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423A - 가변 압축비 엔진 - Google Patents

가변 압축비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423A
KR20140078423A KR1020120147759A KR20120147759A KR20140078423A KR 20140078423 A KR20140078423 A KR 20140078423A KR 1020120147759 A KR1020120147759 A KR 1020120147759A KR 20120147759 A KR20120147759 A KR 20120147759A KR 20140078423 A KR20140078423 A KR 20140078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shaft
compression ratio
crank pin
piston
sli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윤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7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8423A/ko
Publication of KR20140078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4Engines with variable distances between pistons at top dead-centre positions and 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32Engines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istons and main shafts and not specific to preceding main 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5/00Varying compression ratio
    • F02D15/02Varying compression ratio by alteration or displacement of piston stro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가변 압축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는 혼합기의 연소력을 피스톤으로부터 전달받아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엔진에서 상기 혼합기의 압축비를 변경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샤프트에서 상기 피스톤과 커넥팅 로드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설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크랭크 핀; 및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일단과 연결되며, 유압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크랭크샤프트를 왕복 이동시키는 샤프트 이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 압축비 엔진{VARIABLE COMPRESSION RATION ENGINE}
본 발명은 가변 압축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실 내의 혼합기의 압축비를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가변시키는 가변 압축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기관의 열효율은 압축비가 높으면 증가되며, 스파크 점화기관의 경우 일정 수준까지 점화시기를 진각하면 열효율이 증가된다.
그러나, 스파크 점화기관은 높은 압축비에서 점화시기를 진각하면 이상 연소가 발생하여, 엔진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점화시기 진각에 한계가 있고, 이에 의해 출력 저하를 감수해야 한다.
이에 대응하여 엔진에는 혼합기의 압축비를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변화시키는 장치인 가변 압축비 장치(variable compression ratio: VCR)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 가변 압축비 장치는 엔진의 저부하 운전 상태(low load condition)에서는 혼합기의 압축비를 높여 연비를 향상시키고 엔진의 고부하 운전 상태(high load condition)에서는 혼합기의 압축비를 낮추어 녹킹의 발생을 방지하고 엔진 출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종래의 가변 압축비 장치는 피스톤과 크랭크샤프트를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압축비의 변화를 구현하였다. 이러한 타입의 가변 압축비 장치는 피스톤과 크랭크샤프트를 연결하는 부분이 여러 개의 링크들로 구성되어 있어 연소압이 상기 링크들에 직접 전달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링크들의 내구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가변 압축비 장치에 대한 다양한 실험 결과, 편심 베어링을 이용하여 크랭크 핀과 피스톤 핀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이 작동 신뢰성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런데, 편심 베어링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유압을 이용하면 각 실린더마다 편심 베어링의 회전량 및 유압 유출량이 다르므로 각 실린더마다 압축비가 일정하지 못하고, 엔진 작동 조건에 따라 압축비가 변화되는 시간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편심 베어링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복수개의 링크가 사용되므로, 무빙 질량이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편심 베어링에 작용하는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발란스웨이트의 무게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상기 복수개의 링크를 장착하기 위하여 엔진의 일측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야 하므로 엔진의 탑재성이 악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크랭크샤프트의 좌, 우 이동을 통해 피스톤의 회전반경을 선택적으로 증감시킴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고, 별도의 링크수단이나 편심 베어링의 적용 없이도 압축비를 가변시키도록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는 혼합기의 연소력을 피스톤으로부터 전달받아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엔진에서 상기 혼합기의 압축비를 변경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샤프트에서 상기 피스톤과 커넥팅 