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856A -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856A
KR20140127856A KR1020147024772A KR20147024772A KR20140127856A KR 20140127856 A KR20140127856 A KR 20140127856A KR 1020147024772 A KR1020147024772 A KR 1020147024772A KR 20147024772 A KR20147024772 A KR 20147024772A KR 20140127856 A KR20140127856 A KR 20140127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cyanate
prepolymer
foam
polyisocyanurate foam
polyisocyanu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테판 슐라이어마셔
패트릭 클라젠
라인하르트 알베르스
슈테판 모어스
더크 슈타인마이스터
디터 세이델
토르슈텐 하이네만
한스-데틀레프 아른쯔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2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85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9Processes comprising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involving reaction of a part of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with each other in the reaction mixture
    • C08G18/092Processes comprising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involving reaction of a part of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with each other in the reaction mixture oligomerisation to isocyanur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25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alkali or alkaline 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3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 C08G18/423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5Polyethers containing two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08G18/4837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08G18/794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arom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365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02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25Foam properties rig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41Foam properties having specified density
    • C08G2110/005< 50kg/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83Foam properties prepared using water as the sol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08J23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이소시아네이트-종결 예비중합체 B를 (ii) 하나 이상의 삼량체화 촉매 A1 및 하나 이상의 발포제 A3을 포함하는 활성화제 성분 A와 반응 혼합물 중에서 반응시켜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 2.3 내지 ≤ 2.9의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B1과 폴리올 성분 B2와의 반응으로부터 수득된 이소시아네이트-종결 예비중합체 B가 사용되고, - 활성화제 성분 A가 물을 발포제 A3으로서 ≥ 5 중량% 내지 ≤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 반응 혼합물 중의 이소시아네이트 지수가 ≥ 400 내지 ≤ 500 범위이고, - 예비중합체 B의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이 예비중합체 B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 21 중량% 내지 ≤ 30 중량% 범위이며, - 여기서, 예비중합체 B 및 활성화제 성분 A의 반응에서 ≤ 75%의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로의 전환 기여가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경질 발포체 C는 우수한 난연 특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우수한 절연 특성 및 안정성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질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 단열 구조 부재의 제조를 위한 이러한 경질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의 용도, 및 이러한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를 포함하는 단열 구조 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제조 방법 {METHOD FOR PRODUCING A HARD POLYURETHANE-POLYISOCYANURATE FOAMED MATERIAL}
본 발명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 및 활성화제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특히 분무가능한 이러한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및 단열 구조 부재의 제조에서 이러한 경질 발포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를 포함하는 단열 구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오일 및 가스 산업에서, 예를 들어 분무가능한 폴리우레탄계가 절연 파이프에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PUR/PIR) 발포체는 접착, 압축 강도 및 방출과 관련하여 엄격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면서, 동시에 탁월한 절연 및 화재 방지 특성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단열을 위해 사용될, 예를 들어 건물을 위한 구조 부재와 같은 추가의 구조 부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상응하는 경질 PUR/PIR 발포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분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과도한 점적 또는 유출을 피하기 위해 짧은 경화 시간을 가져야 한다. 이것은 선행 기술에서 주로 다량의 촉매 및 가교제를 상응하게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러나, 과도한 다량의 촉매 및 가교제의 사용은 취화의 위험과 연관된다. 이러한 발포체는 모래질 표면을 가질 것이며, 이에 따라 복합 물질은, 예를 들어 스틸 파이프에 매우 불량한 접착 강도를 가질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시스템은 대부분의 경우에, 특히 고온에서의 제한된 안정성 및 제한된 난연 특성을 제공한다.
GB 1,104,394는 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및 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1-단계 공정으로서 또는 예비중합체를 포함하는 경로, 즉 다-단계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로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공보에 따른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성분은 8개 이하의 히드록실 기를 보유하는 것, 예컨대, 예를 들어 폴리알킬렌 에테르 글리콜이며, 30 내지 600 mg KOH/g의 OH가를 갖는다. 이소시아네이트는 400 내지 800 mol%의 과량으로 반응 혼합물 중에 추가로 존재할 수 있다. 그밖에,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에 대해 구체적인 세부사항이 제공되지 않는다.
US 4,299,924에는 임의로 가교제의 존재 하에,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4500 g/mol 이상의 몰 중량을 갖는 고분자량 폴리올로부터 수득된 중합체 폴리올과의 반응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수지가 기재되어 있다. 가교제가 없는 반응의 경우에, 1500 내지 5000의 이소시아네이트 지수가 사용되는 반면에, 가교제를 사용한 방법의 경우에 이소시아네이트 지수는 200 내지 5000 범위이다. 구체적인 세부사항은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에 관해 제공되지 않는다.
EP 0 698 422 A1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의 층 및 이어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이 스틸 파이프에 적용된 후, 커버 층이 적용되는 것인, 복합 원칙에 의해 파이프를 절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플라스틱은 말단 NCO 기 및 5 내지 20 중량%의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을 갖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예비중합체를, 폴리에테르, 물, 가교제 및 삼량체화 촉매를 포함하고 300 내지 600 mg KOH/g 범위의 OH가를 갖는 폴리올 성분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WO 2007/042407 A1, WO 2004 111101 A1 및 WO 2007/042411 A1은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폴리우레탄 물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 사용되는 출발 물질은 높은 옥시에틸렌 함량을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높은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을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다. 이들 방법에서, < 2.2의 낮은 NCO 관능가가 높은 이소시아네이트 지수에서 사용된다. 추가로, 이들 공보에서, 높은 경질 분절 함량을 갖는 경질 발포체가 제조되거나 (WO 2007/042407 A1), 작업이 물의 배제 하에 수행되거나 (WO 2004 111101 A1), 또는 1600 내지 100,000 범위의 이소시아네이트 지수가 존재한다 (WO 2007/042411 A1).
EP 1 967 535 A1에는 치밀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그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치밀한 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발포체의 제조에 전환가능하지 않다.
