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769A - Fastener assembly and heat insulator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Fastener assembly and heat insulator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46769A KR20140046769A KR1020120112832A KR20120112832A KR20140046769A KR 20140046769 A KR20140046769 A KR 20140046769A KR 1020120112832 A KR1020120112832 A KR 1020120112832A KR 20120112832 A KR20120112832 A KR 20120112832A KR 20140046769 A KR20140046769 A KR 201400467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insulating
- insulating material
- fastener
- wire member
- wall su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22 acrylic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48 expandable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2 extern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62 lightweigh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or impac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ixed directly to the wall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비트 시공시 두꺼운 단열재를 외부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해줄 수 있도록 한 화스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스너 조립체는, 설치대상 벽면(W)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단열재(1)를 고정해주기 위한 화스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벽면(W)에 체결부재(120)를 매개로 일단이 고정설치되는 와이어부재(110); 및 상기 와이어부재(1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배치되는 단열재(1)의 표면을 상기 벽면(W) 측으로 가압 고정해주는 화스너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규격의 와이어부재와 체결부재를 가지고 다양한 두께로 형성된 단열재를 있고, 와이어부재 및 체결부재가 서로 인접하는 단열재의 접합면 사이에 설치됨에 따라 시공이 용이함과 아울러 열교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열재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er assembly capable of firmly fixing a thick heat insulating material to an outer wall when a dry bit is applied, and a method of apply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using the same.
A fasten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is a fastener assembly for fix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1 disposed adjacent to an installation target wall surface W by fastening a fastening member 120 to the wall surface W A wire member 110 to which one end is fixedly installed; And a fastener member 13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110 and pressing and fixing the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 to the wall surface W 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 insulating material having various thicknesses with a wire member and a fastening member of the same standard, and the wire member and the fastening member are provided between the bonding surfaces of the adjacent heat insulating material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열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라이비트 시공시 두꺼운 단열재를 벽면 구조체에 견고하게 고정해줄 수 있는 화스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stener assembly capable of firmly fixing a thick heat insulating material to a wall structure during dry bit construction, and a method of apply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드라이비트(EIFS)는 빨리 건조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대표적인 외부 단열공법의 일종이며, 주로 철근 콘크리트나 조적(벽돌 쌓기) 등으로 건물의 구조체가 완성된 후 그 외부에 단열 등의 목적으로 덧 시공되는 것을 말한다.Generally, dry bit (EIFS) is a kind of external insulation method which implies that it is dried quickly. It is mainly used for the purpose of insulation such as reinforced concrete or masonry (brick piling) .
이러한 드라이비트는 본래 단열재, 접착몰탈, 유리망 섬유, 마감재로 이루어진 외벽 단열시스템이지만 통상 최종 마감재(드라이코트)를 드라이비트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These dry bits are originally exterior wall insulation systems consisting of insulating materials, adhesive mortars, glass mesh fibers, and finishes, but in many cases, the final finish (dry coat) is often referred to as dry bit.
아울러 실제 건축현장에서는 드라이비트 단열시스템 전체를 적용하지 않고 콘크리트 벽면이나 조적 벽면의 단순 미관을 위하여 단열층 없이 마감재(드라이코트)로만 시공한 경우도 있다.In addition, in actual construction sites, dry bit insulation systems are not applied to entire concrete walls, but in some cases, only a finishing material (dry coat) is used without a heat insulating layer for simple aesthetics of concrete walls and masonry walls.
그러나 대부분 드라이비트 시공은 단열층을 구성하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는데, 통상 크기 600 ~ 1,200㎜에 두께 20 ~ 150㎜ 정도의 스티로폼, 암연(불연성), 발포폴리스티렌폼(난연성) 등의 단열재를 벽체에 부착하고 단열재의 접착력 확보를 위해 아크릴 계열 접착 몰탈을 바른다. 그런 후, 균열방지 및 충격보강 목적으로 인장강도가 강한 유리망 섬유를 부착하고, 아크릴 수지 계열 최종마감재를 흙손, 스프레이건, 로울러, 붓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패턴과 질감으로 도막을 형성하여 마감한다.However, in most cases, the dry bit construction is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constituting a heat insulating layer.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tyrofoam, non-flammable or foamed polystyrene foam having a size of 600 to 1,200 mm and a thickness of about 20 to 150 mm is attached to the wall Acrylic adhesive mortar is applied to secure the adhesion of the insulation. After that, glass mesh fibers with high tensile strength are attached for the purpose of crack prevention and impact reinforcement, and the final finish of acrylic resin type is finished by forming a film with various patterns and textures by using trowel, spray gun, roller, brush .
