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797A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활동을 식별하고 표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활동을 식별하고 표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797A
KR20140023797A KR1020120090275A KR20120090275A KR20140023797A KR 20140023797 A KR20140023797 A KR 20140023797A KR 1020120090275 A KR1020120090275 A KR 1020120090275A KR 20120090275 A KR20120090275 A KR 20120090275A KR 20140023797 A KR20140023797 A KR 20140023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ctivity
information
user termin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6498B1 (ko
Inventor
반효경
이도영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49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3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의 각각에서 사용자의 활동을 식별하고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 동작 상태를 분석하여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실 활동을 식별하는 단계 및 단말기 사용 활동과 현실 활동을 각각, 어느 하나만, 또는 둘을 합성하여 사용자의 본인 활동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활동을 식별하고 표시하는 방법{METHOD FOR RECOGNIZING AND PRESENTING ACTIVITIES OF USERS IN SOCIAL NETWORK SERVICE}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 상태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는 사용자 간의 의사 소통과 정보 공유 수단을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이다. 대부분의 SNS는 웹 기반이나 인스턴트 메신저 기반의 서비스이며, 스마트폰 사용자의 증가 및 무선 인터넷의 보급에 힘입어 SNS 이용자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사용자들의 활용 방식이라는 측면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주요한 기능은 기존 인맥의 강화와 새로운 인맥의 발굴에 있고, 이러한 기능들을 위한 주요한 매개는 정보의 공유이다.
SNS에서 정보의 공유는 기존의 정보 공유 개념, 즉 생각이나 소식을 전파한다거나 파일을 주고받는다거나 지식을 묻고 답하는 개념에서 확장되어, 사용자들이 각자의 신상, 감정이나 활동을 알리는 개념까지 넓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는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상태를 지정하거나 예를 들어 로그온/로그오프 상태와 같은 제한적인 상태 정보만 교환할 수 있을 뿐이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활동을 좀더 구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식별하고 표시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의 각각에서 사용자의 활동을 식별하고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 동작 상태를 분석하여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실 활동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사용 활동과 상기 현실 활동을 각각, 어느 하나만, 또는 둘을 합성하여 사용자의 본인 활동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본인 활동 정보를 SN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에서 각각 수집된 본인 활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SNS 서버에서 생성된 타인 활동 정보를 상기 SNS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타인 활동 정보에 따른 시각적 표현을 지인 명칭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동작 상태를 분석하여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실행 중인 활성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재생 중인 미디어 타입을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판정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동작 상태를 분석하여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활성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와 인터랙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판정 결과들을 기초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실행 중인 활성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재생 중인 미디어 타입을 판정하는 단계에 앞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통화 기능이 수행 중인지 판정하는 단계; 및
통화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사용 활동을 "통화 중"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실 활동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 센서 또는 동작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 중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 및 이동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이동 수단을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은
만약 사용자가 정지 중으로 판정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주변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변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수집된 센서 정보들을 기초로 사용자의 현실 활동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변 감지 센서는 마이크, 조도 센서 또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지리 정보를 기초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위치 센서;
주변의 소리, 조명, 사용자 신체의 근접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주변 감지 센서; 및
