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678A - 댐퍼 - Google Patents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678A
KR20140010678A KR1020120077241A KR20120077241A KR20140010678A KR 20140010678 A KR20140010678 A KR 20140010678A KR 1020120077241 A KR1020120077241 A KR 1020120077241A KR 20120077241 A KR20120077241 A KR 20120077241A KR 20140010678 A KR20140010678 A KR 20140010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hamber
piston
damp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윤
조정형
아츠시 오시로
Original Assignee
파이오락스(주 )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락스(주 ) filed Critical 파이오락스(주 )
Priority to KR1020120077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0678A/ko
Priority to PCT/JP2013/002863 priority patent/WO2014013651A1/ja
Publication of KR20140010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15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characterised by comprising plastics, elastomeric or porous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 F16F9/0218Mono-tubula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의 댐퍼는, 실린더와, 실린더에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어 실린더를 제1실과 제2실로 분할하고, 제1실과 제2실을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된 피스톤과, 연통공에 설치되는 밸브를 구비한다. 밸브는 연통공을 제2실 측으로부터 덮는 커버부를 가진다. 피스톤은 커버부에 의해 덮인 내부 영역으로부터 커버부의 외측의 외부 영역에 걸쳐 형성된 홈부를 가진다. 커버부는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제1실의 압력이 저하하면, 홈부 내로 휘어져 홈부의 유로 입구를 좁히고, 홈부는 외부 영역으로부터 내부 영역을 향해 깊이가 얕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실의 부압이 강해지면서 커버부의 내경측이 홈부에 서서히 비집고 들어가고, 유로의 개구 면적의 좁아짐이 외경으로부터 내경측으로 연속함으로써 유로의 저항을 서서히 높여 댐퍼의 하중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댐퍼{DAMPER}
본 발명은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댐퍼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글로브 박스의 뚜껑 부재에는 댐퍼가 설치된다. 이 댐퍼에 의해, 뚜껑 부재를 열 때 뚜껑 부재가 천천히 열리고, 닫을 때 별로 저항없이 쉽게 닫힌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국 실개평2-58137호 공보)에는, 실린더와, 실린더에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오리피스를 구비한 에어 댐퍼가 개시되어 있다. 이 에어 댐퍼는, 피스톤의 표면에 형성된 오리피스 이외의 통기로이며, 일단이 오리피스에 연결되고, 타단이 밸브에 의해 폐쇄 영역 밖으로 개방된 통기구를 가진다. 이 통기구는, 밸브에 의해 오리피스가 닫힌 경우에 오리피스에 통기를 하여 오리피스가 완전히 닫혀짐으로써 감쇠력(減衰力)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억제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실개평2-5813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는, 통기구를 형성하여 에어 댐퍼의 하중응답성(荷重應答性)을 향상시키고 있지만, 통기구를 형성하는 것만으로는 하중응답성의 변화가 작아, 하중응답성을 한층 더 높힌 댐퍼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하중응답성을 향상시킨 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태양의 댐퍼는, 실린더와, 실린더에 왕복 가능하게 삽입되어 실린더를 제1실과 제2실로 분할하고, 제1실과 제2실을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된 피스톤과, 연통공에 설치되는 밸브를 구비한다. 밸브는 연통공을 제2실 측으로부터 덮는 커버부를 가진다. 피스톤은 커버부에 의해 덮인 내부 영역으로부터 커버부의 외측의 외부 영역에 걸쳐 형성된 홈부를 가진다. 커버부는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제1실의 압력이 저하하면, 홈부 내로 휘어져 홈부의 유로 입구를 좁히고, 홈부는 외부 영역으로부터 내부 영역을 향해 깊이가 얕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 태양에 따르면, 제1실의 부압에 의해 커버부가 홈부에 비집고 들어감으로써 유로의 개구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홈부는 외부 영역으로부터 내부 영역을 향해 깊이가 얕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휘기 어려운 커버부 내경측이 홈부에 흡입되는 양이 적어도 외경측의 유로의 개구 면적과 동일하게 개구 면적을 좁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의 부압이 강해지면서 커버부의 내경측이 홈부에 서서히 비집고 들어가고, 유로의 개구 면적의 좁아짐이 외경으로부터 내경측으로 연속함으로써 유로의 저항을 서서히 높여 하중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의 하중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실시 형태에 따른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2 피스톤 로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밸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피스톤과 밸브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제1실의 부압이 상대적으로 약한 경우의 밸브의 홈부에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제1실의 부압이 상대적으로 강한 경우의 밸브의 홈부에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다른 홈부의 형상을 가지는 각각의 댐퍼의 감쇠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도 8(a)는 제1 변형예의 연통공 및 취부공을 나타내고, 도 8(b)는 제2 변형예의 연통공 및 취부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댐퍼(10)의 사시도이다. 댐퍼(10)는, 예를 들어 차량의 글로브 박스에 설치되어 글로브 박스의 개폐 부재(뚜껑 부재)의 개폐에 감쇠력을 부여한다. 댐퍼(10)는 실린더(20), 피스톤 로드(30), 밸브(50) 및 씰 링(seal ring;60)을 구비한다.
