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102A -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7102A KR20150007102A KR20130081071A KR20130081071A KR20150007102A KR 20150007102 A KR20150007102 A KR 20150007102A KR 20130081071 A KR20130081071 A KR 20130081071A KR 20130081071 A KR20130081071 A KR 20130081071A KR 20150007102 A KR20150007102 A KR 201500071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der
- weight
- hours
- pulverizing
- par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작용을 제공하면서 항생제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소화를 촉진시키는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버드나무를 채취 및 세정하여 열처리로에서 열처리하고, 45~50℃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 오가피나무를 채취 및 세정하여 열처리로에서 열처리하고, 45~50℃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 맥아보리를 채취하여 35~40℃의 물에서 20~30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건져내어서 발아실 내부에서 새싹과 뿌리가 나오도록 발아시키고, 40~45℃에서 20~30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 무를 세척한 후 소정의 크기로 잘게 절단하고, 40~45℃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 현미를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 파인애플을 소정의 크기로 잘게 절단한 후 40~45℃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 및 버드나무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오가피나무 분말 35~50중량부, 맥아보리 분말 2~3중량부, 무 분말 3~7중량부, 현미 분말 1~3중량부 및 파인애플 분말 0.3~0.7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축 사료에 첨가되어 항균작용을 제공하면서 항생제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가축의 소화를 촉진시켜서 성장을 돕는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나 돼지 및 닭과 오리의 가금류 등과 같은 가축의 사육은 근래에 이르러 기업화 및 대형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한정된 공간에 밀집 사육을 할 수 있고, 또한 가축의 성장속도를 증가시켜 원활한 식량자원의 공급을 위하여 수많은 방안이 연구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활발한 연구의 결과로써 사료첨가제가 개발되었으며, 이 사료 첨가제는 보리, 귀리, 옥수수 또는 고구마 등의 사료작물을 가공하여 만들어진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가축의 성장속도를 증대시키고 밀집 사육으로 인한 가축들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개발되고 있다.
즉, 상기 사료첨가제는 합성아미노산, 비타민제제, 미량원소, 항생물질, 효소제제, 호르몬분비촉진, 항산화제, 구충약물, 곰팡이방지제 및 착색제 등의 특징으로 가지고서, 가축사료 품질개선, 동물영양 공급의 균형과 보완, 사료절감, 사육원가 절감, 동물 생산성과 동물제품 품질의 향상, 각종 동물의 질병예방 및 동물 생장 발육 촉진 등의 효능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 하나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6275호(2010년 10월 01일)에서와 같이, 기능성분인 뽕나무, 어성초, 오가피나무를 분말로 조성하고 기존 배합사료에 혼합하여 가축에 먹임으로써 성장속도를 높여주고, 가축이 가지는 본질의 지방질, 단백질, 아미노산과 같은 성분과 함께 기능성분까지 함유되는 것으로 하여서 별도의 화학물질의 항생제를 투입하지 않아도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는 기능성 식물을 첨가한 복합사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2110호(2005년 07월 08)에서와 같이, 볏짚이 주재료인 조사료에 파인애플사일리지와 해조류를 포함하는 첨가사료를 혼합하여 사료의 기능성을 강화함으로써 반추동물 특히 젖소의 번식기능을 강화하고, 축우의 개체 건강을 개선하고, 젖소의 산유량을 증가시키고, 축우 젖에 포함되는 체세포 수를 감소시키며, 축우의 수태율을 증진시키는 축우 사료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사료의 제조방법들 이외에도 종래의 항균작용을 제공하면서 항생제 대체용으로 이용할 수 있고 가축의 발육을 촉진시킬 수 있는 사료의 제조방법들의 공지기술을 토대로 하여, 종래기술들과 비교하여 주위에서 재료들을 쉽게 얻을 수 있으면서 상술된 기능성에 더하여 다양한 기능에 대한 효과의 극대화를 얻을 수 있는 가축사료첨가제를 개발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가축의 질병예방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화학적 항생제를 대체하고, 사료에 혼합하여 가축에 제공함으로써 육질 향상, 분뇨 냄새 감소, 가축의 건강증진 및 설사방지, 폐사율 감소, 생산성 증대는 물론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화학적 항생제 잔류를 통한 토양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가축의 소화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변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천연식물성 소재를 이용하여 50 여종 이상의 영양소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각종 영양소의 흡수율을 높여 다기능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천연식물성 생약제를 첨가제로서 이용함으로써 단일 성분으로 된 화학적 의약품과는 달리 약효가 다양하면서 부작용이 적어 기존의 항생제에 따른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작용을 제공하면서 항생제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소화를 