도 7에서는, 무선기지국#1이 피간섭국이며, 무선기지국#2가 여간섭국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중 제어 기지국은, X2 인터페이스 등의 유선링크를 통해, 상술한 간섭 추정용 리소스를 무선기지국#1에 통지한다(단계 S301). 또한, 간섭 추정용 리소스는, 반고정적 시그널링 또는 동적 시그널링의 어느 하나도 통지되어도 좋다.
또, 단계 S301에 있어서, 집중 제어 기지국은, 무선링크를 통해, 상술한 간섭 추정용 리소스를 무선기지국#1에 통지해도 좋다. 상기 경우, 간섭 추정용 리소스는, 알림 신호나 상위 레이어 신호(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등의 반고정적 시그널링으로 통지되어도 좋으며, PDCCH나 ePDCCH 등의 제어 신호를 이용한 동적 시그널링으로 통지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1은, 집중 제어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한다(단계 S302). 구체적으로는, 무선기지국#1은, 도 4에 도시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1, #2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한다.
무선기지국#1은, 추정된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에 통지한다(단계 S303). 집중 제어 기지국은, 무선기지국#1로부터 통지된 간섭량에 기초하여, 무선기지국#2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S304). 구체적으로는, 집중 제어 기지국은, 무선기지국#1로부터 통지된 간섭량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무선기지국#2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를 송신한다.
무선기지국#2는, 집중 제어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 저감 요구에 따라, 간섭 저감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305). 구체적으로는, 무선기지국#2는, 무선기지국#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무선기지국#1과 같은 DL/UL 구성을 적용하거나, 유저단말#2에 대한 하향 신호의 송신전력을 저감하거나 한다.
도 8에서는, 무선기지국#2로부터 유저단말#2에 대한 하향 신호가 받는 간섭에 대한 간섭 추정 방법이 도시된다. 즉, 도 8에서는, 유저단말#2가 피간섭국이며, 유저단말#1이 여간섭국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중 제어 기지국은, 유저단말#2와의 무선링크를 통해, 상술한 간섭 추정용 리소스를 유저단말#2에 통지한다(단계 S401). 또한, 간섭 추정용 리소스는, 알림 신호나 상위 레이어 신호(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등의 반고정적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통지되어도 좋으며, PDCCH나 ePDCCH 등의 제어 채널을 이용한 동적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통지되어도 좋다. 또, 집중 제어 기지국은, 무선기지국#2를 통해, 상술한 간섭 추정용 리소스를 유저단말#2에 통지해도 좋다.
유저단말#2는, 집중 제어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한다(단계 S402). 구체적으로는, 유저단말#2는, 도 4에 도시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1, #2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한다.
유저단말#2는, 추정된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에 통지한다(단계 S403). 또한, 유저단말#2는, 추정된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과의 무선링크를 통해 직접 집중 제어 기지국에 통지해도 좋으며, 유저단말#2가 접속하는 무선기지국#2를 통해 집중 제어 기지국에 통지해도 좋다.
집중 제어 기지국은, 유저단말#2로부터 통지된 간섭량에 기초하여, 유저단말#1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를 무선기지국#1로 송신한다(단계 S404). 구체적으로는, 집중 제어 기지국은, 유저단말#2로부터 통지된 간섭량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유저단말#1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를 송신한다.
무선기지국#1은, 집중 제어 기지국으로부터 유저단말#1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에 따라, 간섭 저감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405). 구체적으로는, 무선기지국#1은, 집중 제어 기지국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무선기지국#2와 같은 DL/UL 구성을 적용하거나, 유저단말#1에 상향 신호의 송신전력을 저감하도록 요구하거나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간섭 추정 방법에 의하면, 인접하는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서 다른 DL/UL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집중 제어 기지국으로부터 피간섭국(무선기지국#1 또는 유저단말#2)에 대해 간섭 추정용 리소스가 통지되고, 해당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이 추정된다. 이 때문에, 집중 제어 기지국에 의한 집중적인 제어에 의해, 피간섭국(무선기지국#1 또는 유저단말#2)이 여간섭국(무선기지국#2 또는 유저단말#1)으로부터 받는 간섭량을 적절히 추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에 의하면, 무선기지국#2 또는 집중 제어 기지국으로부터 피간섭국에 대해 간섭 추정용 리소스가 통지되고, 해당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이 추정된다. 이 때문에, 피간섭국이 여간섭국으로부터 받는 간섭량을 적절히 추정할 수 있고, 피간섭국에 있어서의 간섭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에 의해 간섭량을 추정해야 하는 무선리소스 그 자체가 지정되기 때문에, 피간섭국에 있어서의 간섭량의 추정 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제2 형태)
본 실시형태의 제2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을 설명한다. 제2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에서는, 상술한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를 나타내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가 통지되고, 해당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정한 무선리소스(이하, 특정 리소스라고 한다)에 있어서의 간섭량이 추정된다.
즉, 제2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에서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가 아니며, 간섭량을 추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가 통지되는 점에서, 제1 형태와 다르다. 제2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에서는, 제1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을 수행한다.
도 9는, 제2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와 간섭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에서는, 무선기지국#1, #2에서 각각 DL/UL 구성 1, 2가 적용되는 경우의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 및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의 일 예가 도시된다.