실린더(20)는 바닥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린더(20)에는 피스톤 로드(30)가 삽입된다. 피스톤 로드(30)는 실린더(20) 내를 분할하는 피스톤(32)과 로드(34)를 가진다. 피스톤(32)에 의해 실린더(20) 내에 제1실(22)과 제2실(24)이 형성된다. 피스톤(32)의 외주에는 씰 링(60)이 설치되어 제1실(22)의 밀폐 정도가 향상된다. 또한, 제2실(24)은 외부 공기에 개방되어 있어도 좋다.
로드(34)는, 일단이 피스톤(32)에 고정되고, 타단이 개폐 부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피스톤(32)은, 실린더(20)에 삽입되어 개폐 부재의 동작에 따라 왕복한다. 밸브(50)는, 피스톤(32)에 설치되어 피스톤(32)에 형성된 연통공(미도시)을 제2실(24)측으로부터 덮는다. 밸브(50)는, 기체가 제1실(22)로부터 제2실(24)로 나오는 경우에 연통공을 열고, 기체가 제2실(24)로부터 제1실(22)로 들어가는 경우에 연통공을 닫도록 동작한다. 즉, 댐퍼(10)는 피스톤(32)이 밀려서 제1실(22)의 압력이 높아지면 제1실(22)의 기체를 연통공으로부터 방출하여 감쇠력을 억제하고, 피스톤(32)이 당겨져 제1실(22)의 압력이 낮아지면 연통공을 닫아 감쇠력을 강화한다. 글로브 박스에서는 뚜껑 부재를 열 때는 피스톤(32)이 당겨져 천천히 열리고, 뚜껑 부재를 닫을 때는 피스톤(32)이 밀려 쉽게 닫힌다.
도 2는 피스톤 로드(3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피스톤 로드(30)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피스톤 로드(30)의 정면도이며,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피스톤 로드(30)의 선 A-A의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각 도면에 표시된 것과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적당히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피스톤(32)은 컵 모양으로 형성되고, 원반부(44)와, 원반부(44) 외주에 설치된 원통부(46)를 가진다. 원반부(44)의 표면에 로드(34)가 설치된다. 또한, 원반부(44)의 표면은 외부에 노출되고, 이면(裏面)은 제1실(22)을 형성한다. 원통부(46)의 외주에 씰 링(60)을 보유하기 위한 링 보유 홈(42)이 형성된다.
원반부(44)는, 제1실(22)과 제2실(24)을 연통하는 연통공(36), 밸브(50)를 장착할 수 있는 취부공(38) 및 홈부(40)를 가진다. 홈부(40)는 원반부(44)의 표면에 형성된다. 원반부(44)의 표면은 제2실(24)측의 면이다.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40)는 연통공(36) 및 취부공(38)의 주위로부터 반경 방향 밖으로 향하여 연장한다.
