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6966A - 펜 기능 운용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펜 기능 운용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6966A
KR20140026966A KR1020120093192A KR20120093192A KR20140026966A KR 20140026966 A KR20140026966 A KR 20140026966A KR 1020120093192 A KR1020120093192 A KR 1020120093192A KR 20120093192 A KR20120093192 A KR 20120093192A KR 20140026966 A KR20140026966 A KR 20140026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pen
information
gesture
key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4041B1 (ko
Inventor
박현미
김태연
오세기
이재명
전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3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041B1/ko
Priority to US13/960,438 priority patent/US9632595B2/en
Priority to BR112015003803A priority patent/BR112015003803A2/pt
Priority to PCT/KR2013/007524 priority patent/WO2014030934A1/en
Priority to EP13181321.4A priority patent/EP2701056B1/en
Priority to CA2881646A priority patent/CA2881646A1/en
Priority to RU2015105939A priority patent/RU2015105939A/ru
Priority to TW102130236A priority patent/TW201419053A/zh
Priority to AU2013219227A priority patent/AU2013219227B2/en
Priority to JP2013173425A priority patent/JP2014044720A/ja
Priority to CN201310373457.2A priority patent/CN103631514B/zh
Publication of KR2014002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7Pen manipulated men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 기능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정 모드에 따라 터치용 펜을 인식하는 펜 인식 패널, 상기 펜 인식 패널과 상기 터치용 펜과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터치용 펜에 마련된 버튼의 눌림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펜 상태 정보,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기능의 종류 정보, 상기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에 따른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집하거나, 상기 펜 상태 정보 및 상기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집하는 제어부, 상기 설정 모드에 따라 상기 수집된 정보에 해당하는 펜 기능 명령어를 제공하는 펜 기능 테이블을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펜 기능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시스템과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펜 기능 운용 방법 및 시스템{Ope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unction of Stylus pen}
본 발명은 펜 기능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펜 상태 및 특정 제스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보다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펜 기능 운용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폭넓은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 중에 이동하면서도 음성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그 인기가 매우 높은 휴대 단말기이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기능 지원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 기능 예를 들어 파일 재생 기능, 파일 검색 기능, 파일 편집 기능 등을 지원한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술한 다양한 기능을 운용할 수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의 경우 휴대의 용이성 지원을 위하여 그 크기가 제한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의 크기는 일반 TV 모니터 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특징이 있다. 이러한 작은 크기의 표시부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대응하여 종래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터치 이외에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펜을 이용하여 입력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는 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보다 세밀한 터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단말기를 운용함에 있어서 손가락으로 처리 가능한 기능들이 잘 지원되고 있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펜 입력 수단을 이용하는 사례가 드물다. 또한 종래 펜 입력 수단은 단순히 표시부에 출력된 특정 영역을 터치 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펜 입력 수단을 기반으로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 운용의 요구가 이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다양한 기능 운용을 펜 입력 기반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펜 기능 운용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에 의해 입력되며 특정 기능 활성화를 위한 키 명령어 및 상기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에 의해 함께 입력되며 상기 키 명령어에 의해 활성화되는 기능에 적용되기 위한 기능 지원 정보를 수집하는 펜 인식 패널, 상기 키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기능 지원 정보를 해당 기능에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설정 모드에 따라 터치용 펜을 인식하는 펜 인식 패널, 상기 펜 인식 패널과 상기 터치용 펜과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터치용 펜에 마련된 버튼의 눌림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펜 상태 정보,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기능의 종류 정보, 상기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에 따른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집하거나, 상기 펜 상태 정보 및 상기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집하는 제어부, 상기 설정 모드에 따라 상기 수집된 정보에 해당하는 펜 기능 명령어를 제공하는 펜 기능 테이블을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펜 기능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에 의해 입력되며 특정 기능 활성화를 위한 키 명령어 및 상기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에 의해 함께 입력되며 상기 키 명령어에 의해 활성화되는 기능에 적용되기 위한 기능 지원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 과정, 상기 키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기능 지원 정보를 해당 기능에 적용하는 기능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가 설정 모드에 따라 터치용 펜을 인식하는 펜 인식 패널과 상기 터치용 펜과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터치용 펜에 마련된 버튼의 눌림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펜 상태 정보,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기능의 종류 정보, 상기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에 따른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집하거나, 상기 펜 상태 정보 및 상기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집하거나, 상기 제스처 인식 정보만을 수집하는 수집 과정, 상기 설정 모드에 따라 사전 정의된 특정 펜 기능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수집된 정보에 해당하는 펜 기능 명령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펜 기능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펜 기능 운용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 운용을 보다 적응적으로 용이하게 그리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펜 기능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펜 기능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펜의 배치 위치에 따른 전자기 유도 값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펜 기능 운용 시스템의 구성 중 단말기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단말기 구성 중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펜 기능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펜 기능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
도 9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펜 기능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펜 기능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펜 기능 운용 중 채팅 서비스 관련 설명을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펜 기능 운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시스템의 구성 중 단말기(100)의 표시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 중 터치용 펜의 위치에 따른 펜 인식 패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펜 기능 운용 시스템(10)은 단말기(100)와 터치용 펜(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펜 기능 운용 시스템(10)은 터치용 펜(200)을 파지한 상태에서 단말기(100)의 표시부(140) 상에 특정 입력 동작을 수행할 때, 터치용 펜(200)의 펜 상태 및 터치용 펜(200)의 제스처 인식을 기반으로 특정 펜 기능 명령어에 해당하는 사용자 기능이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펜 기능 운용 시스템(10)은 터치용 펜(200)의 펜 상태 및 터치용 펜(200)의 제스처 인식 값과 함께 현재 실행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종류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펜 기능 명령어에 해당하는 사용자 기능이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펜 기능 운용 시스템(10)은 사용자가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다양한 입력 동작을 보다 간단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기능 운용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 패널(141)과, 터치용 펜(200) 운용을 위한 펜 인식 패널(143)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기(100)는 접촉 터치 이벤트 지원을 위한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패널과 표시 패널(141) 및 펜 인식 패널(143)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듈과 전원부 및 기타 단말기(100)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실장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단말기(100)는 펜 인식 패널(143)에서 수집되는 펜 터치 이벤트에 해당하는 제스처를 인식하여 제스처 정보를 수집하고, 또한 터치용 펜(200)으로부터 전달되는 펜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수집되는 제스처 정보와 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사전 정의된 특정 펜 기능 명령어에 해당하는 사용자 기능 운용을 지원한다. 