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725A -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725A
KR20140115725A KR1020130030689A KR20130030689A KR20140115725A KR 20140115725 A KR20140115725 A KR 20140115725A KR 1020130030689 A KR1020130030689 A KR 1020130030689A KR 20130030689 A KR20130030689 A KR 20130030689A KR 20140115725 A KR20140115725 A KR 20140115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curcumin
fat
extract
metabolic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5991B1 (ko
Inventor
한규호
Original Assignee
한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규호 filed Critical 한규호
Priority to KR2013003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991B1/ko
Publication of KR20140115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및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욕억제 및 비만을 원인으로 하여 발병하는 뇌졸중, 고지혈증, 동맥경화, 심혈관질환, 비알콜성 지방간 등의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및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Ingredients containing spent turmeric for appetite suppression, and preventive or treatable obesity-related to metabolic diseases}
본 발명은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및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회는 산업화와 자동화에 따라 편리함을 누리는 세상이 되어가고 있으나, 급속한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생활습관병과 관련된 여러 질환 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서구화된 식생활에 따라 고열량 음식의 과다 섭취와 운동부족 등 때문에 비정상적인 지질대사 및 체내 에너지 불균형이 발생하여 비만(obesity)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비만은 장기간 에너지 섭취량이 소비량을 초과하여 과잉의 에너지가 중성지방으로 전환되어 피하와 복부에 만성적으로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세계보건기구(WHO)가 2006년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15세 이상의 세계인 가운데 과체중과 비만으로 분류되는 인구가 각각 약 16억 명과 4억명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2015년에는 세계 성인인구의 약 23억명이 과체중이 될 것이며 비만인구는 약 7억명 이상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비만은 당뇨병, 심혈관장애,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뇌졸중(stroke), 암 뿐만 아니라 파킨슨질환과 알쯔하이머질환과 같은 신경퇴행성질환의 발병율을 증가시키는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Kopleman., Nature, 404, 2000; Manson et al., New England J. Med., 333, 1995; Must et al., JAMA, 282, 1999). 또한, 비만으로 인한 만성염증과 산화 스트레스가 비만 및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Das UN, Nutrition, 2001; 17;11-12:953-966).
지방세포에 저장된 중성지방은 체내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비만이 진행됨에 따라서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로 인해 지방세포수와 세포의 크기가 증가되는데 저장된 지방의 양에 따라 지방세포의 직경이 약 20배까지 늘어날 수 있으며 그 결과 세포 용적은 수천 배까지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 환자는 혈중에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6 (interleukin-6), MCP-1(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등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cytokine) 수치가 증가해 있다. 이러한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은 아디포사이토카인(adipocytokine)이라고도 불리는데,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질 수록 많이 분비되어 결국 비만이 진행됨에 따라 만성염증을 유발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arriere et al., J. Biol. Chem., 278, 2003). 따라서 비만 상태의 개선을 위해서는 먼저 지방세포수 및 크기의 조절이 중요하다. 지방세포의 크기는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통해 조절이 가능하지만 증가된 세포수는 식사조절로는 효과가 미비하기 때문에 비만과 관련된 질병의 근본적 치료 또는 억제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약물요법 등으로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원인 및 작용에 의하여 나타나는 비만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발 전략으로 약물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첫번째는 지방세포 내에서 열생성을 촉진함으로써 지방의 분해를 유도시키고, 두번째는 지방의 분해효소인 리파제(lipase) 작용을 방해하여 지방의 체내 흡수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세번째로는 식이 섭취 조절 및 에너지 소비 조절을 통해 비만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특히, 시상하부(hypothalamus)와 뇌간(brainstem)에 작용하는 중추신경계 신경전달물질을 차단하는 약물 개발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박미정, Korean J Pediatr 48, 2005).