연통공(36) 및 취부공(38)은 원반부(44)를 관통하여 제1실(22) 및 제2실(24)을 연통한다. 연통공(36)은 취부공(38)의 주위에 형성된다. 홈부(40)와 연통공(36) 및 취부공(38)은 이격된다.
도 3은 밸브(5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밸브(50)의 측면도이며, 도 3(b)는 피스톤(32)에 설치된 상태의 밸브(50)의 단면도이다. 밸브(50)는 커버부(52)와 축부(54)와 확경부(擴徑部;56)와 단부(段部;58)를 가진다. 밸브(50)는 우산 모양으로 형성된다.
커버부(52)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며, 축부(54)로부터 반경 방향 밖으로 수하(垂下)하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커버부(52)의 이면의 중앙에 축부(54)가 형성된다. 축부(54)의 중도에서 확경하는 확경부(56)가 형성된다. 커버부(52)는 연통공(36)을 제2실(24)측으로부터 덮는다.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54)는 커버부(52)로부터 제1실(22)을 향해 연장한다. 축부(54)는 취부공(38)에 삽입되어 확경부(56)에 의해 빠짐이 방지되고 있다. 축부(54)의 뿌리에 형성된 단부(段部;58)는, 부압에 의해 커버부(52)가 흡인(吸引)된 경우에 축부(54)가 축방향으로 지나치게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한다.
커버부(52)의 외주는 피스톤(32)의 표면에 접촉한다. 커버부(52)의 외주로부터 내측을 피스톤(32) 표면의 내부 영역이라 하고, 커버부(52)의 외주로부터 외측을 외부 영역이라 한다. 연통공(36)은 내부 영역 안에 위치한다. 커버부(52)는 연통공(36)으로부터 부압을 받으면 함몰(凹)되고, 정압을 받으면 부상하여 공기를 방출한다.
도 4는 피스톤(32)과 밸브(50)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밸브(50)의 설치 위치 근처를 나타내는 피스톤(32)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피스톤(32)에 장착되어 부압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의 밸브(5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연통공(36)은 취부공(38)의 주위에서 홈부(40)를 피해 반경 방향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통공(36)은 취부공(38)을 중심으로 취부공(38)을 둘러싸듯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부(52)에 덮인 내부 영역의 범위 내에서 취부공(38)의 주위에 연통공(36)을 크게 형성할 수 있고, 부압을 커버부(52)에 전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통과할 때 연통공(36)으로부터 이상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연통공(36)의 크기를 확보할 수 있다. 연통공(36)이 홈부(40)를 피함에 따라 연통공(36)과 홈부(40)가 이격된다.
연통공(36)은 취부공(38)을 둘러싸고 원호 형상으로 한 쌍이 형성되어 홈부(40)의 연장 상에서 분단된다. 연통공(36)을 한 쌍 설치함으로써 원통 형상의 취부공(38)의 가장자리(緣)를 2개소에서 지지할 수 있어 취부공(38)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부공(38)에 밸브(50)를 설치하면 연통공(36)은 모두 커버부(52)로 덮인다. 즉, 커버부(52)의 외경은 한 쌍의 연통공(36)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된다. 홈부(40)는 커버부(52)에 의해 덮인 내부 영역으로부터 커버부(52)의 외측의 외부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내부 영역과 외부 영역을 연통하여 기체 유로가 형성된다.
도 4(b)는 제1실(22)의 부압에 의해 커버부(52)가 움푹 들어가도록 휜 상태를 나타낸다. 홈부(40)에 커버부(52)가 비집고 들어가기는 하나, 홈부(40)의 유로의 입구가 좁혀져 있다. 홈부(40)에 커버부(52)가 비집고 들어가지만, 홈부(40)의 모서리부(40a)에 커버부(52)는 비접촉식이며, 홈부(40) 유로의 입구의 일부는 개방된다. 즉, 커버부(52)가 홈부(40)에 비집고 들어가더라도 틈이 남고, 그 틈새로부터 제2실(24)의 유체가 제1실(22)로 통과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체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댐퍼(10)는, 피스톤(32)의 이동에 의해 제1실(22)의 부압이 강해질수록 홈부(40)에 커버부(52)가 비집고 들어가 유로의 입구를 좁힐 수 있으므로 큰 감쇠력을 발생한다. 이렇게 홈부(40)를 형성함으로써, 홈부(40)가 없고 피스톤(32)의 표면이 평평한 경우에 비해 홈부(40)의 유로의 개구 면적을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제1실(22)의 부압이 상대적으로 약한 경우의 밸브(50)의 홈부(40)에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피스톤(32) 및 밸브(50)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하는 피스톤(32) 및 밸브(50)의 선분 B-B의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5(a)에 도시하는 피스톤(32) 및 밸브(50)의 선분 C-C의 단면도이다.
