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007A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007A
KR20140048007A KR1020120114465A KR20120114465A KR20140048007A KR 20140048007 A KR20140048007 A KR 20140048007A KR 1020120114465 A KR1020120114465 A KR 1020120114465A KR 20120114465 A KR20120114465 A KR 20120114465A KR 20140048007 A KR20140048007 A KR 20140048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strain gauges
bending
strain
display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화
최지용
양재민
Original Assignee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8007A/ko
Publication of KR20140048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정도를 가변저항값으로 표출하는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H)를 핵심으로 하면서 이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H)에서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하는 컨트롤러(C)를 적용하여 유연성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APARATUS}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이나 모니터 또는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화 등에 부응하기 위하여 액정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활용하고 있다.
액정표시 장치는 특정한 온도 영역에서 액체와 고체의 중간적인 성질을 지닌 액정이 두 장의 편광유리 사이에 개재되며 전선격자에 의하여 미세한 사각형들로 분할되어 각 사각형이 하나의 화소를 이루며, 이곳에 전압을 가하여 액정의 분자배열 방향이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정보를 표시하는 원리를 활용한 것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액정표시 장치 이외에 유연하게 굽힐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고, 그 구체적인 선행기술문헌을 소개하면 아래와 같다.
선행기술문헌 1(10-2006-0122268;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플렉시블 기판 접합 방법) 선행기술문헌의 상세한 설명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소개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의 상세한 설명을 인용하면, 플렉시블 기판, 즉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은 유리와 달리 가볍고 충격에 강하여 깨질 염려가 없으며 휘어진 면에 부착하거나 말거나 접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해,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 상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게 되면 기존의 대면적 화면도 말아서 부피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떨어뜨려도 쉽게 깨지지 않으며 특히 가벼워 휴대용 디스플레이로도 사용할 수 있어 스마트폰 등에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도 그 설치면 및 부착면에 맞게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유리 기반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서 매우 다양한 곳에 활용이 가능하다. 선행기술문헌 2(10-1997-0020261; 고하중 고압력 측정용 금속 박막 스트레인게이지)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uge)는 금속 또는 반도체의 저항체에 변형이 가해지면 그 저항값이 변화하는 압력저항 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용도로서는 하중, 압력, 토크(Torque계), 기타 실응력(實應力)의 측정에 각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초기의 금속 박막 스트레인게이지는 단순한 응력 측정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재료, 구조물의 응력, 힘, 변형, 압력, 변위 등 외력에 의한 변화를 측정할 뿐만 아니라, 공업 프로세스에서 제조 공정 자동화 기기에도 널리 응용되고 있으며,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각종 계측기도 수백 종류에 달하고 있다. 특히, 금속 박막 스트레인게이지는 소형이면서도 내구성과 정밀도가 우수하고 측정 범위가 넓어 고하중, 고압력 측정용 트랜스듀스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반도체 집접회로와 컴퓨터 기술의 진보에 힘입어 고감도, 초소형, 저가격의 스트레인게이지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어 그 응용 범위가 전 산업뿐만 아니라 가전 분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추세에 있고, 이에 따라 다종 다양한 스트레인게이지가 개발되고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2에 소개된 스트레인게이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2에 소개된 고하중 고압력 측정용 금속 박막 스트레인게이지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표면이 경면처리된 스테인리스 다이어프램(10)과, 이 스테인리스 다이어프램(10)의 상면에 증착된 폴리이미드(14)와, 이 폴리이미드(14) 상면에 Cu-Ni의 조성을 갖고 일정형상의 패턴이 형성된 스트레인게이지(12)와, 이 스트레인게이지(12)에서 연장되어 일정형상을 갖고 양측으로 형성된 전극 접촉부(18)와, 보호막(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선행기술문헌 2에 소개된 고하중 고압력 측정용 금속 박막 스트레인게이지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테인리스 다이어프램(10)의 상면에 상기 폴리이미드(14)를 적층하여증착시키고 이어서, Cu-Ni의 조성을 갖고 일정형상의 패턴이 형성되며 일단의 양측에 전극 접촉부(18)가 형성된 스트레인게이지(12)를 포토 에칭에 의해 형성하고, 보호막(20)을 형성하여 그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에 따른 고하중 고압력 측정용 금속 박막 스트레인 게이지의 구조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표면이 경면처리된 스테인리스 다이어프램(10)과, 이 스테인리스 다이어프램(10)의 상면에 스퍼터링에 의해 적층된 Cu-Ni 박막(2)과, 이 박막위에 적층된 절연체인 폴리이미드(14)와, 이 폴리이미드(14) 상면에 Cu-Ni의 조성을 갖고 일정형상의 패턴이 형성된 스트레인 게이지(12)와, 이 스트레인 게이지(12)에서 연장되어 일정형상을 갖고 양측으로 형성된 전극 접촉부(18)와, 보호막(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Cu-Ni 박막(2)의 조성비가 상기 스테인리스 다이어프램(10)과 최대의 부착력이 유지될 수 있는 Cu 65-70% : Ni 30-35%의 비율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고하중 고압력 측정용 금속박막 스트레인 게이지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스테인리스 다이어프램의 상단면을 거칠기가 수 십 ㎛이하가 되도록 표면을 경면연마 처리한 다음 세정한 후, 상기 Cu-Ni 박막(2)을 1000-1500Å정도로 스퍼터링 한다. 