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5125A -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5125A
KR20140045125A KR1020120111284A KR20120111284A KR20140045125A KR 20140045125 A KR20140045125 A KR 20140045125A KR 1020120111284 A KR1020120111284 A KR 1020120111284A KR 20120111284 A KR20120111284 A KR 20120111284A KR 20140045125 A KR20140045125 A KR 20140045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key
range wireless
wireless communication
short range
reques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5251B1 (ko
Inventor
서광원
문영신
정기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251B1/ko
Priority to EP13187550.2A priority patent/EP2717632B1/en
Priority to AU2013237757A priority patent/AU2013237757A1/en
Priority to US14/049,108 priority patent/US9749953B2/en
Priority to CN201310464838.1A priority patent/CN103716906B/zh
Priority to PCT/KR2013/008994 priority patent/WO2014058214A1/en
Priority to JP2013211203A priority patent/JP6316566B2/ja
Publication of KR2014004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9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by using a location-limited connec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or limited proximity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와 접속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로 링크 키를 요청하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링크 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링크 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IN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및 태블릿(Tablet) 등의 휴대 단말기는 여러 가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의 제공을 통해 음성 통화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로 변모해 가는 추세이다. 특히,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은 근거리에서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 기능은 블루투스 통신 또는 적외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고, 외부 장치는 헤드셋(head set)과 키보드(key board)와 마우스와 게임 컨트롤러와 스마트 텔레비전 등을 포함한다.
한편, 외부 장치의 전원이 온 상태인 경우에, 휴대 단말기는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시도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외부 장치가 다른 휴대 단말기와 무선 통신 연결되어 있는 경우, 외부 장치가 다른 휴대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연결을 해제한 후에, 휴대 단말기는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시도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근거 무선 통신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원을 온 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링크 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링크 키로 휴대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제1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접속되면, 상기 제1근거리 무선 통신부로 링크 키를 요청하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링크 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링크 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는 제2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제2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접속되면, 상기 제2근거리 무선 통신부로부터 링크 키를 요청하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링크 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근거리 무선 통신부로 링크 키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1근거리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링크 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키 중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장치에 대응되는 링크 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링크 키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1블루투스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와 접속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로 링크 키를 요청하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링크 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링크 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와 접속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링크 키를 요청하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키 중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장치에 대응되는 링크 키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링크 키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고,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로 상기 링크 키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근거 무선 통신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원을 온 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이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링크 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링크 키로 휴대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이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헤드셋의 전원을 제어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원이 온(ON)되는 헤드셋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근거리 통신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3)와 휴대 단말기(101)를 포함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3)는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이하 'NFC'라 한다)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3)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헤드셋(head set)과 키보드(key board)와 마우스와 게임 컨트롤러와 스마트 텔레비전 등을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헤드셋(103)은 NFC 기능과 블루투스(Blue Tooth, 이하 'BT'라 한다) 통신 기능을 제공하며, 헤드셋(103)의 전원이 오프(OFF)된 경우에 NFC 기능을 이용하여 헤드셋(103)의 전원을 온(ON) 시킨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헤드셋(103)은 휴대 단말기(101)와 NFC 접속되면, 휴대 단말기(101)로 NFC를 이용하여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전송한다. 여기서,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는 링크 키를 요청하는 메시지이며, 링크 키를 요청하는 제1명령어와 헤드셋(103)의 식별자를 포함하거나 제1명령어와 헤드셋(103)의 식별자와 휴대 단말기(101)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헤드셋(103)에 대한 블루투스 장치(Blue Device address, 이하 'BD'라 한다)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링크 키는 헤드셋(103)과 휴대 단말기(101) 간의 링크를 위한 키(key)며, 헤드셋(103)과 휴대 단말기(101) 간에 페어링되면, 생성되어 헤드셋(103)의 메모리부와 휴대 단말기(101)의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그리고 블루투스 장치 주소는 헤드셋(103)의 전원 오프가 요청되면, 헤드셋(103)의 메모리부에 저장되고, 헤드셋(103)의 식별자는 헤드셋(103)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셋(103)은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에 대한 응답으로, 휴대 단말기(101)로부터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수신한다. 