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334A -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334A
KR20140100334A KR20130013511A KR20130013511A KR20140100334A KR 20140100334 A KR20140100334 A KR 20140100334A KR 20130013511 A KR20130013511 A KR 20130013511A KR 20130013511 A KR20130013511 A KR 20130013511A KR 20140100334 A KR20140100334 A KR 20140100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bar
input signal
digital device
content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3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7495B1 (ko
Inventor
박효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3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495B1/ko
Priority to US13/791,402 priority patent/US9542088B2/en
Publication of KR20140100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후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디텍팅 하는 경우, 전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디텍팅 한 경우에 제공하는 스크롤 바와 다른 종류의 스크롤 바를 제공하여 전면을 제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사용자 입력을 센싱하고, 센싱된 결과에 따른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전면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제 1 스크롤 바를 활성화(activate) 하되, 상기 제 1 스크롤 바는 전체 콘텐츠(entire contents)에서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displayed portion of the entire content)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디케이팅 하고, 상기 제 1 스크롤 바의 크기는 상기 콘텐츠의 양에 디펜던트(dependent) 하고, 후면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activate) 하되, 상기 제 2 스크롤 바는 스크롤링 속도를 인디케이팅 하고, 상기 제 2 스크롤 바의 크기는 상기 콘텐츠의 양에 인디펜던트(independent) 하며, 상기 제 1 스크롤 바를 활성화하면, 상기 제 2 스크롤 바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하면, 상기 제 1 스크롤 바를 비활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후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디텍팅 하는 경우, 전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디텍팅 한 경우에 제공하는 스크롤 바와 다른 종류의 스크롤 바를 제공하여 전면을 제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 TV,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디바이스의 사용이 일반화 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동작하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많아지고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디텍팅 하면, 터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스크롤링 하기 위하여 스크롤 바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라 전면에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스크롤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 수단을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터치 수단은 후면에 위치하므로) 세부적인 스크롤링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인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디텍팅 하면, 스크롤 바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스크롤 바를 직접 제어할 수는 없다. 다시 말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콘텐츠를 스크롤링 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부분이 전체에서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 인식할 수 있도록 스크롤 바를 디스플레이 할 뿐이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스크롤 바에 대한 터치 입력을 하더라도, 스크롤 바 자체를 이동시킬 수 없고, 콘텐츠를 스크롤링 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크롤 바를 이동시켜 콘텐츠를 빠르게 스크롤링 할 수 없는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후면을 터치하여 전면에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제어하고자 할 때, 같은 터치 입력을 하더라도 후면 터치의 경우 콘텐츠의 세부적인 부분(fine detail)을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는, 후면 터치의 경우 콘텐츠를 섬세하게(delicately) 제어할 수 있도록 콘텐츠의 양에 인디펜던트(independent)한 스크롤 바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스크롤 바의 크기를 보고 스크롤링 속도를 직감적으로 알 수 있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사용자 입력을 센싱하고, 센싱된 결과에 따른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전면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제 1 스크롤 바를 활성화(activate) 하되, 상기 제 1 스크롤 바는 전체 콘텐츠(entire contents)에서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displayed portion of the entire content)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디케이팅 하고, 상기 제 1 스크롤 바의 크기는 상기 콘텐츠의 양에 디펜던트(dependent) 하고, 후면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activate) 하되, 상기 제 2 스크롤 바는 스크롤링 속도를 인디케이팅 하고, 상기 제 2 스크롤 바의 크기는 상기 콘텐츠의 양에 인디펜던트(independent) 하며, 상기 제 1 스크롤 바를 활성화하면, 상기 제 2 스크롤 바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하면, 상기 제 1 스크롤 바를 비활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의한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전면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제 1 스크롤 바를 활성화(activate) 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스크롤 바는 전체 콘텐츠(entire contents)에서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displayed portion of the entire content)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디케이팅 하고, 상기 제 1 스크롤 바의 크기는 상기 콘텐츠의 양에 디펜던트(dependent) 하고, 후면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activate) 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스크롤 바는 스크롤링 속도를 인디케이팅 하고, 상기 제 2 스크롤 바의 크기는 상기 콘텐츠의 양에 인디펜던트(independent)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크롤 바를 활성화 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스크롤 바를 비활성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 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스크롤 바를 비활성화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디텍팅 하면, 후면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를 전면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보다 더 느리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전면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러프하게(roughly) 제어할 수 있고, 후면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섬세하게(delicately)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후면에 대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콘텐츠의 양에 인디펜던트(independent)한 스크롤 바를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스크롤 바의 크기를 보고 스크롤링 속도를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섬세하게 스크롤링 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후면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동일한 그립 패턴을 유지하면서 터치 입력을 하는 대상(전면 또는 후면)만 스위칭함으로써 스크롤링 속도를 쉽게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디지털 디바이스의 그립 패턴에 따라,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그립 패턴에 따라 적합한 터치 센싱 영역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그립 패턴에 따라 일정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 전면의 전체 영역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의 일 실시예이다.
