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676U - dish drying rack - Google Patents
dish drying ra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2676U KR20150002676U KR2020130010902U KR20130010902U KR20150002676U KR 20150002676 U KR20150002676 U KR 20150002676U KR 2020130010902 U KR2020130010902 U KR 2020130010902U KR 20130010902 U KR20130010902 U KR 20130010902U KR 20150002676 U KR20150002676 U KR 2015000267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bleware
- water
- pedestal
- dishwasher
- drain ho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한 식기를 올려놓아 건조하는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식기건조대는, 식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식기거치대 및 식기거치대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의 안착면에는 완만한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의 하단에 배수홀이 구비되어, 세척된 식기의 물기가 식기거치대를 통과하여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배수홀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식기건조대를 통하여 식기건조대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물을 식기가 건조되는 곳과 독립된 장소에 저장하고, 물이 저장된 용기를 식기건조기로부터 안정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이며 편리한 식기건조대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hwasher which dries a dishwasher by drying the dishwasher. The dish rack includes a table support for supporting the tableware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table support. The support surface has a gentle slope and a drain hole at the bottom of the slope, And the water of the washed tableware is passed through the tableware stand and drained to the drain hole along the inclined surfa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ygienic and convenient tableware dryer by storing the water falling down from the tableware drying table through the tableware drying table in a place independent of the place where the tableware is to be dried and stably removing the container in which the water is stored from the dish dryer have.
Description
본 고안은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한 식기를 올려놓고 건조하는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ware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bleware dryer for loading and drying a washed tableware.
식기건조대는 접시, 컵, 주발과 같은 식기를 세척한 후 이들을 거치시켜서 수분이 자연건조되도록 하는 주방설비의 일종이다.The dishwasher is a kind of kitchen equipment that cleans dishes such as dishes, cups and spoon, and then mounts them to make the water naturally dry.
식기가 세척된 후 바로 식기건조대에 거치되면 세척시 식기에 남아 있던 물기가 식기건조대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종래, 물기를 받아 저장하는 물받이용기가 구비되지 않은 식기 건조대(실용신안 등록출원 제2003-0003824호)의 경우, 식기건조대를 싱크대의 개수구에 위치하여야 하는 제약이 있다.If the dishwasher is mounted on the dishwasher immediately after it is cleaned, the water remaining in the dishwasher is dropped below the dishwasher. 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a table dryer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03-0003824) not provided with a water container for storing water, there is a restriction that the table dryer should be placed in a sink of a sink.
물받이용기가 구비된 식기 건조대(실용신안 등록출원 제2005-0037028호)의 경우 개수구에 위치할 필요가 없어 위치상의 제약을 극복하였다. 그러나, 물받이용기에 고인 물을 버리지 않을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균이 증식되는 등 오염되기 쉽고, 물받이용기가 식기건조대 하단 가까이에 위치하므로 물받이에 고인 물에 그릇이나 접시의 끝부분이 접촉될 가능성이 있어 오염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또, 넓고 평평한 물받이의 특성상, 물받이용기를 분리할 때나 물을 버릴 때 조금만 기울여도 물이 쏟아지는 등의 불편함이 있으며, 물받이 용기의 물과 식기에 젖어 있는 물이 동일한 공간에서 경쟁적으로 증발하므로 식기의 건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a tableware hood equipped with a water container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05-0037028), it is not necessary to be located in the water cistern, thereby overcoming the restriction on the position. However, if the water is not discarded in the water container, it is likely to be contaminated with bacteria growing over time. Since the water container is located near the bottom of the dish dryer, the possibility of touching the end of the bowl or the dish Which is exposed to the risk of pollution.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de, flat water receptacle, there is inconvenience that water is poured even when it is tilted a little when the water receptacle is separated or when water is drained, and the water in the water receptacle container and the water wet in the tableware are competitively evaporated in the same sp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ink is low.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척된 식기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고, 물받이용기에 고인물로 인해 식기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며,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drying efficiency of a washed dishware, to prevent the dishware from being contaminated due to high-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hwasher hanger.
본 고안 식기건조대는 세척된 식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대를 구비하되, 받침대의 상부 안착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의 하단에는 배수홀이 형성되어, 거치된 식기에서 떨어진 물기가 경사면을 따라 배수홀로 배수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drying stand having a base on which a washed dishware can be placed, a slope surface is formed on an upper seating surface of the dishwasher, a drain hole is formed on a lower end of the slope surface, It is drained alone.