여기서,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에 대한 응답 결과를 포함한다. 만약에,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03)의 링크 키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경우,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는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30)의 링크 키를 미리 저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2명령어와 헤드셋(130)에 대한 링크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03)의 링크 키를 미리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는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03)의 링크 키를 저장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3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셋(103)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통신부의 전원을 온 시키고,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분석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03)의 링크 키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헤드셋(103)은 링크 키 확인 메시지 (Link Key_CNF) 내에 포함된 제2명령어 또는 제3명령어를 확인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03)의 링크 키를 저장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링크 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헤드셋(103)은 아웃 오브 밴드(Out Of Band, 이하 'OOB'라 한다) 페어링(Paring) 방식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1)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 여기서, OOB 페어링 방식은 대역 외 밴드를 이용하여 특정 장치,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101)와 페어링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리고 OOB 페어링 방식은 블루투스 표준 규격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여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달리, 링크 키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헤드셋(103)은 링크 키 확인 메시지 (Link Key_CNF) 내에서 링크 키를 검출하고, 검출된 링크 키와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키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키 중의 어느 하나가 검출된 링크 키와 일치하면, 헤드셋(103)은 검출된 링크 키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1)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 이와 달리,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키 중의 어느 하나가 검출된 링크 키와 일치하지 않으면, 헤드셋(103)은 OOB 페어링 방식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1)는 NFC 기능과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공하고, 헤드셋(103)의 전원이 오프(OFF)된 경우에 NFC 기능을 이용하여 헤드셋(103)의 전원을 온(ON) 시킨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휴대 단말기(101)는 헤드셋(103)과 NFC 접속되면, 헤드셋(103)으로부터 NFC를 이용하여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수신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1)는 휴대 단말기(101)의 메모리부 내에서 헤드셋(103)에 대응되는 링크 키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기반으로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생성하여 헤드셋(103)으로 전송한다. 이때, 헤드셋(103)의 링크 키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101)는 헤드셋(103)의 링크 키가 저장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제2명령어와 검색된 링크 키를 포함하는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생성한다. 이와 달리, 링크 키가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휴대 단말기(101)는 링크 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3명령어를 포함하는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에, 헤드셋(103)으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101)는 검색된 링크 키를 이용하여 헤드셋(103)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 후, 연결 확인 메시지를 헤드셋(103)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연결 요청 메시지는 검색된 링크 키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라는 메시지이고, 연결 확인 메시지는 휴대 단말기(101)가 검색된 링크 키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이다. 이와 달리, 헤드셋(103)으로부터 OOB 페어링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101)는 OOB 페어링 방식을 이용하여 헤드셋(103)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1)는 제1NFC부(201)와 제1BT부(203)와 제1메모리부(205)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제1메모리부(205)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데이터 메모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101)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부팅(booting) 및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이하 'OS'라 한다)을 저장하고, 데이터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특히, 제1메모리부(205)는 휴대 단말기(103)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 복수의 블루투스 장치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링크 키들을 미리 저장한다. 여기서, 링크 키는 헤드셋(103)과 휴대 단말기(101) 간의 링크를 위한 키(key)며, 헤드셋(103)과 휴대 단말기(101) 간에 페어링되면, 생성되어 헤드셋(103)의 메모리부와 휴대 단말기(101)의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예를 들면, 제1메모리부(205)는 다음과 같이 링크 키들을 저장할 수 있다.
블루투스 장치 링크 키
제1블루투스 장치의 식별자 xxxx
제2블루투스 장치의 식별자 yyyy
그리고 제1NFC부(201)는 NFC 기능을 제공하며,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작동되므로 제1NFC부(201)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이 필요하지 않다. 특히, 제1NFC부(201)는 휴대 단말기(101)와 NFC 접속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휴대 단말기(101)와 NFC 접속되면, 제1NFC부(201)는 헤드셋(103)으로부터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가 수신되면, 제1NFC부(201)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제1BT부(203)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NFC부(201)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에 대한 응답으로, 제1BT부(203)로부터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수신하고, NFC를 이용하여 수신된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헤드셋(13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1BT부(203)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제공하며, 제1NFC부(201)로부터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수신하고, 수신된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이용하여 메모리부(205)로부터 링크 키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기반으로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생성하고, 생성된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제1NFC부(201)로 전송한다.