이때, 상기 Cu-Ni 박막의 조성을 65-70중량% : Ni 30-35중량%의 비율을 이루게 함으로써 상기 스테인리스 다이어프램(10)의 표면에 대한 부착력이 가장 우수하게 된다. 이어서,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한 상기 Cu-Ni 박막(2)위에 폴리이미드의 절연막(14)을 스퍼터링하여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폴리이미드(14)가 상기 Cu-Ni 박막(2)에 적층되면서 상기 Cu-Ni 박막(2)이 상기 폴리이미드(14)의 표면층으로 소정깊이만큼 침투하여 상호간의 부착력이 최상의 상태를 이룬다. 상기 폴리이미드 절연막(14)위에 상기 Cu-Ni을 0.2-1㎛ 두께로 다시 스퍼터링하여 스트레인 게이지(12)의 박막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Cu-Ni의 조성비를 Cu 51-55중량% : Ni 45-49중량%로 하여 스트레인 게이지의 전기저항을 최대화하고 온도계수가 최소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 접촉부(18)를 Au 또는 Ag박막을 1㎛ 두께로 스퍼터링하여 박막을 증착한 후, 전극 접촉부(18)를 포토에칭에 의해 패터닝하여 형성하고 이어서, 전극 접촉부와 동일한 방법으로 포토 에칭에 의해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12)를 형성한다. 그 후, 스퍼터링 또는 코팅에 의해서 증착하여 보호막(20)을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을 완료하게 된다. 본원 출원인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점인 유연성과 스트레인게이지의 굽힘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펑크션 시그널(Function Signal)로 활용토록 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발하여 본 발명으로 제안코자 하며, 선행기술문헌 2의 스트레인게이지의 구조는 일반적인 소개일 뿐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에서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실행명령을 취할 수 있는 펑크션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입력수단으로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적용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의 유연함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의 휨 정도를 가변저항값으로 표출하는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와,
상기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에서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의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Function Signal)로 활용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에서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하여 유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전용량센서나 키탑 등과 같은 하드(Hard)한 입력수단을 탑재시킬 경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의 유연함에도 불구하고 하드한 입력수단에 의해 그 유연성을 적극 활용치 못하는 한계가 있는 점을 감안하여 각종 실행명령을 취할 수 있는 펑크션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입력수단으로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적용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의 유연함을 적극 활용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 2에 소개된 스트레인게이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 2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의 휘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4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
도 5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5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6d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
도 7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7d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
도 8c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8d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
도 9c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9d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을 기본으로 하면서 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정도를 가변저항값으로 표출하는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H)를 핵심으로 하며,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H)에서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Function Signal)로 활용하는 컨트롤러[C; 컨트롤러는 미 도시된 메인 회로기판에 탑재된 것을 활용할 수도 있음]를 포함한다.
최근 들어, 텔레비전이나 스마트 폰 등은 정전용량센서의 터치, 키탑의 직접적인 누름동작 또는 압력센서의 가압 등과 같은 제스처로 펑크션 시그널을 발생시켜 메뉴 선택 또는 아이콘 실행 등과 같은 명령을 주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휘어지는 부분에서의 휨 정도를 가변저항값으로 표출하는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H)를 활용하고, 컨트롤러(C)에서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하는 것이다.