본 고안 식기건조대는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며 식기를 올려 넣을 수 있는 식기거치대를 더 포함한다.The inventive dishwasher hood is supported by a pedestal and further includes a table holder for loading the dishwasher.
본 고안 식기건조대는 배수홀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받기 위한 물받이용기가 받침대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receptacle for receiving water drained through a drain hole is slid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a pedestal.
본 고안 식기건조대의 수납서랍은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서랍으로서, 받침대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torage drawer of the inventive dish dryer cradle is a drawer capable of accommodating kitchen utensils a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radle.
본 고안 식기건조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식기의 물이 1차적으로 떨어지는 받침대의 안착면에 경사면과 배수홀이 형성되어 마른상태로 유지되므로 식기의 건조효율이 높아진다.First, since the slope and the drain hole are formed on the seating surface of the pedestal where the water of the tableware primarily falls,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tableware is improved because it is maintained in a dry state.
둘째, 물받이용기가 받침대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식기건조대의 이동시 물받이용기의 물이 흘러 넘칠 염려가 없어 세척시 개수구 옆에서 사용하다가 세척이 끝나 이동하는 경우에도 물이 흘러 넘칠 염려 없이 이동 가능하다.Secondly, since the water container is stably attached to the base and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water in the water container is flooded when the dish dryer is moved, the water container can be moved next to the water port when washing. Do.
세째, 물받이용기가 받침대 하부에 위치하여 식기가 건조되는 받침대의 상부와 떨어진 공간에 존재하므로, 물받이의 물이 식기에 접촉할 가능성이 차단되어 배수된 물에 의한 식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식기를 관리할 수 있다.Third, since the water container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pedestal and is located in a space away from the upper part of the pedestal where the tableware is dried, the possibility of the water in the water table touching the tableware is blocked, Can manage the tableware.
네째, 식기건조대를 2층 이상으로 구성하는 경우 각 층마다 받침대와 물받이용기가 따로 구성되어 상층에 새롭게 식기를 씻어 올려 놓아도 아래층의 식기가 젖지 않도록 하여 식기 건조의 효율성을 높였다.Fourth, when the tableware dryer is composed of two or more layers, the basin and the water container are formed separately for each floor, so that the tableware is not wetted even when the tableware is newly washed on the upper layer.
다섯째, 식기건조대의 기능과 함께, 도마나 주걱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서랍을 구비하여 식기 세척시 함께 세척되는 주방용품 등을 함께 수납 및 건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켰다.Fifth,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the tableware dryer, it has a storage drawer that can store a chopping block or a spatula, so that kitchen utensils to be washed together can be stored and dried together, thereby enhancing ease of use.
여섯째, 받침대의 하부에 물받이용기와 수납서랍을 구비하되, 상호간섭없이 슬라이딩가능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Sixth, there is provided a water container and a storage drawer at the bottom of the pedestal so that it is possible to slide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thereby enabling efficient space utilization.
도 1은 본 고안 식기건조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식기건조대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도 1에서 도시된 식기거치대, 받침대, 물받이용기 및 수납서랍이 결합된 상태에서 식기거치대에 식기가 올려진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은 도 1에서 도시된 식기거치대, 받침대, 물받이용기 및 수납서랍이 결합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ying tab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dish tray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tableware in a state where the tableware, the tray, the water container and the storage drawer shown in FIG. 1 are combined.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tableware stand, the pedestal, the water receptacle, and the storage drawer shown in FIG. 1 are combined.
이하에서는 본 고안 식기건조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 식기건조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ying table.
본 고안 식기건조대는 식기거치대(10), 받침대(20), 물받이용기(30), 수납서랍(40) 및 지지대(50)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includes a
식기거치대(10)는 일반적으로 강선을 절곡시켜 만든다. 식기는 지지되고, 물기는 쉽게 아래로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식기를 눕히거나 세워 거치시킬수 있도록 지지물이 형성된다. 식기거치대(10)는 놓여지는 식기의 모양이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받침대(20)는 안착면과 측면테두리로 구성되어 식기거치대(10)를 지지한다. 실시예에서는 받침대(20)가 넓은 사각 그릇의 형상으로 모퉁이가 잘린 팔각모양이지만,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어서, 원형이나 다른 다각형 모양으로도 할 수 있다. 받침대(20)의 안착면은 전단에서 후단으로 가면서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경사면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원형 배수홀(21)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식기거치대(10) 위에 거치된 식기에서 떨어진 물방울은 받침대(20)의 경사를 따라 배수홀(21)로 흘러들어간다. 받침대(20)의 안착면은 물이 고이지 않아 마른 상태로 유지된다. 측면 테두리는 거치된 식기가 옆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식기거치대(10)의 유동을 방지한다.The pedestal (20) is composed of a seating surface and a side edge to support the tableware (10). In the embodiment, the
물받이용기(30)는 받침대(20)의 하부 중 배수홀(21)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배수홀(21)로 흘러들어가는 물은 물받이용기(30)에 저장된다.The water receptacle (30) is slid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ain hole (21) in the lower part of the pedestal (20). The water flowing into the drain hole (21) is stored in the water receptacle (30).
