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048A - 커넥터, 케이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케이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048A
KR20130143048A KR1020137011367A KR20137011367A KR20130143048A KR 20130143048 A KR20130143048 A KR 20130143048A KR 1020137011367 A KR1020137011367 A KR 1020137011367A KR 20137011367 A KR20137011367 A KR 20137011367A KR 20130143048 A KR20130143048 A KR 20130143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 electrode
electrode pins
dielectric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8516B1 (ko
Inventor
카즈아키 토바
히데유키 스즈키
타이치 히라노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43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8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vi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실드에 할당된 핀을 데이터 페어로서 사용하는 신HDMI 인터페이스에서, 현행의 HDMI 커넥터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신호전극 핀(252, 152)의 각각을, 셸(접지 도체)(253, 153)에 결합하도록 이 셸에 근접하여 배치하고, 신호는 싱글 엔드로 전송된다. 유전체(251, 151) 내의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254, 154)을 배치한다. 또한, 유전체(251, 151) 내의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과 셸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255, 155)를 배치한다.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에서,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삭감할 수가 있어서, 고품질의 신호 전송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커넥터, 케이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CONNECTOR, CABLE,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케이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등의 디지털 신호를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의해 전송할 때에 사용되는 커넥터 등에 관한 것이다.
근래, CE(Consumer Electronics) 기기를 연결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가 폭넓게 이용되고 있고, 업계에서의 디팩토 스탠더드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에는, HDMI 규격에 관한 기재가 있다. 이 HDMI 규격에서는, 3데이터 차동 라인 페어(TMDS Channel 0/1/2)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서 비디오, 오디오, 컨트롤의 각 신호의 전송을 행하고 있다.
비특허 문헌 1 :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Specification Version 1.4, June5 2009
현재, 이 디지털 신호의 전송 속도로서 HDMI 규격상에서 결정되어 있는 값은, 최대라도 대략 10.2Gbps로 되어 있다. 고품질 3D(3 dimension)의 비디오 신호나, 금후의 4k2k(QFHD)나 더한층의 고화질 컨텐츠의 비디오 신호에 대응할 것을 생각하면, HDMI에서도 15Gbps, 20Gbps라는 현재의 규격상에서의 최고치 이상으로의 확장이, 금후 요구되는 상황에 있다.
여기서, HDMI 커넥터 내의 현행의 차동 라인 페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드에 새롭게 데이터 페어를 할당하여 데이터 레인의 페어 수를 늘림에 의해, 기존의 HDMI와의 호환성을 유지한 채로, 전송 대역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현행의 HDMI 커넥터의 구조인 채이면 실드에 의한 차동 페어의 연결의 상태가 악화하고, 새롭게 할당된 데이터 레인의 전송 품질을 유지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근접 레인에의 혼신(混信)도 발생하여 버려서, 종래의 신호 품질을 유지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면, 현행HDMI에서 사용되고 있는 3데이터 페어 이외에, 현행HDMI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 데이터 페어에 마련된 실드에 할당된 핀을 데이터 페어로서 사용하는 신HDMI 인터페이스에서, 현행의 HDMI 커넥터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은,
직방체형상(直方體狀)의 유전체 내에,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대응하고, 상기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신호전극 핀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의 외주가, 상기 제1의 방향이 개방된 각통상(角筒狀)의 접지 도체(接地導體)로 덮여서 이루어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신호전극 핀의 각각은 상기 접지 도체에 결합하도록 그 접지 도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되는 커넥터에 있다.
본 발명에서, 신호전극 핀의 각각은 접지 도체에 결합하도록, 이 접지 도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된다. 즉, 전파되는 신호의 전자계(電磁界)가 신호전극 핀의 각각과 접지 도체와의 사이에 분포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해, 신호전극 핀의 각각은 접지 도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된다. 그 때문에,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에서, 결합이 취하여지지 않은 상태라도, 또는, 대응한 실드용의 신호전극 핀이 없는 상태라도,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삭감할 수가 있어서,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대응한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에 제1의 단(段) 및 제2의 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제1의 방향 및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유전체 내의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됨과 함께, 유전체 내의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과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유전체 내의,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의 단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또한, 유전체 내의,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과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 예를 들면 비아(via)가 배치되기 때문에, 각 단의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그 때문에,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에서,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더욱 삭감할 수가 있어서, 보다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개념은,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내에,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대응하고, 상기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신호전극 핀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의 외주가, 상기 제1의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접지 도체로 덮여서 이루어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대응한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제1의 단 및 제2의 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 및 상기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상기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상기 접지 플레인과 상기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는 커넥터에 있다.
본 발명에서, 유전체 내의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의 단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또한, 유전체 내의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과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 예를 들면 비아가 배치되기 때문에, 각 단의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그 때문에,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에서,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삭감할 수가 있어서,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개념은,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에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의해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고, 단부(端部)에 플러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케이블로서,
상기 플러그는,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내에, 상기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대응하고, 상기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신호전극 핀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의 외주가, 상기 제1의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접지 도체로 덮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전극 핀의 각각은 상기 접지 도체에 결합하도록 그 접지 도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되는 케이블에 있다.
본 발명에서, 플러그의 신호전극 핀의 각각은 접지 도체에 결합되어,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된다. 즉, 전파되는 신호의 전자계가 신호전극 핀의 각각과 접지 도체와의 사이에 분포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해, 플러그의 신호전극 핀의 각각은 접지 도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된다. 그 때문에,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에서, 결합이 취하여지지 않은 상태라도, 또는, 대응한 실드용의 신호전극 핀이 없는 상태라도,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삭감할 수가 있어서,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대응한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제1의 단 및 제2의 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제1의 방향 및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유전체 내의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됨과 함께 그 유전체 내의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과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플러그의 유전체 내의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의 단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또한, 플러그의 유전체 내의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과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 예를 들면 비아가 배치되기 때문에, 각 단의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그 때문에,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에서,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더욱 삭감할 수가 있어서, 보다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개념은,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에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의해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고, 단부에 플러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케이블로서,
상기 플러그는,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내에, 상기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대응하고, 상기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신호전극 핀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의 외주가, 상기 제1의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접지 도체로 덮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대응한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제1의 단 및 제2의 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 및 상기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상기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상기 접지 플레인과 상기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는 케이블에 있다.
본 발명에서, 플러그의 유전체 내의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의 단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또한, 플러그의 유전체 내의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과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 예를 들면 비아가 배치되기 때문에, 각 단의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그 때문에,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에서,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삭감할 수가 있어서,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개념은,
외부 기기에, 차동 신호에 의해, 케이블을 통하여,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제1의 수(數)로 하는 제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상기 제1의 수보다도 큰 제2의 수로 하는 제2의 동작 모드를 갖는 디지털 신호 송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 및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2의 동작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모드 판단부와,
상기 동작 모드 판단부의 판단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케이블의 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신호전극 핀을 갖는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1의 동작 모드에서 제1의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하고, 상기 제2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의 핀 어사인먼트로 디지털 신호 및/또는 클록 신호의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에 대응한 실드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는 단자를,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로서 이용하는, 상기 제1의 핀 어사인먼트와는 다른 제2의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내에, 상기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상기 복수의 신호전극 핀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의 외주가, 상기 제1의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접지 도체로 덮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전극 핀의 각각은 상기 접지 도체에 결합하도록 그 접지 도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되는 송신 장치에 있다.
본 발명에서, 리셉터클의 신호전극 핀의 각각은 접지 도체에 결합되어,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된다. 즉, 전파되는 신호의 전자계가 신호전극 핀의 각각과 접지 도체와의 사이에 분포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해, 신호전극 핀의 각각은 접지 도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된다. 그 때문에,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에서, 결합이 취하여지지 않은 상태라도, 또는, 대응한 실드용의 신호전극 핀이 없는 상태라도,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삭감할 수가 있어서,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송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제1의 단 및 제2의 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제1의 방향 및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유전체 내의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됨과 함께 그 유전체 내의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과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리셉터클의 유전체 내의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의 단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또한, 리셉터클의 유전체 내의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과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 예를 들면 비아가 배치되기 때문에, 각 단의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그 때문에,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에서,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더욱 삭감할 수가 있어서, 보다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송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개념은,
외부 기기에, 차동 신호에 의해, 케이블을 통하여,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제1의 수로 하는 제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상기 제1의 수보다도 큰 제2의 수로 하는 제2의 동작 모드를 갖는 디지털 신호 송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 및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2의 동작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모드 판단부와,
상기 동작 모드 판단부의 판단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케이블의 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신호전극 핀을 갖는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1의 동작 모드에서 제1의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하고, 상기 제2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의 핀 어사인먼트로 디지털 신호 및/또는 클록 신호의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에 대응한 실드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는 단자를,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로서 이용하는, 상기 제1의 핀 어사인먼트와는 다른 제2의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내에, 상기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상기 복수의 신호전극 핀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의 외주가, 상기 제1의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접지 도체로 덮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제1의 단 및 제2의 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 및 상기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상기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상기 접지 플레인과 상기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는 송신 장치에 있다.
본 발명에서, 리셉터클의 유전체 내의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의 단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또한, 리셉터클의 유전체 내의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과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기 때문에, 각 단의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그 때문에,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에서,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삭감할 수가 있어서,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송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개념은,
외부 기기로부터, 차동 신호에 의해, 케이블을 통하여,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제1의 수로 하는 제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상기 제1의 수보다도 큰 제2의 수로 하는 제2의 동작 모드를 갖는 디지털 신호 수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제2의 동작 모드의 어느것을 선택하여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동작 모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케이블의 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신호전극 핀을 갖는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수신부는, 상기 제1의 동작 모드에서 제1의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하고, 상기 제2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의 핀 어사인먼트로 디지털 신호 및/또는 클록 신호의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에 대응한 실드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는 단자를,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로서 이용하는, 상기 제1의 핀 어사인먼트와는 다른 제2의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내에, 상기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상기 복수의 신호전극 핀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의 외주가, 상기 제1의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접지 도체로 덮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전극 핀의 각각은 상기 접지 도체에 결합하도록 그 접지 도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되는 수신 장치에 있다.
본 발명에서, 리셉터클의 신호전극 핀의 각각은 접지 도체에 결합되어,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된다. 즉, 전파되는 신호의 전자계가 신호전극 핀의 각각과 접지 도체와의 사이에 분포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해, 신호전극 핀의 각각은 접지 도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된다. 그 때문에,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에서, 결합이 취하여지지 않은 상태라도, 또는, 대응한 실드용의 신호전극 핀이 없는 상태라도,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삭감할 수가 있어서,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수신)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제1의 단 및 제2의 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제1의 방향 및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유전체 내의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됨과 함께 그 유전체 내의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과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리셉터클의 유전체 내의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의 단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또한, 리셉터클의 유전체 내의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과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 예를 들면 비아가 배치되기 때문에, 각 단의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그 때문에,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에서,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더욱 삭감할 수가 있어서, 보다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수신)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개념은,
외부 기기로부터, 차동 신호에 의해, 케이블을 통하여,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제1의 수로 하는 제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상기 제1의 수보다도 큰 제2의 수로 하는 제2의 동작 모드를 갖는 디지털 신호 수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제2의 동작 모드의 어느것을 선택하여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동작 모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케이블의 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신호전극 핀을 갖는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수신부는, 상기 제1의 동작 모드에서 제1의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하고, 상기 제2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의 핀 어사인먼트로 디지털 신호 및/또는 클록 신호의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에 대응한 실드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는 단자를,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로서 이용하는, 상기 제1의 핀 어사인먼트와는 다른 제2의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내에, 상기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상기 복수의 신호전극 핀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의 외주가, 상기 제1의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접지 도체로 덮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제1의 단 및 제2의 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 및 상기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상기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상기 접지 플레인과 상기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는 수신 장치에 있다.