이때 단말기(100)는 현재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 종류에 따라 사전 정의된 다른 명령어에 해당하는 사용자 기능 운용을 지원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100)의 세부 구성 및 기능 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터치용 펜(200)은 펜대(220)와, 펜대(220) 끝에 배치된 펜촉(210), 펜촉(210)에 인접된 영역의 펜대(220) 내부에 배치되는 코일(230) 및 코일(230)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버튼(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터치용 펜(200)은 정전유도 방식을 지원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코일(230)에 의하여 펜 인식 패널(143)의 일정 지점에 자기장이 형성되며, 단말기(100)가 해당 자기장 위치를 검출하여 터치 지점을 인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펜촉(210)은 표시 패널(141) 또는 표시 패널(141) 상부에 터치 패널이 배치된 경우 터치 패널에 접촉되는 구성으로 터치용 펜(200)이 표시부(140) 상에 특정 지점을 지시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펜촉(210)은 펜대(220)의 끝단에 배치되며 코일(230)이 펜촉(21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터치용 펜(200)을 파지한 상태에서 글쓰기 등의 입력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펜촉(210) 접촉 지점과 코일(230)에 의한 자기장 형성 지점 간의 거리 보상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거리 보상에 따라 펜촉(210)을 표시 패널(141)의 일정 지점을 지시하면서 글쓰기 또는 그림 그리기 작업, 아이템의 선택과 배치 등의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펜촉(210)을 표시 패널(141)에 접촉한 상태에서 특정 제스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터치용 펜(200)은 단말기(100)의 펜 인식 패널(143)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게 되면, 코일(230)에 의한 자기장을 펜 인식 패널(143) 일정 지점에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펜 인식 패널(143)에 형성되는 자기장 스캔 작업을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용 펜(200) 운용 모드 활성화 시점에 단말기(100)의 펜 인식 패널(143) 활성화가 수행될 수도 있다. 특히 터치용 펜(200)이 펜 인식 패널(143)에 접근하는 근접 거리에 따라 펜 인식 패널(143)은 해당 펜 상태를 다르게 인식할 수 있다. 즉 펜 인식 패널(143)은 도 3의 301 상황에서와 같이 표시 패널(141)로부터 또는 펜 인식 패널(143)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터치용 펜(200)을 접촉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펜 인식 패널(143)은 도 3의 303 상황에서와 같이 터치용 펜(200)이 제1 거리 이상 제2 거리 이하의 범위에 배치된 경우 터치용 펜(200)을 호버링(Hovering)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추가로 터치용 펜(200)이 펜 인식 패널(143)로부터 제2 거리 이상의 범위에서 인식 가능 범주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에어(air)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100)의 펜 인식 패널(143)은 터치용 펜(200)과의 이격 거리에 따라 다양한 펜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터치용 펜(200)에 마련된 버튼(240)은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질 수 있으며, 버튼(240)이 눌려짐에 따라 특정 신호 값이 터치용 펜(200)에서 발생하여 펜 인식 패널(143)에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버튼(240)의 인접된 영역에는 특정 커패시터나 추가 코일 또는 정전 유도에 변화를 줄 수 있는 특정 소자가 배치될 수 있고, 버튼(240) 터치 또는 눌림에 따라 해당 소자가 상기 코일(230)에 연결됨으로써 펜 인식 패널(143)에서 유도되는 전자기 유도 값을 변화시켜 터치용 펜(200)의 버튼(240) 눌림을 인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는 버튼(240) 눌림에 해당하는 무선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무선 신호를 단말기(100)의 별도 영역에 마련된 수신기에 전달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단말기(100)는 수신된 무선 신호에 따라 터치용 펜(200)의 버튼(240) 눌림을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는 상술한 터치용 펜(200)의 배치 상태에 따라 다양한 펜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상기 터치용 펜(200)이 접촉 상태인지 또는 호버링 상태인지에 대한 정보, 터치용 펜(200)의 버튼(240)이 눌려졌는지 또는 초기 상태를 유지하는지에 대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터치용 펜(200)이 제공하는 펜 상태 정보와 터치용 펜(200)의 코일(230)에 의하여 입력되는 제스처 입력 동작에 해당하는 제스처 인식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펜 기능 명령어를 생성하고, 해당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펜 기능 운용 시스템(10)은 단말기(100)와 터치용 펜(200) 과의 배치 상태 및 터치용 펜(200)의 특정 입력 상태 등을 포함하는 펜 상태 정보 및 제스처 입력 동작에 따른 다양한 제스처 인식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제어를 위한 명령어들을 보다 용이하고 빠르게 생성 및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펜 기능 운용 시스템(10)은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를 토대로 특정 펜 상태에서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 운용을 보다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는 본 발명의 펜 기능 운용 시스템(10)은 일정한 펜 상태와는 독립적으로 복합 제스처 인식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펜 기능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 패널(141), 펜 인식 패널(143), 터치 패널(145), 저장부(150)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터치 패널(145)의 구성을 포함하는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앞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145)이 제거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터치용 펜(200)과 펜 인식 패널(143)만을 이용하여 단말기(100)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 생성을 수행하거나 상기 입력부(120)나 통신부(110) 등을 기반으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펜 인식 패널(143)을 기반으로 터치용 펜(200)의 펜 상태 정보 및 제스처 입력 동작에 해당하는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수집된 펜 상태 정보 및 제스처 인식 정보에 매칭되는 사전 정의된 특정 펜 기능 명령어를 확인하고 해당 펜 기능 명령어에 따른 단말기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펜 상태 정보 및 제스처 인식 정보뿐만 아니라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 종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펜 상태 정보, 제스처 인식 정보 및 기능 종류 정보에 매핑되는 사전 정의된 펜 기능 명령어를 생성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제스처 인식 정보가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인 경우,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에 따른 특정 단말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펜 인식 패널(143)은 단말기(100)의 일정 위치에 배치되어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라 또는 디폴트로 활성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펜 인식 패널(143)은 표시 패널(141)의 하부에 일정 면적 예를 들면 표시 패널(141)의 표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펜 인식 패널(143)은 터치용 펜(200)의 접근에 따른 그리고 터치용 펜(200) 조작에 따른 펜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펜 인식 패널(143)은 터치용 펜(200)의 제스처 동작에 따른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펜 인식 패널(14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코일(230)을 가진 터치용 펜(200)과의 전자기 유도 방식에 따라 터치용 펜(200)의 위치 값을 수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이다. 펜 인식 패널(143)은 터치용 펜(200)의 접근 간격에 따라 각각 해당 간격에 해당하는 전자기 유도 값을 수집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전달되는 전자기 유도 값은 펜 상태 정보 즉 터치용 펜(200)이 펜 인식 패널(143)로부터 또는 표시 패널(141)이나 터치 패널(145)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인 호버링 상태인지 또는 표시 패널(141)이나 터치 패널(145)에 일정 간격 인접된 접촉 상태인지에 해당하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터치용 펜(200)에 마련된 버튼(240)의 설계 형태에 따라 단말기(100)가 수집하는 펜 상태 정보는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즉 버튼(240)이 앞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코일(230)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 유도 값을 변경하는 구조로 마련되는 경우 버튼(240) 입력 여부에 대한 펜 상태 정보는 펜 인식 패널(143)이 수신하고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 유도 값을 변경하는 구조로서 버튼(24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커패시터, 별도의 코일 등이 될 수 있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펜 인식 패널(143) 상에서의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 유도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특정 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버튼(240)이 별도의 무선 신호 전송 구조로 마련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버튼(240) 입력에 따른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해당 수신 장치가 수신하는 무선 신호를 기준으로 버튼(240)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45)은 표시 패널(141)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터치 물체의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 또는 저항이나 전압의 변화에 따른 터치 위치 및 터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터치 패널(145)은 표시 패널(14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으며, 설계 방식에 따라 펜 인식 패널(143)이 활성화되는 시점에 비활성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터치 패널(145)은 펜 상태 정보 및 제스처 인식 정보 또는 펜 상태 정보와 제스처 인식 정보 및 기능 종류 정보, 또는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 등 펜 인식 패널(143)을 기반으로 명령어 생성 기능을 지원하는 동안 비활성화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141)은 단말기(100) 운용과 관련된 다양한 화면을 출력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41)은 단말기(100)의 기능 운용 지원을 위한 초기 대기 화면이나 메뉴 화면, 기능 선택에 따라 파일 검색 화면, 파일 재생 화면, 방송 수신 화면, 파일 편집 화면, 웹 페이지 접속 화면, 메모 작성 화면, 전자책 열람 화면, 채팅 화면, 이메일이나 메시지 작성 및 수신 화면 등 다양한 화면을 해당 기능 활성화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 패널(141)이 제공하는 화면들은 각각 특정 기능 종류에 대한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기능 종류 정보는 제어부(16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41)의 각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사전 설정에 따라 펜 인식 패널(143)이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펜 인식 패널(143)을 통해 입력되는 제스처 인식 정보는 그에 대응하는 형태로 표시 패널(141)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스처 인식 정보가 특정 문양에 대응하는 제스처인 경우 표시 패널(141)에는 해당 문양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문양을 확인하면서 자신이 어떠한 제스처를 입력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스처 입력은 입력 시작 시점과 입력 완료 시점을 터치용 펜(200)의 펜 상태 정보 변화를 기준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스처 입력은 터치용 펜(200)이 접촉 상태 또는 호버링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서 시작할 수 있으며, 입력 완료 시점은 접촉 상태 또는 호버링 상태 중 어느 하나가 해제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141) 상에 또는 표시 패널(141)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제스처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터치용 펜(200)이 접촉 상태의 범위에서 움직이는 경우 제스처 입력으로 인식하여 움직임에 따른 제스처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터치용 펜(200)이 호버링으로 인식되는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움직임에 따른 제스처 입력은 인식하지 않지만 계속적으로 제스처 입력을 위한 유효 동작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제 제스처 입력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터치용 펜(200)으로 표시 패널(141)을 접촉하여 움직임을 수행하고, 표시 패널(141)로부터 터치용 펜(200)을 이격하고 다시 접촉하여 움직이는 방식으로 복합적인 제스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15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운용 체제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기타 앞서 설명한 표시 패널(141) 상에 출력되는 화면 지원을 위한 기능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펜 기능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펜 기능 운용 프로그램(151)을 저장하며, 펜 기능 운용 프로그램(151) 지원을 위한 펜 기능 테이블(153)을 저장할 수 있다.
