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7275A -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변화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변화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7275A
KR20140077275A KR1020120145857A KR20120145857A KR20140077275A KR 20140077275 A KR20140077275 A KR 20140077275A KR 1020120145857 A KR1020120145857 A KR 1020120145857A KR 20120145857 A KR20120145857 A KR 20120145857A KR 20140077275 A KR20140077275 A KR 20140077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seat
static load
seating
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5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7275A/ko
Publication of KR20140077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1Testing of furniture, e.g. seats or matt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변화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장거리 주행시를 모사하여 시트의 착좌감 변화를 정량적으로 정확히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트에 하중을 인가하되, 인가 하중을 단계적으로 변화시켜가면서 각 하중 인가시의 시트 눌림 변위량을 측정하는 초기 정하중 측정 단계; 시트에 더미를 설정시간 동안 착좌시킨 후, 상기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하중 인가시의 시트 눌림 변위량을 측정하는 착좌 후 정하중 측정 단계; 상기 초기 정하중 및 착좌 후 정하중 측정 단계에서 구해진 결과를 토대로 하중에 대한 변위량을 나타내는 정하중 그래프를 구하는 단계; 구해진 초기 정하중 그래프와 착좌 후 정하중 그래프의 각 선도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는 순간의 단위 하중당 변위 값을 나타내는 곡선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정하중 곡선과 착좌 후 정하중 곡선을 이용하여 시트의 착좌감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변화 분석 방법{Method for measuring sitting feel change of sea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변화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거리 주행시를 모사하여 시트의 착좌감 변화를 정량적으로 정확히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시트는 운전자와 승객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동안 편안히 앉아 있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승객의 엉덩이 부분을 받쳐주는 시트쿠션, 승객의 등을 받쳐주는 시트백, 승객의 목 부상을 방지하면서 머리 부분을 편안히 기댈 수 있게 설치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동차에서 시트의 기능은 자동차에서 주행 동안 승객의 안전을 확보함은 물론 탑승자의 피로감을 덜어주고 편안함을 느끼도록 하는데 절대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자동차의 시트는 승객의 신체와 직접적이고 계속적으로 접촉하는 부품이므로 장시간 동안 착석하더라도 승객이 느끼는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품질 수준이 요구된다.
최근 자동차 시트의 감성품질 요구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시트 착좌시나 장거리 주행시 발생하는 시트의 착좌감 변화 문제가 또 다른 품질 기준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장거리 주행시 시트의 착좌감 변화를 정량적으로 계측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장거리 주행시 시트 착좌감 불만족에 대해 정확하게 정량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현상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으며, 착좌감 변화를 정량적으로 계측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종래의 경우 물성 계측을 위해 실시하던 정하중 측정을 이용하여 시트의 특성을 파악하는 정도가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정하중 분석 방법에서는 착좌감 변화에 대한 특성을 전혀 반영하고 있지 않으므로 측정 결과로부터 시트의 착좌감 변화를 정량적으로 나타내거나 비교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트 평가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시트의 착좌감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아닌 정하중 분석 방법, 즉 정하중을 일정 시간 동안 인가하고(S1) 시간 경과 후 인가된 하중 대비 변위량(눌림량)을 측정 및 평가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여 왔다(S2,S3).
하기 표 1은 종래의 정하중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트에 특정 하중(예, 55kgf)을 가하여 측정한 변위량이 설정된 기준범위(36±3 mm) 이내일 경우 양호, 그렇지 않을 경우 불량인 것으로 판단한다.