개선된 분무가능한 경질 PUR/PIR 발포체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이 상기로부터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자체로 특히 우수한 단열 거동을 가지면서 동시에 높은 안정성 및 우수한 내연성을 갖는 수발포성 경질 PUR/PIR 발포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목적은,
(i) 이소시아네이트-종결 예비중합체 B를
(ii) 하나 이상의 삼량체화 촉매 A1 및 하나 이상의 발포제 A3을 포함하는 활성화제 성분 A와
반응 혼합물 중에서 반응시켜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 ≥ 2.3 내지 ≤ 2.9의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B1과 폴리올 성분 B2와의 반응으로부터 수득된 이소시아네이트-종결 예비중합체 B가 사용되고,
- 활성화제 성분 A가 물을 발포제 A3으로서 ≥ 5 중량% 내지 ≤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 반응 혼합물 중의 이소시아네이트 지수가 ≥ 400 내지 ≤ 1500 범위이고,
- 예비중합체 B의 NCO 함량이 예비중합체 B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 21 중량% 내지 ≤ 30 중량% 범위이며,
- 여기서, 예비중합체 B 및 활성화제 성분 A의 반응에서 ≤ 75%의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로의 전환 기여가 달성되는 것인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의 제조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이르러, 놀랍게도, 탁월한 난연 특성 및 단열 특성을 가지며 탁월한 안정성 특성을 추가로 갖는 경질 PUR/PIR 발포체를 상기 언급된 성분의 상응하는 조합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우수한 난연 특성이 본질적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로의 높은 전환에 기인한다는 지배적인 의견과는 대조적으로, 단지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로의 비교적 낮은 전환과 함께 우수한 난연 특성, 우수한 열 전도율 및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경질 PUR/PIR 발포체 C를 제조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가능하다.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또는 경질 PUR/PIR 발포체는 실질적으로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기를 포함하지만 폴리우레탄 기가 또한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문맥 내에서, 경질 발포체는 특히 경질 발포체로서 ≥ 0.1 MPa의 높은 압축 강도를 갖는 고체 매트릭스 내에 기체가 배열, 특히 분산되어 있는 발포체 (즉, DIN 7726에 따른 2-상 시스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 내에서, 활성화제 성분 A는 특히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형성을 활성화할 수 있는 성분인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 내에서, 이소시아네이트 지수는 특히 반응 혼합물 중에서 또는 이소시아누레이트 형성에서 모든 이소시아네이트 기와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화합물과의 1:1 반응에 대한 이론상 요구량에 비해 이소시아네이트가 과량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 내에서,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 또는 NCO 관능가는 특히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B1의 분자당 이소시아네이트 기의 평균 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 내에서, 이소시아네이트 함량 또는 NCO 함량은 특히 이소시아네이트-종결 예비중합체 B에서 NCO 기의 중량에 의한 양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 내에서, OH가 또는 히드록시가는 특히 물질 1 그램의 아세틸화에서 결합된 아세트산의 양에 상응하는 수산화칼륨의 양 (밀리그램)에 해당한다. 언급된 모든 OH가 또는 히드록실가는 DIN 53240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 내에서, 폴리올 성분 B2의 평균 관능가는 특히 사용되는 폴리올 성분 B2의 분자당 히드록시 기의 평균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되는 예비중합체 B는 하기에 먼저 논의될 것이다. 이소시아네이트-종결 예비중합체 B는 이소시아네이트 B1과 폴리올 성분 B2와의 반응으로부터 수득된다.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 B1의 예는 1,4-부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펜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2,2,4- 및/또는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성질체 비스(4,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 또는 그의 임의의 바람직한 이성질체 함량의 혼합물, 1,4-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 및/또는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TDI), 1,5-나프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 및/또는 2,4'- 및/또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MDI) 및/또는 고급 동족체 (중합체성 MDI), 1,3- 및/또는 1,4-비스-(2-이소시아네이토-프로프-2-일)-벤젠 (TMXDI),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벤젠 (XDI) 및 C1- 내지 C6-알킬 기를 갖는 알킬 2,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사노에이트 (리신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상기 언급된 성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상기 언급된 이소시아네이트 B1 이외에도, 우레트디온, 이소시아누레이트, 우레탄, 카르보디이미드, 우레톤이민, 알로파네이트, 뷰렛, 아미드, 이미노옥사디아진디온 및/또는 옥사디아진트리온 구조로 개질된 디이소시아네이트 뿐만 아니라 분자당 2개 초과의 NCO 기를 갖는 비개질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예를 들어 4-이소시아네이토메틸-1,8-옥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노난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트리페닐메탄 4,4',4"-트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일부의 동시 사용이 가능하다.
이소시아네이트 B1의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는 ≥ 2.3 내지 ≤ 2.9 범위이다.
게다가, 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 B의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은 ≥ 21 중량% 내지 ≤ 30 중량% 범위이다. 예비중합체 B의 NCO 함량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 22 중량% 내지 ≤ 29 중량% 범위이다.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은 DIN 53185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더욱이, 추가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예비중합체 B 이외에도 반응 혼합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본 발명에 따라 배제되지 않는다. 이러한 추가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예를 들어 예비중합체 B의 제조를 위해 상기 기재된 것일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B1은 또한 다핵 (중합체) 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예를 들어 다핵 MDI를 포함할 수 있다.
