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548A -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548A
KR20140046548A KR1020120110474A KR20120110474A KR20140046548A KR 20140046548 A KR20140046548 A KR 20140046548A KR 1020120110474 A KR1020120110474 A KR 1020120110474A KR 20120110474 A KR20120110474 A KR 20120110474A KR 20140046548 A KR20140046548 A KR 20140046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wer supply
solar power
attached
portable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제닉
Priority to KR1020120110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6548A/ko
Publication of KR20140046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프레임 내부에 컨트롤러 및 케이블이 일체로 구비된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는, 케이스 상판 및 하판의 외부면에 부착되어 태양광을 수집하는 집광패널; 상기 집광패널에서 수집된 태양광 에너지를 모으고 상기 태양광 에너지에 의한 전류가 순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정션박스; 상기 태양광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도록 하는 충전 컨트롤러;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 {PORTABLE SOLAR POW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가방 형태의 프레임 내부에 컨트롤러 및 케이블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랩탑 등의 포터블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들의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업무상 또는 개인 용도로 다양한 전자기기들을 휴대하면서 사용하고 있다.
전자기기를 휴대하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동작을 위해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전자기기에 본래 장착된 배터리는 그 용량에 한계가 있어 사용자들이 충분한 시간 동안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포터블 전자기기들의 기능이 강화되는 추세에 따라 충분치 못한 배터리는 심각한 문제가 되어가고 있다.
개인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배터리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은 더 오랜 시간 동안 더 많은 기능을 수행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전자기기에 본래 장착된 배터리 이외에 외부 전원 공급 장치가 필요하다.
나아가 캠핑과 같은 여가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외부에서 외부 전원 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필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8-0112622호는 수첩 형태로 접히는 태양전지판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수첩 형태로 접히는 태양전지판을 구비하는 전원 공급 장치는 전자회로를 포함한 태양전지판을 접었다 폈다 하므로 내구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고, 태양전지판을 접었다 펼쳤다 하기가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08-0002921호는 솔라셀을 이용한 다용도 전원 공급 장치가 부착된 배낭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실용신안 2008-0002921호는 단순히 배낭에 솔라셀을 부착하겠다는 정도의 아이디어에 불과하여 배낭에 부착된 솔라셀을 이용하여 충분한 전원을 생성하기 어렵고, 배낭 내에서 회로나 케이블을 어떻게 구성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PV 모듈을 통하여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수광하면서도 사용자가 휴대가 간편하고, 튼튼하며 전원공급을 위해 필요한 케이블과 단자를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새로운 포터블 전원 공급 장치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트케이스 형태의 프레임 외부에 집광패널을 부착하여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수광할 수 있으면서도 휴대가 용이한 포터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트케이스 내부에 배터리, 컨트롤러 및 케이블 주머니를 일체로 배치하여 사용자가 직접 케이블이나 컨트롤러를 준비하여 연결함으로써 발생하는 기기의 신뢰성이나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트케이스 형태의 프레임의 외부에는 집광패널을 부착하고, 내부에는 정션박스나 충전 컨트롤러 회로를 최적화하여 설치하고, 리튬 폴리머 배터리 모듈이 케이스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여 이동이 쉬우면서도 효율적으로 외부 전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는, 케이스 상판 및 하판의 외부면에 부착되어 태양광을 수집하는 집광패널; 상기 집광패널에서 수집된 태양광 에너지를 모으고 상기 태양광 에너지에 의한 전류가 순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정션박스; 상기 태양광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도록 하는 충전 컨트롤러;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케이스 상판 및 하판 각각은 내부면에 수납 공간이 구비되고,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가 수트케이스 형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배터리 모듈에 저장된 상기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케이블을 수납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하판의 내부면에 부착된 케이블 포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정션박스는 상기 케이스 상판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충전 컨트롤러는 상기 케이스 하판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판의 외부면에 부착된 상기 집광패널에서 수집된 태양광 에너지를 모으는 내부 정션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는, 각각 상기 케이스 상판 및 하판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지면에서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상기 케이스 상판 및 하판을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대들 각각의 일측은 상기 케이스 상판 및 하판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상판 및 하판이나 상기 지지대들에는 상기 지지대들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가이드 레일이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터리 모듈은 일면에 입/출력 단자들 및 동작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태양광 에너지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에너지를 DC/DC 변환하는 입력 DC/DC 컨버터; 상기 배터리 모듈이 제공하는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LED 인디케이터; 상기 전기에너지를 안정화시키는 충전 회로; 상기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리튬 폴리머 팩; 상기 리튬 폴리머 팩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DC/DC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 DC/DC 컨버터;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출력 DC/DC 컨버터가 출력하는 전압 또는 전류 레벨을 조절하는 파워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케이스는 폴리머 재질로, 사출한 후 면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트케이스 형태의 프레임 외부에 집광패널을 부착하여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수광할 수 있으면서도 휴대가 용이한 포터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트케이스 내부에 배터리, 컨트롤러 및 케이블 주머니를 일체로 배치하여 사용자가 직접 케이블이나 컨트롤러를 준비하여 연결함으로써 발생하는 기기의 신뢰성이나 안정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트케이스 형태의 프레임의 외부에는 집광패널을 부착하고, 내부에는 정션박스나 충전 컨트롤러 회로를 최적화하여 설치하고, 리튬 폴리머 배터리 모듈이 케이스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여 이동이 쉬우면서도 효율적으로 외부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의 외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의 내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의 내부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를 지지대들을 이용하여 비스듬히 세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를 지지대들을 이용하여 비스듬히 세운 모습을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케이스 상판 및 하판이나 지지대들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의 외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는 케이스 상판(110) 및 케이스 하판(120)을 포함한다.