수납서랍(40)은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서랍으로서, 받침대(20)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The
지지대(50)는 받침대(20)의 네꼭지점 부분에 형성된 지지홀(24)과 결합하여 받침대(20)를 지지한다.The
식기건조대는 2개의 받침대에 의해 2층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기건조대가 2층으로 구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어서, 1층 또는 3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더 높은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dishwasher is composed of two floors by two pedestal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h dryer is composed of two layer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may be constituted of one layer or three layers or a higher layer.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식기건조대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assembled state of the dish dryer shown in FIG. 1. FIG.
두 개의 받침대(20)는 네 개의 꼭지점 부분에서 각각 한 개의 지지대(50)와 결합하여 2층의 식기건조대를 형성한다.The two pedestals (20) combine with one support (50) at each of the four vertex portions to form a two-layer tableware tray.
각 층의 받침대(20)는 물받이용기(30)가 결합되고, 1층의 받침대(20)는 수납서랍(40)과 추가적으로 결합된다.The
물받이용기(30)의 한쪽 단부에는 받침대(20)에서 슬라이딩 될 때 후술할 슬라이드안내돌기(22)에 걸려 더 이상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슬라이딩되는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32)가 구비된다. 수납서랍(40)의 전면부 양쪽에는 받침대(20)에서 슬라이딩 될 때 지지대(50)에 걸려 더 이상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슬라이딩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44)가 구비된다.
One end of the
위와 같은 2층으로 된 식기건조대에 따르면, 1층에 미리 세척하여 놓아 이미 물기가 마른 식기가 있는 경우, 2층에 새롭게 세척한 식기를 올려 놓을 때에도 1층에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게 된다. 2층에서 건조되는 식기의 물기는 2층의 받침대(20)와 결합된 물받이용기(30)에 모두 저장되므로, 각 층마다 개별적으로 식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two-layered tableware dryer, when there is a tableware already washed with water on the first floor, water drops do not fall on the first floor even when the tableware newly washed is placed on the second floor. Since the water of the tableware to be dried in the second layer is stored in the
도 3는 도 1에서 도시된 식기거치대, 받침대, 물받이용기 및 수납서랍이 결합된 상태에서 식기거치대에 식기가 올려진 모습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FIG. 3 is a side view of the tableware in a state where the tableware stand, the tray, the water container, and the storage drawer shown in FIG. 1 are combined.
식기거치대(10)는 받침대(20)에 의해 지지되고 받침대(20)의 측면프레임에 의해 밀착 고정된다. 식기거치대(10)는 받침대(20)에 수평하게 올려지므로 그 위에 놓여진 식기(61,62)가 한쪽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는다.The
받침대(20)의 안착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가 낮아지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어서, 받침대(20)의 안착면을 배수홀(21)이 형성된 부분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경사가 높아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경사의 하단에는 원형모양으로 된 복수 개의 배수홀(21)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The seating surface of the pedestal (20) is configured to have a lower inclination from the front to the rea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ating surface of the
받침대(20)의 저면 중 배수홀(21)이 형성된 부분의 양 쪽에는 물받이용기(30)가 슬라이드결합할 수 있도록 "ㄴ"자 모양의 슬라이드안내돌기(22)가 형성되고 슬라이드안내돌기(22) 상부에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된다. 실시예에도 불구하고, "ㄴ"자 모양이 아닌 다른 모양의 슬라이드 결합 가능한 구성으로 제작할 수 있다.Shaped
물받이용기(30)의 상부 양측에는 슬라이드안내돌기(22) 위에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날개(31)가 구성된다.A wing (3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ater receptacle (30) so as to be slidably engaged on the slide guide protrusion (22).
