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973A -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1973A
KR20140121973A KR20130038311A KR20130038311A KR20140121973A KR 20140121973 A KR20140121973 A KR 20140121973A KR 20130038311 A KR20130038311 A KR 20130038311A KR 20130038311 A KR20130038311 A KR 20130038311A KR 20140121973 A KR20140121973 A KR 20140121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server system
content
user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8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혁
Original Assignee
고포디 테크놀로지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포디 테크놀로지 엘엘씨 filed Critical 고포디 테크놀로지 엘엘씨
Priority to KR20130038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1973A/ko
Publication of KR2014012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electronic receip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서버시스템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제공한 사용자의 입체경의 고유번호와 스마트폰 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체경과 스마트폰에 대한 인증절차를 처리하고, 인증된 스마트폰에 설치된 3D 콘텐츠 재생용 3D 뷰어 앱을 활성화시켜준다. 인증된 스마트폰의 활성화된 3D 뷰어 앱이 원하는 콘텐츠를 요청하면, 서버시스템은 요청된 콘텐츠를 해당 스마트폰으로 전송해준다.

Description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ents consumption using certification for stereoscope}
본 발명은 입체영상(3-dimensional image/video)으로 제작된 콘텐츠의 소비를 제어하는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체경(stereoscope)에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그 고유번호를 매개로 한 인증 절차를 통과한 사용자의 스마트폰만이 입체영상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년 전부터 입체영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콘텐츠도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입체영상은 영화관이나 TV를 통해서도 보지만, 스마트폰 등과 같이 화면이 작은 휴대용 재생기기(이하에서는 스마트폰은 휴대용 재생기기의 대표로서 언급함)를 통해서도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용 입체영상 콘텐츠도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랜티큘러 막을 디스플레이에 부착하여 2차원 영상이 3차원 영상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무안경식 랜티큘러 방식이 있다. 그런데 이 방식은 애초에 3차원 영상을 염두에 두고 제작한 3D 영상과 3D 전용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되는 영상에 비해서는 입체감이 아무래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착용의 불편함을 감수하더라도 입체경(3D 안경)을 사용하는 방법이 나은 평가를 받고 있다.
입체영상 콘텐츠의 보급 확대에 발맞추어 스마트폰용 입체경의 보급도 늘고 있는 추세이다. 입체영상 콘텐츠의 소비시장 규모가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라 입체영상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사업적 관점에서 접근하려는 시도들이 있다.
입체영상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사업적으로 수행함에 있어서, 사업자들은 스마트폰용 입체영상 콘텐츠의 소비를 적절히 제어하면서, 가능하다면 연관된 사업을 함께 도모할 필요성을 가질 것이다.
입체경 이용 방법에 기반을 둔 입체영상 콘텐츠 제공 서비스 사업은 사용자가 입체경을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함을 전제한다. 본 발명은 이런 점에 착안하여, 입체경에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그것을 매개로 하여 입체경과 스마트폰을 인증하는 것에 의해 스마트폰용 입체영상 콘텐츠의 소비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버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가 제공한 사용자의 입체경의 고유번호와 스마트폰 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체경과 스마트폰에 대한 인증절차를 처리하고, 인증된 스마트폰에 설치된 3D 콘텐츠 재생용 3D 뷰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3D 뷰어 앱'이라 함)을 활성화시키는 제1 단계; 및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인증된 스마트폰의 활성화된 상기 3D 뷰어 앱이 요청한 콘텐츠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일예에 따르면,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퍼스널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서, 상기 입체경의 고유번호를 사용자의 스마트폰 번호와 함께 상기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1 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수신된 고유번호가 상기 서버시스템에 등록된 고유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해 인증번호를 발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 번호로 전송하는 제1-2 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전송한 상기 인증번호를 수신하여 기 발행한 인증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상기 3D 뷰어 앱의 활성화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 번호로 전송하는 제1-3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3D 뷰어 앱이 상기 활성화 정보에 의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그 때부터 상기 서버시스템에 콘텐츠를 요청하여 상기 입체경으로 입체영상 시청이 가능하도록 재생할 수 있게 되는 제1-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판매된 입체경의 고유번호를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하는 제1-1 단계; 상기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퍼스널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서, 사용자의 입체경의 고유번호를 사용자의 스마트폰 번호와 함께 상기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2 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가 전송한 상기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DB에 등록된 고유번호와 일치하여 인증 가능한 고유번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1-3 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인증 가능한 고유번호로 판별되면, 상기 고유번호와 짝을 이뤄 등록할 수 있는 스마트폰 번호의 개수가 아직 남아 있고 상기 스마트폰 번호가 상기 DB에 미등록된 것인 경우에 한해, 상기 스마트폰 번호를 상기 DB에 등록하는 제1-4 단계; 상기 제1-4단계 후,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상기 고유번호와 상기 스마트폰 번호에 대한 인증번호를 발급하여 상기 DB에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는 제1-5 단계;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상기 서버시스템이 전송해준 상기 인증번호를, (i) 상기 스마트폰의 폰 번호와 함께 또는 (ii) 상기 고유번호 및 상기 스마트폰 번호와 함께, 상기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6 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수신된 상기 인증번호, 상기 입체경의 고유번호 및 상기 스마트폰 번호가 모두 상기 DB에 등록된 것과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상기 3D 뷰어 앱의 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는 제1-7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상기 3D 뷰어 앱이 상기 활성화 정보에 의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그 때부터 상기 서버시스템에 콘텐츠를 요청하여 상기 입체경으로 입체영상 시청이 가능하도록 재생할 수 있게 되는 제1-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이 상기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상기 콘텐츠의 영상은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맞게 만들어진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3D 뷰어 앱은 적어도 상기 서버시스템에 콘텐츠를 요청하는 기능과, 요청에 응해 상기 서버시스템이 제공해주는 콘텐츠를 사용자가 상기 입체경으로 보았을 때 입체영상으로 보이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을 좌우로 양분하고, 상기 좌안용 영상과 상기 우안용 영상을 상기 스마트폰의 좌반분 화면과 우반분 화면에 각각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활성화 정보는 상기 두 기능을 정상 작동하도록 활성화 시켜준다.