케이스 상판(110) 및 케이스 하판(120)의 외부면에는 태양광을 수집하는 집광패널이 부착된다.
케이스 상판(110) 및 케이스 하판(120)의 내부면에는 수납 공간이 구비되고, 케이스 상판(110)과 케이스 하판(120)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가 수트케이스 형태가 된다. 케이스 상판(110) 및 케이스 하판(1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손잡이가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케이스는 폴리머 재질일 수 있다. 폴리머 재질은 2kg 이하의 중량으로 40W급의 전원 공급 장치를 제작할 수 있어, 5kg 정도 중량으로 40W급 제작이 가능한 알루미늄에 비해 중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조비용 측면에서도 폴리머 재질은 알루미늄 재질에 비해 50% 이상의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는 다양한 색깔로 제작되어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할 수 있다.
또한, 폴리머 재질의 케이스는 사출 후 면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의 내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는 케이스 상판(210)의 내부면에 정션박스(211) 및 지지대(213)를 구비하고, 케이스 하판(220)의 내부면에 충전 컨트롤러(221), 지지대(223), 배터리 모듈(225) 및 케이블 포켓(227)을 구비한다. 이 때, 케이스 상판(210)이나 케이스 하판(220)에는 손잡이(230)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 상판(210) 및 하판(220) 각각은 내부면에 수납 공간이 구비되고,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가 수트케이스 형태가 되도록 한다.
정션박스(211)는 집광패널에서 수집된 태양광 에너지를 모으고 상기 태양광 에너지에 의한 전류가 순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정션박스(211)는 케이스 상판(210)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충전컨트롤러(221)는 상기 태양광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도록 한다.
이 때, 충전컨트롤러(221)는 케이스 하판(220)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케이스 하판(220)의 외부면에 부착된 집광패널에서 수집된 태양광 에너지를 모으는 내부 정션박스를 일체형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충전컨트롤러(221)는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225)은 케이스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전기에너지를 저장한다.
케이블 포켓(227)은 배터리 모듈(225)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케이블을 수납한다. 예를 들어, 케이블 포켓은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케이블을 적절히 수납하기 위해 폭이 90mm에서 140mm 정도일 수 있다.
지지대들(213, 223)은 각각 케이스 상판(210) 및 하판(220)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지면에서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케이스 상판(210) 및 하판(220)을 지지한다.
이 때, 지지대들(213, 223) 각각의 일측은 케이스 상판(210) 및 하판(220)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케이스 상판(210) 및 하판(220)이나 지지대들(213, 223)에는 지지대들(213, 223)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가이드 레일이 부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의 내부면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는 케이스 상판(310)의 내부면에 정션박스(311) 및 지지대(313)를 구비하고, 케이스 하판(320)의 내부면에 충전 컨트롤러(321), 지지대(323), 배터리 모듈(325) 및 케이블 포켓(327)을 구비한다. 이 때, 케이스 상판(310)이나 케이스 하판(320)에는 손잡이(33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케이스 상판(310) 및 하판(320) 각각은 내부면에 수납 공간이 구비되고,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가 수트케이스 형태가 되도록 한다.
