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136A - A web member for impro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node connecting of composite truss girder - Google Patents
A web member for impro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node connecting of composite truss gir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4136A KR20150004136A KR1020130077217A KR20130077217A KR20150004136A KR 20150004136 A KR20150004136 A KR 20150004136A KR 1020130077217 A KR1020130077217 A KR 1020130077217A KR 20130077217 A KR20130077217 A KR 20130077217A KR 20150004136 A KR20150004136 A KR 201500041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gusset plate
- plate
- gusset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2918 Fraxinus excelsior Nutrition 0.000 claims 2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claims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현재지와 하현재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상현재 및 하현재를 트러스 구조로 구성하기 위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에 사용되는 복부재를 상현재와 하현재를 연결하기 위한 원형 강관과 원형 강관에 일측이 삽입되며 하부에 거세트 고정판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거세트판의 타측을 상현재 또는 하현재에 매립함으로써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복부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dominal material for improving the connecting structure of a point of intersection of a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for constructing a truss structure comprising upper and lower currents, The other side of the gusset plate which is inserted into the round steel pipe and the round steel pipe to connec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bdominal material used in the point-to-point connection structure, So as to improve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pointed portions of the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현재와 하현재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상현재 및 하현재를 트러스 구조로 구성하기 위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에 사용되는 복부재를 상현재와 하현재를 연결하기 위한 원형 강관과 원형 강관에 일측이 삽입되며 하부에 강봉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거세트판의 타측을 상현재 또는 하현재에 매립함으로써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복부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dominal member for improving a point-to-point connection structure of a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for constructing a truss structure, The other side of the gusset plate, which is formed with a round steel pipe and a round steel pipe to which one end is inserted and a steel bar hole is formed at the lower side, Thereby improving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pointed portions of the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복합트러스 거더교는 기존의 강박스 거더교와 PSC 박스 거더교를 대체하기 위하여 개발된 교량으로써, 현장조건에 따라 다양한 가설공법의 적용이 가능하고 선형 적용성이 뛰어나며 복부를 강관으로 사용함으로써 거더 자중이 감소되어 장경간 교량 가설이 가능한 형식의 교량이다. 구조적 특징으로는 기존 층복단면인 합성거더의 복부를 축력을 받는 사재로 치환함으로써 합성거더의 복부높이 증가에 따른 자중 증가와 전단력에 대한 잉여 단면이 증가하는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여 장경간 교량에 대한 적용성을 개선시킨 강과 콘크리트 합성거더 구조이다.The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is a bridge developed to replace existing steel box girder bridges and PSC box girder bridges.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according to site conditions and is excellent in linear applicability. By using the abdomen as a steel pipe, It is a type of bridge capable of long-span bridge construction. As a structural feature, it is effective to cope with the increase of the self weight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abdominal height of the synthetic girder and the increase of the surplus section for the shear force by replacing the abdomen of the synthetic girder, It is a steel and concrete composite girder structure with improved applicability.
이러한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복부재는 거더의 자중, 상재의 하중 그리고 차량의 하중과 같은 이동 하중으로 인해 생기는 중력 방향의 연직력을 격점부 구간에서 축력으로 변환시켜 교량받침으로 전달시키는 구조적 역할을 한다. 이동하중으로 인해 복부재에 생기는 축력의 크기는 교량 전 구간에 걸쳐 거의 일정한 크기를 나타내지만, 거더의 자중 그리고 연석과 포장 등의 상재 하중으로 인해 복부재에 생기는 축력의 크기는 교량을 지지하는 받침에 가까워질수록 커진다.This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s play a structural role in converting the vertical force in the direction of gravity caused by the moving load such as the weight of the girder, the load of the supra material and the load of the vehicle into the axial force in the point section and transferring it to the bridge support. The magnitude of the axial force generated in the abdominal material due to the moving load is almost constant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bridge, but the magnitude of the axial force generated in the abdomen due to the weight of the girder and the overburden, .