이렇게 형성된 드라이비트 외벽 단열시스템은 단열 및 방음효과가 탁월하여 실내 열효율을 높여주고, 경량 재료로 시공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다양한 색상과 질감을 표현할 수 있다.The dry-wall outer wall insulation system thus formed is excellent in heat insulation and soundproofing effect, thereby enhancing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room, being easy to construct with lightweight materials, and being able to express various colors and textures.
한편, 최근 페시브 하우스(Passive house)와 같이 태양의 빛 온도, 그리고 바람이나 지형 등의 자연환경을 이용한 친환경 에너지주택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택의 외벽에 단열성능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예컨대, 외부 벽체에 설치되는 단열재의 두께가 기존 50 ~ 100㎜에서 200 ~ 300㎜로 시공하고 있는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houses that use the light temperature of the sun and th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wind or terrain are gradually increasing like the passive house. Is being applied.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provided on the outer wall is in the range of 50 to 100 mm and 200 to 300 mm.
이 경우 상기와 같은 드라이비트 시공 시 가장 큰 하자 중에 하나는 구조벽체에 부착된 단열재의 탈락 현상이다. 이러한 단열재의 탈락 현상을 방지하고자 종래에는 단열재를 잡아주는 복수의 화스너(fastener)를 설치한 후 마감재를 시공하게 된다.In this case, one of the biggest defects in the above-mentioned dry bit construction is the detachment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ttached to the structural wall. In order to prevent the dropping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conventionally, after installing a plurality of fasteners (fasteners) hold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finishing material is constructed.
그러나 종래의 화스너를 이용한 드라이비트 설치방법은 단열재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200 ~ 300㎜ 이상으로 길게 형성된 화스너 자재 및 각종 시공자재를 따로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dry bit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conventional fasten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stener material and various construction materials, which are formed to be 200 to 300 mm or longer corresponding to the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must be separately provided.
또한 상기 화스너의 설치를 위해 단열재에서 외벽 구조체까지 구멍을 뚫어야 함에 따라 시공성이 저하된다. 아울러 화스너 등의 철물이 구조체로부터 외부로 연결되기 때문에 이러한 틈새를 통해 열교 현상(heat bridge)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holes must be pierced from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to the outer wall structure for installation of the fasteners, thereby decreasing the workability. In addition, since hardware such as a fastener is connected to the outside from the structure, a heat bridge occurs through such a gap.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드라이비트 시공시 두꺼운 단열재를 외부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해줄 수 있도록 한 화스너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stener assemb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using the same, which can firmly fix a thick heat insulating material to an outer wall when a dry bit is applied.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스너 조립체는, 설치대상 벽면에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단열재를 고정해주기 위한 화스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일단이 고정설치되는 와이어부재; 및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배치되는 단열재의 표면을 상기 벽면 측으로 가압 고정해주는 화스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stener assembly for fix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disposed adjacent to a wall surface to be installed, the fastener assembly comprising: a wire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wall surface through a fastening member; ; And a fastener memb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and pressing and fixing the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disposed to the wall surface side.
이 경우 상기 화스너부재는, 상기 단열재의 모서리부위에 배치되는 제1화스너; 및 상기 단열재의 상하변 또는 좌우변 접합부위에 배치되는 제2화스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fastener member may include: a first fastener disposed at a corner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a second fastener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the left and right side joint portion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또한 상기 제2화스너는, 상기 제1화스너에 비해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econd fastener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first fastener.