수납서랍(40)은 받침대(20)의 저면에서 전후로 슬라이딩된다. 수납서랍(40)은 도마(63) 이외에도 국자, 주걱, 숟가락, 젓가락 등의 다양한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다.
The storage drawer (40) slides back and forth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edestal (20). The
위와 같은 식기건조대에 따르면, 식기(61,62)가 세척된 후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식기거치대(10)에 놓여지는 경우, 식기(61,62)에 있던 물방울(65)이 받침대(20)의 경사면에 떨어지면 배수홀(21)로 배수되어 배수홀(21) 하부에 구비된 물받이용기(30)에 모이게 된다. 따라서, 식기(61,62)와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받침대(20)의 안착면은 물기가 없는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고, 배수된 물은 식기(61,62)가 놓여진 식기거치대(10)와 격리된 공간인 물받이용기(30) 내에만 존재하게 되므로, 위생적이며 깨끗하다. 물받이용기(30)가 식기와 독립된 공간에 존재하고, 안착면에는 물기가 없으므로, 증발속도가 표면적에 비례함을 가만하면, 식기의 젖은 표면 이외에 노출되어 있는 물의 표면적이 적어지므로, 식기의 건조속도와 건조효율이 증가한다.According to the tableware drying tab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물받이용기(30)가 착탈가능한 슬라이딩 결합되므로 착탈이 편리하며, 물받이용기(30)의 형태가 넓고 평평한 모양이 아닌 한쪽으로만 긴 사각컵 형태로서 안정성이 높아 식기건조대 자체를 이동하거나, 저장된 물을 버리기 위해 물받이용기(30)만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쏟아질 위험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도 4은 도 1에서 도시된 식기거치대, 받침대, 물받이용기 및 수납서랍이 결합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FIG. 4 is a front view of the state where the tableware stand, the pedestal, the water receptacle, and the storage drawer shown in FIG. 1 are combined.
식기거치대(10), 받침대(20), 물받이용기(30) 사이의 결합관계는 도2와 같다.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받침대(20)의 저면에는 수납서랍(40)이 슬라이드 결합할 수 있도록 "ㄴ"자 모양의 슬라이드안내돌기(23)가 형성되고 슬라이드안내돌기(23) 상부에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다.The
수납서랍(40)의 상부 양측에는 슬라이드안내돌기(23) 위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날개(41)가 구성된다. 수납서랍(40)의 바닥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모양의 돌기(42)가 좌우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다만 돌기(42)의 모양은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어서, 좌우방향의 긴 모양으로 전후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돌기(42)는 주방용품이 바닥면에 닿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물방울이 가지는 표면장력을 줄이고, 물의 표면적을 넓히며 통풍이 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증발속도를 증가시킨다. 수납서랍(40)의 양 측면에는 복수의 통풍구(43)가 구성된다. 수납서랍(40)에 젖은 도마 등을 올려 놓을 때 돌기(42) 사이로 떨어진 물과 도마 등의 주방용품에 있는 물기는 수납서랍(40)의 양 측부에 있는 통풍구(43)로 증발되어 마르게 되며, 물은 식기건조대 아래의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는다.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받침대(20) 하부 후방에는 물받이용기(30)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받침대 하부 전방에는 수납서랍(40)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상호 간섭없이 받침대(20) 하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하다.
The
위와 같은 식기건조대에 따르면, 식기 세척시 동시에 세척되는 도마(63), 숟가락, 젓가락, 국자 등의 주방용품도 별도에 수납공간인 수납서랍(40)에 수납할 수 있다. 슬라이딩 결합하므로, 필요할 때 내용물을 쉽게 빼낼 수 있다. 물기가 있는 주방용품의 경우도, 돌기(42)와 통풍구(43)로 인해 건조가 이루어져, 마른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위생적으로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dishwasher, kitchen utensils such as a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식기건조대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
예컨데, 수납서랍(40)에도 바닥면에 완만한 경사와 배수홀(21)을 구성하고 따로 물받이용기(30)를 제공할 수도 있고, 배수홀(21) 하부에 설치된 물받이용기(30)에 수납서랍에 흐르는 물이 배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재료를 한정하지 않았으나, 물기가 쉽게 제거되도록 테프론 등의 소수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테프론 코팅 등 소수성 재료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으며, 플루오르화 치환하거나 소수성 나노패턴을 형성하는 등 표면 자체를 소수성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10 : 식기거치대 20 : 받침대
21 : 배수홀 22 : 슬라이드안내돌기
23 : 슬라이드안내돌기 24 : 지지홀
30 : 물받이용기 31 : 날개
32 : 스토퍼 40 : 수납서랍
41 : 날개 42 : 돌기
43 : 통풍구 44 : 스토퍼
50 : 지지대 61 : 그릇
62 : 접시 63 : 도마
65 : 물방울10: tableware stand 20: stand
21: drain hole 22: slide guide projection
23: slide guide projection 24: support hole
30: water receptacle 31: wing
32: stopper 40: storage drawer
41: wing 42: projection
43: vent hole 44: stopper
50: support 61: bowl
62: Plate 63: Board
65: Water droplets
Claims (4)
상기 받침대의 상부 안착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하단에는 배수홀이 형성되어, 거치된 식기에서 떨어진 물기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흘러 상기 배수홀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And a pedestal for placing the washed tableware thereon,
Wherein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an upper seating surface of the pedestal and a drain hole is formed in a low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water flowing away from the tableware flows along the inclined surface to be drained to the drain hole.