이러한 이유로 인해,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복부재를 구성하는 강관의 제원, 즉 강관의 외경과 두께를 교량 경간에 걸쳐 3~5가지 종류로 달리하여 설계 및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복합트러스 거더교를 구성하고 있는 상현재와 하현재는 격점부를 통해 복부재와 서로 결합 된다. 현재(상현재 및 하현재)가 모두 콘크리트이고, 복부재만 강재로 구성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에서는 복부재를 콘크리트 현재 속에 직접 매입시키는 강결의 격점구조가 주로 사용된다.For this reason, it is common to design and construct the steel pipe constituting the abdomen material of the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that is, the outer diameter and the thickness of the steel pipe are varied by 3 to 5 kinds over the bridge span.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s are combined with the abdominal members through the junctions. In the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s, where the current (upper and lower) currents are all concrete, and the abdominal solidified steel is used, the junction structure of the bridges is used which directly embeds the abdomen material into the concrete current.
도 1은 복합트러스 거더교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2는 복합트러스 거더교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트러스 거더를 이용한 교량에 사용되는 복합트러스 거더(10)는 상현재(11)와 하현재(12) 사이의 복부가 강재로 이루어진 복부재(13)의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복합트러스 거더에 구성되는 복부재(13)는 상현재(11) 또는 하현재(12)가 결합되는 격점부에서의 연결구조를 어떻게 구성하는지가 매우 중요할 수 있다.FIG. 1 is a reference view for showing a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and FIG. 2 is a view for showing a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2, a
즉, 종래의 복부재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이루는 강관과 거세트판은 서로 용접 또는 볼트, 너트 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현재 또는 하현재와 결합되기 위한 복부재는 상현재 또는 하현재의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거세트판과 강관을 결합하기 위해 도 3 (a)와 같이 고장력 볼트로 상호 결합을 수행하는 방식과 더불어, 도 3 (b)와 같이 용접에 의해 거세트판과 강관을 결합하기도 한다.That is, the steel pipe and the gusset plate constituting the poin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abdomen material are generally joined to each other through welding, bolt and nut connection. 3 is an embodiment for showing a point connection structure of a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3, the abdominal material to be combined with the upper or lower current is interlocked with the high tension bolt as shown in FIG. 3 (a)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welding, the welded plate and the steel pipe are joined by welding as shown in Fig. 3 (b).
한편, 도 4a는 종래기술에 따른 격점부 연결구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부재(100)는 강관(110)과 거세트판(1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거세트판(120)의 상부는 강관(110) 내부에 삽입되며, 거세트판(120)의 하부는 대응하는 제2 거세트판(120)과 결합된다.4A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point-to-point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he
이때, 거세트판(120)의 상부에는 원형의 내부보강판(140)이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된다. 원형의 내부보강판(140)은 강관(1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강관(110)의 내부 직경과 같거나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At this time, a circular
또한, 거세트판(120)의 중단에는 원형의 외부보강판(150)이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된다. 원형의 외부보강판(150)은 강관(110)에 삽입된 거세트판(120)을 고정하기 위해 강관(110)의 외부 직경보다 같거나 큰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강관(110)에 삽입된 거세트판(120)은 외부보강판(150)에 의해 강관(110)의 내부에 일정한 깊이로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 circular
거세트판(120)의 하부에는 하나의 관통홀(130)이 형성되며, 관통홀(130)은 인접한 거세트판(120)의 관통홀(130)과 일치하도록 형성하여 볼트(160) 등으로 결합되거나, 상현재 또는 하현재의 콘크리트(180) 내부의 철근(170)과 결합된다.One through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격점부 연결구조에 따른 복부재(100)는 강관(110)과 거세트판(120)을 결합할 때, 현장에서 용접 등의 작업을 통해 상호 결합을 수행하며, 특히 복부재의 인장 및 압축력을 강관(110)과 외부보강판(150)이 부담하기 때문에 강관(110)과 외부보강판(150)을 결합하는 용접이 불량한 경우에 격점부 연결구조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도 4b는 종래기술에 따른 격점부 연결구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06-015698호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부재(200)는 강관(210)의 끝단에 길이 방향으로 상호 대응하는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거세트판(220)은 직사각형 형태로 짧은 변의 길이가 강관(210)의 지름보다 길도록 형성하여 짧은 변을 강관(210)의 절단부에 삽입하여 결합한다.FIG. 4B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point-to-point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ich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6-015698. 4B, the
한편, 거세트판(220)의 일측은 강관(210)의 절단부에 삽입되며, 거세트판(220)의 타측은 상현재 또는 하현재의 콘크리트(280)에 매설되는 보강판(230)에 결합된다. 이때, 거세트판(220)의 타측의 끝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하나의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어, 길이 방향의 절단부가 보강판(230)에 삽입되어 결합함으로써, 복부재의 결합이 완성된다.One side of the