상기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상기 3D 뷰어 앱이 실행 시 초기단계에서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해 활성화 상태로 된 것인지 여부를 체크하여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서버시스템에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인증절차를 거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요청하는 스마트폰의 폰 번호가 상기 서버시스템에 등록된 폰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상기 3D 뷰어 앱이 요청한 콘텐츠에 소정의 광고콘텐츠를 결합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전송 내역을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해두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상기 3D 뷰어 앱은,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어떤 사용자가 어떤 콘텐츠를 몇 회 시청하였는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되면 스마트폰 번호, 콘텐츠의 재생횟수와 재생시간을 포함하는 재생 내역을 상기 서버시스템에 보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보고받은 상기 재생 내역을 상기 DB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은,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그 제공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은,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광고주가 제공한 광고콘텐츠와 정해진 광고노출 스케줄을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상기 콘텐츠를 요청하는 스마트폰 번호가 상기 광고노출 스케줄의 적용을 받아야 하는 입체경의 고유번호와 연관된 것인지 체크하여 강제적 광고노출 대상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체크 결과 상기 스마트폰 번호가 강제적 광고노출 대상에 해당하면, 정해진 광고노출 스케줄에 따라 소정의 광고콘텐츠와 광고노출스케줄을 상기 스마트폰의 3D 뷰어 앱이 요청한 콘텐츠와 결합하여 함께 상기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3D 뷰어 앱이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의 재생과 더불어 상기 광고콘텐츠도 상기 광고노출 스케줄에 따라 재생되도록 하는 강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상기 3D 뷰어 앱은,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어떤 사용자가 어떤 콘텐츠를 몇 회 시청하였는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되면 스마트폰 번호, 콘텐츠의 재생횟수와 재생시간을 포함하는 재생 내역을 상기 서버시스템에 보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보고받은 상기 재생 내역을 상기 DB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은,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상기 강제적 광고노출 대상인 스마트폰이 상기 광고노출 스케줄에 정해진 광고노출조건을 다 만족시켰는지 여부를 상기 DB에 조회하여 체크하고, 다 만족시킨 경우 그 스마트폰으로는 더 이상 광고콘텐츠의 노출을 강제하지 않도록 상기 DB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입체경의 고유번호 및 스마트폰 번호와 서버시스템이 제공한 인증번호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제공하여 상기 입체경과 스마트폰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기능, 인증 성공에 따라 상기 서버시스템이 제공한 활성화 정보에 의해 활성화 되어 상기 서버시스템에 원하는 콘텐츠를 요청하는 기능, 그리고 상기 서버시스템이 제공한 콘텐츠를 상기 입체경으로 보았을 때 입체영상으로 보이도록 렌더링(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3D 뷰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3D 뷰어 앱'이라 함); 및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제공한 상기 입체경의 고유번호와 스마트폰 번호, 그리고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입체경과 상기 스마트폰에 대한 인증절차를 처리하는 기능, 인증에 성공한 스마트폰에 설치된 3D 뷰어 앱을 활성화시켜주는 기능, 상기 스마트폰의 활성화 된 3D 뷰어 앱이 요청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3D 뷰어 앱은, 상기 스마트폰에서 실행될 때 초기단계에서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해 활성화 상태로 된 것인지 여부를 체크하여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서버시스템에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인증절차를 거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더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시스템은, 콘텐츠를 요청하는 스마트폰의 폰 번호가 상기 서버시스템에 등록된 폰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기능은,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판매된 입체경의 고유번호를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하는 기능, 상기 스마트폰의 3D 뷰어 앱이 전송한 입체경의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DB에 등록된 고유번호와 일치하여 인증 가능한 고유번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 인증 가능한 고유번호로 판별되면, 상기 고유번호와 짝을 이뤄 등록할 수 있는 스마트폰 번호의 개수가 아직 남아 있고 상기 스마트폰 번호가 상기 DB에 미등록된 것인 경우에 한해, 상기 스마트폰 번호를 상기 DB에 등록하는 기능, 상기 고유번호와 상기 스마트폰 번호에 대한 인증번호를 발급하여 상기 DB에 등록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인증번호를 상기 고유번호 및 상기 스마트폰 번호와 함께 전송하면 그 세 가지 정보를 수신하여 모두 상기 DB에 등록된 것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기능, 상기 세 가지 정보 모두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입체경과 상기 스마트폰이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처리하고 상기 스마트폰 번호로 상기 3D 뷰어 앱의 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부기능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기 3D 뷰어 앱이 요청한 콘텐츠에 소정의 광고콘텐츠를 결합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전송 내역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두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체경의 보급이 크게 늘어날 수 있다. 입체경을 매개로 한 인증을 통해 콘텐츠 소비 권한을 확실히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 제공 사업자는 안정된 사업 환경 속에서 3D 콘텐츠를 대량으로 만들어 보급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질 수 있게 된다. 특히, 광고주와 연계한 비즈니스 모델은 광고주로 하여금 입체경을 대량으로 구매하여 소비자에게 보급하도록 만들 수 있는 좋은 유인 효과가 있다. 입체경의 보급 확대는 결국 스마트폰용 3D 콘텐츠를 더 많이 만들 수 있는 분위기가 되고, 이는 다시 입체경의 수요를 신장시켜, 3D 콘텐츠 문화 보급의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질 수 있다.
