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799A -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플록킹 원단 - Google Patents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플록킹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799A
KR20140033799A KR1020120100120A KR20120100120A KR20140033799A KR 20140033799 A KR20140033799 A KR 20140033799A KR 1020120100120 A KR1020120100120 A KR 1020120100120A KR 20120100120 A KR20120100120 A KR 20120100120A KR 20140033799 A KR20140033799 A KR 20140033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locking
car seat
flocking fabric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0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3799A/ko
Publication of KR20140033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ntistatic; electrically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2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squeezing 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06M11/42Oxides or hydroxides of copper, silver or gol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9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8, 9,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Ferrates; Cobaltates; Nickelates; Ruthenates; Osmates; Rhodates; Iridates; Palladates; Platin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0004General aspects of dyeing
    • D06P1/0012Effecting dyeing to obtain luminescent or phosphorescent dye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플록킹 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농도의 플록킹(FLOCKING) 원단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원단을 내광증진제 1~20중량% 및 물 80~99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일정시간 침지하는 딥핑공정; 상기 딥핑된 원단을 일정 함수율로 탈수하는 탈수공정; 상기 탈수된 원단을 건조하는 건조공정; 및 상기 건조된 원단을 열처리하는 열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플록킹 원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플록킹 원단 {METHOD OF MANUFACTURING FLOCKING FABRIC FOR CAR SEAT AND MADE FROM THEM}
본 발명은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플록킹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농도의 플록킹(FLOCKING) 직물 원단에 내광증진제를 처리하는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내장재는 자동차의 성능과 관련한 부품적 요소가 강했던 반면, 최근에는 자동차 내장재가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적인 요소를 갖춘 생활소재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에 따라 기존에 카시트용 직물에 사용되지 않았던 여러가지 소재 및 디자인형태가 자동차에 적용되고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종래에 의류나 인테리어 소재로만 사용되었던 다양한 소재들을 이용한 카시트용 직물에 대한 고객 요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자동차용 요구물성에 부합하지 못하여 이러한 소재들의 사용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인테리어 소재로 주로 사용되었던 플록킹 원단은 기존의 카시트용 원단의 디자인과는 차별화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지만 자동차에서 필요로 하는 내광성을 만족하지 못하여 고농도의 색상만 단편적으로 적용되고 있었다.
한편, 카페트(Carpet)는 오래전부터 실내 바닥재로 사용되어오고 있는데, 카페트의 파일층을 수직(手織) 또는 제직(製織) 한 경우 카페트의 파일층을 구성하는 섬유들이 루프(Loop)형이거나 경사진 직립형으로 되어 있고 섬유의 밀도가 높지 않아 섬유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러한 카펫은 먼지나 진드기가 은신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인체에 이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록킹 카페트(Flocking Carpet)가 등장하였는데, 플록킹 카페트(Flocking Carpet)는 정전기를 이용해 파일사를 수직으로 식모하는 플록킹(Flocking) 공법을 사용해 파일층의 섬유가 일반 카펫의 10배 이상인 8000만/㎡ 개의 고밀도 구조인 플록킹 원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고밀도 구조로 인해 플록킹 카페트(Flocking Carpet)는 조직이 치밀해 오염 물질의 침투와 진드기, 박테리아의 번식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물청소도 가능해 카펫의 위생성에 대한 우려를 해결하였고, 또한 원사가 독립된 수직구조로 돼 있어 일반 카펫처럼 올이 쉽게 풀리지 않아 항상 새것 같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플록킹 원단은 파일사가 식모된 부분에 소정의 색상을 갖는 무늬를 갖도록 하기 위해 염료를 이용하여 날염하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시행되어 왔다. 날염(捺染)은 염료 또는 안료 등에 호제(糊劑) 또는 합성 수지를 혼합하여 피염물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인날하여 여러 종류의 무늬를 염색하는 것을 말한다. 즉, 플록킹 원단의 날염 방법은 섬유재료를 부분적으로 착색하여 무늬가 나타나게 물들이는 염색방법으로, 섬유재료에 염료를 함유한 날염풀을 날인(捺印)하여 문양염색을 하는 것이다. 종래의 플록킹 원단의 날염 방법은 일반적으로 인날(또는 프린팅), 증열, 수세 및 건조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날(또는 프린팅) 공정은 날염대 위에 염료 또는 안료를 부어 넣고 색상별로 무늬를 찍어내는 공정이다. 종래의 플록킹 원단의 날염 방법에서 상기 인날(또는 프린팅) 공정은 주로 롤러 프린터를 이용하여 행해지는데, 고무 롤러 프린터는 고무 롤에 음각 또는