촉진시키는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은, 버드나무를 채취 및 세정하여 열처리로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한 후 열처리하고, 건조기를 통해 45~50℃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 오가피나무를 채취 및 세정하여 열처리로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한 후 열처리하고, 건조기를 통해 45~50℃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 맥아보리를 채취하여 35~40℃의 물에서 20~30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건져내어서 새싹과 뿌리가 나오도록 발아시키고, 건조기를 이용하여 40~45℃에서 20~30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 무를 세척한 후 소정의 크기로 잘게 절단하고, 건조기에서 40~45℃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 현미를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 파인애플을 소정의 크기로 잘게 절단한 후 건조기를 이용하여 40~45℃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 및 버드나무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오가피나무 분말 35~50중량부, 맥아보리 분말 2~3중량부, 무 분말 3~7중량부, 현미 분말 1~3중량부 및 파인애플 분말 0.3~0.7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은, 상기의 일 실시예의 단계들에 추가하여, 질경이를 채취하고 세정하여 건조기에서 35~40℃ 온도에서 손으로 뿌리를 부러뜨려 뚝뚝 부러질 때까지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질경이 분말이 0.5 내지 1중량부로 혼합되게 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은, 상기의 다른 실시예의 단계들에 추가하여, 민들레를 채취하고 세정하여 건조기에서 35~40℃ 온도에서 손으로 뿌리를 부러뜨려 뚝뚝 부러질 때까지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민들레 분말이 0.5 내지 1중량부로 혼합되게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버드나무 및 상기 오가피나무의 열처리는, 물을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얻어진 증기로 20~40분 동안 쪄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버드나무 및 상기 오가피나무는 익힌 밥과 섞여서 혼합되어 열처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버드나무 분말, 오가피나무 분말, 맥아보리 분말, 무 분말, 현미 분말, 파인애플 분말, 질경이 분말 및 민들레 분말은 50 내지 60 메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맥아보리의 발아는 발아실 내부의 30~40℃에서 1~3일 동안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를 배합사료에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천연물질의 생약제로서 사료품질을 개선하고, 가축영양 공급의 균형 유지 및 보완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료절감에 따른 사육원가의 절감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각종 가축의 질병 예방 및 가축 생장 발육 촉진을 통해서 가축의 생산성과 축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또한, 천연물질 생약첨가제에 의한 무독작용과 다기능성을 통해서 화학합성 항생제 및 생장촉진 첨가제를 대체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가축의 배합사료에 추가로 첨가되는 사료첨가제는 핵심요소로서 함유된 용량은 적지만 가축에 미치는 작용은 매우 커서 배합사료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의 사료첨가제와 에너지사료 및 단백질사료의 3가지를 유기적으로 배합한 혼합물은 동물의 성장 및 비육의 촉진제이고, 이로 인해 사육주기의 단축, 사료 이용율 제고, 최대의 사회효과와 경제효과의 획득의 중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는 동일조건의 사육환경에서 사료첨가제 사용시 양돈은 보통 12.5%, 양계는 37.5% 정도로 배합사료에 이용되는 곡물 절약을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사육주기를 절반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사료첨가제는 가축 사육의 건강한 상황을 개선하고, 번식력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섭취량 조절을 통하여 영양물질과 에너지의 소화율을 고려하여 사료 전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사료원료는 다수가 비교적 많은 조섬유를 함유하여, 상용사료 중 탄수화합물효소, 단백질효소 및 지방효소 등의 효소제제를 첨가하면 사료 영양가치를 높이는데 유리하고, 특히 소화능력에 한계가 있는 가축에 훨씬 유리하다.
그리고, 현재에는 화학적 항생물질의 사용금지로 유산균과 효모배양물의 사용이 갈수록 광범위화 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와 같은 천연물 생략 사료첨가제 사용에 있어서는 약제 내원의 지역성, 정제기술의 차이, 생산공정의 차이, 기술수준과 설비조건의 차이, 저장운송 상황의 차이, 품질의 영향요소가 매우 많아 품질의 균형성과 임상 약의 안전 효과를 보증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천연물 생략 사료첨가제는 유효성, 안전성, 안정성 및 제어성을 보증하면서 권위성, 과학성 및 진정성이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요구 조건들을 바탕으로 하여 본 출원인은, 아스피린(살리실산), 리그난, 사포닌화합물, 페닐프로파노이드, 잎세코루판사포닌계화합물, 플라보노이트, 에로테로사이트 B와 E, 지린건, 아칸토산, 치사노이드, 4-메토키시사리칠 알데히드, 팔미친산, 아라긴산, 니놀산, 글리세라이드, 아밀라아제, 디아스타아제, 프로테아제, 인버타아제, 피타아제, 에라스타아제, 비타민A와 C, 라이신, 아연, 인, 베타인, 페루오키시타제, 칼슘, 구연산, 블로멜린, 칼륨, 가바, 옥타코사놀 등의 성분을 함유한 항생제를 대체하면서 항균작용을 제공하고 또한 소화를 촉진시키는 본 발명과 같은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을 구현하였다.