도 9에 도시하는 경우, 피간섭국(도 2a의 무선기지국#1 또는 유저단말#2)은,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를 나타내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기초하여 특정 리소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한다.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는, 미리 규정된 무선리소스(예를 들면, 무선프레임의 소정 번호의 서브프레임과 피간섭국의 대역폭으로 특정되는 무선리소스)여도 좋으며, 무선기지국#1, #2에 적용되는 DL/UL 구성에 기초하여 규정되어도 좋다.
또, 특정 리소스로서는, 예를 들면,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의 뒤 n개나 앞 n개의 서브프레임 등이 결정되어도 좋다. 또한, 소정의 파라미터 n은, 양의 정수이다. 이 파라미터 n은, 미리 피간섭국에서 기억되어도 좋으며,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와 함께 피간섭국에 통지되어도 좋다.
도 9에 도시하는 경우,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는, 서브프레임#0, #5와 피간섭국의 대역폭으로 특정된다. 피간섭국(도 2a의 무선기지국#1 또는 유저단말#2)에서는, 이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이 추정된다. 또한, 간섭량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은, 서브프레임#0, #5마다 평균화된 것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 도 9에 도시하는 경우, 특정 리소스로서,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의 뒤 3개의 서브프레임(즉, 서브프레임#1―#3 및 #6―#8)이 결정된다. 피간섭국(도 2a의 무선기지국#1 또는 유저단말#2)에서는, 이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도 추정된다.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은, 서브프레임마다 평균화된 것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평균화의 단위는 서브프레임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정의 시간영역 단위나 주파수영역 단위여도 좋다.
또, 도 9에서는,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가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나,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9에서는,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가, 피간섭국의 대역폭으로 구성되나, 주파수영역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특정 리소스도, 도 9에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간섭 추정용 리소스를 이용한 제2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을 상술한다. 도 10 및 도 11은, 제2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무선기지국#1, #2가, DL/UL 구성 1, 2를 각각 적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집중 제어 기지국으로부터 간섭 추정용 리소스가 통지되는 경우가 도시된다. 도 10에서는, 유저단말#1로부터 무선기지국#1에 대한 상향 신호가 받는 간섭에 대한 간섭 추정 방법이 도시된다. 즉, 도 10에서는, 무선기지국#1이 피간섭국이며, 무선기지국#2가 여간섭국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중 제어 기지국은, X2 인터페이스 등의 유선링크를 통해, 상술한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를 무선기지국#1에 통지한다(단계 S501). 또한,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는, 반고정적 시그널링 또는 동적 시그널링의 어느 것으로 통지되어도 좋다.
또, 단계 S501에 있어서, 집중 제어 기지국은, 무선링크를 통해, 상술한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를 무선기지국#1에 통지해도 좋다. 상기 경우,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는, 알림 신호나 상위 레이어 신호(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등의 반고정적 시그널링으로 통지되어도 좋으며, PDCCH나 ePDCCH 등의 제어 신호를 이용한 동적 시그널링으로 통지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1은, 집중 제어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한다(단계 S502). 구체적으로는, 무선기지국#1은, 도 9에 도시하는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즉, 서브프레임#0, #5와 무선기지국#1의 대역폭으로 특정되는 무선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한다.
무선기지국#1은, 집중 제어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기초하여 특정 리소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한다(단계 S503).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경우, 무선기지국#1은,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인 서브프레임#0, #5의 뒤 3개의 서브프레임#1―#3 및 #6―#8을 각각 특정 리소스로서 결정한다. 무선기지국#1은, 특정 리소스로서 결정된 서브프레임#1―#3, #6―#8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한다.
무선기지국#1은, 단계 S503에서 추정된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에 통지한다(단계 S504). 구체적으로는, 무선기지국#1은, 도 9에 도시하는 특정 리소스(즉, 서브프레임#1―#3 및 #6―#8과 무선기지국#1의 대역폭으로 특정되는 무선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에 통지한다.
집중 제어 기지국은, 무선기지국#1로부터 통지된 간섭량에 기초하여, 무선기지국#2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를 송신한다(단계 S505). 구체적으로는, 집중 제어 기지국은, 무선기지국#1로부터 통지된 간섭량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무선기지국#2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를 송신한다.
무선기지국#2는, 집중 제어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 저감 요구에 따라, 간섭 저감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506). 구체적으로는, 무선기지국#2는, 무선기지국#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무선기지국#1과 같은 DL/UL 구성을 적용하거나, 유저단말#2에 대한 하향 신호의 송신전력을 저감하거나 한다.
또한, 도 10의 단계 S504에 있어서, 무선기지국#1은,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이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에 기초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해당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에 통지해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1은,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이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의 간섭량에 소정값을 가산한 간섭량보다도 큰 경우에, 해당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에 통지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특정 리소스인 서브프레임#1, #2, #6, #7의 간섭량은,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인 서브프레임#0, #5에 있어서의 간섭량에 소정값을 가산한 간섭량보다도 작다. 한편, 도 9에 도시하는 특정 리소스인 서브프레임#3, #8의 간섭량은, 서브프레임#0, #5에 있어서의 간섭량에 소정값을 가산한 간섭량보다도 크다. 이 경우, 무선기지국#1은, 서브프레임#3, #8에 있어서의 간섭량만을 집중 제어 기지국에 통지해도 좋다.
또, 도 10의 단계 S504에 있어서, 무선기지국#1은,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과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과의 차분(差分)을 집중 제어 기지국에 통지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경우, 무선기지국#1은, 특정 리소스인 서브프레임#1―#3 및 #6―#8의 각각에 있어서의 간섭량과,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인 서브프레임#0, #5의 간섭량과의 차분을 집중 제어 기지국에 통지한다.
