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553A -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 - Google Patents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553A
KR20140001553A KR1020120069415A KR20120069415A KR20140001553A KR 20140001553 A KR20140001553 A KR 20140001553A KR 1020120069415 A KR1020120069415 A KR 1020120069415A KR 20120069415 A KR20120069415 A KR 20120069415A KR 20140001553 A KR20140001553 A KR 20140001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ultivation
unit
main body
dri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경
이상로
김상열
Original Assignee
(주)에이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에이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20069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553A/ko
Publication of KR2014000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553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10Structur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tools ; Theoretical aspects of the cutting 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채류의 고설재배를 위한 재배베드의 식생토를 용이하게 경운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과채류 고성재배용 휴대 경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는 고설재배를 위한 재배베드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이송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재배베드에 충진된 식생토 및 배지를 경운시키기 위한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를 구동시키기 위해 예초기의 구동기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크류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는 예초기의 구동동력을 이용해 작동하기 때문에 별도의 구성설비를 내장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 비용을 낮추고 경량화할 수 있으며, 고설재배시설의 재배베드의 식생토 및 배지를 경운하기에 적합하여 경작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 {Portable tillage apparatus for plant growth of fruit vegetables}
본 발명은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채류의 고설재배를 위한 재배베드의 식생토를 용이하게 경운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과채류 고성재배용 휴대 경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딸기는 열매채소 중에서 고소득 작물로서 다른 열매채소에 비하여 생육적온이 낮으므로 겨울철 시설재배에 유리하여 남부지방에서는 재배면적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도 딸기 생산량이 많은 나라에 속한다. 또한, 딸기는 생활수준이 향상될수록 소비가 증대되는 채소로서, 껍질을 벗기지 않고 식용하므로 소비자들은 고품질 및 무공해 제품에 대한 기호도가 높으며 장래에는 수출 유망 채소로서도 기대가 큰 작목이다.
이와 같은 딸기는 키가 낮은 작물이기 때문에 심기, 잎 따기, 열매 정리 등의 재배관리나 빈번한 수확작업을 열악한 자세로 하여야 하고, 선별, 포장에 많은 노동을 필요로 하므로 딸기 생산량 증가에 큰 장해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딸기는 저온에 강하여 적은 에너지로 생산이 가능하고 단경기 출하로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식생활의 변화로 소비의 증대가 지속적으로 기대되는 작물이므로 작업 자세를 개선할 수 있는 적절한 시설이 요구된다.
이에 최근에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도록 고설재배 기술이 널리 도입되어 딸기에서 가장 심각한 토양전염성 병해인 위황병의 피해를 피할 수 있으며, 비료주기와 물주기를 자동화할 수 있어서 일손을 덜 수 있으므로 재배면적의 확대로 상업적 경영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최근에 문제시되고 있는 농업에 의한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고설재배 방식은 좋은 재배기술로 인식되어 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고설재배 방식은 통형의 재배베드를 지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하여 재배베드가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재배베드의 내부에 식생토와 배지를 충진시킨 후 딸기와 같은 과채류를 재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재배 후 재배베드에 남아있는 식생토 및 배지를 다음 재배를 위해 경운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쟁기나 호미와 같은 농기구를 이용해 직접 흙을 갈아 엎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과 노동력의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925001호에는 밭갈이용 커터와 논갈이용 커터를 구비한 자가 이동형 쟁기가 개시되어 있다. 통상적인 밭갈이용 기구가 트랙터 또는 경운기와 같은 농기계에 부착되어 이동하는 것과는 달리 자체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지만 고설재배를 위한 재배베드 상에서 이동하면서 재배베드의 식생토 및 배지를 정지(整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아 고설재배시설에서는 이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예초기 구동장치의 동력을 이용해 구동하며 고설재배시설의 재배베드를 주행하면서 경운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는 고설재배를 위한 재배베드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이송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재배베드에 충진된 식생토 및 배지를 경운시키기 위한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를 구동시키기 위해 예초기의 구동기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크류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송바퀴가 설치되는 측면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운작업 중 상방으로 튀는 식생토 및 배지를 가리는 가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크류유닛은 상기 본체가 재배베드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폭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들을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동력연결부와, 