양각을 주어 원단에 무늬를 프린팅하는 장치로서 2개 이상의 색상을 프린팅할 수 없는 디자인 상의 한계를 가진다. 증열(Steaming) 공정은 원단 위에 입혀진 염료 또는 안료를 고착시키기 위해 증기로 찌는 공정으로, 염착성과 견뢰도(堅牢度)를 증가시키게 된다. 수세(Washing) 공정은 날염 원단을 세척하는 과정으로, 날염시의 불필요한 미염착물, 먼지, 잡티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건조(Drying) 공정은 수세한 날염 원단을 건조기에 넣고 완전하게 건조시키는 과정으로, 텐타(Tenter)기 등을 이용하여 평평하고 균일하게 만드는 작업도 병행한 다.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의 플록킹 원단의 날염 방법은 다양한 디자인의 구현이 어렵고, 인날(또는 프린팅) 공정 후 바로 증열 고정을 거치기 때문에 염료 또는 안료의 고착화가 불완전하게 되고 이후의 수세공정에서 색이 빠지는 현상(색 바램 현상)이 발생하며, 날염된 최종 플록킹 원단에 주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날(또는 프린팅), 건조 및 증열 공정으로 이루어진 플록킹 원단의 날염 방법이 제시되었는데, 플록킹 원단의 날염 방법도 고무 롤러 프린터의 사용에 의해 디자인 구현의 한계성을 가지고, 수세공정의 생략에 의해 색 바램 현상은 방지하지만 날염된 플록킹 원단에 주름이 발생하고, 마찰에 의해 호제(糊劑) 등의 가루가 날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상업시설, 관공서, 병원, 유아시설, 복지시설 등에 사용되는 플록킹 카페트의 원단으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마찰 견뢰도 및 내광견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내광성을 강화하는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플로킹 직물을 구성하는 원소재의 내광성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기술개발이 이루어졌다. 즉, 플로킹 얀의 생산시에 사용되는 안료를 개선하거나 염색기를 이용하여 염색시에 내광견뢰도 증진제 사용하여 플로킹 직물의 내광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안료(염료)나 내광견뢰도 증진제의 기술적 발전이 선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카시트용 플로킹 직물의 사용을 제한하는 요소가 되었으며, 일부 우수한 안료(염료)로 조합된 색상이나 농도가 높은 색상의 플로킹얀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자동차 내장재의 색상을 만족시키지 못하여 일부 색상에서는 다른 소재로 대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저농도 컬러에서 카시트 원단 요구성능에 만족시킬 수 있는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시트용 직물로 사용되는 저농도 색상 플로킹직물의 내광성을 향상시켜 자동차 카시트용 직물로 필요한 요구물성을 만족하고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으로 고객에게 고품위의 제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농도의 플록킹(FLOCKING) 원단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원단을 내광증진제 1~20중량% 및 물 80~99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일정시간 침지하는 딥핑공정; 상기 딥핑된 원단을 일정 함수율로 탈수하는 탈수공정; 상기 탈수된 원단을 건조하는 건조공정; 및 상기 건조된 원단을 열처리하는 열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록킹 원단 외층에 내광증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전방지 코팅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팅단계에서 상기 대전방지 코팅제를 45~120g/㎡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은 플록킹 원단 외층에만 내광증진제를 포함하고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은 섬유내에 침투하여 내광성을 향상시켜주는 방식과 달리 섬유 내층까지 침투하지 않고 외층에 내광증진제 피막을 입혀 일광으로 인한 섬유의 컬러 변색을 지연시키고 내광증진제가 색상을 보완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용 플록킹 원단은 저농도 색상의 플록킹 원단에 있어서도 내광견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플록킹 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농도의 플록킹 원단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원단을 내광증진제 1~20중량% 및 물 80~99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일정시간 침지하는 딥핑공정; 상기 딥핑된 원단을 일정 함수율로 탈수하는 탈수공정; 상기 탈수된 원단을 건조하는 건조공정; 및 상기 건조된 원단을 열처리하는 열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에 사용되는 나일론 소재의 플록킹 소재 원단은 내광성이 저농도 컬러에서 카시트 원단 요구성능에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본 발명자는 저농도의 플록킹 원단에 내광증진제를 처리하여 고내구성의 플록킹 원단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섬유내에 침투하여 내광성을 향상시켜주는 방식과 달리 섬유 내층까지 침투하지 않고 외층에 내광증진제 피막을 입혀 일광으로 인한 섬유의 컬러 변색을 지연시키고 내광증진제가 색상을 보완해주는 추가 효과가 있어서 저농도의 플록킹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플록킹 원단을 준비공정(S110), 딥핑공정(S120), 탈수공정(S130), 건조공정(S140) 및 열처리공정(S150)을 거쳐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을 제조한다.