도 11에서는, 무선기지국#2로부터 유저단말#2에 대한 하향 신호가 받는 간섭에 대한 간섭 추정 방법이 도시된다. 즉, 도 11에서는, 유저단말#2가 피간섭국이며, 유저단말#1이 여간섭국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중 제어 기지국은, 유저단말#2와의 무선링크를 통해, 상술한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를 유저단말#2에 통지한다(단계 S601). 또한,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는, 알림 신호나 상위 레이어 신호(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등의 반고정적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통지되어도 좋으며, PDCCH나 ePDCCH 등의 제어 채널을 이용한 동적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통지되어도 좋다. 또, 집중 제어 기지국은, 무선기지국#2를 통해, 상술한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를 유저단말#2에 통지해도 좋다.
유저단말#2는, 집중 제어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한다(단계 S602). 구체적으로는, 무선기지국#1은, 도 9에 도시하는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즉, 서브프레임#0, #5와 유저단말#2의 대역폭으로 특정되는 무선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한다.
유저단말#2는, 집중 제어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기초하여 특정 리소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한다(단계 S603).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경우, 유저단말#2는,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인 서브프레임#0, #5의 뒤 3개의 서브프레임#1―#3 및 #6―#8을 각각 특정 리소스로서 결정한다. 유저단말#2는, 특정 리소스로서 결정된 서브프레임#1―#3, #6―#8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추정한다.
유저단말#2는, 단계 S603에서 추정된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에 통지한다(단계 S604). 구체적으로는, 유저단말#2는, 도 9에 도시하는 특정 리소스(즉, 서브프레임#1―#3 및 #6―#8과 유저단말#2의 대역폭으로 특정되는 무선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에 통지한다.
집중 제어 기지국은, 유저단말#2로부터 통지된 간섭량에 기초하여, 유저단말#1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를 무선기지국#1로 송신한다(단계 S605). 구체적으로는, 집중 제어 기지국은, 유저단말#2로부터 통지된 간섭량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유저단말#1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를 송신한다.
무선기지국#1은, 집중 제어 기지국으로부터 유저단말#1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에 따라, 간섭 저감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606). 구체적으로는, 무선기지국#1은, 집중 제어 기지국으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무선기지국#2와 같은 DL/UL 구성을 적용하거나, 유저단말#1에 상향 신호의 송신전력을 저감하도록 요구하거나 한다.
또한, 도 11의 단계 S604에 있어서, 유저단말#2는,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이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에 기초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해당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에 통지해도 좋다. 예를 들면, 유저단말#2는,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이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의 간섭량에 소정값을 가산한 간섭량보다도 큰 경우에, 해당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에 통지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특정 리소스인 서브프레임#1, #2, #6, #7의 간섭량은,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인 서브프레임#0, #5에 있어서의 간섭량에 소정값을 가산한 간섭량보다도 작다. 한편, 도 9에 도시하는 특정 리소스인 서브프레임#3, #8의 간섭량은, 서브프레임#0, #5에 있어서의 간섭량에 소정값을 가산한 간섭량보다도 크다. 이 경우, 유저단말#2는, 서브프레임#3, #8에 있어서의 간섭량만을 집중 제어 기지국에 통지한다.
또, 도 11의 단계 S604에 있어서, 유저단말#2는,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과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과의 차분을 집중 제어 기지국에 통지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경우, 유저단말#2는, 특정 리소스인 서브프레임#1―#3 및 #6―#8의 각각에 있어서의 간섭량과,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인 서브프레임#0, #5의 간섭량과의 차분을 집중 제어 기지국에 통지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간섭 추정 방법에 의하면, 인접하는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서 다른 DL/UL 구성이 적용되는 경우, 집중 제어 기지국으로부터 피간섭국(무선기지국#1 또는 유저단말#2)에 대해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가 통지되고, 해당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이 추정된다. 이 때문에, 집중 제어 기지국에 의한 집중적인 제어에 의해, 피간섭국(무선기지국#1 또는 유저단말#2)이 여간섭국(무선기지국#2 또는 유저단말#1)으로부터 받는 간섭량을 적절히 추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형태에 따른 간섭 추정 방법에 의하면, 무선기지국#2 또는 집중 제어 기지국으로부터 피간섭국에 대해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가 통지되고, 해당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이 추정된다. 이 때문에, 피간섭국이 여간섭국으로부터 받는 간섭량을 적절히 추정할 수 있으며, 피간섭국에 있어서의 간섭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에 의해 간섭량을 추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무선리소스가 지정되기 때문에, DL/UL 구성을 빈번히 변경하는 경우 등에 증가하는 피간섭국에 대한 시그널링량을 저감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LTE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을 1 단위로 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컴포넌트 캐리어)을 일체로 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적용된다. 또한, 무선통신시스템(1)은, LTE, LTE―A(LTE―Advanced), IMT―Advanced라 불려도 좋으며, 4G, FRA(Future Radio Access) 등이라 불려도 좋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1)은, 셀(C1a)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0a)과, 무선기지국(10a)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셀(C1b)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0b)과, 무선기지국(10a, 10b)이 배치되는 셀(C2)을 형성하고, 무선기지국(10a, 10b)을 제어하는 집중 제어 기지국(30)을 구비하고 있다. 무선통신시스템(1)에 있어서, 유저단말(20a)은, 무선기지국(10a)과 집중 제어 기지국(30)과의 쌍방과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유저단말(20b)은, 무선기지국(10b)과 집중 제어 기지국(30)과의 쌍방과 무선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무선기지국(10a, 10b)은, X2 인터페이스 등의 유선링크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또, 무선기지국(10a, 10b)은, X2 인터페이스 등의 유선링크를 통해 집중 제어 기지국(30)에 접속된다. 또, 무선기지국(10a, 10b), 집중 제어 기지국(30)은, 각각, 코어 네트워크(40) 상의 상위국장치(미도시)에 접속된다. 상위국장치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모빌리티 메니지먼트 엔티티(MM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무선기지국(10a, 10b)은, 무선링크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도 좋으며, 무선링크를 통해 집중 제어 기지국(30)에 접속되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10a, 10b)은, 집중 제어 기지국(30)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40) 상의 상위국장치에 접속되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에 있어서, 무선기지국(10a, 10b)은, eNodeB,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리는 무선기지국이어도 좋으며, 피코 기지국, 펨토 기지국, Home eNodeB, RRH(Remote Radio Head), 마이크로 기지국,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리는 국소적인 커버리지 에어리어를 갖는 무선기지국이어도 좋다. 이하, 무선기지국(10a, 10b)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무선기지국(10)이라 총칭한다.