즉,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정전용량센서나 키탑 등과 같은 하드(Hard)한 입력수단을 탑재시킬 경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유연함에도 불구하고 하드한 입력수단에 의해 그 유연성을 적극 활용치 못하는 한계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각종 실행명령을 취할 수 있는 펑크션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입력수단으로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H)를 적용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유연함을 적극 활용코자 하는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의 휘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H)는 폴리이미드 등의 합성수지로 된 플렉시블한 베이스필름(B)과, 이 베이스필름(B)에 메탈 패터닝(메탈 스퍼터링->포토레지스트 도포->노광->에칭 공정 등과 같은 패터닝)되어 휨에 의해 가변저항값을 표출하는 스트레인게이지(S)를 구비하고,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온도 변화에 따른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H)의 가변저항값의 기복을 보상토록 하는 온도 보상 센서부(S1)를 포함한다.
스트레인게이지(S)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B)의 휘어지는 방향으로 메탈 패터닝된 경우 그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메탈 패턴이 늘어져 가변저항값이 변하게 되고, 베이스필름(B)의 휘어지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메탈 패터닝된 경우 메탈 패턴의 길이 및 두께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아 가변저항값은 불변하게 된다[미세한 변화는 있지만 이러할 경우 컨트롤러(C)에서 스킵토록 한다].
이때, 베이스필름(B)의 휘어지는 방향으로 메탈 패터닝된 경우 그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메탈 패턴이 늘어져 가변저항값을 변화시키는 부분을 스트레인게이지(S)로 활용하고, 베이스필름(B)의 휘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메탈 패터닝된 경우 메탈 패턴의 길이 및 두께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아 가변저항값이 불변하는 부분을 온도 보상 센서부(S1)로 활용하게 된다.
온도 보상 센서부(S1)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에는 반응하지 않지만 온도의 변화에 따라 가변저항값이 변하게 되는데, 이러할 경우 스트레인게이지(S) 역시 온도의 변화에 따라 가변저항값이 함께 변하므로 컨트롤러(C)에서는 스트레인게이지(S) 및 온도 보상 센서부(S1)가 동일하게 가변저항값의 변화를 가져올 경우 온도변화에 따른 가변저항값의 변화로 인식하여 스킵토록 하고, 온도 보상 센서부(S1)의 가변저항값은 변하지 않지만 스트레인게이지(S)의 가변저항값만 변화될 경우 그 부분에서의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으로 간주하면서 기준저항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온도변화도 있고 휨도 함께 존재할 경우 온도 보상 센서부(S1)의 온도변화에 따른 가변저항값을 스트레인게이지(S)로부터 감지된 가변저항값으로부터 차감하여 나머지 스트레인게이지(S)의 가변저항값으로 기준저항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의 복잡함을 피하고 설명상의 번잡함을 고려하여 도 3a의 요부 확대부분에서만 온도 보상 센서부(S1)를 도시하고 나머지 도면에서는 미 도시하면서 그 구체적인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인게이지(S) 위에 커버레이어(L; Cover layer)를 씌워(라미네이팅) 스트레인게이지(S)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이하, 도면에서는 설명상의 용이함을 위하여 커버레이어(L)를 미 도시 및 미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H)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인게이지(S)는 베이스필름(B)의 표면에 메탈 패터닝되어 휨에 의해 가변저항값을 각각 표출하는 제U1 스트레인게이지(U1), 제U2 스트레인게이지(U2), …,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를 구비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B)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위에 제U1 스트레인게이지(U1), 제U2 스트레인게이지(U2), …,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가 위치되도록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고, 컨트롤러(C)는 제U1 내지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로부터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각각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한다.
이때, 제U1 스트레인게이지(U1), 제U2 스트레인게이지(U2), …,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는 각각의 기본적인 저항값을 지녀 컨트롤러(C)에서 그 위치를 추적토록 하거나, 각각의 어드레스로서 컨트롤러(C)에 기 입력되어 그 위치를 파악토록 할 수 있으며, 그 위치에 해당되는 제U1 스트레인게이지(U1), 제U2 스트레인게이지(U2), …,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마다 펑크션 시그널을 미리 정해놓아 해당 스트레인게이지(S)가 휘어질 경우 그 정해진 펑크션 시그널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컨트롤러(C)는 제U1 내지 제Un 스트레인게이지(U1∼Un)로부터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 중 가장 큰 가변저항값[초단위로 가변저항값을 감지토록 할 수 있고, 컨트롤러(C)에서 정해진 인터벌만큼 그 민감도가 정해질 것이며, 이하 동일한 것으로 한다]을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한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4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스트레인게이지(S), 예를 들어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B)의 표면에 메탈 패터닝될 수 있고,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위에 베이스필름(B)이 부착되도록 한다.
이러할 경우 도 4d에 도시된 횡방향으로의 점선이 전체 두께 중 중심선(Center Line)이 될 수 있고, 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을 굽혔을 때 표 1과 같이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의 가변저항값이 나타나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하게 된다.

