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614U - 갠트리 크레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 Google Patents
갠트리 크레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1614U KR20150001614U KR20130008597U KR20130008597U KR20150001614U KR 20150001614 U KR20150001614 U KR 20150001614U KR 20130008597 U KR20130008597 U KR 20130008597U KR 20130008597 U KR20130008597 U KR 20130008597U KR 20150001614 U KR20150001614 U KR 2015000161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brake
- trolley
- guide
- g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8—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with means for locking trolleys or cranes to runways or tracks to prevent inadvertent mov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1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miting trolley or crane travel; Arrangements of buffer-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갠트리 크레인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장치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유닛; 복수의 프레임유닛에 교차하게 배치되되, 복수의 프레임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프레임유닛 상에 탑재되는 가이드유닛; 가이드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유닛에 탑재되는 트롤리유닛; 트롤리유닛에 결합되며, 이동될 대상물을 승강시킬 수 있는 호이스트유닛; 및 트롤리유닛이 가이드유닛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되, 가이드유닛을 따라 배치되는 웜 기어와, 웜 기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트롤리유닛에 배치되는 제1 웜휠을 구비하는 트롤리이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갠트리 크레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한된 영역에서 무거운 물체를 필요한 장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갠트리 크레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은, 물체의 이동 양상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일 예로, 물체에 회전 이동을 제공하는 타워 크레인과, 직선 이동을 수평 크레인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크레인들 중 수평 크레인은, 중량이 무거운 물체를 매달아 승강시킬 수 있으며, 매달린 물체를 종 방향과 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평 크레인은, 물체를 승강시킬 수 있는 호이스트장치와, 호이스트장치를 X, Y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호 교차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들을 지지하는 베이스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평 크레인에 의해 3 ton 이상의 물체를 핸들링하기 위해서는, 사이즈가 상당한 핸들링 장비(handling equipment), 전기타입장비(electric type equipment), 상부 모노레일(monorail)의 설치 등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수평 크레인이 설치되는 공간 상의 제약, 설치비용의 급등, 개방된 공간(open space) 등의 문제로 인해, 크레인에 필요한 장비들을 갖추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일 예로, 선박에 탑재되는 수평 크레인은, 호이스트장치에 물체가 매달리 상태에서 목적 장소까지 이동되는 중에, 파랑에 의한 충격이나 진동이 선체에 가해지면 물체가 흔들리게 되므로, 물체의 흔들림에 의한 호이스트장치의 이동을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선박의 수평 크레인과 같은 크레인 장치에는, 브레이크장치가 요구되나, 이러한 브레이크장치가 수평 크레인에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작단가가 증가되므로, 선박의 제작업체로서는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제한된 공간에 충분히 설치될 수 있으면서, 별도의 브레이크장치를 탑재할 때에 비해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별도의 브레이크장치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물체의 흔들림 및 물체의 흔들림에 의한 물체의 충격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갠트리 크레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유닛; 상기 복수의 프레임유닛에 교차하게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프레임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프레임유닛 상에 탑재되는 가이드유닛; 상기 가이드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유닛에 탑재되는 트롤리유닛; 상기 트롤리유닛에 결합되며, 이동될 대상물을 승강시킬 수 있는 호이스트유닛; 및 상기 트롤리유닛이 상기 가이드유닛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유닛을 따라 배치되는 웜 기어와, 상기 웜 기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트롤리유닛에 배치되는 제1 웜휠을 구비하는 트롤리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갠트리 크레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트롤리이동유닛은, 상기 웜 기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프레임유닛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유닛의 양쪽에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유닛 상에 배치되는 제2 웜휠; 상기 트롤리유닛이 상기 가이드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토록 상기 트롤리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유닛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웜휠에 의해 구동되는 제1 구동륜; 및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프레임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토록 상기 