이때, 완성된 복부재(200)는 상호 구성부 간에 견고한 결합을 위해 강관(210)과 강관(210)에 삽입된 거세트판(220)을 용접을 이용하여 고정하며, 보강판(230)과 보강판(230)에 삽입된 거세트판(220)을 용접을 이용하여 고정한다.At this time, the finished
복부재(200)는 보강판(230) 또는 거세트판(220)의 일부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231)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홀(231)은 상현재 또는 하현재의 콘크리트(280)에 포함된 철근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At least one through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격점부 연결구조에 따른 복부재(200)는 강관(210)과 거세트판(220)을 결합할 때, 현장에서 용접 등의 작업을 통해 상호 결합을 수행하며, 특히 복부재의 인장 및 압축력을 강관(210)의 절단부와 절단부에 삽입된 거세트판(220)이 부담하고, 보강판(230)과 보강판(230)에 결합된 거세트판(220)의 절단부가 부담하기 때문에 강관(210), 거세트판(220) 및 보강판(150)을 상호 결합하는 용접이 불량한 경우에 격점부 연결구조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e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복부재를 구성하는 강관에 삽입되는 거세트판을 열 십(十)자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강관에 결합된 거세트판이 상현재 또는 하현재의 하중 등으로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복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usset plate inserted into a steel pipe constituting the abdomen material is formed in a ten-sided shap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bdomen material for preventing warping due to a load under load.
또한, 본 발명은 연결판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홀에 철근을 삽입하여 상현재 및 하현재의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복부재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urther reinforce the connection of the abdominal member embedded in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by inserting a reinforcing bar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late.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현재와 하현재를 연결하기 위한 복부재에 있어서, 양단부에 소정 길이의 제1 절취부가 대칭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취부와 이격되어 1개 또는 한 쌍의 제2 절취부가 대칭되어 형성된 원형의 강관, 상단부와 하단부가 소정 각도로 구부러지며, 상기 상단부의 너비가 상기 강관의 지름과 같거나 큰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제2 절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1개 또는 한 쌍의 거세트판, 상기 거세트판과 열 십(十)자 형태로 결합되고, 너비가 상기 강관의 지름과 같거나 큰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절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판, 결합된 상기 제1 절취부 및 제2 절취부와 상기 거세트판이 맞닿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복부재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제1 절취부 및 제2 절취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강관의 외벽에 구비되는 강관 보강부재 및 상기 연결판과 상기 거세트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강관 내부지름과 같거나 작은 크기의 지름을 가진 원형의 거세트 보강부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강관에 삽입된 한 쌍의 거세트판과 상기 이웃하는 강관에 삽입된 하나의 거세트판은 상기 거세트판의 하단에 위치한 강봉홀에 삽입되는 강봉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된다.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n abdominal member for connecting an upper and a lower end of a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wherein a first cutout port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symmetrically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utout portion, And a second cut portion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second cutout portion, wherein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ar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width of the upper end portion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eel pipe, And a connecting plate which is connected to the gusset plate in a ten-sided shape and has a width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eel pipe and inserted into the first cut- The first cut-out portion and the second cut-out portion ar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y abut the gusset plate to prevent the first cut-out portion and the second cut-out portion from being deformed by the load applied to the abdomen And a circular gusset reinforcing membe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late and the gusset plate and having a diameter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teel pipe, A pair of gusset plates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and one gusset plate inserted into the neighboring steel pipe are achieved by being fixedly coupled by a steel bar inserted into a steel bar hole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gusset plate.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복부재를 구성하는 강관에 삽입되는 거세트판을 열 십(十)자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강관에 결합된 거세트판이 상현재 또는 하현재의 하중 등으로 인해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usset plate inserted into a steel pipe constituting the abdomen material is formed in a ten-sided sha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warping due to the load at the time of lowering.