펜 기능 운용 프로그램(151)은 본 발명의 펜 기능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루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 기능 운용 프로그램(151)은 펜 인식 패널(143) 활성화 조건을 확인하는 루틴, 펜 인식 패널(143) 활성화 시 터치용 펜(200)의 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루틴, 터치용 펜(200)의 움직임에 따른 제스처를 인식하여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집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펜 기능 운용 프로그램(151)은 수집된 펜 상태 정보와 제스처 인식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펜 기능 명령어를 생성하는 루틴, 해당 펜 기능 명령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펜 기능 운용 프로그램(151)은 현재 활성화 상태인 기능의 종류 정보를 수집하는 루틴을 더 포함하고, 수집된 기능의 종류 정보와 펜 상태 정보 및 제스처 인식 정보에 매핑되는 펜 기능 명령어를 생성하는 루틴, 해당 펜 기능 명령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루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펜 기능 운용 프로그램(151)은 입력되는 제스처 입력 동작이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를 위한 입력 동작인 경우 입력 동작을 각각 구분하여 각각의 서브 제스처 인식 정보로 구분하여 인식하는 루틴, 구분된 서브 제스처 인식 정보들을 기반으로 특정 펜 기능 명령어를 생성하는 루틴, 생성된 펜 기능 명령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펜 기능 명령어를 생성하는 루틴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펜 기능 테이블(153)을 참조하여 명령어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펜 기능 테이블(153)은 설계자에 의하여 또는 프로그램 개발자에 의하여 터치용 펜(200)에 의한 입력 동작에 해당하는 특정 단말기 기능 운용이 매핑된 펜 기능 명령어를 포함한 테이블이 될 수 있다. 특히, 펜 기능 테이블(153)은 펜 상태 정보 및 기능의 종류 정보에 따라 입력되는 제스처 인식 정보를 각각의 펜 기능 명령어에 매핑함으로써 동일한 제스처 인식 정보라 하더라도 펜 상태 정보 및 기능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펜 기능 테이블(153)은 펜 상태 정보 및 제스처 인식 정보에 특정 단말기 기능 운용에 해당하는 펜 기능 명령어들이 정의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펜 상태 정보와 제스처 인식 정보만으로 구성된 펜 기능 테이블(153)은 현재 활성화된 기능의 종류에 관계없이 펜 상태 정보와 제스처 인식 정보만을 토대로 특정 기능 운용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펜 기능 테이블(153)은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와,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에 매핑되는 펜 기능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로 구성된 펜 기능 테이블(153)은 펜 상태 정보나 현재 제공되는 기능의 종류에 관계없이 입력되는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만을 기반으로 특정 단말기 기능 지원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펜 기능 테이블(153)은 펜 상태 정보와 기능의 종류 정보 및 제스처 인식 정보에 매핑되는 펜 기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제1 펜 기능 테이블, 펜 상태 정보와 제스처 인식 정보에 매핑되는 펜 기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제2 펜 기능 테이블,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에 매핑되는 펜 기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제3 펜 기능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펜 기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펜 기능 테이블(153)은 사용자 설정이나 실행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자동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펜 기능 테이블을 이용할지, 또는 제2 펜 기능 테이블을 이용할지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설정에 따라 특정 펜 기능 테이블을 기반으로 입력 동작에 해당하는 제스처 인식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설계 방식에 따라 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제1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제2 펜 기능 테이블을 적용하도록 지원하고, 제2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제3 펜 기능 테이블을 적용하도록 지원하며, 제3 응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제1 펜 기능 테이블을 적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펜 기능 테이블(153)은 활성화되고 있는 기능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펜 기능 테이블(153) 적용에 대한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포함될 수 있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단말기(100)가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 기능이 요구되는 단말기 기능 예를 들면 채팅 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 통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부(110)가 운용되는 과정에서 터치용 펜(200)으로부터 제스처 인식 정보가 수집되면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제스처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펜 기능 명령어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면서 본 발명의 펜 기능 테이블(153) 갱신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펜 기능 테이블(153)은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의한 단말기 기능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결과적으로 단말기(100)가 새로운 기능을 설치하는 경우 터치용 펜(200) 운용과 관련된 새로운 설정이 요구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새로운 기능을 위한 또는 이전에 설치된 기능을 위한 펜 기능 테이블(153)이 제공되는 경우 디폴트로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해당 펜 기능 테이블(153)에 대한 정보 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사이드 키나 별도로 마련된 터치 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의 턴-온 또는 턴-오프 수행을 위한 버튼 키,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기본 화면으로의 복귀를 지원하는 홈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본 발명의 펜 기능 운용 모드 설정을 위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입력부(120)는 별도 제스처 인식 기능 수행 없이 펜의 위치 인식과 해당 펜 위치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는 기본 펜 기능 운용 모드 및 앞서 설명한 다양한 펜 기능 테이블(153)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해당 입력 신호에 따라 단말기(100)는 특정 펜 기능 테이블(153)을 호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펜 기능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100)의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스피커(SPK) 및 오디오 신호 수집을 위한 마이크(MI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본 발명의 펜 기능 운용 모드 설정을 안내하는 안내음이나 효과음을 설정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30)는 펜 인식 패널(143)에서 특정 제스처 동작에 따른 제스처 인식 정보가 수집되면 제스처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안내음이나 기능 수행에 따른 효과음을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제스처 입력 동작 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제스처에 대한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추가로 오디오 처리부(130)는 진동 모듈을 제어하여 제스처 입력 동작에 대응하는 진동 모듈의 진동 크기 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처리부(130)는 입력되는 제스처 입력 동작에 따라 진동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처리부(130)는 수행해야 할 제스처 인식 정보들이 다른 경우 각각의 제스처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진동 크기를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효과음 출력 과정에서도 제스처 인식 정보의 종류에 따라 효과음의 크기나 종류를 다르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130)는 현재 수행되고 있는 기능과 관련된 제스처 인식 정보가 수집되면 일정 크기를 가지는 진동이나 효과음 출력을 지원하며, 다른 기능 호출을 위한 제스처 인식 정보가 수집되면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진동이나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펜 기능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하며, 이 구성들을 기반으로 펜 기능 운용을 위한 신호 처리와 데이터 처리 및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기능 종류 확인부(161), 펜 상태 확인부(163), 제스처 인식부(165), 명령어 생성부(167) 및 기능 수행부(169)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종류 확인부(161)는 단말기(100)에서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사용자 기능의 종류를 확인하는 구성이다. 특히 기능 종류 확인부(161)는 현재 표시 패널(141) 상에 출력되고 있는 화면과 관련된 기능의 종류 정보를 수집한다. 즉 멀티태스킹 기능 지원 단말기(100)의 경우 다수개의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에 따라 복수개의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능 종류 확인부(161)는 현재 표시 패널(141) 상에 출력된 화면과 관련된 기능의 종류 정보만을 수집하고 이를 명령어 생성부(167)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기능 종류 확인부(161)는 표시 패널(141) 상에 출력된 화면이 복수개인 경우 최 상위 레이어에 출력된 화면과 관련된 기능의 종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펜 상태 확인부(163)는 터치용 펜(200)의 위치와 버튼(240) 눌림 등에 해당하는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펜 상태 확인부(163)는 펜 인식 패널(143)을 스캔하여 입력되는 전자기 유도 값의 변화를 검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터치용 펜(200)이 호버링 상태인지, 접촉 상태인지, 버튼 눌림 상태인지 눌림 해제 상태인지 등을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는 펜 상태 정보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수집된 펜 상태 정보는 명령어 생성부(167)에 제공될 수 있다.
제스처 인식부(165)는 터치용 펜(200)의 움직임에 따른 제스처를 인식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스처 인식부(165)는 터치용 펜(200)이 호버링 상태에 있던지 또는 접촉 상태에 있던지에 관계없이 터치용 펜(200)의 움직임에 따른 제스처 동작에 대한 인식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제스처 인식 정보를 명령어 생성부(167)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스처 인식부(165)가 제공하는 제스처 인식 정보는 하나의 오브젝트로 인식되는 단일 제스처 인식 정보와 복수개의 오브젝트로 인식되는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분은 제스처 입력 동작 과정에 대한 정의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상태 유지 또는 호버링 상태 유지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움직임에 해당하는 입력 동작은 단일 제스처 인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상태 및 호버링 상태가 변경되면서 발생하는 움직임에 해당하는 입력 동작은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호버링 상태가 에어 상태로 변경되면서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제스처 인식부(165)는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제스처 인식부(165)는 터치용 펜(200)이 펜 인식 패널(143)로부터 인식 가능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계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제스처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를 복합 제스처 인식을 위한 동작으로 판단할 수 있다. 터치용 펜(200)이 펜 인식 패널(143)로부터 벗어난 경계 기준의 제스처 인식의 경우 제스처 인식부(165)는 별도 제스처 입력을 위한 버튼 맵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제스처 입력 완료를 지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명령어 생성부(167)는 설정 모드에 따라 기능 종류 확인부(161)로부터 전달되는 기능 종류 정보, 펜 상태 확인부(163)로부터 전달되는 펜 상태 정보, 제스처 인식부(165)로부터 전달되는 제스처 인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펜 기능 명령어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 과정에서 명령어 생성부(167)는 다양한 펜 기능 명령어들을 정의한 펜 기능 테이블(153)을 참조할 수 있다. 특히 명령어 생성부(167)는 설정에 따라 또는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기능 종류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능 종류 정보와 펜 상태 정보 및 제스처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제1 펜 기능 테이블을 참조하거나, 펜 상태 정보 및 제스처 인식 정보 기반의 제2 펜 기능 테이블을 참조하거나, 제스처 인식 정보 기반의 제3 펜 기능 테이블을 참조할 수 있다. 명령어 생성부(167)가 생성한 펜 기능 명령어는 기능 수행부(169)에 전달된다.