광고 콘텐츠도 3D로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다. 3D 광고콘텐츠는 2D 광고콘텐츠에서는 보여 주기 힘들었던 더 많은 입체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다 사실적인 상품을 홍보 할 수 있게 해 주며, 소비자에게 맞는 타겟 마케팅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교육용 콘텐츠, 문화 콘텐츠는 물론 3차원 가상 쇼핑몰 및 갤러리 등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4차원 영상물의 산업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기존 TV나 퍼스널 컴퓨터용 3D 콘텐츠는 영상을 즐기는 데만 그치지만, 본 발명처럼 스마트폰과 입체안경으로는 가속센서와 위치센서를 이용한 가상공간형 개임과 기구물과 연동하여 4차원적인 체험을 경험하게 하여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입체영상 콘텐츠의 소비 제어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경의 고유번호의 인증 및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등록을 위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인증 및 등록받은 입체경과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원하는 콘텐츠를 요청하여 소비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입체경의 고유번호의 인증 및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등록을 위해 3D 뷰어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입체영상 콘텐츠의 소비 제어를 위한 시스템은 크게, 콘텐츠 제공 사업자의 서버시스템(100), 콘텐츠 소비자인 사용자의 스마트폰(200)과 입체경(250), 그리고 스마트폰(200)과 서버시스템(100)간의 통신을 지원해주는 통신시스템(400)으로 이루어진다. 서버시스템(100)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관련된 여러 가지 데이터베이스(DB)(151, 152, ..., 157)를 포함한다. 서버시스템(100)은 예컨대 사용자와 광고주의 개인용 컴퓨터 및 스마트폰의 요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와 DB들을 관리하는 DB관리서버(150)를 별도로 마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서버시스템(100)의 하드웨어 구성은 인터넷 및/또는 이동통신망 기반의 서비스 관련 분야에서 잘 알려진 기술사항이고, 본 발명의 핵심에 관한 사항은 아니므로 여기서는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마트폰(200)은 후술할 3D 뷰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viewer application program, 이하에서는 간단히 '3D 뷰어 앱'이라 함)(210)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여 3D 입체영상을 렌더링할 수 있는 수단의 대표적인 것으로 예시한 것이다. 이 3D 뷰어 앱(210)은 서버시스템(100)이 제공해주는 3D 콘텐츠를 입체경(250)으로 보았을 때 입체영상으로 보이도록 그 3D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해주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사용자는 이 3D 뷰어 앱(210)을 자신의 스마트폰(200)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도 4의 (a) 참조). 입체경(250)은 3D 뷰어 앱(210)이 렌더링(재생)하는 화면을 사용자가 입체적으로 감상하도록 해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족하고 다른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의 일부 과정으로서, 입체경(250)을 이용한 인증 절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콘텐츠 제공 사업자는 서버시스템(100)을 갖춘다. 이 서버시스템(100)은 이동통신망, 무선인터넷, 유선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망(400)에 연결되어 클라이언트(스마트폰이나 개인용 컴퓨터 등)의 요청에 대응하여 응답하고,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이 요구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그런데 본 발명의 서버시스템(100)은 이런 역할에 그치지 않고, 아무에게나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이하에서 설명하는 소정의 인증절차를 통과한 입체경(250)을 소유하는 사람의 스마트폰(200) 사용자에 대해서만 콘텐츠를 제공하는 처리를 수행한다는 점에 주요한 특징이 있다. 즉, 사용자는 입체경(250)의 고유번호를 서버시스템(100)을 통해 인증받고 자신의 스마트폰(200)을 등록한 경우에 한해 그 스마트폰(200)으로 서버시스템(100)이 제공해주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사업자는 유상 또는 무상으로 판매되는 입체경(250)에 대한 인증절차를 밟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 무상으로 판매하는 입체경(250)에 대하여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그 고유번호를 입체경 인증에 필요한 다른 여러 가지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DB)(150)에 등록하여 관리한다(S10 단계). 고유번호는 예컨대 각 입체경(250)에 직접 인쇄하거나 또는 사용설명서나 인증 카드 등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입체경(250)은 일반 사용자가 직접 구매할 수도 있고, 광고주가 고객이나 예상 소비자들에게 광고콘텐츠 시청을 조건으로 하여 무상으로 나누어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와 경로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에게 제공된 입체경(250)의 고유번호는 서버시스템(100)의 입체경 인증 DB(151)에 등록된다. 입체경 인증 DB(151)에는, 입체경의 인증을 위해, 입체경의 고유번호 외에, 입체경의 제품코드, 판매일시, 구매자 정보(이름, 연락처), 인증 여부, 인증된 스마트폰 번호, 최대 등록가능 스마트폰 번호 개수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 관리된다.
콘텐츠 제공 사업자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스마트폰용 입체영상 콘텐츠들을 확보하여 3D 콘텐츠 DB(152)에 등록해두고 관리한다(S12 단계). 3D 콘텐츠 DB(152)에는 예컨대 3D 콘텐츠 데이터, 콘텐츠 고유번호, 장르, 이용료, 이용횟수, 이용자, 저작권 관련 사항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이 콘텐츠 제공 서비스는 광고와 연관시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이에 관해서는 후술함). 그 경우, 광고 콘텐츠 DB(153)도 마련될 필요가 있다. 광고 콘텐츠 DB(153)에는 예컨대 광고 콘텐츠 데이터, 광고주, 노출횟수, 노출시간, 노출대상 등의 정보가 저장, 관리된다.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3D 콘텐츠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교육용 콘텐츠, 문화 콘텐츠는 물론 3차원 가상 쇼핑몰 및 갤러리 등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4차원 영상물까지도 준비하여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만이 갖는 특징을 최대한 살리면서 기존의 TV나 퍼스널 컴퓨터용 3D 콘텐츠와는 차별화된 콘텐츠를 많이 제공할 필요가 있다. 기존 TV나 PC용 3D 콘텐츠는 영상을 즐기는 데만 그친다. 하지만, 본 발명처럼 스마트폰과 입체안경으로는 가속센서와 위치센서를 이용한 가상공간형 게임콘텐츠 및 기구물과 연동하여 4차원적인 체험을 경험하게 할 수도 있다.
콘텐츠 제공 사업자는 서버시스템(100)이나 다른 채널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으로 3D 뷰어 앱(210)을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춘다. 입체경(250)을 제공받은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3D 뷰어 앱(210)을 서버시스템(100)이나 지정된 사이트에서 자신의 스마트폰(200)에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여야 한다(S14 단계). 입체경(250) 판매물에 3D 뷰어 앱(210)의 설치를 안내하는 내용을 기재하여, 사용자가 3D 뷰어 앱(210) 설치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3D 뷰어 앱(210)을 자신의 스마트폰(200)에 설치하고 나면 그 3D 뷰어 앱(210)의 아이콘이 스마트폰(200)에 생긴다(도 4의 (a) 참조).
그 3D 뷰어 앱(210)은 활성화 되지 못한 상태에서는 콘텐츠 이용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비활성화 상태의 3D 뷰어 앱(210)을 최초로 실행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서버시스템(100)에 대하여 인증절차를 밟도록 강제하고 그 외의 다른 기능을 제공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3D 뷰어 앱(210)의 활성화는 입체경(250)에 대한 인증절차가 성공했을 때 서버시스템(100)이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는 활성화 정보에 의해 이루어진다.
