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440A -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440A
KR20130137440A KR1020120061058A KR20120061058A KR20130137440A KR 20130137440 A KR20130137440 A KR 20130137440A KR 1020120061058 A KR1020120061058 A KR 1020120061058A KR 20120061058 A KR20120061058 A KR 20120061058A KR 20130137440 A KR20130137440 A KR 20130137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ark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대원
Original Assignee
곽대원
주식회사 씨씨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대원, 주식회사 씨씨앤비 filed Critical 곽대원
Priority to KR1020120061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7440A/ko
Publication of KR20130137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제1 사용자기기의 송수신부가 제2 사용자기기로부터 콘텐츠식별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콘텐츠식별정보신호전송부가 상기 제2 사용자기기로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의 콘텐츠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마커인식부가 상기 제2 사용자기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콘텐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마커분석부가 상기 인식된 마커를 분석하여 상기 마커에 대응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콘텐츠합성부가 상기 콘텐츠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메모리부로부터 불러와서 상기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상기 불러온 콘텐츠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콘텐츠출력제어부가 상기 합성된 콘텐츠를 콘텐츠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CONTENTS BY CONNECTION BETWEEN USER EQUIPMENTS}
본 발명은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사용자기기에서 출력되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마커를 사용자기기에서 인식하여 상기 마커에 매핑된 콘텐츠와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를 합성하여 제공하는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의 보급으로 다양한 콘텐츠와 이를 제공하는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각광을 받고 있다.
기존의 콘텐츠의 제공방식은 해당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콘텐츠를 실행하는 방법으로, 해당 콘텐츠에 다양한 변화를 주는 기능이 제한적이다.
그 결과, 해당 콘텐츠를 몇 번 플레이하고 나면, 금방 실증이 나서, 해당 콘텐츠의 활용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으면 되지만,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새로운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것이 사용자에게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부담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다양한 변화요소를 줌으로써 사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충성도를 높일 수 있고 콘텐츠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은 제1 사용자기기의 송수신부가 제2 사용자기기로부터 콘텐츠식별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콘텐츠식별정보신호전송부가 상기 제2 사용자기기로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의 콘텐츠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마커인식부가 상기 제2 사용자기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콘텐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마커분석부가 상기 인식된 마커를 분석하여 상기 마커에 대응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콘텐츠합성부가 상기 콘텐츠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메모리부로부터 불러와서 상기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상기 불러온 콘텐츠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콘텐츠출력제어부가 상기 합성된 콘텐츠를 콘텐츠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현재 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영상콘텐츠이고,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는 상기 영상콘텐츠의 식별정보 및 상기 영상콘텐츠의 현재 플레이되는 장면의 장면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콘텐츠의 현재 플레이되는 장면이 변경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현재 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음원콘텐츠이고,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는 상기 음원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일 수 있다.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음원콘텐츠가 변경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마커는 이미지마커 또는 사운드마커일 수 있다.
상기 콘텐츠출력부는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출력부는 콘텐츠를 사운드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은 제1 사용자기기의 콘텐츠식별정보요청신호전송부가 제2 사용자기기에 상기 제2 사용자기기에서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식별정보요청신호를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송수신부가 상기 제2 사용자기기로부터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마커출력제어부가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마커 중에서 상기 콘텐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마커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현재 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영상콘텐츠이고,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는 상기 영상콘텐츠의 식별정보 및 상기 영상콘텐츠의 현재 플레이되는 장면의 장면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콘텐츠의 현재 플레이되는 장면이 변경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현재 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음원콘텐츠이고,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는 상기 음원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일 수 있다.
상기 마커출력부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커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하나의 마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커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가 사운드마커인경우, 상기 마커출력제어부는 상기 사운드마커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마커출력부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가 이미지마커인경우, 상기 마커출력제어부는 상기 이미지마커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마커에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미리 매핑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타 사용자기기는 특정 콘텐츠에 매핑되는 마커를 표시하고, 해당 마커를 인식하여 현재 플레이되는 콘텐츠에 상기 마커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합성하여 현재 플레이되는 콘텐츠를 재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콘텐츠에 다양한 변화요소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의 제1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의 제2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을 수행하기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장치의 제1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장치의 제2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의 제1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의 제2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데,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의 제1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의 제2 예시도이다.