또한, 본 발명은 거세트판의 하부에 형성된 거세트판 체결홀과 인접한 거세트판의 거세트판 체결홀을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 고장력 볼트로 결합하고, 거세트판에 추가로 형성한 강봉홀에 강봉을 삽입하도록 구성하여 상현재 및 하현재의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복부재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gusset plate fastening hole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sset plate and the gusset plate fastening holes of the adjacent gusset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high tension bolts, It is possible to further strengthen the coupling of the abdomen material buried in the concrete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도 1은 복합트러스 거더교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복합트러스 거더교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실시예,
도 4a는 종래기술에 따른 격점부 연결구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4b는 종래기술에 따른 격점부 연결구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트러스 거더교에 사용되는 복부재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트러스 거더교에 사용되는 복부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재의 결합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재의 결합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부재가 결합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재가 결합된 측면도이다.1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for showing a point-to-point connection structure of a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4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oint-to-point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G. 4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oint-to-point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bdomen material used in a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abdomen material used in the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binding of the abdome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binding of the abdome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of the abdom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of the abdom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트러스 거더교에 사용되는 복부재를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트러스 거더교에 사용되는 복부재의 제단면도이다. FIG. 5 is a view for showing the abdomen material used in the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abdominal material used for the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부재(300)는 양단부에 소정 길이의 제1 절취부(360)가 대칭되어 형성되며, 제1 절취부(360)와 이격되어 1개 또는 한 쌍의 제2 절취부(370)가 대칭되어 형성된 원형의 강관(310)과 상단부와 하단부가 소정 각도로 구부러지며, 상단부의 너비가 강관(310)의 지름과 같거나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제2 절취부(37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1개 또는 한 쌍의 거세트판(320), 거세트판(320)과 열 십(十)자 형태로 결합되고, 너비가 강관(310)의 지름과 같거나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제1 절취부(36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판(325) 그리고 연결판(325)과 거세트판(320)의 상부에 결합되고, 강관(310) 내부지름과 같거나 작은 크기의 지름을 가진 원형의 거세트 보강부재(330) 및 결합된 상기 제1 절취부(360) 및 상기 제2 절취부(370)와 상기 거세트판(320)이 맞닿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복부재(300)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제1 절취부(360) 및 상기 제2 절취부(37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강관(310)의 외벽에 구비되는 강관 보강부재(3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5 and 6, the
그리고 거세트판(320)의 하단부에는 거세트판(320)의 하단부에는 거세트판(320)과 인접한 거세트판(320)을 서로 결합하여 복부재가 고정될 수 있도록 강봉(340)을 삽입하기 위한 강봉홀(324)이 구비되어 있다.At the lower end of the
또한, 거세트판(320)의 하단부에는 복부재(300)가 상현재 또는 하현재에 매설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철근을 삽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철근홀(327)이 형성되어 있다. At the lower end of the
또한, 거세트판(320)이 이웃한 거세트판(320)과 결합시 철근홀(327)과 거세트판 관통홀(321)은 이웃한 거세트판(320)의 철근홀(327) 및 거세트판 관통홀(321)과 겹쳐지지 않으며, 강봉홀(324)만 이웃한 거세트판(320)의 강봉홀(324)과 겹쳐지게 된다.When the
또한, 거세트판(320)은 소정 각도로 구부러진 상단부의 양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연결판(325)을 포함하며, 연결판(325)은 거세트판(320)의 앞, 뒤의 양면에 직각으로 세워지도록 형성되며, 강관(310)에 형성된 제1 절취부(36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강관(310)에 삽입되는 연결판(325) 상부의 폭은 강관(310)의 외측 지름보다 크거나 같으며,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모양을 가지게 된다. The