최근 들어, 비만치료의 표적으로 위장관 호르몬의 역할도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위장 내로 들어온 영양분들은 위장관 호르몬 분비를 자극하게 되며 이들 호르몬들은 뇌간으로 가는 구심성 신경인 미주신경을 활성화시키고, 시상하부에서 식욕을 억제하는 펩타이드의 분비를 증가시키며, 식욕감퇴를 유발하는 펩타이드인 갑상샘 자극호르몬(thyrotropin-releasing hormone, TRH), 옥시토신(oxytocin), 부산피질 자극호르몬(corticotrophin-releasing hormone, CRH)의 분비를 촉진하고, 식욕을 촉진시키는 펩타이드인 오렉신(orexin)과 멜라닌 농축호르몬(melanin-concentrating hormone, MRH)의 생성을 감소시킨다. 즉, 위장관에서 나오는 포만 신호들이 미주신경을 통해서 시상하부로 전달되면 식욕감퇴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소장과 대장의 L세포로부터 분비되는 호르몬인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ucagon like peptide-1, GLP-1)과 펩타이드YY(PYY)는 혈당, 중성지방 및 식욕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비만치료제들로는 제니칼(XenicalTM, 로슈제약회사, 스위스), 리덕틸(ReductilTM, 애보트사, 미국), 엑소리제(ExoliseTM, 아토파마, 프랑스)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 치료제들 중 중추신경계 작용 약물(리덕틸)은 심장질환, 호흡기 질환, 신경계질환 등의 부작용을 동반하며 그 효능의 지속성이 낮기 때문에 향후 보다 최적화되고 안전성이 있는 천연물이나 천연물로부터 소재를 발굴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울금(Curcuma longa L.)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본초로써 열대아시아가 원산지로 우리 나라에서는 전라남도 등지에서 재배하고 있다. 울금에는 황색 색소성분인 커큐민(curcumin)과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등과 같은 커큐미노이드 (curcuminoid) 성분과 터메론(turmerone), 시네올(cineol), 플라보노이드(flavonoid), 강심제 등의 정유 성분, 그리고 당질로써 전분 및 식이섬유 등이 함유되어 있다. 울금의 주요 성분인 커큐민의 약리효과로는 담즙분비촉진, 항균작용, 간기능 개선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효과, 항산화 효과, 미백효과, 항우울효과 등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고, 최근에는 혈액내 중성지질 저하기능과 더불어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시켜 체중증가의 방지효과가 알려지면서 울금 추출물을 이용한 식욕억제 및 비만관련 대사 개선에 유용한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울금을 포함하는 식욕억제 및 비만관련 대사 개선 조성물에 관련된 특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02131호에는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54327호에는 봉출(C. zedoaria)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14266호에는 체중증가의 방지 및 혈중 중성지질의 감소를 위한 울금 메탄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이조성물에 대하여 개시되고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제1999-193240호에는 봉출 및 강황(C.aromatica)을 포함하는 지질 대사 개선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식욕억제 및 비만관련 대사 개선에 관련된 울금 조성물의 연구 및 특허는 커큐민 또는 커큐민을 포함한 추출물을 이용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또한 울금의 주성분인 커큐민의 약리효과에도 불구하고 울금 특유의 냄새와 쓴맛이 소비자의 기호에 영향을 미쳐 산업적 활용화가 부족한 실정이며, 커큐민의 효능을 최대화하기 위해 최적 추출기술이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울금 추출물을 다른 천연 약초와 혼합하거나 황국 균주를 이용한 발효, 흑설탕과 흑국균의 혼합 발효 등의 방법으로 울금 특유의 쓴맛과 냄새를 제거하여 소비자의 음용 거부반응을 해소하는 연구와 유기산을 이용한 체내 흡수 증가와 부작용 및 알레르기 반응을 최소화, 커큐민의 최적 추출기술 확립 등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식이 섬유질(dietary fiber)을 포함한 난소화성 당질(non-digesitible carbohydrate)은 인간의 소화효소로는 분해가 안되기 때문에 대장내 미생물의 발효 과정을 거쳐 발효산물인 단쇄지방산이 생성되고, 유용균의 증식을 도우며 유해균의 증식은 억제시키는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로서 작용을 한다. 이러한 난소화성 당질은 장내환경 개선과 더불어 고지혈증 등을 개선하는 효과가 널리 알려져 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수용성 식이섬유인 이눌린(inulin)은 위장관 호르몬인 GLP-1과PYY분비를 촉진시키는 기능이 알려져 식욕억제와 당뇨병이나 대사증후군 개선에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또한 대사작용의 중심인자로 발효산물인 단쇄지방산이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셀룰로오스(cellulose)와 같은 비발효성 식이섬유질은 프리바이오틱스 효과가 없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울금에는 약 20%의 식이섬유와 감자전분과 비슷한 수준의 고인산(phosphor) 함유 전분(resistant starch)이 많아서 난소화성 당질로써 식욕억제, 체지방 감소, 혈중 지질 감소, 및 변비 예방 등 비만과 관련된 대사장애의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울금을 다량 섭취시 커큐민의 체내 흡수 저하로 인해 장내에서 강한 항균작용을 발휘하여 각종 미생물들 간 균형을 깨뜨려서 오히려 각종 장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Bhavanishanker and Murthy, Food Microbiology, 3, 1986).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울금으로 부터 커큐민 성분만 추출하여 사용된 채 가축사료나 산업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는 울금 잔사물에 주목하여,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및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및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및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및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및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울금(Curcuma longa L.)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목 식물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울금은 커큐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덩이뿌리를 세척하고 절단한 다음 건조 후 분쇄시킨 분말(turmeric)의 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식욕억제”란 조성물의 투여로 식이관련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식욕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은 생체 내 과도한 지질 축적에 의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비만과 이를 원인으로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상기 비만을 원인으로 발생하는 질환은 예를 들어, 뇌졸중, 고지혈증, 동맥경화, 심혈관질환, 비알콜성 지방간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예방”은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개선 또는 치료”란 조성물의 투여로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으로 인한 과다한 체지방이 감소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spent turmeric)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울금의 추출물로부터 커큐민을 분리 및 여과하여 제거한 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울금 잔사는 추출물 자체 또는 이를 분말화 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및 에탄올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다.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이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상기 추출은 울금 100 중량부에 대하여 99% 에탄올 300 내지 600 중량부를 가하여, 25℃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교반하여 3회 추출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에탄올의 양이 300 중량부 또는 25℃ 미만인 경우에는, 울금의 커큐민이 전부 추출되지 않고 남게 되어 6회 이상 반복 추출이 필요하게 되고, 600 중량부 또는 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이하인 경우와 추출 효율이 거의 동일하여 비경제적이다.