예비중합체 B의 제조에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폴리올 성분 B2의 제조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폴리올 성분 B2에 대한 예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예를 들어 디- 뿐만 아니라 또한 트리- 및 테트라-올 및 디- 및 또한 트리- 및 테트라-카르복실산 또는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또는 락톤의 중축합 생성물이다. 유리 폴리카르복실산 대신에, 저급 알콜의 상응하는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상응하는 폴리카르복실산 에스테르는 또한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디올의 예는 에틸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및 이성질체, 네오펜틸 글리콜 또는 히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 글리콜 에스테르이다. 추가로, 폴리올, 예컨대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에리트리톨,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벤젠 또는 트리스히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에틸렌 글리콜 및 디에틸렌 글리콜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카르복실산으로서, 예를 들어 숙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1,10-데칸디카르복실산, 1,12-도데칸디카르복실산, 프탈산, 프탈산 무수물,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피로멜리트산 또는 트리멜리트산이 사용될 수 있다. 아디프산 및 프탈산 무수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에스테르화되는 폴리올의 평균 관능가가 ≥ 2인 경우에, 모노카르복실산, 예컨대 벤조산 및 헥산카르복실산이 추가로 또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 2 내지 ≤ 8의 평균 OH 관능가, ≥ 28 mg KOH/g 내지 ≤ 500 mg KOH/g의 OH가 (DIN 53240) 및 임의로 1급 OH 기를 갖는 화합물이 폴리올 성분 B2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올 성분 B2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출발 분자에 대한 스티렌 옥시드,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부틸렌 옥시드 및/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 생성물이 폴리에테르 폴리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출발 분자는, 예를 들어 물,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 디글리콜, 글리세롤,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프로필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수크로스, 에틸렌디아민, 톨루엔디아민, 트리에탄올아민,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및 이러한 폴리올과 디카르복실산과의 저분자량 히드록실-기-함유 에스테르이다.
예비중합체 B와 관련하여, 폴리올 성분 B2는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 2 내지 8개의 히드록실 기를 갖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각 경우에 ≥ 200 g/mol 내지 ≤ 12,500 g/mol의 수-평균 분자 질량을 갖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로부터 선택된다.
폴리올 성분 B2의 군 내에서,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의 화재 결과는 동일한 OH가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것보다 약간 더 우수하다.
폴리올 성분 B2는 브로민화 및/또는 염소화 폴리올, 예컨대, 예를 들어 익솔(Ixol) M12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경질 PUR/PIR 발포체의 내연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 400 내지 ≤ 1500 범위의 이소시아네이트 지수는 예비중합체 B 및 활성화제 성분 A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 중에 추가로 존재할 수 있다.
예비중합체 B는 당업자에게 그 자체로 공지되고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1-단계 공정에서 제조될 수 있다.
활성화제 성분 A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존재하는 삼량체화 촉매 A1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촉매의 예는 주석(II) 아세테이트, 주석(II) 옥토에이트, 주석(II) 에틸헥사노에이트, 주석(II) 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 디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 말레에이트 및/또는 디옥틸주석 디아세테이트, 또한 트리스-(N,N-디메틸아미노프로필)-s-헥사히드로트리아진, 테트라메틸암모늄 히드록시드 및/또는 소듐 히드록시드 또는 소듐 N-[(2-히드록시-5-노닐페닐)메틸]-N-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옥토에이트, 포타슘 아세테이트 및/또는 포타슘 옥토에이트 또는 상기 언급된 촉매의 혼합물이다.
포타슘 아세테이트가 본 발명의 문맥 내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는 않지만 또한 배제되지 않는 추가의 촉매 성분 A2의 예는, 특히 트리에틸렌디아민,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메틸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1-메틸-4-디메틸아미노에틸피페라진,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디메틸벤질아민, N,N',N"-트리스-(디메틸아미노프로필)헥사히드로트리아진, 트리스-(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디메틸아미노프로필포름아미드,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N,N,N',N'-테트라메틸부탄디아민, 테트라메틸헥산디아민,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메틸디프로필렌트리아민, 테트라메틸디아미노에틸 에테르, 디메틸피페라진, 1,2-디메틸이미다졸, 1-아자비시클로[3.3.0]옥탄, 비스-(2-디메틸아미노에틸), 비스-(디메틸아미노프로필)-우레아, N-메틸모르폴린, N-에틸모르폴린, N-시클로헥실모르폴린, 2,3-디메틸-3,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N-에틸디에탄올아민 및/또는 디메틸에탄올아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민 촉매이다.
예를 들어, 추가의 촉매 성분 A2는 발포 촉매일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 1 중량% 내지 ≤ 14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발포 촉매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아민 촉매를 포함한다.
총 촉매 성분은, 예를 들어 활성화제 성분 A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 1 중량% 내지 ≤ 8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촉매 A1 및/또는 A2를 위한 용매로서, 활성화제 성분 A는 ≥ 400의 OH가를 갖는 단쇄 디올, 예컨대, 예를 들어 디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화제 성분 A는, 특히 활성화제 성분 A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 5 중량% 내지 ≤ 50 중량%의 양으로 거품 안정화제 A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거품 안정화제 A4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 실록산일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에틸렌 옥시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시드의 공중합체로서 구성되고 복합 물질로서 폴리디메틸실록산 라디칼과 함께 구성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난연제 A5, 예를 들어 액체 난연제가 특히 ≥ 3 중량부 내지 ≤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활성화제 성분 A의 중량부에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난연제는 바람직하게는 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난연제 A5는, 예를 들어 문헌 ["Kunststoffhandbuch", Volume 7 "Polyurethane", Chapter 6.1]에 기재되어 있으며; 순수하게 예로서, 오르토인산 및 메타인산의 에스테르가 언급될 수 있으며, 이는 마찬가지로 할로겐을 포함할 수 있다. 