그리고, 강관(310)에 삽입되는 거세트판(320)은 연결판(325)과 열십자로 형태로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있어,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상현재와 하현재에 복부재(300)가 결합될 때 발생하는 압력 및 인장력에 의해 거세트판(320)의 뒤틀림과 강봉(340)에 발생하는 하중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The
또한, 연결판(325)의 하단에는 철근이나 강봉(340) 등을 삽입할 수 있는 연결판 관통홀(326)과 철근홀(327)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어, 강관(310)과 결합한 거세트판(320)을 콘크리트 매립시 상현재 또는 하현재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One or more connecting plate through
그리고, 강관(310)과 이웃하는 인접강관(310)의 결합은 강관(310)에 삽입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거세트판(320)과 이웃하는 인접강관(310)에 삽입되어 결합된 하나의 거세트판(320)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이웃하는 인접강관(310)에 삽입되어 있는 하나의 거세트판(320)이 강관(310)에 삽입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거세트판(320)의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하게 되고, 거세트판(320)의 하단에 위치한 강봉홀(32)에 강봉(340)을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 The joint between the
이때, 강관(310)은 도 5의 좌측 강관을 지칭하며, 이웃하는 인접강관(310)은 도 5의 우측 강관을 지칭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열 십(十)자 형태로 결합된 연결판(325)과 거세트판(320)의 상부에는 강관(310) 내부지름과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의 지름을 가진 원형의 거세트 보강부재(330)이 결합되어, 콘크리트(390) 타설시 콘크리트(390)가 강관(310)의 중앙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게 된다.A circular giant se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재의 결합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재의 결합을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부재(300)는 강관(310)과 연결판(325)이 열십자 형태로 결합된 거세트판(320)을 체결하여 이루어진다. FIG. 7 is a front view for showing the coupling of the abdom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ide view for showing the coupling of the abdom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강관(310)의 일단부에는 하나의 절취홈이 대칭으로 이루어진 제1 절취부(360)와 제1 절취부(360)와 90도 각도를 가지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나 또는 두개의 절취홈이 대칭을 이루는 제2 절취부(370)가 형성된다. 그리고 강관(310)의 타단부에는 일단부와 대칭을 이뤄 제1 절취부(360)와 제2 절취부(370)가 형성된다.One end of the
따라서, 강관(310)의 양단부에는 90도 각도로 절취부가 형성되고, 제1 절취부(360), 제2 절취부(370), 제1 절취부(360) 및 제2 절취부(370) 순으로 각각 대응하는 절취부가 마주보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cutout por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또한, 제1 절취부(360)와 제2 절취부(370)가 형성되어 있는 강관(310)에는 연결판(325)과 열십자로 결합되어 있는 거세트판(320)이 삽입되어 결합하게 된다. The
제1 절취부(360)에는 연결판(325)이 끼워져 결합되고, 제2 절취부(370)에는 거세트판(320)이 끼워져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판(325)과 거세트판(320)은 제1 절취부(360) 및 제2 절취부(370)에 끼워져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강관(310)과 결합하게 된다. The
그리고, 거세트판(320)의 하단에는 이웃하는 강관(310)의 거세트판(320)을 결합하기 위한 거세트판 체결홀(323)과 강봉홀(324)이 뚫려 있고, 연결판(325)의 하단부 폭은 강관(310)의 외부 지름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어 연결판(325)이 강관(310) 내부로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한다. 또한, 연결판(325)의 하단에는 철근 또는 강봉(340) 등이 삽입될 수 있는 연결판 관통홀(326)과 철근홀(327)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복부재(300)가 상현재와 하현재에 연결 될 때, 연결판 관통홀(326)과 철근홀(327)에 강봉, 철근 등을 삽입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결합을 견고이 하게 된다.A gusset plate fastening hole 323 and a
그리고, 열십자로 결합된 연결판(325)과 거세트판(320)의 상부에는 강관(310)의 내부지름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원형의 거세트 보강부재(330)이 결합되며, 거세트 보강부재(330)은 연결판(325)과 거세트판(3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며,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강관(310)의 중앙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게 된다.A circular gigantic