이 경우, 리셉터클의 유전체 내의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의 단의 신호전극 핀과 제2의 단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또한, 리셉터클의 유전체 내의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과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 예를 들면 비아가 배치되기 때문에, 각 단의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그 때문에,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에서,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더욱 삭감할 수가 있어서, 보다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수신)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개념은,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내에,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대응하고, 상기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신호전극 핀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의 외주가, 상기 제1의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접지 도체로 덮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전극 핀의 각각은 상기 접지 도체에 결합하도록 그 접지 도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되고,
상기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제1의 단 및 제2의 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 및 상기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상기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상기 접지 플레인과 상기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접지 도체의 내부를, 복수의 부품을 조합시킴으로써 제조하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접지 도체의 내부가 복수의 부품을 조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부품은, 접지 플레인을 갖는 다층 기판과, 접속 도체를 구성하고, 다층 기판의 접지 플레인을 상기 접지 도체에 접속하기 위한 도체(GND 도체)와, 신호전극 핀과, 신호전극 핀과 도체(GND 도체)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며, 다층 기판과 접지 도체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유전체이다.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커넥터의 제조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에서, 결합이 취하여지지 않은 상태라도, 또는, 대응한 실드용의 신호전극 핀이 없는 상태라도,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삭감할 수가 있어서,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서의 AV 시스템의 구성례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소스 기기, HDMI 케이블 및 싱크 기기의 조합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소스 기기의 데이터 송신부와 싱크 기기의 데이터 수신부의 구성례(현행HDMI의 동작 모드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소스 기기의 데이터 송신부와 싱크 기기의 데이터 수신부의 구성례(신HDMI의 동작 모드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TMDS 전송 데이터의 구조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현행HDMI(Type A) 및 신HDMI의 핀 어사인먼트를 비교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현행HDMI 및 신HDMI의 소스 기기,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의 핀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현행HDMI 케이블의 구조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신HDMI 케이블의 구조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신HDMI 케이블의 다른 구조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소스 기기의 제어부의 동작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의 한 예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12는 소스 기기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UI 화면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소스 기기의 제어부의 동작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14는 EDID상에 새롭게 정의되는 플래그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제어부에서의 케이블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에 LSI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제어부에서의 케이블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신HDMI 케이블 내 LSI의 EDID 데이터 재기록 회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제어부에서의 케이블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에 RF 태그 칩(LSI)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제어부에서의 케이블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케이블의 전기적 특성의 측정을 행함으로써, 케이블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케이블의 전기적 특성의 측정을 행함으로써, 케이블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현행의 HDMI 커넥터(플러그, 리셉터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P1, P2)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현행의 HDMI 커넥터(플러그, 리셉터클)에서, 현행HDMI의 핀 배치 및 신HDMI의 핀 배치로 동작하는 경우의 데이터 관측 파형 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HDMI 커넥터(플러그, 리셉터클)의 개량 구조례 1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HDMI 커넥터(플러그, 리셉터클)의 개량 구조례 2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HDMI 커넥터(플러그, 리셉터클)의 개량 구조례 3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HDMI 커넥터(플러그, 리셉터클)의 개량 구조례 4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현행의 HDMI 커넥터 및 개량 구조례 1 내지 4의 커넥터의 데이터 관측 파형을 비교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현행의 HDMI 커넥터 및 개량 구조례 1 내지 4의 커넥터의 크로스토크 관측 파형을 비교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비아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및 비아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차동 신호(D+, D-)에 대한 동상 성분의 리턴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0은 개조 구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1은 개조 구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2는 개조 구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3은 개조 구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4는 신HDMI의 케이블 플러그, 리셉터클의 형상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5는 현행HDMI 케이블과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사시도.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의 형태」라고 한다)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설명을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실시의 형태
2. 변형례
<1.실시의 형태>
[AV 시스템의 구성례]
도 1은, 실시의 형태로서의 AV(Audio and Visual) 시스템(100)의 구성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AV 시스템(100)은, 소스 기기(110)와 싱크 기기(120)가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소스 기기(110)는, 예를 들면, 게임기, 디스크 플레이어, 셋톱 박스, 디지털 카메라, 휴대 전화 등의 AV 소스이다. 싱크 기기(120)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신기, 프로젝터 등이다.
소스 기기(110) 및 싱크 기기(120)는, 케이블(2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소스 기기(110)에는, 데이터 송신부(112)가 접속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리셉터클(111)이 마련되어 있다. 싱크 기기(120)에는, 데이터 수신부(122)가 접속된, 커넥터를 구성하는 리셉터클(12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200)의 일단에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201)가 마련되고, 그 타단에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202)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블(200)의 일단의 플러그(201)는 소스 기기(110)의 리셉터클(111)에 접속되고, 이 케이블(200)의 타단의 플러그(202)는 싱크 기기(120)의 리셉터클(121)에 접속되어 있다.
소스 기기(110)는, 제어부(113)를 갖고 있다. 이 제어부(113)는, 소스 기기(110)의 전체를 제어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는, 현행HDMI 및 신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다. 제어부(113)는,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또한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데이터 송신부(112)를 신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13)는, 적어도, 싱크 기기(120)가 현행HDMI에만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또는 케이블(200)이 현행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데이터 송신부(112)를 현행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싱크 기기(120)는, 제어부(123)를 갖고 있다. 이 제어부(123)는, 싱크 기기(120)의 전체를 제어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는, 현행HDMI에만, 또는 현행HDMI 및 신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다. 데이터 수신부(122)가 현행HDMI 및 신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23)는, 이 데이터 수신부(122)를,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와 같은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123)는, 소스 기기(110)로부터 CEC 등의 라인을 통하여 보내져오는 동작 모드의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데이터 수신부(122)의 동작 모드를 제어한다. 케이블(200)은, 현행HDMI, 또는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AV 시스템(100)에서,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또한, 싱크 기기(120)가 현행HDMI 및 신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을 때, 신HDMI로의 데이터 전송이 행하여진다. 이때,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 및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는, 신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AV 시스템(100)에서, 도 2(b) 내지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케이블(200)이 현행HDMI에 대응하고 있든지, 또는 싱크 기기(120)가 현행HDMI에만 대응하고 있을 때, 현행HDMI로의 데이터 전송이 행하여진다. 이때,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는, 현행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현행HDMI 및 신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는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는, 현행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도 2(b)의 경우에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를 낮게 하는 등으로 케이블(200)이 신HDMI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때에는, 신HDMI 모드로의 데이터 전송이 행하여지는 일이 있다.
[데이터 송신부, 데이터 수신부의 구성례]
도 3, 도 4는, 도 1의 AV 시스템(100)에서의,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와,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의 구성례를 도시하고 있다. 데이터 송신부(112)는, 유효 화상 구간(「액티브 비디오 구간」이라고도 한다)에서, 비압축의 1화면분의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복수의 채널로, 데이터 수신부(122)에 일방향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유효 화상 구간은, 하나의 수직 동기 신호로부터 다음의 수직 동기 신호까지의 구간에서, 수평 귀선(歸線) 구간 및 수직 귀선 구간을 제외한 구간이다. 또한, 데이터 송신부(112)는, 수평 귀선 구간 또는 수직 귀선 구간에서, 적어도 비디오 데이터에 부수되는 오디오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 그 밖의 보조 데이터 등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복수의 채널로, 데이터 수신부(122)에 일방향으로 송신한다.
데이터 수신부(122)는, 액티브 비디오 구간에서, 복수의 채널로, 데이터 송신부(122)로부터 일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이 데이터 수신부(122)는, 수평 귀선 구간 또는 수직 귀선 구간에서, 복수의 채널로, 데이터 송신부(112)로부터 일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오디오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수신한다.
데이터 송신부(112)와 데이터 수신부(122)로 이루어지는 HDMI 시스템의 전송 채널에는, 이하의 것이 있다. 우선, 전송 채널로서, 차동 신호 채널(TMDS 채널, TMDS 클록 채널)이 있다.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동 신호 채널은, 현행HDMI에서는 3채널이지만, 신HDMI에서는 6채널이다.
현행HDMI에서의 차동 신호 채널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송신부(112)로부터 데이터 수신부(122)에 대해,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픽셀 클록에 동기하여,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채널로서의, 3개의 TMDS 채널(#0 내지 #2)이 있다. 또한, TMDS 클록을 전송하는 전송 채널로서의, TMDS 클록 채널이 있다.
데이터 송신부(112)의 HDMI 트랜스미터(81)는, 예를 들면, 비압축의 비디오 데이터를 대응하는 차동 신호로 변환하고, 3개의 TMDS 채널(#0, #1, #2)로, 케이블(2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부(122)에,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한다. 또한, HDMI 트랜스미터(81)는, 비압축의 비디오 데이터에 부수되는 오디오 데이터, 필요한 제어 데이터 그 밖의 보조 데이터 등을, 대응하는 차동 신호로 변환하고, 3개의 TMDS 채널(#0, #1, #2)로, 데이터 수신부(122)에,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한다.
또한, HDMI 트랜스미터(81)는, 3개의 TMDS 채널(#0, #1, #2)로 송신하는 비디오 데이터에 동기한 TMDS 클록을, TMDS 클록 채널로, 데이터 송신부(122)에 송신한다. 여기서, 하나의 TMDS 채널(#i)(i=0, 1, 2)에서는, TMDS 클록의 1클록의 동안에, 10비트의 비디오 데이터가 송신된다.
데이터 수신부(122)의 HDMI 레시버(82)는, TMDS 채널(#0, #1, #2)로, 데이터 송신부(112)로부터 일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와, 오디오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수신한다. 이 경우, 데이터 송신부(112)로부터 TMDS 클록 채널로 송신되어 오는 픽셀 클록(TMDS 클록)에 동기하여 수신한다.
다음에, 신HDMI에서의 차동 신호 채널에 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송신부(112)로부터 데이터 수신부(122)에 대해,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픽셀 클록에 동기하여,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채널로서의, 6개의 TMDS 채널(#0 내지 #5)이 있다. 또한, 이 신HDMI에서는, TMDS 클록의 전송은 생략되고, 수신측에서는 수신 데이터로부터 클록을 재생하는 셀프 클록 방식이 채용된다.
데이터 송신부(112)의 HDMI 트랜스미터(81)는, 예를 들면, 비압축의 비디오 데이터를 대응하는 차동 신호로 변환하고, 6개의 TMDS 채널(#0 내지 #5)로, 케이블(2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부(122)에,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한다. 또한, 이 HDMI 트랜스미터(81)는, 비압축의 비디오 데이터에 부수되는 오디오 데이터, 필요한 제어 데이터 그 밖의 보조 데이터 등을, 대응하는 차동 신호로 변환하고, 6개의 TMDS 채널(#0 내지 #5)로, 데이터 수신부(122)에, 일방향으로 시리얼 전송한다.
데이터 수신부(122)의 HDMI 레시버(82)는, TMDS 채널(#0 내지 #5)로, 데이터 송신부(112)로부터 일방향으로 송신되어 오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와, 오디오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차동 신호를 수신한다. 이 경우, HDMI 레시버(82)는, 수신 데이터로부터 픽셀 클록을 재생하고, 그 픽셀 클록(TMDS 클록)에 동기하여 수신한다.
HDMI 시스템의 전송 채널에는, 상술한 TMDS 채널, TMDS 클록 채널 외에, DDC(Display Data Channel)나 CEC 라인이라고 불리는 전송 채널이 있다. DDC는, 케이블(200)에 포함되는 도시하지 않은 2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진다. DDC는, 데이터 송신부(112)가, 데이터 수신부(122)로부터, E-EDID(Enhance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판독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데이터 수신부(122)는, HDMI 레시버(82) 외에, 자신의 능력(Configuration/capability)에 관한 능력 정보인 E-EDID를 기억하고 있는, EDID ROM(EEPROM)을 갖고 있다. 데이터 송신부(112)는, 예를 들면, 제어부(113)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케이블(200)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수신부(122)로부터, E-EDID를, DDC를 통하여 판독한다.
데이터 송신부(112)는, 판독한 E-EDID를 제어부(113)에 보낸다. 제어부(113)는, 이 E-EDID를, 도시하지 않은 플래시 ROM 또는 DRAM에 격납한다. 제어부(113)는, E-EDID에 의거하여, 데이터 수신부(122)의 능력의 설정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3)는, 데이터 수신부(122)를 갖는 싱크 기기(120)가, 현행HDMI 외에,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 등을 인식한다. CEC 라인은, 케이블(200)에 포함되는 도시하지 않은 1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지고, 데이터 송신부(112)와 데이터 수신부(122)와의 사이에서, 제어용의 데이터의 쌍방향 통신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케이블(200)에는, HPD(Hot Plug Detect)라고 불리는 핀에 접속된 라인(HPD 라인)이 포함되어 있다. 소스 기기는, 이 HPD 라인을 이용하여, 싱크 기기의 접속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 HPD 라인은 쌍방향통신로를 구성하는 HEAC- 라인으로서도 사용된다. 또한, 케이블(200)에는,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원 라인(+5V Power Line)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200)에는, 유틸리티 라인이 포함되어 있다. 이 유틸리티 라인은 쌍방향통신로를 구성하는 HEAC+ 라인으로서도 사용된다.