또한 상기 제1화스너 및 제2화스너에는,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을 끼움 결합한 후 매듭짓는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fastener and the second fastener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fastening hol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can be engaged and fastened in a knotting manner.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벽면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못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astening member is a screw that is screwed to the wall surface.
또한 상기 와이어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머리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고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wire member is provided at one end thereof with an annular portion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head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화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설치대상 벽면(W)에 기준이 되는 단열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부착된 단열재의 모서리부 및 상하 또는 좌우변이 위치하게 되는 벽면에 와이어부재의 일단이 연결된 체결부재를 각각 설치 고정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와이어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부착된 단열재의 상하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또 다른 단열재를 인접하게 부착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에 화스너부재의 체결공을 끼움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을 잡아당김과 동시에 상기 끼움 결합된 화스너부재를 상기 단열재의 표면에 가압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을 매듭지어 상기 화스너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inserting a fastener assembly, the method comprising: attaching a heat insulation material to a wall surface (W) to be installed; Installing and fixing fastening members each having one end of a wire member connected to an edge portion of the adhered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a wall surface on which upper and lower or left and right sides are located; Attaching another heat insulating material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ttached heat insulating material with the wire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Fitting a fastener of the fastener member into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fastener member by holding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is pulled and the fit-coupled fastener member is pressed against the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
이 경우 상기 단열재는 접착용 몰탈을 매개로 상기 벽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via a bonding mortar.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동일한 규격의 와이어부재와 체결부재를 가지고 다양한 두께로 형성된 단열재를 있고, 와이어부재 및 체결부재가 서로 인접하는 단열재의 접합면 사이에 설치됨에 따라 시공이 용이함과 아울러 열교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열재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wire member and a fastening member of the same size and formed in various thicknesses, and the wire member and the fastening member are provided between the bonding surfaces of the adjacent heat insulating material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ermal bridge phenomenon, thereby improving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단열재의 시공상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화스너 조립체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단열재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using a fasten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fasten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using the fasten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unless they are indicated on other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단열재의 시공상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화스너 조립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단열재의 시공상태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sten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sten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heat insulator using the heat insulator.
도 1을 참조하면, 설치대상 벽면(W)에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는 단열재(1)를 견고하게 고정해줄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스너 조립체(100)는, 상기 벽면(W)에 체결부재(120)를 매개로 일단이 고정설치되는 와이어부재(110)와, 상기 와이어부재(110)의 타단에 결합되어 배치되는 단열재(1)의 표면을 벽면(W) 측으로 가압 고정해주는 화스너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1, a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보기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화스너부재(130)는 단열재(1)의 모서리부위에 배치되는 제1화스너(131)와, 상기 단열재(1)의 상,하변 또는 좌,우변 접합부위에 배치되는 제2화스너(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2, the