도 2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된 제 1 스크롤 바의 일 실시예이다.
도 3은 제 1 스크롤 바가 상대적인 위치를 인디케이팅 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4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 시키는 일 실시예이다.
도 5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그립 패턴에 따라 터치 센싱 영역을 설정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6은 제 2 스크롤 바가 콘텐츠를 스크롤링 하는 속도를 인디케이팅 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7은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2 스크롤 바의 위치에 따라 윈도우를 변형하여 제공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8은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제 1 스크롤 바 및 제 2 스크롤 바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되는 일 실시예이다.
도 9는 제 2 스크롤 바의 크기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 이미지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며,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의 일 실시예이다. 다만, 도 1은 일 실시예로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모듈을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 모듈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센서 유닛(120), 스토리지 유닛(130), 커뮤니케이션 유닛(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프로세서(150)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서(15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스크롤 바, 프로그레스 바와 같은 다양한 도구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센서 유닛(12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주변 환경을 센싱 하고, 이를 신호 형태로서 프로세서(15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20)은 사용자 입력을 센싱 하고, 센싱 결과에 따른 신호를 프로세서(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50)는 수신한 많은 신호 중에서,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와 같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이하 '입력 신호'라고 함)를 디텍팅 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120)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터치 센서 및 그립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2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및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환경을 센싱하여, 프로세서(150)가 그에 따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유닛(12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과 후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구분하여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전면은 디지털 디바이스(110)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구비된 면일 수 있다. 다만, 양면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구비된 경우라면, 전면은 사용자가 현재 보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후면은 전면의 반대쪽 면이다.
또한, 상술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110)으로 터치 인풋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센싱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50)는 센서 유닛(120)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으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신호를 입력 신호로서 인식하고, 입력 신호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프로세서(150)는 구성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 중에서 센서 유닛(120)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통한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는 수신하는 많은 신호들 중에서, 특정 센서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발생한 신호를 디텍팅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유닛(120)이 전면 또는 후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센싱하면, 프로세서(150)는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각 단계나 동작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시작되거나 진행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과정은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아도 상술한 과정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 것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가 디지털 디바이스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포함된 구성 유닛을 제어한다고 표현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와 디지털 디바이스를 동일시하여 설명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130)은 오디오, 사진,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은 플래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을 나타낸다.
또한, 스토리지 유닛(130)은 커뮤니케이션 유닛(140)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스토리지 유닛(130)은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디지털 디바이스(100)에서 출력하기 위한 버퍼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유닛(13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스토리지 유닛(13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 상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유닛(140)은 외부 디바이스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유닛(140)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지털 디바이스는 오디오 입출력 유닛 또는 파워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미도시)은 스피커, 이어폰 등의 오디오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오디오 출력 유닛은 프로세서(150)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또는 프로세서(15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출력 유닛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상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파워 유닛은 디바이스 내부의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파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디텍팅 하는 경우, 전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디텍팅 한 경우에 제공하는 스크롤 바와 다른 종류의 스크롤 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디지털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된 제 1 스크롤 바의 일 실시예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전면(2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디스플레이 한 콘텐츠와 관련한 스크롤 바(211)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스크롤 바(211)를 활성화 하는 것은, 사용자가 제 1 스크롤 바(211)를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전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활성화된 스크롤 바를 '제 1 스크롤 바'라고 한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그립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방향에 따라,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된 윈도우의 우측 또는 하단에 바 형태로 제 1 스크롤 바(211)를 위치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제 1 스크롤 바는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수평 스크롤 바 및 위아래로 이동시키는 수직 스크롤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수직 스크롤 바를 제 1 스크롤 바(211)의 일 실시예로서 도시하였다.
