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255A -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 Google Patents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255A
KR20140091255A KR1020130003295A KR20130003295A KR20140091255A KR 20140091255 A KR20140091255 A KR 20140091255A KR 1020130003295 A KR1020130003295 A KR 1020130003295A KR 20130003295 A KR20130003295 A KR 20130003295A KR 20140091255 A KR20140091255 A KR 20140091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signal
motion
signal
rotary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6904B1 (ko
Inventor
박형우
전철
신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시
피스퍼센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시, 피스퍼센트(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시
Priority to KR1020130003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904B1/ko
Publication of KR20140091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는 회전축의 일끝 부와 결합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축이 중심부에 관통하여 회전축과 결합되고, 테두리의 제1둘레면에 복수의 요철을 형성하고, 테두리의 제2둘레면에 걸림턱을 형성하며, 회전 손잡이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체부의 회전 시, 회전방향에 따라 상이한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APPARATUS FOR MOTION CONTROLER USING ROTATIONAL MOTION}
본 발명은 모션 컨트롤을 위한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한 회전운동으로 동작신호를 생성시켜 모션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션을 가지는 완구와 같은 물체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리모컨(Remote Control)을 이용한다. 또한, 비디오 게임의 조작을 위해서도 조이스틱(Joystic)과 같은 형태의 리모컨을 이용하여 비디오 게임의 캐릭터 등의 모션을 컨트롤한다. 전술한 모션을 컨트롤하는 리모컨은 동작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번호 키, 방향키 또는 기 설정된 기능키 등을 이용하게 된다.
현재, 리모컨은 단순히 모션의 컨트롤을 위한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느낌을 전달해주는 수단으로도 발달하고 있다. 이러한 리모컨 중에는 내부에 진동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게임 또는 물체의 구동 시, 사용자가 진동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또한, 리모컨에 음향출력장치를 포함시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리모컨도 제공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87095호의 “게임기가 부착된 리모콘”은 전자제품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통합 리모콘의 일 측에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게임기를 부착한 게임기가 부착된 리모콘에 관한 기술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리모콘은 전자제품을 원격에서 제어하거나 조건 등을 설정하기 위한 통합 리모콘에 액정화면을 구비하고, 액정화면을 통해 해당하는 전자제품의 기종이나 코드번호의 설정 또는 송수신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액정화면을 통해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여 통합 리모콘의 기능을 향상시킨 게임기가 부착된 리모콘이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리모컨은 리모컨에 게임비가 구비되어 별도의 게임기를 구비하지 않고, 리모컨 사용자가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게임을 즐기기 위한 조작(컨트롤)은 기존의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사용자는 방향키와 기능키를 누름 동작하여 게임을 단순 컨트롤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모컨을 이용해 게임을 컨트롤하는 동안 액정화면을 통한 시각적 즐거움만을 느낀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리모컨을 이용해 장시간 게임을 컨트롤하면 고정된 자세로 인해 특정 신체부위에 피로가 누적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아동일 경우, 기존의 버튼식 리모컨을 사용하여 게임, 동작 완구 등을 조종함에 있어 방향키와 조작키를 이용해 모션을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리모컨의 버튼(Button) 조작이 아닌 회전운동에 의해 동작신호를 발생시켜, 비디오 게임, 놀이기구, 완구 또는 전자장치 등의 물체나 캐릭터의 모션을 컨트롤할 수 있는 리모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캐릭터 또는 물체의 모션을 컨트롤 시, 사용자에게 시각적 즐거움뿐만 아니라, 모션 컨트롤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즐거움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컨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모션 컨트롤 시 반복된 버튼 조작으로 인해 발생되는 특정 신체부위의 피로 누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리모컨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넷째, 사용자가 아동일 경우라도 비디오 게임 또는 동작 완구의 모션 컨트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컨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은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는 회전축의 일끝 부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축이 중심부에 관통하여 회전축과 결합되고, 테두리의 제1둘레면에 복수의 요철(凹凸)을 형성하고, 테두리의 제2둘레면에 걸림턱을 형성하며, 회전 손잡이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부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체부의 회전 시, 회전방향에 따라 상이한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회전체부에서 테두리의 제1둘레면에 형성된 요철은 횡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회전체부에서 테두리의 제2둘레면은 일 구간에 걸림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체부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회전 손잡이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작신호 생성부는 회전체부의 요철에 출입 시 동작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고, 회전체부의 회전방향에 따른 요철의 각 요부로의 진입방향에 따라 상이한 동작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1신호생성부재를 포함한다. 