로드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설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크랭크 핀; 및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일단과 연결되며, 유압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크랭크샤프트를 왕복 이동시키는 샤프트 이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크랭크 핀은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일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단 측 방향에서 타단에 형성되는 풀리단 측 방향으로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중심축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이동유닛은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일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단에 대응하여 장착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에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플랜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슬라이드 블록;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블록의 내부에 형성되는 챔버; 및 상기 챔버에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 컨트롤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상기 고정블록의 내부에서 상기 챔버를 사이에 두고, 양측 타단에 탄성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블록에 형성된 장착홈을 통해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블록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챔버에 유압 공급 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의해 인장되고, 상기 챔버에 유압 해제 시, 압축되어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상기 샤프트 이동유닛에 의한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후진 작동 시, 상기 커넥팅 로드가 경사진 상기 크랭크 핀을 따라 하강될 경우의 회전반경(R1)이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전진 작동 시, 상기 커넥팅 로드가 경사진 상기 크랭크 핀을 따라 상승될 경우의 회전반경(R2)보다 작은 회전반경(R1<R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연소실 내부에서 압축 및 팽창 시, 경사진 상기 크랭크 핀에 의해 하강된 상태에서의 이동거리(D1)가 상기 크랭크 핀에 의해 상승된 상태에서의 이동거리(D2)보다 짧은 길이(D1<D2)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에 의하면, 크랭크샤프트의 크랭크 핀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크랭크샤프트의 좌, 우 이동을 통해 피스톤의 회전반경을 선택적으로 증감시킴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고, 별도의 링크수단이나 편심 베어링의 적용 없이도 압축비를 가변 시킬 수 있어 제작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일 컨트롤 밸브를 통해 유압을 조절하여 크랭크샤프트의 좌, 우 이동을 통해 연속적인 압축비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별도의 링크수단과 편심 베어링 등 장치의 적용을 배제를 통해 크랭크 케이스의 체적을 유지시켜 협소한 엔진룸 내부에서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100)는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크랭크샤프트(110)의 좌, 우 이동을 통해 피스톤(102)의 회전반경을 선택적으로 증감시킴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고, 별도의 링크수단이나 편심 베어링의 적용 없이도 압축비를 가변 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10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혼합기의 연소력을 피스톤(102)으로부터 전달받아 크랭크샤프트(110)를 회전시키는 엔진에서 상기 혼합기의 압축비를 변경하는 것으로서, 크랭크 핀(112)과 샤프트 이동유닛(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크랭크 핀(112)은 상기 크랭크샤프트(110)에 엔진의 기통수에 맞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크랭크샤프트(110)에서 상기 피스톤(102)과 커넥팅 로드(104)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크랭크샤프트(110)의 중심축(L)을 기준으로 설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크랭크 핀(112)은 상기 크랭크샤프트(110)의 일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단(114) 측 방향에서 타단에 형성되는 풀리단(116) 측 방향으로 상기 크랭크샤프트(110)의 중심축(L)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크랭크 핀(112)은 상기 플랜지단(114) 측에 위치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풀리단(116) 측에 위치되는 타단이 상기 크랭크샤프트(110)의 중심축(L)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이동유닛(120)은 상기 크랭크샤프트(110)의 플랜지단(114)이 형성되는 일단과 연결되며, 유압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크랭크샤프트(110)를 도면을 기준으로 좌, 우측으로 왕복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 이동유닛(120)은 고정블록(121), 슬라이드 블록(122), 챔버(123), 및 오일 컨트롤 밸브(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고정블록(121)은 상기 크랭크샤프트(110)의 일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단(114)에 대응하여 미도시된 플라이 휠 측에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드 블록(122)은 상기 고정블록(121)에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크랭크샤프트(110)의 플랜지단(114)에 일단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123)는 상기 슬라이드 블록(122)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블록(121)의 