기능 수행부(169)는 명령어 생성부(167)가 생성하여 전달한 펜 기능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 운용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기능 수행부(169)는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기능과 관련된 특정 기능 운용을 지원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호출하거나, 특정 기능 등을 종료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기능 수행부(169)의 기능 운용과 관련된 설명은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펜 기능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펜 기능 운용 방법은 먼저 601 단계에서와 같이 전원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60)가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단말기(100)를 이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또는 입력부(120)나 입력 기능의 터치 패널(145)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603 단계에서와 같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대기 화면을 표시 패널(141)에 출력하거나, 메뉴 화면을 표시 패널(141)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특정 음악 파일을 재생하도록 지원하거나, 웹 페이지 접속에 따른 웹 페이지 화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특정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605 단계에서 해당 입력 신호가 펜 입력 이벤트를 위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펜 기능 운용을 위한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펜 기능 운용을 위한 요청 발생은 펜 기능 기반으로 운용되는 기능을 호출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거나, 펜 기능 운용을 위한 모드 설정 입력 신호가 발생한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605 단계에서 특정 입력 신호가 펜 입력 이벤트가 아닌 경우 제어부(160)는 607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 신호에 따른 특정 기능 수행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입력 신호에 따라 재생 중인 파일을 변경하거나, 파일 재생을 중지하거나, 오디오 신호의 볼륨 조절 등의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605 단계에서 펜 입력 이벤트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609 단계로 분기하여 펜 상태 정보, 기능 종류 정보 및 제스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따른 펜 기능 명령어를 생성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611 단계로 분기하여 명령어에 다른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펜 기능 명령어 수행에 따른 예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613 단계에서 펜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펜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605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펜 기능 운용 방법은 단말기(100)의 펜 기능 운용을 지원함에 있어서 펜 상태 정보, 기능 종류 정보 및 제스처 인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보다 양한 단말기(100) 기능 운용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버링 펜 상태의 펜 기능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특정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웹 페이지 접속을 수행하고, 그에 대응하여 701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웹 페이지 접속 화면을 표시 패널(141)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통신부(110)를 활성화하고, 지정된 웹 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웹 페이지 접속을 수행한 후, 해당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웹 페이지 접속 기능이 펜 기능 운용에 의해 제어되도록 설계된 기능인 경우 또는 펜 기능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한 경우 웹 페이지 화면을 표시 패널(141)에 출력하면서 펜 인식 패널(143)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는 설계 방식에 따라 터치 패널(145)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펜 기능 운용을 위한 펜 인식 패널(143)이 활성화되면, 펜 인식 패널(143)에 전원이 공급되고 스캔을 통하여 전자기 유도에 따른 터치용 펜(200)의 입력 동작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이때 사용자는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표시 패널(141)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호버링 범위 내에서 특정 제스처 예를 들면 상단 방향의 꺾임 문양에 해당하는 제스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호버링 범위 내에서 상단 방향의 꺽임 문양에 해당하는 제스처 입력 동작이 발생하면 펜 인식 패널(143)은 해당 제스처 입력 동작에 해당하는 제스처 인식을 수행하여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단말기(100)는 터치용 펜(200)이 펜 인식 패널(143)의 호버링 범위 내에 있음에 해당하는 펜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701 화면에서와 같이 웹 페이지 화면이 표시 패널(141)에 출력되고 있고, 호버링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스처 인식 정보가 수집되면 단말기(100)는 해당 상태에 대한 펜 기능 명령어를 펜 기능 테이블(153)을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펜 기능 테이블(153)에 정의한 펜 기능 명령어에 따라 특정 기능 예를 들면 현재 표시되는 웹 페이지 화면의 최상단으로 이동하고, 이동된 화면을 표시 패널(141)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703 화면에서와 같이 웹 페이지 화면이 표시 패널(141)에 표시되고 호버링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방향의 꺽임 문양에 해당하는 제스처 인식 정보가 수집되면, 단말기(100)는 펜 기능 테이블(153)을 참조하여 해당 펜 기능 명령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해당 펜 기능 명령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웹 페이지 화면의 최하단 화면이 표시 패널(141)에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이북 컨텐츠 재생 기능 활성화에 따라 이북 컨텐츠 재생 화면을 표시 패널(141)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이북 컨텐츠를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이북 컨텐츠 재생을 위한 메뉴를 제공하거나 이북 컨텐츠를 제공하는 특정 서버와의 접속 채널을 형성하고 해당 서버가 제공하는 이북 컨텐츠에 따른 정보 수신 및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이북 컨텐츠 재생 기능이 펜 기능 운용을 지원하도록 설정된 기능인 경우 또는 펜 기능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한 경우 단말기(100)는 펜 인식 패널(143)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북 컨텐츠 재생 화면이 표시 패널(141)에 출력된 상태 및 표시 패널(141)에 접촉되지 않은 호버링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여 우에서 좌로 줄을 긋는 제스처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해당 터치용 펜(200)에 의한 제스처 인식 정보와, 이북 컨텐츠 재생 기능 및 호버링 상태에 대응하는 펜 기능 명령어를 펜 기능 테이블(153)에서 확인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펜 기능 명령어에 따라 예를 들면 페이지 넘김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줄 긋기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표시 패널(141)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동작이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터치용 펜(200)의 미러 이미지(201)를 표시 패널(141)에 출력함으로써 현재 터치용 펜(200)의 상태가 호버링 상태임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용 펜(200)의 미러 이미지(201)는 앞서 설명한 도 7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141)에 접촉한 상태에서 줄 긋기 제스처 동작을 수행하였다면, 단말기(100)는 이북 컨텐츠 재생에 따른 기능 종류 정보, 줄긋기 제스처 인식 정보 및 표시 패널(141) 접촉에 대항하는 접촉 상태에 해당하는 펜 기능 명령어를 펜 기능 테이블(153)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펜 기능 명령어에 따라 이북 컨텐츠의 재생 화면 상에서 입력된 제스처 동작에 따른 줄 긋기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용 펜(200)이 접촉 상태인 경우 단말기(100)는 미러 이미지를 제거함으로써 터치용 펜(200)이 펜 인식 패널(143)에 대하여 접촉 상태임을 인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펜 기능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또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901 화면에서와 같이 메뉴 화면을 표시 패널(141)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단말기(100)는 해당 메뉴 화면 제공 기능이 펜 기능 운용을 지원하도록 설계되거나 펜 기능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된 경우 펜 인식 패널(143)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여 메뉴 화면이 표시된 표시 패널(141) 상에 특정 제스처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터치용 펜(200)에 마련된 버튼(240)을 누르면서 또는 누른 이후에 표시 패널(141)에 접촉된 상태에서 특정 제스처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 동작을 인식하고 그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 패널(141)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단말기(100)는 버튼(240) 누름 및 표시 패널(141) 접촉 상태에 대응하는 펜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인식된 제스처 입력 동작에 해당하는 제스처 인식 정보와 펜 상태 정보에 해당하는 펜 기능 명령어를 펜 기능 테이블(153)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0)는 펜 기능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 수행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가 수집한 제스처 인식 정보는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가 될 수 있다.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오브젝트로 구분 인식되는 정보이다. 즉 901 화면에서 기입된 "@james"는 각각 "@"의 제1 오브젝트(910)와 "james"의 제2 오브젝트(920)로 구분하여 인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펜 기능 테이블(153)에는 상술한 제1 오브젝트(910) 및 제2 오브젝트(92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복수개의 오브젝트로 구분되는 기입 방식에 대한 루틴이 포함될 수 있다. 기입 방식의 일예로서, 특정 키 명령어에 해당하는 제1 오브젝트(910)는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펜 기능 명령어가 될 수 있으며, 제1 오브젝트(910) 이후 인식되는 제2 오브젝트(920)는 해당 기능에 적용될 기능 지원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901 화면에 기입된 "@" 제1 오브젝트(910)는 이메일 기능을 호출하는 펜 기능 명령어가 될 수 있으며, "james" 제2 오브젝트(920)는 작성할 이메일 수신자 정보 또는 수신자 정보를 검색할 검색어가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901 화면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가 입력되면, 단말기(100)는 제2 오브젝트(920)인 "james"로 기입된 전체 이메일 주소 정보를 폰 북 정보 등에서 검색하여 수집하고, 제1 오브젝트(910)인 "@"에 의해 활성화된 이메일 기능의 수신자 주소 정보에 기입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터치용 펜(200)의 펜 상태 정보 및 제스처 인식 정보를 기반으로 매핑된 펜 기능 명령어에 따라 특정 기능을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말기(100)는 현재 활성화된 기능에 관계없이 입력된 제스처 인식 정보와 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기능을 바로 활성화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펜 기능 운용 지원 중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 기반의 펜 기능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말기(10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또는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텍스트 정보(1010)를 표시 패널(14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 정보(1010)는 메시지 화면에 제공되는 정보이거나, 채팅 화면에 제공되는 정보이거나, 웹 페이지 화면에 제공되는 정보이거나, 특정 문서 열람 화면에 제공되는 정보 등 다양한 기능을 바탕으로 제공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텍스트 정보 출력 기능은 펜 기능 운용을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펜 인식 패널(143)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터치용 펜(200)이 표시 패널(141) 상에 접촉되면 그에 따른 터치용 펜(200)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합 제스처 입력 동작을 수행하면 단말기(100)는 텍스트 정보(1010) 상에 복수개의 오브젝트로 구분되는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텍스트 정보(1010) 중 일부를 지정하는 제2 오브젝트(920)와 별도의 키 명령어에 해당하는 제1 오브젝트(910)를 각각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상술한 복합 제스처 입력 동작 인식을 위하여 다양한 정보를 사전 정의한 펜 기능 테이블(153)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펜 기능 테이블(153)은 복수의 오브젝트 기입 방식에 대한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펜 기능 테이블(153)을 참조하여 제2 오브젝트(920)로 입력된 사각형 박스의 일부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고, 제1 오브젝트(910)로 입력된 "?"