상기 울금 추출물로부터 커큐민 제거는 분리 또는 여과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이나 나일론, 와트만 페이퍼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 내거나 원심분리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를 건조 및 분쇄하는 공정을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울금 잔사는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의 영양원이 되어 장내 환경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물질로 대부분이 저항전분 또는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어 장내 세균에 의한 단쇄 지방산(short-chain fatty acid)을 증가시켜 장내 환경을 산성화하여 배변활동을 활성시키고 지방 흡수를 저해하여 체내 지방량을 감소시키며 더불어 혈액내 중성지방을 떨어뜨려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하는 효능을 나타낸다.
하나의 구체적 실시에서, 고지방식이에 본 발명의 울금 잔사를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랫트의 체중 및 섭취량이 감소하고, 배변량과 배변중의 지방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신장, 정소상체 주변의 지방조직의 무게와 크기, 혈중 중성지방의 감소와 혈중 GLP-1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욕억제 및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서 이용 가능하다.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식욕억제 및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만으로 구성되거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식품보조 첨가제는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보존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은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및 바의 형태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품의 종류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러한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욕억제 및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이용 가능하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식욕억제 및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에 의해 적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경구투여이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종류 및 이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및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특정 추출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사용된 특정 추출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일에 0.1 내지 100mg/kg의 용량을 일일 1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치료 목적에 따라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인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정제, 캅셀제, 산제, 과립, 현탁제, 유제, 시럽제, 유탁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는 랫트(rat)의 맹장 내 단쇄 지방산을 증가시켜 장내 환경을 산성화하여 배변량과 배변 중의 지방의 흡수량을 증가시키고, 랫트의 체중, 체내 지방량 및 식이 섭취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지방조직의 무게와 크기, 혈중 중성지방 함량 감소 및 GLP-1 농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울금 잔사를 식욕억제 및 비만을 원인으로 하여 발병하는 비만관련 대사질환의 예방, 치료 및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울금 잔사에 의한 체중증가 및 식욕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울금 잔사에 의한 절식시킨 랫트의 혈액 내 중성지질의 감소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3은 울금 잔사에 의한 랫트의 신장 주변 지방세포의 분화 억제 효과를 알데하이드-푹신(aldehyde-fuchsin) 염색법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이 좀 더 이해될 수 있도록 예시적으로 제시되는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해서는 안 될 것이다.
실시예 1 :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 spent turmeirc, no curcumin ) 분말 제조
울금뿌리(한국산) 2kg을 채취하여 이물질 및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깨끗이 세척한 다음, 표면의 수분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 울금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50℃에서 8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상기 울금 분말 1kg을 99% 에탄올 6L에 침지하여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추출하였다. 그 다음 상기 추출물을 여과지(Advantes, No.2)에 여과하여 상등액에 포함된 커큐민(curcumin)을 제거하였다. 동일한 작업을 3번 반복한 후 커큐민이 제거된 울금 잔사를 40℃의 온도에서 에탄올을 완전히 제거시켜 커큐민이 제거된 울금 잔사 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커큐민이 포함된 울금분말 ( turmeric ) 제조
신선한 울금뿌리(한국산) 2kg을 채취하여 이물질 및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깨끗이 세척한 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였다. 그 다음 상기 수분을 제거한 울금을 50℃에서 가열하여 8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울금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실시예 2 : 울금 잔사 분말 및 울금 분말의 일반성분 비교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얻은 울금 잔사 분말 및 울금 분말을 이용하여 AOAC 일반성분 분석법에 의해 수분, 지방, 단백질, 회분, 탄수화물, 식이섬유, 그리고 커큐민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수분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얻은 울금 잔사 분말 및 울금 분말 각각 5g을 진공오븐에 넣어 105℃에서 건조시킨 후 중량이 일정하도록 약 5시간 동안 건조하였다(가압가온건조법, AOAC법 926.08과 925.09, 1990).