또한, 제 1 스크롤 바(211)는 전체 콘텐츠(entire contents)에서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displayed portion of the entire contents)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디케이팅 할 수 있다. 즉, 콘텐츠가 전면(210)의 스크린에 전부 디스플레이 될 수 없을 때, 제 1 스크롤 바(211)는 현재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가 전체 콘텐츠에서 어디쯤 위치하는지를 인디케이팅 할 수 있다.
도 3은 제 1 스크롤 바가 상대적인 위치를 인디케이팅 하는 일 실시예이다.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가 전체 콘텐츠에서 어디쯤 위치하는지를 알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스크롤 바(310)가 윈도우에서 디스플레이 된 위치를 이용하여, 전체 콘텐츠(entire contents)에 대한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displayed portion of the entire contents)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디케이팅 할 수 있다. 이때, 제 1 스크롤 바(310)의 디스플레이 된 위치는, 도 3과 같이 제 1 스크롤 바(310)가 수직 스크롤 바인 경우, 윈도우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경로 중에 제 1 스크롤 바(310)가 위치한 곳을 의미한다.
도 3과 같이, 제 1 스크롤 바(310)가 수직 스크롤 바인 경우, 사용자는 윈도우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제 1 스크롤 바(310)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스크롤 바(310)가 상단에서 떨어진 거리(h1) 및 제 1 스크롤 바(310)가 이동 가능한 총 거리(5h1)를 고려하면, 현재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 수 있다. 도 3의 경우, 사용자는 제 1 스크롤 바(310)의 위치를 보고, 현재 보고 있는 부분이 전체 콘텐츠의 2/5 정도 되는 지점임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제 1 스크롤 바(310)의 크기는 전체 콘텐츠의 양에 디펜던트(dependent) 할 수 있다. 제 1 스크롤 바(310)의 크기(S1)은 전체 콘텐츠에서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의 상대적인 양을 인디케이팅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제 1 스크롤 바(310)의 크기가 클수록 전체 콘텐츠에서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제 1 스크롤 바(310)의 크기가 작을수록 전체 콘텐츠에서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중이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스크롤 바의 크기는, 수직 스크롤 바는 스크롤 바의 세로 길이를, 수평 스크롤 바는 스크롤 바의 가로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스크롤 바(310)의 크기(S1)를 보고, 전체 콘텐츠는 현재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의 양의 5배 정도 되는 것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전면에 대한 입력을 통해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스크롤링 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스크롤 바를 함께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보고 있는 부분이 전체에서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 시키는 일 실시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4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전면에 디스플레이 한 콘텐츠와 관련한 스크롤 바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신호는 후면(410)에 대한 터치 신호 또는 호버링(hovering)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호버링은 사람의 손과 같은 터치 수단을 스크린에 직접 터치하지 않고, 터치하고자 하는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머무르는 것이다. 또한, 입력 신호는 싱글 터치, 멀티 터치, 터치 앤 드래그, 핀치 등에 의한 신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고 있을 때, 후면(4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전면에 디스플레이 한 콘텐츠를 스크롤링 할 수 있는 스크롤 바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디지털 디바이스가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제공하는 스크롤 바는 상술한 제 1 스크롤 바와는 다른 종류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활성화된 스크롤 바를 '제 2 스크롤 바'라고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그립 패턴에 따라 터치 센싱 영역을 설정하는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오른손을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를 잡았을 때,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과 후면 즉, 양면에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한 손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를 잡은 상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디지털 디바이스가 모바일 디바이스일 경우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스크롤 바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의 그립에 따라 터치 센싱 영역을 조정함으로써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의 전체 영역이 아닌, 후면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터치에 따른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그립에 따라 터치에 따른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는 