즉, 본 출원인은 주변에서 용이하게 취득하여 이용할 수 있는 최적의 천연식물들을 다음과 같은 다수 개를 채취하여 다양한 제조방법을 통해 이용함으로써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가축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으며, 본 발명에서 이용된 천연식물 재료들에 있어서는, 일 실시예를 통해 버드나무, 오가피나무, 맥아보리, 무, 현미 및 파인애플에 대하여 각각 분말 형태로 제조하여 혼합하였고(도 1 참조), 다른 실시예를 통해서는 질경이 분말을 적정량으로 추가로 혼합하였으며(도 2 참조),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민들레 분말을 적정량으로 추가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도 3 참조).
상기 버드나무는, 아스피린의 주요작용 성분과 비슷한 살리실(salicyl) 성분을 가지고 있어서 열을 내리게 하고 염증과 통증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버드나무를 채취 및 세정하여 열처리로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한 후 열처리하고, 건조기를 통해 45~50℃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형태를 얻었다(S11, S21 및 S31 단계).
상기 오가피나무는, 중추신경흥분작용을 하는 아칸토사이드(acanthoside) A, b, C 및 D와, 간장을 개선하는 시린가네시놀(syringaresinol), 탄닌(tannin), 팔미틴산(palmitin), 세사민(sesamin), 사비닌(savinin), 사포닌(saponin) 등이 함유되어 있어 근육과 뼈를 강화하고 신경쇠약과 해독작용, 노화방지, 혈액순환, 특히 간과 신장에 좋은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오가피나무를 채취 및 세정하여 열처리로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한 후 열처리하고, 건조기를 통해 45~50℃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었다(S12, S22, S32 단계).
여기서, 상기 버드나무 및 오가피나무의 열처리는 살균처리하고 기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행해진 것으로서 물을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얻어진 증기로 20~40분 동안 쪄서 이루어지며, 그리고 소화율의 향상을 위해서 익힌 밥과 섞여서 혼합되어 열처리시킨다.
상기 보리(맥아)는, 혈관의 기능을 튼튼하게 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혈압 상승을 억제하여 주며, 미네랄 성분, 비타민 및 섬유질 성분이 풍부하여 장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여 소화 촉진을 향상시켜주는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리(맥아)를 채취하여 35~40℃의 물에서 20~30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건져내어서 발아실 내부의 30~40℃에서 1~3일 동안 새싹과 뿌리가 나오도록 발아시키고, 건조기를 이용하여 40~45℃에서 20~30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었다(S13, S23, S33 단계).
상기 무는, 소화를 촉진하고 위장을 강화시켜주고, 숙취를 해소시켜 주고, 항암, 항산화항균 및 항염작용을 하고, 향균작용 및 식중독 예방 작용을 하며, 신장기능을 개선시켜 주는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무를 세척한 후 소정의 크기로 잘게, 바람직하게는 5㎝(가로)X5㎝(세로)X1㎝(높이)의 크기로 절단하고, 건조기에서 40~45℃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었다(S14, S24, S34 단계).
상기 현미는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많은 효능을 갖고 있으며, 특히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체내에 있는 노폐물을 빨리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어 소화기관에 유익한 작용을 하며, 철분, 칼슘, 섬유질, 단백질 및 각종 비타민과 인 등의 성장에 좋은 영양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현미를 분쇄하여 분말을 얻었다(S15, S25, S35 단계).
상기 파인애플은, 비타민 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피로회복에 좋고, 식욕을 증진해주는 구연산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식욕을 증진시켜주고,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단백질을 녹여 소화시키는 브로멜라인효소가 함유되어 있어 소화를 초진시켜주는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파인애플을 소정의 크기로 잘게, 바람직하게는 5㎝(가로)X5㎝(세로)X1㎝(높이)의 크기로 절단한 후 건조기를 이용하여 40~45℃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었다(S16, S26, S36 단계).
상기 질경이는 집안의 마당, 길가 또는 들판 등에서 흔히 자라는 식물로서 소화촉진, 간기능 개선, 협압강화작용, 이뇨작용 개선, 심장병 예방 및 암세포 억제 등의 효능이 있는 성분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질경이를 채취하고 세정하여 건조기에서 35~40℃ 온도에서 손으로 뿌리를 부러뜨려 뚝뚝 부러질 때까지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었다(S27, S37 단계).