상기 스크류부재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스크류부재에 구동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스크류부재는 상기 베이스판에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회전브라켓과, 상기 회전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재배베드의 식생토로 및 배지에 소정깊이 삽입되어 경운작업을 수행하는 스크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연결부는 상기 각각의 스크류부재의 회전축에 설치된 풀리와, 상기 각각의 스크류부재의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류부재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예초기의 구동기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축연결부와, 상기 축연결부로부터 상기 종동기어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구동기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며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는 구동기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스크류부는 상기 본체가 주행하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유닛은 상기 본체가 재배베드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주행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들을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동력연결부와, 상기 스크류부재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스크류부재에 구동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는 예초기의 구동동력을 이용해 작동하기 때문에 별도의 구성설비를 내장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 비용을 낮추고 경량화할 수 있으며, 고설재배시설의 재배베드의 식생토 및 배지를 경운하기에 적합하여 경작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가 재배베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의 평단면도,
도 4는 도 1의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이하 '경운장치'라 함)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경운장치(1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경운장치(100)는 과채류의 고설재배를 위한 재배시설에 사용되는 것이다. 고설재배를 위해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식생토 및 배지가 충진되어 있는 재배베드(10)를 서포트부재(20)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운장치(100)를 이 재배베드(10) 상에 안착시켜 주행하면서 식생토 및 배지를 경운시킨다.
경운장치(100)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류유닛(12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재배베드(1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베이스판(111)과, 상기 베이스판(11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판(112)과, 베이스판(111)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가림판(113)을 구비한다.
베이스판(111)의 상면에는 작업자가 본체(110)를 재배베드(10)를 따라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14)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판(112)의 하단에는 이송바퀴(115)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이송바퀴(115)는 재배베드(10)의 상단에 지지되어 재배베드(10)를 따라 주행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림판(113)은 베이스판(111)과 연결되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각각 베이스판(111)의 전방 또는 베이스판(111)의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가림판(113)은 후술하는 스크류유닛(120)의 구동으로 식생토 및 배지가 경운될 때, 흙이 본체(110)의 외측으로 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크류유닛(120)은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재배베드(10)의 흙을 경운시키기 위한 것이다.
스크류유닛(120)은 본체(110)가 재배베드(10) 상에서 주행하는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폭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제1 내지 제3 스크류부(121,122,123)와, 제1 내지 제3 스크류부(121,122,123)를 연결하는 동력연결부(130)와, 구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부(140)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스크류부(121,122,123)는 베이스판(111)의 하면에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각각 회전브라켓(124)과, 회전축(125), 스크류부재(126)를 구비한다.
회전브라켓(124)은 본체(110)의 주행방향 상에서 전후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회전축(125)이 전방과 후방의 회전브라켓(124)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전축(125)에 나선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스크류부재(1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부재(126)의 반경은 상기 회전축(125)으로부터 본체(110)의 하단 사이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10)가 재배베드(10) 상에 주행 가능하도록 안착되었을 때 상기 스크류부재(126)가 재배베드(10)의 식생토를 경운시킬 수 있도록 식생토에 소정깊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회전축(125)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제1 내지 제3 스크류부(121,122,123)재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한 이유는 본체(110)가 재배베드(10)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 중 제1 내지 제3 스크류부(121,122,123)의 전방부에 의해 식생토 및 배지의 표층 부분이 먼저 경운된 후 본체(110)의 이동에 따라 경운 깊이가 순차적으로 깊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동력연결부(130)는 제1 내지 제3 스크류부(121,122,123)의 동력을 연결하여 함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내지 제3 스크류부(121,122,123)의 일측 회전축(125)에 각각 설치된 제1 내지 제3 풀리(131,132,133)와, 제1 내지 제3 풀리(131,132,133)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부재(134)로 이루어진다.
