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947A - 오브젝트 홀더 - Google Patents

오브젝트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947A
KR20140038947A KR1020137021252A KR20137021252A KR20140038947A KR 20140038947 A KR20140038947 A KR 20140038947A KR 1020137021252 A KR1020137021252 A KR 1020137021252A KR 20137021252 A KR20137021252 A KR 20137021252A KR 20140038947 A KR20140038947 A KR 20140038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 holder
support
barrel
hold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샌더슨 헨리
페이리디우 필립
Original Assignee
샌더슨 헨리
페이리디우 필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샌더슨 헨리, 페이리디우 필립 filed Critical 샌더슨 헨리
Publication of KR20140038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2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ewellery, dentures, watches, eye-glasses, len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5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sun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60R7/082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for supporting spec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2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ewellery, dentures, watches, eye-glasses, lenses, or the like
    • A47F7/021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ewellery, dentures, watches, eye-glasses, lenses, or the like for eye-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Eyeglasses (AREA)
  • Sheet Holde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단부에 연결 영역(123)이 형성된 통(11) 및 상기 통(11)쪽으로 향하는 턴백부(turned back part; 12)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홀더(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오브젝트 홀더(1)는, 오브젝트 홀더(1)의 휴지 위치에서, 상기 통(11)과 상기 턴백부(12) 사이에서 상기 지지체(2)를 클램프할 수 있고, 걸림 위치에서, 걸림을 이용하여 오브젝트(3)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통(11)이 상기 턴백부(12)쪽으로 향하는 돌출부를 가지며, 그의 자유 단부는 상기 오브젝트 홀더(1)의 휴지 위치에서 상기 지지체(2)와 접촉하며, 상기 연결 영역(123)은 상기 지지체(2)로부터 이격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브젝트 홀더{OBJECT HOLDER}
본 발명은 차량 선 바이저와 같은 지지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예를 들면 하나의 안경과 같은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정위치에 유지시키는 오브젝트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안경은 깨지기 쉽기 때문에 안경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것은 많은 문제를 가지며, 저장 모드가 적절하지 않다면 작은 크기의 오브젝트는 분실되거나 파손되기 쉽니다.
차량의 선 바이저에 고정되도록 되어 선 바이저와 안경 홀더 사이에서 하나의 안경을 유지하도록 된 안경 홀더가 있다.
특히, 미국 특허 번호 5,966,783호는 단일 조각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로서 서로 마주하는 두 통(tongue), 제1 통의 일 단부를 제2 통의 대응하는 단부에 연결하는 원-형상 호(arc) 연결부를 포함하며, 안경 홀더가 지지체에 고정되는 경우, 통 및 연결부의 내부 표면은 지지체의 에지에 꼭 맞게 되고, 통의 자유 단부는 상부로 향한다.
하나의 안경의 다리가 실장되는 공간을 생성하기 위하여 그 하부 표면 상에, 통 중 하나는 안경 홀더가 고정되는 경우 지지체로부터 상기 통의 간격을 확보하는, 블로킹 통(blocking tongue)으로 칭하는, 작은 돌출부를 갖는다.
작동 통은 연결부의 또는 블로킹 통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작동 통이 돌출부를 갖는 통과 일체이므로, 작동 통에 대한 누르거나 당기는 동작은 블로킹 통이 지지체로부터 멀어지게 하여, 하나의 안경의 다리가 블로킹 통과 지지체 사이의 공간내에 위치하거나 공간으로부터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안경 홀더의 단점은 사용자가 작동 통을 누르거나 당기는 경우에 지지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그러한 돌출 작동 통은 미관상 좋지 않고 안경 홀더 제조 방법을 더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심미적 효과를 위한 단순한 형상을 가지며 간단하고 저렴한 제조 방법을 제공하면서, 안경이 제거 또는 위치되는 경우에도, 지지체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안경 홀더를 제공한다.