제1실시예

제Un 스트레인게이지

휨 정도(Ω)

++ΔΩ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는 중심선에서 원거리를 취하고 있어 그 중심선을 기준으로 굽혔을 경우 많은 가변저항값(++ΔΩ)을 나타내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인게이지(S)는 베이스필름(B)의 표면에 쌍으로 메탈 패터닝되어 휨에 의해 가변저항값을 각각 표출하는 제U1 및 제U'1 스트레인게이지(U1, U'1), 제U2 및 제U'2 스트레인게이지(U2, U'2), …, 제Un 및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 U'n)를 구비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B)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위에 제U1 스트레인게이지(U1), 제U2 스트레인게이지(U2), …,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가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아래에 제U'1 스트레인게이지(U'1), 제U'2 스트레인게이지(U'2), …,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가 위치되도록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를 따라 밴딩[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밴딩이라고 하고 있지만 베이스필름(B)의 직접적인 밴딩은 물론이고 도면에서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커넥터 부분에서 밴딩될 수도 있고, 각각 분리되어 통상의 쓰루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밴딩의 취지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을 기준으로 상하 쌍으로 스트레인게이지(S)가 배치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도면에서와 같이 베이스필름(B)이 2개 1조로 된 한 쌍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하나의 베이스필름(B)의 폭을 넓게 한 상태에서 제U1 및 제U'1 스트레인게이지(U1, U'1)∼제Un 및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 U'n)를 병렬로(쌍으로) 부여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아래로 구분하여 밴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동일하게 포함 및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부착되고, 컨트롤러(C)는 제U1 내지 제Un 스트레인게이지(U1∼Un) 및 제U'1 내지 제U'n 스트레인게이지(U'1∼U'n)로부터 쌍으로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절대값으로 합하여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한다.
이때, 제U1 및 제U'1 스트레인게이지(U1, U'1), 제U2 및 제U'2 스트레인게이지(U2, U'2), …, 제Un 및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 U'n)는 각각의 기본적인 저항값을 지녀 컨트롤러(C)에서 그 위치를 추적토록 하거나, 각각의 어드레스로서 컨트롤러(C)에 기 입력되어 그 위치를 파악토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위치에 해당되는 제U1 및 제U'1 스트레인게이지(U1, U'1), 제U2 및 제U'2 스트레인게이지(U2, U'2), …, 제Un 및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 U'n)마다 쌍으로 펑크션 시그널을 미리 정해놓아 해당 스트레인게이지(S)가 휘어질 경우 그 정해진 펑크션 시그널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컨트롤러(C)는 제U1 내지 제Un 스트레인게이지(U1∼Un) 및 제U'1 내지 제U'n 스트레인게이지(U'1∼U'n)로부터 쌍으로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절대값으로 합하여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한다.
도 5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5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스트레인게이지(S),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Un 및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 U'n)는 베이스필름(B)의 표면에 쌍으로 메탈 패터닝될 수 있으며,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위아래에 베이스필름(B)이 밴딩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할 경우 도 5d에 도시된 횡방향으로의 점선이 전체 두께 중 중심선이 될 수 있고, 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을 굽혔을 때 표 2와 같이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 및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 휨 정도가 가변저항값으로 나타나게 되며, 이들 가변저항값을 절대값으로 합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하게 된다.

제2실시예

제Un 스트레인게이지

제U'n 스트레인게이지

휨 정도(Ω)

++ΔΩ

--ΔΩ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 및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는 중심선에서 원거리를 취하고 있어 그 중심선을 기준으로 굽혔을 경우 많은 가변저항값(++ΔΩ, --ΔΩ)을 나타내게 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인게이지(S)는 베이스필름(B)의 이면에 메탈 패터닝되어 휨에 의해 가변저항값을 각각 표출하는 제D1 스트레인게이지(D1), 제D2 스트레인게이지(D2), …,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를 구비하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B)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위에 제D1 스트레인게이지(D1), 제D2 스트레인게이지(D2), …,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가 위치되도록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고, 컨트롤러(C)는 제D1 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D1∼Dn)로부터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각각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한다.
이때, 제D1 스트레인게이지(D1), 제D2 스트레인게이지(D2), …,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는 각각의 기본적인 저항값을 지녀 컨트롤러(C)에서 그 위치를 추적토록 할 수 있고, 각각의 어드레스로서 컨트롤러(C)에 기 입력되어 그 위치를 파악토록 할 수 있으며, 그 위치에 해당되는 제D1 스트레인게이지(D1), 제D2 스트레인게이지(D2), …,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마다 펑크션 시그널을 미리 정해놓아 해당 스트레인게이지(S)가 휘어질 경우 그 정해진 펑크션 시그널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컨트롤러(C)는 제D1 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D1∼Dn)로부터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 중 가장 큰 가변저항값을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한다.
도 6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6d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스트레인게이지(S), 예를 들어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B)의 이면에 메탈 패터닝될 수 있고,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위에 베이스필름(B)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할 경우 도 6d에 도시된 횡방향으로의 점선이 전체 두께 중 중심선이 될 수 있고, 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을 굽혔을 때 표 3과 같이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의 가변저항값이 나타나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하게 된다.