가이드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유닛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웜휠에 의해 구동되는 제2 구동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유닛에 접촉되어 상기 트롤리유닛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트롤리유닛에 마련되는 제1 브레이크유닛; 및 상기 제1 브레이크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레이크유닛에 대응하게 배치되되, 상기 트롤리유닛과 함께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제1 브레이크작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유닛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유닛의 양쪽 단부에 마련되는 제2 브레이크유닛; 및 상기 제2 브레이크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브레이크유닛에 대응하게 배치되되, 상기 가이드유닛과 함께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제2 브레이크작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레이크작동유닛과 함께 상기 제2 브레이크작동유닛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는 일괄작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브레이크유닛 및 상기 제2 브레이크유닛 중 어느 하나는, 승강 이동을 위한 승강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브레이크작동유닛 및 상기 제2 브레이크작동유닛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승강기어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기어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작동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일괄작동유닛은, 상기 가이드유닛을 따라 순환 가능하게 배치되는 순환체인; 및 상기 순환체인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순환체인에 배치되되, 상기 작동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작동기어에 결합되는 회전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괄작동유닛은, 상기 회전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기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작동체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상기 갠트리 크레인장치가 탑재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한된 공간에 충분히 설치될 수 있으면서, 별도의 브레이크장치를 탑재할 때에 비해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별도의 브레이크장치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물체의 흔들림 및 물체의 흔들림에 의한 물체의 충격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갠트리 크레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2 브레이크유닛의 일괄작동유닛에 의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2 브레이크유닛의 일괄작동유닛에 의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장치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유닛(100)과, 복수의 프레임유닛(100)에 교차하게 배치되되 복수의 프레임유닛(10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프레임유닛(100) 상에 탑재되는 가이드유닛(105)과, 가이드유닛(105)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유닛(105)에 탑재되는 트롤리유닛(110)과, 트롤리유닛(110)에 결합되며 이동될 대상물을 승강시킬 수 있는 호이스트유닛(115)과, 트롤리유닛(110)이 가이드유닛(10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되, 가이드유닛(105)을 따라 배치되는 웜 기어(121)와 웜 기어(121)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트롤리유닛(110)에 배치되는 제1 웜휠(125)을 구비하는 트롤리이동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장치는, 선박과 같이 제한된 공간에 충분히 설치될 수 있으면서, 별도의 브레이크장치를 탑재할 때에 비해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별도의 브레이크장치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물체의 흔들림 및 물체의 흔들림에 의한 물체의 충격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트롤리유닛(110)은 웜 기어(121)에 의해 구동되는 제1 웜휠(125)에 의해 가이드유닛(10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웜 기어(121)와 제1 웜휠(125)의 이동구조는, 트롤리유닛(110)과 함께 이동되도록 호이스트유닛(115)에 매달리는 이송 대상물에 갑작스런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될 때 이송 대상물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트롤리유닛(110)은, 제1 웜휠(125)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1 웜휠(125)은 웜 기어(121)에 기어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송 대상물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1 웜휠(125)과 웜 기어(121)의 기어결합구조 상 트롤리유닛(110)의 이동은 어렵게 된다.
이처럼 웜 기어(121)와 제1 웜휠(125)을 포함하는 트롤리이동유닛(120)은, 트롤리유닛(110)과 함께 호이스트유닛(115)에 매달린 이송 대상물을 가이드유닛(105)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박과 같이 파랑에 의한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 환경에서 갑작스런 충격에 의한 이송 대상물의 급격한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트롤리이동유닛(12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웜 기어(121)에 기어결합되어 프레임유닛(100)을 따른 가이드유닛(105)의 이동을 제공할 수 있는 제2 웜휠(126)을 더 포함하여 프레임유닛(100) 배치방향에 따른 충격이 이송 대상물에 가해질 때, 가이드유닛(105)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트롤리유닛(110)과 함께 이송 대상물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장치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는, 제1, 2 웜휠 및 제1, 2 브레이크유닛 관련 구성요소들이 생략되어 있다.