영역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손에 의한 그립 패턴을 먼저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측면에 대한 압력을 센싱하는 센서 유닛을 통해 그립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식별한 입력 패턴에 기초하여,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510)은 제 1 측면에서 제 1 지점(520)의 위치 및 제 1 측면의 반대측인 제 2 측면에서 제 2 지점(530)의 위치에 의해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터치 센싱 영역(510)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에서 제 1 지점(520) 및 제 2 지점(530)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제 1 지점(520) 및 제 2 지점(530)은 그립 패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점(530)은 식별된 그립 패턴의 제 2 측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점 중 최상단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540)은 제 1 측면의 제 1 지점(550)의 위치 및 제 1 측면의 반대측인 제 2 측면에서 제 2 지점(560)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싱 영역(540)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에서 제 1 지점(550) 및 제 2 지점(560) 중 하측에 위치하는 지점인 제 2 지점(560)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달리, 터치 센싱 영역(540)은 제 1 지점(550) 및 제 2 지점(560) 중 상측에 위치하는 지점인 제 1 지점(550)을 기준으로 상측 영역에 해당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터치 센싱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전면에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510, 540)은 전면에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윈도우 또는 스크린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510, 540)을 전면의 윈도우 또는 스크린의 크기에 1:1 로 매칭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510, 540)과 전면의 윈도우 또는 스크린의 크기 비율에 따라, 입력 신호에 따라 스크롤링 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는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를 스케일링(scaling)하여 전면의 전체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의 길이가 a인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에서의 제 2 스크롤 바를 2a 길이로 스크롤링 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 하는 것은, 사용자가 제 2 스크롤 바를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또는 슬라이딩 등에 따른 입력을 센싱하여, 센싱 결과에 따라 콘텐츠를 스크롤링 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터치, 드래그 또는 슬라이딩을 하는 속도에 대응하여 콘텐츠를 스크롤링 하고, 제 2 스크롤 바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스크롤 바는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스크롤링 하는 속도를 인디케이팅 할 수 있다.
도 6은 제 2 스크롤 바가 콘텐츠를 스크롤링 하는 속도를 인디케이팅 하는 일 실시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크롤 바는 전체 콘텐츠에서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딩케이팅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 1 스크롤 바가 수직 스크롤 바인 경우, 사용자는 제 1 스크롤 바가 상단에서 떨어진 거리 및 제 1 스크롤 바가 이동 가능한 총 거리를 고려하면, 현재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제 1 스크롤 바의 크기는 전체 콘텐츠의 양에 디펜턴트 할 수 있다.
그러나, 제 2 스크롤 바(610)는 제 1 스크롤 바와는 다르다. 다시 말하면, 제 2 스크롤 바(610)는 전체 콘텐츠에서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디케이팅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스크롤 바(610)가 수직 스크롤 바인 경우, 상단에서 떨어진 거리(h2)는 전체 콘텐츠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암시하지 않는다. 제 2 스크롤 바(610)는 디스플레이 한 콘텐츠를 스크롤링 하는 속도를 인디케이팅 할 수 있다.
스크롤링 속도는 사용자의 터치, 슬라이딩 또는 드래그와 같은 인풋에 대응하여, 콘텐츠가 수직(수직 스크롤 바인 경우) 또는 수평(수평 스크롤 바인 경우)으로 움직이는 속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스크롤링 속도가 느릴수록 제 2 스크롤 바(610)의 크기(S2)를 크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스크롤링 속도가 빠를수록 제 2 스크롤 바(610)의 크기(S2)를 작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스크롤 바(610)는 수직 스크롤 바이므로, 제 2 스크롤 바(610)의 크기(S2)는 스크롤 바의 세로 길이를 의미한다.
다만, 제 2 스크롤 바(610)의 크기(S2)가 콘텐츠를 스크롤링 하는 속도를 인디케이팅 하면, 사용자는 제 2 스크롤 바(610)의 크기(S2) 만으로 속도를 가늠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스크롤 바의 스크롤링 속도를 별도로 인디케이팅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는 특정 방향에 대한 터치, 슬라이딩 또는 드래그 등에 의한 입력 신호에 따라 스크롤링 되는 라인의 수(6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스크롤 바(610)의 크기(S2)는 스크롤링 속도를 인디케이팅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스크롤 바(610)의 크기(S2)는 제 1 스크롤 바의 크기와 다르게, 콘텐츠의 양에 인디펜던트(independent) 할 수 있다.