도 5(b) 및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40)의 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실(22)의 부압에 의해 커버부(52)가 패여 홈부(40)로 휘었을 경우, 커버부(52)는 홈부(40)의 바닥의 양 모서리부(40a)에 틈새를 남기고 홈부(40)의 사각형 단면의 바닥의 일부에 접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모서리부(40a)를 설치함으로써 유로의 개구를 확보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실의 부압이 약하기 때문에 커버부(52)는 최외경 단부만 홈부(40)에 비집고 들어간다. 도 5(b)에 도시된 커버부(52)의 외경측은 홈부(40)의 바닥에 접하는 한편, 도 5(c)에 도시된 커버부(52)의 내경측은 홈부(40)에 접촉하지 않는다. 이것은 밸브(50)의 외경측은 휘기 쉽고, 내경측은 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5(b)에 도시하는 외경측의 홈부(40)보다 도 5(c)에 도시하는 내경측의 홈부(40)쪽이 깊이가 얕고, 홈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홈부(40)의 바닥(40b)은 매끄러운 경사면이며, 반경 방향의 내측 방향으로 홈부(40)의 깊이가 얕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된다. 커버부(52)와 관계에서는, 외부 영역으로부터 내부 영역을 향해 홈부(40)의 깊이가 얕아진다. 따라서, 휘기 어려운 커버부(52)의 내경측이 홈부(40)에 접하기 쉬워진다.
도 6은 제1실(22)의 부압이 상대적으로 강한 경우의 밸브(50)의 홈부(40)에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피스톤(32) 및 밸브(50)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에 나타내는 피스톤(32) 및 밸브(50)의 선분 D-D의 단면도이며, 도 6(c)는 도 6(a)에 도시하는 피스톤(32) 및 밸브(50)의 선분 E-E의 단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제1실(22)에서의 부압은 도 5(a)에 도시된 형태보다 강하고, 커버부(52)는 크게 휜다. 그 때문에, 커버부(52)는 최외경으로부터 내경측으로 소정 간격에 걸쳐서 홈부(40)에 접한다. 이것은 홈부(40)의 깊이가 반경 방향의 내측 방향으로 얕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부(52)의 내경측이 홈부(40)에 접하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6(b) 및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부(52)의 최외경 단부 및 내경측에서 홈부(40)의 바닥(40b)에 접한다. 여기서, 커버부(52)가 홈부(40)의 바닥(40b)과 접하는 간격이 길어지면, 좁아진 유로의 간격이 길어져 이동 저항이 커지고, 기체가 통과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1실(22)의 부압이 강해짐에 따라 기체가 통과하기 어려워져 댐퍼(10)에서의 감쇠력을 높일 수 있다.
홈부(40)는, 피스톤(32) 표면의 외부 영역에서 내부 영역을 향해, 즉 반경 방향의 내측 방향으로 홈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홈부(40)가 얕아진 지점에서 바닥(40b) 전체에 커버부(52)가 붙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유로의 개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유로의 개구를 확보함으로써, 유로의 개구 면적의 변화를 줄일 수 있어, 부압이 강해졌을 경우에 높아지는 감쇠력의 변화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즉, 댐퍼(10)의 감쇠력 특성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홈부의 형상을 가지는 각각의 댐퍼의 감쇠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세로축은 댐퍼의 감쇠력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피스톤의 인장 속도를 나타낸다. 즉, 피스톤(32)의 인장 속도에 따른 댐퍼의 감쇠력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피스톤(32)의 인장 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제1실(22)의 부압이 커진다. 도 7의 특성 72는 실시 형태의 댐퍼(10)의 결과를 나타내고, 특성 70은 실시 형태의 댐퍼(10)와 비교해서 홈부의 깊이가 일정한 비교예의 댐퍼의 결과를 나타낸다.