강관 보강부재(311)은 강관(310)에 형성된 제1 절취부(360) 및 제2 절취부(370)의 외측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며, 거세트판(320)의 상단부가 제2 절취부(370)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결판(325)의 상단부가 제1 절취부(360)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절취부(360) 및 제2 절취부(370)의 절취된 끝단을 가릴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절취부(360)에 삽입되는 연결판(325)은 제1 절취부(360)의 끝단과 맞닿지 않으며, 강관 보강부재(311)과 맞닿게 되고, 제2 절취부(370)에 삽입되는 거세트판(320)은 제2 절취부(370)의 끝단과 맞닿지 않고, 강관 보강부재(311)에 맞닿게 된다.The steel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부재가 결합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재가 결합된 측면도이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310)과 이웃한 위치에 있는 강관(310)은 'V'자 형태로 결합하게 되고, 강관(310)의 결합은 이웃한 강관(310)에 삽입된 하나의 거세트판(320)이 강관(310)에 삽입되어 있는 한 쌍의 거세트판(320)의 틈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고, 거세트판 체결홀(323)을 체결부재(341)를 이용하여 결합하고 고정시키게 된다.FIG. 9 is a front view of the abdom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abdom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그리고, 복부재(300)가 상현재 및 하현재와 결합하여 콘크리트(390) 타설시 강관(310)의 끝단에 위치한 철근홀(327) 상단부까지 콘크리트(390)에 매설되게 되고, 강관(310)에 삽입되는 거세트판(320)도 콘크리트(390)에 매설되게 된다. The
또한, 거세트판(320)의 하단에 위치한 강봉홀(324)에는 강봉(340)이 끼워지고, 거세트판 관통홀(321)과 철근홀(327)에는 강봉 또는 철근이 끼워져 콘크리트(390)에 매설되어 복부재(300)가 상현재 또는 하현재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A
그리고, 연결판(325)의 하단에 위치한 연결판 관통홀(326)과 철근홀(327)에는 강봉 또는 철근이 끼워져 콘크리트(390)에 매설되어 복부재(300)가 상현재 또는 하현재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A steel rod or a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 the connecting plate through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10 : 복합트러스 거더교 11 : 상현재
12 : 하현재 13 : 복부재
100, 200, 300 : 복부재 110, 210, 310 : 강관
120, 220, 320 : 거세트판 130, 324 : 강봉홀
140, 330 : 거세트 보강부재 150 : 외부 보강판
160 : 볼트 170 : 철근
180, 280, 390 : 콘크리트 230 : 보강판
231, 321 : 거세트판 관통홀 311 : 강관 보강부재
323 : 거세트판 체결홀 325 : 연결판
326 : 연결판 관통홀 327 : 철근홀
340 : 강봉 341 : 체결부재
360 : 제1 절취부 370 : 제2 절취부10: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11: Phase current
12: Lower current 13: Abdomen material
100, 200, 300:
120, 220, 320:
140, 330: Gage set reinforcement member 150: External reinforcement plate
160: bolt 170: reinforcing bar
180, 280, 390: concrete 230: reinforcing plate
231, 321: Through-plate through hole 311: Steel pipe reinforcing member
323: gusset plate fastening hole 325: connecting plate
326: connecting plate through hole 327: reinforcing hole
340: steel rod 341: fastening member
360: first cut portion 370: second cut portion
Claims (8)
양단부에 소정 길이의 제1 절취부가 대칭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취부와 이격되어 1개 또는 한 쌍의 제2 절취부가 대칭되어 형성된 원형의 강관;
상단부와 하단부가 소정 각도로 구부러지며, 상기 상단부의 너비가 상기 강관의 지름과 같거나 큰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제2 절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1개 또는 한 쌍의 거세트판;
상기 거세트판과 열 십(十)자 형태로 결합되고, 너비가 상기 강관의 지름과 같거나 큰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절취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과 상기 거세트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강관 내부지름과 같거나 작은 크기의 지름을 가진 원형의 거세트 보강부재; 및
결합된 상기 제1 절취부 및 상기 제2 절취부와 상기 거세트판이 맞닿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복부재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제1 절취부 및 상기 제2 절취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강관의 외벽에 구비되는 강관 보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거세트판의 하단부에는 상기 복부재가 상기 상현재 또는 상기 하현재에 매설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철근 또는 강봉을 삽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철근홀과 하나 이상의 거세트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세트판이 이웃한 거세트판과 결합시 상기 철근홀과 상기 거세트판 관통홀은 이웃한 거세트판의 철근홀 및 거세트판 관통홀과 겹쳐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
In the abdomen material for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mposite truss girder bridge,
A circular steel pipe formed symmetrically at a first end of a predetermined length at both ends thereof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utout to symmetrically form one or a pair of second cutouts;
One or a pair of gusset plates bent at an angle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the width of the upper end being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eel pipe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cut-out portion,
A coupling plate coupled to the gusset plate in a ten-sided shape and having a width equal to or greater than a diameter of the steel pipe and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first cutout;