이때, 제1BT부(203)는 수신된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분석하여 헤드셋(103)의 식별자를 검출하고, 메모리부(205)에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장치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키 중에서 검출된 헤드셋(103)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링크 키를 검색한다. 검색 결과, 메모리부(205) 내에 검출된 헤드셋(103)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링크 키가 검색되면, 제1BT부(203)는 검색된 링크 키와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30)의 링크 키를 미리 저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2명령어를 포함하는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생성한다. 이와 달리, 메모리부(205) 내에 검출된 헤드셋(103)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링크 키가 검색되지 않으면, 제1BT부(203)는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03)의 링크 키를 저장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3명령어를 포함하는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1BT부(203)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헤드셋(103)으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연결 요청 메시지는 검색된 링크 키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라는 요청 메시지이다. 확인 결과,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1BT부(203)는 검색된 링크 키를 이용하여 헤드셋(103)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고, 연결 확인 메시지를 제2BT부(201)로 전송한다. 그리고 연결 확인 메시지는 휴대 단말기(101)가 검색된 링크 키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이다.
만약에,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1BT부(203)는 OOB 페어링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OOB 페어링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1BT부(203)는 OOB 페어링 방식을 이용하여 헤드셋(103)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헤드셋(103)은 제2NFC부(301)와 제2BT부(303)와 제2메모리부(305)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제2메모리부(305)는 헤드셋(103)의 식별자와 헤드셋(103)의 블루투스 장치 주소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키를 미리 저장한다. 여기서, 링크 키는 헤드셋(103)과 휴대 단말기(101) 간의 링크를 위한 키(key)이며, 헤드셋(103)과 휴대 단말기(101) 간에 페어링되면, 생성되어 헤드셋(103)의 메모리부(305)와 휴대 단말기(101)의 메모리부(205)에 저장된다. 그리고 블루투스 장치 주소는 헤드셋(103)의 전원 오프가 요청되면, 제2메모리부(305)에 저장된다.
그리고 제2NFC부(301)는 NFC 기능을 제공하며,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작동되므로 제2NFC부(301)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원이 필요하지 않다. 특히, 제2NFC부(301)는 휴대 단말기(101)와 NFC 접속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휴대 단말기(101)와 NFC 접속되면, 제2NFC부(301)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생성하고, NFC를 이용하여 생성된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휴대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이때, 제2NFC부(301)는 제2메모리부(305)로부터 헤드셋(130)의 식별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자와 링크 키를 요청하는 제1명령어를 포함하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2NFC부(301)는 제2메모리부(305)로부터 헤드셋(130)의 식별자와 블루투스 장치 주소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자와 블루투스 장치 주소와 제1명령어를 포함하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NFC부(301)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에 대한 응답으로,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수신한다. 여기서,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에 대한 응답 결과를 포함한다. 만약에,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03)과 관련된 링크 키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는 링크 키와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03)의 링크 키를 저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2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03)의 링크 키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는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03)의 링크 키를 저장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3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NFC부(301)는 제2BT부(303)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전원 온 요청 메시지를 제2BT부(303)로 전송하고, 제2BT부(303)가 활성화된 후에, 수신된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REQ)를 제2BT부(303)로 전송한다. 이때, 제2NFC부(301)는 전원 온 요청 메시지를 제2BT부(303)의 전원부(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제2BT부(303)의 전원을 온 시킨다.