3D 뷰어 앱(210)을 스마트폰(200)에 설치하고 맨 처음으로 실행하였을 때는 활성화되기 전이다. 비활성화 상태의 3D 뷰어 앱(210)이 실행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인증절차를 밟도록 유도하는 화면(212)이 표시된다(S16 단계).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스마트폰(200)에서 비활성화 상태의 3D 뷰어 앱(210)의 아이콘을 실행하면, 그 3D 뷰어 앱(210)은 사용자가 갖고 있는 입체경(250)의 고유번호를 먼저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화면(212)을 디스플레이 한다(도 4의 (b) 참조). 서비스 이용 약관이나 정책도 함께 제공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약관이나 정책에 동의하여 입체경(250)의 고유번호와 스마트폰 번호를 입력하고서 전송을 지시하면, 3D 뷰어 앱(210)은 입체경(250)의 고유번호를 스마트폰(200)의 폰 번호와 함께 통신망(400)을 통해 서버시스템(100)에 전달한다. 3D 뷰어 앱(210)은 입력된 스마트폰(200) 번호를 저장하여 나중에 활용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물어 저장해둘 수 있다. 스마트폰(200)의 운영체제가 3D 뷰어 앱(210)의 요구에 응하여 스마트폰(200)의 폰 번호를 3D 뷰어 앱(210)에 알려주는 경우에는, 3D 뷰어 앱(210)에 그런 기능을 넣고 사용자가 직접 스마트폰 번호를 입력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형태로, 3D 뷰어 앱(210)이 스마트폰 번호를 굳이 전송하지 않더라도, 3D 뷰어 앱(210)이 전송한 메시지 헤더에 스마트폰 번호가 함께 전송되도록 구성하면, 서버시스템(100)에서 스마트폰 번호를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서버시스템(100)에서는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이 전송해온 입체경(250)의 고유번호와 스마트폰(200)의 폰 번호를 수신한 다음, 그 고유번호가 입체경 인증 DB(151)에 미리 등록해둔 고유번호 중 하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8 단계).
S18 단계의 확인에서, 그 수신된 고유번호가 등록된 고유번호가 아닌 경우, 서버시스템(100)은 고유번호를 보내온 그 스마트폰(200)으로 인증실패 메시지를 전송한다(S30 단계).
이와 달리, S18 단계에서, 그 수신된 고유번호가 등록된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입체경(250)의 그 고유번호와 짝을 이뤄 등록이 허용되는 스마트폰 번호의 개수가 아직 남아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19 단계). 콘텐츠 제공 사업자는 하나의 입체경의 고유번호에 대하여 등록할 수 있는 스마트폰 번호의 최대 개수를 정책적 판단에 따라 적정한 값으로 정할 수 있다. 하나의 입체경에 대하여 이미 최대 등록가능 개수를 초과한 폰 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면, 인증 실패로 처리한다(S30 단계). 예컨대, 콘텐츠 제공 사업자가 하나의 입체경 고유번호에 하나의 스마트폰 번호만을 등록할 수 있도록 허용해주는 정책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인증번호(인증서) 한 개가 이미 발급된 고유번호라면 단계 S19에서 아니오라는 판정이 내려져, 서버시스템(100)은 인증 실패 메시지(S30)를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 이와 달리, 그 고유번호에 등록가능한 스마트폰 번호의 개수가 아직 남아 있으면, 인증 요건을 갖춘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입체경 고유번호에 한 가족(예를 들어 최대 4인)의 스마트폰 번호를 모두 등록시켜주는 정책을 채용한 경우, 하나의 입체경 고유번호에 4개의 스마트폰 번호가 등록될 때까지 단계 S19에서의 판정은 예가 될 것이다.
S19단계에서의 판정 결과가 예라면, 그 수신된 스마트폰 번호가 이전에 사용자 DB(154) 또는 입체경 인증 DB(151)에 기 등록된 사용자의 스마트폰 중 하나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 단계). 서버시스템(100)은 수신된 스마트폰 번호가 이전에 등록된 적이 없이 처음 등록하는 스마트폰 번호인 경우에 한해 DB(151, 154)에 등록한다(S22 단계).
이런 확인을 위해, 서버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번호를 등록, 관리하는 사용자 DB(154)를 운용한다. 입체경(250)의 고유번호로 인증을 받은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의 폰 번호는 사용자 DB(154)에 저장해둔다. 또한, 입체경 인증 DB(151)에도 등록해둔다. 추후 사용자의 입체경(250)과 스마트폰(200) 인증에 활용한다. 사용자 DB(154)에는 인증 받은 스마트폰 번호 외에도,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유 입체경 고유번호, 설치된 앱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위와 같은 절차를 통해, 서버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입체경(250)과 스마트폰(200)이 인증 받을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체경(250)과 스마트폰(200)이 인증 받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서버시스템(100)은 난수로 된 인증번호를 발행하여 입체경 인증 DB(151)에 등록함과 동시에, 그 인증번호를 예컨대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S24 단계). 이러한 처리는 제한된 시간 내에 수행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에는 서버시스템(100)이 발행한 인증번호가 수신될 것이다(도 4의 (c) 참조). 사용자는 그 수신된 인증번호를 3D 뷰어 앱(210)이 제공하는 화면(214)에서 입력하여(도 4의 (d) 참조), 입체경 고유번호 및 스마트폰 번호와 함께 서버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26 단계).
서버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입체경의 고유번호, 스마트폰 번호, 그리고 인증번호를 수신하게 된다. 정상적이라면, 이들 세 가지 정보는 서버시스템(100)의 입체경 인증 DB(151)와 사용자 DB(154)에 등록된 정보와 일치할 것이다. 서버시스템(100)은 그 세 가지 정보가 DB(151, 154)에 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S28 단계).
그 세 가지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라도 DB(151, 154)에 기 등록된 정보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인증 실패 메시지를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여 오류를 시정하도록 유도한다(S30 단계).