먼저 플록킹 원단을 준비공정(S110)을 실시하여 카시트에 사용될 수 있는 플록킹 원단을 준비한다.
준비된 플록킹 원단은 딥핑공정(S120)을 실시할 수 있는 침지액을 준비하는 데 상기 침지액은 내광증진제 1~20중량% 및 물 80~99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광증진제가 1중량% 미만이면 내광견뢰도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2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생산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딥핑(dipping)공정(S120)은 내광증진제 1~20중량% 및 물 80~99중량%가 함유된 조성물에서 약 3~10초간 침지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상기 딥핑공정은 카시트용 플록킹 원단에 침지액을 균일하게 침투시키기 위해 카시트 플록킹 원단을 조성물에 침지하고 건져올리고 다시 침지하는 공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침지를 2회이상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탈수공정을 실시하는 데, 상기 탈수공정(S130)은 상기 딥핑된 카시트용 플록킹 원단을 탈수하는 공정으로 두개의 롤러로 원단을 압착하여 탈수하는 망글머신(Mangle Machin)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탈수처리된 상기 플록킹 원단의 함수율은 30~80%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함수율이 30%미만으로 수분을 함유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의 탈수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탈수공정의 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또한, 함수율이 80%를 초과할 경우, 탈수처리된 상기 원단을 건조하는 건조공정 시간이 장시간을 요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원단의 함수율은 상기 30~80%로 탈수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글머신(Mangle Machine)을 이용하여 탈수공정을 실시할 때, 상기 두 롤러 사이의 압력이 3kgf/㎠미만일 경우 원단의 함수율이 높아 장시간의 건조시간이 필요할 수 있으며, 6kgf/㎠을 초과하더라도 원단의 함수율에 큰 차이가 없어 효과적이지 못하므로 두 롤러 사이의 압력이 3~6kgf/㎠인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탈수공정 이후 상기 플록킹 원단을 건조하는 건조공정(S140)을 실시한다. 이는 탈수처리된 상기 원단을 건조하는 공정(S140)으로, 후술할 열처리 공정(S150)에서 상기 내광증진제가 원단에 외층에 견고히 고착될 수 있도록 탈수처리된 상기 원단의 함수율을 낮추고, 원단을 예열시켜 급속한 온도 변화에 따른 상기 내광증진제의 화학적, 물리적 변형을 방지하는 공정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논 터치 건조기, 루프건조기, 무장력 롤러형 건조기 및 실린더 건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강한 장력이 걸리면 촉감이 불량해 질 수 있으므로 무장력 상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건조공정(S140)의 건조온도는 120℃ 미만인 경우, 건조시간이 길어져서 생산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140℃를 초과할 경우에는 원단의 급격한 온도변화에 의해 상기 내광증진제가 화학적, 물리적으로 변형되어 내광견뢰도 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건조온도는 120~14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공정(S140) 이후에 열처리공정(S150)을 실시하는 데, 상기 열처리공정(S150)은 상기 건조된 카시트 원단을 120~170℃에서 처리하는 열처리공정(S150)으로 열처리 기계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온도 분포가 기준치 ±2℃ 이내이고 기계내부에서는 원단에 무장력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열풍 대류식 열처리장치, 적외선 열처리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건조공정(S140)과 열처리공정(S150)은 시간이 너무 짧으면 내광증진제의 고착이 불완전하여 플록킹 원단에서 이탈될 수 있고 반대로 너무 길면 플록킹 원단에 손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건조 및 열처리공정은 1~2분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은 내광증진제가 처리된 상기 원단의 일면에 대전방지 코팅제를 코팅하는 코팅공정을 추가할 수 있다.