내부에 형성되어 유압이 충진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 컨트롤 밸브(124)는 상기 챔버에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122)은 상기 고정블록(121)의 내부에서 상기 챔버(123)를 사이에 두고, 양측 타단에 탄성부재(125)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25)는 상기 고정블록(121)에 형성된 장착홈(126)을 통해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블록(1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블록(122)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블록(122)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125)는 상기 챔버(124)에 유압 공급 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블록(122)에 의해 인장되고, 상기 챔버(124)에 유압 해제 시, 압축되어 상기 슬라이드 블록(122)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샤프트 이동유닛(120)은 상기 오일 컨트롤 밸브(124)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챔버(123)에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슬라이드 블록(122)이 고정블록(121)으로부터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상기 크랭크샤프트(110)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125)는 슬라이드 이동 된 상기 슬라이드 블록(122)에 의해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102)은 상기 크랭크 핀(112)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커넥팅 로드(104)에 의해 상기 크랭크샤프트(110)의 중심축(L)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진 상기 크랭크 핀(112)의 일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 상기 오일 컨트롤 밸브(124)로부터 공급되던 유압이 해제될 경우, 상기 슬라이드 블록(122)은 상기 챔버(123)의 유압이 해소되면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122)이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125)는 인장된 상태에서 압축되면서 그 탄성력을 상기 슬라이드 블록(122)에 제공하여 신속하게 슬라이드 블록(122)을 고정블록(121)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게 되며, 동시에, 상기 크랭크샤프트(110)도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102)은,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상기 크랭크 핀(112)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커넥팅 로드(104)에 의해 상기 크랭크샤프트(110)의 중심축(L)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진 상기 크랭크 핀(112)의 타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크랭크샤프트(110)가 상기 샤프트 이동유닛(120)에 의해 좌, 우측으로 이동될 경우, 미도시된 크랭크 케이스나 실린더 헤드, 연소실(109) 등은 모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피스톤(102)과 커넥팅 로드(104)만 그 위상이 변경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100)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상기 샤프트 이동유닛(120)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 상기 피스톤(102)은 도 2의 (S1)과 같이, 상기 커넥팅 로드(104)가 크랭크샤프트(110)의 중심축(L)을 기준으로 낮은 위치에 위치되는 크랭크 핀(112)의 타단부에 위치된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102)은 연소실(106)의 내부에서 압축 및 팽창 작동 시, 하강된 상태에서의 이동거리(D1) 만큼 왕복 이동하게 되며, 이 때, 상기 피스톤(102)의 회전반경(R1)은 상기 중심축(L)으로부터 커넥팅 로드(104)가 연결된 크랭크 핀(112)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오일 컨트롤 밸브(124)가 작동하여 상기 챔버(123)로 유압을 공급하면, 상기 샤프트 이동유닛(120)의 슬라이드 블록(122)은, 도 2의 (S2)와 같이,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125)는 인장된 상태가 되며, 상기 크랭크샤프트(110)는 상기 슬라이드 블록(122)에 의해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피스톤(102)은 커넥팅 로드(104)가 크랭크샤프트(110)의 중심축(L)을 기준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되는 크랭크 핀(112)의 일단부에 위치된다.
이 경우, 상기 피스톤(102)은 연소실(106)의 내부에서 압축 및 팽창 작동 시, 상승된 상태에서의 이동거리(D2) 만큼 왕복 이동하게 되며, 이 때, 상기 피스톤(102)의 회전반경(R2)은 상기 중심축(L)으로부터 커넥팅 로드(104)가 연결된 크랭크 핀(112)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된다.
즉, 상기 피스톤(102)은 상기 샤프트 이동유닛(120)에 의한 상기 크랭크샤프트(110)의 후진 작동 시, 상기 커넥팅 로드(104)가 경사진 상기 크랭크 핀(112)을 따라 하강될 경우의 회전반경(R1)이 상기 크랭크샤프트(110)의 전진 작동 시, 상기 커넥팅 로드(104)가 경사진 상기 크랭크 핀(112)을 따라 상승될 경우의 회전반경(R2)보다 작은 회전반경(R1<R2)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102)은 연소실(106) 내부에서 압축 및 팽창 시, 경사진 상기 크랭크 핀(112)에 의해 하강된 상태에서의 이동거리(D1)가 상기 크랭크 핀(112)에 의해 상승된 상태에서의 이동거리(D2)보다 짧은 길이(D1<D2)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소실 내부에서의 압축비는 상기 중심축(L)으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된 크랭크 핀(112)의 일단부에 커넥팅 로드(104)를 통해 피스톤(102)이 연결될 경우의 회전반경(R2)과 이동거리(D2)가 상기 중심축(L)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위치된 크랭크 핀(112)의 타단부에 커넥팅 로드(104)를 통해 피스톤(102)이 연결될 경우의 회전반경(R1)과 이동거리(D1) 보다 증가됨으로써, 커지게 된다.