도 5는, TMDS 전송 데이터의 구조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 5는, TMDS 채널(#0 내지 #2), 또는 TMDS 채널(#0 내지 #5)에서, 가로×세로가 B 픽셀×A 라인의 화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의, 각종의 전송 데이터의 구간을 나타내고 있다. HDMI의 TMDS 채널로 전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비디오 필드(Video Field)에는, 전송 데이터의 종류에 응하여, 3종류의 구간이 존재한다. 이 3종류의 구간은, 비디오 데이터 구간(Video Data period),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Data Islandperiod), 및 컨트롤 구간(Control period)이다.
여기서, 비디오 필드 구간은, 어느 수직 동기 신호의 상승 에지(active edge)로부터 다음의 수직 동기 신호의 상승 에지까지의 구간이다. 이 비디오 필드 구간은, 수평 블랭킹 기간(horizontal blanking), 수직 블랭킹 기간(vertical blanking), 및, 액티브 비디오 구간(Active Video)으로 나눠진다. 이 액티브 비디오 구간은, 비디오 필드 구간부터, 수평 블랭킹 기간 및 수직 블랭킹 기간을 제외한 구간인 비디오 데이터 구간은, 액티브 비디오 구간에 할당된다. 이 비디오 데이터 구간에서는, 비압축의 1화면분의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B 픽셀(화소)×A 라인분의 유효 화소(Active pixel)의 데이터가 전송된다.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 및 컨트롤 구간은, 수평 블랭킹 기간 및 수직 블랭킹 기간에 할당된다. 이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 및 컨트롤 구간에서는, 보조 데이터(Auxiliary data)가 전송된다. 즉,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은, 수평 블랭킹 기간과 수직 블랭킹 기간의 일부분에 할당되어 있다. 이 데이터 아일랜드 구간에서는, 보조 데이터 중, 제어에 관계되지 않는 데이터인,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의 패킷 등이 전송된다. 컨트롤 구간은, 수평 블랭킹 기간과 수직 블랭킹 기간의 다른 부분에 할당되어 있다. 이 컨트롤 구간에서는, 보조 데이터 중의, 제어에 관계되는 데이터인, 예를 들면,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 제어 패킷 등이 전송된다.
여기서, 리셉터클(111)의 핀 어사인먼트를 설명한다. 최초에, 현행HDMI의 핀 어사인먼트(타입 A)를 설명한다. 이 현행HDMI의 핀 어사인먼트는, 제1의 핀 어사인먼트를 구성한다. 도 6(a)는, 이 현행HDMI의 핀 어사인먼트를 도시하고 있다. TMDS 채널(#i)(i=0 내지 2)의 차동 신호인 TMDS Data(#i+)와 TMDS Data(#i-)는, 차동 라인인 2개의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핀 번호가 7, 4, 1인 핀)은 TMDS Data(#i+)에 할당되고, 핀(핀 번호가 9, 6, 3인 핀)은 TMDS Data(#i-)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8, 5, 2인 핀은, TMDS Data#i Shield(i=0 내지 2)에 할당되어 있다.
TMDS 클록 채널의 차동 신호인 TMDS Clock+와 TMDS Clock-은 차동 라인인 2개의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0인 핀은 TMDS Clock+에 할당되고, 핀 번호가 12인 핀은 TMDS Clock-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1인 핀은, TMDS Clock Shield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제어용의 데이터인 CEC 신호는, CEC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3인 핀은, CEC 신호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E-EDID 등의 SDA(Serial Data) 신호는, SDA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6인 핀은, SDA 신호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SDA 신호의 송수신시의 동기에 사용되는 클록 신호인 SCL(Serial Clock) 신호는, SCL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5인 핀은, SCL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DDC 라인은, SDA 라인 및 SCL 라인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핀 번호가 19인 핀은, HPD/HEAC-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4인 핀은, 유틸리티/HEAC+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7인 핀은, DDC/CEC Ground/HEAC Shield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8인 핀은, 전원(+5V Power)에 할당되어 있다.
다음에, 신HDMI의 핀 어사인먼트를 설명한다. 이 신HDMI의 핀 어사인먼트는, 제2의 핀 어사인먼트를 구성한다. 도 6(b)는, 이 신HDMI의 핀 어사인먼트를 도시하고 있다. TMDS 채널(#i)(i=0 내지 5)의 차동 신호인 TMDS Data(#i+)와 TMDS Data(#i-)는, 차동 라인인 2개의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핀 번호가 1, 4, 7, 10, 2, 8인 핀)은 TMDS Data(#i+)에 할당되고, 핀(핀 번호가 3, 6, 9, 12, 5, 11인 핀)은 TMDS Data(#i-)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제어용의 데이터인 CEC 신호는, CEC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3인 핀은, CEC 신호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E-EDID 등의 SDA(Serial Data) 신호는, SDA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6인 핀은, SDA 신호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SDA 신호의 송수신시의 동기에 사용되는 클록 신호인 SCL(Serial Clock) 신호는, SCL 라인에 의해 전송된다. 핀 번호가 15인 핀은, SCL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DDC 라인은, SDA 라인 및 SCL 라인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핀 번호가 19인 핀은, HPD/HEAC-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4인 핀은, 유틸리티/HEAC+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7인 핀은, DDC/CEC Ground/HEAC Shield에 할당되어 있다. 또한, 핀 번호가 18인 핀은, 전원(+5V Power)에 할당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HDMI 핀 어사인먼트(도 6(b) 참조)에서는, 현행HDMI 핀 어사인먼트(도 6(a) 참조)에서 실드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는 단자(핀 번호가 2, 5, 8, 11인 핀)가, 데이터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신HDMI 핀 어사인먼트에서는, 현행HDMI 핀 어사인먼트에서 클록 신호의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는 단자(핀 번호가 10, 12인 핀)가, 데이터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다.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는, 현행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도 6(a)에 도시하는 현행HDMI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하고, 신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할 때, 도 6(b)에 도시하는 신HDMI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한다. 또한, 상술에서는 소스 기기(110)의 리셉터클(111)의 핀 어사인먼트를 설명하였다.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가 현행HDMI 및 신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싱크 기기(120)의 리셉터클(121)의 핀 어사인먼트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7(a), (b)는, 소스 기기(110)의 리셉터클(111)의 핀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는 현행HDMI의 핀 배치를 나타내고, 도 7(b)는 신HDMI의 핀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111)의 핀 어사인먼트로서 현행HDMI 핀 어사인먼트가 선택된 때, 핀 번호가 2, 5, 8, 11인 핀은, 이하의 상태가 된다. 즉, 핀 번호가 2, 5, 8, 11인 핀은, 소스 기기(110) 및 싱크 기기(120)에, 접지 상태가 된다. 또는, 핀 번호가 2, 5, 8, 11인 핀은, 싱크 기기(120)에 접지 상태, 소스 기기(110)에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된다. 또는, 핀 번호가 2, 5, 8, 11인 핀은, 싱크 기기(120)에 하이 임피던스 상태, 소스 기기(110)에 접지 상태가 된다. 또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싱크 기기(120)의 데이터 수신부(122)가 현행HDMI 및 신HDMI의 쌍방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싱크 기기(120)의 리셉터클(121)의 핀 배치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8(a)는, 케이블(200)로서 사용되는 현행HDMI 케이블의 구조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현행HDMI 케이블은, 3개의 데이터 라인 페어가 각각 특성을 얻기 위해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클록 라인 페어와, HEAC 기능을 위해 유틸리티 및 HPD의 라인 페어도,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8(b)는,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의 구조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는, 2개의 전선(3)과, 드레인선(4)이, 실드 부재(5)로 덮여진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전선(3)은, 심선(1)이 피복부(2)에 의해 덮여서 구성되어 있다.
현행HDMI 케이블에서는, 데이터 및 클록의 각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를 구성하는 드레인선은, 이 케이블의 단부에 부착된 플러그의 핀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각 드레인선은, 상술한 리셉터클(현행HDMI의 핀 배치)의 각 실드 단자(핀 번호가 2, 5, 8, 11의 실드용 핀)에 대응하는 핀(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실드 단자는 소스 기기(110) 및 싱크 기기(120)에서 접지된다. 이에 의해, 데이터 및 클록의 각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를 구성하는 드레인선은, 플러그가 리셉터클(현행HDMI의 핀 배치)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접지된 상태가 된다.
도 9는, 케이블(200)로서 사용되는 신HDMI 케이블의 구조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신HDMI 케이블은, 6개의 데이터 라인 페어가 각각 특성을 얻기 위해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HEAC 기능을 위해 유틸리티 및 HPD의 라인 페어도,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신HDMI 케이블은, 현행HDMI 케이블(도 8(a) 참조)과 비교하여, 접속하여야 할 개개의 동선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 신HDMI 케이블에서는, 케이블의 양단의 플러그의 전용 핀에 접속되어 있던 각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를 구성하는 드레인선은, 플러그의 금속제의 셸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실드용 핀이 개방되고, 플러그의 필요 핀 수의 증가가 회피되고, 신HDMI 케이블에서의 플러그는, 현행HDMI 케이블의 플러그와 동 같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실드 트위스트 페어부를 구성하는 드레인선이 플러그의 금속제의 셸에 접속되는 것에서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리셉터클의 셸이 접지 레벨과 접속되어 있음에 의해, 차동 페어 라인의 실드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0은, 케이블(200)로서 사용되는 신HDMI 케이블의 다른 구조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신HDMI 케이블은, 단면 형상을 평평하게 한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인 구조는, 상술한 도 9에 도시하는 신HDMI 케이블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와 같이 단면 형상을 평평하게 함으로써, 단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임피던스 정합을 취하기 쉬워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현행HDMI와 신HDMI의 동작 모드 제어]
다음에, 소스 기기(110)의 제어부(113)의 동작 모드 제어에 관해 또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13)는,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또한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데이터 송신부(112)를 신HDMI의 동작 모드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3)는, 그 이외의 경우, 데이터 송신부(112)를 현행HDMI의 동작 모드로 제어한다.
도 11의 플로 차트는, 제어부(113)의 동작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113)는, 스텝 ST1에서, 처리를 시작하고, 그 후에, 스텝 ST2의 처리로 이동한다. 이 스텝 ST2에서, 제어부(113)는, 소스 기기(110), 즉 데이터 송신부(112)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13)는, 자신이 존재하는 소스 기기(110)(데이터 송신부(112))의 능력 정보를 미리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판단에 관해서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에서, 소스 기기(110)는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제어부(113)는, 이 스텝 ST2의 판단 처리를 생략하여도 좋다.