상기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은 두 개의 사용자기기인 제1 사용자기기와 제2 사용자기기에 있어서, 제2 사용자기기가 캐릭터 또는 코드로 구성된 이미지마커를 디스플레이하면, 제1 사용자기기가 상기 이미지코드를 인식하여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마커에 매핑되는 콘텐츠를 확인하여 해당 콘텐츠와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를 합성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터팬 동화책이 E-북 형태로 제1 사용자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제1 사용자기기의 사용자가 제2 사용자기기에서 표시되는 피터팬 캐릭터를 카메라부를 통해 인식하면, 제1 사용자기기는 상기 인식된 피터팬 캐릭터에 매핑된 콘텐츠와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를 합성한 합성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장면에서 피터팬이 3D로 나타나서 노래와 춤을 추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동물 이미지를 포함하는 그림책이 E-북 형태로 제1 사용자기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 제2 사용자기기에서는 상기 다양한 동물에 대한 아이콘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제2 사용자기기에서 특정 동물 아이콘, 예를 들어, 늑대 아이콘을 클릭하면, 제2 사용자기기에서는 늑대 울음소리가 출력되고, 제1 사용자기기는 상기 늑대 울음소리를 인식하고, 현재 화면에서 2D로 표시되는 늑대 이미지를 3D로 변환하고 늑대를 주제로 한 동요도 함께 재생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을 수행하기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장치(100, 200)와 서버(300)로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합성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 PC, 스마트 TV 및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콘텐츠 합성장치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두 개의 콘텐츠 합성장치는 제1 사용자기기(100)와 제2 사용자기기(20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제공 장치의 제1 구성도로서, 제1 사용자기기(100)의 구성도에 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장치의 제2 구성도로서, 제2 사용자기기(200)의 구성도에 해당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의 제1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의 제2 순서도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은 제2 사용자기기(200)에서 수행되는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7은 제1 사용자기기(100)에서 수행되는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상기 도 4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기기(100)는 제2 사용자기기(200)와 연결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110), 상기 제2 사용자기기(200)로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의 콘텐츠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110)를 통해 전송하는 콘텐츠식별정보신호전송부(120), 상기 제2 사용자기기(200)에서 출력되는 상기 콘텐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마커를 인식하는 마커인식부(130), 상기 인식된 마커를 분석하여 상기 마커에 대응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정보를 생성하는 마커분석부(140),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150), 상기 콘텐츠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상기 메모리부(150)로부터 불러와서 상기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상기 불러온 콘텐츠를 합성하는 콘텐츠합성부(160), 상기 합성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콘텐츠출력부(170), 및 상기 콘텐츠출력부(170)를 제어하는 콘텐츠출력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사용자기기(100)와 상기 제2 사용자기기(200)는 유무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며, 제1 사용자기기(100)와 상기 제2 사용자기기(200)가 NFC(Near Field Communication)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NFC를 통해 기기간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기기(200)는 제1 사용자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210), 마커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30), 마커를 출력하기 위한 마커출력부(230), 제1 사용자기기(100)에 상기 제1 사용자기기(100)에서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식별정보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210)를 통해 전송하는 콘텐츠식별정보요청신호전송부(220), 및 상기 송수신부(210)가 제1 사용자기기(100)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기기(100)에서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메모리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마커 중에서 상기 콘텐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불러와서 상기 마커출력부(230)를 통해 출력하는 마커출력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부(230)는 상기 제1 사용자기기(100)에서 플레이되는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마커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마커에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미리 매핑되어 있으며, 상기 마커는 해당 매핑되어 있는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 사용자기기(200)는 서버(300)와 통신하여 상기 마커를 미리 다운로드 받아, 상기 메모리부(230)에 저장한다.