A circular giant set reinforcement member coupled to the connection plat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gutter plate and having a diameter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teel pipe; And
The first cut portion and the second cut portion ar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cut portion and the second cut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the first cut portion and the second cut portion from being deformed by the load applied to the abdomen, A steel pipe reinforcing member provided on an outer wall of a steel pipe
At least one reinforcement hole for inserting a reinforcing bar or a steel bar and at least one gusset plate through hole ar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gusset plate so that the abdomen material can be embedded and fixed at the current or lower end Wherein when the gusset plate is coupled to a neighboring gusset plate, the reinforcing hole and the gusset plate through-hole are not overlapped with the reinforcing hole and the gusset plate through-hole of the adjacent gusset plate. Abdominal material for improving the girth connecting structure of girders.
상기 거세트판의 하단부에는 상기 복부재가 상기 상현재 또는 상기 하현재에 매설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강봉을 삽입하기 위한 강봉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inforcing bar hole for inserting a steel bar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gusset plate so that the abdomen material can be embedded and fixed at the current or lower end of the gusset plate. For abdominal ashes.
상기 연결판의 하단부에는 상기 복부재가 상기 상현재 또는 상기 하현재에 매설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철근 또는 강봉을 삽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철근홀과 하나 이상의 연결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r more reinforcing bars for inserting reinforcing bars or steel bars and at least one connecting plate through-hole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late so that the abdomen material can be embedded and fixed in the upper or lower current state. Abdominal member for improving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pointed portion of the truss girder bridge.
상기 강관의 양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2 절취부는 일단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나의 쌍으로 이루어지며, 타단은 하나로 이루어지되, 인접한 인접강관은 역으로 구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ut-out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teel pipe are one pair of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other ends are formed as one, and adjacent steel pipes adjacent to each other are reversed. Abdominal material for improving the point connection structure.
상기 강관과 상기 강관에 인접한 상기 인접강관은 각각의 양단부가 거세트판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강관의 일단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거세트판이 삽입되며, 상기 인접한 인접강관의 일단은 하나의 거세트판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el pipe and the adjacent steel pipe adjacent to the steel pi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both ends by a gusset plate and a pair of gusset plates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teel pipe,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truss girder bridge.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거세트판은 상기 강관에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2 절취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나의 거세트판은 상기 인접한 인접강관에 하나로 형성된 제2 절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air of gusset plates are coupled to the second cutouts formed in the pair of steel pipes, and the one gusset plate is coupled to the second cutouts formed in the adjacent adjacent steel pipes. Abdominal member for improving the connecting structure of the pointed portion of the truss girder bridge.
상기 인접한 인접강관의 일단에 삽입된 하나의 상기 거세트판은 상기 강관의 일단에 한 쌍으로 이루어져 삽입된 상기 거세트판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
6. The method of claim 5,
And one of the gusset plate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adjacent adjacent steel pipes is inserted and coupled between the gusset plates inserted into one pair of the ends of the steel pipe. Abdominal ashes to make.