Figure pat00001
그러나, 정하중 분석 방법의 결과는 시트의 정적인 특성(단순 눌림량)만을 나타내므로 시트의 착좌감을 판단하는데 연관성이 매우 적으며, 측정 결과가 실제 장거리 주행 후의 착좌감을 판단하는데 크게 상관성이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장거리 주행시를 모사하여 시트의 착좌감 변화를 정량적으로 정확히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트에 하중을 인가하되, 인가 하중을 단계적으로 변화시켜가면서 각 하중 인가시의 시트 눌림 변위량을 측정하는 초기 정하중 측정 단계; 시트에 더미를 설정시간 동안 착좌시킨 후, 상기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하중 인가시의 시트 눌림 변위량을 측정하는 착좌 후 정하중 측정 단계; 상기 초기 정하중 및 착좌 후 정하중 측정 단계에서 구해진 결과를 토대로 하중에 대한 변위량을 나타내는 정하중 그래프를 구하는 단계; 구해진 초기 정하중 그래프와 착좌 후 정하중 그래프의 각 선도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는 순간의 단위 하중당 변위 값(dl/df, 여기서 l은 변위량, f는 하중)을 나타내는 곡선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정하중 곡선과 착좌 후 정하중 곡선을 이용하여 시트의 착좌감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기 정하중 및 착좌 후 정하중 측정 단계에서 시트쿠션 위에 하중판을 통해 정하중을 인가하여 시트쿠션의 눌림 변위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트쿠션 후단에서부터 설정 거리(L1)의 위치에 하중판의 하중 중심이 놓이도록 하여 눌림 변위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 하중당 변위 값을 나타내는 곡선을 구하는 단계에서, 상기 초기 정하중 그래프와 착좌 후 정하중 그래프의 각 선도를 하중 전 구간에 대해 미분한 미분 곡선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하중 그래프를 구하는 단계에서, 횡축이 변위량, 종축이 하중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구하고, 이를 축 변환하여 횡축이 하중, 종축이 변위량을 나타내는 정하중 그래프를 구한 뒤 미분하여 미분 곡선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트의 착좌감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에서, 착좌감 변화의 정량 측정을 위해 시트의 딱딱해짐 정도(softness loss)를 구하되, 상기 딱딱해짐 정도는 초기 정하중 곡선과 착좌 후 정하중 곡선이 이루는 영역의 면적 값으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딱딱해짐 정도(softness loss)는 하기 수학식으로부터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Figure pat00002
여기서, ①은 초기 정하중 곡선과 착좌 후 정하중 곡선이 교차되는 지점의 하중이고, ②는 시트에 더미에 의해 최대로 인가되는 기준하중을 나타냄.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시트 착좌감 변화 분석 방법에 의하면, 기존 시트 물성 시험에 적용되고 있는 정하중 시험 방법 대신, 초기 정하중 측정 결과와 착좌 후 정하중 측정 결과로부터 구해지는 미분 곡선(SFC:Seating Feel Curve)을 이용하여 시트의 딱딱해짐 정도(softness loss)를 분석함으로써, 시트의 착좌감 변화를 정량적으로 정확히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여러 종류의 시트 또는 여러 차종의 시트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 결과를 얻은 뒤, 각 측정 결과로부터 딱딱해짐 정도 값을 구하게 되면, 여러 시트의 착좌감에 대한 정량적인 비교 분석이 가능해지며, 시트의 특성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시트 특성 파악을 위한 종래의 정하중 분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착좌감 변화 측정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정하중 측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정하중 측정시 하중판의 형상과 하중판에 의해 정하중이 인가되는 시트쿠션 내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초기 정하중 측정의 결과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시트에 더미를 착좌시킨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착좌 후 정하중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초기 정하중 측정 그래프를 축 변환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미분 곡선(SFC)이 구해지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미분 곡선(SFC)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복수의 시트에 대해 장거리 주행시 시트의 딱딱해짐 정도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예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장거리 주행시를 모사하여 시트의 착좌감 변화를 정량적으로 정확히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 착좌감 변화 측정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시트쿠션 위에 인가 하중을 변화시켜가면서 가압하여 시트쿠션의 눌림량, 즉 각 인가 하중에 대한 변위량을 측정하는 초기 정하중 측정 과정, 그리고 장거리 주행 모드 재현을 위해 더미를 설정시간 동안 착좌시킨 후(장거리 모드 재현 상태) 동일한 방법으로 각 인가 하중에 대한 변위량을 측정하는 착좌 후 정하중 측정 과정을 진행한다.
초기 정하중 측정 과정(S11)에서는 더미의 사전 착좌 없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10) 위, 보다 명확히는 승객의 엉덩이에 의해 하중이 가해지는 부분인 시트쿠션(11) 위에 하중판(21)을 이용하여 정하중을 가하고 시트쿠션이 눌리는 양, 즉 눌림 변위량(mm)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하중판(21)을 이용하는 하중 인가 장치(20)(하중판을 통해 하중을 인가하면서 각 하중이 가해졌을 때 변위량 측정이 가능함)로는 종래의 정하중 분석 방법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정하중 측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정하중 측정시 하중판(21)의 형상과 하중판(예, 300×250 mm의 크기를 가지는 타원형의 하중판 이용)에 의해 정하중이 인가되는 시트쿠션(11) 내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쿠션(11) 후단에서부터 설정 거리(L1)의 위치(예, L1 = 200mm)에 하중판(21)의 하중 중심(loading center)이 놓이도록 하며, 이 지점은 승객의 엉덩이 착좌 중심점에 해당된다.