우선, 제2 사용자기기의 콘텐츠식별정보요청신호생성부(220)가 제1 사용자기기(100)에 상기 제1 사용자기기(100)에서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식별정보요청신호를 상기 제2 사용자기기(200)의 송수신부(210)를 통해 전송한다(S600). 제2 사용자기기(200)가 제1 사용자기기(100)에서 현재 플레이되는 콘텐츠의 현재 시점을 파악하여, 현재 시점에 적용 가능한 콘텐츠에 대응하는 마커를 출력하기 위하여, 제1 사용자기기(100)에 콘텐츠식별정보를 요청하는 것이다.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는 제1 사용자기기(100)에서 현재 플레이되는 콘텐츠가 무엇인지 제2 사용자기기(200)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콘텐츠별로 고유하게 부여되는 식별정보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제1 사용자기기(100)에서 현재 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영상콘텐츠인 경우,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는 상기 영상콘텐츠의 식별정보 및 상기 영상콘텐츠의 현재 플레이되는 장면의 장면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기기(100)에서 현재 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음원콘텐츠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는 상기 음원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일 수 있다.
제1 사용자기기(100)가 제2 사용자기기(200)으로부터 콘텐츠식별요청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사용자기기(100)는 현재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제2 사용자기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제2 사용자기기(200)의 송수신부(210)가 제1 사용자기기(100)로부터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식별정보를 수신하면(S610),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마커출력제어부(250)가 메모리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마커 중에서 상기 콘텐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마커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한다(S620).
상기 마커는 이미지마커 또는 사운드마커일 수 있다. 이미지마커는 특정 이미지를 갖는 마커이고, 사운드마커는 특정 사운드로 구성된 마커일 수 있다.
이미지마커는 이미지코드 또는 화상캐릭터 등일 수 있으며, 사운드마커는 동물소리, 기계소리, 피아노소리, 음악, 목소리 등일 수 있으며, 마커의 각각에는 매핑되는 콘텐츠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마커에 매핑되는 콘텐츠는 제1 사용자기기(1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기기(100)에서 동요가 재생되는 경우에, 상기 마커가 탬버린 사운드를 내는 사운드마커인 경우에, 제2 사용자기기(200)에서 해당 탬버린 사운드를 내는 사운드마커를 출력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사용자기기(100)는 해당 사운드마커를 인식하고, 상기 사운드마커에 매핑되는 콘텐츠인 탬버린 사운드를 현재 플레이되는 동요에 탬버린 사운드를 추가하여 합성한 동요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기기(100)에서 코끼리 그림을 포함하는 그림책이 출력되는 경우에, 상기 마커가 코끼리 사운드를 내는 사운드마커인 경우에, 제2 사용자기기(200)에서 해당 코끼리 사운드를 내는 사운드마커를 출력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사용자기기(100)는 해당 사운드마커를 인식하고, 상기 사운드마커에 매핑되는 콘텐츠인 코끼리의 3D 입체 영상을 현재 표시되는 그림책에 합성하여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를 상기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S610)는 상기 영상콘텐츠의 현재 플레이되는 장면이 변경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즉, 최초에 제2 사용자기기(200)가 제1 사용자기기(100)에 콘텐츠식별정보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제1 사용자기기(100)로부터 콘텐츠식별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제1 사용자기기(100)에서 현재 플레이되는 장면이 변경될 때마다, 제1 사용자기기(100)에서 플레이되는 장면에 적용가능한 콘텐츠에 매핑되는 마커가 제2 사용자기기(200)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사용자기기(100)가 제2 사용자기기(200)로 콘텐츠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커출력부(240)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와 화상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출력하는 단계(S620)는 상기 콘텐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커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하나의 마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커가 사운드마커인경우, 상기 마커출력제어부(250)는 상기 사운드마커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커가 이미지마커인경우, 상기 마커출력제어부는 상기 이미지마커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사용자기기(200)에서 마커가 출력되면, 제1 사용자기기(100)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마커를 이용하여 현재 플레이되는 콘텐츠를 변경하여 출력한다.