상기 민들레는 쓴맛 나는 배당체, 카로티노이드, 테락사신(taraxacin), 테르페노이드(terpe-noids), 트리터펜스(triterpences), 콜린, 탄닌, 스테롤, 정유, 각종 미네랄(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철분, 아연 등), 탄성고무, 각종 비타민(β-카로틴, 비타민B, C) 등의 성분을 가지며 그의 주요작용은 강장(剛腸), 간/신장/담 기능 강화, 담즙촉진, 소화촉진, 변통 등에 효능이 갖음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민들레를 채취하고 세정하여 건조기에서 35~40℃ 온도에서 손으로 뿌리를 부러뜨려 뚝뚝 부러질 때까지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었다(S38 단계).
상기와 같이 다수 개의 천연식물성 생약성분을 채취하여 분말로 만든 다음에, 버드나무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오가피나무 분말 35~50중량부, 맥아보리 분말 2~3중량부, 무 분말 3~7중량부, 현미 분말 1~3중량부, 파인애플 분말 0.3~0.7중량부, 질경이 분말 0.5 내지 1중량부 및 민들레 분말 0.5 내지 1중량부를 혼합하는 혼합물을 통해 가축사료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가축사료첨가제로서 이용되는 버드나무 분말, 오가피나무 분말, 맥아보리 분말, 무 분말, 현미 분말, 파인애플 분말, 질경이 분말 및 민들레 분말의 크기는 서로 간의 적절한 배합을 위해서 50 내지 60 메시로 이루어지게 하였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이 다수 개로 채취된 천연식물성 생약성분을 분말화하고, 가축사료첨가제로서 이용된 각 생약성분의 수 및 함유량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화를 주면서 배합사료에 첨가하는 다음과 같이 다수의 실시를 행하였다.
여기서, 상기 배합사료에 첨가되는 사료첨가제의 양은 가축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서 사용자가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으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먼저,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통해서, 버드나무 분말, 오가피나무 분말, 맥아보리 분말, 무 분말, 현미 분말 및 파인애플 분말을 각각 제조하였고, 제조된 각 성분의 분말을 표 1과 같이 일례 1~5로 다섯 가지 조건의 비율로 혼합하여 배합사료에 첨가하였다.
구분 | 일례 1 | 일례 2 | 일례 3 | 일례 4 | 일례 5 |
버드나무 분말 | 100 | 100 | 100 | 100 | 100 |
오가피나무 분말 | 30 | 35 | 45 | 50 | 55 |
맥아보리 분말 | 1 | 2 | 2.5 | 3 | 4 |
무 분말 | 1 | 3 | 5 | 7 | 9 |
현미 분말 | 1 | 1.5 | 2 | 2.5 | 3 |
파인애플 분말 | 0.1 | 0.3 | 0.5 | 0.7 | 0.9 |
상기와 같은 조건의 비율로 혼합된 다섯 가지의 가축사료첨가제를 각 가축에 해당되는 배합사료와 혼합하여 중간 수준으로 성장한 소 20마리, 돼지 20마리 및 닭 20마리가 30일 동안 섭취하게 한 후, 그 변화 상태를 비교 관찰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가축사료첨가제가 함유되지 않은 배합사료를 동일 조건에서 별도로 준비된 소, 돼지 및 닭이 섭취하게 한 후도 비교 관찰하였다. 여기서 측정된 값은 각 개체 마다 측정한 후 그에 대한 평균치를 계산하여 제시한 것이다.