특성 70의 비교예의 댐퍼는, 홈부의 깊이가 일정하므로 커버부(52)의 외경측은 홈부의 바닥에 접하지만 내경측은 홈부에 접하기 어렵다. 따라서, 특성 70은 인장 속도가 커지면 감쇠력은 높아지지만, 실시 형태의 댐퍼(10)의 특성 72와 비교하면 감쇠력의 변화의 정도는 적다.
구체적으로, 인장 속도 s2까지는 홈부(40)에 커버부(52)가 비집고 들어가 개구가 점차 좁아져서 특성 70 및 특성 72 모두 감쇠력이 크게 변화한다. 비교예의 특성 70에서 인장 속도 s2로부터 s3와 인장 속도 s3로부터 s4의 사이에서는, 감쇠력의 변화 정도가 크게 다르고, 인장 속도 s3로부터 s4에서는 감쇠력의 변화 정도가 적다. 이것은 커버부(52)의 내경측이 홈부에 접하지 못하고, 인장 속도 s3 이상에서는 유로의 저항이 거의 일정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특성 72에서 인장 속도 s2로부터 s4까지의 감쇠력의 변화는 일정하고, 인장 속도 s3로부터 s4까지의 변화 정도는 특성 70보다 크다. 이것은 인장 속도의 증가와 함께 제1실(22)의 부압이 증가하고, 그로 인해 커버부(52)가 외경측으로부터 내경측에 걸쳐 서서히 홈부(40)에 들어가고, 유로의 개구가 좁아진 부분이 반경 방향으로 뻗어나가므로, 유로의 저항이 서서히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홈부(40)를 외부 영역으로부터 내부 영역을 향하여 깊이가 얕아지게 경사시킴으로써 댐퍼(10)의 하중응답성이 향상된다.
도 8(a)는 제1 변형예의 연통공(136) 및 취부공(138)을 나타내고, 도 8(b)는 제2 변형예의 연통공(236) 및 취부공(38)을 나타낸다. 도 8(a)에 도시된 연통공(136) 및 취부공(138)은 연결된다. 원형의 취부공(138)을 중심으로 한 쌍의 부채형의 연통공(136)이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렇게 연통공(136) 및 취부공(138)을 연결하여 형성함으로써, 커버부(52)에 덮이는 범위 내에서 연통공(136)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연통공(236)은 홈부(40)에 걸쳐 C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형태에서도 커버부(52)에 덮이는 범위 내에서 연통공(236)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연통공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제1실(22)의 부압을 커버부(52)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커버부(52)를 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의 지식에 근거해서 다양한 설계 변경 등의 변형을 각 실시 형태에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러한 변형이 추가된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피스톤(32)를 누를 경우, 댐퍼(10)로부터 발생하는 감쇠력은 작고, 피스톤(32)을 당길 경우 댐퍼(10)로부터 발생하는 감쇠력은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변형예의 댐퍼는 실린더(20)의 바닥측에 위치하는 제1실(22) 측으로부터 커버부(52)로 연통공(36)을 덮고, 홈부(40)도 제1실(22)측의 피스톤(32)의 이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피스톤(32)를 누를 경우, 댐퍼(10)로부터 발생하는 감쇠력은 커지고, 피스톤(32)을 당길 경우, 댐퍼(10)로부터 발생하는 감쇠력은 작아지도록 댐퍼를 구성할 수 있다.