한편, 제 2 스크롤 바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스크롤링 되는 방향을 인디케이팅 할 수 있다. 다만, 제 2 스크롤 바(610)의 크기(S2)가 콘텐츠의 양에 인디펜던트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콘텐츠를 아래 방향으로 스크롤링 하면 제 2 스크롤 바(610)가 윈도우의 최하단에 위치하더라도, 아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콘텐츠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윈도우의 최하단에 위치하면 최상단으로 제 2 스크롤 바(610)의 위치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반대로, 제 2 스크롤 바(610)가 윈도우의 최상단에 위치하더라도, 윗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콘텐츠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윈도우의 최상단에 위치하면 최하단으로 제 2 스크롤 바(610)의 위치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스크롤 바(610)가 윈도우의 일측에 위치하면, 기설정된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때에도 사용자는 제 2 스크롤 바가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된 윈도우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위치하면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콘텐츠 부분이 있는지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서 스크롤링을 해보면,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콘텐츠가 있음을 알 수 있지만, 그 전에는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콘텐츠가 있는지 눈으로 인지하지 어렵다. 그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를 윈도우를 변형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2 스크롤 바의 위치에 따라 윈도우를 변형하여 제공하는 일 실시예이다.
제 2 스크롤 바가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된 윈도우의 최하단에 위치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아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안 된 콘텐츠가 남아있음을 디텍팅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안 된 콘텐츠를 볼 수 있는 방법이 없고 제 2 스크롤 바가 윈도우의 최하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안 된 콘텐츠가 있음을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스크롤 바(710)가 최하단에 위치할 때,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된 윈도우(720)의 하단을 변형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안 된 콘텐츠가 남아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스크롤 바(710)가 윈도우의 최하단에 위치하였지만, 아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안 된 콘텐츠가 있는 경우, 윈도우의 하단을 변형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윈도우가 접혀있는 형태 또는 말려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남아있는 콘텐츠가 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스크롤 바(710)가 윈도우의 최상단에 위치하였지만, 윗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안 된 콘텐츠가 있는 경우, 윈도우의 상단을 변형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8은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제 1 스크롤 바 및 제 2 스크롤 바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되는 일 실시예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제 1 스크롤 바(810)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스크롤 바(810)는 전체 콘텐츠(entire contents)에서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displayed portion of the entire content)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디케이팅 하고, 제 1 스크롤 바(810)의 크기는 콘텐츠의 양에 디펜턴트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스크롤 바(810)를 활성화하면, 제 2 스크롤 바(820)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서 두 개의 스크롤 바를 제공하면 사용자에게 혼동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 1 스크롤 바(810)가 활성화 되어 있더라도,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제 2 스크롤 바(82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스크롤 바(820)는 콘텐츠를 스크롤링 하는 속도를 인디케이팅 하고, 제 2 스크롤 바의 크기는 콘텐츠의 양에 인디펜던트 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후면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 전면에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제어하고자 하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스크롤 바(820)를 활성화하면, 제 1 스크롤 바(810)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다만,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활성화한 제 2 스크롤 바(820)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디지털 디바이스의 경우, 사용자가 디지털 디바이스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이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후면을 손으로 지지하여 디지털 디바이스를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를 지지하기 위하여 후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있는 경우에는, 전면에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로 볼 수 없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시간을 설정하여,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지속적으로 후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활성화한 제 2 스크롤 바(820)를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를 전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보다 더 느리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스크롤 바(820)가 활성화 된 경우에는, 제 1 스크롤 바(810)가 활성화 된 경우보다 스크롤링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후면 터치 입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스크롤링 하는 경우는, 전면에 디스플레이 된 내용을 상세히 잘 보기 위한 의도로 해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면 터치 입력을 이용하면, 터치 수단에 의해 사용자는 시야의 방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후면 터치 입력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콘텐츠를 더욱 천천히 그리고 상세히 볼 수 있도록, 디지털 디바이스는 스크롤링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스크롤링 속도를 인디케이팅 하는 제 2 스크롤 바(820)의 크기는 제 1 스크롤 바의 크기보다 크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의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에 대한 후면의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의 비율에 근거하여, 제 2 스크롤 바(820)의 크기를 제 1 스크롤 바(810)의 크기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를 전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보다 느리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러프하게(roughly) 제어할 수 있고, 후면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해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섬세하게(delicately)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의 (a)와 같이, 제 1 스크롤 바(810)가 활성화 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콘텐츠를 스크롤링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전체 콘텐츠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의 상대적인 위치를 알 수 있도록,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스크롤 바를 콘텐츠의 스크롤링에 대응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제 1 스크롤 바(810) 자체를 직접 제어하여, 콘텐츠를 스크롤링 할 수는 없다.