에 해당하는 펜 기능 명령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일부 텍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펜 기능 명령어에 해당하는 검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는 "?"에 해당하는 오브젝트가 먼저 인식되고 이후 텍스트 정보(1010) 중 적어도 일부 텍스트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오브젝트가 인식되더라도 동일한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펜 기능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100)는 펜 상태 정보 및 기능 종류 정보에 관계없이 인식된 제스처 인식 정보만을 기반으로 특정 펜 기능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단말기(100)는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 기반의 펜 기능 운용에 대하여 펜 상태 정보를 토대로 적용되는 적용 범위를 다르게 조정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단말기(100)는 상술한 검색 기능의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가 수집되면 펜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검색 기능의 검색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터치용 펜(200)에 마련된 버튼(240)이 눌린 상태에서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가 수집되면 단말기(100)는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검색 기능을 웹 서버 기반으로 검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터치용 펜(200)에 마련된 버튼(240)이 해제된 상태에서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가 수집되면 단말기(100)는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검색 기능을 단말기(100)의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들로 한정하거나 현재 활성화된 사용자 기능과 관련된 정보들로 한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 한정을 통하여 단말기(100)는 보다 다양한 정보 검색 결과를 제공하거나 또는 보다 빠른 정보 검색 결과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가 지원 가능한 제스처 인식 정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스처 인식 정보는 특정 기능을 운용할 수 있도록 정의되는 독립적인 단일 제스처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펜 기능 명령어와,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펜 기능 명령어 및 펜 기능 명령어에 의해 활성화되는 기능에 적용될 기능 지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말기(100)는 펜 기능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펜 기능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이 실행되면 펜 기능에 따른 가상 펜 패드(147)를 표시 패널(141)에 출력할 수 있다. 가상 펜 패드(147)는 투명 또는 반투명 형태로 표시 패널(141)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여 가상 펜 패드(147) 상에서 특정 제스처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수행한 제스처 입력 동작은 키 명령어에 해당하는 단일 제스처 인식 정보(1110)와, 키 명령어 및 기능 지원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 제스처 인식 정보(1120)를 포함할 수 있다. 키 명령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특수문자 키 또는 특정 키패드에 제공되는 키 값들에 대응하는 명령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명령어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골뱅이 문자, 물음표 문자, 같음 문자(equal), 샵 문자, 우측 방향 삼각형 문자, 편지 문양 문자, 모래 시계 문양 문자, 돼지꼬리표 문양 문자, 리본 문양 문자, 말풍선 문양 문자, 클립 문양 문자, 별 모양 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골뱅이 문자는 이메일 송신과 관련된 키 명령어이며, 물음표 문자는 검색 관련 키 명령어이다. 그리고 같음 문자는 수식 계산과 관련된 키 명령어로서 같음 문자 이후 입력되는 숫자 및 연산 기호에 따른 결과를 바로 계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계산기 호출 없이도 간단한 계산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샵 문자는 플래너 기능과 관련된 키 명령어로서 스케줄표 또는 플래너 기능 활성화를 지원하며 샵 문자 이후 입력되는 숫자 정보를 날짜 정보로 인식하여 해당 날짜의 플래너 정보를 호출하거나 해당 날짜의 플래너 정보 기입을 위한 화면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우 삼각형 문자는 파일 재생과 관련된 키 명령어로서 우 삼각형 문자와 함께 입력되는 정보를 음악 파일로 인식하고 해당 음악 파일 검색 및 실행을 펜 기능의 제스처 입력을 통하여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편지 문양 문자는 문자 메시지 관련 기능으로서, 해당 편지 문양 문자 입력 시 문자 메시지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지원하며, 함께 입력된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편지 문양 문자는 해당 정보를 송신자로 하는 메시지 작성 화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모래 시계 문양 문자는 알람 기능 관련 키 명령어로서 제스처 인식 정보로 수신되면 알람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모래 시계 문양 문자와 함께 일정 숫자 정보가 입력되면 단말기(100)는 해당 숫자 정보에 해당하는 초시간 또는 분시간 경과 후 알람이 실행되도록 알람 작성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돼지꼬리표 문양 문자는 통화 기능의 다이얼러를 호출하는 제스처 인식 정보가 될 수 있다. 돼지꼬리표 문양 문자화 함께 특정 숫자 정보나 이름 정보가 입력되면 단말기(100)는 입력된 숫자 정보 또는 이름 정보에 해당하는 타 단말기에 통화 연결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리본 문양 문자는 이북 컨텐츠 실행과 관련된 제스처 인식 정보이다. 리본 문양 문자가 제스처 인식 정보로 인식되면 단말기(100)는 이북 컨텐츠 관련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이북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표시 패널(141)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리본 문양 문자와 함께 특정 문자나 숫자 정보가 기입되면 단말기(100)는 기입된 기능 지원 정보에 해당하는 이북을 검색하고 해당 이북 컨텐츠를 재생하는 화면을 표시 패널(141)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말풍선 문양 문자는 채팅 기능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스처 인식 정보이다. 말풍선 문양의 문자가 입력되면 단말기(100)는 채팅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말풍선 문양 문자 입력과 함께 특정 사용자 이름 정보를 입력하거나 특정 사용자 단말기와 관련된 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해당 사용자 이름 정보 또는 관련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와의 채팅 기능을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클립 문양 문자는 클립 보드를 실행하기 위한 제스처 인식 정보가 될 수 있다. 터치용 펜(200)에 의해 입력되는 제스처 입력 동작이 클립 문양 문자에 해당하는 제스처 인식 정보로서 인식되면 단말기(100)는 현재 표시 패널(141) 상에 출력되고 있는 컨텐츠를 클립보드에 자동 삽입하거나 클립보드를 호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별표 문양 문자는 컨택 선호 리스트를 실행하기 위한 제스처 인식 정보가 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터치용 펜(200)에 의해 입력된 제스처가 별표 문양 문자에 해당하는 제스처 인식 정보로 인식되면, 사전 정의된 컨택 선호 리스트를 표시 패널(141)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다양한 키 명령어에 해당하는 제스처 인식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제스처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기능 활성화를 지원할 수 있다. 추가로 단말기(100)는 기능 지원 정보가 키 명령어와 함께 입력되면 기능 활성화와 함께 기능 지원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기능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펜 기능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또는 특정 기능 수행에 따라 1201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 패널(141)에 특정 이미지 또는 사진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단말기(100)는 펜 기능 운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펜 인식 패널(143)을 활성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환경에서 사용자는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141)에 접촉된 상태 또는 호버링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제스처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터치용 펜(200)의 버튼(240)을 눌림 상태로 유지하거나 1회 이상 누를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터치용 펜(200)의 버튼(240)이 눌려진 상태에 대한 정보와 접촉 상태 또는 호버링 상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펜 상태 정보와, 제스처 입력 동작에 해당하는 제스처 인식 정보 및 현재 활성화된 이미지 또는 사진 출력 기능의 제1 기능 종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들이 수집된 단말기(100)는 해당 정보들에 매핑되는 제1 펜 기능 명령어를 펜 기능 테이블(153)에서 검색할 수 있다.
제스처 인식 정보 수집 과정에서 단말기(100)는 제스처 입력 동작에 대응하는 유사한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도면에서는 원과 유사한 형태의 폐곡선을 그리는 제스처 입력 동작을 도시하였는데, 단말기(100)는 이러한 원과 유사한 형태의 폐곡선에 해당하는 제스처 입력 동작이 발생하면 제스처 인식 정보를 "원(Circle)"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제스처 입력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근사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사전 정의된 특정 문자나 문양과 제스처 입력 동작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비교하고, 제스처 입력 동작에 해당하는 정보를 일정 오차율 이내의 문자나 문양에 해당하는 제스처 인식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제1 펜 기능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 수행에 따라 1203 화면에서와 같이 제1 옵션 메뉴 창(1210)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제1 옵션 메뉴 창(1210)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기능에 특화된 메뉴 창이 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또는 특정 기능 수행에 따라 도 13의 1301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 패널(141)에 웹 접속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단말기(100)는 펜 기능 운용을 지원하기 위하여 펜 인식 패널(143)을 활성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환경에서 사용자는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141)에 접촉된 상태 또는 호버링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제스처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터치용 펜(200)의 버튼(240)을 눌림 상태로 유지하거나 1회 이상 누를 수 있다. 상기 특정 제스처 입력 동작은 도 12에 도시한 제스처 입력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도 12에서 설명한 동일한 펜 상태 정보와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집하되,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제2 기능 종류 정보에 해당하는 제2 펜 기능 명령어 검색을 펜 기능 테이블(153)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제2 펜 기능 명령어가 검색되면 단말기(100)는 제2 펜 기능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1303 화면에서와 같이 제2 옵션 메뉴 창(1310)을 표시 패널(141)에 출력할 수 있다. 제2 옵션 메뉴 창(1310)은 웹 접속 기능에 특화된 메뉴 창이 될 수 있다.