어플리케이션 동작 상태를 분석하여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고, 상기 위치 센서에서 결정된 위치 정보와 상기 주변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실 활동을 식별하며, 상기 단말기 사용 활동과 상기 현실 활동을 각각, 어느 하나만, 또는 둘을 합성하여 사용자의 본인 활동 정보를 생성하는 활동 식별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활동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활동 식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활성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재생 중인 미디어 타입을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활동 식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활성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와 인터랙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며, 판정 결과들을 기초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활동 식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통화 기능이 수행 중인지 판정하고, 통화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사용 활동을 "통화 중"으로 식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활동 식별부는
상기 위치 센서 또는 동작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 중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활동 식별부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 및 이동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이동 수단을 판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활동 식별부는
만약 사용자가 정지 중으로 판정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변 상황을 감지하고, 수집된 센서 정보들을 기초로 사용자의 현실 활동을 식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변 감지 센서는 마이크, 조도 센서 또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의 각각과 통신할 수 있는 SNS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지리 정보를 기초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위치 센서;
주변의 소리, 조명, 사용자 신체의 근접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주변 감지 센서;
어플리케이션 동작 상태를 분석하여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고, 상기 위치 센서에서 결정된 위치 정보와 상기 주변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실 활동을 식별하며, 상기 단말기 사용 활동과 상기 현실 활동을 각각, 어느 하나만, 또는 둘을 합성하여 사용자의 본인 활동 정보를 생성하는 활동 식별부; 및
상기 SNS 서버로부터 수신된 타인 활동 정보에 따라 판정되는 시각적 표현을 지인 명칭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활동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SNS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각각 본인 활동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본인 활동 정보를 각 사용자 회원의 지인들에게 타인 활동 정보로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활동 식별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구체적인 활동을 단말기 사용 활동과 외부 활동으로 구분하여 인지하고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활동 식별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서로 각자의 활동에 대해 정보 공유를 요청하고 승낙 또는 거부할 수 있으며, 승낙을 받은 경우에는 다른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세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활동 식별 방법에서 사용자의 활동을 식별하는 조건들과 판정 절차를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 식별 방법을 구현한 사용자 단말기 및 SNS 제공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활동 식별 방법에서 사용자의 활동들을 식별하는 조건들과 판정 절차를 예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및 SNS 제공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10)가 사용자의 활동을 크게 두 가지 카테고리 즉 단말기 사용 활동과 현실 활동으로 구분하여 식별하고, 이를 각각 또는 융합하여 SNS 서버(30)가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시킬 수 있다.
단말기 사용 활동은 사용자가 통신과 정보 처리가 가능한 단말기(1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거나 특수 기능을 활용하는 활동을 가리키며, 예를 들어 웹 서핑이나 미디어 재생, 게임 앱, 네비게이션 앱, 전자책(e-book) 앱, 음성/영상 통화, 촬영 등을 통칭한다.
현실 활동은 사용자가 단말기(10)를 소지한 상태로 현실 세계에 대해 상호 작용하는 활동을 말하며, 예를 들어 이동이나 작업(야외 활동, 실내 활동, 업무, 취침) 등을 통칭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내적 동작 상황을 기초로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의 외적 환경을 기초로 사용자의 현실 활동을 식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또한 SNS 서버로부터 전달된 타인 활동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0)의 소유주인 SNS 서비스 회원에게 다른 SNS 서비스 회원들의 활동을 표시할 수 있다.
SNS 서버(30)는 사용자 단말기들(10)로부터 SNS 서비스 회원의 본인 활동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SNS 서비스 회원이 활동 정보를 공개하기로 동의한 다른 SNS 서비스 회원들의 사용자 단말기들(10)에 해당 SNS 서비스 회원의 본인 활동 정보를 타인 활동 정보로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은 먼저 단계(S11)에서, 사용자 단말기(10)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어플리케이션 동작 상태를 분석하여 단말기 사용 활동을 판정하는 단계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계(S111)에서, 사용자 단말기(10)가 통화 기능을 수행 중인지 판정한다. 만약 사용자 단말기(10)에서 통화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라면 단계(S11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12)로 진행한다. 만약, 사용자 단말기(10)가 통화 기능이 없는 단말기라면, 이 단계(S111)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단말기(10)가 통화 기능을 수행 중이지 않을 경우에는, 단계(S112)에서, 사용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11)가 활성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선택적으로 단계(S113)에서, 사용자 단말기(10)가 사용자와 인터랙션(interaction)을 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어서, 단계(S114)에서, 사용자 단말기(10)가 실행 중인 활성 어플리케이션을 감지하고, 활성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나 재생 중인 미디어 타입(media type)을 판정한다.