먼저, 본 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이동유닛(120)은, 웜 기어(121)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마련되되, 가이드유닛(105)이 프레임유닛(1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유닛(105)의 양쪽에서 복수의 프레임유닛(100) 상에 배치되는 제2 웜휠(126)과, 트롤리유닛(110)이 가이드유닛(105)을 따라 이동 가능토록 트롤리유닛(110)에 결합되어 가이드유닛(105) 상에 배치되되, 제1 웜휠(125)에 의해 구동되는 제1 구동륜(127)과, 가이드유닛(105)이 프레임유닛(100)을 따라 이동 가능토록 가이드유닛(105)에 결합되어 프레임유닛(100) 상에 배치되되 제2 웜휠(126)에 의해 구동되는 제2 구동륜(1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웜 기어(121)에 의해 제1 웜휠(125)이 가동될 때, 제1 구동륜(127)이 회전되어 가이드유닛(105)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트롤리유닛(110)이 가이드유닛(105)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트롤리유닛(110)의 이동에 의해 이송 대상물의 트롤리유닛(110)을 따른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웜 기어(121)에 의해 제2 웜휠(126)이 가동될 때, 제2 구동륜(128)이 회전되어 가이드유닛(105)이 프레임유닛(1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트롤리유닛(110)의 프레임유닛(100)을 따른 이동이 제공되어 이송 대상물의 프레임유닛(100)을 따른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에 따른 트롤리유닛(110)의 가이드유닛(105)과 프레임유닛(100)에 따른 위치결정은, 웜 기어(121)와 제1 웜휠(125) 및 제2 웜휠(126)의 선택적인 기어결합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 예에서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웜 기어(121)와 제2 웜휠(126) 및 제2 웜휠(126)의 선택적인 혹인 일괄적인 기어결합을 위한 복수의 클러치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장치는, 웜 기어(121)의 기어결합에 의해 트롤리유닛(110)에 매달린 이송 대상물의 이동을, 웜 기어(121)와 웜휠들(127, 128)의 기어결합에 의해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웜 기어(121)와 웜휠들(127, 128)의 기어결합은, 트롤리유닛(110)의 이동을 기어결합이라는 구조로 제한하게 되는데, 웜 기어(121)와 웜휠들(127, 128)을 강제로 구동 또는 파손시킬 수 있을 정도의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기어결합의 구조적인 이동제한의 한계를 넘게 되어 이송 대상물이 트롤리유닛(11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 대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유닛(105)에 접촉되어 트롤리유닛(110)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트롤리유닛(110)에 마련되는 제1 브레이크유닛(130)과, 제1 브레이크유닛(13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1 브레이크유닛(130)에 대응하게 배치되되 트롤리유닛(110)과 함께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제1 브레이크작동유닛(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브레이크유닛(130)은, 후술되는 제2 브레이크유닛(138)도 마찬가지로, 가이드유닛(105)에 접촉되는 브레이크패드(136)와, 브레이크패드(136)에 결합되어 브레이크패드(136)를 이동시키는 브레이크로드(1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브레이크로드(137)는 제1 브레이크작동유닛(135)에 의해 승강될 수 있으며, 상승되는 경우 브레이크패드(136)를 가이드유닛(105)의 저면부에 접촉시켜 트롤리유닛(1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브레이크유닛(130)은, 트롤리유닛(110)의 가이드유닛(105)을 따른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트롤리유닛(110)은 가이드유닛(105)의 이동에 의해 프레임유닛(1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므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장치는, 가이드유닛(105)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장치는, 프레임유닛(100)에 접촉되어 가이드유닛(105)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유닛(105)의 양쪽 단부에 마련되는 제2 브레이크유닛(138)과, 제2 브레이크유닛(138)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2 브레이크유닛(138)에 대응하게 배치되되, 가이드유닛(105)과 함께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제2 브레이크작동유닛(1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브레이크유닛(138)은, 제1 브레이크유닛(130)과 거의 동일한 구조로서, 브레이크패드(136)와 브레이크로드(1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레이크유닛(138)은, 프레임유닛(100)에 접촉되어 가이드유닛(105)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제2 브레이크작동유닛(139)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브레이크유닛(138)은, 가이드유닛(105)의 양쪽에 배치되는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갠트리 크레인장치는, 제1 브레이크작동유닛(135)과 함께 제2 브레이크작동유닛(139)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유닛(105)의 하부에 배치되는 일괄작동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괄작동유닛(140)은, 상호 연결된 하나의 제1 브레이크작동유닛(135)과 복수의 제2 브레이크작동유닛(139)을 모두 동시에 작동시켜, 제1, 2 브레이크유닛(130, 138)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트롤리유닛(110)의 가이드유닛(105)과 프레임유닛(100)을 따라 이동이 모두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일괄작동유닛(140)에 의해 동시 작동되는 제1 브레이크유닛(130) 및 제2 브레이크유닛(138)은, 브레이크로드(137)에 승강 이동을 위한 승강기어(142)를 구비하며, 제1 브레이크작동유닛(135) 및 제2 브레이크작동유닛(139)은 승강기어(142)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승강기어(142)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작동기어(141)를 구비한다.