이 경우 상기 제1화스너(131)는 서로 인접하는 단열재(1)의 모서리부 표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화스너(131)는 단열재(1)의 모서리부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3 ~ 4장의 단열재(1)를 벽면(W) 측으로 동시에 가압 고정해주게 된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제2화스너(133)는 단열재(1)의 상하 또는 좌우변, 바람직하게는 가로에 비해 세로방향이 길게 형성되는 좌우변 접합부위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화스너(133)는 모서리부위에 비해 길게 형성된 단열재(1) 접합부위의 표면을 벽면(W) 측으로 가압 고정해주게 된다.The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화스너(133)는 제1화스너(131)에 비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화스너(131)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단열재(1)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됨에 따라 몸체가 정사각형의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화스너(133)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단열재(1)의 상하 또는 좌우변의 접합면에 설치됨에 따라 몸체의 길이가 제1화스너(131)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Here, the
이 경우 제2화스너(133)는 단열재(1) 접합면의 적어도 한 곳에 체결될 수 있다. 또는 단열재(1)의 접합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화스너(133)가 단열재(1)의 접합면에 한 개가 설치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case, th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화스너부재(130)는 체결부재(120) 및 와이어부재(110)를 통해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재(120)는 목재로 이루어진 벽면(W) 구조체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못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벽면이 콘크리트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체결부재(120)는 벽면에 매립설치되는 앵커 또는 기타 다양한 형태로 변경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부재(120)가 나사못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이 경우 체결부재(120)는 통상적으로 벽면(W)에 체결되는 나사부(121)와, 상기 나사부(121)를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조작해줄 수 있도록 드라이버홈이 구비되는 머리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와이어부재(110)의 일단에는 체결부재(120)의 머리부(123)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링 형상의 고리부(111)가 구비된다. 즉 상기 고리부(111) 내에는 체결부재(120)의 나사부(121)가 삽입 관통되되 머리부(123)에서 걸리게 됨에 따라 와이어부재(110)와 체결부재(120)가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와이어부재(110)와 체결부재(120)가 연결되면 나사부(121)를 벽면에 체결해주게 되고, 이에 따라 벽면(W) 상에 와이어부재(110)의 고정 설치가 가능해지게 된다.One end of the
한편 상기 화스너부재(130)에는 와이어부재(110)의 타단을 고정해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체결공(H)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화스너부재(130)를 설치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해보면, 먼저 체결부재(120)를 매개로 일단이 벽면(W)에 고정 설치된 와이어부재(110)의 타단을 화스너부재(130)의 몸체 중심부에 관통 형성된 체결공(H)에 끼움 결합해준다. 그런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부재(110)의 타단에 끼워진 화스너부재(130)를 단열재(1)의 표면에 가압 밀착시킨 상태에서 와이어부재(110)의 타단을 매듭짓는 방식으로 화스너부재(130)의 위치를 고정해준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와이어부재(11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체결공(H) 내에 S자 꼬임 방식으로 번갈아 끼워 감아 견고하게 묶어준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preferably a pair of fastening holes (H) are formed in the fastener member (130) so as to fix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110). The other end of the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스너부재(130)의 고정을 위해 와이어부재(110)의 타단을 매듭짓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의 클립 또는 다양한 구조의 고정부재를 적용하여 와이어부재(110)의 타단을 고정해줄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end of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스너부재(130)에 체결공(H)이 한 쌍으로 형성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화스너부재(130)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체결공(H)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화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과정에 대하여 설명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insulation material using the fasten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설치대상 벽면(W)에 기준이 되는 단열재(1)를 부착한다. 이 경우 벽면(W)과 맞닿게 되는 단열재(1)의 일면에는 접착용 몰탈이 적당량 발라진 상태이다.First, a
접착용 몰탈을 매개로 벽면(W) 상에 단열재(1)가 부착되면, 단열재(1)의 모서리부위 및 상하, 좌우변이 위치하게 되는 벽면(W)에 와이어부재(110)가 연결된 체결부재(120)를 박아주는 방식으로 복수의 와이어부재(110)를 각각 설치 고정해준다.When the
그런 다음, 상기 설치된 와이어부재(110)를 사이에 두고 부착된 단열재(1)의 상하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또 다른 단열재(1)를 인접하게 부착해준다. 이 경우 인접되게 배치되는 단열재(1) 역시 접착용 몰탈이 발라진 상태이다.Then, another
단열재(1)의 모서리 및 상하, 좌우측변에 연결된 와이어부재(110)의 타단을 제1, 2화스너(131)(133)에 구비된 체결공(H)에 제각기 끼움 결합한다. 그리고 와이어부재(110)의 타단을 당겨줌과 동시에 끼움 결합된 제1, 2화스너(131)(133)를 단열재(1)의 표면에 가압 밀착시킨 상태에서 와이어부재(110)의 타단을 매듭지어주면 화스너부재(130)의 고정설치가 완료된다.And the other end of the
이러한 시공과정을 통해 설치대상 벽면(W)에 복수의 단열재(1)의 부착이 완료되면, 단열재(1)의 표면에 접착용 몰탈을 매개로 메쉬(미도시)를 부착해준다. 그리고 메쉬의 표면에 최종적으로 마감재를 발라주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1)의 시공이 완성된다.