본 출원인은 그러한 안경 홀더가 안경에만 적용될 뿐만 아니라, 임의 유형의 오브젝트를 지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판형 지지체의 에지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된 오브젝트 홀더에 관한 것으로, 이 오브젝트 홀더는 자유 단부를 가지고 다른 단부에 연결 영역이 형성된 통 및 상기 통쪽으로 향하는 턴백부(turned back part)를 포함하며, 상기 통 및 상기 턴백부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여, 상기 오브젝트 홀더는, 오브젝트 홀더의 휴지 위치에서, 상기 통의 자유 단부 영역과 상기 턴백부 사이에서 상기 지지체의 에지를 클램프할 수 있고, 걸림 위치에서, 걸림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체와 상기 통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통이 상기 연결 영역의 부근에서 상기 턴백부쪽으로 향하는 돌출부를 가지며, 그의 자유 단부는 상기 오브젝트 홀더의 휴지 위치에서 상기 지지체와 접촉하며, 상기 연결 영역은 상기 지지체로부터 이격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연결 영역의 외부 표면에 대해 압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의 자유 단부는 상기 통의 피봇점을 구성하며, 상기 오브젝트 홀더가 휴지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통의 단부 영역이 지렛대 효과(lever effect)를 통해 상기 지지체의 에지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어서, 그러한 간격이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가 상기 지지체와 상기 통 사이에서 위치하고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하면, 돌출의 존재로, 상기 통과 상기 턴백부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는 점과 상기 통과 상기 턴백부 사이의 연결 영역이 상기 지지체로부터 이격된다는 점이 상기, 오브젝트 홀더가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고 여기에 오브젝트가 매달리지 않은 경우, 오브젝트 홀더의 연결 영역을 단지 가압함에 의해 지렛대 효과를 통해 상기 오브젝트 홀더내에 오브젝트를 위치시키거나 또는 이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는 것을 함께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오브젝트 홀더의 이용이 특히 용이하다.
상기 오브젝트 홀더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로 제조되고, 고정되는 지지체의 윤곽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에 따른 특징이 오브젝트 홀더가 각종 지지체에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탭으로 구성되고, 그의 자유 경계부는 상기 오브젝트 홀더의 휴지 위치에서 상기 지지체와 접촉하는 상기 돌출부의 자유 단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탭은 상기 통의 가운데 길이 방향 라인을 횡단한다.
상기 탭은 유리하게는 상기 통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하여, 지렛대 효과를 촉진하기 위하여 지지체와의 접촉면을 최대화한다.
상기 탭은 연속적이거나 또는 중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 적절하게는 상기 탭은 상기 오브젝트 홀더에 걸리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유지하기 위한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는 상기 오브젝트 홀더가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는 경우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통과 상기 지지체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내에 위치되는 그 일부를 매다는 것에 의해 걸린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턴백부는 일체로 제조된다.
결과적으로, 오브젝트 홀더를 제조하는 방법은 간단하고 저렴하다.
물론, 오브젝트 홀더는 수개의 부품을 서로 조립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변형시 오브젝트 홀더가 지지체에 클램프될 수 있도록 탄성 효과를 갖는 재료라면 오브젝트 홀더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 형상-기억 금속 합금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상기 통의 자유 단부 영역은 라운드된 영역을 한정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오브젝트 홀더를 지지체에 고정하는 경우, 상기 통이 상기 지지체와 접촉하게 되는 곳이 라운드된 영역이므로, 상기 통은 지지체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상기 오브젝트 홀더가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턴백부의 자유 단부는 상기 통의 길이 중간의 부근에 위치된다.
이로써, 지렛대 효과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상기 지지체에 대한 상기 오브젝트 홀더의 블로킹을 강화함에 의해 오브젝트 홀더가 고정되어 있는 지지체로부터 오브젝트 홀더가 이탈할 가능성을 더욱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과 상기 턴백부 사이의 상기 연결 영역은 상기 통으로 향해 구부러지는 원의 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형상은 상기 오브젝트 홀더의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상기 원의 호 형상의 연결 영역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통은 상기 턴백부에서 상기 통의 자유 단부까지 테이퍼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오브젝트 홀더에 대해 가시적인 심미적 측면을 제공하면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의 품질을 최적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통과 직각을 형성한다. 여기서 다시, 그러한 구조는 그의 개방을 위한 지렛대 효과를 용이하게 하면서 휴지 위치에서 오브젝트 홀더의 블로킹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브젝트 홀더는 플라스틱 사출 재료로 제조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오브젝트 홀더는 경량이며 저가이다.