정션박스(311)는 집광패널에서 수집된 태양광 에너지를 모으고 상기 태양광 에너지에 의한 전류가 순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한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정션박스(311)는 케이스 상판(310)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충전컨트롤러(321)는 상기 태양광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도록 한다.
이 때, 충전컨트롤러(321)는 케이스 하판(320)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케이스 하판(320)의 외부면에 부착된 집광패널에서 수집된 태양광 에너지를 모으는 내부 정션박스를 일체형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325)은 케이스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전기에너지를 저장한다.
케이블 포켓(327)은 배터리 모듈(325)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케이블을 수납한다. 예를 들어, 케이블 포켓은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케이블을 적절히 수납하기 위해 폭이 90mm에서 140mm 정도일 수 있다.
지지대들(313, 323)은 각각 케이스 상판(310) 및 하판(320)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지면에서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케이스 상판(310) 및 하판(320)을 지지한다.
이 때, 지지대들(313, 323) 각각의 일측은 케이스 상판(310) 및 하판(320)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케이스 상판(310) 및 하판(320)이나 지지대들(313, 323)에는 지지대들(313, 323)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가이드 레일이 부착될 수 있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은 케이스 내부에 탈착 가능한 독립적인 구조로 되어 있으며, 후면에 입/출력 단자들 및 동작 스위치를 구비하는 단자부(410)가 구비된다.
단자부(410)에는 동작 스위치, 태양광 에너지에 상응하는 전원을 입력 받는 솔라 입력 포트,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는 외부 입력 포트, 리튬 폴리머 팩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출력 단자는 5V/1A 출력, 5V/2A 출력 또는 12V/1A 출력일 수 있고, USB(Universal Serial Bus)단자일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를 지지대들을 이용하여 비스듬히 세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가 완전히 열려서 상판(510)과 하판(520)이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대들(513, 523)이 슬라이딩되어 상판(510)과 하판(520)의 외부면에 부착된 집광패널이 경사지게 세워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지지대들(513, 523)이 펼쳐지는 각도는 조절 가능하며, 태양의 위치에 따라 적절히 조절되어 집광패널을 적절한 경사로 세움으로써 효율적으로 태양광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를 지지대들을 이용하여 비스듬히 세운 모습을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스가 완전히 열려서 상판(610)과 하판(620)이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상판(610) 및 하판(620)의 내부면에 정션박스(611), 지지대(613), 충전 컨트롤러(621), 지지대(623) 및 케이블 포켓(627)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지지대들을 이용하여 케이스를 비스듬히 세운 상태에서 수집된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모듈이 전기적으로 충전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배터리 모듈은 상판(610)이나 하판(620)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판(610)이나 하판(620)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있지는 않고, 상판(610)이나 하판(620)에 부착된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7은 케이스 상판 및 하판이나 지지대들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스 상판 및 하판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대들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71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레일(710)은 지지대들의 회전 반경이나 회전 각도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면 변경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배터리 모듈(800)은 입력 DC/DC 컨버터(810), LED 인디케이터(820), 충전 회로(830), 리튬 폴리머 팩(840), 출력 DC/DC 컨버터(850) 및 파워 컨트롤러(860)를 포함한다.
입력 DC/DC 컨버터(810)는 태양광에서 나온 전력 또는 외부 DC 입력에 상응하는 전력을 DC/DC 변환한다. 즉, 입력 DC/DC 컨버터(810)는 태양광에서 출력된 전압 레벨과 외부 DC 입력된 전압 레벨을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압 레벨로 변환한다. 이 때, 입력 DC/DC 컨버터(810)는 SMPS(Switch Mode Power Supply)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LED 인디케이터(820)는 배터리 모듈이 동작하는 동작 모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LED 인디케이터(820)는 사용자가 5V/1A 모드로 전원 공급 장치를 사용하는지, 5V/2A 모드로 전원 공급 장치를 사용하는지, 12V/1A 모드로 전원 공급 장치를 사용하는지를 LED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충전 회로(Charge Circuit)(830)는 태양광에서 나온 전력을 변환할 때 전압, 전류 등을 안정화 시키는 정류기능을 수행한다. 충전 회로(830)는 미니보드 타입 회로일 수 있다.
리튬 폴리머 팩(840)은 전기에너지를 저장한다. 이 때, 리튬 폴리머 팩(840)은 납축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가볍고 저렴한 비용으로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 구현이 가능하다.
