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927A - 회전식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927A
KR20140047927A KR1020120114287A KR20120114287A KR20140047927A KR 20140047927 A KR20140047927 A KR 20140047927A KR 1020120114287 A KR1020120114287 A KR 1020120114287A KR 20120114287 A KR20120114287 A KR 20120114287A KR 20140047927 A KR20140047927 A KR 20140047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oor
coupling part
pedestal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희
Original Assignee
(주) 프렉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프렉코 filed Critical (주) 프렉코
Priority to KR1020120114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7927A/ko
Publication of KR20140047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92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9Details of the food supports not specially adapted to one of the preceding types of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음식물을 조리하는 회전식 구이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는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덮개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가열수단;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막도록 결합되며 회전 작동에 의해 개방되며, 측벽과, 상기 측벽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판으로 구성된 도어; 상기 하우징의 덮개와 도어의 상부판을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도어 개방시 하우징의 내부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요리재료를 넣거나 빼기가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구이장치{ROTARY ROASTER}
본 발명은 회전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트레이에 요리재료를 올려놓고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가열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도어의 개도율을 최대로 확대할 수 있어 대형 요리재료를 손쉽게 넣거나 빼낼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에 함유된 지방질은 고기맛을 느끼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종 성인병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육류로부터 지방을 제거할 수 있는 조리법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바베큐 구이나 숯불 구이 등은 지방을 제거할 수 있는 대표적인 조리법들로서, 이 조리법들은 대상 구이물로부터 기름기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린내를 없애는 탈취효과도 있기 때문에 특히,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과 같이 지방 함유량이 많고 비린향이 나는 육류를 조리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조리의 편의를 위하여 구이의 대상이 되는 구이물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구울 수 있는 바베큐 구이기나 숯불 구이기 등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국내 특허출원 10-2004-0100164호의 「회전식 숯불 구이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구이물 각각의 위치 및 로스터의 위치 즉, 구이물에 전달되는 화력의 차이가 날 경우 구이물의 국소부위만 타거나, 또는 설익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섭취의 불쾌감과 이를 통한 구이물의 신뢰성을 상실시키는 제품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공수가 많이 소요되며,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트레이에 요리재료를 올려놓고 저속으로 회전되면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도어의 개도율을 최대로 확대할 수 있어 대형 요리재료를 손쉽게 넣거나 빼낼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회전식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덮개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가열수단;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막도록 결합되며 회전 작동에 의해 개방되며, 측벽과, 상기 측벽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판으로 구성된 도어; 상기 하우징의 덮개와 도어의 상부판을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반원통체 형상이며,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도 반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는 하우징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도어의 개방작동시 하우징의 외측에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는 일측에 온도조절과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트레이가 안착되는 요입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요입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다수의 롤러가 형성된 회전지지대와; 상기 받침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지지대에 모터축이 결합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지지대는 상기 모터축이 결합되는 판재와, 상기 판재의 외주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브라켓에 롤러가 각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덮개의 중앙에 형성되며, 통공을 갖는 제1결합부; 상기 도어의 상부판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와 중첩되게 결합되며 통공을 갖는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통공을 관통하는 보스가 형성된 핸들; 상기 보스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의 하부에 밀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에는 요리재료를 고정시키도록 스탠드가 형성되고, 상기 스탠드는 와이어를 절곡하여 하부는 폭이 넓고 상부는 폭이 좁게 형성되어 피라미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개방시 하우징의 내부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요리재료를 넣거나 빼기가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에 대한 결합된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5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에 대한 결합된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5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구이장치(A)는,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2)와; 받침대(2)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덮개(32)가 형성된 하우징(3)과; 하우징(3)의 내부에 형성된 가열수단(4)과; 하우징(3)의 개구부를 막도록 결합되며 회전 작동에 의해 개방되며, 측벽(51)과, 측벽(5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판(52)이 형성된 도어(5)와; 덮개(32)와 도어(5)를 결합시키며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수단(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대(2)는 원형이며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원반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에는 지면과 접촉되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재질의 지지부재가 복수개 형성된다.