2) 지방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얻은 울금 잔사 분말 및 울금 분말 각각 5g에 염산용액을 혼합하여 가수분해하였다. 그 다음 에테르와 헥산으로 지방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묽은 알칼리 용액으로 세척한 후 황산나트륨 컬럼으로 여과한 후, 여과된 추출물을 증발, 건조한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산분해법, AOAC 법 922.06과 954.02, 1990).
3) 단백질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얻은 울금 잔사 분말 및 울금 분말 각각 5g을 수은 촉매가 들어 있는 황산에 넣어 암모니아로 분해하였다. 분해된 산성용액을 알칼리화시킨 후 암모니아를 증류시키고 표준 산으로 적정하였다. 질소 함량을 측정하고 6.25를 곱하여 단백질 양을 계산하였다(켈달 법, AOAC법 955.04C와 979.09, 1990).
4) 회분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얻은 울금 잔사 분말 및 울금 분말 각각 5g을 550℃에 점화하여 휘발성 유기 물질을 빼냈다. 잔류물의 중량을 측정한 후 회분 함량을 계산하였다(직접회화법, AOAC법 923.03, 1990).
5) 탄수화물
상기 단백질, 지방, 회분, 수분 함량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다음의 계산식 1로 탄수화물 함량을 계산하였다(USDA 농업 핸드북 제 8권, 1975).
[계산식 1]
탄수화물 함량(%) = 100 - (단백질함량 + 지방함량 + 회분함량 + 수분함량)
6) 식이섬유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얻은 울금 잔사 분말 및 울금 분말 각각 100g을 유기용매로 탈지한 뒤, 각각의 시료를 당분해효소와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처리하였다. 원심 분리후 분해되지 않은 잔존물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알콜침전에 의해 얻어진 잔존물과 상등액을 분리 건조하여 각각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상등액은 수용성 식이섬유로, 잔존물은 비수용성 식이섬유질로 그리고 두 가지를 총합한 양을 총 식이섬유로 계산하였다(Prosky법, AOAC 법 985.29과 991.42과 991.43과 993.19, 1990).
7) 커큐민
상기 비교예 1에서 얻은 울금 분말 5g을 99% 에탄올을 첨가하여 95℃에서 3분간 교반 추출하였다. 그 다음, 8000 ×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 실린지 필터(0.45 ㎛)로 여과하였다. 회전식 농축기(Shibata Rotavapor, Japan)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최종적으로 아세틸니트릴을 이용하여 1 mg/ml 로 녹인 후, HPLC(1200 Series, Agilent Technologie, USA)-Mass (spectrometer 6410, Agilent Technologies)로 커큐민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울금 잔사 분말에 잔류하는 커큐민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 1에서 얻은 울금 잔사 분말5g에 99% 에탄올을 첨가하여 추출물을 얻은 다음, 8000 ×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 실린지 필터(0.45 ㎛)로 여과하였다. 회전식 농축기(Shibata Rotavapor, Japan)를 이용하여 농축한 후, 최종적으로 아세틸니트릴을 이용하여 1 mg/ml 로 녹인 후, HPLC(1200 Series, Agilent Technologie, USA)-Mass (spectrometer 6410, Agilent Technologies)로 커큐민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컬럼은 Zorbax Eclipase C18(30mm×2.1mm, 3.5㎛, Agilent Technologies)을 사용하였고, 이동상은 아세트니트릴과 1 mM 포름산(70:30, v/v), 유속은 0.8ml/분으로 하였다. 분석과정중 (-)electrospray interface (ESI)의 조건은 capillary voltage 72.5 kV, nebulizer 50 psi, collision energy 10 V, source temperature 80°C, gas temperature 300°C, cone gas flow 8 L/min, 그리고 desolvation gas flow 8L/min 등 이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g/100g) 실시예 1 비교예 1
수분 10.7 10.8
단백질 10.8 10.4
지방 1.0 4.7
회분 7.7 7.4
탄수화물 69.8 66.7
총 식이섬유 20.3 19.4
수용성 식이섬유 1.9 1.7
비수용성 식이섬유 18.4 17.7
커큐민 < 0 5.5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얻은 울금 잔사와 울금의 식이섬유는 전체 무게 중 19% 이상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비수용성 식이섬유가 가장 많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얻은 울금 잔사의 잔류 커큐민 함량은 검출한계 미만으로 검출되었고, 비교예 1 에서 얻은 울금의 커큐민 함량은 약 5.5% 포함되어 있다.