난연제 A5의 첨가에 의해, 난연 특성이 추가로 개선되고 바람직한 적용 분야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은 완전히 수발포성일 수 있으며, 즉 발포제 A3으로서 단지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물은 ≥ 5 내지 ≤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따라서 발포제 A3은 탄화수소 발포제, 할로겐화 탄화수소 발포제 및 할로알칸 발포제가 무함유일 수 있다. 표현 "무함유"는 기술적으로 불가피한 미량의 언급된 발포제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어떠한 발포제도 의도적으로 첨가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활성화제 성분 A는 물 이외에도 추가의 발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특히 포름산, 이산화탄소, 질소, 플루오린화 탄화수소, 선형 탄화수소 및 시클릭 탄화수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추가의 발포제는, 발포제 A3에 비해, 전체 발포제 A3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 95 중량%의 중량에 의한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 및 실시양태는 하기에 기재될 것이다. 이는 문맥으로부터 달리 명백하게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 바람직하게 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반응 혼합물, 특히 활성화제 성분 A는 < 400 mg KOH/g의 OH가를 갖는 어떠한 폴리올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소시아네이트-종결 예비중합체와, 하나 이상의 삼량체화 촉매 및 하나 이상의 발포제를 포함하는 활성화제 성분 A와의 반응은 반응 용액 중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 400 mg KOH/g의 OH가를 갖는 특히 장쇄 폴리올 화합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 400 mg KOH/g의 OH가를 갖는 임의의 특히 단쇄 폴리올 화합물, 예컨대, 예를 들어 촉매 화합물에 사용되는 용매, 예를 들어 디에틸렌 글리콜은 활성화제 성분 A 중에 존재할 수 있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반응 혼합물, 특히 활성화제 성분 A는 난연제 A5를 포함하지 않는다. 기재된 성분을 사용하는 상기 기재된 반응은 이미 매우 우수한 난연성을 수득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밝혀졌다. 따라서, 적용에 따라, 추가의 난연제 A5를 반응 혼합물 또는 활성화제 성분 A에 첨가하여 분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DIN 4102에 따라 결정가능한 화재 방지 클래스 B2에서 분류될 수 있는 경질 PUR/PIR 발포체를 제조하는 것이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이미 가능하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 75%의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로의 전환 기여가 예비중합체 B 및 활성화제 성분 A의 반응에서 달성된다. 전환 기여는 예를 들어 ATR-FTIR 분광분석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소시아누레이트, 카르보디이미드 및 우레탄 또는 우레아로의 반응의 총 NCO 전환 및 전환 기여는 관련 밴드 (2270 cm-1에서의 NCO, 1410 cm-1에서의 이소시아누레이트, 2130 cm-1에서의 카르보디이미드, 및 3400 cm-1에서의 우레탄 및 우레아에 대한 NH 신축 진동)의 피크 면적으로부터 계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매우 우수한 난연 특성 또는 화재 방지 특성이 심지어 이소시아누레이트 기로의 이러한 낮은 전환 기여와 함께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발견은 우수한 화재 방지 또는 난연성이 단지 이소시아누레이트 기의 높은 수 또는 이소시아누레이트 기로의 높은 전환 기여에 의해 가능하다는 널리 유지된 의견과 대조적이다.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로의 전환 기여는 특히 이소시아누레이트 기로의 발생되고 있는 반응의 기여를 의미할 수 있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반응 혼합물을 기판에 분무 적용하는 추가의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활성화제 성분 A 및 예비중합체 B는 기판 상에 분무될 수 있다. 기판 표면의 온도는, 예를 들어 ≥ 20℃ 내지 ≤ 70℃, 바람직하게는 ≥ 30℃ 내지 ≤ 60℃ 범위일 수 있다. 분무 적용 및 발포체의 경화 후에, 추가의 층이 발포체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커버 층은 이렇게 처리된 기판에 압출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예를 들어 우수한 난연 특성을 갖는 단열은, 특히 단순한 적용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건물에서의 구조적 요소, 예컨대 벽, 천장 및 바닥, 또는 액체 또는 기체상 매질을 위한 파이프가 기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예비중합체 B 및 활성화제 성분 A는 개별적으로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노즐의 분무 채널 내로 도입되고 분무 채널 내에서 혼합되며, 여기서 분무 채널이, 하나 이상의 혼합 기체가 하나 이상의 접선으로 배열된 기체 채널을 통해 도입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수준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분무 채널 내에서 예비중합체 B 및 활성화제 성분 A를 기체 스트림과 하나 이상의 혼합 수준으로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체 채널 또는 채널들의 접선 배열에 의해, 반경류 성분은 이에 따라 축류에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반경류 성분의 결과로서, 성분, 이 경우에 예비중합체 B 및 활성화제 성분 A는 서로 함께 집중적으로 혼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체 스트림이 분무 채널에 들어감에 따라 기체 스트림의 흐름의 방향은 분무 채널의 중심 밖으로 흐른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특히 소위 LIA (liquid injection by airstream: 공기 스트림에 의한 액체 주입) 공정이 발생한다.
기체 스트림은, 예를 들어 공기 스트림, 질소 스트림, 영족 기체 스트림, 이산화탄소 스트림 및/또는 이산화질소 스트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기체 스트림은 액체 및/또는 고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혼합 기체가 형성될 수 있다. 액체 및/또는 고체는,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에 또는 활성화제 성분 A에 도입되는 첨가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를 추가로 제공한다.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는 바람직하게는 난연 특성, 절연 특성 및 안정성 특성을 갖는다. 특히, 경질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는 낮은 열 전도율의 계수 및 높은 내열성과 함께 매우 낮은 가연성 및 높은 압축 강도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는 ≤ 150 kg/m3의 벌크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밀도 범위에서, 발포체는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매트릭스에 대한 밀폐된 기체 부피의 특히 우수한 비를 가지고, 그 결과 열 전도율은 특히 낮을 수 있으며, 이는 특히 우수한 단열을 초래할 수 있다. 밀도는 10 cm의 모서리 길이를 갖는 정육면체의 질량을 결정함으로써 단순화된 방법으로 계산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는 화재 시험/모서리에서 DIN 4102-1에 따라 결정가능한 ≤ 150 mm의 화염 높이를 가지고/거나,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는 화재 시험/표면에서 DIN 4102-1에 따라 결정가능한 ≤ 150 mm의 화염 높이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특히 유리한 화재 방지 거동이 가능하다. 화재 시험/모서리 및 화재 시험/표면은 DIN 4102-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각 모서리 화염 및 표면 화염을 포함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는 DIN 52616에 따라 결정가능한 ≤ 32 mW/(m × K)의 열 전도율의 계수를 갖는다. 따라서, 특히 우수한 단열 거동이 보장된다.