상기 오브젝트 홀더는 안경 홀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오브젝트 홀더의 휴지 위치에서 상기 지지체,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통의 자유 단부 영역 사이에 위치한 상기 통의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공간이 서로에 대해 접히는 안경 다리 또는 하나의 안경의 노우즈(nose)를 실장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잘 설명하기 위하여, 양호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 홀더의 투시도이다;
도 3은 지지체의 에지상의 위치의 바로 시작점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 홀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지지체의 에지에 고정되나 어떠한 오브젝트도 걸리지 않은 휴지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 홀더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하나의 안경을 위치시키기 위한 개방 위치 및 오브젝트 홀더와 지지체 사이에서 유지되는 하나의 안경을 걸리게 하기 위한 닫힌 위치에서 각각 지지체의 에지에 고정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 홀더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 홀더(1)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됨을 알 수 있다.
오브젝트 홀더(1)는 통(11), 턴백부(12) 및 탭(13)(또는 돌출부)을 포함하는 일체 부분으로 제조된다.
통(11)은 넓은 단부로부터 폭이 더 좁으며 턴백부(12)에 반대 방향으로 약간 구부러져 라운드된 영역(112)을 형성하는 자유 단부(111)까지 테이퍼되는 긴 재료 스트립의 형태이다. 라운드된 영역(112)과 넓은 단부 사이의 통(11)의 부분은 일직선이다.
턴백부(12)는 각각 제1 및 제2 턴백부 섹션(121 및 122)으로 구성된 긴 재료 스트립의 형태이다.
제1 턴백부(121) 또는 제1 섹션(121)은 통(11)의 넓은 단부로부터 연장하여, 연결 영역(123)을 형성하고, 먼저 통(11)의 연장선 상에 있고, 다음으로 통 방향으로 구부러지며, 제1 섹션(121)의 횡단면 프로파일은 반원을 따라가서 제1 섹션(121)의 단부는 일반적으로 연결 영역(123)과 대향한다.
또한, 제1 연결 섹션(121)은 연결 영역(123)에서 제1 섹션(121)의 중간 길이까지 점차 넓어지고, 다음으로 제2 턴백부 섹션(122) 또는 제2 섹션(122)인 다른 단부까지 테이퍼된다.
제2 섹션(122)은 또한 긴 재료 스트립의 형태로서, 먼저 제1 섹션(121)의 연장 형태로 연장하고, 다음으로 통(11)으로 향하여 구부려지고, 그 자유 단부(124)는 통(11)의 부근에 통의 중간 길이에 위치한다. 제2 섹션(122)은 제1 섹션(121)에 대한 연결 단부로부터 자유 단부(124)까지 테이퍼된다.
자유 경계(131)를 갖는 탭(13)은 연결 영역(123)의 부근에서 통(11)에 의해 수용되며, 통(11)에 수직으로 통(11)과 마주하는 턴백부(12)의 표면으로 향하여 돌출한다. 탭(13)은 통(11)의 가운데 길이 방향 라인을 횡단하고 통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한다.
통(11), 제1 및 제2 단부(121 및 122) 및 탭(13)은 탄성적 변형 가능 재료로 제조되고, 상이한 재료 스트립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브젝트 홀더(1)는 단일 조각과 같이 단일 재료 스트립으로 구성된 상술한 상이한 재료 스트립으로 제조된다.
오브젝트 홀더(1)의 사용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오브젝트 홀더(1)가 서로에 대해 평행한 제1 표면(21) 및 제2 표면(22)을 가지며 에지만이 도시된 판형 지지체(2) 상에 그 초기 위치가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오브젝트 홀더(1)를 지지체(2)의 에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통(11)의 자유 단부(111)의 영역은 제2 표면(22)에 대향하여 위치되고, 라운드된 영역(112)은 제2 표면(22)과 접촉하여 위치된다.