제3실시예

제Dn 스트레인게이지

휨 정도(Ω)

+ΔΩ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는 중심선에서 근거리를 취하고 있어 그 중심선을 기준으로 굽혔을 경우 적은 가변저항값(+ΔΩ)을 나타내게 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인게이지(S)는 베이스필름(B)의 이면에 쌍으로 메탈 패터닝되어 휨에 의해 가변저항값을 각각 표출하는 제D1 및 제D'1 스트레인게이지(D1, D'1), 제D2 및 제D'2 스트레인게이지(D2, D'2), …, 제D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 D'n)를 구비하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B)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위에 제D1 스트레인게이지(D1), 제D2 스트레인게이지(D2), …,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가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아래에 제D'1 스트레인게이지(D'1), 제D'2 스트레인게이지(D'2), …,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가 위치되도록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를 따라 밴딩 부착되고, 컨트롤러(C)는 제D1 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U1∼Dn) 및 제D'1 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U'1∼D'n)로부터 쌍으로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절대값으로 합하여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각각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한다.
이때, 제D1 및 제D'1 스트레인게이지(D1, D'1), 제D2 및 제D'2 스트레인게이지(D2, D'2), …, 제D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 D'n)는 각각의 기본적인 저항값을 지녀 컨트롤러(C)에서 그 위치를 추적토록 하거나, 각각의 어드레스로서 컨트롤러(C)에 기 입력되어 그 위치를 파악토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위치에 해당되는 제D1 및 제D'1 스트레인게이지(D1, D'1), 제D2 및 제D'2 스트레인게이지(D2, D'2), …, 제D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 D'n)마다 펑크션 시그널을 미리 정해놓아 해당 스트레인게이지(S)가 휘어질 경우 그 정해진 펑크션 시그널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컨트롤러(C)는 제D1 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D1∼Dn) 및 제D'1 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D'1∼D'n)로부터 쌍으로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절대값으로 합하여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한다.
도 7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7d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스트레인게이지(S), 예를 들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D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 D'n)는 베이스필름(B)의 이면에 메탈 패터닝될 수 있으며,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위아래에 베이스필름(B)이 밴딩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할 경우 도 7d에 도시된 횡방향으로의 점선이 전체 두께 중 중심선이 될 수 있고, 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을 굽혔을 때 표 4와 같이 제D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 D'n)의 가변저항값이 나타나게 되며, 이들 가변저항값을 절대값으로 합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하게 된다.

제4실시예

제Dn 스트레인게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

휨 정도(Ω)

+ΔΩ

-ΔΩ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는 중심선에서 근거리를 취하고 있어 그 중심선을 기준으로 굽혔을 경우 적은 가변저항값(+ΔΩ, -ΔΩ)을 나타내게 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인게이지(S)는 스트레인게이지(S)는 베이스필름(B)의 표면 및 이면에 메탈 패터닝되어 휨에 의해 가변저항값을 각각 표출하는 제U1 및 제D1 스트레인게이지(U1, D1), 제U2 및 제D2 스트레인게이지(U2, D2), …, 제U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Dn)를 구비하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B)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위에 제U1 및 제D1 스트레인게이지(U1, D1), 제U2 및 제D2 스트레인게이지(U2, D2), …, 제U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Dn)가 위치되도록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고, 컨트롤러(C)는 제U1 내지 제Un 및 제D1 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U1∼Un, D1∼Dn)로부터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절대값으로 합하여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각각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한다.
이때, 제U1 및 제D1 스트레인게이지(U1, D1), 제U2 및 제D2 스트레인게이지(U2, D2), …, 제U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Dn)는 각각의 기본적인 저항값을 지녀 컨트롤러(C)에서 그 위치를 추적토록 할 수 있고, 각각의 어드레스로서 컨트롤러(C)에 기 입력되어 그 위치를 파악토록 할 수 있으며, 그 위치에 해당되는 제U1 및 제D1 스트레인게이지(U1, D1), 제U2 및 제D2 스트레인게이지(U2, D2), …, 제U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Dn)마다 펑크션 시그널을 미리 정해놓아 해당 스트레인게이지(S)가 휘어질 경우 그 정해진 펑크션 시그널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컨트롤러(C)는 제U1/D1 내지 제Un/Dn 스트레인게이지(U1/D1∼Un/Dn)로부터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 중 가장 큰 가변저항값을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한다.
도 8c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8d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스트레인게이지(S), 예를 들어 제U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Dn)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B)의 표면 및 이면에 메탈 패터닝될 수 있고,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위에 베이스필름(B)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할 경우 도 8d에 도시된 횡방향으로의 점선이 전체 두께 중 중심선이 될 수 있고, 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을 굽혔을 때 표 5와 같이 제U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Dn)의 가변저항값이 나타나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하게 된다.