구분 | 가축 종류 |
일례 1 | 일례 2 | 일례 3 | 일례 4 | 일례 5 | 비교예 | |||
성장율 (%) |
소 | 7 | 10 | 15 | 15 | 5 | 5 | |||
돼지 | 5 | 15 | 20 | 20 | 7 | 5 | ||||
닭 | 3 | 5 | 10 | 10 | 5 | 3 | ||||
활력증가율(%) |
소 | 5 | 15 | 20 | 25 | 10 | 5 | |||
돼지 | 10 | 20 | 25 | 25 | 10 | 10 | ||||
닭 | 5 | 15 | 20 | 25 | 10 | 5 | ||||
질병발생감소율(%) |
소 | 5 | 20 | 30 | 30 | 5 | 5 | |||
돼지 | 10 | 20 | 30 | 30 | 10 | 10 | ||||
닭 | 5 | 20 | 25 | 25 | 5 | 5 | ||||
배변의 상태 |
소 | 아주 단단한 변 | 단단한 변 | 단단하고 좋은 변 | 약간 무른 변 |
무른 변 | 약간 무른 변 |
|||
돼지 | 아주 단단한 변 | 단단한 변 | 단단하고 좋은 변 | 약간 무른 변 |
무른 변 | 무른 변 | ||||
닭 | 아주 단단한 변 | 단단한 변 | 단단하고 좋은 변 | 약간 무른 변 |
무른 변 | 무른 변 | ||||
배변량 증감율(%) |
소 | 2% 증가 | 3% 증가 | 5% 증가 | 10% 증가 | 20% 증가 | 거의 변동 없음 | |||
돼지 | 3% 증가 | 5% 증가 | 10% 증가 | 10% 증가 | 20% 증가 | 거의 변동 없음 | ||||
닭 |
3% 증가 |
5% 증가 |
10% 증가 |
10% 증가 |
15% 증가 |
거의 변동 없음 |
상기의 표 2에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성장율, 활력 증가율, 질병 발생율, 배변의 상태 및 배변량 증감율에 있어서는 일례 2~4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축사료첨가제가 혼합된 배합사료를 소, 돼지 및 닭 등에 섭취하게 하였을 경우가, 상기 가축사료첨가제가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의 배합사료만을 섭취하게 한 다른 가축들보다 모든 조건에서 우수한 상태를 보였다. 특히, 일례 3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축사료첨가제를 구성하는 모든 성분이 적정량으로 함유되어 있을 경우 가장 우수한 상태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첨가제의 범위 이하인 일례 1과 범위 이상인 일례 5에서는 각 가축들에 있어서 조금의 변화를 보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인 일례 2~4보다는 그 변화가 훨씬 미미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일례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가축사료첨가제의 첨가 범위를 넘을 경우에는 역효과가 발생하여 가축의 양육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통해서, 버드나무 분말, 오가피나무 분말, 맥아보리 분말, 무 분말, 현미 분말, 파인애플 분말 및 질경이 분말을 각각 제조하였고, 제조된 각 성분의 분말을 표 3과 같이 일례 1~5로 다섯 가지 조건의 비율로 혼합하여 배합사료에 첨가하였다.
구분 | 일례 1 | 일례 2 | 일례 3 | 일례 4 | 일례 5 |
버드나무 분말 | 100 | 100 | 100 | 100 | 100 |
오가피나무 분말 | 30 | 35 | 45 | 50 | 55 |
맥아보리 분말 | 1 | 2 | 2.5 | 3 | 4 |
무 분말 | 1 | 3 | 5 | 7 | 9 |
현미 분말 | 1 | 1.5 | 2 | 2.5 | 3 |
파인애플 분말 | 0.1 | 0.3 | 0.5 | 0.7 | 0.9 |
질경이 분말 | 0.2 | 0.5 | 0.7 | 0.85 | 1.0 |
상기와 같은 조건의 비율로 혼합된 다섯 가지의 가축사료첨가제를 각 가축에 해당되는 배합사료와 혼합하여 중간 수준으로 성장한 소 20마리, 돼지 20마리 및 닭 20마리가 30일 동안 섭취하게 한 후, 그 변화 상태를 비교 관찰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가축사료첨가제가 함유되지 않은 배합사료를 동일 조건에서 별도로 준비된 소, 돼지 및 닭이 섭취하게 한 후도 비교 관찰하였다. 여기서 측정된 값은 각 개체 마다 측정한 후 그에 대한 평균치를 계산하여 제시한 것이다.
구분 | 가축 종류 |
일례 1 | 일례 2 | 일례 3 | 일례 4 | 일례 5 | 비교예 |
성장율 (%) |
소 | 7 | 15 | 20 | 25 | 10 | 5 |
돼지 | 7 | 20 | 25 | 25 | 10 | 5 | |
닭 | 5 | 10 | 15 | 15 | 7 | 3 | |
활력증가율(%) |
소 | 5 | 10 | 20 | 25 | 10 | 5 |
돼지 | 10 | 20 | 25 | 25 | 10 | 10 | |
닭 | 5 | 15 | 20 | 20 | 10 | 5 | |
질병발생감소율(%) |
소 | 5 | 25 | 35 | 35 | 5 | 5 |
돼지 | 5 | 25 | 35 | 35 | 10 | 5 | |
닭 | 5 | 25 | 25 | 30 | 5 | 5 | |
배변의 상태 |
소 | 아주 단단한 변 | 단단한 변 | 단단하고 좋은 변 | 약간 무른 변 |
무른 변 | 약간 무른 변 |
돼지 | 아주 단단한 변 | 단단한 변 | 단단하고 좋은 변 | 약간 무른 변 |
무른 변 | 무른 변 | |
닭 | 아주 단단한 변 | 단단한 변 | 단단하고 좋은 변 | 약간 무른 변 |
무른 변 | 무른 변 | |
배변량 증감율(%) |
소 | 2% 증가 | 5% 증가 | 7% 증가 | 10% 증가 | 20% 증가 | 거의 변동 없음 |
돼지 | 3% 증가 | 5% 증가 | 10% 증가 | 15% 증가 | 20% 증가 | 거의 변동 없음 | |
닭 |
3% 증가 |
5% 증가 |
10% 증가 |
15 증가 |
15% 증가 |
거의 변동 없음 |