이때, 활성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11)에 최상위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컨트롤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또는 최상위는 아니지만 디스플레이(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시되고 있거나, 출력되는 화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태로 동작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11) 외의 출력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헵틱 장치 등)를 구동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가리킨다.
단계(S112) 내지 단계(S114)에서 필요한 정보가 수집되면 단계(S115)로 진행한다.
이제 단계(S115)에서, 사용자 단말기(10)가 수집된 정보들, 예를 들어 통화 기능 활성 여부, 디스플레이 활성 여부, 사용자 인터랙션 여부, 활성 어플리케이션 종류, (만약 활성 어플리케이션이 미디어를 재생 중이라면) 재생 중인 미디어 타입을 기초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에서 통화 기능이 수행 중이면, 다른 정보들을 모두 무시하고 사용자의 활동은 "통화 중(calling)"으로 식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에서 통화 기능이 비활성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가 켜져 있고, 실행 중인 활성 어플리케이션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활동은 "앱 사용 중"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활동은 활성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좀더 구체적으로 세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어플리케이션이 웹 브라우저, 미디어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앱, 게임 앱 등으로 판정되었다면, 사용자의 활동은 각각 "웹 브라우징 중", "미디어 감상 중", "길찾기 중", "게임 중"과 같이 식별될 수도 있다.
또한, 활성 어플리케이션이 재생 중인 미디어 타입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은 "음악 감상 중", "사진 감상 중", "동영상 감상 중", "독서 중"과 같이 식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10)에서 통화 기능이 비활성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1)가 꺼져있지만 실행 중인 활성 어플리케이션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활동은 "앱 사용 대기 중"으로 식별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활동이 좀더 세부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11)가 꺼져 있어도 활성 어플리케이션이 재생 중인 미디어 타입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은 "음악 감상 중"과 같이 식별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에서 통화 기능이 비활성인 상태에서, 사용자 디스플레이(11)가 켜져 있고, 실행 중인 활성 어플리케이션들이 다수 감지되며, 사용자 인터랙션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활동은 사용자 인터랙션 점유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은 각각 예를 들어 "SNS 이용 중", "웹 브라우징 중", "미디어 감상 중", "길찾기 중", "게임 중"과 같이 식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렉션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를 조작하는 일체의 행위를 가리킬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기(10)에서 통화 기능이 비활성인 상태에서, 사용자 화면(11)이 꺼져있으며 실행 중인 활성 어플리케이션도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의 활동은 예를 들어 "단말기 사용 안함"으로 식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은 이어서 단계(S12)에서, 사용자 단말기(10)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실 활동을 식별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단계(S121)에서 사용자 단말기(10)가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와 같은 위치 센서(12)를 이용하여, 또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와 같은 동작 센서(13)를 더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사용자가 이동 중이면, 선택적인 단계(S122)에서, 지리 정보(GIS)를 참조하여 얻은 사용자의 이동 경로 및 사용자가 이동하는 속도와 가속도의 시간에 따른 이동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이동 수단, 예를 들어, 도보, 지하철, 자가용 차량, 버스 등을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동 경로가 지하철 노선이 없는 도로와 일치하고 교차로가 아닌 곳에서 반복적으로 소정 시간 이상 정차하고, 소정 속도 패턴으로 예를 들어 정지하였다가 수십 km/h까지 가속 또는 반대로 감속을 반복한다면, 나아가 그러한 이동 경로와 중첩되는 버스 노선이 있다면, 버스로 이동 중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단계(S121)에서 만약 사용자가 정지 중으로 판정되면, 단계(S123)로 진행할 수 있다. 단계(S123)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감지 센서들(14), 예를 들어 마이크(141), 조도 센서(142) 또는 근접 센서(143)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변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141)를 이용하여 획득한 배경 소음의 크기나 성분에 따라 사무실인지 작업장인지 또는 강당과 같은 사람이 밀집한 장소인지 판정할 수 있다. 조도 센서(142)를 이용하면 조명이 있는지 없는지 판정할 수 있다. 근접 센서(143)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를 주머니 속에 두었는지 개방된 곳에 두었는지 판정할 수 있다.