우선, 제1 사용자기기(100)의 송수신부(110)가 제2 사용자기기(200)로부터 콘텐츠식별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면(S700), 상기 제1 사용자기기(100)의 콘텐츠식별정보신호전송부(120)가 상기 제2 사용자기기(200)로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의 콘텐츠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110)를 통해 전송한다(S710).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현재 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영상콘텐츠일 수 있으며, 상기 콘텐츠가 영상콘텐츠인 경우,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는 상기 영상콘텐츠의 식별정보 및 상기 영상콘텐츠의 현재 플레이되는 장면의 장면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S710)는 상기 영상콘텐츠의 현재 플레이되는 장면이 변경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재 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음원콘텐츠일 수 있으며, 상기 콘텐츠가 음원콘텐츠인 경우,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는 상기 음원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를 수신한 제2 사용자기기(200)는 상기 콘텐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마커를 출력하게 되는데, 상기 마커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지마커 또는 사운드마커일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기기(200)에서 마커가 출력되면, 상기 제1 사용자기기(100)의 마커인식부(130)는 상기 제2 사용자기기(200)에서 출력되는 상기 콘텐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마커를 인식한다(S720). 상기 마커인식부(130)는 화상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로 구성되거나, 사운드를 인식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마커가 이미지마커인 경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이미지마커를 인식할 수 있으며, 마커가 사운드마커인 경우, 마이크로폰 모듈을 통해 사운드마커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1 사용자기기(100)의 마커분석부(140)가 상기 인식된 마커를 분석하여 상기 마커에 대응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정보를 생성한다(S730). 상기 마커분석부(140)는 상기 마커가 이미지코드이고, 코드화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상기 코드를 해독하여 해당 코드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에 추출하여, 마커에 미리 매핑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마커가 캐릭터와 같은 이미지코드인 경우에, 상기 마커분석부(140)는 상기 형상을 분석하여 상기 형상에 미리 매핑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코드는 기존의 QR코드와 같은 이미지코드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를 담을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이미지코드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마커가 사운드마커인 경우에, 상기 마커분석부(140)는 상기 사운드를 분석하여 상기 사운드의 음성파형에 미리 매칭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1 사용자기기(100)의 콘텐츠합성부(160)는 상기 콘텐츠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메모리부(150)로부터 불러와서 상기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상기 불러온 콘텐츠를 합성한다(S740).
즉, 제1 사용자기기(100)의 메모리부(150)에는 마커 별로 미리 매핑된 콘텐츠가 저장되고 있고, 마커분석부(140)가 해당 마커에 매핑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찾기 위하여 마커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제1 사용자기기(100)는 서버(300)와 통신하여 재생을 위한 콘텐츠와 상기 재생되는 콘텐츠에 합성하기 위한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메모리부(150)에 미리 저장한다.
상기 불러온 콘텐츠는 상기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콘텐츠라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으며, 영상 콘텐츠, 음성 콘텐츠, 음원 콘텐츠 등 다양한 콘텐츠가 합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러온 콘텐츠를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증강현실과 같이 3D로 합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기기(100)의 콘텐츠출력제어부(180)는 상기 합성된 콘텐츠를 콘텐츠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한다(S750).
이때, 상기 콘텐츠출력부(170)는 합성된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사운드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사용자기기(100)의 구성과 제2 사용자기기(200)의 구성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1 사용자기기(100)의 구성과 제2 사용자기기(200)의 구성은 하나의 사용자기기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기기(100)와 제2 사용자기기(200) 모두 마커를 출력하여 제공하거나 해당 마커를 인식하여 콘텐츠를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예컨데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매체, 예컨데 씨디롬, 디브이디 등과 같은 광학적 판독매체, 및 예컨데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함으로써, 해당 콘텐츠를 사용하는 사람들 간에 친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마커와 합성하고자 하는 콘텐츠만을 업데이트하여 제공함으로써, 이미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에 다양한 변화를 가미하여 콘텐츠의 내용을 보다 용이하고 풍성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제1 사용자기기 110: 송수신부
120: 콘텐츠식별정보생성부 130: 마커인식부
140: 마커분석부 150: 메모리부
160: 콘텐츠합성부 170: 콘텐츠출력부
180: 콘텐츠출력제어부 200: 제2 사용자기기
210: 송수신부 220: 콘텐츠식별정보요청신호전송부
230: 메모리부 240: 마커출력부
250: 마커출력제어부 300: 서버

Claims (17)

  1. 제1 사용자기기의 송수신부가 제2 사용자기기로부터 콘텐츠식별정보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콘텐츠식별정보신호전송부가 상기 제2 사용자기기로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의 콘텐츠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마커인식부가 상기 제2 사용자기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콘텐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마커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마커분석부가 상기 인식된 마커를 분석하여 상기 마커에 대응하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콘텐츠합성부가 상기 콘텐츠정보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메모리부로부터 불러와서 상기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상기 불러온 콘텐츠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콘텐츠출력제어부가 상기 합성된 콘텐츠를 콘텐츠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영상콘텐츠이고,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는 상기 영상콘텐츠의 식별정보 및 상기 영상콘텐츠의 현재 플레이되는 장면의 장면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컨텐츠 합성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콘텐츠의 현재 플레이되는 장면이 변경될 때마다 수행되는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컨텐츠 합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음원콘텐츠이고,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는 상기 음원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컨텐츠 합성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음원콘텐츠가 변경될 때마다 수행되는,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컨텐츠 합성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이미지마커 또는 사운드마커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컨텐츠 합성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출력부는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컨텐츠 합성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출력부는 콘텐츠를 사운드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컨텐츠 합성방법.