도 14는 메모 기능과 관련된 펜 기능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기(10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메모 기능을 호출할 수 있으며, 이때 1401 화면에서와 같이 사전에 저장된 특정 메모 정보를 표시 패널(141)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는 해당 메모 기능이 펜 기능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경우 또는 펜 기능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한 경우 펜 기능 운용을 위하여 펜 인식 패널(143)을 활성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단말기(100)는 도 12 및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펜 상태 정보 및 펜 제스처 정보를 터치용 펜(200) 운용에 따라 수집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펜 상태 정보, 펜 제스처 정보 및 기능 종류 정보에 해당하는 제3 펜 기능 명령어를 펜 기능 테이블(153)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제3 펜 기능 명령어가 확인되면 단말기(100)는 제3 펜 기능 명령어에 따른 특정 기능 운용 예를 들면 1403 화면에서와 같이 제3 옵션 메뉴 창(1410)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옵션 메뉴 창(1410)은 제3 펜 기능 명령어에 매핑된 기능으로서 메모 기능에 특화된 메뉴 창에 해당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펜 상태 정보 및 펜 제스처 정보가 동일하다 하더라도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기능 종류 정보가 상이한 경우 서로 다른 펜 기능 명령어에 따른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펜 기능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별도의 입력 신호가 없거나 별도로 수행되는 기능이 없는 경우 1501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 패널(141)에 전원이 차단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1501 화면 상태는 표시 패널(141)의 전원 공급을 중지되었으나 통신부(110)를 활성화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1501 화면 상태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특정 정보 수신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정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1501 화면 상태는 슬립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1501 화면 상태에서 통신부(110)가 특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1503 화면에서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 패널(141)의 일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된 메시지는 표시 패널(141)의 메시지 알림 영역(1510)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메시지 알림 영역(1510)에는 수신된 메시지의 일부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알림 영역(1510)에는 메시지를 송신한 송신자 정보와, 송신자가 기입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메시지 수신 알림 기능이 펜 기능 운용을 지원하도록 설계된 경우, 사용자는 1505 화면에서와 같이 펜을 이용한 텍스트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메시지 알림 영역(1510)이 표시 패널(141)에 출력 유지된 상태에서 터치용 펜(200)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스처 입력 동작에 해당하는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출력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사라지도록 설계된 메시지 알림 영역(1510)이 표시 패널(141)에서 사라진 경우에는 터치용 펜(200)에 의한 입력 기능을 지원하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펜 기능 운용 지원 등의 특정 목적으로 메시지 알림 영역(1510)의 출력 대기 시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메시지 알림 영역(1510)의 출력 대기 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 대기 시간 조정 메뉴 화면을 이용하여 메시지 알림 영역(1510)의 출력 대기 시간을 자신의 기호에 맞게 또는 자신의 답장 기입 능력에 대응하도록 임의 조정할 수 있다. 별도 임의 조정이 없는 경우 단말기(100)는 사전 설계된 방식에 따라 메시지 알림 영역(1510)의 출력 대기 시간을 정의할 수 있다.
1505 화면에서는 사용자가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답장 기입을 메시지 알림 영역(1510) 이외의 영역에 기입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메시지 알림 영역(1510)이 출력되는 동안 또는 메시지 알림 영역(1510)이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표시 패널(141)의 특정 영역에 기입된 정보를 답장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시지 알림 영역(1510) 내에 답장 기입을 위한 제스처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말기(100)는 답장 기입을 위한 제스처 입력 동작에 해당하는 제스처 인식 정보가 수집되면, 수집된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신된 메시지에 대응하는 정보로서 처리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답장 입력이 완료되면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을 통하여 수신 메시지에 대응하는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수신 메시지가 문자 메시지인 경우 문자 메시지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수신 메시지의 송신자 정보를 자동 추출함과 아울러 기입된 제스처 인식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자동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수신 메시지가 채팅 메시지인 경우 채팅 메시지 기능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메시지 알림 영역(1510)이 출력되고 있는 동안 입력된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신된 채팅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자동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100)는 수신된 채팅 메시지를 포함하는 채팅방을 개설하거나 수신된 채팅 메시지의 송신자와 관련하여 사전 개설한 채팅방에 해당 수신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를 기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이메일의 경우에도 문자 메시지 서비스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적용하여 답장 이메일을 송신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수신된 이메일 메시지에 대한 즉각적인 답장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단말기(100)는 메시지 알림 영역(1510)에 표시된 이메일의 송신자 이메일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 인식 정보를 이메일의 내용 정보로 포함하여 해당 송신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답장 입력이 완료되는 시점은 터치용 펜(200)이 표시 패널(14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이거나, 사전 정의된 특정 제스처 예를 들면 마침표에 해당하는 정보가 기입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00)는 답장 입력이 시작되면 답장 완료를 이한 버튼 맵을 표시 패널(141)에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버튼 맵 선택을 통하여 답장 입력 완료를 수행할 수 있다.
1505 화면에서 답장 전송이 완료되면 또는 답장 입력이 완료되면 단말기(100)는 1501 화면으로 자동 복귀하거나, 송수신된 메시지 이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슬립 상태를 해제하고 1507 화면에서와 같이 메시지 송수신 이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1507 화면은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1507 화면은 문자 메시지 송수신 화면이 될 수도 있으며, 또한 채팅방 화면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메시지 알림 영역(1510)이 출력되는 상태를 슬립 상태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메시지 알림 영역(1510)은 표시 패널(141)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슬립 상태 이외에 특정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의 화면에서 표시 패널(141)의 일정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메시지 알림에 대응한 답장 기능은 슬립 상태에서의 메시지 수신뿐만 아니라 특정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의 메시지 수신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의 펜 기능 운용 지원은 일시적으로 활성화되는 특정 사용자 기능의 종류에 대하여 입력되는 제스처 인식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알림(Notification) 수신 시 터치용 펜(200)을 이용한 즉각적인 입력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펜 기능 운용 시스템 및 펜 기능 운용 방법은 터치용 펜(200)을 이용하는 환경에서 사용자가 보다 다양하면서도 편리한 기능 운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터치용 펜(200)과 매핑되는 펜 기능 테이블(153)을 지원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기능의 종류 정보, 펜 상태 정보 및 제스처 인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서로 연관시켜 또는 각각 독립적으로 운용하여 보다 다양한 기능 운용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통신 단말기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1 : 표시 패널 143 : 펜 인식 패널
145 : 터치 패널 150 : 저장부
151 : 펜 기능 운용 프로그램 153 : 펜 기능 테이블
160 : 제어부 161 : 기능 종류 확인부
163 : 펜 상태 확인부 165 : 제스처 인식부
167 : 명령어 생성부 169 : 기능 수행부
200 : 터치용 펜 210 : 펜촉
220 : 펜대 230 : 코일
240 : 버튼

Claims (20)

  1. 단말기가 설정 모드에 따라 터치용 펜을 인식하는 펜 인식 패널과 상기 터치용 펜과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터치용 펜에 마련된 버튼의 눌림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펜 상태 정보,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기능의 종류 정보, 상기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에 따른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집하거나,
    상기 펜 상태 정보 및 상기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집하거나,
    상기 제스처 인식 정보만을 수집하는 수집 과정;
    상기 설정 모드에 따라 사전 정의된 특정 펜 기능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수집된 정보에 해당하는 펜 기능 명령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펜 기능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 상태 정보는
    상기 터치용 펜이 상기 펜 인식 패널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있는 접촉 상태 정보;
    상기 터치용 펜이 상기 펜 인식 패널로부터 제1 거리 이상 ~ 제2 거리 이내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호버링 상태 정보;
    상기 터치용 펜이 상기 펜 인식 패널로부터 제2 거리 이상에서 인식 가능 범위 이내에 배치되는 에어 상태 정보;
    상기 버튼이 눌려진 버튼 눌림 상태 정보;
    상기 버튼 눌림이 해제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 수행 과정은
    상기 호버링 상태에서 입력되는 제스처 인식 정보 및 상기 접촉 상태에서 입력되는 제스처 인식 정보에 대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기능의 종류 정보에 따라 동일한 펜 상태 정보 및 제스처 인식 정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옵션 메뉴 창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과정은
    상기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에 의해 입력되며 특정 기능 활성화를 위해 사전 정의된 키 명령어를 수집하는 과정이며,
    상기 기능 수행 과정은
    상기 키 명령어에 해당하는 특정 기능을 활성화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과정은
    상기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에 의해 함께 입력되며 상기 키 명령어에 의해 활성화되는 기능에 적용되는 기능 지원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 수행 과정은
    상기 기능 지원 정보를 상기 활성화된 기능에 자동으로 적용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과정은
    알림 정보 또는 메시지 수신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제스처 입력 동작이 발생하면 상기 제스처 입력 동작을 인식하여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 수행 과정은
    상기 수집된 제스처 인식 정보를 상기 알림 정보 또는 상기 메시지 정보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자동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수행 과정은
    상기 수신 및 송신된 응답 메시지와 관련된 메시지 이력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과정 이전에
    표시 패널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슬립 상태 또는 특정 기능 수행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상태를 지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 수행 과정은
    상기 자동 전송 이후 상기 슬립 상태 또는 이전 화면이 출력된 상태로 자동 복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방법.