제5실시예

제Un 스트레인게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

휨 정도(Ω)

++ΔΩ

+ΔΩ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는 중심선에서 원거리를 취하고 있어 그 중심선을 기준으로 굽혔을 경우 많은 가변저항값(++ΔΩ)을 나타내게 되고, 반면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는 중심선에서 근거리를 취하고 있어 그 중심선을 기준으로 굽혔을 경우 적은 가변저항값(+ΔΩ)을 나타내게 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라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인게이지(S)는 베이스필름(B)의 표면 및 이면에 쌍으로 메탈 패터닝되어 휨에 의해 가변저항값을 각각 표출하는 제U1, 제U'1 및 제D1, 제D'1 스트레인게이지(U1, U'1, D1, D'1), 제U2, 제U'2 및 제D2, 제D'2 스트레인게이지(U2, U'2, D2, D'2), …, 제Un, 제U'n 및 제Dn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U'n, Dn, D'n)를 구비하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B)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위에 제U1 및 제D1 스트레인게이지(U1, D1), 제U2 및 제D2 스트레인게이지(U2, D2), …, 제U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Dn)가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아래에 제U'1 및 제D'1 스트레인게이지(U'1, D'1), 제U'2 및 제D'2 스트레인게이지(U'2, D'2), …, 제U'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D'n)가 위치되도록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를 따라 밴딩 부착되고, 컨트롤러(C)는 제U1, 제D1 내지 제Un, 제Dn 스트레인게이지(U1, D1∼Un, Dn) 및 제U'1, D'1 내지 제U'n, 제D'n 스트레인게이지(U'1, D'1∼U'n, D'n)로부터 쌍으로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절대값으로 합하여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각각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한다.
이때, 제U1, 제U'1 및 제D1, 제D'1 스트레인게이지(U1, U'1, D1, D'1), 제U2, 제U'2 및 제D2, 제D'2 스트레인게이지(U2, U'2, D2, D'2), …, 제Un, 제U'n 및 제Dn,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U'n, Dn, D'n)는 각각의 기본적인 저항값을 지녀 컨트롤러(C)에서 그 위치를 추적토록 하거나, 각각의 어드레스로서 컨트롤러(C)에 기 입력되어 그 위치를 파악토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위치에 해당되는 제U1, 제U'1 및 제D1, 제D'1 스트레인게이지(U1, U'1, D1, D'1), 제U2, 제U'2 및 제D2, 제D'2 스트레인게이지(U2, U'2, D2, D'2), …, 제Un, 제U'n 및 제Dn,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U'n, Dn, D'n)마다 펑크션 시그널을 미리 정해놓아 해당 스트레인게이지(S)가 휘어질 경우 그 정해진 펑크션 시그널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컨트롤러(C)는 제U1, 제U'1 및 제D1, 제D'1 스트레인게이지(U1, U'1, D1, D'1), 제U2, 제U'2 및 제D2, 제D'2 스트레인게이지(U2, U'2, D2, D'2), …, 제Un, 제U'n 및 제Dn,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U'n, Dn, D'n)로부터 쌍으로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절대값으로 합하여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한다.
도 9c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9d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스트레인게이지(S), 예를 들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Un 및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 U'n)는 베이스필름(B)의 표면에 메탈 패터닝될 수 있고 제D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 D'n)는 베이스필름(B)의 이면에 메탈 패터닝될 수 있으며,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위아래에 베이스필름(B)이 밴딩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할 경우 도 9d에 도시된 횡방향으로의 점선이 전체 두께 중 중심선이 될 수 있고, 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을 굽혔을 때 표 6과 같이 제U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Dn) 및 제U'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D'n)의 가변저항값이 나타나게 되며, 이들 가변저항값을 절대값으로 합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하게 된다.

제6실시예

제Un 스트레인게이지

제U'n 스트레인게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

휨 정도(Ω)

++ΔΩ

--ΔΩ

+ΔΩ

-ΔΩ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 및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는 중심선에서 원거리를 취하고 있어 그 중심선을 기준으로 굽혔을 경우 많은 가변저항값(++ΔΩ, --ΔΩ)을 나타내게 되고, 반면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는 중심선에서 근거리를 취하고 있어 그 중심선을 기준으로 굽혔을 경우 적은 가변저항값(+ΔΩ, -ΔΩ)을 나타내게 된다.
이상 제 1 내지 제 6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정도를 가변저항값으로 표출하는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H)를 핵심으로 하면서 이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H)에서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하는 컨트롤러(C)를 적용하여 전체 유연성을 적극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모니터 또는 휴대폰 분야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G :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 H :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
B : 베이스필름 S : 스트레인게이지
U1 : 제U1 스트레인게이지 U'1 : 제U'1 스트레인게이지
U2 : 제U2 스트레인게이지 U'2 : 제U'2 스트레인게이지
Un : 제Un 스트레인게이지 U'n : 제U'n 스트레인게이지
D1 : 제D1 스트레인게이지 D'1 : 제D'1 스트레인게이지
D2 : 제D2 스트레인게이지 D'2 : 제D'2 스트레인게이지
Dn : 제Dn 스트레인게이지 D'n : 제D'n 스트레인게이지
S1 : 온도 보상 센서부 L : 커버레이어
C : 컨트롤러