후술하는 구동부(140)는 제1 스크류부(121)에 연결되어 제1 스크류부(121)를 회전 구동시키게 되는데, 제1 회전스크류의 회전력이 상기 동력연결부(130)를 통해 제2 스크류부(122)와, 제3 스크류부(123)에 전달되어 제1 내지 제3 스크류부(121,122,123)가 모두 함께 회전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력연결부(130)로서 제1 내지 제3 스크류부(121,122,123)에 각각 설치된 제1 내지 제3 풀리(131,132,133)와, 풀리들을 상호 연결하는 벨트부재(134)가 적용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제1 내지 제3 스크류부(121,122,123)의 회전축(125)에 각각 스프로킷이 설치되고, 체인을 통해 상기 스프로킷들이 상호 연결되도록 동력 연결부를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회전축(125)에 각각 상호 치합되는 기어들을 설치하여 제1 내지 제3 스크류부(121,122,123)가 기어연결을 통해 동력이 상호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140)는 제2 스크류부(122)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제2 스크류부(122)의 회전축(125) 전단에는 종동기어(141)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110)의 베이스판(111)에는 상기 종동기어(141)와 치합되는 구동기어(142)가 형성된 구동축(14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25)과 구동축(143)의 연장방향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동기어(141)와 구동기어(142)는 베벨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기어(142)과 종동기어(141)가 감속비를 갖도록 상기 종동기어(141)의 지름이 구동기어(142)보다 크고, 기어잇수도 더 많도록 형성한다. 종동기어(141)의 지름과 기어잇수는 설정되는 감속비에 맞도록 설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부(140)를 구성하는 구동기어(142)와 종동기어(141)가 베벨기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웜과 웜휠로 구동부(140)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구동축(143)이 베이스판(111)이 아닌 측면판(112)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종동기어(141)도 제2 스크류부(122)가 아닌 제1 스크류부(121) 또는 제3 스크류부(123)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축(143)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판(111)의 상면에 형성된 축연결부(145)와 연결되어 있다. 축연결부(145)는 상기 구동축(143)을 예초기(30)의 구동기(34)와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예초기(3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32)이 마련된 동력부(31)를 작업자가 등에 짊어지고, 엔진(32)에서 발생한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가 내장된 연결봉(33)의 단부에 구동기(34)가 설치되며, 이 구동기(34)에 회전칼날을 장착하여 회전칼날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경운장치(100)는 상기 예초기(30)의 구동력을 이용해 구동하도록 된 것으로서, 예초기(30)의 회전칼날을 제거하고 엔진(3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34)를 상기 축연결부(145)를 통해 구동축(143)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동력부(31)를 등에 메고 상기 구동부(140)를 축연결부(145)를 통해 경운장치(100)에 연결시킨 뒤, 상기 제1 내지 제3 스크류부(121,122,123)가 회전하면서 경운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본체(110)를 재배베드(10)를 따라 전방으로 주행시켜 전체 재배베드(10) 상의 식생토에 대한 경운작업을 시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스크류유닛(120)이 제1 내지 제3 스크류부(121,122,123)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스크류부의 개수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재배베드(10)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그 수가 가감될 수 있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스크류유닛(120)은 제1 내지 제3 스크류부(121,122,123)의 연장방향이 본체(110)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고설재배를 위한 재배베드의 식생토를 효율적으로 경운작업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
10; 재배베드 20; 서포트부재
30; 예초기
31; 동력부 32; 엔진
33; 연결봉 34; 구동기
100;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 (경운장치)
110; 본체
111; 베이스판 112; 측면판
113; 가림판 114; 손잡이
115; 이송바퀴
120; 스크류유닛
121; 제1 스크류부 122; 제2 스크류부
123; 제3 스크류부
124; 회전브라켓 125; 회전축
126; 스크류부재
130; 동력연결부
131; 제1 풀리 132; 제2 풀리
133; 제3 풀리 134; 벨트부재
140; 구동부
141; 종동기어 142; 구동기어
143; 구동축 145; 축연결부

Claims (5)