아울러, 회전체부의 회전 시 걸림턱과 접촉되어 회전체부에 가해지는 회전력의 방향으로 동작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고, 걸림턱의 접촉 방향에 따라 상이한 동작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2신호생성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신호생성부재는 회전체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요철에 타방향으로 진입되어 회전체부의 회전방향과 대응되는 일 방향의 동작신호가 생성되도록 신호를 스위칭(Switch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제2신호생성부재는 걸림턱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촉에 의해 회전력이 전해질 경우, 걸림턱에 가해진 일 방향의 회전력에 따라 일 방향의 동작신호가 지속적으로 생성되도록 신호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신호생성부재는 걸림턱가 일 방향으로 접촉되는 동안, 동작신호의 세기가 유지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작신호 생성부는 제1신호생성부재 및 제2신호생성부재의 동작에 따른 동작신호의 종류를 결정하고, 결정된 종류에 따른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체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회전한 횟수만큼 회전체부를 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복원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동작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동작신호를 RF신호 통신방식, 적외선 통신방식, NFC 통신방식 또는 RFID 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3축 자이로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운동 방향에 대응되는 동작신호를 생성하하여 송신되도록 하는 센서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회전손잡이부를 통해 회전체부를 회전시키고, 회전체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동작신호 생성부가 동작신호를 생성함으로써, 회전방향 및 회전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대응되는 동작신호를 이용해 비디오 게임, 완구 또는 전자장치와 같은 물체나 캐릭터의 모션을 컨트롤할 수 있다.
둘째, 버튼 조작에 의한 컨트롤이 아닌 사용자에 의한 회전운동으로 동작신호를 생성하고, 물체 또는 캐릭터의 모션을 컨트롤함으로써, 사용자가 몸으로 직접 체감하여 모션을 컨트롤할 수 있다.
셋째, 사용자가 모션을 컨트롤하기 위해 회전운동 및 다양한 동작을 취함으로써, 장시간 모션 컨트롤 시 특정 신체부위의 피로 누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넷째, 모션 컨트롤을 위한 리모컨 조작을 회전운동만으로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아동일 경우라도 비디오 게임 또는 동작 완구의 모션 컨트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을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을 설명하는 또 다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100)은 하우징(110)의 내부를 관통하는 회전축(111)의 일끝 부와 결합되어 회전축(111)을 회전시키는 회전 손잡이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회전축(111)이 중심부에 관통하여 회전축(111)과 결합되고, 테두리의 제1둘레면에 복수의 요철(131)을 형성하고, 테두리의 제2둘레면에 걸림턱(132)을 형성하며, 회전 손잡이부(120)의 회전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체부(130)의 회전 시, 회전방향에 따라 상이한 동작신호를 생성하며, 회전체부(13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상이한 동작신호가 생성하는 동작신호 생성부(140)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하우징(110)은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고 투명, 불투명 또는 반투명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회전체부(130), 동작신호 생성부(140), 회전축(111)이 설치 및 배치된다. 하우징(110)은 회전축(111)과 결합된다. 회전축(111)은 하우징(110)의 일 측과 타 측을 관통하며 하우징(110)과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110)은 플라스틱, 아크릴 등으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며,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회전 손잡이부(120)는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결합된 회전축의 일끝 부와 끼움결합된다. 회전 손잡이부(120)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111)의 끝부와 결합되어 하우징(110)의 외부에 배치된다. 회전 손잡이부(120)는 사용자가 파지 후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회전 손잡이부(120)를 파지한 후, 회전 손잡이부(120)를 회전시키고, 이때의 회전력은 회전축(111) 및 회전체부(130)에 전달될 것이다. 회전 손잡이부(120)의 크기 및 형상은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회전 손잡이부(120)를 통한 사용자에 의한 회전운동은 회전축(111)과 회전체부(130)에 모두 전달되며, 전달되는 회전운동을 이용해 동작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회전체부(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중심부가 회전축(111)에 관통되는 방식으로 회전축(111)과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 손잡이부(120)가 회전운동할 경우, 회전체부(13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회전체부(130)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져 테두리의 제1둘레면을 따라 톱니형상의 요철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1둘레면으로 이루어진 회전체부(130)는 톱니바퀴와 대응되는 형상이다.