플록킹 원단은 대전방지 성능이 떨어져 정전기가 대량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코팅 약제에 대전을 방지하기 위한 물질을 포함시켜 코팅 처리할 수 있으며, 이때 이용되는 대전방지 코팅제는 아크릴계 코폴리머, 물 및 분산제의 혼합에 백금 소재 또는 구리소재를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분산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백금 소재의 크기는 200㎚ ~ 3㎛ 이며 상기 구리 소재의 크기는 0.5 ~ 3㎛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대전방지 코팅제는 아크릴계 코폴리머 10~30% o.w.f, 백금 소재 또는 구리소재 파우더 0.1~10% o.w.f, 물 37~60% o.w.f 및 분산제 2~3% o.w.f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 코팅제는 일정량 및 다양한 방식으로 원단의 일면에 코팅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원단에 45~120g/㎡의 양으로 코팅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난연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대전방지 코팅제에 난연제를 더 포함시켜 코팅하여 원단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난연제가 더 포함된 경우, 상기 대전방지 코팅제는 아크릴계 코폴리머 10~30% o.w.f, 백금 소재 또는 구리소재 파우더 0.1~10% o.w.f, 난연제 파우더 20~50% o.w.f, 물 20~40% o.w.f 및 분산제 2~3% o.w.f가 혼합될 수 있다.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플록킹원단은 내광견뢰도가 우수하여 저농도 색상의 플록킹 원단에 있어서도 내광견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플록킹 원단을 준비하여 내광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딥핑공정, 탈수공정, 건조공정; 및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여 플록킹 원단을 제조한다.
딥핑공정에 사용되는 조성물은 물 95중량% 및 내광증진제 5중량% 이루어진 침지액에 플록킹 원단을 3초간 2회 침지하여 딥핑(dipping)공정을 실시하였다.
상기 딥핑공정 후의 원단은 망글머신(Mangle Machin)을 이용하여 두 롤러 사이의 압력이 4kgf/㎠으로 함수율 60~85%로 탈수공정하고 130℃에서 90초간 건조하고 150℃에서 2분간 열처리공정 후, 백금 소재 또는 구리 소재를 포함시키고, 아크릴계 난연제가 포함된 대전방지 코팅제를 이용하여 원단 일면에 55g/㎡로 코팅하여 플록킹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딥핑공정의 침지액을 물 90중량% 및 내광증진제 10중량%로 하여 플록킹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딥핑공정의 침지액을 물 80중량% 및 내광증진제 20중량%로 하여 플록킹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플록킹 원단을 내광증진제의 첨가 없이 제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내광견뢰도 실험을 하였다.
※ 내광견뢰도 시험
상기에서 제조된 플록킹 원단을 폭 60 mm, 길이 200 mm의 시편 1매를 취하여, 그 위에 동일한 치수로 두께 10 mm의 연질 폴리우레탄폼(밀도 0.035±0.004의 연속 슬라브폼)을 시편의 뒷면에 겹친 후, 소정의 보지구(保持具)에 표면이 조사되도록 넣어, 내광시험기 내에 걸어 84 MJ/㎡(300~400 nm) 및 42 MJ/㎡(300~400 nm) 조사한 후, 동일시료의 미조사품과 비교하여 육안에 의해 그 변퇴색의 차를 그레이 스케일(JIS L 0804(일광에 대한 염색 견뢰도 시험방법))로 판정하여 등급을 구하였다. 내광시험기 내의 조건은 다음 표 1과 같다.
광원 LACK PNL 온도 조내습도 조사조도(320 nm 이하의 조사조도를 300~400 nm 조사조도 총량의 1.5% 미만으로 한다.)