실시예 3 : 실험식이 제조 및 실험동물의 사육
실험동물로는 생후 7주된 SD계 수컷 랫트(Charles River Japna, Japan)를 1주일 동안 예비 사육하고 18마리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은 온도 23±1℃, 습도 60±5℃, 조명시간 12시간/일로 설정된 항온항실에서 사육하였다. 사료는 AIN-93G 식이를 기준으로한 49% 고칼로리 식이를 제조하여 대조군(CON)의 식이로 사용하였다. CON군과, 식이 무게의 10%를 알파화 전분 대신 울금 분말을 첨가한 TP군 또는 10% 울금 잔사 분말을 첨가한 STP군을 준비하여, 총 3군(1군에 6마리)에 4주(28일)간 자유 섭취시켰다. 각 군의 식이의 조성은 표 2에 나타내었다.
구성성분
(g/kg)
식이군
CON TP STP
카제인 200 200 200
L-시스틴 3 3 3
자당 100 100 100
라드1 230 230 230
대두유1 40 40 40
삼차-뷰틸하이드로퀴논 0.054 0.054 0.054
셀룰로오스 50 50 50
종합 미네랄 (AIN-93G) 35 35 35
종합 비타민 (AIN-93G) 10 10 10
주석산수소콜린 2.5 2.5 2.5
알파-전분 100 - -
울금 분말 (turmeric) - 100 -
울금잔사 분말 (spent turmeric) - - 100
옥수수전분 229.446 229.446 229.446
합계 (g) 1000 1000 1000
칼로리 (kcal/kg) 2 4958 4909 4889
149.6 kcal%
2단백질은 4 kcal/g, 지방은 9 kcal/g, 탄수화물은 4 kcal/g으로 계산하였고, 식이섬유의 칼로리는 0 kcal/g로 계산하였다.
실시예 4 : 식이 섭취량, 체중 증가량 측정
실험 4주 동안 각 군의 식이 섭취량은 매일, 체중은 매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가 공급된 CON군은 전반적으로 체중의 증가폭이 컸으나, 울금 분말 및 울금 잔사 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혼합한 고지방식이가 공급된 TP군과 STP군은 CON군에 비해 체중의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P군과 STP군의 총 식이섭취량과 섭취에너지는 CON군에 비해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 분변의 배설량, 수분함량 및 지방함량 측정
분변은 실험기간 중 마지막 4일 동안 실험동물을 대사장에 옮겨 적응시킨 후에 3 일간 분변을 수집하였다. 수집 후 이물질을 제거한 분변의 무게와 동결건조 뒤 분변의 무게를 측정하여 두 값의 차이를 수분함량으로 하였다. 상기 동결 건조시킨 분변을 균질화하여 일부를 취해 클로로포름-메탄올(2:1,v/v) 용매로 지질을 추출한 다음 회전식 농축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건조된 총지질에 이소프로필 알콜을 첨가하여 녹인 다음 분변 중의 총 지질로부터 지질분석 키트 시약(Wako, Japan)을 사용하여 중성지방(TG-E-test), 유리 지방산(NEFA HAII) 및 콜레스테롤(Cholesterol E-test)농도를 측정하였다. 중성지방 농도와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600 nm, 유리 지방산은 550 nm에서 분광측광계(Shimadzu UV-1600, Japan)로 비색 정량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식이군
CON TP STP
분변 배설량 (wet g/일) 2.50±0.06b 3.84±0.25a 3.82±0.24a
분변 배설량 비율 1 (%/일) 11.2±0.3c 20.2±0.6a 17.4±0.5b
수분함량 (%) 20.9±1.0b 29.0±2.3a 25.6±2.0ab
중성지방 (mg/일) 28.3±3.1a 42.2±3.9a 33.7±4.7a
중성지방 배출비율2 (%/일) 0.433±0.050b 0.833±0.057a 0.571±0.067b
유리지방산 (mg/일) 153±16b 223±14a 261±17a
유리지방산 배출비율3 (%/일) 2.38±0.24b 4.63±0.19a 4.47±0.21a
콜레스테롤 (mg/일) 8.42±0.85a 9.10±0.68a 6.74±0.60a
값은 평균±표준오차, n=6, a,b,c 위첨자를 갖는 값은 p<0.05 수준에서 터키 다중검정법 (tukey-HSD test)을 이용하여 상호 유의차를 검정을 한 것임.