확인 결과 세 가지 정보 모두가 DB(151, 154)에 기 등록된 정보로 확인되면, 사용자의 입체경(250)은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정되어, 3D 뷰어 앱(210)의 활성화 조치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서버시스템(100)은 3D 뷰어 앱(210)의 모든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활성화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에 제공한다(S32 단계). 서버시스템(100)은 3D 뷰어 앱 활성화 정보를 스마트폰(200)에 제공할 때, 3D 영상으로 제작된 메인 콘텐츠 목록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이 광고 비즈니스와 결부하여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광고 콘텐츠 목록도 같이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3D 뷰어 앱 활성화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의 3D 뷰어 앱(210)은 그 때부터 본래의 모든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S34 단계). 즉, 3D 뷰어 앱(210)은 활성화가 된 시점부터 서버시스템(100)의 3D 콘텐츠를 요청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활성화 된 3D 뷰어 앱(210)은 서버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한 3D 메인 콘텐츠 리스트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린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3D 콘텐츠를 제공하기에 앞서, 그 사용자의 입체경(250)의 고유번호에 대한 인증 절차를 먼저 밟아 정상적으로 인증된 입체경(250)에 한해 그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을 그 인증 받은 입체경(250)과 짝을 이루도록 연관시켜 DB(150)에 등록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인증 받은 입체경(250)에 짝을 이루는 스마트폰(200)에 대해서만, 3D 콘텐츠 렌더링용 3D 뷰어 앱(210)을 활성화시켜준다. 3D 뷰어 앱(210)이 활성화되지 않고서는 스마트폰(200)에서 서버시스템(100)의 3D 콘텐츠를 소비할 수 없도록 되어 있고, 그 3D 뷰어 앱(210)의 활성화 여부는 입체경(250)의 고유번호를 통해 결정되므로, 콘텐츠 제공 사업자는 입체경(250)의 고유번호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들의 3D 콘텐츠 소비를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하나의 입체경(250)에 하나의 스마트폰(200)만 인증할 것인지 아니면 복수 개의 스마트폰(예컨대 한 가족의 스마트폰)에 대하여 인증을 할 것인지는 콘텐츠 제공 사업자의 서비스 정책에 따라 정해질 수 있는 사항이다.
다음으로, 인증된 스마트폰(200)로 3D 콘텐츠를 이용하는 절차를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스마트폰(200)에서 3D 뷰어 앱(210)을 실행하면, 3D 뷰어 앱(210)은 먼저 자신의 상태가 활성화 된 상태인지 여부를 체크한다(S40, S42 단계). 비활성화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콘텐츠 이용이 불가하며, 도 2에서 설명한 입체경 인증 절차를 밟도록 안내하는 메지시를 스마트폰(200) 화면에 표시한다(S56 단계).
활성화 상태의 3D 뷰어 앱(210)이라면 서버시스템(100)이 제공해준 콘텐츠 목록을 사용자에게 표시해주고, 사용자가 원하는 3D 콘텐츠를 선택하기를 기다린다(S44 단계).
3D 뷰어 앱(210)은 그 콘텐츠 목록에서 사용자가 특정 3D 콘텐츠를 선택하여 요청하면, 관련 요청사항을 서버시스템(100)에 전송한다(S46 단계).
서버시스템(1000은 스마트폰(200)으로부터 3D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콘텐츠를 제공하기에 앞서 그 스마트폰 번호가 정상적인 인증절차를 통해 DB(151, 154)에 등록된 스마트폰 번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7 단계). DB(151, 154)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스마트폰은 인증 받은 입체경(250)과 짝지어진 것이 아니므로, 그런 스마트폰이 3D 콘텐츠를 요청해오면 서버시스템(100)은 스마트폰 인증 에러 메시지를 3D 콘텐츠를 요청한 스마트폰 번호로 전송하여 콘텐츠 제공을 거부한다.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으로부터 콘텐츠 요청이 수신되면, 서버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요청한 3D 콘텐츠를 3D 콘텐츠 DB(152)에서 찾아와서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S48 단계). 3D 콘텐츠는 스트리밍 방식이나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방식으로 콘텐츠를 제공할 것인지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 Management) 정책, 콘텐츠 이용 대가 등과 연관되어 결정될 수 있다. 서버시스템(100)은 3D 콘텐츠 제공에 관련된 정보 즉, 누구에게 언제 어떤 콘텐츠를 제공해줬는지를 3D 콘텐츠 DB(152) 및/또는 사용자 DB(154)에 기록한다.
요청한 3D 콘텐츠가 서버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되면, 3D 뷰어 앱(210)은 사용자의 스마트폰(200)에 수신된 3D 콘텐츠를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통해 재생한다(S50 단계). 재생되는 비디오를 입체영상으로 시청하려면, 사용자는 입체경(250)을 통해 스마트폰(2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보아야 한다.
입체경(250)은, 잘 알려진 것처럼, 양안시(binocular vision)용 입체영상에 의해 이미지에서 환영의 깊이를 생성하거나 강화함으로써 그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사람이 어떤 물체를 볼 때 왼쪽 눈과 오른 쪽 눈의 간격으로 인해 양쪽 눈의 망막에 맺히는 그 물체의 상은 서로 약간의 오프셋을 가지는 2차원 영상이다. 입체경(250)은 이 점에 착안하여 서로 약간의 오프셋을 가지는 두 개의 2차원 영상을 좌우 양쪽 눈에 따로 보이게 한다. 양쪽 눈에 맺힌 그 2차원 영상들은 사람의 뇌에서 합성되어 3차원적 깊이를 인식하게 된다. 스마트폰(2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도 입체경(250)으로 3차원 영상을 시청하기에 적합한 것일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좌우로 양분하고, 동일한 영상을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맞게 만들어진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좌반분 화면과 우반분 화면에 각각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식의 병렬방식 영상이어야 한다.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은 예컨대 하나의 2차원 영상을 소프트웨어처리를 하여 서로 소정의 오프셋을 갖는 두 영상으로 변환하는 방법이나 또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두 개의 렌즈를 갖는 카메라로 촬영하는 방법 등으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버시스템(100)이 스마트폰(200)에 제공하는 3D 콘텐츠는 이런 방법으로 만들어진 콘텐츠이다.