Claims (16)

  1.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정도를 가변저항값으로 표출하는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H)와,
    상기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H)에서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하는 컨트롤러(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H)는 플렉시블한 베이스필름(B)과, 상기 베이스필름(B)에 메탈 패터닝되어 휨에 의해 가변저항값을 표출하는 스트레인게이지(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온도변화에 따른 상기 휨 비례 저항 가변 센서부(H)의 가변저항값의 기복을 보상하는 온도 보상 센서부(S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S) 위에 씌워진 커버레이어(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S)는 상기 베이스필름(B)의 표면에 메탈 패터닝되어 휨에 의해 가변저항값을 각각 표출하는 제U1 스트레인게이지(U1), 제U2 스트레인게이지(U2), …,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필름(B)은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위에 제U1 스트레인게이지(U1), 제U2 스트레인게이지(U2), …,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가 위치되도록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고,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제U1 내지 제Un 스트레인게이지(U1∼Un)로부터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각각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제U1 내지 제Un 스트레인게이지(U1∼Un)로부터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S)는 상기 베이스필름(B)의 표면에 쌍으로 메탈 패터닝되어 휨에 의해 가변저항값을 각각 표출하는 제U1 및 제U'1 스트레인게이지(U1, U'1), 제U2 및 제U'2 스트레인게이지(U2, U'2), …, 제Un 및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 U'n)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필름(B)은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위에 제U1 스트레인게이지(U1), 제U2 스트레인게이지(U2), …,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가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아래에 제U'1 스트레인게이지(U'1), 제U'2 스트레인게이지(U'2), …, 제U'n 스트레인게이지(U'n)가 위치되도록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를 따라 밴딩 부착되고,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제U1 내지 제Un 스트레인게이지(U1∼Un) 및 제U'1 내지 제U'n 스트레인게이지(U'1∼U'n)로부터 쌍으로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절대값으로 합하여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제U1 내지 제Un 스트레인게이지(U1∼Un) 및 제U'1 내지 제U'n 스트레인게이지(U'1∼U'n)로부터 쌍으로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절대값으로 합하여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S)는 상기 베이스필름(B)의 이면에 메탈 패터닝되어 휨에 의해 가변저항값을 각각 표출하는 제D1 스트레인게이지(D1), 제D2 스트레인게이지(D2), …,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필름(B)은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위에 제D1 스트레인게이지(D1), 제D2 스트레인게이지(D2), …,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가 위치되도록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고,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제D1 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로부터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각각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제D1 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D1∼Dn)로부터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 중 가장 큰 가변저항값을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S)는 상기 베이스필름(B)의 이면에 쌍으로 메탈 패터닝되어 휨에 의해 가변저항값을 각각 표출하는 제D1 및 제D'1 스트레인게이지(D1, D'1), 제D2 및 제D'2 스트레인게이지(D2, D'2), …, 제D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 D'n)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필름(B)은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위에 제D1 스트레인게이지(D1), 제D2 스트레인게이지(D2), …,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가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아래에 제D'1 스트레인게이지(D'1), 제D'2 스트레인게이지(D'2), …, 제D'n 스트레인게이지(D'n)가 위치되도록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를 따라 밴딩 부착되고,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제D1 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D!∼Dn) 및 제D'1 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D'1∼D'n)로부터 쌍으로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절대값으로 합하여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각각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제D1 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D1∼Dn) 및 제D'1 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D'1∼D'n)로부터 쌍으로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절대값으로 합하여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S)는 상기 베이스필름(B)의 표면 및 이면에 메탈 패터닝되어 휨에 의해 가변저항값을 각각 표출하는 제U1 및 제D1 스트레인게이지(U1, D1), 제U2 및 제D2 스트레인게이지(U2, D2), …, 제U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Dn)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필름(B)은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위에 제U1 및 제D1 스트레인게이지(U1, D1), 제U2 및 제D2 스트레인게이지(U2, D2), …, 제U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Dn)가 위치되도록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고,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제U1 내지 제Un 및 제D1 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U1∼Un, D1∼Dn)로부터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절대값으로 합하여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각각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제U1 내지 제Un 및 제D1 내지 제Dn 스트레인게이지(U1∼Un, D1∼Dn)로부터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절대값으로 합하여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S)는 상기 베이스필름(B)의 표면 및 이면에 쌍으로 메탈 패터닝되어 휨에 의해 가변저항값을 각각 표출하는 제U1, 제U'1 및 제D1, 제D'1 스트레인게이지(U1, U'1, D1, D'1), 제U2, 제U'2 및 제D2, 제D'2 스트레인게이지(U2, U'2, D2, D'2), …, 제Un, 제U'n 및 제Dn,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U'n, Dn, D'n)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필름(B)은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위에 제U1 및 제D1 스트레인게이지(U, D1), 제U2 및 제D2 스트레인게이지(U2, D2), …, 제U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Dn)가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 아래에 제U'1 및 제D'1 스트레인게이지(U'1, D'1), 제U'2 및 제D'2 스트레인게이지(U'2, D'2), …, 제U'n 및 제D'n 스트레인게이지(U'n, D'n)가 위치되도록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가장자리를 따라 밴딩 부착되고,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제U1, 제D1 내지 제Un, 제Dn 스트레인게이지(U1, D1∼Un, Dn) 및 제U'1, D'1 내지 제U'n, 제D'n 스트레인게이지(U'1, D'1∼U'n, D'n)로부터 쌍으로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절대값으로 합하여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각각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제U1, 제D1 내지 제Un, 제Dn 스트레인게이지(U1, D1∼Un, Dn) 및 제U'1, D'1 내지 제U'n, 제D'n 스트레인게이지(U'1, D'1∼U'n, D'n)로부터 쌍으로 각각 표출된 가변저항값을 절대값으로 합하여 기준저항값과 비교하면서 그 차이만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기판(G)의 휨 위치 및 휨 정도를 판단하여 펑크션 시그널로 활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114465A 2012-10-15 2012-10-1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48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465A KR20140048007A (ko) 2012-10-15 2012-10-1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465A KR20140048007A (ko) 2012-10-15 2012-10-1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007A true KR20140048007A (ko) 2014-04-23