또, 무선통신시스템(1)에 있어서, 집중 제어 기지국(30)은, 무선기지국(10a, 10b)을 제어하는 제어국이다. 집중 제어 기지국(30)은, 무선기지국(10a, 10b)의 제어 기능을 가지면, eNodeB,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리는 무선기지국이어도 좋으며, 다른 장치(예를 들면, 코어 네트워크(40) 상에 마련되는 장치나,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이어도 좋다. 또한, 송수신 포인트 사이에서 자율적인 제어가 수행되는 경우(예를 들면, 도 5, 7에 도시하는 경우), 집중 제어 기지국(30)은 생략되어도 좋다.
또, 무선통신시스템(1)에 있어서, 유저단말(20a, 20b)은, LTE, LTE―A 등의 각종 통신방식에 대응한 단말이며, 이동통신단말뿐 아니라 고정통신단말을 포함해도 좋다. 또, 유저단말(20a, 20b)은,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이하, 유저단말(20a, 20b)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유저단말(20)이라 총칭한다.
또,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A(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가 적용되고,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 캐리어―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가 적용된다. OFDMA는,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SC―FDMA는, 시스템대역을 단말마다 1개 또는 연속한 리소스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대역에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또, 무선통신시스템(1)에 있어서, 무선기지국(10)과 유저단말(20)과의 무선통신용 복신 방식으로서는, 시간 분할 복신(TDD)이 이용된다. 집중 제어 기지국(30)과 유저단말(20)과의 무선통신의 복신 방식으로서는, 시간 분할 복신(TDD) 또는 주파수 분할 복신(FDD)의 어느 것이 이용되어도 좋다.
여기서, 무선통신시스템(1)에서 이용되는 통신채널에 대해 설명한다. 하향링크의 통신채널은, 각 유저단말(20)에서 공유되는 하향 공유 데이터 채널(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하향 제어채널(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와 주파수 분할 다중되는 확장 하향 제어채널(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확장 PDCCH, E―PDCCH, FDM형 PDCCH 등이라고도 불려도 좋다), 알림 채널(BCH:Broadcast Channel) 등을 포함한다.
이 PD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및 상위 레이어 신호(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가 전송된다. 또, PDCCH 및 ePDCCH의 적어도 하나이며, PDSCH 및 PUSCH의 스케줄링 정보 등의 제어정보가 전송된다. 또, BCH에 의해, MIB 등의 시스템 정보 등의 알림 신호가 전송된다. 또한, 상위 레이어 신호 및 BCH 등에서 전송되는 알림 신호는, 반고정적(semi―static) 시그널링인 반면, PDCCH 및 ePDCCH는, 동적(dynamic) 시그널링이다.
상향링크의 통신채널은, 각 유저단말(20)에서 공유되는 상향 데이터 채널(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과, 상향링크의 제어채널(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을 포함한다. 이 PU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나 상위 레이어 제어정보(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에 의한 제어정보)가 전송된다. 또, PUCCH에 의해,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CQI:Channel Quality Indicator), ACK/NACK 등이 전송된다.
도 13∼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1)의 상세 기능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무선통신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장치(구체적으로는, 무선기지국(10), 유저단말(20), 집중 제어 기지국(30))는, 프로세서, 메모리, RF 회로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를 갖고 있으며, 메모리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기억되어 있다. 후술하는 기능 구성은, 상술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또, 이하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무선통신시스템(1)에 있어서, 유저단말(20a(제1 유저단말, 유저단말#1))로부터 무선기지국(10a(제1 무선기지국, 무선기지국#1))에 대한 상향 신호와, 무선기지국(10b(제2 무선기지국, 무선기지국#2))으로부터 유저단말(20b(제2 유저단말, 유저단말#2))에 대한 하향 신호가, 시간 분할 복신(TDD) 방식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것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기지국(10a, 10b)에서 다른 DL/UL 구성이 적용됨으로써, 상기 상향 신호와 상기 하향 신호가,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시간영역 및 주파수영역에서 송신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10)의 기능 구성도이다. 또한, 도 13에서는, 무선기지국(10b(여간섭국))으로부터의 간섭을 받는 무선기지국(10a(피간섭국))의 기능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10a)은, MIMO 전송을 위한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101)와, 송수신부(102)와, 전송로 인터페이스(103(수신부, 송신부))와, 추정부(104)와, 판정부(105)를 구비한다.