회전체부(130)에서 테두리의 제1둘레면에 형성된 요철은 횡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횡방향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부의 회전방향을 종방향으로 삼을 때 그에 직교되는 횡방향을 의미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요철은 횡방향뿐만 아니라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각 요부에 제1신호생성부재가 규칙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1둘레면과 제2둘레면이 하나의 테두리로 이루어진다. 제1둘레면은 테두리 중 요철을 구비한 테두리를 가리키는 것이다. 제2둘레면은 요철이 형성되지 않고 일 구간에 걸림턱(132)을 구비한 테두리를 의미한다. 요철을 제외한 바닥면의 관점에서 보면, 제1둘레면의 바닥높이가 제2둘레면의 바닥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도1 참조). 한편, 제1둘레면과 제2둘레면의 좌우배치의 변경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100)의 회전체부(130) 및 동작신호 생성부(14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회전체부(130) 및 동작신호 생성부(140)를 통한 동작신호 생성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회전체부(130) 및 동작신호 생성부(140)의 부분 확대도를 포함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부(130)에서 테두리의 제1둘레면은 요철(131)을 형성하고, 테두리의 제2둘레면에는 요철(131)이 형성되지 않으며 면으로 이루어지며, 면으로 이루어진 테두리의 제2둘레면 일 구간에 걸림턱(132)을 구비한다. 또한, 회전체부(130)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회전 손잡이부(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111)과 함께 회전한다.
회전체부(130)는 테두리의 제1둘레면에 톱니바퀴와 같은 형상의 요철로 이루어지며, 제2둘레면은 톱니바퀴가 아닌 면으로 이루어진 원판형상이다. 여기서, 요철(13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테두리 제2둘레면 일 구간에 걸림턱(132)이 배치된다. 걸림턱(132)은 톱니와 같은 형상의 요철을 구비할 수 있으며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회전체부(130)의 형상은 원판형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도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크기 또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회전체부(130)가 회전축(111)에 결합되어 배치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을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회전체부(130)가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회전 손잡이부(120)와 근접하도록 위치된다.
동작신호 생성부(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부(13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하부에 배치되는 하우징(110)은 도시하지 않았다.
동작신호 생성부(140)는 회전체부(130)의 요철(131)에 출입 시 동작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고, 회전체부(130)의 회전방향에 따른 요철(131)의 각 요부로의 진입방향에 따라 상이한 동작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1신호생성부재(141)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체부(130)의 회전 시 걸림턱(132)과 접촉되고, 걸림턱(132)과 결합된 회전체부(130)의 회전 방향으로 동작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고, 걸림턱(132)의 접촉 방향에 따라 상이한 동작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2신호생성부재(142)를 포함한다.
동작신호 생성부(140)의 제1신호생성부재(141) 및 제2신호생성부재(142)는 본 발명에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특정한 형상으로 국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신호생성부재(141)는 회전체부(130)에 형성된 요철(131)에 출입이 가능하도록 굴곡되어 연장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체부(130)가 회전할 경우, 제1신호생성부재(141)의 끝 부는 요철(131)의 요부쪽으로 진입하게 된다.
제1신호생성부재(141)는 회전체부(13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요철(131)에 타방향으로 진입되어 회전체부(130)의 회전방향과 대응되는 일 방향의 동작신호가 생성되도록 스위칭(Switching)한다. 만약, 회전체부(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신호생성부재(141)는 반 시계방향으로 요철(131)에 진입하게 될 것이다. 이는 회전체부(130)가 톱니바퀴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회전체부(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신호생성부재(141)는 시계방향으로 밀려나게 되고, 일정구간 밀려난 후에 탄성에 의해 밀려난 반대방향인 반 시계방향으로 요철(131)에 진입하게 될 것이다. 전술한 설명은 회전체부(13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것이다. 다만, 방향에 대한 부분이 서로 달라질 것이다. 이는 도 3의 부분 확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제2신호생성부재(142)는 걸림턱(132)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촉에 의해 회전력이 전해질 경우, 걸림턱(132)에 가해진 일 방향의 회전력에 따라 일 방향의 동작신호가 생성되도록 신호를 스위칭(Switching)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신호생성부재(142)는 걸림턱(132)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스위칭한다.
제2신호생성부재(142)는 걸림턱(132)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지는 동안 동작신호의 생성을 위해 전기적 신호를 지속적으로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제2신호생성부재(142)는 걸림턱(132)가 일 방향으로 접촉되는 동안, 동작신호의 세기가 유지되도록 스위칭(Switching)한다.