소스 기기(11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제어부(113)는, 스텝 ST3에서, 싱크 기기(120), 즉 데이터 수신부(113)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제어부(113)는, 스텝 ST4의 처리로 이동한다. 이 스텝 ST4에서, 제어부(113)는,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제어부(113)는, 스텝 ST5의 처리로 이동한다. 이 스텝 ST5에서, 제어부(113)는, 데이터 송신부(112)가 신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스텝 ST2, 스텝 ST3, 스텝 ST4에서, 각각, 소스 기기(110), 싱크 기기(120),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때, 제어부(113)는, 스텝 ST6의 처리로 이동한다. 이 스텝 ST6에서, 제어부(113)는, 데이터 송신부(112)가 현행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3)는, 예를 들면, 스텝 ST3에서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 때, 최종적인 동작 모드의 판단 결과를, 케이블(200)을 통하여, 싱크 기기(120)에 송신한다. 이 판단 결과의 송신은, 예를 들면, 소스 기기(110)로부터 데이터 전송 전(前)에 인포프레임 등의 제어 정보로서 보내진다. 싱크 기기(120)에서는, 이 소스 기기(110)로부터의 동작 모드의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제어부(123)에 의해, 데이터 수신부(122)가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와 같은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제어부(113)는, 스텝 ST5에서 데이터 송신부(112)가 신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때, 그 취지를 나타내는 UI 화면을, 예를 들면,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여도 좋다. 이 UI 화면에 의해, 유저는, 소스 기기(110)와 싱크 기기(120)가 신HDMI로 접속된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UI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디스플레이)는, 소스 기기(110)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디스플레이), 또는, 싱크 기기(120)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디스플레이)이다. 이것은, 이하의 각 UI 표시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어부(113)는, 스텝 ST4에서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스텝 ST6의 처리로 이동할 때, 그 취지를 나타내는 UI 화면을, 예를 들면,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여도 좋다. 이 UI 화면에 의해, 유저는, 소스 기기(110)와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지만, 케이블(200)만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케이블(200)을 신HDMI 케이블로 교환하는 등의 대책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플로 차트의 처리 순서에서는, 제어부(113)는, 스텝 ST4에서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곧바로, 스텝 ST5로 진행하여, 데이터 송신부(112)가 신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제어부(113)는, 텝ST4에서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유저에게, 신HDMI 또는 현행HDMI(종래HDMI)의 어느 하나를 선택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그 경우, 제어부(113)는, 그를 위한 UI 화면을, 예를 들면,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부(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유저는, 이 UI 화면에 의거하여, 신HDMI 또는 현행HDMI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도 12(b)는, 「신HDMI」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113)는, 유저의 선택에 응하여, 데이터 송신부(112)가 신HDMI 또는 현행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도 13의 플로 차트는, 그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부(113)의 동작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 13에서, 도 11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13)는, 스텝 ST4에서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스텝 ST7의 처리로 진행한다. 이 스텝 ST7에서, 제어부(113)는, 신HDMI 또는 현행HDMI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UI 화면을 표시부(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 UI의 표시는 소스 기기(110)가 전송로(200)을 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하여도 좋고, 싱크 기기(120)가 자신(自身)이 표시하도록 지시하여도 좋다.
그 후, 제어부(113)는, 스텝 ST8의 처리로 이동한다. 이 스텝 ST8에서, 유저의 리모콘 등에 의한 조작을 제어부(123)는 CEC 등의 라인을 통하여 통지함에 의해, 제어부(113)는, 유저가 신HDMI 또는 현행HDMI의 어느것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유저가 신HDMI를 선택한 때, 제어부(113)는, 스텝 ST5에서, 데이터 송신부(112)가 신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유저가 현행HDMI를 선택한 때, 제어부(113)는, 스텝 ST6에서, 데이터 송신부(112)가 현행HDMI(종래HDMI)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싱크 기기의 신HDMI에의 대응 판단」
제어부(113)에서의,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이 판단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제1의 판단 방법 및 제2의 판단 방법이 있다.
「제1의 판단 방법」
제어부(113)는, 싱크 기기(120)로부터 케이블(200)의 DDC 라인(SDA 라인 및 SCL 라인)을 이용하여 판독한 EDID에 의거하여,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EDID 자체는, 포맷상에서 규정된 데이터 구조로 되어 있다. 이 EDID의 소정의 장소에, 새롭게, 싱크 기기(120)가 신HDMI(새로운 전송)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가 새롭게 정의된다고 한다.
도 14는, EDID상에 새롭게 정의되는 플래그 정보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래, EDID는 다양한 싱크 기기(120)의 능력을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체이다. 도 14는, 설명의 간단화를 위해, EDID의,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바이트만을 나타내고, 최저한으로 간소화하고 있다. 제2 비트에,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1비트의 플래그 정보 "New Rx Sink"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제1비트에,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1비트의 플래그 정보 "New Cable"이 새롭게 정의된다.
제어부(113)는, 싱크 기기(122)로부터 판독한 EDID에, 상술한 1비트의 플래그 정보 "New Rx Sink"가 존재할 때,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즉, 싱크 기기(120)가 현행HDMI에만 대응하고 있는 경우, 싱크 기기(122)로부터 판독한 EDID에, 상술한 1비트의 플래그 정보 "New Rx Sink"는 존재하지 않는다.
「제2의 판단 방법」
제어부(113)는, 싱크 기기(120)와의 사이에서, 케이블(200)을 통하여 통신을 행함으로써,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3)는, CEC 라인을 이용하여, 커맨드 베이스로,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예를 들면, 제어부(113)는, 유틸리티 라인 및 HPD 라인으로 구성되는 쌍방향 통신로(HEAC 기능)를 이용하여 싱크 기기(12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여,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예를 들면, 제어부(113)는, 전송이 유효하게 될 때까지는 미사용의 라인, 예를 들면 유틸리티 라인 등을 이용하여, 어떠한 신호의 교환을 행하여, 싱크 기기(120)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케이블의 신HDMI에의 대응 판단」
다음에, 제어부(113)에서의,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의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이 판단 방법에는, 예를 들면, 이하의 제1 내지 제4의 판단 방법이 있다. 제1 내지 제3의 판단 방법은, 케이블(200)이 신HDMI 케이블일 때, 이 케이블(200)이 갖는 정보 제공 기능을 이용하여 행하는 판단 방법이다.
「제1의 판단 방법」
이 제1의 판단 방법의 경우,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HDMI 케이블에는, 예를 들면 플러그에, LSI(Large Scale Integration)가 내장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소스 기기(110)로부터 +5V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싱크 기기(120)는, HPD를 L로 떨어뜨리고 있는 동안에 CEC 프로토콜에 의해, 이 LSI에, 출력을 요구한다. 또한, 이 경우의 싱크 기기(120)는,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 싱크 기기이다. LSI는, 싱크 기기(120)로부터의 출력 요구에 응하여, 이 LSI 내에 실장된 레지스터값(신HDMI 대응인 취지, 및 전송 가능한 데이터 대역 등의 케이블 특성 데이터)을, 싱크 기기(120)에, CEC 프로토콜로 보고한다.
싱크 기기(120)는, LSI로부터 보고된 정보를 자신의 EDID에 추기(追記)한다. 싱크 기기(120)는, 이 추기의 후에, HPD를 H로 함으로서, 소스 기기(110)에 EDID의 판독을 지시한다. 제어부(113)는, 싱크 기기(120)로부터 판독한 EDID에 의거하여,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즉, 제어부(113)는, 케이블(200)이 신HDMI 대응인 취지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때,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상술에서는, 싱크 기기(120)가 CEC 프로토콜에 의해 LSI에 출력을 요구하도록 설명하였다. 그러나, 소스 기기(110) 자체가, CEC 프로토콜에 의해 LSI에 출력을 요구하고, LSI로부터 레지스터값(신HDMI 대응인 취지, 및 전송 가능한 데이터 대역 등의 케이블 특성 데이터)의 보고를 직접 받도록 하는 것도 생각된다.
「제2의 판단 방법」
이 제2의 판단 방법의 경우에도,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HDMI 케이블에는, 예를 들면 플러그에, LSI가 내장되어 있다. 소스 기기(110)는, 예를 들면 HPD가 L로부터 H로 변화하는 타이밍에서, 싱크 기기(120)로부터, 그 능력을 나타내는 EDID를 판독하여 취득한다. 이 경우, EDID는, SDA/SCL의 라인을 사용하고, 싱크 기기(120)의 EEPROM 내에 쓰여져 있는 데이터를 시리얼 전송함에 의해, 소스측에 통지된다.
LSI는, EDID 전송 중에, EDID 정보가 전송되는 라인, 즉 SDA/SCL의 신호를 관찰한다. 그리고, LSI는,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도 14의 소정 바이트의 제1비트)가 전송될 때에, 그 비트값을,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 상태, 즉 플래그가 서 있는 상태로 변경한다. 즉, 싱크 기기(120)의 EDIDROM(EEPROM)상의 데이터는 "00000100"이지만, 전송 중에 케이블 내의 LSI가 데이터를 재기록하여, 소스 기기(110)가 수신할 때에는 "00000110"이 된다.
제어부(113)는, 싱크 기기(120)로부터 판독한 EDID에 의거하여,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즉, 제어부(113)는,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도 14의 소정 바이트의 제1비트)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도 16은, 케이블 내 LSI의 EDID 데이터 재기록 회로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LSI는, SCL 라인(line)상의 클록을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이 카운터의 카운트값에 의거하여, SDA 라인(line)상의 데이터를 재기록하는 드라이버를 갖고 있다.
「제3의 판단 방법」
이 제3의 판단 방법의 경우,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HDMI 케이블에는, 예를 들면 플러그에, 신HDMI 대응인 취지, 및 전송 가능한 데이터 대역 등의 정보를 기억한 RF 태그 칩(LSI)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소스 기기(110)의 리셉터클(111)에, RF 태그 판독 칩(LSI)이 내장된다. 이 경우, 리셉터클(111)의 RF 태그 판독 칩과 플러그의 RF 태그 칩과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이 행하여지고, RF 태그 칩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RF 태그 판독 칩에 의해 판독된다.
제어부(113)는, RF 태그 판독 칩에 의해 판독된 정보에 의거하여,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즉, 제어부(113)는, RF 태그 판독 칩에 의해 케이블(200)이 신HDMI 대응인 취지 등의 정보가 판독된 때,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상술에서는, 소스 기기(110)의 리셉터클(111)의 RF 태그 판독 칩과 플러그의 RF 태그 칩과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이 행하여지고, RF 태그 칩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스 기기(110)측에서 판독되도록 설명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면,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도 생각된다. 즉, 싱크 기기(120)의 리셉터클(121)의 RF 태그 판독 칩과 플러그의 RF 태그 칩과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이 행하여지고, RF 태그 칩에 기억 정보가 싱크 기기(120)측에서 판독되고, 그 정보가 그 후에, 소스 기기(110)측에 제공된다.
「제4의 판단 방법」
이 제4의 판단 방법의 경우, 제어부(113)는, 케이블(200)의 전기적 특성의 측정을 행함으로써,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스 기기(110)의 제어부(113)는, 핀(2)과 핀(5)에 대해 측정·검출용의 테스트 신호(디지털 신호)를 발신하고, 싱크 기기(120)의 제어부(123)가 그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현행HDMI 케이블에서는 핀(2)과 핀(5)에 접속된 한 쌍의 신호선은 차동 신호의 송신로를 구성하고 있지 않지만, 신HDMI 케이블에서는 핀(2)과 핀(5)에 접속된 한 쌍의 신호선은 차동 신호의 송신로를 구성하고 있다(도 6(a), (b) 참조).
싱크 기기(120)의 제어부(123)는,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다른 경로(예를 들면, SCL/SDA로 나타나는 HDMI의 DDC 라인, 또는 CEC 라인이나 유틸리티 라인 등)를 통하여, 소스 기기(110)측에 통지한다. 소스 기기(110)의 제어부(113)는, 싱크 기기(120)로부터 통지된 디지털 신호가, 자신이 송신한 디지털 신호와의 일치를 확인함으로써,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13)는, 수신 디지털 신호가 송신 디지털 신호와 일치할 때, 케이블(200)은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도 1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200)이 현행HDMI 케이블인 경우, 핀(2)과 핀(5)에 접속된 한 쌍의 신호선은, 실드 트위스트 페어선으로 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케이블(200)이 현행HDMI에 대응하고 있다는 판단에는, "고속의 테스트 신호는 전달할 수가 없다"라는 것이 이용된다. 이때, 핀(2)과 관련되는 핀(1) 또는 핀(3)에, 핀(2)과는 관계없는 신호를 인가함에 의해, 그 간섭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간섭에 의해, 고속의 테스트 신호는 보다 전달하기 어렵게 된다.