두 문자가 겹쳐 표시된 집단은 두 문자의 중간 정도의 크기로 두 집단의 어느 집단과도 유의한 차이가 없는 집단을 의미함.
1 1일 분변배출량(g)/1일 섭취량 (g).
2 1일 중성지방 배출량(g)/1일 지방 섭취량(g).
3 1일 유리 지방산 배출량(g)/1일 지방 섭취량(g).
상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가 공급된 CON군보다 울금 분말 및 울금 잔사 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혼합한 고지방식이가 공급된 TP군과 STP군의 분변의 배설량과 분변 내의 지방 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 혈청의 성분 분석
4주(28일)의 실험기간중 0일, 7일, 27일째에 12시간 절식시킨 랫트의 경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을 혈청분리튜브(Becton Dickinson, USA)에 수집하고 8,000rpm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으며, 분석 전까지 -80℃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혈액성분 자동분석기(TBA-120FR autoanalyzer, Toshiba Medical Systems, Japan)를 사용하여 중성지방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울금 분말 및 울금 잔사 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혼합한 고지방식이가 공급된 TP군과 STP군은 고지방이식만 공급된 CON군에 비해 혈청 중성지방이 감소하였다.
실험 마지막 날(28일째) 절식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실험동물을 체중 100g당 4mg의 넴부탈(Abbott Laboratories, USA)을 이용하여 마취시킨 뒤 혈액을 수집하였다. 상기 혈액은 복부대동맥에서 채혈하였고, 혈액을 혈청분리튜브(Becton Dickinson, USA)에 수집하고 8,000rpm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으며, 분석 전까지 -80℃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혈청 내 지질함량은 지질분석 키트 시약(Wako, Japan)을 사용하여 중성지방(TG-E-test), 유리 지방산(NEFA HA II) 및 콜레스테롤(Cholesterol E-test)농도를 측정하였다. 중성지방 농도와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600 nm, 유리 지방산은 550 nm에서 분광측광계(Shimadzu UV-1600, Japan)로 비색 정량하였다. 혈청의 포도당 농도는 분석용 키트 시약(LabAssayTM Glucose, Wako, Japan)을 사용하여 570nm에서 분광측광계 (Shimadzu UV-1600, Japan)로 측정하였다. 한편, GLP-1는 채혈 시 혈액 1ml당 20μl의 dipeptidyl peptidase-Ⅳ(DPP-Ⅳ) 저해제를 첨가한 다음 원심분리 후 얻어진 혈청으로부터 분석용 키트 시약(REBIS GLP-1(active), Shibayagi, Japan)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식이군
CON TP STP
총 콜레스테롤 (mmol/l) 1.87±0.07b 2.28±0.08a 1.86±0.05b
중성지방 (mmol/l) 2.81±0.25a 1.82±0.25a 2.11±0.35a
유리 지방산 (mEq/l) 4.02±0.41a 2.33±0.15b 2.34±0.24b
포도당 (mg/ml) 252±11a 206±11b 252±4a
GLP-1 (pg/ml) 2.38±0.24b 4.63±0.19a 4.47±0.21a
값은 평균±표준오차, n=6, a,b,c 위첨자를 갖는 값은 p<0.05 수준에서 터키 다중검정법(tukey-HSD test)을 이용하여 상호 유의차를 검정을 한 것임.
상기 표 4 에 나타낸 것처럼, 울금 분말 및 울금 잔사 분말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혼합한 고지방식이가 공급된 TP군과 STP군은 고지방이식만 공급된 CON군에 비해 혈청 중성지방과 유리지방산이 감소하였고, 식이억제 호르몬인 혈청 내 GLP-1농도가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 맹장 내용물의 pH , 단쇄 지방산 및 부패산물의 측정
상기 실시예 6에서 혈액을 채취한 실험동물로부터 맹장을 적출하고 무게를 측정한 후 액체질소로 즉시 동결시키고, 분석 전까지 -80℃에서 냉동 보관하였다.
맹장 내용물의 pH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80℃에 보관되어 있는 시료를 냉장온도에서 해동시키고, 맹장 내용물을 0.5g 채취한 후 10배의 증류수로 희석하고, pH 미터기(Istek, 725P, Seoul, Korea)를 이용하여 pH를 측정하였다.