그리고 제2BT부(303)는 블루투스 통신을 제공하며, 전원이 오프된 상태이다. 특히, 제2BT부(303)는 제2NFC부(301)로부터 수신된 전원 온 요청 메시지에 의해 전원이 온되면, 제2BT부(303)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제2BT부(303)는 제2NFC부(301)로부터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수신하고, 수신된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분석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03)의 링크 키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제2BT부(303)은 링크 키 확인 메시지 (Link Key_CNF) 내에 포함된 제2명령어 또는 제3명령어를 확인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03)의 링크 키를 저장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링크 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제2BT부(303)는 OOB 페어링 방식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1)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
이와 달리, 링크 키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2BT부(303)는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 내에서 링크 키를 검출하고, 검출된 링크 키와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키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키 중에서 어느 하나가 검출된 링크 키와 일치하면, 제2BT부(303)는 검출된 링크 키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1)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 이때, 제2BT부(303)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송된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연결 요청 메시지는 미리 저장된 헤드셋(103)에 대한 링크 키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라는 요청 메시지이고, 연결 확인 메시지는 휴대 단말기(101)가 미리 저장된 헤드셋(103)에 대한 링크 키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였음을 나타내는 확인 메시지이다.
이와 달리,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키가 검출된 링크 키와 일치하지 않으면, 제2BT부(303)는 OOB 페어링 방식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시스템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 단계에서, 제2NFC부(301)는 제1NFC부(201)와 NFC 접속을 수행한 후, 40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403 단계에서, 제2NFC부(301)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NFC를 이용하여 생성된 링크 키 요청 메시지를 제1NFC부(201)로 전송한 후, 405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제2NFC부(301)는 제2메모리부(305)로부터 헤드셋(130)의 식별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자와 링크 키를 요청하는 제1명령어를 포함하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2NFC부(301)는 제2메모리부(305)로부터 헤드셋(130)의 식별자와 블루투스 장치 주소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자와 블루투스 장치 주소와 제1명령어를 포함하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405 단계에서, 제1NFC부(201)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링크 키 요청 메시지를 제1BT부(203)로 전송한 후, 407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407 단계에서, 제1BT부(203)는 제1NFC부(201)로부터 수신된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이용하여 링크 키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기반으로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생성한 후, 409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제1BT부(203)는 수신된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분석하여 헤드셋(130)의 식별자를 검출하고, 제1메모리부(205)에 미리 저장된 링크 키들 중에서 헤드셋(103)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링크 키를 검색한다. 검색 결과, 메모리부(205) 내에 검출된 헤드셋(103)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링크 키가 검색되면, 제1BT부(203)는 검색된 링크 키와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30)의 링크 키를 미리 저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2명령어를 포함하는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생성한다. 이와 달리, 메모리부(205) 내에 검출된 헤드셋(103)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링크 키가 검색되지 않으면, 제1BT부(203)는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03)의 링크 키를 저장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3명령어를 포함하는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생성한다.
그리고 409 단계에서, 제1BT부(203)는 생성된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제1NFC부(201)로 전송하고, 411 단계에서, 제1NFC부(201)는 NFC를 이용하여 수신된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제2NFC부(301)로 전송한 후, 41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413 단계에서, 제2NFC부(301)는 NFC를 이용하여 제1NFC부(201)로부터 링크 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전원 오프된 제2BT부(303)로 전원 온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제2BT부(303)의 전원을 온 시킨 후, 415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제2NFC부(301)는 전원 온 요청 메시지를 제2BT부(303)의 전원부(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제2BT부(303)의 전원을 온 시킨다.
그리고 415 단계에서, 제2BT부(303)는 제2BT부(303)의 전원이 온되면, 제2BT부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한 후, 417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417 단계에서, 제2NFC부(301)는 제2BT부(303)로 수신된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전송한 후, 419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419 단계에서, 제2BT부(303)는 수신된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분석함으로써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03)의 링크 키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제2BT부(303)은 링크 키 확인 메시지 (Link Key_CNF) 내에 포함된 제2명령어 또는 제3명령어를 확인함으로써, 링크 키 확인 메시지 (Link Key_CNF)를 통해 링크 키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링크 키 확인 메시지 (Link Key_CNF) 내에 제2명령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2BT부(303)는 링크 키가 수신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링크 키 확인 메시지 (Link Key_CNF) 내에 제3명령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2BT부(303)는 링크 키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확인 결과, 링크 키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제2BT부(303)는 423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25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423 단계로 진행하면, 제2BT부(303)는 OOB 페어링 방식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1)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 이와 달리, 425 단계로 진행하면, 제2BT부(303)는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 내에서 링크 키를 검출하고, 검출된 링크 키와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키를 비교한 후, 427 단계로 진행한다. 비교 결과,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키 중에서 어느 하나가 검출된 링크 키와 일치하면, 제2BT부(303)는 429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23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429 단계로 진행하면, 제2BT부(303)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제1BT부(203)으로 전송한 후, 431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연결 요청 메시지는 미리 저장된 헤드셋(103)에 대한 링크 키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라는 요청 메시지이다.