10 : 댐퍼
20 : 실린더
22 : 제1실
24 : 제2실
30 : 피스톤 로드
32 : 피스톤
34 : 로드
35 : 뚜껑 부재
36 : 연통공
38 : 취부공
40 : 홈부
40a : 모서리부
42 : 링 보유 홈
44 : 원반부
46 : 원통부
50 : 밸브
52 : 커버부
54 : 축부
56 : 확경부
58 : 단부(段部)
60 : 씰 링

Claims (6)

  1.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왕복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를 제1실과 제2실로 분할하고, 상기 제1실과 상기 제2실을 연통하는 연통공이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설치되는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연통공을 상기 제2실 측으로부터 덮는 커버부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커버부에 의해 덮인 내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의 외측의 외부 영역에 걸쳐 형성된 홈부를 가지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실의 압력이 저하하면, 상기 홈부 내로 휘어져 상기 홈부의 유로의 개구를 좁히고,
    상기 홈부는, 상기 외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내부 영역을 향해 깊이가 얕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외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내부 영역을 향해 홈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의 부압에 의해 상기 커버부가 함몰(凹)되어 상기 홈부로 휘었을 경우, 상기 커버부는 상기 홈부에 틈새를 남기고 그 틈새로부터 상기 제2실의 유체가 상기 제1실로 통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단면이 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실의 부압에 의해 상기 커버부가 함몰(凹)되어 상기 홈부로 휘었을 경우, 상기 커버부는 상기 홈부의 바닥의 양 모서리에 틈새를 남기고 상기 홈부의 사각형 단면의 바닥의 일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연장하는 축부를 가지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축부를 삽입하여 상기 밸브가 설치되는 취부공을 가지며,
    상기 연통공은 상기 취부공의 주위에서 상기 홈부를 피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은 상기 취부공을 둘러싸고 원호 형상으로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연장 상에서 분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KR1020120077241A 2012-07-16 2012-07-16 댐퍼 KR20140010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241A KR20140010678A (ko) 2012-07-16 2012-07-16 댐퍼
PCT/JP2013/002863 WO2014013651A1 (ja) 2012-07-16 2013-04-26 ダンパ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241A KR20140010678A (ko) 2012-07-16 2012-07-16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678A true KR20140010678A (ko) 2014-01-27

Family

ID=49948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241A KR20140010678A (ko) 2012-07-16 2012-07-16 댐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10678A (ko)
WO (1) WO20140136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4475A1 (de) * 2017-06-29 2019-01-03 Druck- und Spritzgußwerk Hettich GmbH & Co. KG Dämpf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2634A (ja) * 1985-06-10 1986-12-12 Kiyousan Denki Kk ダツシユポツト
JPH077638Y2 (ja) * 1988-10-24 1995-02-22 株式会社ニフコ シリンダ型エアダンパー
JPH0678641U (ja) * 1993-04-15 1994-11-04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ピストン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ダン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3651A1 (ja)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31682A1 (ja) エアダンパ
JP5494802B2 (ja) 容量可変型圧縮機
US20160327116A1 (en) Active mount
US10221909B2 (en) Damper device
US20240117853A1 (en) Damping-valve device with a progressive damping-force characteristic curve
TW201344077A (zh) 氣體彈簧
US11988265B2 (en) Shock absorber
JP6368427B2 (ja) ダンパー装置
US10626946B2 (en) Damper
WO2011037007A1 (ja) ダンパー装置
JP5694612B1 (ja) 圧力緩衝装置
KR20140010678A (ko) 댐퍼
JP6353303B2 (ja) 密封装置
JP4884790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6526247B2 (ja) シリンダ装置
JP5858336B2 (ja) ピストンダンパーのシール構造
JP6786707B2 (ja) エアダンパー
JP5905805B2 (ja) 油圧緩衝器及びバルブ
JP4837510B2 (ja) ロータリーダンパ
JP2015518120A (ja) 緩衝器における改良
JP5856678B2 (ja) ダンパー
JP4630831B2 (ja) 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JP2022515167A (ja) シールダイヤフラムおよび流体技術的な使用のためのシールダイヤフラムを備えた逆止弁
JP2018132131A (ja) ロータリーダンパ
JP2016023682A (ja) 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