When a plurality of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스너 조립체(100)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은, 동일한 규격의 와이어부재(110)와 체결부재(120)를 가지고 다양한 두께로 형성된 단열재(1)를 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부재(110) 및 체결부재(120)는 단열재(1)를 뚫지 않고 인접되게 배치되는 단열재(1)의 접합면 사이에 개재되는 방식으로 설치됨에 따라 시공이 용이하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using the
아울러 벽면(W)에서 화스너부재(130)에 이르기까지 연결되는 별도의 철물이 없이 와이어부재(110)에 의한 보강구조임에 따라 열교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열재(1)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additional hardware connected from the wall surface W to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 : 단열재 100 : 화스너 조립체
110 : 와이어부재 111 : 고리부
120 : 체결부재 130 : 화스너부재
131 : 제1화스너 133 : 제2화스너
H : 체결공 W : 벽면1: Insulation material 100: Fastener assembly
110: wire member 111:
120: fastening member 130: fastener member
131: first fastener 133: second fastener
H: Fastening ball W: Wall
Claims (8)
상기 벽면(W)에 체결부재(120)를 매개로 일단이 고정설치되는 와이어부재(110); 및
상기 와이어부재(1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배치되는 단열재(1)의 표면을 상기 벽면(W) 측으로 가압 고정해주는 화스너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스너 조립체.A fastener assembly for fix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1) disposed adjacent to an installation target wall surface (W)
A wire member 11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wall surface W via a fastening member 120; And
And a fastener member (130)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110) to pressurize and fix the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1) to the wall surface (W) side.
상기 화스너부재(130)는,
상기 단열재(1)의 모서리부위에 배치되는 제1화스너(131); 및
상기 단열재(1)의 상하변 또는 좌우변 접합부위에 배치되는 제2화스너(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스너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er member (130)
A first fastener 131 disposed at a corner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 And
And a second fastener (133)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eat insulator (1).
상기 제2화스너(133)는,
상기 제1화스너(131)에 비해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스너 조립체.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fastener (133)
Is formed longer than the first fastener (131).
상기 제1화스너(131) 및 제2화스너(133)에는,
상기 와이어부재(110)의 타단을 끼움 결합한 후 매듭짓는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공(H)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스너 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In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131 and 133,
Wherein a fastening hole (H) is provide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110) is fitted and then fixed by knotting.
상기 체결부재(120)는,
상기 벽면(W)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못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스너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member (120)
And a screw threadably engaged with the wall surface (W).
상기 와이어부재(110)의 일단에는,
상기 체결부재(120)의 나사부(121)에 삽입된 후 머리부(123)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고리부(11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스너 조립체.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At one end of the wire member 110,
And a hook portion (111) is provided to be engaged with the head portion (123)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screw portion (121) of the fastening member (120).
상기 부착된 단열재(1)의 모서리부 및 상하 또는 좌우변이 위치하게 되는 벽면(W)에 와이어부재(110)의 일단이 연결된 체결부재(120)를 각각 설치 고정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와이어부재(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부착된 단열재(1)의 상하 또는 좌우측 방향으로 또 다른 단열재(1)를 인접하게 부착하는 단계;
상기 와이어부재(110)의 타단에 화스너부재(130)의 체결공(H)을 끼움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부재(110)의 타단을 잡아당김과 동시에 상기 끼움 결합된 화스너부재(130)를 상기 단열재(1)의 표면에 가압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부재(110)의 타단을 매듭지어 상기 화스너부재(130)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Attach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1) as a reference to an installation target wall surface (W);
Installing and fixing fastening members 120 each having one end of the wire member 110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adhering heat insulating material 1 and the wall W on which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left and right sides are located;
Attaching another heat insulating material (1) adjacent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ttached heat insulating material (1) with the wire member (110) interposed therebetween;
Fitting the fastening hole (H) of the fastener member (130) into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110 is pulled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member 110 is knotted while the fit-together fastener member 130 is pressed against the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fastener assembly (130).