한편,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200)이 신HDMI 케이블인 경우, 핀(2)과 핀(5)에 접속된 한 쌍의 신호선은, 실드 트위스트 페어선이 된다. 그 때문에, 케이블(200)이 신HDMI 케이블에 대응하고 있다는 판단에는, "고속의 테스트 신호는 전달할 수 있다"라는 것이 이용된다. 이때, 핀(1) 또는 핀(3)에, 핀(2)과는 관계없는 신호가 인가되어 있다고 하여도, 그들은 독립하여 실드 처리가 시행되어 있고, 인가된 신호와 핀(2)이 간섭하는 일은 없고, 테스트 신호의 전달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여기서, 테스트 신호는, 예를 들면, 소스 기기(110)가 출력 가능한 최속(最速)의 데이터, 또한 비트 에러 레이트로서 HDMI가 보장한 10-9를 평가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긴 랜덤한 데이터가 된다. 또한, 싱크 기기(120)에는 통상 비디오 재생을 위한 프레임 버퍼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전송 테스트 전용의 메모리는 필요하지 않을지도 모르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어부(113)는, 수신 디지털 신호가 송신 디지털 신호와 일치할 때만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하였다. 제어부(113)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느리게 하고 마찬가지의 테스트를 행하고, 일치할 때까지 상술한 판단 프로세스를 반복함에 의해, 케이블의 성능을 확정하고,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지만, 그 전송 스피드 내에서 실행 가능한 만큼의 전송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현행HDMI 케이블도, 신HDMI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핀(2)과 핀(5)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핀 대신에, 현행HDMI 케이블과 신HDMI 케이블과 사이에서 이들의 핀과 마찬가지의 관계에 있는 핀(8)과 핀(11)을 이용하여도 좋다. 즉, 현행HDMI 케이블에서는 핀(8)과 핀(11)에 접속된 한 쌍의 신호선은 차동 신호의 송신로를 구성하고 있지 않지만, 신HDMI 케이블에서는 핀(8)과 핀(11)에 접속된 한 쌍의 신호선은 차동 신호의 송신로를 구성하고 있다(도 6(a), (b) 참조).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소스 기기(110)가 싱크 기기에 보낸 디지털 신호(테스트 신호)를, 그것을 수신한 싱크 기기(120)가 소스 기기(110)에 통지하고, 그 옳고 그름을 소스 기기(110)측에서 판단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싱크 기기(120)가, 보내 오는 수신 디지털 신호의 옳고 그름의 판정을 행하고, 그 결과만 CEC 등의 라인을 통하여 소스 기기(110)에 통지하여도 좋고, 자신의 E-EDID에 그 정보를 추기하여도 좋다.
[커넥터의 구조례]
도 20은, 현행의 HDMI 커넥터(플러그, 리셉터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0(a)는, 케이블(200)의 단부에 접속되는 플러그(250)와, 소스 기기(송신 장치)(110) 또는 싱크 기기(수신 장치)(120)에 구비되는 리셉터클(150)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0(b)는, 도 20(a)의, A-A'선상의 횡단면도, 즉 플러그(250)의 횡단면도이다.
플러그(250)는, 유전체(251)와, 신호전극 핀(252)과, 셸(253)을 갖고 있다. 유전체(251)는 직방체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유전체(251) 내에,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도 20(a)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이 배치되어 있다.
이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은,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도 20(a), (b)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제1의 단(상단) 및 제2의 단(하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은, 제1의 방향 및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도 20(b)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은, 리셉터클(150)과의 접속단측에서, 유전체(251)로부터 소정의 길이로써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의 단(상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은, 후술하는 리셉터클(150)의 대응하는 신호전극 핀과의 접촉 접속을 위해, 하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2의 단(하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은, 후술하는 리셉터클(150)의 대응하는 신호전극 핀과의 접촉 접속을 위해, 상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상태로 되어 있다.
유전체(251)의 외주는, 제1의 방향(도 20(a)에서는 좌우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셸(253)에 덮여 있다. 이 셸(253)은, 도체로 구성되고, 사용시에는 접지된다. 즉, 이 셸(253)은, 접지 도체를 구성한다. 또한, 이 셸(253)은, 리셉터클(150)과의 접속단측에서, 유전체(251)의 단부보다 연장되고, 이 연장부에 의해 신호전극 핀(252)의 유전체(251)로부터의 돌출부가 덮여 있다.
또한, 리셉터클(150)은, 유전체(151)와, 신호전극 핀(152)과, 셸(153)을 갖고 있다. 이 리셉터클(150)은,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플러그(250)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유전체(151)는 직방체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유전체(151) 내에,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도 20(a)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이 배치되어 있다.
이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은,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도 20(a)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제1의 단(상단) 및 제2의 단(하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은, 제1의 방향 및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도 20(b)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은, 플러그(250)와의 접속단측에서, 유전체(151)로부터 소정의 길이로써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유전체(151)의 플러그(250)와의 접속단측에는, 상술한 제3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의 단(상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은, 유전체(151)의 돌출부의 윗면에 달라붙은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2의 단(하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은, 유전체(151)의 돌출부의 하면에 달라붙은 상태로 되어 있다.
유전체(151)의 외주는, 제1의 방향(도 20(a)에서는 좌우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셸(153)에 덮여 있다. 이 셸(153)은, 도체로 구성되고, 사용시에는 접지된다. 즉, 이 셸(153)은, 접지 도체를 구성한다. 또한, 이 셸(153)은, 플러그(250)와의 접속단측에서, 유전체(151)의 단부보다 연장되고, 이 연장부에 의해 신호전극 핀(152)이 윗면, 하면에 달라붙은 유전체(151)의 돌출부가 덮여 있다.
여기서, 상술한 현행의 HDMI 커넥터(플러그, 리셉터클)의 구조에서의 신호 전송의 품질에 관해 설명한다. 최초에, 상술한 도 7(a)에 도시하는 현행HDMI의 핀 배치로 동작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송신, 수신)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도 2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P1, P2)의 배치 거리가 짧고, 또한, 이 한 쌍의 신호전극 핀(P1, P2)에 대응하는 실드용의 신호전극 핀(Pg)이 존재한다. 이 경우, 차동 신호와 실드와의 3선 구조가 되어 있고, 양호한 결합을 실현할 수 있어서, 양호한 신호 품질로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도 22(a)는, TMDS 채널(#0 내지 #2)의 각각으로 리셉터클(150) 및 플러그(250)를 통하여 4Gbps의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에 있어서, 플러그(250)의 출력측에서의 TMDS 채널(#2, #1)의 데이터 관측 파형(波形)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data2」는 TMDS 채널(#2)의 데이터를 나타내고, 핀 번호 1 내지 3의 신호전극 핀이 사용되어 전송된다(도 6(a), 도 7(a) 참조). 또한, 「data1」은 TMDS 채널(#1)의 데이터를 나타내고, 핀 번호 4 내지 6의 신호전극 핀이 사용되어 전송된다(도 6(a), 도 7(a) 참조).
다음에, 상술한 도 7(b)에 도시하는 신HDMI의 핀 배치로 동작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송신, 수신)이 곤란해진다. 이 경우, 도 2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P1, P2)에 대응하는 실드용의 신호전극 핀(Pg)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각 한 쌍의 신호전극 핀(P1, P2) 사이의 결합이 약해진다. 특히, 현행HDMI의 핀 배치에서의 실드용의 신호전극 핀(Pg)을 전용(轉用)한 한 쌍의 신호전극 핀(P1, P2)의 경우, 그들의 배치 거리가 길어, 한 쌍의 신호전극 핀(P1, P2) 사이의 결합은 매우 약해진다. 따라서 각 한 쌍의 신호전극 핀(P1, P2)에서, 전자계적으로 다른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의 간섭이 커지고, 즉,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가 많아져서,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이 곤란해진다.
도 22(b)는, TMDS 채널(#0 내지 #5)의 각각에서 리셉터클(150) 및 플러그(250)를 통하여 4Gbps의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에 있어서, 플러그(250)의 출력측에서의 TMDS 채널(#0, #4, #1)의 데이터 관측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data0」은 TMDS 채널(#0)의 데이터를 나타내고, 핀 번호 1, 3의 신호전극 핀이 사용되어 전송된다(도 6(b), 도 7(b) 참조). 또한, 「data4」는 TMDS 채널(#4)의 데이터를 나타내고, 핀 번호 2, 5의 신호전극 핀이 사용되어 전송된다(도 6(b), 도 7(a) 참조). 또한, 「data1」은 TMDS 채널(#1)의 데이터를 나타내고, 핀 번호 4, 6의 신호전극 핀이 사용되어 전송된다(도 6(b), 도 7(b) 참조).
이 TMDS 채널(#0, #4, #1)의 데이터 관측 파형은, 도 22(a)에 도시하는 데이터 관측 파형에 비하면, 파형이 열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TMDS 채널(#4)의 데이터「data4」뿐만 아니라, TMDS 채널(#0, #1)의 데이터「data0」, 「data1」에 관해서도,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에 의해, 파형이 크게 열화되어 있다.
도 22(c)는, TMDS 채널(#4)의 한 쌍의 신호전극 핀(P1, P2)에서 관측되는 크로스토크 관측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TMDS 채널(#4)을 제외하고, TMDS 채널(#0 내지 #3, #5)의 각각에서 리셉터클(150) 및 플러그(250)를 통하여 4Gbps의 데이터를 전송한 상태에서 관측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행의 HDMI 커넥터(플러그, 리셉터클)의 구조에서는, 신HDMI의 핀 배치로 동작하는 경우에,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송신, 수신)이 곤란해진다. 이하, HDMI 커넥터의 개량 구조의 한 예(개량 구조례 1 내지 개량 구조례 4)에 관해 설명한다.
「개량 구조례 1」
도 23은, HDMI 커넥터(플러그, 리셉터클)의 개량 구조례 1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3(a)는, 케이블(200)의 단부에 접속되는 플러그(250A)와, 소스 기기(송신 장치)(110) 또는 싱크 기기(수신 장치)(120)에 구비되는 리셉터클(150A)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3(b)는, 도 23(a)의, A-A'선상의 횡단면도, 즉 플러그(250A)의 횡단면도이다. 이 도 23에서, 도 20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있다.
플러그(250A)는, 유전체(251)와, 신호전극 핀(252)과, 셸(253)과, 접지 플레인(254)을 갖고 있다. 유전체(251)는 직방체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유전체(251) 내에,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도 23(a)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이 배치되어 있다.
이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은,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도 23(a), (b)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제1의 단(상단) 및 제2의 단(하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은, 제1의 방향 및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도 23(b)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은, 리셉터클(150A)과의 접속단측에서, 유전체(251)로부터 소정의 길이로써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의 단(상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은, 후술하는 리셉터클(150A)의 대응하는 신호전극 핀과의 접촉 접속을 위해, 하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2의 단(하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은, 후술하는 리셉터클(150A)의 대응하는 신호전극 핀과의 접촉 접속을 위해, 상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유전체(251) 내에, 박판형상의 접지 플레인(254)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접지 플레인(254)은, 제1의 단(상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과, 제2의 단(하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접지 플레인(254)은, 도체로 구성되고, 사용시에는 접지된다. 예를 들면, 이 접지 플레인(254)은, 상술한 제3의 방향(도 23(b)에서는 좌우 방향)에서, 후술하는 셸(25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유전체(251)의 외주는, 제1의 방향(도 23(a)에서는 좌우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셸(253)에 덮여 있다. 이 셸(253)은, 도체로 구성되고, 사용시에는 접지된다. 즉, 이 셸(253)은, 접지 도체를 구성한다. 또한, 이 셸(253)은, 리셉터클(150A)과의 접속단측에서, 유전체(251)의 단부보다 연장되고, 이 연장부에 의해 신호전극 핀(252)의 유전체(251)로부터의 돌출부가 덮여 있다.
또한, 리셉터클(150A)은, 유전체(151)와, 신호전극 핀(152)과, 셸(153)과, 접지 플레인(154)을 갖고 있다. 이 리셉터클(150A)은,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플러그(250A)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유전체(151)는 직방체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유전체(151) 내에,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도 23(a)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이 배치되어 있다.
이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은,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도 23(a)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제1의 단(상단) 및 제2의 단(하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은, 제1의 방향 및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도 23(b)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은, 플러그(250A)와의 접속단측에서, 유전체(151)로부터 소정의 길이로써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유전체(151)의 플러그(250A)와의 접속단측에는, 상술한 제3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의 단(상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은, 유전체(151)의 돌출부의 윗면에 달라붙은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2의 단(하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은, 유전체(151)의 돌출부의 하면에 달라붙은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유전체(151) 내에, 박판형상의 접지 플레인(154)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접지 플레인(154)은, 제1의 단(상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과, 제2의 단(하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접지 플레인(154)은, 도체로 구성되고, 사용시에는 접지된다. 예를 들면, 이 접지 플레인(154)은, 상술한 제3의 방향(도 23(b)에서는 좌우 방향)에서, 후술하는 셸(15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유전체(151)의 외주는, 제1의 방향(도 23(a)에서는 좌우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셸(153)에 덮여 있다. 이 셸(153)은, 도체로 구성되고, 사용시에는 접지된다. 즉, 이 셸(153)은, 접지 도체를 구성한다. 또한, 이 셸(153)은, 플러그(250A)와의 접속단측에서, 유전체(151)의 단부보다 연장되고, 이 연장부에 의해 신호전극 핀(152)이 윗면, 하면에 달라붙은 유전체(151)의 돌출부가 덮여 있다.