그리고 431 단계에서, 제1BT부(203)는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검색된 링크 키를 이용하여 헤드셋(103)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고, 연결 확인 메시지를 제2BT부(201)로 전송한 후, 433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연결 확인 메시지는 휴대 단말기(101)가 미리 저장된 헤드셋(103)에 대한 링크 키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였음을 나타내는 확인 메시지이다. 그리고 433 단계에서, 제2BT부(303)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서 연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셋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 단계에서, 헤드셋(103)은 휴대 단말기(101)와 NFC 접속을 수행한 후, 50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503 단계에서, 헤드셋(103)은 링크 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NFC를 이용하여 생성된 링크 키 요청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101)로 전송한 후, 505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헤드셋(103)은 제2메모리부(305)로부터 헤드셋(130)의 식별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자와 링크 키를 요청하는 제1명령어를 포함하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2NFC부(301)는 제2메모리부(305)로부터 헤드셋(130)의 식별자와 블루투스 장치 주소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자와 블루투스 장치 주소와 제1명령어를 포함하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505 단계에서, 헤드셋(103)은 NFC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1)로부터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가 수신되면, 헤드셋(103)은 507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05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에 대한 응답 결과를 포함한다. 만약에,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03)과 관련된 링크 키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는 링크 키와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03)의 링크 키를 저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2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03)의 링크 키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는 휴대 단말기(101)가 헤드셋(103)의 링크 키를 저장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3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에, 507 단계로 진행하면, 헤드셋(103)은 전원 오프된 제2BT부(303)의 전원을 온 시키고, 헤드셋(103)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성화시킨 후, 509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509 단계에서, 헤드셋(103)은 수신된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분석하고, 511 단계에서, 수신된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통해 링크 키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링크 키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헤드셋(103)은 51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13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헤드셋(103)은 링크 키 확인 메시지 (Link Key_CNF) 내에 포함된 제2명령어 또는 제3명령어를 확인함으로써, 링크 키 확인 메시지 (Link Key_CNF)를 통해 링크 키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링크 키 확인 메시지 (Link Key_CNF) 내에 제2명령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헤드셋(103)은 링크 키가 수신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링크 키 확인 메시지 (Link Key_CNF) 내에 제3명령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헤드셋(103)은 링크 키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에, 513 단계로 진행하면, 헤드셋(103)은 OOB 페어링 방식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1)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 이와 달리, 515 단계로 진행하면, 헤드셋(103)은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 내에서 링크 키를 검출하고, 검출된 링크 키와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키를 비교한 후, 517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517 단계에서, 헤드셋(103)은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키 중에서 어느 하나가 검출된 링크 키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키 중에서 어느 하나가 검출된 링크 키와 일치하면, 헤드셋(103)은 519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513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519 단계로 진행하면, 헤드셋(103)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 요청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101)로 전송한 후, 521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연결 요청 메시지는 미리 저장된 헤드셋(103)에 대한 링크 키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라는 요청 메시지이다.