입체경(250)의 사용방법에 따라 스마트폰(200)과 입체경(250)을 매치시켜 화면을 보면, 스마트폰(200) 화면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관람할 수 있다. 예컨대 입체경(250)이 머리착용형(도 1의 위쪽 입체경(250) 참조)인 경우 앞쪽에 마련된 스마트폰 장착부에 스마트폰(200)을 장착하고 눈앞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두 렌즈를 통해 시청하면 되고, 간이형(도 1의 아래쪽 입체경(250) 참조)인 경우 그 입체경을 책상 위에 올려놓고 렌즈의 아래쪽에 스마트폰(200)을 장착한 다음, 두 눈을 두 렌즈에 갖다 대어 렌즈를 통해 시청하면 된다.
재생이 끝나면, 3D 뷰어 앱(210)은 재생 완료 보고를 서버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52 단계). 여러 번 재생하는 경우, 재생할 때마다 재생 완료 보고를 서버시스템(100)을 전송한다. 그 재생 완료 보고에는, 스마트폰 번호, 재생시간 및 재생회수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재생내역 정보가 포함된다. 이에 의해, 서버시스템(100)에서는 어떤 사용자가 어떤 콘텐츠를 몇 회 시청하였는지 알 수 있다.
서버시스템(100)은 수신된 재생 완료 보고를 콘텐츠 재생정보 DB(156)에 저장한다(S54 단계). 이에 의해, 필요 시 콘텐츠별로 또는 사용자별로 콘텐츠 재생 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입체경(250)을 매개로 인증을 받은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200)으로 서버시스템(100)으로부터 3D 콘텐츠를 제공받아 소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은 광고 비즈니스와 결합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될 수도 있다. 한 가지 예로서, 광고주는 콘텐츠 제공 사업자로부터 입체경(250)을 구매하여 광고 대상이 될 수 있는 고객이나 소비자들에게 그 입체경을 무상으로 나누어주는 대신, 그 소비자들은 광고주의 소정의 광고 콘텐츠를 의무적으로 시청하도록 하는 모델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광고주는 콘텐츠 제공 사업자로부터 원하는 개수의 입체경을 구매한다. 콘텐츠 제공 사업자는 서버시스템(100)의 입체경 인증 DB(152)에 광고주가 구매한 입체경(250)의 고유번호를 등록한다(S10 단계). 광고주는 또한 소비자에게 노출시키고자 하는 광고 콘텐츠를 제작하여 콘텐츠 제공 사업자에게 제공하여, 광고콘텐츠 DB(153)에 등록되도록 한다(S12 단계). 효과적인 광고를 위해, 광고콘텐츠도 3D 영상으로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다. 3D 광고콘텐츠는 2D 광고콘텐츠로는 보여 주기 힘들었던 더 많은 정보를 더 강한 이미지가 심어지도록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3D 광고콘텐츠는 보다 사실적으로 그리고 강한 인상이 남도록 상품홍보를 할 수 있게 해 주며, 소비자에게 맞는 타겟 마케팅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인터넷(400)에 접속된 광고주 컴퓨터(300)를 이용하여 그 광고콘텐츠를 서버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시스템(100)은 광고주 컴퓨터(300)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광고주가 편리하게 광고콘텐츠를 올리고, 광고콘텐츠 노출 내역 등 광고효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광고주는 입체경(250)마다 각 광고콘텐츠별 원하는 노출시간 및/또는 노출횟수, 노출형태 등을 콘텐츠 제공 사업자와 합의한다. 예컨대 3D 뷰어 앱(210)이 실행될 때 첫 화면에 광고를 한 번 노출, 또는 사용자가 요청한 3D 콘텐츠를 재생하기에 바로 앞서 광고 콘텐츠를 한 번 노출, 또는 3D 콘텐츠의 재생 중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복수 회 광고 콘텐츠를 노출 등과 같은 형태로 광고 노출 스케줄이 합의될 수 있을 것이다. 합의된 광고노출 스케줄은 DB(150)에 등록한다. 이에 의해, 서버시스템(100)은 광고주가 나누어준 입체경(250)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미리 등록된 광고노출 스케줄에 따라 그 광고주의 광고 콘텐츠를 보도록 강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광고노출 스케줄에 따라 광고주는 콘텐츠 제공 사업자에게 입체경(250) 구입비 외에 광고비도 지불한다.
광고주는 구매한 입체경(250)을 자신들의 목적에 맞게 고객들이나 소비자들에게 나누어준다. 소비자에게 나누어주는 입체경(250)에는 광고주가 원하는 광고콘텐츠를 시청해야 할 의무가 주어진다는 점이 고지된다. 입체경(250)을 받은 소비자들은 그 입체경(25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S14~S34 단계의 입체경(250) 인증 절차를 밟으면 된다. 그 소비자들은 입체경(250)의 인증절차와 스마트폰(200)의 등록절차를 통해 등록한 스마트폰(200)으로 서버시스템(100)에 요청하여 원하는 3D 콘텐츠를 제공받아 입체경(250)을 사용하여 입체영상으로 시청할 수 있다. 다만, 그 과정에서 서버시스템(100)이 강제하는 광고노출 스케줄에 따라 광고주의 광고 콘텐츠를 함께 시청해야 한다.
그렇게 되도록 하기 위해, 서버시스템(100)은 S48 단계에서 3D 콘텐츠를 요청하는 스마트폰 번호가 광고노출 스케줄의 적용을 받아야 하는 입체경의 고유번호와 연관된 것인지 체크한다. 체크 결과 그 스마트폰 번호가 강제적 광고노출 대상에 해당하면, 서버시스템(100)은 정해진 광고노출 스케줄에 따라 특정 광고콘텐츠와 그 소비자가 요청한 3D 콘텐츠를 결합하여 그 광고콘텐츠의 노출스케줄과 함께 스마트폰(200)에 제공한다.
그러면 S50 단계에서, 스마트폰(200)의 3D 뷰어 앱(210)은 수신된 3D 콘텐츠를 렌더링 하는 것과 함께, 수신된 광고콘텐츠를 그 광고콘텐츠의 노출스케줄에 따라 스마트폰(200)에서 재생시킨다.