송수신부(102)는,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101)를 통해, 유저단말(20a)로부터의 상향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유저단말(20a)에 대한 하향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수신부(102)는, DL/UL 구성(도 1)에 기초하여 소정의 시간영역(예를 들면, 서브프레임)마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를 전환하여, 상향 신호의 수신과 하향 신호의 송신을 수행한다. 또한, DL/UL 구성은, 반고정적(semi―static) 또는 동적(dynamic)으로 변경되어도 좋다. 또, DL/UL 구성은, 도 1에 예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송로 인터페이스(103)는, 무선기지국(10b) 또는 집중 제어 기지국(30)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송로 인터페이스(103)는, 무선기지국(10b) 또는 집중 제어 기지국(30)으로부터, 무선기지국(10a)에 대한 유저단말(20a)로부터의 상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의 추정에 이용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전송로 인터페이스(103)에서 수신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는, 상기 간섭량을 추정해야 하는 무선리소스인 간섭 추정용 리소스를 나타내도 좋으며(상기 제1 형태), 상기 간섭량을 추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무선리소스인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를 나타내도 좋다(상기 제2 형태). 상술한 바와 같이, 간섭 추정용 리소스,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는, 각각, 소정의 시간영역 및 주파수영역의 적어도 하나이다. 이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는, 전송로 인터페이스(103)로부터 추정부(104)로 출력된다.
또, 전송로 인터페이스(103)는, 후술하는 판정부(105)로부터 입력되는 간섭 저감 요구를 무선기지국(10b(여간섭국))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후술하는 추정부(104)에서 추정되는 상기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30)으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형태에 있어서, 전송로 인터페이스(103)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가 무선기지국(10b)으로부터 통지되는 경우(도 5), 판정부(105)로부터 입력되는 간섭 저감 요구(후술)를 무선기지국(10b)으로 송신한다. 또, 전송로 인터페이스(103)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가 집중 제어 기지국(30)으로부터 통지되는 경우(도 7), 해당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30)으로 송신해도 좋다.
한편, 상기 제2 형태에 있어서, 전송로 인터페이스(103)는,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가 집중 제어 기지국(30)으로부터 통지되는 경우(도 9),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정한 무선리소스(이하,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30)으로 송신해도 좋다. 혹은, 전송로 인터페이스(103)는,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이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에 기초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해당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30)으로 송신해도 좋다. 혹은, 전송로 인터페이스(103)는,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과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과의 차분을 집중 제어 기지국(30)으로 송신해도 좋다.
추정부(104)는, 전송로 인터페이스(103)에서 수신된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기지국(10a)에 대한 상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을 추정한다. 이 간섭량으로서는, 송수신부(102)에서 수신되는 상향 신호의 패스로스나 페네트레이션 로스나 안테나 게인이 추정되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10a)에 대한 상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은, 유저단말(20b)에 대한 무선기지국(10b)으로부터의 하향 신호와, 무선기지국(10a)에 인접하는 다른 유저단말(무선기지국(10a)의 근처에 위치하면, 무선기지국(10a)에 접속해도 좋으며, 다른 무선기지국(10)에 접속해도 좋다)로부터의 상향 신호의 적어도 하나에 의한 간섭량이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형태에 있어서, 추정부(104)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가 나타내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간섭량을 추정한다. 추정부(104)는, 추정된 간섭량을 판정부(105)로 출력해도 좋으며(도 5), 전송로 인터페이스(103)로 출력해도 좋다(도 7).
한편, 상기 제2 형태에 있어서, 추정부(104)는,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간섭량을 추정한다. 상기 특정 리소스는,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와, 소정의 파라미터(예를 들면,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의 뒤 n개의 서브프레임을 특정 리소스로 하는 경우의 n)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소정의 파라미터는, 미리 기억되어 있어도 좋으며, 무선기지국(10b) 또는 집중 제어 기지국(30)으로부터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와 함께 통지되어도 좋다. 또, 추정부(104)는,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간섭량을 추정해도 좋다. 추정부(104)는, 추정된 간섭량을 전송로 인터페이스(103)로 출력한다(도 9).
판정부(105)는, 추정부(104)에서 추정되는 간섭량에 기초하여, 무선기지국(10b(여간섭국))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를 수행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판정부(105)는, 추정부(104)에서 추정되는 간섭량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 무선기지국(10b)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를 수행한다고 판정하고, 간섭 저감 요구를 전송로 인터페이스(103)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섭 저감 요구에 의해, 무선기지국(10b)에 대해 무선기지국(10a)과 같은 DL/UL 구성을 적용하는 것이나 무선기지국(10b)으로부터의 하향 신호의 송신전력의 저감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제2 형태의 경우, 판정부(105)는, 생략되어도 좋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20)의 기능 구성도이다. 또한, 도 14에서는, 유저단말(20a(여간섭국))로부터의 간섭을 받는 유저단말(20b(피간섭국))의 기능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단말(20b)은, MIMO 전송을 위한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201)와, 송수신부(202(수신부, 송신부))와, 추정부(203)와, 판정부(204)를 구비한다.