측정의 예로서, 정하중 측정시에 하중 인가 장치(20)의 하중판(21)을 이용하여 시트쿠션(11) 위에 하중을 인가하되, 0 ~ 100 kgf까지 인가 하중을 단계적으로 변화시켜가면서 시트쿠션(11) 위를 하중판(21)을 통해 가압하는 동시에 각 하중에서의 시트쿠션 눌림량, 즉 변위량을 측정한다.
초기 정하중 측정의 결과는 일례로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그 측정 결과에서 횡축(X축)은 변위량(mm)을, 종축(Y축)은 하중(kgf)을 나타낸다.
도 5의 정하중 그래프를 살펴보면, 인가되는 하중이 커질수록 시트쿠션이 눌리는 정도인 변위량이 증가함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정하중 그래프 데이터는 후술하는 미분 곡선, 즉 SFC(Seating Feel Curve)를 구하기 위해 횡축(X축)이 하중을, 종축(Y축)이 변위량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축 변환하여 사용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초기 정하중 측정이 진행되고 나면 착좌 후 정하중 측정 과정을 진행하며, 착좌 후 정하중 측정 과정에 앞서 장거리 주행 모드를 재현하기 위해 사람 대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더미(30)를 시트(10)에 설정시간 동안 착좌시킨다(S12).
즉, 더미(30)를 시트쿠션(11) 위에 착좌시키는데, 사람이 직접 착좌할 경우 매번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더미를 이용하여 표준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규정된 더미, 예를 들면, memosik 95% tile 더미(더미에 의해 시트에 최대로 인가되는 기준하중이 55kgf임)가 사용될 수 있고, 그 밖에 시트 평가를 위한 다양한 더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평가용 더미에 대해서는 등록특허 제10-0907488호, 등록특허 제10-1111284호, 공개특허 제2006-0062502호, 공개특허 제2009-0063433호, 등록특허 제10-0936344호 등에서와 같이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고, 시트 평가를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더미의 시트 내 세팅 위치는 시트의 최후방, 최하단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미의 백 각도를 미리 설정된 각도(예를 들면, 25°)로 세팅한 뒤 설정시간(예를 들면, 2시간) 동안 착좌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어 더미 착좌 후에는 다시 초기 정하중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하중 측정을 실시하며(S13), 착좌 후 정하중 측정시에 하중 인가 장치(20)의 하중판(21)을 이용하여 시트쿠션(11) 위에 하중을 인가하되, 0 ~ 100 kgf까지 인가 하중을 단계적으로 변화시켜가면서 시트쿠션(11) 위를 하중판(21)을 통해 가압하는 동시에 각 하중에서의 시트쿠션 변위량(눌림량)을 측정한다(도 3 참조).
도 7은 착좌 후 정하중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설정시간 동안의 착좌 상태를 유지한 뒤 정하중을 인가하고 변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2시간의 설정시간과 더불어, 초기 정하중 측정 결과(0분), 2시간의 착좌 후 정하중 측정 결과(2시간), 30분 간격으로 정하중 측정을 실시한 결과(30분,60분,90분)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중에서 초기 정하중 측정 결과와 2시간의 착좌 후 정하중 측정 결과(설정시간 = 2시간)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트의 딱딱해짐 정도를 계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30분 간격으로 착좌 후 정하중 측정 과정을 반복하여 도 7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면, 각각의 정하중 그래프를 축 변환하여 횡축(X축)이 하중, 종축(Y축)이 변위량을 나타내는 축 변환된 정하중 그래프를 얻을 수 있는데, 도 8은 초기 정하중 측정 결과인 그래프를 횡축이 하중, 종축이 변위량을 나타내도록 축 변환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각 시간 간격으로 측정한(각 설정시간에서 측정한) 도 7의 정하중 그래프를 도 8에서와 같이 축 변환하여 횡축이 하중, 종축이 변위량을 나타내는 정하중 그래프를 구한 뒤, 이를 횡축(하중)을 기준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순간의 착좌감을 확인하기 위해 하중 전 구간에 대해 상기 정하중 그래프 선도의 미분(dl/df, 여기서 l은 변위량, f는 하중)을 실시하면 도 9에서와 같이 미분 곡선, 즉 SFC(Seating Feel Curve)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30분 간격으로 측정한 데이터, 즉 0분(초기) 정하중 그래프와 더불어 30분, 60분, 90분, 120분 착좌 후 측정한 정하중 그래프(각 설정시간의 그래프)를 미분하여 도 9의 하측에 나타낸 바와 같은 미분 곡선을 구하게 된다(S14).