그리고 521 단계에서, 헤드셋(103)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기(101)로부터 연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연결 확인 메시지는 휴대 단말기(101)가 미리 저장된 헤드셋(103)에 대한 링크 키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였음을 나타내는 확인 메시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헤드셋의 전원을 제어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1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1)는 헤드셋(103)과 NFC 접속을 수행한 후, 603 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60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1)는 NFC를 통해 헤드셋(103)으로부터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는 링크 키를 요청하는 메시지이며, 헤드셋(103)의 식별자와 링크 키를 요청하는 제1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는 헤드셋(103)의 식별자와 블루투스 장치 주소와 제1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확인 결과, 링크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101)는 60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0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만약에, 605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101)는 헤드셋(103)으로부터 수신된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이용하여 링크 키를 검색하고, 607 단계에서, 검색 결과를 기반으로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생성한 후, 609 단계로 진행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103)는 수신된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분석하여 헤드셋(130)의 식별자를 검출하고, 제1메모리부(205)에 미리 저장된 링크 키들 중에서 헤드셋(103)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링크 키를 검색한다. 검색 결과, 메모리부(205) 내에 검출된 헤드셋(103)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링크 키가 검색되면, 휴대 단말기(101)는 헤드셋(130)의 링크 키를 미리 저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제2명령어를 포함하는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생성한다. 이와 달리, 제1메모리부(205) 내에 검출된 헤드셋(103)의 식별자에 대응되는 링크 키가 검색되지 않으면, 휴대 단말기(101)는 헤드셋(103)의 링크 키를 저장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3명령어를 포함하는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생성한다.
그리고 609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1)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헤드셋(103)으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연결 요청 메시지는 검색된 링크 키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라는 요청 메시지이다. 확인 결과,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휴대 단말기(101)는 611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15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611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101)는 검색된 링크 키를 이용하여 헤드셋(103)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고, 613 단계에서, 연결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헤드셋(103)으로 생성된 연결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연결 확인 메시지는 휴대 단말기(101)가 검색된 링크 키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였음을 나타내는 메시지이다.
만약에, 615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101)는 OOB 페어링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OOB 페어링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617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헤드셋(103)과의 통신을 종료한다. 만약에, 617 단계로 진행하면, 휴대 단말기(101)는 OOB 페어링 방식을 이용하여 헤드셋(103)과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원이 온(ON)되는 헤드셋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701)와 전원이 오프(707) 상태인 헤드셋(703)간에 NFC 접속이 수행된 후, 헤드셋(703)의 전원이 온(705) 상태로 변경된다. 이때, 헤드셋(703)은 NFC를 통해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를 휴대 단말기(701)로 전송하고, 휴대 단말기(701)로부터 링크 키 요청 메시지(Link Key_REQ)에 대한 응답으로, NFC를 통해 링크 키 확인 메시지(Link Key_CNF)를 수신한다. 그리고 헤드셋(703)은 자신의 전원을 온(705) 시키고, 링크 키 확인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키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701)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본 발명은 근거 무선 통신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원을 온 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이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링크 키를 수신하고, 수신된 링크 키로 휴대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이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101: 휴대 단말기 103: 헤드셋
201: 제1근거리 무선 통신부 203: 제1블루투스 통신부
205: 제1메모리부 301: 제2근거리 무선 통신부
303: 제2블루투스 통신부 305: 제2메모리부

Claims (20)

  1.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제1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접속되면, 상기 제1근거리 무선 통신부로 링크 키를 요청하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링크 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링크 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는 제2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유도 전류를 전원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키 요청 메시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키 확인 메시지는,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링크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키 확인 메시지에 링크 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포함된 링크 키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제1블루투스 통신부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제2블루투스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6.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제2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접속되면, 상기 제2근거리 무선 통신부로부터 링크 키를 요청하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링크 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2근거리 무선 통신부로 링크 키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1근거리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링크 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키 중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장치에 대응되는 링크 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링크 키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1블루투스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유도 전류를 전원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키 요청 메시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키 확인 메시지는,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링크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블루투스 통신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검색된 링크 키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제2블루투스 통신부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11.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와 접속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로 링크 키를 요청하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링크 키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링크 키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유도 전류를 전원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키 요청 메시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키 확인 메시지는,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링크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키 확인 메시지에 링크 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포함된 링크 키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16. 휴대 단말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와 접속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링크 키를 요청하는 링크 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미리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 키 중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장치에 대응되는 링크 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링크 키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로 상기 링크 키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유도 전류를 전원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키 요청 메시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키 확인 메시지는, 상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링크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검색된 링크 키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방법.