이와 비교하여, 도 8의 (b)와 같이, 제 2 스크롤 바(820)가 활성화 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라 콘텐츠가 아닌, 제 2 스크롤 바(820)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스크롤 바(820)의 이동 속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스크롤링하는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 2 스크롤 바(820) 자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제 2 스크롤 바(820)의 이동 속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가 스크롤링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제 2 스크롤 바(8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러프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 중 특정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에 대해서만 제 2 스크롤 바(820) 자체를 이동하기 위한 신호로 디텍팅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의 터치 센싱 영역 중 왼쪽 또는 오른쪽과 같은 사이드의 일정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는 제 2 스크롤 바(820)를 이동하기 위한 신호로 디텍팅 하고, 나머지 영역에 대한 입력 신호는 콘텐츠를 스크롤링 하기 위한 신호로 디텍팅 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러프하게 콘텐츠를 보거나 빠르게 스크롤링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이드의 일정 영역을 터치하여 제 2 스크롤 바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세하게 콘텐츠를 보거나 천천히 스크롤링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이드의 일정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터치 센신 영역을 터치하여 제 2 스크롤 바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후면을 통해 전면에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 및 제 2 스크롤 바를 제어하는 경우, 의도하는 바에 따라 영역을 다르게 터치함으로써 다른 효과를 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2 스크롤 바의 크기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제 2 스크롤 바의 크기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스크롤 바의 크기는 입력 신호에 따라 콘텐츠를 스크롤링 하는 속도를 인디케이팅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스크롤링 하는 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10)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10)에 대한 제 2 스크롤 바의 길이(L)를 확대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제 2 스크롤 바의 스크롤링 속도를 기설정된 스크롤링 속도보다 더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도 9는 제 2 스크롤 바가 수직 스크롤 바인 일 실시예이다. 따라서, 제 2 스크롤 바가 수평 스크롤 바인 경우라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910)에 대한 제 2 스크롤 바의 너비(W)를 확대하는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제 2 스크롤 바의 스크롤링 속도를 기설정된 스크롤링 속도보다 더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도 10의 각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먼저,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1000).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에 대한 입력 신호가 있는지 디텍팅 할 수 있다(S1010). 또한,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한 경우, 제 1 스크롤 바를 활성화 할 수 있다(S1020).
제 1 스크롤 바는 전체 콘텐츠(entire contents)에서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displayed portion of the entire content)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디케이팅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스크롤 바의 크기는 콘텐츠의 양에 디펜던트 할 수 있다.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가 있는지 디텍팅 할 수 있다(S1030). 또한, 도 6 및 도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한 경우, 제 1 스크롤 바를 비활성화하고,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 할 수 있다(S1040).
제 2 스크롤 바는 콘텐츠를 스크롤링 하는 속도를 인디케이팅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스크롤 바의 크기는 콘텐츠의 양에 인디펜던트 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를, 전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보다 더 느리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에 대한,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의 비율에 근거하여, 제 2 스크롤 바의 크기를 제 2 스크롤 바의 크기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도 11의 각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먼저, 디지털 디바이스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1100).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양면 터치 인식이 가능하므로, 전면과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를 동시에 디텍팅 할 수 있다(S1110). 디지털 디바이스가 전면에 대한 입력 신호와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를 동시에 디텍팅 한 경우, 설정된 바에 따라 전면에 대한 입력 신호를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를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에 대한 입력 신호와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를 동시에 디텍팅 한 경우, 제 1 스크롤 바를 활성화하고 제 2 스크롤 바는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전면에 대한 입력 신호와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를 동시에 디텍팅 한 경우,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하고 제 1 스크롤 바는 비활성화 할 수도 있다. 도 11은, 전면에 대한 입력 신호를 우선적으로 처리하는 일 실시예로서, 제 1 스크롤 바를 활성화하고, 제 2 스크롤 바는 비활성화하는 일 실시예이다.
따라서, 전면과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를 동시에 디텍팅 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크롤 바를 활성화 하고, 제 2 스크롤 바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S1120). 다만,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스크롤 바 또는 제 2 스크롤 바가 활성화 되어 있더라도 후면 또는 전면에 대한 입력 신호를 지속적으로 디텍팅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디텍팅 할 수 있다(S1130).