  8.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에 의해 입력되며 특정 기능 활성화를 위한 키 명령어 및 상기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에 의해 함께 입력되며 상기 키 명령어에 의해 활성화되는 기능에 적용되기 위한 기능 지원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 과정;
    상기 키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기능 지원 정보를 해당 기능에 적용하는 기능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과정을 위하여 상기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 인식을 위한 가상 펜 패드를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수행 과정은
    상기 키 명령어에 해당하는 메시지, 채팅, 이메일 작성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기능 지원 정보를 상기 메시지, 채팅, 이메일의 수신자 정보로 자동 적용하는 과정;
    상기 키 명령어에 해당하는 검색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기능 지원 정보를 상기 검색 기능의 검색어로 자동 적용하여 검색하는 과정;
    상기 키 명령어에 해당하는 알람 설정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기능 지원 정보를 상기 알람 설정 시간으로 자동 적용하고 알람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키 명령어에 해당하는 파일 재생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기능 지원 정보에 해당하는 파일을 호출하고 해당 파일을 자동 재생하는 과정;
    상기 키 명령어에 해당하는 플래너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기능 지원 정보에 해당하는 날짜의 스케줄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기능 지원 정보에 해당하는 날짜의 스케줄 입력을 자동 지원하는 과정;
    상기 키 명령어에 해당하는 다이얼러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기능 지원 정보를 상기 다이얼러 기능에 적용하여 특정 단말기와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키 명령어와 함께 제스처 입력 동작으로 입력되는 기능 지원 정보에 해당하는 이북 컨텐츠를 자동으로 재생하는 과정;
    상기 키 명령어와 함께 제스처 입력 동작으로 입력되는 숫자들과 연산 기호에 해당하는 연산을 수행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방법.
  11. 설정 모드에 따라 터치용 펜을 인식하는 펜 인식 패널;
    상기 펜 인식 패널과 상기 터치용 펜과의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 및 터치용 펜에 마련된 버튼의 눌림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펜 상태 정보,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기능의 종류 정보, 상기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에 따른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집하거나, 상기 펜 상태 정보 및 상기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집하는 제어부;
    상기 설정 모드에 따라 상기 수집된 정보에 해당하는 펜 기능 명령어를 제공하는 펜 기능 테이블을 포함하는 저장부;
    상기 펜 기능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펜 상태 정보는
    상기 터치용 펜이 상기 펜 인식 패널로부터 제1 거리 이내에 있는 접촉 상태 정보;
    상기 터치용 펜이 상기 펜 인식 패널로부터 제1 거리 이상 ~ 제2 거리 이내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호버링 상태 정보;
    상기 터치용 펜이 상기 펜 인식 패널로부터 제2 거리 이상에서 인식 가능 범위 이내에 배치되는 에어 상태 정보;
    상기 버튼이 눌려진 버튼 눌림 상태 정보;
    상기 버튼 눌림이 해제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버링 상태 및 상기 접촉 상태에 따라 인식된 제스처 인식 정보에 대하여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기능의 종류 정보에 따라 동일한 펜 상태 정보 및 제스처 인식 정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옵션 메뉴 창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에 의해 입력되며 특정 기능 활성화를 위해 사전 정의된 키 명령어에 해당하는 제스처 인식 정보가 수집되면, 상기 키 명령어에 해당하는 특정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펜 인식 패널은
    상기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에 의해 함께 입력되며 상기 키 명령어에 의해 활성화되는 기능에 적용되는 기능 지원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지원 정보를 상기 활성화된 기능에 자동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알림 정보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펜 인식 패널은
    상기 수신된 알림 정보 또는 메시지 수신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제스처 입력 동작에 해당하는 제스처 인식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집된 제스처 인식 정보를 상기 알림 정보 또는 상기 메시지 정보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자동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수신 및 송신된 응답 메시지와 관련된 메시지 이력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슬립 상태에 따른 전원 공급 차단 화면 또는 특정 기능 수행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전송 이후 상기 슬립 상태 또는 이전 화면이 출력된 상태로 자동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시스템.
  18.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에 의해 입력되며 특정 기능 활성화를 위한 키 명령어 및 상기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에 의해 함께 입력되며 상기 키 명령어에 의해 활성화되는 기능에 적용되기 위한 기능 지원 정보를 수집하는 펜 인식 패널;
    상기 키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기능 지원 정보를 해당 기능에 적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을 위하여 상기 터치용 펜의 제스처 입력 동작 인식을 위한 가상 펜 패드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명령어가 메시지, 채팅, 이메일 작성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활성화를 위한 키 명령어인 경우 상기 기능 지원 정보를 상기 메시지, 채팅, 이메일의 수신자 정보로 자동 적용하고,
    상기 키 명령어가 검색 기능 지원을 위한 키 명령어인 경우 상기 기능 지원 정보를 상기 검색 기능의 검색어로 자동 적용하여 검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키 명령어가 알람 설정 기능을 위한 키 명령어인 경우 상기 기능 지원 정보를 상기 알람 설정 시간으로 자동 적용하고 알람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 명령어가 파일 재생 기능을 위한 키 명령어인 경우 상기 기능 지원 정보에 해당하는 파일을 호출하고 해당 파일을 자동 재생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키 명령어가 플래너 기능을 위한 키 명령어인 경우 상기 기능 지원 정보에 해당하는 날짜의 스케줄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기능 지원 정보에 해당하는 날짜의 스케줄 입력을 지원하며,
    상기 키 명령어가 다이얼러 기능과 관련된 키 명령어인 경우 상기 기능 지원 정보를 상기 다이얼러 기능에 적용하여 특정 단말기와 자동 통화 연결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 명령어가 이북 컨텐츠 관련 키 명령어인 경우 제스처 입력 동작으로 함께 입력되는 기능 지원 정보에 해당하는 이북 컨텐츠를 자동으로 재생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키 명령어가 연산 기능 키 명령어인 경우 제스처 입력 동작으로 함께 입력되는 숫자들과 연산 기호에 해당하는 연산을 수행하고 결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기능 운용 시스템.
KR1020120093192A 2012-08-24 2012-08-24 펜 기능 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2084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192A KR102084041B1 (ko) 2012-08-24 2012-08-24 펜 기능 운용 방법 및 시스템
US13/960,438 US9632595B2 (en) 2012-08-24 2013-08-06 Method for operation of pe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PCT/KR2013/007524 WO2014030934A1 (en) 2012-08-24 2013-08-22 Method for operation of pe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13181321.4A EP2701056B1 (en) 2012-08-24 2013-08-22 Method for operation of pe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BR112015003803A BR112015003803A2 (pt) 2012-08-24 2013-08-22 método para operação de função de caneta e dispositivo eletrônico suportando o mesmo
CA2881646A CA2881646A1 (en) 2012-08-24 2013-08-22 Method for operation of pe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RU2015105939A RU2015105939A (ru) 2012-08-24 2013-08-22 Способ действия функции пера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ддерживающее действие функции пера
TW102130236A TW201419053A (zh) 2012-08-24 2013-08-23 用於觸碰筆功能的操作的方法及支援該方法的電子裝置
AU2013219227A AU2013219227B2 (en) 2012-08-24 2013-08-23 Method for operation of pe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JP2013173425A JP2014044720A (ja) 2012-08-24 2013-08-23 ペン機能運用方法及びこれを支援するペン機能運用電子装置
CN201310373457.2A CN103631514B (zh) 2012-08-24 2013-08-23 用于触笔功能的操作的方法及支持该方法的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192A KR102084041B1 (ko) 2012-08-24 2012-08-24 펜 기능 운용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966A true KR20140026966A (ko) 2014-03-06
KR102084041B1 KR102084041B1 (ko) 2020-03-04

Family

ID=4908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192A KR102084041B1 (ko) 2012-08-24 2012-08-24 펜 기능 운용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632595B2 (ko)
EP (1) EP2701056B1 (ko)
JP (1) JP2014044720A (ko)
KR (1) KR102084041B1 (ko)
CN (1) CN103631514B (ko)
AU (1) AU2013219227B2 (ko)
BR (1) BR112015003803A2 (ko)
CA (1) CA2881646A1 (ko)
RU (1) RU2015105939A (ko)
TW (1) TW201419053A (ko)
WO (1) WO2014030934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655A1 (ko) * 2015-08-07 2017-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139112A (ko) * 2015-04-20 2017-12-18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스타일러스와 스타일러스 센서 컨트롤러 사이의 쌍방향 통신에 제공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21025457A1 (ko) * 2019-08-06 2021-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050604A1 (ko) * 2020-09-07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인 에어 제스처를 처리하는 방법
US11372498B2 (en) 2018-07-26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user input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11537230B2 (en) 2019-07-30 2022-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gesture performed by stylus pe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23018178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펜의 입력 제어 방법
US12019814B2 (en) 2021-08-10 2024-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pen for input control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4740B2 (en) 2008-06-11 2013-11-26 Pantech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ata input method
US9423890B2 (en) * 2013-06-28 2016-08-23 Lenovo (Singapore) Pte. Ltd. Stylus lexicon sharing
US9971412B2 (en) * 2013-12-20 2018-05-15 Lenovo (Singapore) Pte. Ltd. Enabling device features according to gesture input
US11256410B2 (en) 2014-01-22 2022-02-22 Lenovo (Singapore) Pte. Ltd. Automatic launch and data fill of application
JP6253497B2 (ja) * 2014-04-25 2017-12-27 株式会社東芝 データ入力システム、アクティブスタイラスペンおよびアクティブスタイラスペンの制御方法
US10817124B2 (en) * 2014-06-03 2020-10-27 Lenovo (Singapore) Pte. Ltd. Presenting user interface on a first device based on detection of a second device within a proximity to the first device
KR101627411B1 (ko) * 2014-06-03 2016-06-03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스마트 기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DE202015006141U1 (de) 2014-09-02 2015-12-14 Apple Inc. Elektronische Touch-Kommunikation
WO2016080596A1 (ko) * 2014-11-21 2016-05-26 스튜디오씨드코리아 주식회사 프로토타이핑 툴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336983B1 (ko) * 2014-12-30 2021-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기 입력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펜 타입의 멀티 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4615925B (zh) * 2015-03-05 2017-09-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的屏幕固定方法及装置