단계(S124)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수집된 정보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 현재 시각 및 주변 상황을 기초로, 사용자의 작업, 예를 들어, 야외 활동인지 실내 활동인지, 직장 업무인지 귀가 후 휴식내지 취침인지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는 정지 중에 배경 소음이 작고 주간에 조명이 밝으면 사무실에서 업무 중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는 정지 중에 배경 소음이 크고 야간에 조명이 어두우면 야간 여가 활동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 위치가 직장으로 등록된 지역에 인접하고 정지 중이면서 정오에 배경 소음이 크다면 식사 중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장기간에 걸쳐 누적된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예를 들어 주중, 주간에 주로 머무르는 장소를 직장으로, 주중, 야간에 주로 머무르는 장소를 자택으로 등록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판정 단계들(S122 또는 S124)은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이행될 수도 있지만, SNS 서버(30)에서 이행될 수도 있다.
이어서, 단계(S13)에서, 단계(S115)에서 생성한 단말기 사용 활동과 단계(S122)와 단계(S124)에서 생성한 현실 활동을 각각, 어느 하나만, 또는 둘을 합성하여 사용자의 본인 활동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S14)에서는, 이렇게 각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생성된 사용자의 본인 활동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가 SNS 서버(30)로 전송한다.
단계(S15)에서, 다른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수집된 본인 활동 정보를 기초로 SNS 서버(30)가 생성한 타인 활동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가 수신한다.
단계(S16)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수신된 타인 활동 정보에 따른 시각적 표현을 지인 명칭과 함께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활동 식별 방법을 구현한 사용자 단말기 및 SNS 제공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SNS 제공 시스템(1)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10), 네트워크(20) 및 SNS 서버(30)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네트워크 기능을 갖추고 인터넷(20)을 통해 SNS 서버(30)에 접속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실행할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동하는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에 의해 활동 정보를 SNS 서버(30)와 사용자 단말기(10) 사이에서 주고받을 수 있는 하드웨어 기능 요소, 연산 능력 및 그래픽 처리 능력을 가진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11), 위치 센서(12), 동작 센서(13), 주변 감지 센서들(14), 활동 식별부(15), 활동 정보 처리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는 활성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이미지를 표시하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화면 이미지와 직접 인터랙션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위치 센서(12)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절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GPS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동작 센서(13)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상대적 동작이나 사용자의 몸짓을 감지할 수 있도록 3축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주변 감지 센서들(14)은 주변의 소음, 조명, 사용자의 접근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마이크(141), 조도 센서(142), 근접 센서(143)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활동 식별부(15)는 단말기 사용 활동 식별부(151)와 현실 활동 식별부(152)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기(10)의 다양한 동작 상태를 기초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활동과 현실 활동을 식별할 수 있다.
단말기 사용 활동 식별부(151)는 어플리케이션 동작 상태를 분석하여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사용 활동 식별부(151)는 사용자 단말기(10)가 통화 기능을 수행 중인지 여부, 사용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11)가 활성인지 여부, 사용자 단말기(10)가 사용자와 인터랙션(interaction)을 하는지 여부, 실행 중인 활성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재생 중인 미디어 타입을 감지하고, 수집된 정보들을 기초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활동을 예를 들어, "통화 중", "SNS 이용 중", "웹 브라우징 중", "길찾기 중", "게임 중", "미디어 감상 중", "음악 감상 중", "사진 감상 중", "동영상 감상 중", "독서 중", "단말기 사용 안함" 등으로 식별할 수 있다.