KR1020120111284A 2012-10-08 2012-10-08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95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284A KR101995251B1 (ko) 2012-10-08 2012-10-08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EP13187550.2A EP2717632B1 (en) 2012-10-08 2013-10-07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power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AU2013237757A AU2013237757A1 (en) 2012-10-08 2013-10-0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US14/049,108 US9749953B2 (en) 2012-10-08 2013-10-0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power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CN201310464838.1A CN103716906B (zh) 2012-10-08 2013-10-08 短程无线通信装置及控制短程无线通信装置的电力的方法
PCT/KR2013/008994 WO2014058214A1 (en) 2012-10-08 2013-10-0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power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JP2013211203A JP6316566B2 (ja) 2012-10-08 2013-10-08 電源制御機能を有する近距離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電源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284A KR101995251B1 (ko) 2012-10-08 2012-10-08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125A true KR20140045125A (ko) 2014-04-16
KR101995251B1 KR101995251B1 (ko) 2019-09-30

Family

ID=4935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284A KR101995251B1 (ko) 2012-10-08 2012-10-08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49953B2 (ko)
EP (1) EP2717632B1 (ko)
JP (1) JP6316566B2 (ko)
KR (1) KR101995251B1 (ko)
CN (1) CN103716906B (ko)
AU (1) AU2013237757A1 (ko)
WO (1) WO201405821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26B1 (ko) * 2016-05-31 2016-11-04 여동균 인증 전원 제어 시스템
US9525962B2 (en) 2014-11-12 2016-12-20 Hyundai Motor Company Head unit of vehicle for supporting bluetooth conne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10058257A1 (en) * 2019-08-20 2021-02-25 Rune Labs, Inc. Security and identity verification for neuromodulation therapy implant device programming
US11817209B2 (en) 2019-08-20 2023-11-14 Rune Labs, Inc. Neuromodulation therapy development environment
US12048846B2 (en) 2019-08-20 2024-07-30 Rune Labs, Inc. Neuromodulation therapy simul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7492B1 (ja) * 2013-08-19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41430B1 (ja) 2013-08-19 2014-07-0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ユニット、装着装置
US11159919B2 (en) * 2013-11-15 2021-10-26 Synchrony Bank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management of remote transmitters interacting with mobile devices
JP2015177273A (ja) * 2014-03-14 2015-10-05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通信システム、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R3022714A1 (fr) * 2014-06-23 2015-12-25 Orange Dispositif de communication courte distance
JP2016158102A (ja) * 2015-02-24 2016-09-01 株式会社リコー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1768134B1 (ko) * 2015-09-21 2017-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스템 전원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686528B (zh) * 2016-12-21 2021-01-01 杭州新中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系统及主设备和从设备
JP6942585B2 (ja) * 2017-09-25 2021-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機器、給電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708769B2 (en) * 2017-12-20 2020-07-07 Bose Corporation Cloud assisted accessory pairing
CN111656353A (zh) * 2018-01-29 2020-09-11 皇家飞利浦有限公司 保护无头设备免于恶意(重)配置
EP3657405A1 (en) * 2018-11-23 2020-05-27 Nxp B.V. Method of operating an nfc device, the nfc device, and a communication system
CN111757303A (zh) * 2019-03-26 2020-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蓝牙发射功率的控制方法以及终端设备
US11256317B2 (en) * 2019-05-17 2022-02-22 Facebook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cheduling component activation
US11997496B2 (en) * 2019-05-31 2024-05-28 Apple Inc. Temporary pairing for wireless devices
CN110730441B (zh) * 2019-10-18 2021-07-02 飞天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蓝牙设备及其工作方法
CN111800273B (zh) * 2020-06-30 2021-12-24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2659A1 (en) * 2008-03-03 2009-09-03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10028091A1 (en) * 2009-08-03 2011-02-03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near-field wireless device pairi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1880B2 (ja) * 2001-07-18 2005-07-1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通信端末および方法、拡張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3761505B2 (ja) * 2002-03-04 2006-03-29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装置