다음으로, 턴백부(12)의 자유 단부(124)는 제1 통(11)으로부터 멀어지고, 오브젝트 홀더(1)는 통(11)과 턴백부(12)의 제1 섹션(122) 사이에서 생성되는 공간으로 지지체를 유도하기 위하여 지지체(2)를 향하여 이동한다.
다음으로, 제1 섹션(122)은 풀려나서, 지지체(2)의 제1 표면(21)에 기대게 된다.
오브젝트 홀더(1)용으로 이용되는 재료의 탄성과 통(11)이 턴백부(12)의 제2 섹션(122)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변형되었다는 사실로 인해, 통(11) 및 제2 섹션(122)이 다시 서로에 대해 복귀하는 성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휴지 위치에서, 오브젝트 홀더(1)는 제1 표면(21)과 접촉하는 제2 섹션(122)의 자유 단부(124)와 지지체(2)의 제2 표면(22)과 접촉하는 통(11)의 라운드된 영역(112) 사이에서의 클램핑 동작에 의해 지지체(2)에 확실히 유지되며, 표면(22)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탭(13)의 자유 경계(131)와 접촉한다.
이 도면에서 통(11)은 라운드된 영역(112)으로부터 시작하여 지지체(2)의 제2 표면(22)으로부터 점차 멀어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 영역(123)은 지지체(2)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그의 원 형상 호로 인하여, 턴백부(12)의 제1 섹션(121) 또한 지지체(2)의 에지로부터 멀어진다.
마지막으로, 지지체(2)의 제2 표면(22)과 통(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탭(13)에 의해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실장하여 이들을 매달기에 의해 걸기 위한 제1 공간(14)과 오브젝트 홀더(1)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제2 공간(15)으로 분할한다.
실제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를 지지체(2)에 매달려는 경우, 오브젝트 홀더(1)는 이미 휴지 위치에 있고, 사용자는 단지 예를 들면 손가락으로 오브젝트 홀더(1)의 외부로부터 연결 영역(123)을 누르기만 하면 되어, 통(11)의 자유 단부 영역을 지지체(2)로부터 멀어지게 하고 제1 오브젝트 실장 공간(14)을 개방하여, 탭(13)의 자유 경계(131)가 피봇 포인트의 역할을 하여, 탭(13)으로부터 자유 단부(111)로 연장하는 통(11)의 일부분이 지지체(2)에 반대 방향으로 뒤집어진다.
통(11)이 뒤집어져서 오브젝트 홀더(1)가 개방되는 것은 통(11) 및 턴백부(12)가 변형될 수 있음에 의해, 연결 영역(123)과 지지체(2) 사이의 제2 공간(15)의 존재로 인해 및 탭(13)의 자유 경계(131)가 지지체(2)에 기댄다는 사실에 의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오브젝트 홀더(1)가 개방 위치에 있다면, 사용자는 단지 제1 오브젝트 실장 공간(14)에 오브젝트를 배치하고, 다음으로 연결 영역(123)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고, 오브젝트 홀더(1)용으로 사용되는 재료의 탄성으로 통(11)의 라운드된 영역(112)이 지지체(2)의 제2 표면(22)에 대해 복귀하고, 제1 공간(14)을 닫는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종이와 같은 오브젝트가 연결 영역(121)에 대한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라운드된 영역(112)과 지지체(2) 사이에 샌드위치 시킴에 의해 오브젝트가 유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오브젝트 홀더(1)를 안경 홀더로 이용하는 경우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안경(3)의 다리(31)가 서로에 대해 접히고 라운드된 영역(112), 탭(13) 및 지지체(2) 사이의 제1 공간(14)내에 차단된다. 그러므로, 안경(3)이 통(11)에 매달리고, 통(11)의 표면에 놓인 안경 다리(31)는 요소 지지체(2)와 대향한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오브젝트 홀더(1)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안경(3)은 통(11)을 빠져 들어가고, 안경 다리(31)는 서로에 대해 접혀서 안경 다리(31)와 안경의 노우즈(32) 사이에서 통(11)을 통과하고, 다음으로 연결 영역(121)에 대해 가해진 압력은 해제된다.