송수신부(202)는,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201)를 통해, 무선기지국(10b)으로부터의 하향 신호를 수신함과 함께, 무선기지국(10b)에 대한 상향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수신부(202)는, DL/UL 구성(도 1)에 기초하여 소정의 시간영역(예를 들면, 서브프레임)마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를 전환하여, 상향 신호의 수신과 하향 신호의 송신을 수행한다. 또한, DL/UL 구성은 반고정적(semi―static) 또는 동적(dynamic)으로 변경되어도 좋다. 또, DL/UL 구성은, 도 1에 예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송수신부(202)는, 무선기지국(10b) 또는 집중 제어 기지국(30)으로부터, 유저단말(20b)에 대한 하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의 추정에 이용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수신한다. 송수신부(202)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알림 신호나 상위 레이어 신호(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등의 반고정적 시그널링에 의해 수신해도 좋으며, PDCCH나 ePDCCH 등의 제어 신호를 이용한 동적 시그널링으로 수신해도 좋다.
여기서, 송수신부(202)에서 수신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는, 상기 간섭량을 추정해야 하는 무선리소스인 간섭 추정용 리소스(상기 제1 형태)를 나타내도 좋으며, 상기 간섭량을 추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무선리소스인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상기 제2 형태)를 나타내도 좋다. 이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는, 송수신부(202)로부터 추정부(203)로 출력된다.
또, 송수신부(202)는, 후술하는 판정부(204)로부터 입력되는 간섭 저감 요구를 무선기지국(10b(여간섭국))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후술하는 추정부(203)에서 추정되는 상기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30)으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형태에 있어서, 송수신부(202)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가 무선기지국(10b)으로부터 통지되는 경우(도 6), 판정부(204)로부터 입력되는 간섭 저감 요구(후술)를 무선기지국(10b)으로 송신한다. 또, 송수신부(202)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가 집중 제어 기지국(30)으로부터 통지되는 경우(도 8), 해당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30)으로 송신해도 좋다.
한편, 상기 제2 형태에 있어서, 송수신부(202)는,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가 집중 제어 기지국(30)으로부터 통지되는 경우(도 10),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30)으로 송신해도 좋다. 혹은, 송수신부(202)는,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이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에 기초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해당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을 집중 제어 기지국(30)으로 송신해도 좋다. 혹은, 송수신부(202)는,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과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과의 차분을 집중 제어 기지국(30)으로 송신해도 좋다.
추정부(203)는, 송수신부(202)에서 수신된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단말(20b)에 대한 하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을 추정한다. 또한, 유저단말(20b)에 대한 하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은, 무선기지국(10a)에 대한 유저단말(20a)로부터의 상향 신호와, 유저단말(20b)에 인접하는 다른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의 하향 신호의 적어도 하나에 의한 간섭량이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형태에 있어서, 추정부(203)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가 나타내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간섭량을 추정한다. 추정부(203)는, 추정된 간섭량을 판정부(204)로 출력해도 좋으며(도 6), 송수신부(202)로 출력해도 좋다(도 8).
한편, 상기 제2 형태에 있어서, 추정부(203)는,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정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간섭량을 추정한다. 상기 특정 리소스는,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와, 소정의 파라미터(예를 들면,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의 뒤 n개의 서브프레임을 특정 리소스로 하는 경우의 n)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소정의 파라미터는, 미리 기억되어 있어도 좋으며, 무선기지국(10b) 또는 집중 제어 기지국(30)으로부터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와 함께 통지되어도 좋다. 또, 추정부(203)는,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간섭량을 추정해도 좋다. 추정부(203)는, 추정된 간섭량을 송수신부(202)로 출력한다(도 10).
판정부(204)는, 추정부(203)에서 추정되는 간섭량에 기초하여, 유저단말(20a(여간섭국))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를 수행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판정부(204)는, 추정부(203)에서 추정되는 간섭량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 유저단말(20a)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를 수행한다고 판정하고, 간섭 저감 요구를 송수신부(202)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간섭 저감 요구에 의해, 무선기지국(10a)에 대해 무선기지국(10b)과 같은 DL/UL 구성을 적용하는 것이나 유저단말(20a)으로부터의 상향 신호의 송신전력의 저감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제2 형태의 경우, 판정부(204)는, 생략되어도 좋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집중 제어 기지국(30)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15에서는, 피간섭국(무선기지국(10a) 또는 유저단말(20b))에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통지하는 기능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기능 구성은,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통지하는 무선기지국(10b(무선기지국#2))이 구비해도 좋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중 제어 기지국(30)은, MIMO 전송을 위한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301)와, 송수신부(302)와, 전송로 인터페이스(303)와, 생성부(304)를 구비한다.
송수신부(302)는,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301)를 통해, 유저단말(20)과의 사이의 무선링크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송수신부(302)는, 후술하는 생성부(304)로부터 입력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유저단말(20b(피간섭국))로 송신한다(도 8, 도 11). 송수신부(302)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알림 신호나 상위 레이어 신호(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등의 반고정적 시그널링에 의해 송신해도 좋으며, PDCCH나 ePDCCH 등의 제어 신호를 이용한 동적 시그널링으로 송신해도 좋다.
전송로 인터페이스(303)는, 무선기지국(10a 또는 10b)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송로 인터페이스(303)는, 후술하는 생성부(304)로부터 입력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무선기지국(10a(피간섭국))으로 송신한다(도 7, 도 10).