광고노출 스케줄에 정해진 광고노출 시간이나 노출회수 등을 다 만족한 소비자는 더 이상 광고노출에 강제되지는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서버시스템(100)은 해당 DB(150)의 내용을 수시로 갱신한다. 그렇지만 소비자가 원하여 광고를 자발적으로 더 시청하면, 그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해당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서버시스템(100)에는 각 소비자별 마일리지 포인트를 관리하기 위한 DB를 더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콘텐츠 제공 서비스 과정에서, 3D 뷰어 앱(210)은 스마트폰(200)이 서버시스템(100)에 접속할 때 마다 새로운 콘텐츠를 본 것에 대한 횟수와 명칭, 콘텐츠 이용 시작과 종료 시간 정보를 서버시스템(100)에 보고하도록 프로그램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3D 콘텐츠뿐만 아니라, 광고 콘텐츠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서버시스템(100)에 이런 정보가 축적되면,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성향 등을 자료화 하여 향후 개별 소비자에 맞춤화된 타깃 마케팅 하는 데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광고주로부터 입체경을 받은 소비자가 그 광고주가 원하는 만큼의 광고 콘텐츠를 시청했는지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입체경 인증절차는 스마트폰(200)에서 3D 뷰어 앱(210)을 실행하여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사용자가 PC(비도시)를 이용하여 그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서버시스템(1000은 인터넷(4000을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 PC에 입체경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한다. 그 UI는 입체경의 고유번호를 입력한 다음 서버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는 화면(도 4의 (b) 참조)을 제공한다. 그를 통해, 서버시스템(100)은 사용자 PC로부터 입체경의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단계 S16 내지 S24까지 수행한다. 단계 S24에서, 발행한 인증번호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보내는 대신 사용자 PC로 보낼 수도 있을 것이다. 단계 S26에 상응하여, 사용자는 PC 상의 그 UI에서 그 수신된 인증번호를 자신의 스마트폰(200)의 폰 번호와 함께 입력하고 서버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이후의 처리는 단계 S28, S30, S34에서와 같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사용자는 PC로도 서버시스템(100)에 입체경(250)을 인증 받고 3D 콘텐츠를 이용할 스마트폰(200)을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입체경에 부여된 고유번호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짝을 이뤄 인증을 하고, 인증된 스마트폰 사용자만 콘텐츠를 재생해볼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의 등가적인 의미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화들은 전부 본 발명의 권리범위안에 속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3D 입체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에 이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광고 콘텐츠를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입체경 제조하는 분야에도 연관성을 가지면서 이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교육문화용, 게임오락용 콘텐츠, 3차원 가상 쇼핑몰 및 갤러리 등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4차원 영상물 산업 등에도 이용될 수 있다.
100: 서버 시스템 150: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200: 스마트폰 210: 3D 뷰어 애플리케이션
250: 입체경 300: 광고주 컴퓨터
400: 통신망

Claims (18)

  1. 서버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가 제공한 사용자의 입체경의 고유번호와 스마트폰 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체경과 스마트폰에 대한 인증절차를 처리하고, 인증된 스마트폰에 설치된 3D 콘텐츠 재생용 3D 뷰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3D 뷰어 앱'이라 함)을 활성화시키는 제1 단계; 및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인증된 스마트폰의 활성화된 상기 3D 뷰어 앱이 요청한 콘텐츠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에서, 상기 입체경의 고유번호를 사용자의 스마트폰 번호와 함께 상기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1 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수신된 고유번호가 상기 서버시스템에 등록된 고유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 한해 인증번호를 발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 번호로 전송하는 제1-2 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전송한 상기 인증번호를 수신하여 기 발행한 인증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에 설치된 상기 3D 뷰어 앱의 활성화 정보를 상기 스마트폰 번호로 전송하는 제1-3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3D 뷰어 앱이 상기 활성화 정보에 의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그 때부터 상기 서버시스템에 콘텐츠를 요청하여 상기 입체경으로 입체영상 시청이 가능하도록 재생할 수 있게 되는 제1-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판매된 입체경의 고유번호를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하는 제1-1 단계;
    상기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자의 입체경의 고유번호를 사용자의 스마트폰 번호와 함께 상기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2 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상기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가 전송한 상기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DB에 등록된 고유번호와 일치하여 인증 가능한 고유번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1-3 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인증 가능한 고유번호로 판별되면, 상기 고유번호와 짝을 이뤄 등록할 수 있는 스마트폰 번호의 개수가 아직 남아 있고 상기 스마트폰 번호가 상기 DB에 미등록된 것인 경우에 한해, 상기 스마트폰 번호를 상기 DB에 등록하는 제1-4 단계;
    상기 제1-4단계 후,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상기 고유번호와 상기 스마트폰 번호에 대한 인증번호를 발급하여 상기 DB에 등록하고 상기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는 제1-5 단계;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상기 서버시스템이 전송해준 상기 인증번호를, (i) 상기 스마트폰의 폰 번호와 함께 또는 (ii) 상기 고유번호 및 상기 스마트폰 번호와 함께, 상기 서버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1-6 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수신된 상기 인증번호, 상기 입체경의 고유번호 및 상기 스마트폰 번호가 모두 상기 DB에 등록된 것과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상기 3D 뷰어 앱의 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는 제1-7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상기 3D 뷰어 앱이 상기 활성화 정보에 의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그 때부터 상기 서버시스템에 콘텐츠를 요청하여 상기 입체경으로 입체영상 시청이 가능하도록 재생할 수 있게 되는 제1-8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이 상기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상기 콘텐츠의 영상은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맞게 만들어진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3D 뷰어 앱은 적어도 상기 서버시스템에 콘텐츠를 요청하는 기능과, 요청에 응해 상기 서버시스템이 제공해주는 콘텐츠를 사용자가 상기 입체경으로 보았을 때 입체영상으로 보이도록 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을 좌우로 양분하고, 상기 좌안용 영상과 상기 우안용 영상을 상기 스마트폰의 좌반분 화면과 우반분 화면에 각각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활성화 정보는 상기 두 기능을 정상 작동하도록 활성화 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상기 3D 뷰어 앱이 실행 시 초기단계에서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해 활성화 상태로 된 것인지 여부를 체크하여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서버시스템에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인증절차를 거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요청하는 스마트폰의 폰 번호가 상기 서버시스템에 등록된 폰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상기 3D 뷰어 앱이 요청한 콘텐츠에 소정의 광고콘텐츠를 결합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전송 내역을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해두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상기 3D 뷰어 앱은,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어떤 사용자가 어떤 콘텐츠를 몇 회 시청하였는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되면 스마트폰 번호, 콘텐츠의 재생횟수와 재생시간을 포함하는 재생 내역을 상기 서버시스템에 보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보고받은 상기 재생 내역을 상기 DB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상기 스마트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그 제공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광고주가 제공한 광고콘텐츠와 정해진 광고노출 스케줄을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상기 콘텐츠를 요청하는 스마트폰 번호가 상기 광고노출 스케줄의 적용을 받아야 하는 입체경의 고유번호와 연관된 것인지 체크하여 강제적 광고노출 대상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체크 결과 상기 스마트폰 번호가 강제적 광고노출 대상에 해당하면, 정해진 광고노출 스케줄에 따라 소정의 광고콘텐츠와 광고노출스케줄을 상기 스마트폰의 3D 뷰어 앱이 요청한 콘텐츠와 결합하여 함께 상기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3D 뷰어 앱이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의 재생과 더불어 상기 광고콘텐츠도 상기 광고노출 스케줄에 따라 재생되도록 하는 강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상기 3D 뷰어 앱은,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어떤 사용자가 어떤 콘텐츠를 몇 회 시청하였는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되면 스마트폰 번호, 콘텐츠의 재생횟수와 재생시간을 포함하는 재생 내역을 상기 서버시스템에 보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보고받은 상기 재생 내역을 상기 DB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상기 강제적 광고노출 대상인 스마트폰이 상기 광고노출 스케줄에 정해진 광고노출조건을 다 만족시켰는지 여부를 상기 DB에 조회하여 체크하고, 다 만족시킨 경우 그 스마트폰으로는 더 이상 광고콘텐츠의 노출을 강제하지 않도록 상기 DB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방법.