추가 실시양태에서,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는 DIN 826에 따라 결정가능한 ≥ 0.20 MPa의 압축 강도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는 ≥ 0.3 MPa의 압축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는 특히 높은 치수 안정성을 수득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단열 구조 부재의 제조에서 본 발명에 따른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단열 구조 부재의 예는, 예를 들어 절연 발포체, 건물 부분, 파이프, 블록 발포체, 패널 또는 샌드위치 요소를 포함한다.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는 추가로 건물에서 벽, 천장 및 바닥을 위한 절연 층에, 또는 복합 물질의 구성성분, 예컨대, 예를 들어 수송 액체 또는 기체상 매질을 위한 단열 파이프로서 매우 적합하다. 특히 단열 구조 부재의 경우에,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가 우수한 열 전도율의 계수를 가지면서 동시에 우수한 화재 방지 거동 및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를 포함하는 단열 구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 부재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건물에서 벽, 천장 및 바닥을 위한 절연 층, 또는 복합 물질의 구성성분, 예컨대, 예를 들어 수송 액체 또는 기체상 매질을 위한 단열 파이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용어:
이소시아네이트 블렌드 1: 2,2'-MDI (0.4 중량%), 2,4'-MDI (55 중량%), 4,4'-MDI (44.6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 2.0의 평균 관능가.
이소시아네이트 블렌드 2: 2,2'-MDI (0.3 중량%), 2,4'-MDI (4.2 중량%), 4,4'-MDI (49.1 중량%), 3-핵 MDI (32.2 중량%), 4-핵 MDI (14.2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 2.9의 평균 관능가.
폴리올 1: 37 mg KOH/g의 히드록실가 (DIN 53240) 및 3의 평균 OH 관능가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출발 성분으로서의 글리세롤과 에틸렌 옥시드 및 프로필렌 옥시드와의 반응으로부터 수득되며, 폴리에테르 폴리올 중의 에틸렌 옥시드 단위 (EO) 대 프로필렌 옥시드 단위 (PO)의 비는 71 중량%/29 중량%임.
폴리올 2: 112 mg KOH/g의 히드록실가 (DIN 53240) 및 2의 평균 OH 관능가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출발 성분으로서의 프로필렌 글리콜과 프로필렌 옥시드와의 반응으로부터 수득됨.
폴리올 3: 폴리(디에틸렌 글리콜 아디페이트), 산가 0.5, OH가 112 mg KOH/g, 2의 평균 OH 관능가.
폴리올 4: 35 mg KOH/g의 히드록실가 (DIN 53240) 및 3의 평균 OH 관능가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출발 성분으로서의 글리세롤과 에틸렌 옥시드 및 프로필렌 옥시드와의 반응으로부터 수득되며, 폴리에테르 폴리올 중의 에틸렌 옥시드 단위 (EO) 대 프로필렌 옥시드 단위 (PO)의 비는 13.5 중량%/86.5 중량%임.
폴리올 5: 56 mg KOH/g의 히드록실가 (DIN 53240) 및 2의 평균 OH 관능가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출발 성분으로서의 프로필렌 글리콜과 프로필렌 옥시드와의 반응으로부터 수득됨.
PIR 촉매: 디에틸렌 글리콜 중 포타슘 아세테이트 (1:3) (삼량체화 촉매)
발포 촉매: 30 중량% 디프로필렌 글리콜 중에 용해된 니악스(Niax)® A1 70 중량% 비스-(2-디메틸아미노에틸) 에테르 (모멘티브(Momentive))
거품 안정화제: 테고스탭(Tegostab)® B 8645 (에보닉(Evonik))
하기 표에서,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B1 및 폴리올 B2로 이루어진 이소시아네이트-종결 예비중합체 B의 조성물이 제시되며, 여기서 실시예 1 내지 11 (표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고, 반면에 비교 실시예 12 내지 15 (표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시하지 않는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3>
Figure pct00003
<표 4>
Figure pct00004
후속적으로 활성화제 성분 A를 사용하여 상기 기재된 표에 따라 제조된 예비중합체 B로부터 시험 시편을 제조하였다.
활성화제 성분 A는 각각 첨가제로서의 발포 촉매 A2 (니악스 A1; 활성화제 성분 A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7 중량%), PIR 촉매 A1 (디에틸렌 글리콜 중 포타슘 아세테이트, 1:3; 활성화제 성분 A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39 중량%), 거품 안정화제 A4 (테고스탭 B8465; 활성화제 성분 A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29 중량%) 뿐만 아니라 발포제 A3으로서의 물 (활성화제 성분 A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25 중량%의 양)을 포함하였다.
시험 시편의 제조:
3가지 상이한 유형의 시험 시편을 시험을 위해 제조하였다:
1. 유리 발포체로부터의 발포체 샘플,
2. 힌지식-뚜껑 금형 내에서의 패널의 발포로부터의 발포체 샘플,
3. 동일한 코어 밀도를 갖는, 화재 특성의 명확화를 위한 힌지식-뚜껑 금형 내에서의 약간 압축된 패널의 발포로부터의 발포체 샘플.
하기 반응 파라미터가 항목 1 내지 3에 대해 일반적으로 적용되었다:
- 원료 온도 23℃
- 교반기 속도 2000 rpm (펜드라울릭(Pendraulik) 교반기)
- 교반 시간 6 내지 8초
- 활성화제 성분 A를 반응 용기 내에 두고, 예비중합체 B를 제2 성분으로서 첨가하였음
- 각 경우에 항목 2 + 3에 대한 금형 온도는 45℃였음
- 모든 발포체를 800의 지수로 제조하였음.