  1. 고설재배를 위한 재배베드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이송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재배베드에 충진된 식생토 및 배지를 경운시키기 위한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를 구동시키기 위해 예초기의 구동기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크류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폭방향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이송바퀴가 설치되는 측면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운작업 중 상방으로 튀는 식생토 및 배지를 가리는 가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유닛은 상기 본체가 재배베드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폭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들을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동력연결부와,
    상기 스크류부재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스크류부재에 구동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스크류부재는 상기 베이스판에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회전브라켓과, 상기 회전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재배베드의 식생토로 및 배지에 소정깊이 삽입되어 경운작업을 수행하는 스크류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연결부는 상기 각각의 스크류부재의 회전축에 설치된 풀리와, 상기 각각의 스크류부재의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류부재들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예초기의 구동기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축연결부와, 상기 축연결부로부터 상기 종동기어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구동기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며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는 구동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는 상기 본체가 주행하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
  5. 상기 스크류유닛은 상기 본체가 재배베드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주행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들을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동력연결부와,
    상기 스크류부재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스크류부재에 구동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
KR1020120069415A 2012-06-27 2012-06-27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 Abandoned KR20140001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415A KR20140001553A (ko) 2012-06-27 2012-06-27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415A KR20140001553A (ko) 2012-06-27 2012-06-27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553A true KR20140001553A (ko) 2014-01-07

Family

ID=5013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415A Abandoned KR20140001553A (ko) 2012-06-27 2012-06-27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5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537A (ko) 2015-09-14 2017-03-23 주식회사 아세아텍 고설재배용 쇄토장치
CN117837304A (zh) * 2024-03-07 2024-04-09 中国烟草总公司四川省公司 一种烟草套种大豆的栽培装置及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537A (ko) 2015-09-14 2017-03-23 주식회사 아세아텍 고설재배용 쇄토장치
CN117837304A (zh) * 2024-03-07 2024-04-09 中国烟草总公司四川省公司 一种烟草套种大豆的栽培装置及应用
CN117837304B (zh) * 2024-03-07 2024-05-10 中国烟草总公司四川省公司 一种烟草套种大豆的栽培装置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91857B (zh) 一种水田中耕除草机
CN105075440B (zh) 一种多功能轻便型农用机
CN105981499A (zh) 一种茶园用微耕除草施肥复式机具
CN201303491Y (zh) 多功能整地机
CN202773371U (zh) 果园割草机
CN104663043A (zh) 机械式锄铲
KR101391402B1 (ko) 킹 로터리 경운장치
CN102972111B (zh) 一种能除去行内苗间杂草的除草装置
KR20120064027A (ko) 다조 농용 작업기
KR101578654B1 (ko) 로터리
CN201629953U (zh) 多功能微型耕作机
KR20140001553A (ko) 과채류 고설재배용 휴대 경운장치
KR20110042523A (ko) 동력식 선회날을 갖는 제초기
JP5519846B1 (ja) 水田用動力除草機
CN210491583U (zh) 一种水田中耕除草机
CN107771436A (zh) 水稻中耕除草机
KR20150097335A (ko) 회전 러그식 주행형 제초겸용 배토기
CN214206431U (zh) 一种叶菜收割装置
KR101693499B1 (ko) 고설재배용 작물뿌리 파쇄장치
CN204859933U (zh) 一种苗带清理器
CN201171268Y (zh) 秸秆还田旋耕施肥机
CN203984986U (zh) 多功能水稻施肥机引点播机
CN202773408U (zh) 自走手扶辣椒收割机
CN222193046U (zh) 一种双向覆土机
KR200446224Y1 (ko) 농작물 재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9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