현실 활동 식별부(152)는 위치 센서(12)와 동작 센서(13)의 센싱 신호들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기(10)의 이동 여부와 위치를 판정하고, 만약 사용자 단말기(10)가 정지로 판정된 경우에 주변 감지 센서들(14)의 센싱 신호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 주변의 소음, 조명, 사용자의 근접 상태를 더 판정하며, 이러한 이동 여부, 위치, 현재 시각과 주변 상황을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작업, 예를 들어, 이동 중인지, 야외 활동인지 실내 활동인지, 직장 업무인지 귀가 후 휴식내지 취침인지 식별할 수 있다.
현실 활동 식별부(152)는 만약 사용자 단말기(10)가 이동 중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이동 경로와 이동 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수단도 판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현실 활동 식별부(152)는 사용자의 장기간에 걸쳐 누적된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예를 들어 주중, 주간에 주로 머무르는 장소를 직장으로, 주중, 야간에 주로 머무르는 장소를 자택으로 판정할 수 있고, 이러한 위치 정보를 사용자의 현재 작업 식별에 활용할 수 있다.
활동 정보 처리부(16)는 활동 식별부(15)에서 식별된 단말기 사용 활동 내지 현실 활동을 각각 또는 융합하여 사용자의 본인 활동 정보로 가공하고, 사용자의 본인 활동 정보를 SNS 서버(30)로 전송한다.
또한 활동 정보 처리부(16)는 SNS 서버(30)로부터 사용자의 지인들의 활동 정보인 타인 활동 정보를 수신하고, 타인 활동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시각적 표현을 지인 명칭과 함께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한다.
SNS 서버(3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10)로부터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되는 본인 활동 정보를 수신하고, 본인 활동 정보의 소유자인 사용자 회원의 회원 계정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사용자 회원의 지인들을 식별하여, 수신된 본인 활동 정보를 식별된 사용자 회원의 지인들에게 타인 활동 정보로서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SNS 제공 시스템 10 사용자 단말기
11 디스플레이 12 위치 센서
13 동작 센서 14 주변 감지 센서들
15 활동 식별부 16 활동 정보 처리부
20 네트워크 30 SNS 서버

Claims (20)

  1.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의 각각에서 사용자의 활동을 식별하고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 동작 상태를 분석하여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실 활동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사용 활동과 상기 현실 활동을 각각, 어느 하나만, 또는 둘을 합성하여 사용자의 본인 활동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본인 활동 정보를 SN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에서 각각 수집된 본인 활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SNS 서버에서 생성된 타인 활동 정보를 상기 SNS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타인 활동 정보에 따른 시각적 표현을 지인 명칭과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동작 상태를 분석하여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실행 중인 활성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재생 중인 미디어 타입을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판정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동작 상태를 분석하여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활성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와 인터랙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판정 결과들을 기초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실행 중인 활성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재생 중인 미디어 타입을 판정하는 단계에 앞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통화 기능이 수행 중인지 판정하는 단계; 및
    통화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사용 활동을 "통화 중"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실 활동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 센서 또는 동작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 중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 경로 및 이동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이동 수단을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만약 사용자가 정지 중으로 판정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주변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변 상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수집된 센서 정보들을 기초로 사용자의 현실 활동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주변 감지 센서는 마이크, 조도 센서 또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
  11. 정보 통신 처리 장치에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사용자 활동 식별 방법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정보 통신 처리 장치에서 독출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 매체.