1과 관련하여, 특정한 양의 활성화제 성분 A를 종이 컵에 도입하고, 23℃의 온도로 조정하였다. 이미 예열된 예비중합체 B를 지수 800에 대해 계산된 양으로 활성화제 성분 A에 첨가하고, 2000 rpm에서 6-8초 동안 혼합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종이 패키지에 붓고, 하기 특성을 결정하였다:
- 반응성 (경화 시간)
- 코어 벌크 밀도 (발포체의 중간으로부터의 벌크 밀도 (kg/m3)).
2와 관련하여, 패널을 제조하기 위해, 힌지식-뚜껑 금형 (1100 mm * 300 mm * 50 mm)을 45℃로 가열하고, 종이로 라이닝하였다. 활성화제 성분 A 및 예비중합체 B를 큰 종이 컵 내에서 함께 혼합하여 1080 g의 총량을 수득하였다 (지수 800을 유지하면서).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개방된 힌지식-뚜껑 금형에 직접 붓고, 금형을 닫았다.
하기 특성을 생성된 시험 시편으로부터 결정하였다:
- 코어 벌크 밀도 (DIN EN ISO 845에 따라)
- 압축 강도 (DIN 826)
- 열 전도율 (DIN 52616)
- 화염 거동 (DIN 4102-1).
3과 관련하여, 항목 2 하에 언급된 힌지식-뚜껑 금형을 삽입에 의해 700 mm * 300 mm * 50 mm의 치수로 감소시키고, 마찬가지로 45℃의 온도로 조정하고, 종이로 라이닝하였다. 실시예 2의 예비중합체 B에 대해, 85 kg/m3의 충전 벌크 밀도를 선택하였다.
실시예 4 및 5에 대해 비슷한 코어 벌크 밀도를 달성하기 위해, 둘 다에 대해 90 kg/m3의 충전 벌크 밀도를 선택하였다. 항목 2 하에 발포를 수행하였다. 하기 특성을 생성된 시험 시편으로부터 결정하였다:
- 코어 벌크 밀도 (DIN EN ISO 845에 따라)
- 화염 거동 (DIN 4102-1)
- IR 분광분석법에 의한 PIR 전환.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시험 시편의 경우에, 경도를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결정하고, 경질로 분류하였다. 마찬가지로 취성을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결정하고, 우수한 것으로 분류하였다. 특별히 경도의 경우에, 비교 실시예에서 경도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구체적으로, 낮은 NCO 퍼센트를 갖는 비교 실시예는 비교적 보다 낮은 경도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파라미터의 설정이 제조된 시험 시편의 특성에 대해 예상치 못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실시예에 의해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 하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패널과 관련한 결과로부터 화재 결과가 이소시아네이트의 관능가를 증가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원칙적으로, 모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DIN 4102-1에 따라 결정가능한 우수한 난연 특성 또는 화재 방지 특성을 제시한다.
실시예 4를 6과, 및 5를 7과 비교함으로써, 압축 강도는 폴리올 관능가를 증가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실시예 4 및 5의 비교는, 예를 들어 우수한 난연 특성이 경질 발포체 C의 벌크 밀도에 직접적으로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제시한다.
이소시아네이트 블렌드 1 및 2의 관능가는 생성된 발포체 밀도에서 즉시 효과를 갖는 것으로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55 내지 85 kg/m3 범위에서 특히 바람직한 밀도를 갖는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해, ≥ 2.3 내지 ≤ 2.9의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가 유리하다. 더욱이, 이러한 관능가가 또한 화염 거동에 대한 긍정적 기여를 하는 것이 실시예로부터 명백하다.
폴리에테르 (폴리올 1, 2, 4 및 5)는 추가로 개선된 화재 결과를 나타내면서 동시에 유사한 벌크 밀도, 열 전도율의 계수 및 압축 강도를 제시한다.
상기 언급된 실시예를 NCO 기의 이소시아누레이트 기, 우레탄 기 및 우레아 기 뿐만 아니라 카르보디이미드 기로의 그의 총 전환 또는 그의 비전환에 대해 추가로 시험하였다.
제조된 시험 시편의 ATR-FTIR 분광분석법 (브루커 버텍스(Bruker VERTEX) 70 분광계에서의 미라클(MIRacle) ATR-FTIR 부착)을 사용한 분광분석법에 의해 발포체 코어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얇은 디스크를 각각의 시험 시편으로부터 제조하였고, 각각 2 cm의 간격에서 10개의 스펙트럼을 그 위에 기록하여 균일성을 평가하였다.
시험의 결과는 표 5에 나타낸다.
<표 5>
Figure pct00005
하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내의 차이가 논의되었으며, 이들 모두가 이미 우수한 화재 방지 거동을 나타내었다.
2.9의 비교적 보다 높은 NCO 관능가를 갖는 실시예 5가 비교적 보다 낮은 NCO 관능가 (2.3)를 갖는 실시예 2 및 4 (각각 63% 및 62%)와 비교하여 53%의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로의 또는 이소시아누레이트 기로의 보다 낮은 전환 기여를 갖는 것이 명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시예 5는 실시예 2 및 4와 비교하여 개선된 화재 방지 거동 또는 난연 거동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예비중합체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총 NCO 전환 및 이소시아누레이트로의 전환은 보다 높은 NCO 관능가를 갖는 경우에 낮은 관능가의 경우보다 더 낮다. 따라서, 출발 물질에 이미 적용된 보다 강한 가교는 반응을 특히 최종 단계에서 방해할 수 있다. 총 전환은 EO-풍부 예비중합체를 갖는 2 시스템에서 PO-풍부 예비중합체를 갖는 시스템에서보다 더 높은 경향이 있다.