상기의 표 4에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성장율, 활력 증가율, 질병 발생율, 배변의 상태 및 배변량 증감율에 있어서는 일례 2~4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축사료첨가제가 혼합된 배합사료를 소, 돼지 및 닭 등에 섭취하게 하였을 경우가, 상기 가축사료첨가제가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의 배합사료만을 섭취하게 한 다른 가축들보다 모든 조건에서 우수한 상태를 보였다. 특히, 일례 3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축사료첨가제를 구성하는 모든 성분이 적정량으로 함유되어 있을 경우 가장 우수한 상태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첨가제의 범위 이하인 일례 1과 범위 이상인 일례 5에서는 각 가축들에 있어서 조금의 변화를 보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인 일례 2~4보다는 그 변화가 훨씬 미미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일례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가축사료첨가제의 첨가 범위를 넘을 경우에는 역효과가 발생하여 가축의 양육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질경이 분말이 함유된 실시예 2는 실시예 1보다 성장률, 활력증가율 및 질병발생 감소율에 있어서 약간 상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질경이가 소화 촉진의 향상 및 그에 따른 질병의 감소 및 활력을 증가시켜 가축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게 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통해서, 버드나무 분말, 오가피나무 분말, 맥아보리 분말, 무 분말, 현미 분말, 파인애플 분말, 질경이 분말 및 민들레 분말을 각각 제조하였고, 제조된 각 성분의 분말을 표 5와 같이 일례 1~5로 다섯 가지 조건의 비율로 혼합하여 배합사료에 첨가하였다.
구분 | 일례 1 | 일례 2 | 일례 3 | 일례 4 | 일례 5 |
버드나무 분말 | 100 | 100 | 100 | 100 | 100 |
오가피나무 분말 | 30 | 35 | 45 | 50 | 55 |
맥아보리 분말 | 1 | 2 | 2.5 | 3 | 4 |
무 분말 | 1 | 3 | 5 | 7 | 9 |
현미 분말 | 1 | 1.5 | 2 | 2.5 | 3 |
파인애플 분말 | 0.1 | 0.3 | 0.5 | 0.7 | 0.9 |
질경이 분말 | 0.2 | 0.5 | 0.7 | 0.85 | 1.0 |
민들레 분말 | 0.2 | 0.5 | 0.7 | 0.85 | 1.0 |
상기와 같은 조건의 비율로 혼합된 다섯 가지의 가축사료첨가제를 각 가축에 해당되는 배합사료와 혼합하여 중간 수준으로 성장한 소 20마리, 돼지 20마리 및 닭 20마리가 30일 동안 섭취하게 한 후, 그 변화 상태를 비교 관찰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가축사료첨가제가 함유되지 않은 배합사료를 동일 조건에서 별도로 준비된 소, 돼지 및 닭이 섭취하게 한 후도 비교 관찰하였다. 여기서 측정된 값은 각 개체 마다 측정한 후 그에 대한 평균치를 계산하여 제시한 것이다.
구분 | 가축 종류 |
일례 1 | 일례 2 | 일례 3 | 일례 4 | 일례 5 | 비교예 |
성장율 (%) |
소 | 8 | 17 | 23 | 25 | 12 | 5 |
돼지 | 8 | 20 | 28 | 30 | 12 | 5 | |
닭 | 7 | 15 | 20 | 25 | 10 | 3 | |
활력증가율(%) |
소 | 10 | 15 | 25 | 25 | 10 | 5 |
돼지 | 10 | 25 | 25 | 30 | 10 | 10 | |
닭 | 7 | 20 | 25 | 25 | 10 | 5 | |
질병발생감소율(%) |
소 | 7 | 30 | 40 | 40 | 5 | 5 |
돼지 | 5 | 30 | 37 | 40 | 5 | 5 | |
닭 | 5 | 25 | 30 | 35 | 5 | 5 | |
배변의 상태 |
소 | 아주 단단한 변 | 단단한 변 | 단단하고 좋은 변 | 약간 무른 변 |
무른 변 | 약간 무른 변 |
돼지 | 아주 단단한 변 | 단단한 변 | 단단하고 좋은 변 | 약간 무른 변 |
무른 변 | 무른 변 | |
닭 | 아주 단단한 변 | 단단한 변 | 단단하고 좋은 변 | 약간 무른 변 |
무른 변 | 무른 변 | |
배변량 증감율(%) |
소 | 3% 증가 | 7% 증가 | 10% 증가 | 10% 증가 | 25% 증가 | 거의 변동 없음 |
돼지 | 5% 증가 | 8% 증가 | 12% 증가 | 15% 증가 | 25% 증가 | 거의 변동 없음 | |
닭 |
5% 증가 |
7% 증가 |
12% 증가 |
15% 증가 |
20% 증가 |
거의 변동 없음 |
상기의 표 6에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성장율, 활력 증가율, 질병 발생율, 배변의 상태 및 배변량 증감율에 있어서는 일례 2~4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축사료첨가제가 혼합된 배합사료를 소, 돼지 및 닭 등에 섭취하게 하였을 경우가, 상기 가축사료첨가제가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의 배합사료만을 섭취하게 한 다른 가축들보다 모든 조건에서 우수한 상태를 보였다. 특히, 일례 3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축사료첨가제를 구성하는 모든 성분이 적정량으로 함유되어 있을 경우 가장 우수한 상태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료첨가제의 범위 이하인 일례 1과 범위 이상인 일례 5에서는 각 가축들에 있어서 조금의 변화를 보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인 일례 2~4보다는 그 변화가 훨씬 미미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일례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가축사료첨가제의 첨가 범위를 넘을 경우에는 역효과가 발생하여 가축의 양육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질경이 분말 및 민들레 분말이 추가로 함유된 실시예 3은 질경이 분말만 추가로 함유된 실시예 2보다 성장률, 활력증가율 및 질병발생 감소율에 있어서 약간 상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질경이뿐만 아니라 민들레가 소화 촉진의 향상 및 그에 따른 질병의 감소 및 활력을 증가시켜 가축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같이 버드나무 분말, 오가피나무 분말, 맥아보리 분말, 무 분말, 현미 분말 및 파인애플 분말, 또는 추가로 질경이 분말이나 민들레 분말로 이루어진 가축사료첨가제를 적정량으로 혼합하여 배합사료에 첨가한 후, 가축에게 먹였을 경우, 배합사료만을 먹였을 경우보다 성장율, 활력 증가율, 질병 발생율, 배변의 상태 및 배변량 증감율에 있어서 아주 우수함을 보였고, 그를 장기간 가축에게 섭취하게 하였을 경우에는 짧은 시간에 질병 없이 가축을 빠르게 성장시킬 수 있게 하는 일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Claims (8)