안경(3)은 그러므로 자기 안경 다리(31)에 의해 고정되어 매달린다. 물론, 안경(3)은 자기 노우즈(32)에 의해 매달릴 수도 있다.
또한, 탭(13)은 더욱 감소된 공간내에 안경(3)의 다리(31) 또는 노우즈(32)를 유지할 수 있어서, 오브젝트 홀더(1)에 의해 안경이 매달리는 경우에 안경(3)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안경(3)을 꺼내고 싶은 경우, 지지체(2)로부터 통(11)을 멀어지도록 연결 영역(123)에 대해 압력을 가해서, 제1 공간(14)을 개방하고, 안경(3)에 억세스한다.
일부 경우에, 안경(3)의 다리(31)가 탭(13)의 자유 경계(131)가 오브젝트 홀더(1)의 걸림 위치에서 지지체(2)와 접촉하지 않는 두께일 수 있다. 안경은 통(11)이 지지체(2)로부터 이격되도록 안경을 당김에 의해 간단히 제거될 수 있어서, 오브젝트 홀더(1)를 휴지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안경(3)에 의해 통(11)의 공간은 지렛대 효과를 생성하여, 이번에는 연결 영역(123)을 지지체(2)로 복귀하도록 하여, 지지체(2)에 대한 블로킹 동작을 강화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 홀더(1)는 모든 경우에서 안경(3)을 오브젝트 홀더(1)내에 배치시키고, 오브젝트 홀더(1)가 자신이 고정된 지지체(2)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안경을 이것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술한 실시예는 예로서 제시된 것으로, 제한적이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1)

  1. 판형 지지체(2)의 에지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된 오브젝트 홀더(1)로서, 상기 오브젝트 홀더(1)는 자유 단부(111)를 가지며 다른 단부에 연결 영역(123)이 형성된 통(11) 및 상기 통(11)쪽으로 향하는 턴백부(turned back part; 12)를 포함하며, 상기 통(11) 및 상기 턴백부(12)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여, 상기 오브젝트 홀더(1)는, 오브젝트 홀더(1)의 휴지 위치에서, 상기 통(11)의 자유 단부 영역과 상기 턴백부(12) 사이에서 상기 지지체(2)의 에지를 클램프할 수 있고, 걸림 위치에서, 걸림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체(2)와 상기 통(11)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3)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통(11)이 상기 연결 영역(123)의 부근에서 상기 턴백부(12)쪽으로 향하는 돌출부를 가지며, 그의 자유 단부는 상기 오브젝트 홀더(1)의 휴지 위치에서 상기 지지체(2)와 접촉하며, 상기 연결 영역(123)은 상기 지지체(2)로부터 이격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홀더(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탭(13)으로 구성되고, 그의 자유 경계부(131)는 상기 오브젝트 홀더(1)의 휴지 위치에서 상기 지지체(2)와 접촉하는 상기 돌출부의 자유 단부를 형성하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홀더(1).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적절하게는 상기 탭(13)은 상기 오브젝트 홀더(1)에 걸리는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3)를 유지하기 위한 돌출부로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오브젝트(3)는 그 일부를 매다는 것에 의해 걸리며, 이는 상기 오브젝트 홀더(1)의 걸림 위치에서의 상기 돌출부와 상기 통(11)과 상기 지지체(2)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내에 위치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홀더(1).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11),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턴백부(12)는 일체로 제조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홀더(1).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11)의 상기 자유 단부 영역은 라운드된 영역(112)을 한정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13)의 돌출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홀더(1).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에 고정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턴백부(12)의 자유 단부(124)는 상기 통(11)의 길이 중간의 인근에 위치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홀더(1).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11)과 상기 턴백부(12) 사이의 상기 연결 영역(123)은 상기 통(11)으로 향해 구부러지는 원의 호의 형상을 갖는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홀더(1).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11)은 상기 턴백부(12)에서 상기 통(11)의 자유 단부(111)까지 테이퍼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홀더(1).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통(11)과 직각을 형성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홀더(1).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사출 재료로 제조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홀더(1).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경 홀더를 구성하고, 상기 오브젝트 홀더(1)의 휴지 위치에서 상기 지지체(2),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와 상기 통(11)의 자유 단부 영역 사이에 위치한 상기 통(11)의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공간(14)이 서로에 대해 접히는 안경 다리(31) 또는 하나의 안경(3)의 노우즈(32)를 실장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홀더(10).