도 23에 도시하는 HDMI 커넥터의 개량 구조례 1에서는, 플러그(250A), 리셉터클(150A)의 유전체(251, 151) 내에 접지 플레인(254, 154)이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250A), 리셉터클(150A)에서, 제1의 단(상단)의 신호전극 핀(252, 152)과 제2의 단(하단)의 신호전극 핀(252, 152)이, 이 접지 플레인(254, 154) 으로 분리되어, 그들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하는 현행의 HDMI 커넥터(플러그, 리셉터클)에 비하여,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에서,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삭감할 수가 있어서,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도 27(b)는, TMDS 채널(#0 내지 #5)의 각각으로 리셉터클(150A) 및 플러그(250A)를 통하여 4Gbps의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에 있어서, 플러그(250A)의 출력측에서의 TMDS 채널(#0, #4, #1)의 데이터 관측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7(a)는, 상술한 도 22(b)와 마찬가지로, 현행의 HDMI 커넥터의 구조(도 20 참조)에서의 TMDS 채널(#0, #4, #1)의 데이터 관측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7(b)에 도시하는 TMDS 채널(#0, #4, #1)의 데이터 관측 파형은, 도 27(a)에 도시하는 데이터 관측 파형에 비하면, 파형 열화가 개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8(b)는, TMDS 채널(#4)의 한 쌍의 신호전극 핀(P1, P2)에서 관측되는 크로스토크 관측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TMDS 채널(#4)을 제외하고, TMDS 채널(#0 내지 #3, #5)의 각각으로 리셉터클(150A) 및 플러그(250A)를 통하여 4Gbps의 데이터를 전송한 상태에서 관측한 것이다. 도 28(a)는, 상술한 도 22(c)와 마찬가지로, 현행의 HDMI 커넥터의 구조(도 20 참조)에서의 TMDS 채널(#4)의 한 쌍의 신호전극 핀(P1, P2)에서 관측되는 크로스토크 관측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8(b)에 도시하는 TMDS 채널(#4)의 크로스토크 관측 파형은, 도 28(a)에 도시하는 크로스토크 관측 파형에 비하면, 그 레벨이 작아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개량 구조례 2」
도 24는, HDMI 커넥터(플러그, 리셉터클)의 개량 구조례 2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4(a)는, 케이블(200)의 단부에 접속되는 플러그(250B)와, 소스 기기(송신 장치)(110) 또는 싱크 기기(수신 장치)(120)에 구비되는 리셉터클(150B)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4(b)는, 도 24(a)의, A-A'선상의 횡단면도, 즉 플러그(250B)의 횡단면도이다. 이 도 24에서, 도 23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그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플러그(250B)는, 유전체(251)와, 신호전극 핀(252)과, 셸(253)과, 접지 플레인(254)과, 접속 도체로서의 비아(via)(255)를 갖고 있다. 이 플러그(250B)에서는, 유전체(251) 내에, 접지 플레인(254)과 셸(25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비아(255), 즉 도금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비아(255)는, 제1의 단(상단)의 각 신호전극 핀(252)의 사이, 및, 제2의 단(하단)의 각 신호전극 핀(252)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플러그(250B)의 그 밖은, 도 23에 도시하는 개량 구조례 1에서의 플러그(250A)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150B)은, 유전체(151)와, 신호전극 핀(152)과, 셸(153)과, 접지 플레인(154)과, 접속 도체로서의 비아(via)(155)를 갖고 있다. 이 리셉터클(150B)에서는, 유전체(151) 내에, 접지 플레인(154)과 셸(15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비아(155), 즉 도금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비아(155)는, 제1의 단(상단)의 각 신호전극 핀(152)의 사이, 및, 제2의 단(하단)의 각 신호전극 핀(152)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리셉터클(150B)의 그 밖은, 도 23에 도시하는 개량 구조례 1에서의 리셉터클(150A)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하는 HDMI 커넥터의 개량 구조례 2에서는, 플러그(250B), 리셉터클(150B)의 유전체(251, 151) 내에 접지 플레인(254, 154)이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250B), 리셉터클(150B)에서, 제1의 단(상단)의 신호전극 핀(252, 152)과 제2의 단(하단)의 신호전극 핀(252, 152)이, 이 접지 플레인(254, 154)으로 분리되어, 그들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또한, 이 개량 구조례 2에서는, 플러그(250B), 리셉터클(150B)의 유전체(251, 151) 내에 비아(255, 155)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250B), 리셉터클(150B)에서, 각 단의 신호전극 핀(252, 152)의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따라서 이 개량 구조례 2에서는,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에서,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상술한 도 23에 도시하는 개량 구조례 1보다도 더욱 삭감할 수가 있어서, 보다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도 27(c)는, TMDS 채널(#0 내지 #5)의 각각으로 리셉터클(150B) 및 플러그(250B)를 통하여 4Gbps의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에 있어서, 플러그(250B)의 출력측에서의 TMDS 채널(#0, #4, #1)의 데이터 관측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7(c)에 도시하는 TMDS 채널(#0, #4, #1)의 데이터 관측 파형은, 상술한 개량 구조례 1(도 23 참조)의 도 27(b)에 도시하는 데이터 관측 파형에 비하면, 파형 열화가 더욱 개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8(c)는, TMDS 채널(#4)의 한 쌍의 신호전극 핀(P1, P2)에서 관측되는 크로스토크 관측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TMDS 채널(#4)을 제외하고, TMDS 채널(#0 내지 #3, #5)의 각각으로 리셉터클(150B) 및 플러그(250B)를 통하여 4Gbps의 데이터를 전송한 상태에서 관측한 것이다. 도 28(c)에 도시하는 TMDS 채널(#4)의 크로스토크 관측 파형은, 상술한 개량 구조례 1(도 23 참조)의 도 28(b)에 도시하는 크로스토크 관측 파형에 비하면, 그 레벨이 더욱 작아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개량 구조례 3」
도 25는, HDMI 커넥터(플러그, 리셉터클)의 개량 구조례 3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5(a)는, 케이블(200)의 단부에 접속되는 플러그(250C)와, 소스 기기(송신 장치)(110) 또는 싱크 기기(수신 장치)(120)에 구비되는 리셉터클(150C)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5(b)는, 도 25(a)의, A-A'선상의 횡단면도, 즉 플러그(250C)의 횡단면도이다. 이 도 25에서, 도 20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그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플러그(250C)는, 유전체(251)와, 신호전극 핀(252)과, 셸(253)을 갖고 있다. 유전체(251)는 직방체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유전체(251) 내에,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도 25(a)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이 배치되어 있다.
이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은,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도 25(a), (b)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제1의 단(상단) 및 제2의 단(하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은, 제1의 방향 및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도 25(b)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은, 리셉터클(150C)과의 접속단측에서, 유전체(251)로부터 소정의 길이로써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1의 단(상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은, 후술하는 리셉터클(150C)의 대응하는 신호전극 핀과의 접촉 접속을 위해, 하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2의 단(하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은, 후술하는 리셉터클(150C)의 대응하는 신호전극 핀과의 접촉 접속을 위해, 상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상태로 되어 있다.
유전체(251)의 외주는, 제1의 방향(도 25(a)에서는 좌우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셸(253)에 덮여 있다. 이 셸(253)은, 도체로 구성되고, 사용시에는 접지된다. 즉, 이 셸(253)은, 접지 도체를 구성한다. 또한, 이 셸(253)은, 리셉터클(150C)과의 접속단측에서, 유전체(251)의 단부보다 연장되고, 이 연장부에 의해 신호전극 핀(252)의 유전체(251)로부터의 돌출부가 덮여 있다.
이 플러그(250C)에서, 제1의 단(상단)의 각 신호전극 핀(252) 및 제2의 단(하단)의 각 신호전극 핀(252)은, 도 20에 도시하는 현행HDMI 커넥터의 구조와 비교하여, 셸(253)에 근접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신호전극 핀(252)은 셸(253)에 결합되어,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된다. 즉, 전파되는 신호의 전자계가 신호전극 핀(252)의 각각과 셸(253)과의 사이에 분포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해, 신호전극 핀(252)의 각각은 셸(253)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된다. 신호전극 핀(252)의 리셉터클(150C)과의 접속단측의 유전체(251)로부터의 돌출부에 관해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돌출부의 절곡 각도에 따라서, 후술하는 셸(253)에 후육부가 형성됨으로써, 셸(253)에 근접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150C)은, 유전체(151)와, 신호전극 핀(152)과, 셸(153)을 갖고 있다. 이 리셉터클(150C)은,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플러그(250C)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유전체(151)는 직방체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유전체(151) 내에,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도 25(a)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이 배치되어 있다.
이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은,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도 25(a)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제1의 단(상단) 및 제2의 단(하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은, 제1의 방향 및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도 25(b)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은, 플러그(250C)와의 접속단측에서, 유전체(151)로부터 소정의 길이로써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유전체(151)의 플러그(250C)와의 접속단측에는, 상술한 제3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의 단(상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은, 유전체(151)의 돌출부의 윗면에 달라붙은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2의 단(하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은, 유전체(151)의 돌출부의 하면에 달라붙은 상태로 되어 있다.
유전체(151)의 외주는, 제1의 방향(도 25(a)에서는 좌우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셸(153)에 덮여 있다. 이 셸(153)은, 도체로 구성되고, 사용시에는 접지된다. 즉, 이 셸(153)은, 접지 도체를 구성한다. 또한, 이 셸(153)은, 플러그(250C)와의 접속단측에서, 유전체(151)의 단부보다 연장되고, 이 연장부에 의해 신호전극 핀(152)이 윗면, 하면에 달라붙은 유전체(151)의 돌출부가 덮여 있다.
이 리셉터클(150C)에서, 셸(153)은, 도 20에 도시하는 현행HDMI 커넥터의 구조와 비교하여, 플러그(250C)의 삽입부를 제외하고,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의 단(상단)의 각 신호전극 핀(152) 및 제2의 단(하단)의 각 신호전극 핀(152)과 셸(153)과의 거리가 단축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각 신호전극 핀(152)은 셸(153)에 결합되어,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된다. 즉, 전파되는 신호의 전자계가 신호전극 핀(152)의 각각과 셸(153)과의 사이에 분포하도록 결합시키기 위해, 신호전극 핀(152)의 각각은 셸(153)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된다.