DK179361B1 (en) * 2015-06-07 2018-05-2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and interacting with notifications
CN104866201A (zh) * 2015-06-10 2015-08-26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智能设备以及一种触发应用的编辑功能的方法
KR20170001036A (ko) * 2015-06-25 201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7158A (ko) * 2015-09-25 2017-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216405B2 (en) * 2015-10-24 2019-02-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enting control interface based on multi-input command
US10732719B2 (en) * 2016-03-03 2020-08-04 Lenovo (Singapore) Pte. Ltd. Performing actions responsive to hovering over an input surface
CN108463788B (zh) * 2016-11-02 2021-08-1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主动笔及基于主动笔的手势检测方法
US10496190B2 (en) 2017-01-25 2019-12-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draw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pen proximity
US10423236B2 (en) 2017-05-25 2019-09-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ing a wearable device to control characteristics of a digital pen
TWI627575B (zh) * 2017-10-03 2018-06-21 Touch method and system with mode switching function
JP2019096098A (ja) * 2017-11-24 2019-06-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8919983B (zh) * 2018-06-15 2021-10-26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智能笔操作的书写启动方法及系统
KR20200095739A (ko) * 2019-02-01 2020-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과 스타일러스 펜의 동작을 맵핑하는 방법
KR20200095972A (ko) 2019-02-01 2020-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버튼 입력에 기능을 맵핑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TWI758616B (zh) * 2019-07-11 2022-03-21 祥閎科技股份有限公司 安全互動系統及通訊顯示裝置
CN110320975B (zh) * 2019-07-12 2020-11-06 蒙城县辰洁面粉有限责任公司 一种可定时关机的儿童用平板护眼辅助设备
KR20210014397A (ko) 2019-07-30 202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제스처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51725A (ko) * 2020-10-19 2022-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및 비일시적 저장 매체
CN112578988A (zh) * 2020-12-25 2021-03-30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显示界面的更新方法
CN113589739A (zh) * 2021-08-10 2021-11-02 四川长虹网络科技有限责任公司 非接触式控制装置及方法
CN116107469A (zh) * 2021-11-11 2023-05-12 荣耀终端有限公司 功能模式切换方法、电子设备及系统
CN113821113B (zh) * 2021-11-22 2022-04-22 荣耀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和触控笔的交互方法、系统和电子设备
US11726734B2 (en) 2022-01-13 2023-08-15 Motorola Mobility Llc Configuring an external presentation device based on an impairment of a user
US20240143598A1 (en) * 2022-10-31 2024-05-02 Global Relay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Electronic Records using Gestur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9114A (ja) * 1995-03-15 1996-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ペン入力装置
KR20100112003A (ko) * 2009-04-08 2010-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명령어 입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20120068941A1 (en) * 2010-09-22 2012-03-2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Inpu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2808A (ja) 1998-10-19 2000-04-28 Fujitsu Ltd 入力処理方法及び入力制御装置
US6842175B1 (en) * 1999-04-22 2005-01-11 Fraunhofer Usa, Inc. Tools for interacting with virtual environments
JP4284855B2 (ja) * 2000-10-25 2009-06-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出力システム及び情報入出力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20040083788A (ko) 2003-03-25 2004-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쳐 커맨드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는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구동 방법
US20080109751A1 (en) * 2003-12-31 2008-05-08 Alias Systems Corp. Layer editor system for a pen-based computer
WO2005076115A2 (en) * 2004-01-30 2005-08-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 digital pen
US7802202B2 (en) * 2005-03-17 2010-09-21 Microsoft Corporation Computer interaction based upon a currently active input device
US7487461B2 (en) 2005-05-04 2009-0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commands based on pen motions on a graphical keyboard
US20060267966A1 (en) * 2005-05-24 2006-11-30 Microsoft Corporation Hover widgets: using the tracking state to extend capabilities of pen-operated devices
CN101071344A (zh) * 2006-05-12 2007-11-14 深圳市巨龙科教高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交互电子白板的电子笔
US20100021022A1 (en) * 2008-02-25 2010-01-28 Arkady Pittel Electronic Handwriting
CN102007465B (zh) * 2008-02-28 2015-05-20 纽约大学 用于给处理器提供输入的方法和设备以及传感器垫
KR101020029B1 (ko) 2008-07-02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터치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US8536471B2 (en) * 2008-08-25 2013-09-17 N-Trig Ltd. Pressure sensitive stylus for a digitizer
JP5494483B2 (ja) 2008-09-03 2014-05-14 日本電気株式会社 ジェスチャー入力操作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携帯デバイス
EP2228711A3 (en) 2009-03-12 2014-06-0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CN101719035A (zh) * 2009-12-08 2010-06-02 清华大学 带有可按键和/或滚轮输入的触笔的pc触摸屏系统
KR101623214B1 (ko) 2010-01-06 2016-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 펜 및 다기능 펜의 사용 방법
US9477324B2 (en) 2010-03-29 2016-10-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Gesture processing
US8508347B2 (en) 2010-06-24 2013-08-1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input
KR101667093B1 (ko) * 2010-07-06 2016-10-24 티-데이터 시스템스 (에스) 피티이 엘티디 데이터 입력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KR20120040970A (ko) 2010-10-20 2012-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에서 제스쳐를 인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08985A (ko) * 2012-07-13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9114A (ja) * 1995-03-15 1996-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ペン入力装置
KR20100112003A (ko) * 2009-04-08 2010-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명령어 입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20120068941A1 (en) * 2010-09-22 2012-03-2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Inpu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112A (ko) * 2015-04-20 2017-12-18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스타일러스와 스타일러스 센서 컨트롤러 사이의 쌍방향 통신에 제공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7026655A1 (ko) * 2015-08-07 2017-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372498B2 (en) 2018-07-26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user input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11537230B2 (en) 2019-07-30 2022-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gesture performed by stylus pe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21025457A1 (ko) * 2019-08-06 2021-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874978B2 (en) 2019-08-06 202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stylus pe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22050604A1 (ko) * 2020-09-07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인 에어 제스처를 처리하는 방법
WO2023018178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펜의 입력 제어 방법
US12019814B2 (en) 2021-08-10 2024-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pen for input control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041B1 (ko) 2020-03-04
JP2014044720A (ja) 2014-03-13
AU2013219227A1 (en) 2014-03-13
EP2701056A2 (en) 2014-02-26
EP2701056B1 (en) 2021-10-27
EP2701056A3 (en) 2016-01-20
US20140055426A1 (en) 2014-02-27
US9632595B2 (en) 2017-04-25
TW201419053A (zh) 2014-05-16
RU2015105939A (ru) 2016-09-10
CN103631514A (zh) 2014-03-12
BR112015003803A2 (pt) 2017-07-04
AU2013219227B2 (en) 2018-07-05
CA2881646A1 (en) 2014-02-27
WO2014030934A1 (en) 2014-02-27
CN103631514B (zh) 201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041B1 (ko) 펜 기능 운용 방법 및 시스템
US11692840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ynchronizing two or more displays
JP6263177B2 (ja) ユーザー端末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及び方法
US94831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of an input tool for a mobile terminal
US911058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memo layer and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040857B1 (ko) 펜 인식 패널을 포함한 단말기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8751971B2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accessibility using a touch-sensitive surface
AU2014208041B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to input unit
KR102070013B1 (ko)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2019135831A (ja) ユーザデバイスの状況認識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装置
US20110273379A1 (en) Directional pad on touchscreen
US20140354553A1 (en) Automatically switching touch input modes
CN111488111A (zh) 虚拟计算机键盘
KR20140142546A (ko) 전자 기기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CN107967055A (zh) 一种人机交互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US20140281950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Generating Haptic Feedback for User Interface Elements
US201402402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voice service in a portable terminal for visually disabled people
KR20140092459A (ko) 메모 레이어와 어플리케이션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KR20140030398A (ko) 명령어 패드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WO201410335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125269A (ko) 펜 인식 패널을 포함한 단말기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40026719A (ko) 단말기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