  9. 제1 사용자기기의 콘텐츠식별정보요청신호전송부가 제2 사용자기기에 상기 제2 사용자기기에서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식별정보요청신호를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송수신부가 상기 제2 사용자기기로부터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기기의 마커출력제어부가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마커 중에서 상기 콘텐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마커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기기 간 연결을 통한 컨텐츠 합성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영상콘텐츠이고,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는 상기 영상콘텐츠의 식별정보 및 상기 영상콘텐츠의 현재 플레이되는 장면의 장면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기기 간 연결을 통한 컨텐츠 합성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콘텐츠의 현재 플레이되는 장면이 변경될 때마다 수행되는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컨텐츠 합성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플레이되는 콘텐츠는 음원콘텐츠이고, 상기 콘텐츠식별정보는 상기 음원콘텐츠에 대한 식별정보인,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컨텐츠 합성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출력부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커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하나의 마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컨텐츠 합성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출력부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가 사운드마커인경우, 상기 마커출력제어부는 상기 사운드마커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컨텐츠 합성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출력부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가 이미지마커인경우, 상기 마커출력제어부는 상기 이미지마커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컨텐츠 합성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마커에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미리 매핑되어 있는,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컨텐츠 합성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061058A 2012-06-07 2012-06-07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 및 장치 KR20130137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058A KR20130137440A (ko) 2012-06-07 2012-06-07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058A KR20130137440A (ko) 2012-06-07 2012-06-07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440A true KR20130137440A (ko) 2013-12-17

Family

ID=4998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058A KR20130137440A (ko) 2012-06-07 2012-06-07 사용자기기간 연결을 통한 콘텐츠 합성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74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76911B (zh) 虚拟影像实现方法、装置、存储介质与终端设备
US9866986B2 (en) Audio speaker system with virtual music performance
US9924291B2 (en) Distributed wireless speaker system
KR20200119665A (ko) 모바일을 이용한 vr 자전거 운동기구 및 컨테츠 제공 방법
US11055057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in the field of virtual reality
JP6416490B2 (ja) オフラインハプティック変換システム
CN109920065B (zh) 资讯的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22531220A (ja) 視覚的特徴をサウンドタグに相関させることによるビデオタグ付け
CN107168518B (zh) 一种用于头戴显示器的同步方法、装置及头戴显示器
TWI574256B (zh) 互動節拍特效系統及互動節拍特效處理方法
US20150215691A1 (en) Distributed wireless speaker system with light show
US201702940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visual content creation
JP706748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578025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CN104811829A (zh) 卡拉ok互动多功能特效系统
CN103227848A (zh) 用于针对便携式终端提供增强现实服务的设备和方法
KR102500694B1 (ko) 사용자 맞춤형 현장감 실현을 위한 오디오 콘텐츠를 제작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 방법
US20170238114A1 (en) Wireless speaker system
US20180275861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Sexton et al. Automatic CNN-based enhancement of 360° video experience with multisensorial effects
KR20230131385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현실 스피닝 게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4252195A1 (en) Real world beacons indicating virtual locations
CN114270877A (zh) 非重合视听捕获系统
US20190058961A1 (en) System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ree-dimensional augmented reality sound based on realistic sound
CN116508100A (zh) 用文本和言语自动生成面部动作单元的面部动画控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