US20050266798A1 (en) * 2004-05-31 2005-12-01 Seamus Moloney Linking security association to entries in a contact directory of a wireless device
US7643798B2 (en) * 2005-12-09 2010-01-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assive NFC activation of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KR100800733B1 (ko) * 2006-02-08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시스템 및 블루투스 본딩 프로세스 방법
US20080090520A1 (en) * 2006-10-17 2008-04-17 Camp William O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mobility management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s
JP2009060526A (ja) * 2007-09-03 2009-03-19 Ntt Docomo Inc 通信機器、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接続方法
KR101102673B1 (ko) * 2007-10-30 2012-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7970350B2 (en) 2007-10-31 2011-06-28 Motorola Mobility,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ent sharing
JP5289460B2 (ja) 2007-11-30 2013-09-11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近距離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安全な通信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4506856B2 (ja) * 2008-03-10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8112066B2 (en) * 2009-06-22 2012-02-07 Mourad Ben Ayed System for NFC authentication based on BLUETOOTH proximity
EP2302884A1 (en) * 2009-09-24 2011-03-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method and system using magnetic sensor and activated NFC circuit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s betwe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22659A1 (en) * 2008-03-03 2009-09-03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10028091A1 (en) * 2009-08-03 2011-02-03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near-field wireless device pair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5962B2 (en) 2014-11-12 2016-12-20 Hyundai Motor Company Head unit of vehicle for supporting bluetooth conne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72926B1 (ko) * 2016-05-31 2016-11-04 여동균 인증 전원 제어 시스템
US20210058257A1 (en) * 2019-08-20 2021-02-25 Rune Labs, Inc. Security and identity verification for neuromodulation therapy implant device programming
US11817209B2 (en) 2019-08-20 2023-11-14 Rune Labs, Inc. Neuromodulation therapy development environment
US12048846B2 (en) 2019-08-20 2024-07-30 Rune Labs, Inc. Neuromodulation therapy sim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7632A3 (en) 2016-04-27
US9749953B2 (en) 2017-08-29
JP6316566B2 (ja) 2018-04-25
KR101995251B1 (ko) 2019-09-30
AU2013237757A1 (en) 2014-04-24
US20140099889A1 (en) 2014-04-10
EP2717632A2 (en) 2014-04-09
CN103716906B (zh) 2019-04-12
EP2717632B1 (en) 2018-12-12
CN103716906A (zh) 2014-04-09
WO2014058214A1 (en) 2014-04-17
JP2014078944A (ja) 201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251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US20210243831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classic bluetooth connection between dual-mode bluetooth devices, and dual-mode bluetooth device
KR102152754B1 (ko) 블루루스 디바이스에서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CN105632491B (zh) 用于语音识别的方法和电子装置
KR101307456B1 (ko) 휴대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자동등록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EP3091719B1 (en) Method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96677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data communications in a Bluetooth network
US20100211685A1 (en) Pairing exchange
TWI512525B (zh) 關聯終端的方法及系統、終端及電腦可讀取儲存介質
US20190159271A1 (en) Bluetooth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master bluetooth device, and apparatus
US20130307665A1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ories of mobile device
WO2015043188A1 (zh) 一种用于耳机插头的连接部件、耳机插孔及终端
TWI390863B (zh) 符合藍芽通訊協定之從設備及通訊連接方法
CN115544464A (zh) 针对微控制芯片的固件烧录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US9697727B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KR102200825B1 (ko) 이종 무선 통신 시스템 간 오프로딩을 하기 위한 정책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CN109121087A (zh) 通信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68110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 전자 장치의 전류 소모 감소 방법
KR101835829B1 (ko) 휴대단말기의 ap 스캔 방법 및 장치
US20150087358A1 (en) Method for sharing state information between main device and assist device
CN112286849A (zh) 无线充电基座数据切换方法及系统、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10874247A (zh) 应用程序的处理方法和电子设备
KR102366857B1 (ko) 블루투스 장치를 지원하는 인터넷 통신 장치
CN113722260A (zh) 保护电路、串行总线系统、电路保护方法及移动终端
CN117473566A (zh) 保密数据校验装置、系统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