단쇄 지방산(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낙산)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의 시료를 10,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얻어진 상층액을 별도의 시험관에 옮겨 70%과염소산을 첨가한 후 교반한 다음 10,0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0.45㎛ 필터(Tosho, Japan)로 여과시키고, 여과액 25㎕를 주입하여 HPLC(LC-10AD, Shimadzu, Japan)로 분석하였다. HPLC용 컬럼으로는 RSpak(KC-811, 8.0 mm ×300 mm, Shodex, Japan)를 사용하였다. 이동상으로는 3 mM 과염소산 용액과 0.2 mM bromothymol blue를 함유한 15 mM Na2HPO4을 각각 유속 0.7 ml/분 및 1.2 ml/분으로 흡광도 455 nm에서 측정하였다.
맹장 내용물의 부패 산물인 암모니아태 질소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단쇄 지방산을 측정하기 위해 얻어진 상층액을 별도의 시험관에 옮겨 0.1M 인산완충용액(pH5.5)으로 50배 희석한 다음 분석용 키트 시약(Ammonia-test, Wako, Japan)을 사용하여 630 nm에서 분광측광계(Shimadzu UV-1600, Japan)로 측정하였다.
맹장 내용물의 악취성분인 스카톨(skatole)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단쇄 지방산을 측정하기 위해 얻어진 상층액 3ml 시료와 15ml의 발색시약(파라-디메틸아미노벤즈 알데히드)을 20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한 다음, 상층액을 분광측광계(Shimadzu UV-1600, Japan)를 이용하여 568nm에서 측정하였다. 또 다른 악취성분인 인돌(indole)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단쇄 지방산을 측정하기 위해 얻어진 상층액을 2M 트리스 염산완충액으로 희석한 다음, 2ml 시료와 2ml의 발색시약(파라-디메틸아미노벤즈 알데히드)을 20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한 다음, 상층액을 분광측광계(Shimadzu UV-1600, Japan)를 이용하여 568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식이군
CON TP STP
맹장 무게 (g) 3.39±0.21a 4.23±0.45a 3.95±0.23a
맹장 내용물 무게 (g) 2.44±0.16a 3.22±0.41a 2.99±0.18a
맹장 외피 무게 (g) 0.95±0.05a 1.01±0.07a 0.95±0.06a
맹장 내 pH 7.20±0.03a 6.79±0.04b 6.85±0.08b
총 단쇄 지방산 (μmol) 188±18b 371±20a 366±24a
아세트산 (μmol) 157±14b 293±17a 262±25a
프로피온산 (μmol) 21.3±2.7b 36.9±3.8ab 40.0±5.3a
낙산 (μmol) 10.0±2.5c 40.6±4.9b 63.6±6.8a
숙신산 (μmol) 7.0±1.7b 23.8±7.3ab 46.4±10.0a
젖산 (μmol) 82.9±7.3a 41.4±7.9ab 21.0±9.0b
암모니아태 질소 (mg) 1.28±0.12ab 1.56±0.11a 1.02±0.14b
스카톨 (μg) 0.84±0.11b 5.50±0.76a 1.03±0.12b
인돌 (μg) 0.31±0.05b 2.37±0.35a 0.31±0.03b
값은 평균±표준오차, n=5, a,b,c 위첨자를 갖는 값은 p<0.05 수준에서 터키 다중검정법(tukey-HSD test)을 이용하여 상호 유의차를 검정을 한 것임.
두 문자가 겹쳐 표시된 집단은 두 문자의 중간 정도의 크기로 두 집단의 어느 집단과도 유의한 차이가 없는 집단을 의미함.
상기 표 5에 기재된 것과 같이, 울금 분말 및 울금 잔사 분말을 포함한 조성물을 혼합한 고지방이식이가 공급된 TP군과 STP군의 맹장 내 단쇄 지방산이 고지방이식만 공급된 CON군에 비해 증가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패성분인 암모니아태 질소, 악취성분인 인돌 및 스카톨은 TP군에서만 증가하였고, STP군은 대조군과 비슷한 농도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8 : 내장 지방의 조직학적 관찰
상기 실시예 6에서 혈액을 채취한 랫트로부터 내장 지방조직(정소상체지방, 신장주변지방)을 적출한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무게측정 후 신장 주변 지방은 일부분을 절취하여 10% 완충 포르말린에 침체시켰다. 그 다음 파라핀에 고정후 마이크로톰(Reichert-Jung 2050, ALT, USA)을 이용하여 지방조직을 5㎛로 박절하여 유리 슬라이드에 올린 후 aldehyde-fuchsin염색법에 의하여 염색을 한 후, 그 형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6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CON TP STP
신장 주변 지방 (g) 18.6±0.6a 8.80±0.84c 12.5±1.2b
정소상체 주변 지방 (g) 15.3±1.0a 7.57±0.44c 10.1±0.4b
지방체 (g) 33.9±1.3a 16.4±1.2c 22.7±1.4b
지방크기 (μm2) 6956±167a 4586±336b 4883±265b
값은 평균±표준편차, n=6, a,b,c 위첨자를 갖는 값은 p<0.05 수준에서 터키검증(tukey-HSD test)을 이용하여 상호 유의차를 검정을 한 것임.