출력 DC/DC 컨버터(850)는 리튬 폴리머 팩(840)에 저장된 전력을 DC/DC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출력 DC/DC 컨버터(850)는 5V 또는 12V의 출력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파워 컨트롤러(86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출력 DC/DC 컨버터가 출력하는 전압 또는 전류 레벨이 조절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310: 케이스 상판
311: 정션박스
313: 지지대
320: 케이스 하판
321: 충전 컨트롤러
323: 지지대
325: 배터리 모듈
327: 케이블 포켓
330: 손잡이

Claims (8)

  1. 케이스 상판 및 하판의 외부면에 부착되어 태양광을 수집하는 집광패널;
    상기 집광패널에서 수집된 태양광 에너지를 모으고 상기 태양광 에너지에 의한 전류가 순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정션박스;
    상기 태양광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도록 하는 충전 컨트롤러;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상판 및 하판 각각은 내부면에 수납 공간이 구비되고,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가 수트케이스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배터리 모듈에 저장된 상기 전기에너지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케이블을 수납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하판의 내부면에 부착된 케이블 포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션박스는 상기 케이스 상판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충전 컨트롤러는 상기 케이스 하판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케이스 하판의 외부면에 부착된 상기 집광패널에서 수집된 태양광 에너지를 모으는 내부 정션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는
    각각 상기 케이스 상판 및 하판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가 열린 상태에서 지면에서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상기 케이스 상판 및 하판을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들 각각의 일측은
    상기 케이스 상판 및 하판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 상판 및 하판이나 상기 지지대들에는 상기 지지대들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가이드 레일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일면에 입/출력 단자들 및 동작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태양광 에너지에 상응하는 상기 전기에너지를 DC/DC 변환하는 입력 DC/DC 컨버터;
    상기 배터리 모듈이 제공하는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LED 인디케이터;
    상기 전기에너지를 안정화시키는 충전 회로;
    상기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리튬 폴리머 팩;
    상기 리튬 폴리머 팩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DC/DC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 DC/DC 컨버터;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출력 DC/DC 컨버터가 출력하는 전압 또는 전류 레벨이 조절되도록 하는 파워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폴리머 재질로, 사출한 후 면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
KR1020120110474A 2012-10-05 2012-10-05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 KR20140046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474A KR20140046548A (ko) 2012-10-05 2012-10-05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474A KR20140046548A (ko) 2012-10-05 2012-10-05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548A true KR20140046548A (ko) 2014-04-21

Family

ID=5065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474A KR20140046548A (ko) 2012-10-05 2012-10-05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65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917B1 (ko) 2018-12-24 2020-01-16 주식회사 고그린테크 캐리어 타입의 휴대용 전원공급 장치
KR20200077117A (ko) * 2018-12-20 2020-06-30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추적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117A (ko) * 2018-12-20 2020-06-30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추적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
KR102066917B1 (ko) 2018-12-24 2020-01-16 주식회사 고그린테크 캐리어 타입의 휴대용 전원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60164B (zh) 一种可升举折叠的箱式太阳能高效发电装置
CN203707851U (zh) 一种便携太阳能电源装置
US20160285304A1 (en) Portable Solar Power Generator
CN201515253U (zh) 一种便携式太阳能电源装置
KR101523022B1 (ko) 휴대용 태양발전 배터리
US20190149084A1 (en) SOLAR ULTRA-LIGHT OPERATED BATTERY and the METHOD THEREOF
CN201577049U (zh) 翻转式太阳能多功能便携电源
KR20140046548A (ko) 휴대용 솔라 전원 공급 장치
KR20100134148A (ko) 휴대용 태양광 발전시스템
CN201590784U (zh) 具有手表功能的太阳能供电装置
CN202721455U (zh) 便携式太阳能移动电源
CN204741308U (zh) 一种太阳能供电移动电源
CN201039040Y (zh) 野外光伏供电系统
CN202680967U (zh) 一种太阳能充电背包
JP3150709U (ja) 太陽光充電装置
CN208046500U (zh) 一种便携式智能化太阳能储蓄电箱
CN104811121A (zh) 一种便携式智能光伏发电系统
CN206865161U (zh) 一种具有两种充电模式的家用移动电源组合
WO2019119743A1 (zh) 可拆分太阳能充电装置
CN205595880U (zh) 基于光电薄膜和电容阵列的可充电手机套
CN108988741A (zh) 一种便携太阳能光伏电源
KR20140037346A (ko) 태양전지 이용 휴대단말기 충전 거치대
CN109560595A (zh) 新型太阳能移动电源箱
CN202396629U (zh) 一种太阳能伞
CN215990251U (zh) 一种ups移动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