  14.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입체경의 고유번호 및 스마트폰 번호와 서버시스템이 제공한 인증번호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제공하여 상기 입체경과 스마트폰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기능, 인증 성공에 따라 상기 서버시스템이 제공한 활성화 정보에 의해 활성화 되어 상기 서버시스템에 원하는 콘텐츠를 요청하는 기능, 그리고 상기 서버시스템이 제공한 콘텐츠를 상기 입체경으로 보았을 때 입체영상으로 보이도록 렌더링(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3D 뷰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3D 뷰어 앱'이라 함); 및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제공한 상기 입체경의 고유번호와 스마트폰 번호, 그리고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입체경과 상기 스마트폰에 대한 인증절차를 처리하는 기능, 인증에 성공한 스마트폰에 설치된 3D 뷰어 앱을 활성화시켜주는 기능, 상기 스마트폰의 활성화 된 3D 뷰어 앱이 요청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3D 뷰어 앱은, 상기 스마트폰에서 실행될 때 초기단계에서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해 활성화 상태로 된 것인지 여부를 체크하여 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서버시스템에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인증절차를 거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은, 콘텐츠를 요청하는 스마트폰의 폰 번호가 상기 서버시스템에 등록된 폰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기능은, 상기 서버시스템에서,
    판매된 입체경의 고유번호를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하는 기능, 상기 스마트폰의 3D 뷰어 앱이 전송한 입체경의 고유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DB에 등록된 고유번호와 일치하여 인증 가능한 고유번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기능, 인증 가능한 고유번호로 판별되면, 상기 고유번호와 짝을 이뤄 등록할 수 있는 스마트폰 번호의 개수가 아직 남아 있고 상기 스마트폰 번호가 상기 DB에 미등록된 것인 경우에 한해, 상기 스마트폰 번호를 상기 DB에 등록하는 기능, 상기 고유번호와 상기 스마트폰 번호에 대한 인증번호를 발급하여 상기 DB에 등록하고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인증번호를 상기 고유번호 및 상기 스마트폰 번호와 함께 전송하면 그 세 가지 정보를 수신하여 모두 상기 DB에 등록된 것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기능, 상기 세 가지 정보 모두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입체경과 상기 스마트폰이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처리하고 상기 스마트폰 번호로 상기 3D 뷰어 앱의 활성화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은, 상기 3D 뷰어 앱이 요청한 콘텐츠에 소정의 광고콘텐츠를 결합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전송 내역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두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 시스템.
KR20130038311A 2013-04-08 2013-04-08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40121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311A KR20140121973A (ko) 2013-04-08 2013-04-08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8311A KR20140121973A (ko) 2013-04-08 2013-04-08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973A true KR20140121973A (ko) 2014-10-17

Family

ID=51993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8311A KR20140121973A (ko) 2013-04-08 2013-04-08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19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226A (ko) * 2018-12-17 2019-02-01 김덕수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226A (ko) * 2018-12-17 2019-02-01 김덕수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95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stereoscopic images utilizing parallax images
JP6293269B2 (ja) コンテンツ視聴確認装置及びその方法
US8984501B2 (en) Hierarchy and processing order control of downloadable and upgradeable media processing applications
CN102792708B (zh) 经由次要频道增强的现实
US9699494B2 (en) Multiple contact and/or sense promotional systems and methods
US20090144361A1 (en) Multimedia administration, advertising, content & services system
JP2010525746A (ja) 相互作用と圧縮とを有するビデオコピー防止システム
US20150149301A1 (en) Coordinated Virtual Presences
TW201227531A (en) Sensors, scanner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KR102042159B1 (ko) 가상현실에 기반한 공연 예매 및 관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4769589A (zh) 通信终端、信息处理装置、通信方法、信息处理方法、程序和通信系统
KR20200132445A (ko) 증강현실 및 실시간 방송기술 기반 이벤트 프로모션을 이용한 증강현실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4756157A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以及程序
CN109996060B (zh) 一种虚拟现实影院系统及信息处理方法
JP2018156284A (ja) コンテンツ視聴管理システム
CN114189751B (zh) 影院系统控制方法、服务器、代理终端、展示终端及系统
KR20140121973A (ko) 입체경 인증을 이용한 콘텐츠 소비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2020145654A (ja) 動画表示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動画表示方法
KR101797361B1 (ko) 워터마킹을 이용한 tv 쇼핑 간편 결제 방법
JP201811354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US20220335145A1 (en) Object management system, object management method, and object management program
KR20070083269A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iptv 영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3945A (ko) 워터마킹을 이용한 이종 디바이스 간편 결제
CN113593045A (zh) 一种xr产品构成系统
JP7498529B1 (ja) コンテンツデータ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