즉, 각 회전반경(R1, R2)의 크기는 상기 연소실(106)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102)의 이동거리(D1, D2)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게 됨으로써, 압축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100)는 별도의 링크수단이나 편심 베어링, 또는 장치의 적용 없이 오일 컨트롤 밸브(124)의 제어를 통하여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연소실(106) 내부에서의 압축비를 자유롭게 가변 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압축비 장치(100)를 적용하면, 크랭크샤프트(110)의 크랭크 핀(112)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서 크랭크샤프트(110)의 좌, 우 이동을 통해 피스톤(102)의 회전반경을 선택적으로 증감시킴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고, 별도의 링크수단이나 편심 베어링의 적용 없이도 압축비를 가변 시킬 수 있어 제작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오일 컨트롤 밸브(124)를 통해 유압을 조절하여 크랭크샤프트(110)의 좌, 우 이동을 통해 연속적인 압축비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별도의 링크수단과 편심 베어링 등 장치의 적용을 배제를 통해 크랭크 케이스의 체적을 유지시켜 협소한 엔진룸 내부에서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가변 압축비 장치
102 : 피스톤
104 : 커넥팅 로드
106 : 연소실
110 : 크랭크샤프트
112 : 크랭크 핀
114 : 플랜지단
116 : 풀린단
120 : 샤프트 이동유닛
121 : 고정블록
122 : 슬라이드 블록
123 : 챔버
124 : 오일 컨트롤 밸브
125 : 탄성부재
126 : 장착홈

Claims (8)

  1. 혼합기의 연소력을 피스톤으로부터 전달받아 크랭크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엔진에서 상기 혼합기의 압축비를 변경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샤프트에서 상기 피스톤과 커넥팅 로드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설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크랭크 핀; 및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일단과 연결되며, 유압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크랭크샤프트를 왕복 이동시키는 샤프트 이동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핀은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일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단 측 방향에서 타단에 형성되는 풀리단 측 방향으로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중심축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이동유닛은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일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단에 대응하여 장착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에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플랜지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슬라이드 블록;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블록의 내부에 형성되는 챔버; 및
    상기 챔버에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오일 컨트롤 밸브;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은
    상기 고정블록의 내부에서 상기 챔버를 사이에 두고, 양측 타단에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고정블록에 형성된 장착홈을 통해 장착되며, 일단이 상기 고정블록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챔버에 유압 공급 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의해 인장되고, 상기 챔버에 유압 해제 시, 압축되어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샤프트 이동유닛에 의한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후진 작동 시, 상기 커넥팅 로드가 경사진 상기 크랭크 핀을 따라 하강될 경우의 회전반경(R1)이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전진 작동 시, 상기 커넥팅 로드가 경사진 상기 크랭크 핀을 따라 상승될 경우의 회전반경(R2)보다 작은 회전반경(R1<R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연소실 내부에서 압축 및 팽창 시, 경사진 상기 크랭크 핀에 의해 하강된 상태에서의 이동거리(D1)가 상기 크랭크 핀에 의해 상승된 상태에서의 이동거리(D2)보다 짧은 길이(D1<D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압축비 장치.
KR1020120147759A 2012-12-17 2012-12-17 가변 압축비 엔진 KR20140078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759A KR20140078423A (ko) 2012-12-17 2012-12-17 가변 압축비 엔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759A KR20140078423A (ko) 2012-12-17 2012-12-17 가변 압축비 엔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423A true KR20140078423A (ko) 2014-06-25

Family

ID=51130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759A KR20140078423A (ko) 2012-12-17 2012-12-17 가변 압축비 엔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84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6101A (zh) * 2017-02-28 2018-09-07 日立汽车系统(苏州)有限公司 用于发动机的可变压缩比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6101A (zh) * 2017-02-28 2018-09-07 日立汽车系统(苏州)有限公司 用于发动机的可变压缩比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2105B2 (en) Piston-in-piston variable compression ratio engine
US10125679B2 (en) Independent compression and expansion ratio engine with variable compression ratio
KR101020826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US9169774B2 (en) Variable compression ratio engine that varies compression ratio
KR101180953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US9650951B2 (en) Single piston sleeve valve with optional variable compression ratio capability
US5165368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variable compression ratio
KR101509664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CN104727955A (zh) 可变压缩比发动机
KR20140078423A (ko) 가변 압축비 엔진
EP2625394B1 (en) Single piston sleeve valve with optional variable compression ratio capability
US8671895B2 (en) Variable compression ratio apparatus with reciprocating piston mechanism with extended piston offset
US3014468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pistons therefor
KR101459423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KR101500411B1 (ko) 가변 압축비 장치를 구비한 엔진
KR100999623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
RU2280771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движения
CN111894744A (zh) 充料改变控制装置、往复式发动机和用于操作充料改变控制装置的方法
KR101510324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US11047299B2 (en) Device for adjusting the effective length of a connecting rod depending on the supply pressure
KR101510323B1 (ko) 가변 압축비 장치
KR20110011787A (ko) 부하조절기를 포함하는 압축비와 배기량 조절이 가능한 내연기관
KR20200058141A (ko) 가변 압축비를 가지는 피스톤기구
KR100501357B1 (ko) 내연기관의 피스톤 행정 토크 가변장치
SU1712643A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