  12. 디스플레이;
    지리 정보를 기초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위치 센서;
    주변의 소리, 조명, 사용자 신체의 근접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주변 감지 센서; 및
    어플리케이션 동작 상태를 분석하여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고, 상기 위치 센서에서 결정된 위치 정보와 상기 주변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실 활동을 식별하며, 상기 단말기 사용 활동과 상기 현실 활동을 각각, 어느 하나만, 또는 둘을 합성하여 사용자의 본인 활동 정보를 생성하는 활동 식별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활동을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활동 식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 중인 활성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재생 중인 미디어 타입을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도록 동작하는 것들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활동 식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활성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와 인터랙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며, 판정 결과들을 기초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도록 동작하는 것들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활동 식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통화 기능이 수행 중인지 판정하고, 통화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사용 활동을 "통화 중"으로 식별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활동 식별부는
    상기 위치 센서 또는 동작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 중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활동 식별부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 및 이동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이동 수단을 판정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활동 식별부는
    만약 사용자가 정지 중으로 판정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변 상황을 감지하고, 수집된 센서 정보들을 기초로 사용자의 현실 활동을 식별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주변 감지 센서는 마이크, 조도 센서 또는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20.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들의 각각과 통신할 수 있는 SNS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지리 정보를 기초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위치 센서;
    주변의 소리, 조명, 사용자 신체의 근접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주변 감지 센서;
    어플리케이션 동작 상태를 분석하여 단말기 사용 활동을 식별하고, 상기 위치 센서에서 결정된 위치 정보와 상기 주변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실 활동을 식별하며, 상기 단말기 사용 활동과 상기 현실 활동을 각각, 어느 하나만, 또는 둘을 합성하여 사용자의 본인 활동 정보를 생성하는 활동 식별부; 및
    상기 SNS 서버로부터 수신된 타인 활동 정보에 따라 판정되는 시각적 표현을 지인 명칭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활동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SNS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각각 본인 활동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본인 활동 정보를 각 사용자 회원의 지인들에게 타인 활동 정보로서 전송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20090275A 2012-08-17 2012-08-17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활동을 식별하고 표시하는 방법 KR101396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275A KR101396498B1 (ko) 2012-08-17 2012-08-17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활동을 식별하고 표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275A KR101396498B1 (ko) 2012-08-17 2012-08-17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활동을 식별하고 표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797A true KR20140023797A (ko) 2014-02-27
KR101396498B1 KR101396498B1 (ko) 2014-05-19

Family

ID=50269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275A KR101396498B1 (ko) 2012-08-17 2012-08-17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활동을 식별하고 표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262B1 (ko) * 2014-09-11 2016-01-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간 소통 패턴 학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모바일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384A (ko) * 2003-12-29 2005-06-20 엔에이치엔(주) 커뮤니티의 활동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18555A (ko) * 2003-12-29 2005-02-23 엔에이치엔(주) 네트워크를 통한 최적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13690B1 (ko) * 2009-09-15 2012-02-14 한국과학기술원 활동 정보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45415A (ko) * 2010-10-29 2012-05-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지능형서비스제공 라이프로깅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262B1 (ko) * 2014-09-11 2016-01-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간 소통 패턴 학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모바일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498B1 (ko) 201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62204T3 (es) Coincidencia de calendario de contextos inferidos y propagación de etiquetas
EP2974268B1 (en) Always-on camera sampling strategies
CN104798417B (zh) 基于语义位置的地理围栏
EP3021607A1 (en) Method,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specific operation when mobile commmunication terminal is activated
CN103534705B (zh) 私密和公开应用
US9645221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7948923B (zh) 一种基于虚拟围栏的信息处理方法、客户端及服务器
US1096992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that controls a representation of a user object in a virtual space
JP2018067328A (ja) 所定の位置内での通信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1108667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JP6411011B2 (ja) ユーザ端末装置、サーバ及びその制御方法
CN110400179B (zh) 标识数据获取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396498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활동을 식별하고 표시하는 방법
JP623341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277683A1 (en) Adaptive user experience
KR2017000444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83157A (ko) 사용자에게 현실 공간에 기반한 게임을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15493B1 (ko) 음주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180776A1 (en) Information acquisition apparatus,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190053489A (ko) 가상현실에 기반한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가상 답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41571B1 (ko) 사용자에게 현실 공간에 기반한 게임을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358782A1 (en) Catch the screen
KR20170069734A (ko)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3888832A (zh) 一种儿童遗留车辆内的报警方法、报警装置及穿戴设备
KR20180019559A (ko)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피추적 데이터의 분배 및 수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