본 발명에서 ‘접촉’은 걸림턱(132)과 제2신호생성부재(142)가 맞닿아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2신호생성부재(142)에 의해 신호가 온상태로 스위칭되는 것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력이 지속적으로 전달되고 있다는 것을 가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스위칭은 전기 신호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때의 전기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포함되는 배터리 형태의 전원부(미도시)에 의해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전원부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으며, 내부에 포함되지 않고 외부의 전원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을 설명하는 또 다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100)의 동작신호 생성부(140)는 동작신호 생성부(140)는 제1신호생성부재(141) 및 제2신호생성부재(142)의 동작에 따른 동작신호의 종류를 결정하고, 결정된 종류에 따른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3)는 IC회로(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제1신호생성부재(141) 및 제2신호생성부재(142)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되는 스위칭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동작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신호생성부재(141)의 반 시계방향 움직임에 의해 생성된 스위칭 신호는 직진동작을 위한 동작신호로 결정하여, 이에 따른 동작신호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신호생성부재(141)의 시계방향 움직임에 의해 생성된 스위칭 신호는 후진동작을 위한 동작신호로 결정하여, 이에 따른 동작신호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동작신호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고, 기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제어부(143)는 사용자가 회전 손잡이부(120)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직진운동 또는 후진운동을 위한 동작신호로 결정하고, 동작신호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100)은 동작신호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동작신호를 RF신호 통신방식, 적외선 통신방식, NFC 통신방식 또는 RFID 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로 송신하는 송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150)는 동작신호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동작신호를 완구, 비디오 게임 또는 전자장치 등에 송신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송신부(140)가 완구, 비디오 게임 또는 전자장치 등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동작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143)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완구, 비디오 게임 또는 전자장치 등에 포함되어 동작신호 생성부(140)에서 생성되는 스위칭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100)은 3축 자이로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운동 방향에 대응되는 동작신호를 생성하여 송신되도록 하는 센서신호생성부(1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센서신호생성부(160)에 의해 회전 손잡이부(120)를 회전운동시키지 않더라도, 동작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센서신호생성부(160)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센서와 같은 3축 자이로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동작신호를 생성하여 송신부(150)에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센서신호생성부(16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며, 동작신호 생성부(140)와 함께 복합적인 동작신호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10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체부(13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회전한 횟수만큼 회전체부(130)를 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복원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100)은 회전복원부재를 포함하여, 회전 손잡이부(120)의 회전 수만큼, 반대 방향으로 회전 손잡이부(120)를 회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100)으로 낚시 게임을 즐길 경우,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100)은 낚시대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회전 손잡이부(120)는 낚시 대의 릴(Reel)과 같은 역할을 하여, 사용자에게 모션을 컨트롤하는 즐거움 이외에 실제 낚시를 즐길 때 느껴지는 기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회전복원부재가 작동될 경우, 동작신호 생성부(140)는 동작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도록 제어부(143)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회전복원부재가 작동될 경우라도, 동작신호 생성부(140)는 동작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부(143)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100)은 회전손잡이부(120)를 통해 회전체부(130)를 회전시키고, 회전체부(130)의 회전운동에 따라 동작신호 생성부(140)가 동작신호를 생성함으로써, 회전방향 및 회전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대응되는 동작신호를 이용해 비디오 게임, 완구 또는 전자장치와 같은 물체나 캐릭터의 모션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버튼 조작에 의한 컨트롤이 아닌 사용자에 의한 회전운동으로 동작신호를 생성하고, 물체 또는 캐릭터의 모션을 컨트롤함으로써, 사용자가 몸으로 직접 체감하여 모션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션을 컨트롤하기 위해 회전운동 및 다양한 동작을 취함으로써, 장시간 모션 컨트롤 시 특정 신체부위의 피로 누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모션 컨트롤을 위한 리모컨 조작을 회전운동만으로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아동일 경우라도 비디오 게임 또는 동작 완구의 모션 컨트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110: 하우징 111: 회전축
120: 회전 손잡이부 130: 회전체부
131: 요철 132: 걸림턱
140: 동작신호 생성부 141: 제1신호생성부재
142: 제2신호생성부재 143: 제어부
150: 송신부 160: 센서신호생성부

Claims (11)