일괄작동유닛(140)은, 이들 승강기어(142)와 작동기어(141)에 대응하여 가이드유닛(105)을 따라 순환 가능하게 배치되는 순환체인(145)과, 순환체인(145)에 의해 회전되도록 순환체인(145)에 배치되되 작동기어(14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작동기어(141)에 결합되는 회전기어(1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괄작동유닛(140)은, 회전기어(146)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기어(146)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작동체인(1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 작동체인(148)은, 회전기어(146)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소에 배치되는데, 어느 하나의 브레이크 작동체인(148)이 아래로 가동되면, 순환체인(145)이 회전된다.
이에 따라 순환체인(145)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기어(146)들이 회전되며, 제1, 2 브레이크작동유닛(135, 139)의 작동기어(141)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작동기어(142)들에 기어결합되어 있는 승강기어(142)가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제1, 2 브레이크유닛(130, 138)의 승강기어(142)에 의해 브레이크로드(137)가 이동되며, 각각의 브레이크패드(136)가 가이드유닛(105) 및 프레임유닛(100)에 접촉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갠트리 크레인장치가 탑재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은, 웜 기어(121)에 의해 이동되는 트롤리유닛(110)이 웜 기어(121)의 기어결합에 의해 급격한 이동이 제한되므로, 크레인 작업 및 정지 시에 이송 대상물의 이동이 제한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송 대상물 및 이송 대상물에 의한 선체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프레임유닛 105: 가이드유닛
110: 트롤리유닛 115: 호이스트유닛
120: 트롤리이동유닛 121: 웜 기어
125: 제1 웜휠 126: 제2 웜휠
127: 제1 구동륜 128: 제2 구동륜
127, 128: 웜휠들 130: 제1 브레이크유닛
135: 제1 브레이크작동유닛 136: 브레이크패드
137: 브레이크로드 138: 제2 브레이크유닛
139: 제2 브레이크작동유닛 140: 일괄작동유닛
141: 승강기어 142: 작동기어
145: 순환체인 146: 회전기어
148: 브레이크 작동체인
110: 트롤리유닛 115: 호이스트유닛
120: 트롤리이동유닛 121: 웜 기어
125: 제1 웜휠 126: 제2 웜휠
127: 제1 구동륜 128: 제2 구동륜
127, 128: 웜휠들 130: 제1 브레이크유닛
135: 제1 브레이크작동유닛 136: 브레이크패드
137: 브레이크로드 138: 제2 브레이크유닛
139: 제2 브레이크작동유닛 140: 일괄작동유닛
141: 승강기어 142: 작동기어
145: 순환체인 146: 회전기어
148: 브레이크 작동체인
Claims (8)
-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유닛;
상기 복수의 프레임유닛에 교차하게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프레임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프레임유닛 상에 탑재되는 가이드유닛;
상기 가이드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유닛에 탑재되는 트롤리유닛;
상기 트롤리유닛에 결합되며, 이동될 대상물을 승강시킬 수 있는 호이스트유닛; 및
상기 트롤리유닛이 상기 가이드유닛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유닛을 따라 배치되는 웜 기어와, 상기 웜 기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트롤리유닛에 배치되는 제1 웜휠을 구비하는 트롤리이동유닛을 포함하는 갠트리 크레인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이동유닛은,
상기 웜 기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프레임유닛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유닛의 양쪽에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유닛 상에 배치되는 제2 웜휠;
상기 트롤리유닛이 상기 가이드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토록 상기 트롤리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유닛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웜휠에 의해 구동되는 제1 구동륜; 및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프레임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토록 상기 가이드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유닛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웜휠에 의해 구동되는 제2 구동륜을 더 포함하는 갠트리 크레인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에 접촉되어 상기 트롤리유닛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트롤리유닛에 마련되는 제1 브레이크유닛; 및
상기 제1 브레이크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레이크유닛에 대응하게 배치되되, 상기 트롤리유닛과 함께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제1 브레이크작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갠트리 크레인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에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유닛의 양쪽 단부에 마련되는 제2 브레이크유닛; 및