하우징(3)은 반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5)도 반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5)는 하우징(3)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3)과 도어(5)는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어 원통형상으로 이루게 되고, 도어(5)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개방작동시켰을때 하우징(3)의 외측에 중첩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3)의 일측에는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토록 하기 위해 복수의 배기공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3)의 내벽면에는 가열수단(4)이 장착되는데, 가열수단(4)은 통상의 전기히터가 바람직하다.
또는 가열수단(4)은 원적외선에 의해 대상물의 내부와 외부를 균일하게 익히는 할로겐 램프도 가능하다.
도어(5)는 전면에 투광창(54)이 형성되어 내부의 조리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일단에는 개폐작동에 용이하도록 손잡이(5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받침대(2)는 일측에 온도조절과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28)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트레이(8)가 안착되는 요입부(2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트레이(8)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형성된다.
구동수단은 트레이(8)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트레이에 놓여진 요리재료가 회전되면서 가열수단(4)에 의해 골고루 익혀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받침대(2)의 요입부(20)의 상부에 안착되며 다수의 롤러(76)가 형성된 회전지지대(7)와; 상기 받침대(2)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지지대(7)에 모터축이 결합되는 모터(M);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지지대(7)는 모터축이 결합 되도록 중앙에는 판재(72)이 형성되고, 상기 판재(72)의 외주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브라켓(74)이 형성되는데, 상기 복수의 브라켓(74)에는 각기 롤러(76)가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브라켓(74) 각각은 그 끝단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트레이(8)의 외주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결합수단(6)은, 도어(5)와 하우징(3)을 결합시키되 도어(5)의 회전을 보장하면서 결합된 상태는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3)의 덮개(32)의 중앙에 형성되며, 통공을 갖는 제1결합부(61)와; 도어(5)의 상부판(52)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61)와 중첩되게 결합되며 통공(620)을 갖는 제2결합부(62)와; 제1결합부(61)와 제2결합부(62)의 통공을 관통하는 보스(632)가 형성된 핸들(63)과; 보스(632)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61)의 하부에 밀착되는 너트(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결합부(61)는 덮개(32)의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반원형의 판상이며, 그 중심에 형성된 통공에는 상기 너트(64)의 상부가 끼워져 결합된다.
제2결합부(62)는 상부판(52)의 중앙부위에 반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그 중심의 통공에 핸들(63)의 보스(632)가 관통 결합된다.
핸들(63)은 원형이며 외주에 돌조가 형성되어 손으로 협지하기 용이하고, 하부에 파이프 형상의 보스(632)가 결합되어 일종의 회전축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너트(64)는 상부에 제1환턱(641)이 형성되어 제1결합부(61)의 통공에 결합되고, 그 주변의 단차부가 상기 제1결합부(61)의 통공의 주변 저부에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1환턱(641)의 중앙에는 제1환턱(641) 보다 돌출되어 제2환턱(642)이 형성되며, 상기 제2환턱(642)이 제2결합부(62)의 통공에 결합되고, 제2환턱(642) 주변의 단차부가 제2결합부(62)의 통공(620)의 주변에 지지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보스(632)의 외주면에는 홈(634)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64)의 내주면에는 상기 홈(634)에 삽입되는 돌기(612)가 형성됨으로써 결합된 상태는 유지하되 회전작동은 자유롭게 보장될 수 있다.
트레이(8)는 대략 원형의 접시이며 그 내부에 물이나 육수를 저장하여 조리과정에서 요리재료에 수분이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트레이(8)에는 요리재료를 고정시키도록 스탠드(9)가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스탠드(9)는 와이어를 절곡하여 하부는 폭이 넓고 상부는 폭이 좁게 형성되어 피라미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크기가 작은 재료를 스탠드(9)에 협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또는 시중에 유통되는 캔맥주를 꽂아 사용할 수 있다.
캔맥주로부터 발생되는 맥주 증기가 육질을 부드럽게 하고 잡냄새를 없애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오븐 요리에 애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5)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하우징(3)의 개구부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하고, 트레이(8)에 적정량의 물이나 육수를 저장하고, 요리재료를 넣고, 도어(5)를 닫는다.
이후 스위치(28)를 온 작동하고 적정한 온도를 설정하여 조리가 시작된다.
따라서 구동수단의 모터(M)가 구동되며, 그에 연동되어 회전지지대(7)가 회전되고, 이 회전지지대(7)에 안착된 트레이(8)가 회전되므로 요리재료가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3)의 내부에 형성된 가열수단(4)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요리재료가 골고루 익혀지게 된다.
요리재료가 익으면서 발생되는 수증기 및 연기는 하우징(3)의 배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9)에 캔맥주를 고정시키고, 그 외측에 닭과 같은 육류 요리재료를 넣은 후 가열조리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맥주 증기에 의한 조리의 맛을 더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받침대 3 ; 하우징
4 : 가열수단 5 : 도어
6 ; 결합수단 7 ; 회전지지대
32 : 덮개 52 : 상부판
61 : 제1결합부 62 : 제2결합부
63 : 핸들 64 : 너트
72 : 판재 74 : 브라켓
76 : 롤러