- 항균작용을 제공하면서 항생제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소화를 촉진시키는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버드나무를 채취 및 세정하여 열처리로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한 후 열처리하고, 건조기를 통해 45~50℃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11);
오가피나무를 채취 및 세정하여 열처리로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한 후 열처리하고, 건조기를 통해 45~50℃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12);
맥아보리를 채취하여 35~40℃의 물에서 20~30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건져내어서 새싹과 뿌리가 나오도록 발아시키고, 건조기를 이용하여 40~45℃에서 20~30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13);
무를 세척한 후 소정의 크기로 잘게 절단하고, 건조기에서 40~45℃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14);
현미를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15);
파인애플을 소정의 크기로 잘게 절단한 후 건조기를 이용하여 40~45℃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16); 및
버드나무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오가피나무 분말 35~50중량부, 맥아보리 분말 2~3중량부, 무 분말 3~7중량부, 현미 분말 1~3중량부 및 파인애플 분말 0.3~0.7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S1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 항균작용을 제공하면서 항생제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소화를 촉진시키는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버드나무를 채취 및 세정하여 열처리로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한 후 열처리하고, 건조기를 통해 45~50℃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21);
오가피나무를 채취 및 세정하여 열처리로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한 후 열처리하고, 건조기를 통해 45~50℃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22);
맥아보리를 채취하여 35~40℃의 물에서 20~30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건져내어서 새싹과 뿌리가 나오도록 발아시키고, 건조기를 이용하여 40~45℃에서 20~30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23);
무를 세척한 후 소정의 크기로 잘게 절단하고, 건조기에서 40~45℃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24);
현미를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25);
파인애플을 소정의 크기로 잘게 절단한 후 건조기를 이용하여 40~45℃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26);
질경이를 채취하고 세정하여 건조기에서 35~40℃ 온도에서 손으로 뿌리를 부러뜨려 뚝뚝 부러질 때까지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27); 및
버드나무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오가피나무 분말 35~50중량부, 맥아보리 분말 2~3중량부, 무 분말 3~7중량부, 현미 분말 1~3중량부, 파인애플 분말 0.3~0.7중량부 및 질경이 분말 0.5 내지 1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S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 항균작용을 제공하면서 항생제 대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소화를 촉진시키는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버드나무를 채취 및 세정하여 열처리로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한 후 열처리하고, 건조기를 통해 45~50℃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31);
오가피나무를 채취 및 세정하여 열처리로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한 후 열처리하고, 건조기를 통해 45~50℃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32);
맥아보리를 채취하여 35~40℃의 물에서 20~30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건져내어서 새싹과 뿌리가 나오도록 발아시키고, 건조기를 이용하여 40~45℃에서 20~30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33);
무를 세척한 후 소정의 크기로 잘게 절단하고, 건조기에서 40~45℃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34);