도 25에 도시하는 HDMI 커넥터의 개량 구조례 3에서는, 플러그(250C), 리셉터클(150C)의 신호전극 핀(252, 152)의 각각은 셸(253, 153)에 결합되어,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된다. 그 때문에,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P1, P2)에서, 결합이 취하여지지 않은 상태, 또는, 대응한 실드용의 신호전극 핀이 없는 상태라도,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삭감할 수가 있어서,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도 2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P1, P2)의 각각은 셸과 결합된다. 그 때문에, 각 한 쌍의 신호전극 핀(P1, P2)에서, 전자계적으로 다른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의 간섭이 대폭적으로 감소하고, 즉,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가 대폭적으로 감소하고,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도 27(d)는, TMDS 채널(#0 내지 #5)의 각각으로 리셉터클(150C) 및 플러그(250C)를 통하여 4Gbps의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에 있어서, 플러그(250C)의 출력측에서의 TMDS 채널(#0, #4, #1)의 데이터 관측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7(d)에 도시하는 TMDS 채널(#0, #4, #1)의 데이터 관측 파형은, 상술한 도 27(a)에 도시하는 현행의 HDMI 커넥터 구조의 데이터 관측 파형에 비하면, 파형 열화가 대폭적으로 개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8(d)는, TMDS 채널(#4)의 한 쌍의 신호전극 핀(P1, P2)에서 관측되는 크로스토크 관측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TMDS 채널(#4)을 제외하고, TMDS 채널(#0 내지 #3, #5)의 각각으로 리셉터클(150C) 및 플러그(250C)를 통하여 4Gbps의 데이터를 전송한 상태에서 관측한 것이다. 도 28(d)에 도시하는 TMDS 채널(#4)의 크로스토크 관측 파형은, 상술한 도 28(a)에 도시하는 현행의 HDMI 커넥터 구조의 크로스토크 관측 파형에 비하면, 그 레벨이 대폭적으로 작아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개량 구조례 4」
도 26은, HDMI 커넥터(플러그, 리셉터클)의 개량 구조례 4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6(a)는, 케이블(200)의 단부에 접속되는 플러그(250D)와, 소스 기기(송신 장치)(110) 또는 싱크 기기(수신 장치)(120)에 구비되는 리셉터클(150D)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6(b)는, 도 26(a)의, A-A'선상의 횡단면도, 즉 플러그(250D)의 횡단면도이다. 이 도 26에서, 도 25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그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플러그(250D)는, 유전체(251)와, 신호전극 핀(252)과, 셸(253)과, 접지 플레인(254)과, 비아(via)(255)를 갖고 있다. 이 플러그(250D)에서는, 유전체(251) 내에, 박판형상의 접지 플레인(254)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접지 플레인(254)은, 제1의 단(상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과, 제2의 단(하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252)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접지 플레인(254)은, 도체로 구성되고, 사용시에는 접지된다. 예를 들면, 이 접지 플레인(254)은, 상술한 제3의 방향(도 26(b)에서는 좌우 방향)에서 셸(25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이 플러그(250D)에서는, 유전체(251) 내에, 접지 플레인(254)과 셸(25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비아(255), 즉 도금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비아(255)는, 제1의 단(상단)의 각 신호전극 핀(252)의 사이, 및, 제2의 단(하단)의 각 신호전극 핀(252)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플러그(250D)의 그 밖은, 도 25에 도시하는 개량 구조례 3에서의 플러그(250C)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150D)은, 유전체(151)와, 신호전극 핀(152)과, 셸(153)과, 접지 플레인(154)과, 비아(via)(155)를 갖고 있다. 이 리셉터클(150D)에서는, 유전체(151) 내에, 박판형상의 접지 플레인(154)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접지 플레인(154)은, 제1의 단(상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과, 제2의 단(하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152)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접지 플레인(154)은, 도체로 구성되고, 사용시에는 접지된다. 예를 들면, 이 접지 플레인(154)은, 상술한 제3의 방향(도 26(b)에서는 좌우 방향)에서 셸(15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리셉터클(150D)에서는, 유전체(151) 내에, 접지 플레인(154)과 셸(15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비아(155), 즉 도금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비아(155)는, 제1의 단(상단)의 각 신호전극 핀(152)의 사이, 및, 제2의 단(하단)의 각 신호전극 핀(152)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리셉터클(150D)의 그 밖은, 도 25에 도시하는 개량 구조례 3에서의 리셉터클(150C)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6에 도시하는 HDMI 커넥터의 개량 구조례 4에서는, 도 25의 개량 구조례 3과 마찬가지로, 플러그(250D), 리셉터클(150D)의 신호전극 핀(252, 152)의 각각은 셸(253, 153)에 결합되어,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된다. 그 때문에,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P1, P2)에서, 결합이 취하여지지 않은 상태라도, 또는, 대응한 실드용의 신호전극 핀이 없는 상태라도,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이 개량 구조례 4에서는, 플러그(250D), 리셉터클(150D)의 유전체(251, 151) 내에 접지 플레인(254, 154)이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250D), 리셉터클(150D)에서, 제1의 단(상단)의 신호전극 핀(252, 152)과 제2의 단(하단)의 신호전극 핀(252, 152)이, 이 접지 플레인(254, 154)으로 분리되어, 그들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또한, 이 개량 구조례 4에서는, 플러그(250D), 리셉터클(150D)의 유전체(251, 151) 내에 비아(255, 155)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250D), 리셉터클(150D)에서, 각 단의 신호전극 핀(252, 152)의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삭감된다. 따라서 이 개량 구조례 4에서는, 차동 신호를 전송하는 한 쌍의 신호전극 핀에서, 다른 신호전극 핀으로부터의 크로스토크를, 상술한 도 25에 도시하는 개량 구조례 3보다도 더욱 삭감할 수가 있어서, 보다 고품질의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도 27(e)는, TMDS 채널(#0 내지 #5)의 각각으로 리셉터클(150D) 및 플러그(250D)를 통하여 4Gbps의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에 있어서, 플러그(250B)의 출력측에서의 TMDS 채널(#0, #4, #1)의 데이터 관측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7(e)에 도시하는 TMDS 채널(#0, #4, #1)의 데이터 관측 파형은, 상술한 개량 구조례 3(도 25 참조)의 도 27(d)에 도시하는 데이터 관측 파형에 비하면, 파형 열화가 더욱 개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8(e)는, TMDS 채널(#4)의 한 쌍의 신호전극 핀(P1, P2)에서 관측되는 크로스토크 관측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TMDS 채널(#4)을 제외하고, TMDS 채널(#0 내지 #3, #5)의 각각으로 리셉터클(150D) 및 플러그(250D)를 통하여 4Gbps의 데이터를 전송한 상태에서 관측한 것이다. 도 28(e)에 도시하는 TMDS 채널(#4)의 크로스토크 관측 파형은, 상술한 개량 구조례 3(도 25 참조)의 도 28(d)에 도시하는 크로스토크 관측 파형에 비하면, 그 레벨이 더욱 작아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4, 도 26에 도시하는 HDMI 커넥터의 개량 구조례 2, 4에서는, 플러그(250B, 250D), 리셉터클(150B, 150D)에서, 비아(255, 155)에 의해 접지 플레인(254, 154)과 셸(253, 153)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때문에, 도 23, 도 25에 도시하는 개량 구조례 1, 3과 비교하여, 동상(同相) 성분의 리턴 경로를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가 있어서, 차동 신호에 대해 큰 부정합(不整合)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9(a)는, 도 23, 도 25에 도시하는 개량 구조례 1, 3과 같이 비아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차동 신호(D+, D-)에 대한 동상 성분의 리턴 경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셸에 따른 우회 경로가 되기 때문에, 차동 신호(D+, D-)에 큰 부정합이 된다. 이에 대해, 도 29(b)는, 도 24, 도 26에 도시하는 개량 구조례 2, 4와 같이 비아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차동 신호(D+, D-)에 대한 동상 성분의 리턴 경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어 및 접지 플레인을 통과하는 단축 경로가 된다. 이에 의해, 특히, 도 26에 도시하는 개량 구조례 4에서는, 현행의 HDMI 전송과 거의 동등한 전송 신호 품질의 확보가 가능해진다.
[개조 구조 커넥터의 제조 방법례]
다음에, 상술한 개조 구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는, 상술한 개조 구조례 4의 커넥터(도 26 참조)의 제조 방법에 관해 기술한다. 개조 구조례 1 내지 3의 커넥터(도 23 내지 도 25 참조)에 관해서는, 개조 구조례 4의 커넥터와 마찬가지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0(a)는, 도 26(a)와 마찬가지로, 플러그(250D)와 리셉터클(150D)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1(a)는, 도 26(b)와 마찬가지로, 플러그(250D)의 횡단면도이다. 개조 구조례 4의 커넥터(플러그(250D), 리셉터클(150D))은, 도 30(b), 도 3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셸의 내부는, 부품(1) 내지 부품(4)의 4종류의 부품으로 분할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셸의 내부는, 이들 부품(1) 내지 부품(4)을 조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부품(1)은, 도 32,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셸과 부품(4)의 전극을 접속하는 도체(GND 도체)이다. 또한, 부품(2)은, 도 32,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품(1)과 부품(3)을 삽입하는 구멍이 있는 유전체이다. 또한, 부품(3)은, 도 32,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전극 핀이다. 또한, 부품(4)은, 도 32,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품(1)을 통하여 상하의 셸을 접속하기 위한 다층 기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셸의 내부를 부품(1) 내지 부품(4)의 4종류의 부품으로 분할하고, 이들을 조합시켜서 제조함으로써, 커넥터(플러그(250D), 리셉터클(150D))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하는 AV 시스템(100)에서는, 소스 기기(110)의 데이터 송신부(112)는 현행HDMI의 동작 모드 외에, 신HDMI 모드의 동작 모드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동 신호 채널은, 현행HDMI에서는 3채널이지만, 신HDMI에서는 6채널이다. 그 때문에, 신HDMI가 사용됨으로써, 높은 데이터 레이트로의 신호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싱크 기기(120), 케이블(200)이 신HDMI에 대응하지 않을 때, 현행HDMI(종래HDMI)가 사용됨으로써, 후방 호환성이 확보된다.