상기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며 식기를 올려 넣을 수 있는 식기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able rest supported by the pedestal and capable of lifting up the tableware.
상기 배수홀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받기 위한 물받이용기가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water receptacle for receiving water drained through the drain hole is slid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edestal.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서랍이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물받이용기는 상기 받침대의 하부 뒷쪽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수납서랍은 상기 받침대의 하부 앞쪽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The method of claim 3,
A storage drawer capable of storing kitchen utensils is slid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edestal,
Wherein the water receiving container slides laterally from a lower rear side of the pedestal, and the receiving drawer slides in a front-rear direction in front of a lower portion of the pedest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10902U KR20150002676U (en) | 2013-12-30 | 2013-12-30 | dish drying ra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10902U KR20150002676U (en) | 2013-12-30 | 2013-12-30 | dish drying ra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2676U true KR20150002676U (en) | 2015-07-08 |
Family
ID=5379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10902U KR20150002676U (en) | 2013-12-30 | 2013-12-30 | dish drying ra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02676U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6946A (en) | 2017-01-24 | 2018-08-01 | 김학래 | Foldable Dish Rack |
KR102002476B1 (en) | 2018-02-08 | 2019-07-22 | 김국환 | A variable drainboard |
CN112741578A (en) * | 2020-09-30 | 2021-05-04 | 姚梅珊 | Tableware cleaning machine, kitchen cleaning system and water tank thereof |
-
2013
- 2013-12-30 KR KR2020130010902U patent/KR20150002676U/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6946A (en) | 2017-01-24 | 2018-08-01 | 김학래 | Foldable Dish Rack |
KR102002476B1 (en) | 2018-02-08 | 2019-07-22 | 김국환 | A variable drainboard |
CN112741578A (en) * | 2020-09-30 | 2021-05-04 | 姚梅珊 | Tableware cleaning machine, kitchen cleaning system and water tank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12934A (en) | Drainer for drying and storing kitchen and other utensils | |
US7407059B2 (en) | Drying storage rack | |
US5485927A (en) | Draining and drying device for utensils | |
US9386886B2 (en) | Over sink kitchen work station | |
US7325695B2 (en) | Dish rack with water drainage mechanism | |
US11272829B2 (en) | Drying appliance | |
US20140259381A1 (en) | Soaker Basket for a Dishwasher's Silverware Basket | |
US20080185352A1 (en) | Stemware Drying Rack | |
US20140246445A1 (en) | Angled collapsible container | |
US20100065517A1 (en) | Dish drainer | |
KR20150002676U (en) | dish drying rack | |
KR101333644B1 (en) | Chopsticks rack of dishwasher for a restaurant | |
KR101152940B1 (en) | safty tray for food | |
KR20110099350A (en) | How to use the dish dryer and dishwasher | |
KR20120005358U (en) | Dishes dry shelf having drawer type cup holder | |
KR20100006522U (en) | Shlef for drying dishes | |
US12213638B2 (en) | Dish rack | |
CN201342116Y (en) | Lift type multifunctional adjustable bowl frame | |
CN218165077U (en) | Draining basket, draining basket assembly and water tank | |
WO2025029722A1 (en) | Dish rack | |
KR102063939B1 (en) | A Drying Hanger and a Draining Board with the Same | |
JP3066440U (en) | Drainers for tableware | |
JP2006326244A (en) | Draining device for sink | |
CN118911250A (en) | Novel integrated water tank | |
KR101556720B1 (en) | Dish drainer for a sin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31230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50223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50629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5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