Claims (14)

  1. (i) 이소시아네이트-종결 예비중합체 B를
    (ii) 하나 이상의 삼량체화 촉매 A1 및 하나 이상의 발포제 A3을 포함하는 활성화제 성분 A와
    반응 혼합물 중에서 반응시켜 발포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 2.3 내지 ≤ 2.9의 평균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가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B1과 폴리올 성분 B2와의 반응으로부터 수득된 이소시아네이트-종결 예비중합체 B가 사용되고,
    - 활성화제 성분 A가 물을 발포제 A3으로서 ≥ 5 중량% 내지 ≤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 반응 혼합물 중의 이소시아네이트 지수가 ≥ 400 내지 ≤ 1500 범위이고,
    - 예비중합체 B의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이 예비중합체 B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 21 중량% 내지 ≤ 30 중량% 범위이며,
    - 여기서, 예비중합체 B 및 활성화제 성분 A의 반응에서 ≤ 75%의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로의 전환 기여가 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이 < 400 mg KOH/g의 OH가를 갖는 어떠한 폴리올도 함유하지 않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이 난연제 A5를 함유하지 않는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을 기판에 분무 적용하는 추가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비중합체 B 및 활성화제 성분 A가 개별적으로 유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노즐의 분무 채널 내로 도입되고 분무 채널 내에서 혼합되며, 여기서 분무 채널이, 하나 이상의 혼합 기체가 하나 이상의 접선으로 배열된 기체 채널을 통해 도입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수준을 갖는 것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종결 예비중합체 B가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시아네이토-디시클로헥실메탄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B1, 및 하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올 성분 B2로부터 수득되는 것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이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출발 분자에 대한 스티렌 옥시드,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부틸렌 옥시드 및/또는 에피클로로히드린 중 적어도 하나의 부가 생성물이 폴리에테르 폴리올로서 사용되는 것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삼량체화 촉매 A1이 주석(II) 아세테이트, 주석(II) 옥토에이트, 주석(II) 에틸헥소에이트, 주석(II) 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 디아세테이트,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 말레에이트 및/또는 디옥틸주석 디아세테이트, 트리스-(N,N-디메틸아미노프로필)-s-헥사히드로트리아진, 테트라메틸암모늄 히드록시드, 소듐 히드록시드, 소듐 N-[(2-히드록시-5-노닐페닐)메틸]-N-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옥토에이트, 포타슘 아세테이트 및/또는 포타슘 옥토에이트 또는 상기 언급된 촉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
  10. 제9항에 있어서, 화재 시험/모서리에서 DIN 4102-1에 따라 결정가능한, ≤ 150 mm의 화염 높이를 가지고/거나 화재 시험/표면에서 DIN 4102-1에 따라 결정가능한, ≤ 150 mm의 화염 높이를 갖는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DIN 52616에 따라 결정가능한, ≤ 32 mW/(m × K)의 열 전도율의 계수를 갖는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IN 826에 따라 결정가능한, ≥ 0.20 MPa의 압축 강도를 갖는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
  13. 단열 구조 부재의 제조에서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의 용도.
  14.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 C를 포함하는 단열 구조 부재.
KR1020147024772A 2012-02-08 2013-02-05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20140127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54364.9 2012-02-08
EP12154364 2012-02-08
PCT/EP2013/052238 WO2013117541A1 (de) 2012-02-08 2013-02-05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polyurethan-polyisocyanurat-hartschaumstoff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856A true KR20140127856A (ko) 2014-11-04

Family

ID=47633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772A KR20140127856A (ko) 2012-02-08 2013-02-05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718936B2 (ko)
EP (1) EP2812370B1 (ko)
JP (1) JP2015510535A (ko)
KR (1) KR20140127856A (ko)
CN (1) CN104093759B (ko)
BR (1) BR112014019758A2 (ko)
RU (1) RU2014136188A (ko)
WO (1) WO20131175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2176A1 (en) * 2012-01-27 2013-08-01 Tempur-Pedic International, Inc. Low-density foam and foam-based objects
WO2014195275A1 (de) * 2013-06-07 2014-12-11 Bayer Materialscience Ag Elastischer hartschaumstoff mit verbesserter temperaturstabilität
PL3077434T3 (pl) * 2013-12-04 2021-08-02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Układ reakcji dla pianki poliuretanowej 1-K o niskiej zawartości monomeru
CN103755915B (zh) * 2013-12-24 2016-08-17 南京红宝丽股份有限公司 一种聚异氰脲酸酯阻燃泡沫体
CN107001562A (zh) * 2014-12-11 2017-08-01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用于由异氰酸酯制备异氰脲酸酯的催化剂
WO2017074758A1 (en) 2015-10-29 2017-05-0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urethane foam from high functionality polyisocyanate
PL3464410T3 (pl) * 2016-05-31 2020-08-10 Covestro Deutschland Ag System reakcji dla jednoskładnikowej pianki poliuretanowej
WO2018015938A1 (en) * 2016-07-22 2018-01-25 Doors & More S.R.L. High fire-resistant polyisocyanurate, and use thereof to manufacture fire door or window frames and/or profiles therefor
IT201600077120A1 (it) * 2016-07-22 2018-01-22 Doors & More S R L Poliisocianurato compatto ad alta densita’
IT201700020006A1 (it) * 2017-02-22 2018-08-22 Doors & More S R L Uso di poliisocianurato ad esempio per la realizzazione di serramenti o compartimentazioni di sicurezza
IT201700020013A1 (it) * 2017-02-22 2018-08-22 Doors & More S R L Uso di poliisocianurato compatto per la realizzazione di profili per telai di serramenti di sicurezza
JP7216644B2 (ja) * 2016-11-14 2023-02-01 コベストロ、ドイチュラン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前駆体から物体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付加製造法におけるラジカル架橋性樹脂の使用
CN106750124B (zh) * 2016-12-16 2019-06-11 四川东材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喷涂型聚氨酯泡沫塑料用高耐水解发泡料及其制备方法
CN106674465B (zh) * 2016-12-30 2021-07-06 浙江华峰新材料有限公司 聚氨酯鞋底用树脂及制备方法和应用
EP3372625A1 (de) * 2017-03-07 2018-09-12 Covestro Deutschland AG Polyurethanschaum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EP3632947A1 (de) * 2018-10-02 2020-04-08 Covestro Deutschland AG Transluzente polyurethan- oder polyisocyanuratschaumstoffe