  1. 하우징의 내부를 관통하는 회전축의 일끝 부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손잡이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축이 중심부에 관통하여 회전축과 결합되고, 테두리의 제1둘레면에 복수의 요철(凹凸)을 형성하고, 테두리의 제2둘레면에 걸림턱을 형성하며, 회전 손잡이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부; 및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체부의 회전 시, 회전방향에 따라 상이한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체부에서 테두리의 제1둘레면에 형성된 요철은 횡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회전체부에서 테두리의 제2둘레면은 일 구간에 걸림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3. 제2항에 있어서,
    회전체부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회전 손잡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체부는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4. 제1항에 있어서,
    동작신호 생성부는
    회전체부의 요철에 출입 시 동작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고, 회전체부의 회전방향에 따른 요철의 각 요부로의 진입방향에 따라 상이한 동작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1신호생성부재; 및
    회전체부의 회전 시 걸림턱과 접촉되고, 걸림턱과 결합된 회전체부의 회전 방향으로 동작신호가 생성되도록 하고, 걸림턱의 접촉 방향에 따라 상이한 동작신호가 생성되도록 하는 제2신호생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5. 제4항에 있어서,
    제1신호생성부재는 회전체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요철에 타방향으로 진입되어 회전체부의 회전방향과 대응되는 일 방향의 동작신호가 생성되도록 신호를 스위칭(Switch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6. 제4항에 있어서,
    제2신호생성부재는 걸림턱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촉에 의해 회전력이 전해질 경우, 걸림턱에 가해진 일 방향의 회전력에 따라 일 방향의 동작신호가 지속적으로 생성되도록 신호를 스위칭(Switch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7. 제6항에 있어서,
    제2신호생성부재는 걸림턱에 일 방향으로 접촉되는 동안, 동작신호의 세기가 유지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8. 제4항에 있어서,
    동작신호 생성부는 제1신호생성부재 및 제2신호생성부재의 동작에 따른 동작신호의 종류를 결정하고, 결정된 종류에 따른 동작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9.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체부가 일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회전한 횟수만큼 회전체부를 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복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10. 제3항에 있어서,
    동작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동작신호를 RF신호 통신방식, 적외선 통신방식, NFC 통신방식 또는 RFID 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11. 제10항에 있어서,
    3축 자이로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운동 방향에 대응되는 동작신호를 생성하하여 송신되도록 하는 센서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KR1020130003295A 2013-01-11 2013-01-11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KR101506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295A KR101506904B1 (ko) 2013-01-11 2013-01-11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295A KR101506904B1 (ko) 2013-01-11 2013-01-11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255A true KR20140091255A (ko) 2014-07-21
KR101506904B1 KR101506904B1 (ko) 2015-03-30

Family

ID=5173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295A KR101506904B1 (ko) 2013-01-11 2013-01-11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9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865A (ko) * 2016-11-14 2018-05-24 현도익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249B1 (ko) 2003-12-29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뚜기형 자동충전 리모콘
KR101243236B1 (ko) * 2006-02-23 2013-03-14 인텔 코포레이션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휠 입력장치 및 휠 입력장치의제어방법
JP2010123352A (ja) 2008-11-18 2010-06-03 Toshiba Corp 操作ダイヤ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865A (ko) * 2016-11-14 2018-05-24 현도익 한 쌍의 회전부를 이용한 리모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904B1 (ko) 201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20449T3 (es) Sistema de construcción de un juguete
US10643494B2 (en) Cube puzzle solver
US8987620B2 (en) Haptic steering wheel switch apparatus
EP2844435B1 (en) Line sensing robot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with a digital display
US20120309261A1 (en) Remotely controlled mobile device control system
JP2012526596A (ja) 個人使用のための個人衛生用具
KR20230017928A (ko) 기능 구축 요소를 갖는 완구 구축 시스템
JP2009267643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機
KR101506904B1 (ko) 회전운동을 이용한 모션 컨트롤 리모컨
CN110536729B (zh) 交互式模块化构造元件及具有交互式模块化构造元件的模块化构造系统
EP2060307B1 (en) Ball with sensor
CN105169710A (zh) 一种游戏方式多元的悠悠球
US20110171878A1 (en) Racing toy
CN216536900U (zh) 玩具控制装置
JP6707701B1 (ja) アクションロボット玩具
JP3137995U (ja) ラジオコントロール玩具用送信機のスタンド装置
TWI670107B (zh) 可控制的平衡玩具
KR200458735Y1 (ko) 음향완구의 회전체 구동장치
JP2008173210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玩具
KR19990022174U (ko) 감지센서에의해보행이가능한완구용로보트
JP5752436B2 (ja) 磁気治療器
TWM447793U (zh) 電子積木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