생성부(304)는, 무선기지국(10b)으로부터의 하향 신호에 의해 무선기지국(10a)에 대한 상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 또는, 유저단말(20a)로부터의 상향 신호에 의해 유저단말(20b)에 대한 하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의 추정에 이용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추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생성부(304)는, 상기 간섭량을 추정해야 하는 무선리소스인 간섭 추정용 리소스(제1 형태)를 나타내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생성해도 좋으며, 상기 간섭량을 추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무선리소스인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제2 형태)를 나타내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생성해도 좋다.
또한, 간섭 추정용 리소스 또는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는,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10a, 10b)에 적용되는 DL/UL 구성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으며, 미리 규정된 것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1)에 의하면, 피간섭국에 대해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가 통지되고, 해당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간섭량이 추정된다. 이 때문에, 피간섭국이 여간섭국으로부터 받는 간섭량을 적절히 추정할 수 있으며, 피간섭국에 있어서의 간섭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은, 2012년 6월 4일 출원의 특원 2012―127183에 기초한다. 이 내용은, 전부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

Claims (14)

  1. 시간 분할 복신(TDD) 방식을 이용하여 유저단말로부터의 상향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에 인접하는 다른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상기 TDD 방식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하향 신호 및 상기 무선기지국에 인접하는 다른 유저단말로부터의 상향 신호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무선기지국에 대한 상기 유저단말로부터의 상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의 추정에 이용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간섭량을 추정하는 추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는, 상기 간섭량을 추정해야 하는 무선리소스인 간섭 추정용 리소스를 나타내고,
    상기 추정부는,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간섭량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가 상기 다른 무선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경우,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 추정된 상기 간섭량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무선기지국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가 상기 무선기지국 및 상기 다른 무선기지국을 제어하는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되는 경우,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 추정된 상기 간섭량을, 상기 제어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는, 상기 간섭량을 추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무선리소스인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를 나타내고,
    상기 추정부는, 상기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정한 무선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간섭량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가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되는 경우, 상기 특정한 무선리소스에 있어서 추정된 상기 간섭량, 또는, 상기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에 기초하는 소정의 조건을 상기 특정한 무선리소스에 있어서 추정된 간섭량이 만족시키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간섭량, 또는, 상기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있어서 추정된 상기 간섭량과 상기 특정한 무선리소스에 있어서 추정된 상기 간섭량과의 차분을, 상기 제어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지국.
  7. 시간 분할 복신(TDD)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 신호를 수신하는 유저단말에 있어서,
    상기 무선기지국에 인접하는 다른 무선기지국에 접속하는 다른 유저단말로부터 상기 TDD 방식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상향 신호 및 상기 유저단말에 인접하는 다른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 신호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유저단말에 대한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의 추정에 이용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간섭량을 추정하는 추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단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는, 상기 간섭량을 추정해야 하는 무선리소스인 간섭 추정용 리소스를 나타내고,
    상기 추정부는,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간섭량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단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가 상기 무선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경우,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 추정된 상기 간섭량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유저단말에 대한 간섭 저감 요구를 상기 무선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단말.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가 상기 무선기지국 및 상기 다른 무선기지국을 제어하는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되는 경우,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에 있어서 추정된 상기 간섭량을, 상기 제어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단말.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는, 상기 간섭량을 추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무선리소스인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를 나타내고,
    상기 추정부는, 상기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정한 무선리소스에 있어서 상기 간섭량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단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가 상기 제어국으로부터 통지되는 경우, 상기 특정한 무선리소스에 있어서 추정된 상기 간섭량, 또는, 상기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있어서의 간섭량에 기초하는 소정의 조건을 상기 특정한 무선리소스에 있어서 추정된 간섭량이 만족시키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간섭량, 또는, 상기 간섭 추정용 기준 리소스에 있어서 추정된 상기 간섭량과 상기 특정한 무선리소스에 있어서 추정된 상기 간섭량과의 차분을, 상기 제어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단말.
  13. 시간 분할 복신(TDD) 방식을 이용하여, 제1 유저단말로부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한 상향 신호와,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인접하는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제2 유저단말에 대한 하향 신호가 송신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하향 신호 및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인접하는 유저단말로부터의 상향 신호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제1 유저단말로부터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한 상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 또는, 상기 제1 유저단말로부터의 상기 상향 신호 및 상기 제2 유저단말에 인접하는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 신호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제2 유저단말에 대한 하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의 추정에 이용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간섭량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14. 시간 분할 복신(TDD) 방식을 이용하여, 제1 유저단말로부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한 상향 신호와,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인접하는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제2 유저단말에 대한 하향 신호가 송신되는 무선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간섭 추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상기 하향 신호 및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인접하는 유저단말로부터의 상향 신호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제1 유저단말로부터 상기 제1 무선기지국에 대한 상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 또는, 상기 제1 유저단말로부터의 상기 상향 신호 및 상기 제2 유저단말에 인접하는 무선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 신호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2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제2 유저단말에 대한 하향 신호가 받는 간섭량의 추정에 이용되는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를 수신하는 공정;
    상기 간섭 추정용 리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간섭량을 추정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섭 추정 방법.