상기와 같이 구해진 미분 곡선(SFC:Seating Feel Curve)에서 횡축은 하중을, 종축은 미분 값인 dl/df 값을 나타내는데, 이때 미분 값은 착좌감 및 지지감(지지력)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 하중당 변위 값으로, 미분 곡선은 초기 정하중 측정시와 시트의 더미 착좌 후 정하중 측정시 0 ~ 100 kgf까지의 시트 지지력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된다.
미분 곡선에서 미분 값이 클수록 시트의 지지력은 작음을 의미하는데, 초기 하중이 인가되었을 때는 미분 값이 커서 착좌감이 소프트(soft)하나, 그 이상의 하중이 가해질 경우 미분 값이 작아졌다가 커지는바, 이는 시트쿠션의 특성, 즉 순간 하드(hard)해졌다가 소프트해지는 특성을 나타낸다(정하중 측정시 하중을 0 ~ 100 kgf까지 변화시킴에 있어서 초기에는 작은 하중을, 중기, 말기로 갈수록 점차 큰 하중을 인가함).
또한 그보다 큰 하중이 가해질 경우 미분 값은 지속적으로 작아지며, 지지력이 점차 강해지고 하드해진다.
이와 같이 설정시간 동안의 더미 착좌 후 측정하여 구해진 하중-변위량 그래프로부터 미분 곡선을 획득하고, 이어 이 미분 곡선을 분석하게 되면, 장거리 주행시 시트 착좌감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데(S15),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거리 주행 후(설정시간(= 2시간) 더미 착좌 후) 그래프는 초기 그래프(초기 정하중 그래프로부터 구해진 미분 곡선)에 비해 말기 구간의 큰 하중에서 미분 값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이다.
이는 장거리 주행 후의 시트 지지력이 초기(더미 착좌하지 않음, 즉 0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해짐(딱딱해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딱딱해짐의 척도는 도 10에서와 같이 초기 미분 곡선과 설정시간 후의 미분 곡선이 이루는 영역의 면적 값으로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딱딱해짐 정도(softness loss)를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하여 시트의 착좌감 변화를 평가할 수 있으며(S16), 각 종류별 시트 또는 각 차종별 시트에 대해 동일하게 시험을 실시하여 각각의 딱딱해짐 정도 값(시트의 착좌감 변화 값)을 구한 뒤 각 값을 비교하면 여러 종류의 시트에 대해 착좌감 변화 및 딱딱해짐 정도를 명확히 구분하여 평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수학식 1의 ①은 도 10에서 초기(0분) 정하중 측정 결과의 미분 곡선(0분의 정하중 그래프를 미분한 곡선)과 설정시간(2시간 = 120분) 착좌 후 측정 결과의 미분 곡선(2시간 착좌 후 정하중 그래프를 미분한 곡선)이 교차되는 지점의 하중을 나타낸다.
또한 수학식 1의 ②는 기준하중(더미에 의해 시트에 최대로 걸리는 하중, 예컨대 55kgf)을 나타낸다.
결국, 상기한 수학식 1로부터 장거리 주행시 시트의 딱딱해짐 정도(softness loss)를 구함으로써 해당 시트에 대한 착좌감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를 통해 시트에 대한 정확한 착좌감 평가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여러 종류의 시트 또는 여러 차종의 시트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 결과를 얻은 뒤, 각 측정 결과로부터 딱딱해짐 정도(softness loss) 값을 구하게 되면, 여러 시트의 착좌감에 대한 정량적인 비교 분석이 가능해진다.