상기 제2 브레이크유닛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브레이크유닛에 대응하게 배치되되, 상기 가이드유닛과 함께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제2 브레이크작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갠트리 크레인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레이크작동유닛과 함께 상기 제2 브레이크작동유닛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는 일괄작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갠트리 크레인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레이크유닛 및 상기 제2 브레이크유닛 중 어느 하나는, 승강 이동을 위한 승강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브레이크작동유닛 및 상기 제2 브레이크작동유닛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승강기어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승강기어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작동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일괄작동유닛은,
상기 가이드유닛을 따라 순환 가능하게 배치되는 순환체인; 및
상기 순환체인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순환체인에 배치되되, 상기 작동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작동기어에 결합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갠트리 크레인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일괄작동유닛은, 상기 회전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기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작동체인을 더 포함하는 갠트리 크레인장치. -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갠트리 크레인장치가 탑재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597U KR200487304Y1 (ko) | 2013-10-18 | 2013-10-18 | 갠트리 크레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8597U KR200487304Y1 (ko) | 2013-10-18 | 2013-10-18 | 갠트리 크레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1614U true KR20150001614U (ko) | 2015-04-28 |
KR200487304Y1 KR200487304Y1 (ko) | 2018-08-31 |
Family
ID=5303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8597U KR200487304Y1 (ko) | 2013-10-18 | 2013-10-18 | 갠트리 크레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7304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62031A (zh) * | 2018-08-27 | 2018-11-23 | 太原理工大学 | 一种单轨吊车的驱动装置、轨道单体及单轨吊车 |
CN108962071A (zh) * | 2018-07-11 | 2018-12-07 | 合肥学院 | 一种便于调节的广告展示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9537B1 (ko) | 2019-09-10 | 2024-06-2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갠트리 크레인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9171A (ko) * | 2000-12-19 | 2002-06-26 | 이구택 | 권취용 슬리브의 이송 안내장치 |
JP2005187155A (ja) * | 2003-12-25 | 2005-07-14 | Kito Corp | クレーン装置 |
KR20100067737A (ko) | 2008-12-12 | 2010-06-22 | 금원엔지니어링(주) | 갠트리크레인 |
-
2013
- 2013-10-18 KR KR2020130008597U patent/KR200487304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9171A (ko) * | 2000-12-19 | 2002-06-26 | 이구택 | 권취용 슬리브의 이송 안내장치 |
JP2005187155A (ja) * | 2003-12-25 | 2005-07-14 | Kito Corp | クレーン装置 |
KR20100067737A (ko) | 2008-12-12 | 2010-06-22 | 금원엔지니어링(주) | 갠트리크레인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962071A (zh) * | 2018-07-11 | 2018-12-07 | 合肥学院 | 一种便于调节的广告展示装置 |
CN108862031A (zh) * | 2018-08-27 | 2018-11-23 | 太原理工大学 | 一种单轨吊车的驱动装置、轨道单体及单轨吊车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7304Y1 (ko) | 2018-08-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6851B1 (ko) | 갠트리 크레인장치 | |
KR200487304Y1 (ko) | 갠트리 크레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
JP5412513B2 (ja) | 天井クレーンのトロリー | |
EP2962977A1 (en) | Gantry crane for handling containers | |
CN103174317B (zh) | 停车设备的升降传动系统及升降横移式停车设备 | |
US3771666A (en) | Load grab mechanism having separable rotatable grab arms | |
KR101715302B1 (ko) | 호이스트 크레인 래칭 장치 | |
CN104444956A (zh) | 一种装卸货物用升降车 | |
CN105152084A (zh) | 钢丝绳全自由举升及电机驱动倾斜的叉车门架系统 | |
JP2011236650A (ja) | 荷の揚げ降ろし装置 | |
CN1934026A (zh) | 货物集装箱装卸门式起重机的钢索缠绕支撑系统 | |
CN203976250U (zh) | 一种钢厂专用揭盖悬臂起重机 | |
CN102704725A (zh) | 两层斜放升降横移停车设备 | |
CN104326374A (zh) | 一种起重装置 | |
US1111099A (en) | Freight-handling crane structure. | |
KR20150044536A (ko) | 록킹기능을 갖는 빔 트롤리 | |
CN202936147U (zh) | 升降机 | |
CN102718133A (zh) | 起重机起吊小车 | |
JP5608960B2 (ja) |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 |
CN205087835U (zh) | 起重机及提升系统 | |
CN105197826A (zh) | 起重机及提升系统 | |
CN217996486U (zh) | 一种集装箱侧板吊装设备 | |
CN204298020U (zh) | 一种装卸货物用升降车 | |
CN110844777B (zh) | 起重机小车及起重机 | |
CN204454421U (zh) | 一种混凝土方桩的升降机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