Claims (7)

  1.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덮개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가열수단;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를 막도록 결합되며 회전 작동에 의해 개방되며, 측벽과, 상기 측벽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판으로 구성된 도어;
    상기 하우징의 덮개와 도어의 상부판을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반원통체 형상이며, 상기 도어도 반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는 하우징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도어의 개방작동시 하우징의 외측에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일측에 온도조절과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트레이가 안착되는 요입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요입부의 상부에 안착되며 다수의 롤러가 형성된 회전지지대;
    상기 받침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지지대에 모터축이 결합되는 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대는
    상기 모터축이 결합되는 판재와, 상기 판재의 외주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브라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브라켓에 롤러가 각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덮개의 중앙에 형성되며, 통공을 갖는 제1결합부;
    상기 도어의 상부판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부와 중첩되게 결합되며 통공을 갖는 제2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통공을 관통하는 보스가 형성된 핸들;
    상기 보스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1결합부의 하부에 밀착되는 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는 요리재료를 고정시키는 스탠드가 포함되고,
    상기 스탠드는 와이어를 절곡하여 하부는 폭이 넓고 상부는 폭이 좁게 형성되어 피라미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장치.


KR1020120114287A 2012-10-15 2012-10-15 회전식 구이장치 Ceased KR20140047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287A KR20140047927A (ko) 2012-10-15 2012-10-15 회전식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287A KR20140047927A (ko) 2012-10-15 2012-10-15 회전식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927A true KR20140047927A (ko) 2014-04-23

Family

ID=5065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287A Ceased KR20140047927A (ko) 2012-10-15 2012-10-15 회전식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79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9612A (zh) * 2015-08-07 2017-02-22 裕富宝厨具设备(深圳)有限公司 一种烤炉
CN116158673A (zh) * 2023-02-14 2023-05-26 中山市商贤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披萨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9612A (zh) * 2015-08-07 2017-02-22 裕富宝厨具设备(深圳)有限公司 一种烤炉
CN116158673A (zh) * 2023-02-14 2023-05-26 中山市商贤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披萨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9948B2 (en) Simplified device to quickly cook food
KR101286834B1 (ko) 열전달이 용이한 회전식 구이기
MX2007003254A (es) Horno de rosticeria que tiene elementos de coccion orientados horizontal y verticalmente.
CA2700428C (en) Pressure barbecue grill
KR20180129592A (ko) 꼬치구이기
KR101384297B1 (ko) 회전식 구이기
KR200489004Y1 (ko) 회전식 구이기
KR101325598B1 (ko) 다목적 회전식 구이기
KR20140047927A (ko) 회전식 구이장치
KR100903720B1 (ko) 오리 통구이기
KR200460459Y1 (ko) 가마솥 회전구이기
KR101689089B1 (ko) 가마형 구이장치
KR101343854B1 (ko) 회전식 구이장치
KR200185603Y1 (ko) 회전식 원적외선 방사 고기구이기
KR20140002318U (ko) 회전식 구이장치의 문 개폐장치
KR200230566Y1 (ko) 훈제 바베큐용 구이기계
KR200353161Y1 (ko) 전기 바베큐 구이기
KR20110008030U (ko) 회전형 고기구이기
KR101088858B1 (ko) 회전식 꼬치 구이기
JP2009034125A (ja) 肉塊加熱装置
KR200365094Y1 (ko) 바비큐 구이장치
KR200307335Y1 (ko) 간접적인 열 가열방식의원적외선을 응용한 구이기
KR200240862Y1 (ko) 전기 구이기
KR101514958B1 (ko) 전기구이장치
KR20130121626A (ko) 원적외선과 복사열을 이용한 바베큐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729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401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