도 11은 복수의 시트에 대해 수학식 1로부터 구해지는 장거리 주행시 시트의 딱딱해짐 정도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예시 도면으로서, ◆은 각 시트의 결과 값을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학식 1로부터 구해지는 딱딱해짐 정도를 이용할 경우 시트의 특성이 명확히 구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시트
11 : 시트쿠션
20 : 하중 인가 장치
21 : 하중판
30 : 더미

Claims (7)

  1. 시트에 하중을 인가하되, 인가 하중을 단계적으로 변화시켜가면서 각 하중 인가시의 시트 눌림 변위량을 측정하는 초기 정하중 측정 단계;
    시트에 더미를 설정시간 동안 착좌시킨 후, 상기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하중 인가시의 시트 눌림 변위량을 측정하는 착좌 후 정하중 측정 단계;
    상기 초기 정하중 및 착좌 후 정하중 측정 단계에서 구해진 결과를 토대로 하중에 대한 변위량을 나타내는 정하중 그래프를 구하는 단계;
    구해진 초기 정하중 그래프와 착좌 후 정하중 그래프의 각 선도로부터 하중이 가해지는 순간의 단위 하중당 변위 값(dl/df, 여기서 l은 변위량, f는 하중)을 나타내는 곡선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정하중 곡선과 착좌 후 정하중 곡선을 이용하여 시트의 착좌감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분석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정하중 및 착좌 후 정하중 측정 단계에서 시트쿠션 위에 하중판을 통해 정하중을 인가하여 시트쿠션의 눌림 변위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분석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시트쿠션 후단에서부터 설정 거리(L1)의 위치에 하중판의 하중 중심이 놓이도록 하여 눌림 변위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분석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 하중당 변위 값을 나타내는 곡선을 구하는 단계에서, 상기 초기 정하중 그래프와 착좌 후 정하중 그래프의 각 선도를 하중 전 구간에 대해 미분한 미분 곡선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분석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정하중 그래프를 구하는 단계에서, 횡축이 변위량, 종축이 하중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구하고, 이를 축 변환하여 횡축이 하중, 종축이 변위량을 나타내는 정하중 그래프를 구한 뒤 미분하여 미분 곡선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분석 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착좌감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에서, 착좌감 변화의 정량 측정을 위해 시트의 딱딱해짐 정도(softness loss)를 구하되, 상기 딱딱해짐 정도는 초기 정하중 곡선과 착좌 후 정하중 곡선이 이루는 영역의 면적 값으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분석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딱딱해짐 정도(softness loss)는 하기 수학식으로부터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분석 방법.
    식:
    Figure pat00004

    여기서, ①은 초기 정하중 곡선과 착좌 후 정하중 곡선이 교차되는 지점의 하중이고, ②는 시트에 더미에 의해 최대로 인가되는 기준하중을 나타냄.
KR1020120145857A 2012-12-14 2012-12-14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변화 분석 방법 KR20140077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857A KR20140077275A (ko) 2012-12-14 2012-12-14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변화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857A KR20140077275A (ko) 2012-12-14 2012-12-14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변화 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275A true KR20140077275A (ko) 2014-06-24

Family

ID=5112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857A KR20140077275A (ko) 2012-12-14 2012-12-14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변화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72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598A (ko) 2019-01-31 2020-08-11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광학적 방법에 의한 물성치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598A (ko) 2019-01-31 2020-08-11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광학적 방법에 의한 물성치 측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wayseh Effect of the seating condition on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through the seat pan and backrest
Basri et al. The application of SEAT values for predicting how compliant seats with backrests influence vibration discomfort
Boileau et al. A body mass dependent mechanical impedance model for applications in vibration seat testing
Kim et al. Numerical evaluation of time-dependent sagging for low density polyurethane foams to apply the long-term driving comfort on the seat cushion design
JP2005504983A (ja) シートパッドの動的座り心地の定量決定方法
CN110441048A (zh) 一种基于客观压力分布的座椅舒适性评价方法
Zenk et al. Objectifying the comfort of car seats
Kolich et al. Automotive seating: the effect of foam physical properties on occupied vertical vibration transmissibility
Ibicek et al. Quantification of human discomfort in a vehicle using a four-post rig excitation
KR20140077275A (ko) 자동차 시트의 착좌감 변화 분석 방법
Wu et al. Study of human-seat interactions for dynamic seating comfort analysis
Jones et al. Effects of Seat and Sitter Dimensions on Pressure Distribution in Automotive Seats
CN114861484A (zh) 基于假人-座椅动力学模型的车辆平顺性仿真分析方法
CN104111156B (zh) 座椅模态测试方法
CN116186475A (zh) 对车辆内饰件软垫感的评价进行量化的方法和系统
CN114091303A (zh) 一种用于接缝路面舒适性分析的汽车动力学仿真分析方法
Krüger Influence of posture on the deviation of measured acceleration values for tractor operators
JP2003118458A (ja) 着座走行疲労度評価方法、車両用シート評価方法及び車両用シート評価シミュレータ
Grami et al. Effect of car speed on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through the seat pan and backrest: field study
Fang et al. Analysis of pressure distribution between human and seat for evaluation of automotive seating comfort
Park et al. Enhancement of Automotive Seating Comfort using Double-Wall 3D Air Mat Cushion
Blanchard et al. Study of the static and dynamic behaviour of PU foam: from the material sample to the automotive seat.
Siefert Occupant Vibrations-A Challenge for Seat Development
Smith et al. Seat Design parameters for an Elevated Driving Posture
CN118082636B (zh) 一种智能座舱内汽车座椅优化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