도 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는 후면에 대한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활성화 하였던 제 1 스크롤 바를 비활성화 하고,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 할 수 있다(S1140). 디지털 디바이스가 동일한 콘텐츠에 대해서 두 개의 서로 다른 스크롤 바를 제공하면, 사용자가 혼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100 디지털 디바이스
110 디스플레이 유닛 120 센서 유닛
130 스토리지 유닛 140 커뮤니케이션 유닛
150 프로세서

Claims (20)

  1.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사용자 입력을 센싱하고, 센싱된 결과에 따른 신호를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전면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제 1 스크롤 바를 활성화(activate) 하되,
    상기 제 1 스크롤 바는 전체 콘텐츠(entire contents)에서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displayed portion of the entire content)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디케이팅 하고, 상기 제 1 스크롤 바의 크기는 상기 콘텐츠의 양에 디펜던트(dependent) 하고,
    후면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activate) 하되,
    상기 제 2 스크롤 바는 스크롤링 속도를 인디케이팅 하고, 상기 제 2 스크롤 바의 크기는 상기 콘텐츠의 양에 인디펜던트(independent) 하며,
    상기 제 1 스크롤 바를 활성화하면, 상기 제 2 스크롤 바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하면, 상기 제 1 스크롤 바를 비활성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후면에 대한 제 3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를, 상기 전면에 대한 제 4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보다 더 느리게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4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에 대한, 상기 제 3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의 비율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스크롤 바의 크기를 상기 제 1 스크롤 바의 크기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후면에 대한 상기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활성화한 제 2 스크롤 바를 비활성화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면에 대한 제 5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스크롤링 하고, 상기 스크롤링에 따라 상기 전체 콘텐츠에서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디케이팅 하도록 상기 제 1 스크롤 바를 이동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후면에 대한 제 6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스크롤 바를 이동하고, 상기 제 2 스크롤 바의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된 콘텐츠를 스크롤링 하는 속도를 조정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에 대한 제 6 입력 신호는,
    상기 후면의 특정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센싱한 신호를 디텍팅 한 신호인, 디지털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스크롤 바가 상기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된 윈도우의 일측에 위치하면, 기설정된 위치로 조정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스크롤 바의 크기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제 2 스크롤 바의 길이(length)를 확대하는 제 7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상기 제 2 스크롤 바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를 기설정된 스크롤링 속도보다 더 낮게 설정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면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와 상기 후면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동시에 디텍팅 한 경우, 상기 제 1 스크롤 바를 활성화 하고 상기 제 2 스크롤 바를 비활성화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면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와 상기 후면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동시에 디텍팅 한 경우, 상기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 하고 상기 제 1 스크롤 바를 비활성화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3. 양면 터치 인식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전면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제 1 스크롤 바를 활성화(activate) 하는 단계,
    상기 제 1 스크롤 바는 전체 콘텐츠(entire contents)에서 디스플레이 된 부분 콘텐츠(displayed portion of the entire content)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디케이팅 하고, 상기 제 1 스크롤 바의 크기는 상기 콘텐츠의 양에 디펜던트(dependent) 함;
    후면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activate) 하는 단계,
    상기 제 2 스크롤 바는 스크롤링 속도를 인디케이팅 하고, 상기 제 2 스크롤 바의 크기는 상기 콘텐츠의 양에 인디펜던트(independent) 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크롤 바를 활성화 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스크롤 바를 비활성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 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스크롤 바를 비활성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에 대한 제 3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를, 상기 전면에 대한 제 4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 보다 더 느리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에 대한 제 3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를, 상기 전면에 대한 제 4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보다 더 느리게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4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에 대한, 상기 제 3 입력 신호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의 비율에 근거하여, 상기 제 2 스크롤 바의 크기를 상기 제 1 스크롤 바의 크기보다 더 크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에 대한 상기 제 2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활성화한 제 2 스크롤 바를 비활성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크롤 바가 상기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된 윈도우의 일측에 위치하면, 상기 제 2 스크롤 바를 기설정된 위치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와 상기 후면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동시에 디텍팅 한 경우, 상기 제 1 스크롤 바를 활성화 하고 상기 제 2 스크롤 바를 비활성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에 대한 제 1 입력 신호와 상기 후면에 대한 제 2 입력 신호를 동시에 디텍팅 한 경우, 상기 제 2 스크롤 바를 활성화 하고 상기 제 1 스크롤 바를 비활성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크롤 바의 크기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제 2 스크롤 바의 길이(length)를 확대하는 제 5 입력 신호를 디텍팅 하면, 상기 제 2 스크롤 바에 따른 스크롤링 속도를 기설정된 스크롤링 속도보다 더 낮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30013511A 2013-02-06 2013-02-06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7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511A KR102097495B1 (ko) 2013-02-06 2013-02-06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3/791,402 US9542088B2 (en) 2013-02-06 2013-03-08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hat enable touch recognition from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igit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511A KR102097495B1 (ko) 2013-02-06 2013-02-06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334A true KR20140100334A (ko) 2014-08-14