현미를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35);
파인애플을 소정의 크기로 잘게 절단한 후 건조기를 이용하여 40~45℃에서 35~45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36);
질경이를 채취하고 세정하여 건조기에서 35~40℃ 온도에서 손으로 뿌리를 부러뜨려 뚝뚝 부러질 때까지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37);
민들레를 채취하고 세정하여 건조기에서 35~40℃ 온도에서 손으로 뿌리를 부러뜨려 뚝뚝 부러질 때까지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S38); 및
버드나무 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오가피나무 분말 35~50중량부, 맥아보리 분말 2~3중량부, 무 분말 3~7중량부, 현미 분말 1~3중량부, 파인애플 분말 0.3~0.7중량부, 질경이 분말 0.5 내지 1중량부 및 민들레 분말 0.5 내지 1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S3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드나무 및 상기 오가피나무의 열처리는, 물을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얻어진 증기로 20~40분 동안 쪄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드나무 및 상기 오가피나무는 익힌 밥과 섞여서 혼합되어 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드나무 분말, 오가피나무 분말, 맥아보리 분말, 무 분말, 현미 분말, 파인애플 분말, 질경이 분말 및 민들레 분말은 50 내지 60 메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맥아보리의 발아는 발아실 내부의 30~40℃에서 1~3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81071A KR20150007102A (ko) | 2013-07-10 | 2013-07-10 |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81071A KR20150007102A (ko) | 2013-07-10 | 2013-07-10 |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7102A true KR20150007102A (ko) | 2015-01-20 |
Family
ID=5257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81071A Abandoned KR20150007102A (ko) | 2013-07-10 | 2013-07-10 |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0710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594200A (zh) * | 2017-10-25 | 2018-01-19 | 柳州科讯科技有限公司 | 一种蛋鸡饲料添加剂 |
-
2013
- 2013-07-10 KR KR20130081071A patent/KR20150007102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594200A (zh) * | 2017-10-25 | 2018-01-19 | 柳州科讯科技有限公司 | 一种蛋鸡饲料添加剂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Nuhu | Effect of Moringa leaf meal (MOLM) on nutrient digestibility, growth, carcass and blood indices of weaner rabbits | |
CN103250872B (zh) | 一种中药混合猪饲料及其制备方法 | |
El-Badawi et al. | Response of growing New Zealand white rabbits to rations supplemented with different levels of Moringa oleifera dry leaves | |
CN103444990A (zh) | 一种促进消化、增强免疫力的肉羊饲料 | |
CN103027205A (zh) | 一种适于杂交野猪生长的饲料 | |
CN103494044A (zh) | 一种育肥期肉鸡专用饲料 | |
CN103519009B (zh) | 一种鸽用保健沙 | |
CN103564219A (zh) | 一种含有中草药添加剂的种公羊饲料 | |
CN102326701A (zh) | 一种草香牛饲料及其制备方法 | |
KR101956516B1 (ko) |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CN104323006A (zh) | 一种奶牛专用饲料、制备方法及饲养方法 | |
CN106719338A (zh) | 一种富硒鹅的养殖方法 | |
KR101963185B1 (ko) | 굼벵이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굼벵이 사육 방법 | |
KR101130911B1 (ko) | 칡성분을 첨가한 사료용 여물의 제조방법 | |
CN107466964A (zh) | 一种生猪的防病养殖方法 | |
KR100873778B1 (ko) | 가축사료첨가제 | |
CN102987066A (zh) | 一种改性花生秸秆猪饲料的制备方法及其制得的猪饲料 | |
CN109315348B (zh) | 一种麻香猪的养殖方法 | |
CN104982720A (zh) | 一种抗病性草鱼专用饲料 | |
KR20150007102A (ko) | 천연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가축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 |
CN102987131A (zh) | 一种改性大豆秸秆猪饲料的制备方法及其制备的猪饲料 | |
CN106070050A (zh) | 一种提高山羊有机铬含量的养殖方法 | |
KR101864840B1 (ko) | 미선나무를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그 사료첨가제를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 |
CN106798110A (zh) | 波尔山羊育肥羊全价饲料及其制备方法 | |
CN106798111A (zh) | 波尔山羊哺乳母羊全价饲料及其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