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003A -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003A
KR20140057003A KR1020120123578A KR20120123578A KR20140057003A KR 20140057003 A KR20140057003 A KR 20140057003A KR 1020120123578 A KR1020120123578 A KR 1020120123578A KR 20120123578 A KR20120123578 A KR 20120123578A KR 20140057003 A KR20140057003 A KR 20140057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food
casing
motor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남
Original Assignee
한승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남 filed Critical 한승남
Priority to KR1020120123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7003A/ko
Publication of KR20140057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00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하게 2차 3차에 걸쳐 분쇄하여 덩어리가 큰 음식
물 쓰레기에 의한 하수관의 막힘 현상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
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분쇄장치는 싱크대의 하부 측에 연결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나의 모터에 양 축으로 두 개의 구동축을 가지는 구동모터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 하로 상기 모터 구동축에 설치되는 절단날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상부와 하부의 케이싱으로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의 상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하부케이싱으로 연통되게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상부 축에 장착된 절단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부축에 장착된 절단날에 의해 상부축에서 내려오는 음식물쓰레기를 재차 재분쇄하는 재 분쇄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축에 장착된 분쇄날을 둘러싼 배출원통(걸름망) 과 상, 하부와 연통되는 배출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APPARATUS FOR GRINDING WASTE}
(0001)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에 관한 것 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쇄장치의 모터를 한쪽축이 아닌 양쪽축을 활용하여 분쇄날을 일체형으로 양쪽에 부착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하게 2차 3차에 걸쳐 분쇄하여 덩어리가 큰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하수관의 막힘 현상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등의 싱크대에서 식기를 세척하고 배출
되는 음식물찌꺼기는 수분이 다량 함유되어 쉽게 부패하게 되므로 일반쓰레기와 별
도로 분리 배출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싱크대에서 분쇄된 상태로 배출
하는 것이 허용됨에 따라 싱크대 배출구에 소위 디스포저(disposer)라고 하는 분쇄
장치를 장착하여, 싱크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모터로 회전되는 절단날에
의해 분쇄하여 배출하고 있다.
(0003)종래의 디스포저의 일예를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
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S)
의 하부 측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가 이루어지는 디스포저(100)의 본체(110)가
설치된다. 상기 싱크대(S)의 배수구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디스포저(100)
의 본체(110)를 통과하게 되면서 작은 크기로 분쇄가 이루어진 후 하수관(P)으로
배출이 이루어진다.
(0004)상기 디스포저(100)의 본체(110) 내측에는 구동모터(120)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되는 분쇄 플레이트(130)가 설치되고, 상기 분쇄 플레이트(130)의 상부
에는 일정 용적의 분쇄실(150)이 마련되며, 상기 분쇄 플레이트(130)의 하부에는
일정 용적의 배출실(160)이 마련된다.
(0005)상기 디스포저(100)의 분쇄 플레이트(130)의 상부에는 이격되게 분
쇄날(140)이 설치된다. 상기 분쇄날(140)은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에 의해 회
전되면서 상기 싱크대(S)에서 상기 분쇄실(150)로 유입되어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
기를 분쇄한 후에 상기 배출실(160)을 통해 상기 하구관(P)으로 배출시킨다.
(0006)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0007)종래의 싱크대용 디스포저를 이용하여 싱크대에서 음식찌꺼기를 처
리하는 과정에서는 길이가 길며 질긴 섬유질의 음식찌꺼기의 분쇄는 용이하게 이루
어지지 못하여 음식찌꺼기를 처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거나 파쇄되지 않은
음식찌꺼기에 의해서 분쇄실의 하부가 막히거나 상기 하수관이 막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0008)다시 말해서, 상기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종래의 디스포저에 의
해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하수관을 통과하여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을 정도로 적
절히 분쇄되지 않아 상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하수관이 자주 막히는 문제
점이 있었다.