KR1020137021252A 2011-01-10 2012-01-03 오브젝트 홀더 KR201400389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50197 2011-01-10
FR1150197A FR2970160B1 (fr) 2011-01-10 2011-01-10 Porte-objets
PCT/FR2012/050014 WO2012095591A1 (fr) 2011-01-10 2012-01-03 Porte-obje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947A true KR20140038947A (ko) 2014-03-31

Family

ID=4435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252A KR20140038947A (ko) 2011-01-10 2012-01-03 오브젝트 홀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92533A1 (ko)
EP (1) EP2663214B1 (ko)
KR (1) KR20140038947A (ko)
FR (1) FR2970160B1 (ko)
WO (1) WO20120955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73691S1 (en) * 2014-09-29 2016-12-06 Dowco, Inc. Keder
WO2017096594A1 (en) * 2015-12-10 2017-06-15 Rayco (Shanghai) Medical Products Co., Ltd. Dual-use holder for intra-oral scanner
USD824452S1 (en) * 2017-02-13 2018-07-31 Clifford E. Ellis Eyeglass support assembly
ES2915694B2 (es) * 2020-12-23 2022-10-25 Seat Sa Elemento y sistema de sujeccion para instalar en una visera parasol de un vehicul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2225A (en) * 1990-01-08 1992-01-21 Nespoli Livio S Clip for securing eyeglasses to a sunvisor
US5966783A (en) * 1994-04-25 1999-10-19 Genereux; Carrol H. Sunglasses and article retainer
US6378827B1 (en) * 1999-09-21 2002-04-30 Jeffrey J. Kacines Clip for securing decorative items to the edges of household surfaces
US6691374B2 (en) * 2002-06-18 2004-02-17 Mark Coyne Eyeglasses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3214A1 (fr) 2013-11-20
US20130292533A1 (en) 2013-11-07
EP2663214B1 (fr) 2015-12-30
FR2970160B1 (fr) 2013-02-15
WO2012095591A1 (fr) 2012-07-19
FR2970160A1 (fr) 201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5476A (en) Eyeglass holder to be secured to a visor
JP3143221U (ja) 眼鏡フレーム
US5696571A (en) Clip-on type sunglasses with bridge mounting
KR20140038947A (ko) 오브젝트 홀더
US1973648A (en) Attachment for eyeglasses
US7331554B2 (en) Eyeglasses clamping device
JP6212540B2 (ja) 装飾用部品を備える眼鏡フレーム
US20090183751A1 (en) Hair hoop
KR101315849B1 (ko) 안경테
US20140173950A1 (en) Medal-mounting assembly
US20150185497A1 (en) Lens Carrier
USD613789S1 (en) Clip for clip-on sunglasses
JP6185015B2 (ja) 前掛け式眼鏡
US7219991B2 (en) Auxiliary lens attachment for use on eyeglasses
JP7152983B2 (ja) 眼鏡にかけるためのオーバーグラス
US2976767A (en) Auxiliary spectacles
JP6156766B1 (ja) 物品スタンドになる箱
JP3187903U (ja) 時計バンドのフック式時計取付部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腕時計
JP4316953B2 (ja) 筆記具
CN110618539A (zh) 具有侧向插入元件的眼镜框架
JP3184996U (ja) 商品情報表示用クリップ及び商品情報表示体
JP3175958U (ja) 捲り上げ式サングラス
JP6339476B2 (ja) 眼鏡
KR100453928B1 (ko) 헤어클립
JP6662727B2 (ja) 髪止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