<2. 변형례>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이, 현행HDMI 케이블(종래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과 같은 것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을, 현행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을 다르게 하여,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의 한쪽이 신HDMI에 대응하지 않을 때, 이들이 신HDMI 케이블로 접속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4(a)는 현행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을 도시하고, 도 34(b)는 현행HDMI에만 대응한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도 34(c)는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을 도시하고, 도 34(d)는 신HDMI에 대응한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의 형상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5(a)는 현행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 35(b)는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에는 볼록부(화살표(P)로 가리키고 있다)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신HDMI에 대응하는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에는, 플러그의 볼록부에 대응한 오목부(화살표(Q)로 가리키고 있다)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신HDMI에 대응한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의 형상은,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에 합치하고, 현행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 및 신HDMI에 대응하는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의 형상을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신HDMI 케이블은, 신HDMI에 대응하는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신HDMI 케이블은, 현행HDMI에만 대응한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에는 접속할 수가 없게 된다. 이에 의해,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의 한쪽이 신HDMI에 대응하지 않을 때, 이들 신HDMI 케이블로 접속된다는 일은 없어진다. 즉,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의 쌍방이 신HDMI에 대응하고 있을 때에만, 신HDMI 케이블에 의해, 이들의 접속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HDMI에도 대응한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의 형상은, 신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에 합치하고, 현행HDMI 케이블의 플러그의 형상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현행HDMI 케이블은, 현행HDMI에만 대응한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뿐만 아니라, 신HDMI에 대응한 소스 기기나 싱크 기기의 리셉터클에도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 현행HDMI에서의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동 신호 채널이 3채널임에 대하여, 신HDMI로서 그 차동 신호 채널이 6채널인 것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동 신호 채널의 수는 6채널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4채널, 5채널, 나아가서는 7채널 등도 생각된다. 예를 들면, 비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차동 신호 채널을 5채널로 하고, 클록 주파수를 1.2배 정도로 고속화함으로써, 6채널로 한 경우와 동등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 본 발명을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가 HDMI 규격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접속되는 AV 시스템에 적용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밖의 마찬가지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접속되는 AV 시스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AV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81 : HDMI 트랜스미터
82 : HDMI 레시버
100 : AV 시스템
110 : 소스 기기
111 : 리셉터클
112 : 데이터 송신부
113 : 제어부
120 : 싱크 기기
121 : 리셉터클
122 : 데이터 수신부
123 : 제어부
150, 150A 내지 150D : 플러그
151 : 유전체
152 : 신호전극 핀
153 : 셸
154 : 접지 플레인
155 : 비아
200 : 케이블
201, 202 : 플러그
250, 250A 내지 250D : 리셉터클
251 : 유전체
252 : 신호전극 핀
253 : 셸
254 : 접지 플레인
255 : 비아

Claims (14)

  1.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내에,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대응하고, 상기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신호전극 핀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의 외주가, 상기 제1의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접지 도체로 덮여서 이루어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신호전극 핀의 각각은 상기 접지 도체에 결합하도록 그 접지 도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대응한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제1의 단 및 제2의 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 및 상기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상기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상기 접지 플레인과 상기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내에,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대응하고, 상기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신호전극 핀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의 외주가, 상기 제1의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접지 도체로 덮여서 이루어지는 커넥터로서,
    상기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대응한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제1의 단 및 제2의 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 및 상기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상기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상기 접지 플레인과 상기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에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의해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고, 단부에 플러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케이블로서,
    상기 플러그는,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내에, 상기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대응하고, 상기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신호전극 핀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의 외주가, 상기 제1의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접지 도체로 덮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전극 핀의 각각은 상기 접지 도체에 결합하도록 그 접지 도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대응한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제1의 단 및 제2의 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 및 상기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상기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상기 접지 플레인과 상기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6.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 장치에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의해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고, 단부에 플러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케이블로서,
    상기 플러그는,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내에, 상기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대응하고, 상기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신호전극 핀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의 외주가, 상기 제1의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접지 도체로 덮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대응한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제1의 단 및 제2의 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 및 상기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상기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상기 접지 플레인과 상기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7. 외부 기기에, 차동 신호에 의해, 케이블을 통하여,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제1의 수로 하는 제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상기 제1의 수보다도 큰 제2의 수로 하는 제2의 동작 모드를 갖는 디지털 신호 송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 및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2의 동작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모드 판단부와,
    상기 동작 모드 판단부의 판단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케이블의 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신호전극 핀을 갖는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1의 동작 모드에서 제1의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하고, 상기 제2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의 핀 어사인먼트로 디지털 신호 및/또는 클록 신호의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에 대응한 실드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는 단자를,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로서 이용하는, 상기 제1의 핀 어사인먼트와는 다른 제2의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내에, 상기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상기 복수의 신호전극 핀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의 외주가, 상기 제1의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접지 도체로 덮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전극 핀의 각각은 상기 접지 도체에 결합하도록 그 접지 도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제1의 단 및 제2의 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 및 상기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상기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상기 접지 플레인과 상기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9. 외부 기기에, 차동 신호에 의해, 케이블을 통하여,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제1의 수로 하는 제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상기 제1의 수보다도 큰 제2의 수로 하는 제2의 동작 모드를 갖는 디지털 신호 송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 및 상기 케이블이 상기 제2의 동작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모드 판단부와,
    상기 동작 모드 판단부의 판단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케이블의 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신호전극 핀을 갖는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1의 동작 모드에서 제1의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하고, 상기 제2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의 핀 어사인먼트로 디지털 신호 및/또는 클록 신호의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에 대응한 실드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는 단자를,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로서 이용하는, 상기 제1의 핀 어사인먼트와는 다른 제2의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내에, 상기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상기 복수의 신호전극 핀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의 외주가, 상기 제1의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접지 도체로 덮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제1의 단 및 제2의 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 및 상기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상기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상기 접지 플레인과 상기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0. 외부 기기로부터, 차동 신호에 의해, 케이블을 통하여,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제1의 수로 하는 제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상기 제1의 수보다도 큰 제2의 수로 하는 제2의 동작 모드를 갖는 디지털 신호 수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제2의 동작 모드의 어느것을 선택하여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동작 모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케이블의 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신호전극 핀을 갖는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수신부는, 상기 제1의 동작 모드에서 제1의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하고, 상기 제2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의 핀 어사인먼트로 디지털 신호 및/또는 클록 신호의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에 대응한 실드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는 단자를,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로서 이용하는, 상기 제1의 핀 어사인먼트와는 다른 제2의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내에, 상기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상기 복수의 신호전극 핀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의 외주가, 상기 제1의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접지 도체로 덮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전극 핀의 각각은 상기 접지 도체에 결합하도록 그 접지 도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차동 신호가 싱글 엔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제1의 단 및 제2의 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 및 상기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상기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상기 접지 플레인과 상기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2. 외부 기기로부터, 차동 신호에 의해, 케이블을 통하여,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제1의 수로 하는 제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차동 신호의 채널 수를 상기 제1의 수보다도 큰 제2의 수로 하는 제2의 동작 모드를 갖는 디지털 신호 수신부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1의 동작 모드 및 상기 제2의 동작 모드의 어느것을 선택하여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동작 모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 수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와,
    상기 케이블의 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신호전극 핀을 갖는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수신부는, 상기 제1의 동작 모드에서 제1의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하고, 상기 제2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제1의 핀 어사인먼트로 디지털 신호 및/또는 클록 신호의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에 대응한 실드 단자로서 이용되고 있는 단자를,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차동 신호의 신호 단자로서 이용하는, 상기 제1의 핀 어사인먼트와는 다른 제2의 핀 어사인먼트를 선택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내에, 상기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상기 복수의 신호전극 핀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의 외주가, 상기 제1의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접지 도체로 덮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제1의 단 및 제2의 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 및 상기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상기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상기 접지 플레인과 상기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3. 직방체형상의 유전체 내에, 소정 채널 수의 차동 신호에 대응하고, 상기 직방체의 소정의 축방향인 제1의 방향으로 늘어나는 복수의 신호전극 핀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의 외주가, 상기 제1의 방향이 개방된 각통형상의 접지 도체로 덮여지고,
    상기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과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제1의 단 및 제2의 단으로 나누어서 배치되고,
    각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은, 상기 제1의 방향 및 상기 제2의 방향에 직교하는 제3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신호전극 핀의 각각은 상기 접지 도체에 결합하도록 그 접지 도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신호 전송 모드가 싱글 모드가 되고,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제1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 상기 제2의 단의 복수의 신호전극 핀과의 사이에 접지 플레인이 배치됨과 함께, 상기 유전체 내의 상기 각 단의 각 신호전극 핀의 사이에 상기 접지 플레인과 상기 접지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도체가 배치되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접지 도체의 내부를, 복수의 부품을 조합시킴으로써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품은,
    상기 접지 플레인을 갖는 다층 기판과,
    상기 접속 도체를 구성하고, 상기 다층 기판의 상기 접지 플레인을 상기 접지 도체에 접속하기 위한 도체와,
    상기 신호전극 핀과,
    상기 신호전극 핀과 상기 도체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며, 상기 다층 기판과 상기 접지 도체와의 사이에 배치된 유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0137011367A 2010-12-09 2011-12-02 커넥터, 케이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1878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74240 2010-12-09
JP2010274240A JP5707913B2 (ja) 2010-12-09 2010-12-09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PCT/JP2011/077991 WO2012077612A1 (ja) 2010-12-09 2011-12-02 コネクタ、ケーブル、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048A true KR20130143048A (ko) 2013-12-30
KR101878516B1 KR101878516B1 (ko) 2018-07-13

Family

ID=4620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367A KR101878516B1 (ko) 2010-12-09 2011-12-02 커넥터, 케이블,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209570B2 (ko)
EP (1) EP2650979B1 (ko)
JP (1) JP5707913B2 (ko)
KR (1) KR101878516B1 (ko)
CN (1) CN103262360B (ko)
BR (1) BR112013013510A2 (ko)
CA (1) CA2815823A1 (ko)
RU (1) RU2581645C2 (ko)
TW (1) TWI469455B (ko)
WO (1) WO20120776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49843B1 (de) * 2011-07-21 2015-05-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r Ein-/Ausgabebaugruppe und Ein-/Ausgabebaugruppe
EP2750344A4 (en) * 2011-08-23 2015-04-22 Nec Corp COMMUNICATION DEVICE, SIGNAL OVERLAY CIRCUIT, AND SIGNAL OVERLAY METHOD
US9450644B2 (en) * 2012-09-19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Higher ord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in ethernet
US9893475B2 (en) 2012-12-26 2018-02-13 Sony Corporation Connector system capable of mitigating signal deterioration
WO2015118908A1 (ja) * 2014-02-05 2015-08-13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処理方法およびケーブル
CN105470690A (zh) * 2014-09-05 2016-04-06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EP3163688B1 (de) 2015-10-28 2021-12-15 LEONI Kabel GmbH Anordnung mit zwei über ein verbindungselement miteinander verbundenen datenkabeln
DE102016008679A1 (de) * 2016-07-16 2018-01-18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Adapter und Kabel mit Adapter
CN107979390B (zh) * 2016-10-25 2021-10-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矢量化系统识别外部串入端口的方法及装置
DE102018108968A1 (de) * 2018-04-16 2019-10-17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Geschirmtes Steckverbindermodul für einen modularen Industriesteckverbinder
US11057078B2 (en) * 2019-05-23 2021-07-06 Canon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51436B2 (en) * 2019-12-27 2021-06-29 Intel Corporation Modular printed circuit board separation tool
CN111585112A (zh) * 2020-06-09 2020-08-25 深圳市绿联科技有限公司 Hdmi连接器、hdmi数据线及其制备方法
US11476707B2 (en) 2020-10-06 2022-10-18 Apple Inc. Wireless power system housing
JP2022064593A (ja) * 2020-10-14 2022-04-26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伝送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080160A (ja) * 2020-11-17 202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伝送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5139A (ja) 1992-03-25 1993-10-22 Toshiba Corp コネクタ
ES2151988T3 (es) * 1992-04-02 2001-01-16 Adc Telecommunications Inc Clavija de conexion de cables coaxiales.
NL9202301A (nl) * 1992-12-31 1994-07-18 Du Pont Nederland Connector met verbeterde afscherming.
US5620340A (en) 1992-12-31 1997-04-15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EP0670615B1 (de) * 1994-03-03 1997-02-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eckverbinder für Rückwandverdrahtungen
US6280201B1 (en) * 2000-01-21 2001-08-28 Hewlett-Packard Company Laminated 90-degree connector
JP4391684B2 (ja) * 2000-12-18 2009-12-24 ソニー株式会社 衛星放送受信機用チューナ回路
JP2003188609A (ja) * 2001-12-17 2003-07-0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信号伝送用基板及びこの信号伝送用基板による接続構造体
JP2005032154A (ja) * 2003-07-10 2005-02-03 Sony Chem Corp プリント配線基板製造方法及びプリント配線基板、並びに特性インピーダンス算出装置、特性インピーダンス算出方法、及び特性インピーダンス算出プログラム
JP2005124038A (ja) * 2003-10-20 2005-05-12 Ngk Spark Plug Co Ltd 分布結合形方向性結合器
JP4206045B2 (ja) * 2004-01-28 2009-01-07 株式会社ワイケーシー 差動信号用帯域通過フィルター及びこれを複数備える多周波アンテナ
JP2005243516A (ja) * 2004-02-27 2005-09-08 Hitachi Cable Ltd 電気コネクタ
JP2005251965A (ja) * 2004-03-04 2005-09-15 Mitsubishi Electric Corp 基板の接続構造
RU49649U1 (ru) * 2005-04-27 2005-11-27 Игорь Сергеевич Козыреви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переносного заземления к изолированному проводу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JP4963051B2 (ja) * 2006-09-15 2012-06-2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信号伝送ケーブルのコネクタ
US7462071B1 (en) * 2007-08-31 2008-12-0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with anti cross talk device
JP2009100170A (ja) * 2007-10-16 2009-05-07 Nec Corp 差動配線、配線基板、配線構造、及び差動伝送路
EP2293393B1 (en) * 2008-06-04 2020-01-15 Hosiden Corporation Electric connector
JP5235628B2 (ja) * 2008-11-26 2013-07-10 株式会社ワイ・ディ・シー 基板設計プログラム及び基板設計装置
JP5403548B2 (ja) * 2009-10-23 2014-01-29 日立金属株式会社 差動信号用ハーネ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50979B1 (en) 2017-02-08
TW201230553A (en) 2012-07-16
US9209570B2 (en) 2015-12-08
JP5707913B2 (ja) 2015-04-30
CA2815823A1 (en) 2012-06-14
US20130243106A1 (en) 2013-09-19
EP2650979A1 (en) 2013-10-16
KR101878516B1 (ko) 2018-07-13
CN103262360B (zh) 2016-08-17
WO2012077612A1 (ja) 2012-06-14
RU2581645C2 (ru) 2016-04-20
EP2650979A4 (en) 2014-10-29
CN103262360A (zh) 2013-08-21
RU2013125501A (ru) 2014-12-10
JP2012124042A (ja) 2012-06-28
BR112013013510A2 (pt) 2016-09-06
TWI469455B (zh) 2015-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7913B2 (ja)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8843679B2 (en) Transmitting device, transmitting method,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cable
US9466934B2 (en) Electronic apparatus, category determination method for transmission cable and transmission cable
KR101824254B1 (ko)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US9277171B2 (e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ystem
JP5900552B2 (ja) 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