(0010)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0011)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하게 2차 3차에 걸쳐 분쇄하여
덩어리가 큰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하수관의 막힘 현상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0012)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분쇄날을 순차적으로 설치하
여 음식물 쓰레기가 다단으로 절단되어 미세하게 분쇄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
레기 분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0013)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생물주입기를 설치하여 하우징에
잔류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해 원활히 분해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
레기 분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0014)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는, 싱크대의 하부 측에 연결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
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모터의 양쪽에 구동축을 가지는 양날에 축을 가진 구동모터와,상기 모터의 양쪽 구동축에 설치되는 절단날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내 설치되는 모터의 구동축 상부와 마찬 가지로 하부 축에도 분쇄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구동축 상부의 분쇄 플레이트와 하부의 분쇄 플레이트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의 상부 분쇄 플레이트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되는 연결관과;
상기 모터 양 축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 상부와 하부의 하우징의 내 측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 축 에 연결된 회전판 하부에 2차 절단 날이 연결되어 상부축 회전판 위에 장착된 1차 분쇄날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회전판 하부에 장착된 2차 절단날에 의해 재차 분쇄되고 상기 하우징내 모터 하부축에 3차로 1개이상의 절단날이 연결되고, 상기 모터 상부축 하우징의 내부에서 2차로 분쇄되어 유입되어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3차 분쇄하는 재분쇄부와; 상기 모터 하부축의 분쇄 플레이트 내 배출원통(걸름망)을 포함하여 음식물 쓰레기 고형물질을 재차 걸러낼 수 있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5)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의 상기
재 분쇄부는, 상기 회전축 상부에 장착된 1차 분쇄용 회전판 밑에 장착되어 1차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2차 분쇄날에 의해 분쇄하여 하부로 연결된 관을 타고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3차 분쇄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분쇄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6)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의 상기 분쇄날은
모터의 양축에 각각 연결되어 다수개가 상하로 상호 이격되게 상기 모터의 양쪽 회전축을 따라 2차 3차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7)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의 상기
재분쇄부는, 상기 구동축에 연결된 회전판밑에 2차로 연결되고 모터의 하부축에 장착된 3차 분쇄 칼날이 부착되고 칼날을 둘러 싸며 음식물 쓰레기 고형물을 걸러내는 배출원통(걸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8)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의 상기 분쇄날은,
상기 하부 구동축에 연결된 상기 원형몸체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뾰쪽한 돌기와, 상기 원형몸체의 외주면에서 하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배출원통의 내주면에 대응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갈아내는 수직턱을 포함하고 모터의 양축중 하부축에 다수개가 상하로 상호 이격되게 회전축을 따라 설치되고 분쇄날을 두러싼 걸름망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9)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하게 2차 3차에 걸쳐
분쇄하여 덩어리가 큰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하수관의 막힘 현상이 원활히 해소될 뿐만 아니라 최종으로 걸름망을 설치하여 미세한 고형물 까지도 제거 하는 효과를 갖는다.
(0020)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분쇄날을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음식물 쓰
레기가 다단으로 절단되어 미세하게 분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슬러지화가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0021)또한, 본 발명은, 미생물주입기를 설치하여 하우징에 잔류하는 음식
물 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해 원활히 분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감
량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0022)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쇄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쇄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쇄장치의 요부를 보인 부분 절개
사 시도,
(0023)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
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
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0024)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쇄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쇄장치를 보인 개
략적인 정단면도이다.
(0025)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1)는 싱크대(S)의 하부 측에 연결되는 케이싱(C)과, 상기 케이싱(C)의 하부에 설
치되고 구동축(R)을 가지는 구동모터(M)와, 상기 케이싱(C)의 내부로 상기 모터 양 구동축(R)에 설치되는 절단날(T)과, 상기 케이싱(C)의 하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연결관(10)과, 상기 연결관(10)을 포함하고 있는 하우징(5)과, 상기 하우징(5)내측에 설치되는 모터(30)와, 상기 모터(30)에 연결되는 모터 양 회전축(40, 40-1)과, 상기 양 회전축(40, 40-1)을 담고있는 재분쇄부(50, 50-1)와, 상기 하우징(5)내 연결되는 배출관(10, 20, 60)을 포함한다.
(0026)상기 케이싱 상부와 하부의(C와D)은 상기 싱크대(S)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싱크대 (S)로부터 물과 음식물 쓰레기가 낙하되어 포집되는 곳으로, 상기 구동모터(M)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0027)상기 구동모터(M)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상기 구동축(R)을 회전시키
는 공지의 것으로, 상기 케이싱(C와D)의 중앙에 설치된다.