JP2022520311A (ja) * 2018-12-14 2022-03-30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硬質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およ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ならびにこれらの調製方法
CN113286836B (zh) * 2019-01-22 2024-02-13 科思创知识产权两合公司 基于双重固化的氨基甲酸酯和异氰脲酸酯聚合物的复合材料
US11053340B2 (en) * 2019-03-08 2021-07-06 Covestro Llc HCFO-containing isocyanate-reactive compositions, related foam-forming compositions and PUR-PIR foams
EP3941955B1 (en) * 2019-03-19 2023-12-13 Basf Se Polyol component and use thereof for producing rigid polyurethane foams
WO2021130093A1 (en) * 2019-12-23 2021-07-01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Composition for forming polyurethane foam
US20210395433A1 (en) * 2020-06-22 2021-12-23 Ses Foam, Llc Polyisocyanurate Foams with Flame Retardant Propertie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6888158B1 (ja) * 2020-06-30 2021-06-16 株式会社イノアック技術研究所 樹脂組成物及び発泡体
US20220153911A1 (en) * 2020-11-18 2022-05-19 Covestro Llc Polyurethane and polyisocyanurate hybrid material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20220153910A1 (en) * 2020-11-18 2022-05-19 Covestro Llc Polyurethane and polyisocyanurate hybrid coatings
CN112694585B (zh) * 2020-12-25 2022-07-19 山东一诺威新材料有限公司 深海传输管道接口保温用硬质聚异氰脲酸酯节点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479048B (zh) * 2021-12-22 2023-11-10 山东一诺威新材料有限公司 聚合物基硬泡聚醚多元醇的制备方法
CN114773565A (zh) * 2022-03-09 2022-07-22 安丹达工业技术(上海)有限公司 阻燃热塑性聚氨酯树脂及其制备方法及其应用和防护服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04394A (en) 1964-04-08 1968-02-28 Gen Tire & Rubber Co The preparation of polyisocyanurates
US4299924A (en) * 1979-08-10 1981-11-10 Toyota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Polyisocyanurate resin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4780485A (en) * 1986-12-22 1988-10-25 Harry A. Fischer Isocyanurate foa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GB8712363D0 (en) * 1987-05-26 1987-07-01 Ici Plc Polyisocyanurate rigid foams
DE4421817A1 (de) 1994-06-22 1996-01-04 Bayer Ag Verfahren zur Isolierung von Rohren
WO2004111101A1 (en) 2003-06-12 2004-12-23 Huntsman International Llc Process for preparing a polyisocyanurate polyurethane material
DE102004042525A1 (de) 2004-09-02 2006-03-09 Bayer Materialscience Ag Auf aliphatischen Polyesterpolyolen basierende PUR-/PIR-Hartschaumstoffe
WO2007007577A1 (ja) * 2005-07-08 2007-01-18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水発泡硬質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形成用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水発泡硬質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水発泡硬質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
JP5044560B2 (ja) 2005-10-13 2012-10-10 ハンツマ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エルエルシー 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ポリウレタン材料の調製方法
EP1940899B1 (en) 2005-10-13 2009-08-05 Huntsman International Llc Process for preparing polyisocyanurate polyurethane material
DE502008000184D1 (de) 2007-03-05 2009-12-31 Basf Se Kompaktes Polyisocyanurat mit verbesserten Verarbeitungs-und Produkteigenschaften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2272181A (zh) * 2008-11-10 2011-12-07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异氰酸酯三聚催化剂体系,前体制剂,使异氰酸酯三聚的方法,由其制备的硬质聚异氰脲酸酯/聚氨酯泡沫体,和制备这种泡沫体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4136188A (ru) 2016-03-27
BR112014019758A2 (pt) 2019-09-24
WO2013117541A1 (de) 2013-08-15
CN104093759B (zh) 2016-09-21
EP2812370B1 (de) 2015-11-04
US9718936B2 (en) 2017-08-01
CN104093759A (zh) 2014-10-08
US20150051301A1 (en) 2015-02-19
EP2812370A1 (de) 2014-12-17
JP2015510535A (ja) 2015-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7856A (ko) 경질 폴리우레탄-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의 제조 방법
CA2517551C (en) Pur/pir rigid foams based on aliphatic polyester polyols
RU2237678C2 (ru) Мелкопористые, водовспененные жесткие пенополиуретаны
KR102018406B1 (ko) 경질 폴리우레탄 폼 및 경질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폼의 제조 방법
EP2652000B1 (en) Polyurethane and polyisocyanurate foams
JP2018519387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
JP7459112B2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
US20140162006A1 (en) Water-blown pur/pir rigid foam material that can be sprayed
CN112105663A (zh) 生产聚氨酯/聚异氰脲酸酯(pur/pir)硬质泡沫材料的方法
JP6265977B2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造用のポリエステルオール
CN112020526A (zh) 生产聚氨酯/聚异氰脲酸酯(pur/pir)硬质泡沫材料的方法
CA2763561A1 (en) Polyester polyols made of isophthalic acid and/or terephthalic acid and oligoalkyl oxides
CA3125572A1 (en) Production of rigid polyurethane foam
TW201936740A (zh) 利用曼尼希多元醇製造硬質聚胺基甲酸酯發泡材複合物元件的方法
EP3426708B1 (en) Polyurethane and polyisocyanurate foam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US20220411567A1 (en) Imide-containing polyester polyols and intumescent rigid foams
WO2017198747A1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isocyanurate rigid foams
JP4461417B2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およ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RU251993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ложных полиэфирполиолов с низ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побочного диоксана
CA3188780A1 (en) Polyisocyanurate resin foam having high compressive strength,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surface quality
KR20240090526A (ko)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에틸렌 옥시드계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기초로 하는 개선된 경질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