Xenon 89±3 ℃ 50±5 % RH 60~100 W/㎡(300~400 nm)
실시예 1~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원단에 대하여 내광견뢰도 실험을 실시한 내용은 아래 표 2와 같다.
구 분 규 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내광견뢰도 3급이상 3급 3급 3급 1급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플록킹 원단은 내광견뢰도가 규격에 적합한 제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5)

  1. 저농도의 플록킹(FLOCKING) 원단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원단을 내광증진제 1~20중량% 및 물 80~99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일정시간 침지하는 딥핑공정;
    상기 딥핑된 원단을 일정 함수율로 탈수하는 탈수공정;
    상기 탈수된 원단을 건조하는 건조공정; 및
    상기 건조된 원단을 열처리하는 열처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플록킹 원단 외층에 내광증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 코팅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단계에서 상기 대전방지 코팅제를 45~120g/㎡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
KR1020120100120A 2012-09-10 2012-09-10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플록킹 원단 KR20140033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120A KR20140033799A (ko) 2012-09-10 2012-09-10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플록킹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120A KR20140033799A (ko) 2012-09-10 2012-09-10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플록킹 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799A true KR20140033799A (ko) 2014-03-19

Family

ID=50644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120A KR20140033799A (ko) 2012-09-10 2012-09-10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플록킹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37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534B1 (ko) 2015-06-02 2016-10-14 주식회사 프라코 자동차 센터 필러 어퍼에 구비되는 가니쉬와 놉 간의 마찰소음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534B1 (ko) 2015-06-02 2016-10-14 주식회사 프라코 자동차 센터 필러 어퍼에 구비되는 가니쉬와 놉 간의 마찰소음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049B1 (ko) 아웃도어용 원단 차광코팅방법
Talebi et al. Denim Fabric with Flame retardant, hydrophilic and self-cleaning properties conferring by in-situ synthesis of silica nanoparticles
KR100922297B1 (ko) 나일론 직물의 전사프린트용 코팅제, 이를 이용한 나일론 전사 프린트용 원단 제조 방법, 나일론 전사 프린트용 원단 및 전사인쇄층을 갖는 나일론 원단
KR101597191B1 (ko) 마찰내구성이 향상된 방오성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JP6823956B2 (ja) 染色方法及び繊維製品
KR20120040609A (ko) 고내구성을 가지는 시트 원단의 방오처리 방법
KR101076087B1 (ko) 견뢰도 및 촉감이 우수한 포토프린트용 직물의 제조방법
KR20140033799A (ko) 카시트용 고내광성 플록킹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플록킹 원단
Bemska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cotton fabrics for sublimation printing
KR101179066B1 (ko) 프린터 인쇄 및 붓글씨 쓰기가 가능한 기록용 원단 제조방법 및 그 기록용 원단
TWI759565B (zh) 附有印刷之起絨薄片及印刷用起絨薄片
ITFI20060236A1 (it) Procedimento di stampa su manufatti tessili incotone, fibre cellulosiche naturali o loro misti, e manufatti tessili cosi' ottenuti
JP2006037247A (ja) 染色布帛の製造方法および染色布帛
KR20090109234A (ko) 충진감이 풍부한 환편조직의 스웨드조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RU2592519C2 (ru) Состав для маркировки тексти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JP3962875B2 (ja) 難燃性を有する転写捺染布帛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転写捺染布帛
US20220074129A1 (en) Process for producing textile articles and textile articles obtained therefrom
KR101830729B1 (ko) 정전기 방지 성능을 갖는 방오성 카시트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262627A (ja) スエード調人工皮革
KR101179403B1 (ko) 공예품 제작용 한지 및 그 염색방법
KR20120023871A (ko) 엠보가 형성된 방오성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53492A (ko) 카시트용 방오성 원단의 제조방법
KR20120093602A (ko) 중탕가열에 의한 옻 처리방법, 제조된 옻칠액 코팅방법 및 그 제품
KR101185061B1 (ko) 오염방지 원단
KR20200088227A (ko) 가염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가염 폴리프로필렌섬유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방 복합섬유의 날염방법 및 그 날염섬유를 이용한 보온성 경량레쉬가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