(0028)상기 절단날(T1,T2,T3)은 상기 구동모터(M)의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R)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케이싱(C)의 내부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1차, 2차,3차에 걸쳐 절단하여 파쇄시키고, 동시에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연결관(10)으로 밀어 넣는 역할과 연견관(20)을 통해 상기 케이싱 하부 연결관(60)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0029)상기 회전축(40, 40-1)은 상기 모터(30)의 양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C와D)의 내측 플레이트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재분쇄부(50, 50-1)가 설치되는 장 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모터(3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재분쇄부(50, 50-1)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0030)상기 재분쇄부(50-1)는 상기 하우징(5)의 내측 하부로 상기 회전축
(40-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절단날(T1,T2)에 의해 1, 2차로 분쇄된 후에 상기 연결관(10)의 내부로 유입되어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재차 분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재분쇄부(50-1)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재차 분쇄됨에 따라 음식물 자체가 미립 화 혹은 미세화 되면서 물에 섞여 슬러지 화 되고, 그에 따라 슬러지 화된 음식물이 하수관을 통해 원활히 배출되어 음식물에 의한 하수관의 막힘이 원활히 방지된다.
(0031)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재 분쇄부(50-1)는 상기 회전축(40-1)에 장
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쇄날(T3)을 포함한다.
(0032)상기 분쇄날(T3)은 상기 회전축(40-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장착되는
것으로(도시된 바에 따르면 3개의 분쇄날(T3)이 상호 상하로 이격되게 상기 회전축
(40-1)에 장착됨), 하우징(5)의 내측 연결관(10,20)로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히 분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0033)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날(T3)은 다수개가 상하로 상호 이격되
게 상기 회전축(40-1)을 따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음식물 쓰레기가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낙하하면서 다수의 상기 분쇄날(T3)을 통과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순차적으로 미세하게 분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0034)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다수의 상기 분쇄날(T3)은 도 2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상기 하우징(5)의 내측에 연결관(10, 20) 통과한 음식물 쓰레기가 바로 분쇄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0035)상기 배출관(60)은 상기 하우징내 분쇄날(T3)에서 재차 분 쇄되어 슬러지화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 공하는 역할을 한다.
(0036)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배출관(60)은 통상적으로 하수관과 연
결되거나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보다 효율적인 하수 관로의 막힘현상을 예방하고 청결을 유지 하는데 있다.
(0037)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분쇄장치는 상기 절단날(T1,T2)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하게 상기 분쇄날(T3)을 통해 재차 분쇄하여 덩어리가 큰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하수관의 막힘 현상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0038)도 2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쇄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정
단면도이다.
(0039)상기 배출원통겸 걸름망(53)은 상기 분쇄날(52)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그 내측으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분쇄날(52)에 의해 분쇄되는 중에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질을 걸러낼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배출원통(53)은 부식이 방지되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배출원통(5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몸통 전체가 상기 재분쇄부(50-1)의 내측에 장착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40)상기 통공(531)은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배출원통(53)의 내주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분쇄날(52)에 갈려서 미세하게 분쇄된 후에 상기 배출원통(5
3)의 외부로 갈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통공(531)은 상기 분쇄날(52)에 의해 갈리는 음식물 쓰레기가 부딪히
면서 보다 미세하게 파쇄되거나 갈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0041)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날(52)은 다양한 형
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상기 회전축(40-1)에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531)은 상기 분쇄날(52)의 외측과 하면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원통(53)에 형성된다.
(0042)상기 분쇄날(52)은 맷돌식으로 음식물을 갈거나 커터식으로 음식물
을 절단하는 등 다양한 형태가 구비될 수 있고, 본 분쇄장치에 유용한 특정한 실시
예의 상기 분쇄날(52)은 아래의 형태가 논의되며, 이와 같은 형태의 상기 분
쇄날(52)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같은 종류 또는 서로 다른 종류로 여러 개가 상기
회전축(40및40-1)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0043)도 2의(70)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쇄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정
단면도이다.
(0044)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
기 분쇄장치는 상기 하우징(5)의 일측에 설치되는 미생물주입기(70)를 더 포함한
다. 상기 미생물주입기(70)는 상기 케이싱(C)에서 상기 연결관(10)을 통해 상기 하
우징(20)의 내부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이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0045)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미생물주입기(70)는 미생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수용된 미생물을 상기 하우징(C)의 내부로 주입시키는 주입작
동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입 작동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예를
들어 펌핑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고, 시간 설정에 따라 액체를 자동으로
펌핑하는 전자 펌핑기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주입작동부는 액체
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0046)이와 같은 본 분쇄장치는 상기 미생물주입기(7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하우징(C)의 내부로 미생물의 주입에 따라 상기 하우징(C)의 내부에서 상기
배출관(10-20-60)을 통해 배출되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좀더 빠른 분해를 일으켜 하수관로의 슬러지예방 및 제거를 유도 하는 것이다.