KR102097495B1 KR102097495B1 (ko) 2020-04-06

Family

ID=5126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511A KR102097495B1 (ko) 2013-02-06 2013-02-06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42088B2 (ko)
KR (1) KR1020974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3335B2 (en) 2014-05-29 2022-05-24 Apple Inc. Message processing by subscriber app prior to message forwarding
WO2016036546A2 (en) * 2014-09-02 2016-03-10 Apple Inc. Reduced-size notification interface
AU2015312369B2 (en) 2014-09-02 2018-04-05 Apple Inc. Reduced-size interfaces for managing alerts
US10345967B2 (en) * 2014-09-17 2019-07-09 Red Hat, Inc. User interface for a device
US10489043B2 (en) 2015-12-15 2019-1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gnitive graphical control element
US11152100B2 (en) 2019-06-01 2021-10-19 Apple Inc. Health application user interfaces
US11477609B2 (en) 2019-06-01 2022-10-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location-related communications
US11481094B2 (en) 2019-06-01 2022-10-2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location-related communications
US11320984B2 (en) * 2019-08-19 2022-05-03 Motorola Mobility Llc Pressure sensing device interface represent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3588A (en) * 1992-12-14 1997-04-22 New York University Computer user interface with non-salience deemphasis
KR20080064311A (ko) * 2007-01-04 200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스크롤링 장치 및 방법
KR20100027688A (ko) * 2008-09-03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8261A1 (en) * 1992-12-14 2008-07-03 Eric Justin Gould Computer user interface for audio and/or video auto-summarization
JP2000010706A (ja) * 1998-06-25 2000-01-14 Fujitsu Ltd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KR101496451B1 (ko) 2007-01-19 2015-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크롤 바의 표시방법
KR101592296B1 (ko) * 2008-09-03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객체 선택과 실행 방법
US8375295B2 (en) 2009-05-21 2013-02-1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Customization of GUI layout based on history of use
EP2341414A1 (en) * 2009-12-31 2011-07-0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Europe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U2012300387A1 (en) * 2011-08-26 2014-02-27 Scholastic Inc. Interactive electronic reader with parental control
US8650502B2 (en) * 2011-11-23 2014-0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precise navigation of data
JP2013117885A (ja) * 2011-12-02 2013-06-13 Nintendo Co Ltd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8737821B2 (en) * 2012-05-31 2014-05-27 Eric Qing Li Automatic triggering of a zoomed-in scroll bar for a media program based on user inpu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3588A (en) * 1992-12-14 1997-04-22 New York University Computer user interface with non-salience deemphasis
KR20080064311A (ko) * 2007-01-04 200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스크롤링 장치 및 방법
KR20100027688A (ko) * 2008-09-03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495B1 (ko) 2020-04-06
US9542088B2 (en) 2017-01-10
US20140223358A1 (en)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495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40196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US8872735B2 (en) Head mounted display for adjusting audio output and video output in relation to each ot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391234B2 (ja) 情報検索方法、そのような機能を有するデバイス及び記録媒体
AU2011243470B2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US93233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200963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in mobile terminal responsive to multi-touch inputs
US20140218309A1 (en) Digital device for recognizing double-sided tou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521022A2 (en) Method for finely controlling conten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JP5304577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10078490B2 (en) Mobi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20140115906A (ko) 시선 위치를 디텍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101861377B1 (ko) 이동 단말에서 모션 기반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US201402298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2179816B1 (ko) 히스토리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344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55087B1 (ko)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4011275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2465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룹 정보 설정 방법
KR20140090768A (ko) 동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297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5791B1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KR20150113732A (ko) 모바일 장치, 크로스디바이스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 콘텐츠 공유 방법
CN107111429B (zh) 在设备上显示对象的方法及其设备
KR20150075764A (ko) 이미지를 캡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