KR1020147032406A 2012-06-04 2013-05-28 무선기지국, 유저단말, 무선통신시스템 및 간섭 추정 방법 KR101587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27183 2012-06-04
JP2012127183A JP5781016B2 (ja) 2012-06-04 2012-06-04 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PCT/JP2013/064758 WO2013183491A1 (ja) 2012-06-04 2013-05-28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干渉推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056A true KR20150027056A (ko) 2015-03-11
KR101587424B1 KR101587424B1 (ko) 2016-01-21

Family

ID=49711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406A KR101587424B1 (ko) 2012-06-04 2013-05-28 무선기지국, 유저단말, 무선통신시스템 및 간섭 추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75584B2 (ko)
EP (1) EP2858406B1 (ko)
JP (1) JP5781016B2 (ko)
KR (1) KR101587424B1 (ko)
CN (2) CN104350777A (ko)
WO (1) WO20131834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1860A (ja) 2012-06-04 2013-12-12 Ntt Docomo Inc 通信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US9577778B2 (en) * 2014-02-24 2017-02-21 Intel Corporation Interference reduction using hybrid signaling
JPWO2016088719A1 (ja) * 2014-12-05 2017-11-02 株式会社Nttドコモ 上りリンク干渉低減方法、及び基地局
KR102316996B1 (ko) * 2015-04-10 2021-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간섭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JP6956006B2 (ja) * 2015-05-14 2021-10-27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102287526B1 (ko) * 2015-05-14 2021-08-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전이중전송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0708016B2 (en) 2015-12-14 2020-07-07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s for estimating mixed interference
CN107453834A (zh) 2016-05-31 2017-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下行干扰管理方法、基站及用户设备
CN110809278B (zh) * 2018-08-06 2021-10-22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信号传输方法和设备
CN110830207A (zh) * 2018-08-10 2020-0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发送、接收方法、设备及装置
CN113114433A (zh) * 2020-01-10 2021-07-13 索尼公司 电子设备、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683823B2 (en) * 2020-03-02 2023-06-20 Fujitsu Limited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11696318B2 (en) 2021-01-13 2023-07-04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estimation for resource availability determin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0095A (ja) * 2009-12-04 2011-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干渉制御方法、制御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WO2011122833A2 (en) * 2010-03-29 2011-10-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for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12005086A (ja) * 2010-06-21 2012-01-05 Ntt Docomo Inc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7828B2 (en) * 2004-08-12 2014-11-25 Intellectual Ventures Holding 81 Llc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38131A (ko) * 2004-10-29 2006-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Fh-ofdma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상향링크 스케줄링 방법
KR100951382B1 (ko) * 2006-09-07 201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수신신호의 간섭 제거방법 및 장치
CN101785220A (zh) * 2007-08-09 2010-07-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频率资源分配方法
CN102204154B (zh) * 2008-10-31 2014-05-21 诺基亚公司 在基于分组的无线通信系统中用于时分双工操作的子帧调度的动态分配
US8571594B2 (en) * 2009-08-12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overload indication
JP2011091783A (ja) * 2009-09-25 2011-05-06 Sony Corp 通信システム、基地局、中継装置、および通信端末
KR101672769B1 (ko) * 2010-02-09 2016-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겹치는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업링크 통신 및 다운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
JP5606836B2 (ja) 2010-08-31 2014-10-15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装置
CN102223690A (zh) * 2011-06-17 2011-10-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系统信息的方法及装置
WO2013004007A1 (en) * 2011-07-05 2013-01-10 Renesas Mobile Corporation Mechanism for enhancing power control in time division based communications
US9143984B2 (en) * 2012-04-13 2015-09-22 Intel Corporation Mapping of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0003998B2 (en) * 2012-05-04 2018-06-1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ed overhea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0095A (ja) * 2009-12-04 2011-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干渉制御方法、制御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WO2011122833A2 (en) * 2010-03-29 2011-10-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for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12005086A (ja) * 2010-06-21 2012-01-05 Ntt Docomo Inc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3GPP, TR25.912 (V7.1.0), "Feasibility study for Evolved UTRA and UTRAN", Sept. 20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51859A (ja) 2013-12-12
CN107094059B (zh) 2019-07-09
US10375584B2 (en) 2019-08-06
JP5781016B2 (ja) 2015-09-16
EP2858406A4 (en) 2016-01-27
KR101587424B1 (ko) 2016-01-21
US20150195715A1 (en) 2015-07-09
WO2013183491A1 (ja) 2013-12-12
EP2858406A1 (en) 2015-04-08
CN107094059A (zh) 2017-08-25
CN104350777A (zh) 2015-02-11
EP2858406B1 (en)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424B1 (ko) 무선기지국, 유저단말, 무선통신시스템 및 간섭 추정 방법
KR10232925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된 무선 백홀 및 엑세스 네트워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226293B (zh) 无线通信的方法、装置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CN110169110B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US9756637B2 (en) Resource alloc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US20180323887A1 (en) Interference management based on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876884B1 (ko) 전기통신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배열
US9788332B2 (en) Radio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15299003B (zh) 用于高速列车单频网络的频率预补偿
US20180254868A1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8147346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7100016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JP6698519B2 (ja)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9860007B2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160007232A1 (en) Flexible configuration of uplink and downlink ratio by exchanging information using an x2 interface
US20210392664A1 (en) Radio Network Node, User Equipment (UE) and Methods Perform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13922940A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WO2015045773A1 (ja)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US10530556B2 (en) Full-duplex power reporting
US20190140806A1 (en) Radio Network Node, a Wireless Device and Methods therein for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US11677521B2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