(0047)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
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
허 청구 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0048)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0049)
10 : 연결관
20 : 연결관
30 : 모터
40 : 케이싱 상부 회전축
40-1: 케이싱 하부 회전축
50 : 상부 재분쇄부
50-1 : 하부 재분쇄부
52 : 분쇄날
53 : 배출원통
531 : 통공
60 : 배출관
70 : 미생물주입기
S : 싱크대
C : 케이싱
R : 회전축
M : 구동모터
T : 절단날

Claims (4)

  1. 싱크대(S)의 하부 측에 연결되는 케이싱(C)과, 상기 케이싱(C와D)의 중앙플레이트에 설치되고 하나의 모터에 두 개의 구동축(R)을 가지는 구동모터(M)와, 상기 케이싱(C와D)의 내부 상, 하로 상기 모터의 양 구동축(R)에 설치되는 절단날(T)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C)의 상부 플레이트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C)의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되는 연결관(10)과; 상기 케이싱 하부와 연통
    되는 연결관(20, 60)과;
    상기 하우징(5)의 내측 통로로 연결된 상,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양 축을 가진 구동모터(30)와;
    상기 모터(30)양 축에 수직으로 연결된 회전축(40, 40-1)과;
    상기 하우징(C)의 내측 중앙에 회전축에 장착된 1차 분쇄날이 연결된 회전판 하부에 T1에서 분쇄되어 내려오는 음식물 쓰레기를 재차 분쇄하는 분쇄날과 이를 담아 분쇄할 수 있는 재분쇄부 (50)와;
    상기 하우징(D)의 하부 내측에 연결관 (20)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슬러지를 재차 분쇄할수 있는 재분쇄부(50-1)과;
    연결관(20)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슬러지를 3차로 분쇄하는 1개이상의 분쇄날과;
    모터 하부 축에 연결된 분쇄날을 담고 있는 배출원통(걸름망)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분쇄부(50)는,
    상기 회전축(40)에 장착되고 T1에서 통과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쇄날(T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52)은 다수개가 상하로 상호 이격되게 상기 회전축(40-1)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분쇄부(50-1)는,
    상기 연결관(10)과 연통되게 상기 하우징(5)의 내부에 설치되어 연결관(20)으로 연결되며 분쇄날(52)을 둘러싸며 하부측의 상기 분쇄날(52)의 하면에 근접되게
    구비되고 상기 분쇄날(52)의 하부와 외측에 대응하여 다수의 통공(531)이 형성되는
    배출원통(걸름망)(5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KR1020120123578A 2012-11-02 2012-11-02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Ceased KR20140057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578A KR20140057003A (ko) 2012-11-02 2012-11-02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578A KR20140057003A (ko) 2012-11-02 2012-11-02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003A true KR20140057003A (ko) 2014-05-12

Family

ID=5088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578A Ceased KR20140057003A (ko) 2012-11-02 2012-11-02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70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8448A (zh) * 2020-07-06 2020-09-11 李金荣 搅动研磨式化粪器
CN117103518A (zh) * 2023-09-26 2023-11-24 安徽铭瑞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废料制作碳纤维鞋包头的制备工艺
USD1069584S1 (en) 2023-01-27 2025-04-08 InSinkErator LLC Bottle for disposer fluid injection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8448A (zh) * 2020-07-06 2020-09-11 李金荣 搅动研磨式化粪器
USD1069584S1 (en) 2023-01-27 2025-04-08 InSinkErator LLC Bottle for disposer fluid injection assembly
CN117103518A (zh) * 2023-09-26 2023-11-24 安徽铭瑞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废料制作碳纤维鞋包头的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42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40060609A (ko) 3차 감량기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440415Y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분쇄처리장치
KR101410362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KR20120137666A (ko) 미세 분쇄를 위한 디스포저
KR102530299B1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KR101899425B1 (ko) 음식물 처리기
KR10079202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057003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KR1015047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044843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배출 설비
KR2017007940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2142908U (zh) 餐厨垃圾处理设备
KR2015003300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450206B1 (ko)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007529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388560B1 (ko) 요리 폐수와 설거지 물을 음식물 쓰레기와 분리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133772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2737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705130B1 (ko) 수직형 디스포져
KR102287258B1 (ko) 음식물 처리기
KR10166398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1382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8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5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4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8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5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4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