상기 거세트판은 상기 상단부가 상기 강관에 삽입되며, 상기 하단부는 상기 상현재 또는 상기 하현재의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sset plate is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gusset plate, and the lower end portion is embedded in the concrete at the upper end or lower end of the girder bridg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7217A KR101513598B1 (en) | 2013-07-02 | 2013-07-02 | A web member for impro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node connecting of composite truss gir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7217A KR101513598B1 (en) | 2013-07-02 | 2013-07-02 | A web member for impro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node connecting of composite truss gir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4136A true KR20150004136A (en) | 2015-01-12 |
KR101513598B1 KR101513598B1 (en) | 2015-04-20 |
Family
ID=5247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7217A Active KR101513598B1 (en) | 2013-07-02 | 2013-07-02 | A web member for impro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node connecting of composite truss gir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3598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835933A (en) * | 2016-12-21 | 2017-06-13 | 广州大学 | A kind of CFST Arch Bridge column is constructed with arch rib nodes |
KR102137126B1 (en) | 2019-11-22 | 2020-07-23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aluminium truss bridge |
CN112482189A (en) * | 2020-12-02 | 2021-03-12 | 四川交通职业技术学院 | Web member structure and bridge that steel pipe concrete truss-like owner encircle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45994B2 (en) | 2003-04-02 | 2008-02-13 | 鹿島建設株式会社 | Steel and concrete joint structure |
KR101211691B1 (en) | 2011-03-07 | 2012-12-12 |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 Hybrd-structure beam using gusset connection plate |
-
2013
- 2013-07-02 KR KR1020130077217A patent/KR101513598B1/en active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835933A (en) * | 2016-12-21 | 2017-06-13 | 广州大学 | A kind of CFST Arch Bridge column is constructed with arch rib nodes |
CN106835933B (en) * | 2016-12-21 | 2019-05-03 | 广州大学 | A CFST arch bridge column and arch rib joint structure |
KR102137126B1 (en) | 2019-11-22 | 2020-07-23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aluminium truss bridge |
CN112482189A (en) * | 2020-12-02 | 2021-03-12 | 四川交通职业技术学院 | Web member structure and bridge that steel pipe concrete truss-like owner encirc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13598B1 (en) | 2015-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8587B1 (en) | A web member for impro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node connecting of composite truss girder | |
KR101476290B1 (en) | Steel composite PSC corrugated steel plate U girder | |
KR101178381B1 (en) | Steel-concrete hybrid column using square shaped steel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1440434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Composite Type Rahmen Bridge | |
KR101228012B1 (en) | Precast concrete column connecting structure | |
CN102828559A (en) | Node for combination beam and 45-degree arranged cross steel reinforced concrete column | |
KR101513598B1 (en) | A web member for impro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node connecting of composite truss girder | |
JP7070890B2 (en) | Joint structure | |
KR101637451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Hollow Precast Concret-encased Steel Column and Dry-splicing Methods for the Same | |
KR101513595B1 (en) | A web member for impro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node connecting of composite truss girder | |
CN104563304A (en) | Joint for connecting buckling-restrained brace, concrete beam and concrete column | |
KR101577327B1 (en) | Hybrid composite girder | |
KR101520033B1 (en) | PSC composite truss girder | |
KR101795607B1 (en) | Negative moment part steel box gird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CN107447873B (en) | Device for connecting prefabricated laminated connecting beam and prefabricated shear wall and installation method | |
KR20080093261A (en) | Steel composite bridge construction method | |
KR200469319Y1 (en) | Construction structure for joining steel or reinforced steel concrete column and beam with reinforcing end part | |
KR101942567B1 (en) | Rigid joint structures using end face of beam as mold support and,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 same | |
KR101590065B1 (en) | Prefabricated composite truss gird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 |
JP6978901B2 (en) | Joining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beam members | |
JP2006183286A (en) | Connection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for corrugated steel web u-shaped component bridge | |
KR101583401B1 (en) | The continuous hybrid girder consist of concrete block and steel block which is can add prestress by gap difference between top and bottom of connection face of blocks | |
CN107060069B (en) | Assembled steel pipe concrete truss building system | |
KR101878762B1 (en) | Coupling structure of double type for girder and column capable of reducing girder height | |
JP2016035178A (en) | Beam connection panel, column reinforcement connection panel, and reinforcement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