상기 표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체내 내장 지방(신장 주변 지방과 정소상체 주변 지방 및 지방체)의 중량 및 지방 크기는 울금 분말 또는 울금 잔사물이 포함된 조성물을 혼합한 고지방식이가 공급된 TP군과 STP군이 고지방식이만 공급된 CON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또한,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울금 분말 또는 울금 잔사물이 포함된 조성물을 혼합한 고지방식이가 공급된 TP군과 STP군의 신장 주변 지방조직의 세포내 지질 축적은 고지방식이만 공급된 CON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Claims (7)

  1.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및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울금 추출물로부터 커큐민을 분리 또는 여과하여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울금 추출물은 울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300 내지 600 중량부를 가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은 비만을 원인으로 하여 발병하는 뇌졸중, 고지혈증, 동맥경화, 심혈관질환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5.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및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관련 대사성 질환은 비만을 원인으로 하여 발병하는 뇌졸중, 고지혈증, 동맥경화, 심혈관질환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는 울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탄올 300 내지 600 중량부를 가하여 추출한 울금 추출물로부터 커큐민을 분리 또는 여과하여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130030689A 2013-03-22 2013-03-22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95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0689A KR101495991B1 (ko) 2013-03-22 2013-03-22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0689A KR101495991B1 (ko) 2013-03-22 2013-03-22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725A true KR20140115725A (ko) 2014-10-01
KR101495991B1 KR101495991B1 (ko) 2015-02-26

Family

ID=5198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0689A KR101495991B1 (ko) 2013-03-22 2013-03-22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09660A (ja) * 2017-07-24 2021-04-01 サミ ラブズ リミテッド ウコン残渣物、その方法および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3471B2 (ja) 1999-12-24 2003-02-04 堯 近藤 健康食品の製造方法
JP2002027947A (ja) 2000-07-17 2002-01-29 Keigo Kusano 未利用資源植物茎葉の有効活用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09660A (ja) * 2017-07-24 2021-04-01 サミ ラブズ リミテッド ウコン残渣物、その方法および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991B1 (ko)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iedman Rice brans, rice bran oils, and rice hulls: composition, food and industrial uses, and bioactivities in humans, animals, and cells
Aluko Functional foods and nutraceuticals
Bogdanov Pollen: Nutrition, functional properties, health
EP2241195A1 (en) A method and composition for nutritionally improving glucose control and insulin action
Ng et al. The functional ingredients of quinoa (Chenopodium quinoa)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consuming quinoa: A review
WO2009084275A1 (ja) 経口投与組成物
AU2015364473B2 (en) Grape products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other uses
KR101756804B1 (ko) 참당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항당뇨 기능성 조성물 및 한방소스 제조방법
TW201609123A (zh) 五層龍屬組成物、藉由其投藥之治療方法及其製備方法
JP6042800B2 (ja) トマトシドaの抽出方法
KR101495991B1 (ko) 울금의 커큐민을 제거한 울금 잔사를 포함하는 식욕억제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1219B1 (ko) 락토바실러스속 미생물로 발효시킨 돼지감자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5981088B2 (ja) エネルギー消費促進剤
Rebollo‐Hernanz et al. Cocoa shell: source of novel bioactive ingredients for the prevention of cardiometabolic diseases
JP5506229B2 (ja) 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改善又は予防剤
Laksmitawati et al. Activity of porang flour and moringa extract to blood glucose and lipid levels in alloxan induced diabetic mice
US9700576B2 (en) Combination of anticholesterolemic fiber
WO2020122373A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Mohamed Effects of chitosan and wheat bran on serum leptin, TNF-α, lipid profile and oxidative status in animal model of non-alcoholic fatty liver
JP2004161644A (ja) 膵リパーゼ阻害剤及び該阻害剤を含有する食品
Muthu et al. Evaluation of in vivo antioxidant and lipid peroxidation effect of various extracts of the whole plant of Borreria hispida (Linn) on rat fed with high fat diet
TW201938042A (zh) 腸道屏障功能改善用組成物
KR101662887B1 (ko) 다래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16962A (ko) 톳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2255839A (ja) 抗肥満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