상기 단열재(1)는,
상기 벽면(W)에 접착용 몰탈을 매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스너 조립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
Wherein the adhesive agent is adhered to the wall surface (W) through an adhesive morta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2832A KR101501810B1 (en) | 2012-10-11 | 2012-10-11 | Fastener assembly and heat insulator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2832A KR101501810B1 (en) | 2012-10-11 | 2012-10-11 | Fastener assembly and heat insulator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6769A true KR20140046769A (en) | 2014-04-21 |
KR101501810B1 KR101501810B1 (en) | 2015-03-11 |
Family
ID=5065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2832A Expired - Fee Related KR101501810B1 (en) | 2012-10-11 | 2012-10-11 | Fastener assembly and heat insulator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1810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0031B1 (en) * | 2015-06-17 | 2015-07-29 |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 Insulation fixing device for apartment house |
KR200488051Y1 (en) * | 2018-05-28 | 2018-12-07 |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 shock absorbing z-bar |
KR102404470B1 (en) | 2022-02-17 | 2022-05-31 | 박종연 | High-efficiency external insulation construction method with guide rail and screw bolt and fastener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318686B1 (en) | 2015-07-02 | 2024-10-02 | Jeon, Soon-Bok |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
KR20170004836A (en) | 2015-07-02 | 2017-01-11 | 전순복 | Assembly for mounting vacuum insulator |
KR20180002786U (en) | 2017-03-20 | 2018-10-01 | 조진규 | Fixing device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 construction |
KR200488494Y1 (en) | 2018-11-02 | 2019-05-22 | 서호삼 | Apparatus for cutting mesh material for dryvit |
KR20220140071A (en) | 2021-04-08 | 2022-10-18 | (주)오케이공사 | Building insulation constructing method and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82117A (en) * | 1996-09-06 | 1998-03-31 | Sekisui House Ltd | Fixture for thermal insulation material |
-
2012
- 2012-10-11 KR KR1020120112832A patent/KR10150181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0031B1 (en) * | 2015-06-17 | 2015-07-29 |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 Insulation fixing device for apartment house |
KR200488051Y1 (en) * | 2018-05-28 | 2018-12-07 |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 shock absorbing z-bar |
KR102404470B1 (en) | 2022-02-17 | 2022-05-31 | 박종연 | High-efficiency external insulation construction method with guide rail and screw bolt and fastene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1810B1 (en) | 2015-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1810B1 (en) | Fastener assembly and heat insulator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US9957722B2 (en) | Insulated wall panel | |
KR101649969B1 (en) | A Insulation end panels which can be Easily Dry-Finished and external wall insulation dry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239383B1 (en) | External heat insulating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for external heat insulation of building | |
CA2752876A1 (en) | Furring strip fastening member and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
US8984830B2 (en) | Heat insulation element and a composite for insulating a building façade | |
US8745945B2 (en) | Furring strip fastening member and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same | |
KR101393616B1 (en) | Outer material assembly of building and method for finishing outer wall of building using the same | |
KR101351106B1 (en) | Construction structure for inner-insulation of reinforced concret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30087668A (en) | Insulation and finish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wall | |
KR100845245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exterior panel | |
KR101265280B1 (en) | External heat insulating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20001772U (en) | Coupling nut used for construction of stone panel | |
US20090049782A1 (en) | Interior and exterior surface anchoring system | |
KR20210069942A (en) | Idnsulating materials having high adhesion performance and external insulation system using tha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210094342A (en) | Fastener assembly and heat insulator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40059533A (en) | Panel and heat insulator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200123723A (en) | Composite insulation panel capable of install architecture exterior material | |
KR101543268B1 (en) | Outside Insulation System | |
KR101628300B1 (en) | Built up type insulation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urface of a wall using this | |
KR20100114255A (en) | Method execution thermal insulation material of building | |
KR101519858B1 (en) | Fastener assembly and heat insulator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211143396U (en) | Light partition plate | |
KR101140629B1 (en) | A heat insulating and soundproof structure of a wall in a building | |
KR101674833B1 (en) | Set building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with composite light weight panel for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0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0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