Family

ID=5065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465A KR20140048007A (ko) 2012-10-15 2012-10-1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800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37873A1 (en) * 2014-12-26 2016-06-29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bending sensor
KR20160079626A (ko) * 2014-12-26 2016-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딩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70025620A (ko) * 2015-08-31 2017-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딩 센싱 장치를 갖는 연성 표시장치 및 벤딩 센싱 방법
US9985236B2 (en) 2015-08-03 2018-05-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US10503307B2 (en) 2015-11-04 2019-12-10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20087298A1 (zh) * 2018-10-30 2020-05-07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与弯折检测方法
WO2022119378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108A (ko) * 2014-12-26 2022-04-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딩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60190216A1 (en) * 2014-12-26 2016-06-30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bending sensor
KR20160079626A (ko) * 2014-12-26 2016-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딩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5741687A (zh) * 2014-12-26 2016-07-06 乐金显示有限公司 包括弯曲传感器的显示装置
US9741772B2 (en) 2014-12-26 2017-08-2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bending sensor
EP3037873A1 (en) * 2014-12-26 2016-06-29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bending sensor
KR20220110161A (ko) * 2014-12-26 2022-08-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딩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125768A (ko) * 2014-12-26 2023-08-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딩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985236B2 (en) 2015-08-03 2018-05-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KR20170025620A (ko) * 2015-08-31 2017-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딩 센싱 장치를 갖는 연성 표시장치 및 벤딩 센싱 방법
US10503307B2 (en) 2015-11-04 2019-12-10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20087298A1 (zh) * 2018-10-30 2020-05-07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与弯折检测方法
WO2022119378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474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40048007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6486039B (zh) 具有弯曲感测装置的柔性显示装置
US10423265B2 (en) Temperature compensating force sensor
CN105094449B (zh) 一种压力感测输入模块
US11162851B2 (en) Pressure sensing structure and electronic product
CN106708327B (zh) 压力传感器及显示装置
CN106648236B (zh) 一种触控显示面板以及触控显示装置
US10088937B2 (en) Touch input device including a moment compensated bending sensor for load measurement on platform supported by bending beams
JP5695740B2 (ja) 入力装置及び前記入力装置を用いた複数点の荷重検出方法
WO2013005861A1 (en) Dual-function transducer for a touch panel
KR100969504B1 (ko) 센서일체형 터치입력장치
US201302750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pressure sensitive device interface
WO2011125389A1 (ja) 透明圧電シートをそれぞれ有するフレーム付透明圧電シート、タッチパネル、および電子装置
CN108603799B (zh) 压力传感器、电子设备及该压力传感器的制作方法
TW201710860A (zh) 一種壓力感測輸入裝置
KR20140132569A (ko) 연성 기기, 연성 기기의 형상 감지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216310B2 (en) Pressure-sensitive panel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3D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panel
JP2005502103A (ja) 回転分離された力センサを備えたタッチスクリーン
KR102398552B1 (ko) 벤딩 센싱 장치를 갖는 연성 표시장치
US20230144931A1 (en) Pressure-sensitiv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20190095024A1 (en) Pressure sens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ame
KR101675274B1 (ko) 스마트폰 케이스
JP2019527882A (ja) エレクトロニクス装置及び端末
KR101924546B1 (ko) 압력 계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