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4838A - Robot arm apparatus for mooring - Google Patents
Robot arm apparatus for moor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4838A KR20130134838A KR1020120058664A KR20120058664A KR20130134838A KR 20130134838 A KR20130134838 A KR 20130134838A KR 1020120058664 A KR1020120058664 A KR 1020120058664A KR 20120058664 A KR20120058664 A KR 20120058664A KR 20130134838 A KR20130134838 A KR 201301348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
- mooring
- rope
- robot arm
- platfor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 B25J18/02—Arms extensible
- B25J18/04—Arms extensible rotatabl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계류용 로봇아암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에 장착되는 플랫폼; 일단부가 상기 플랫폼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제 1 아암; 상기 제 1 아암을 상기 플랫폼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 1 구동부; 일단부가 상기 제 1 아암의 타단부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제 2 아암; 상기 제 2 아암을 상기 제 1 아암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 2 구동부; 일단부가 상기 제 2 아암의 타단부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에 계류로프가 체결되는 로프체결부가 형성된 제 3 아암; 및 상기 제 3 아암을 상기 제 2 아암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 3 구동부;를 포함하는 계류용 로봇아암이 제공된다.A mooring robot arm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latform is mounted to the base to be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A first arm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platform to be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A first driver pivoting the first arm relative to the platform; A second arm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arm to be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A second drive part which pivots the second arm with respect to the first arm; A third arm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rm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and a rope fastening portion having a mooring rope fastened to the other end; And a third drive unit for rotating the third arm with respect to the second arm.
Description
본 발명은 계류용 로봇아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상터미널 등에 설치되어 계류로프를 전달하기 위한 계류용 로봇아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oring robot ar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oring robot arm installed in a marine terminal or the like for delivering a mooring rope.
통상적으로 해상 터미널, 부두, 안벽 등에 접안 되는 선박은 계류로프를 통해 계류(mooring)되게 된다. 또는, 선박과 선박 간의 접안시에도 계류로프를 통한 계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계류로프는 고정된 볼라드(bollard) 등에 체결되어, 접안된 선박 등이 파도 등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선박 등을 계류시키게 된다.Typically ships docked at sea terminals, docks, quays, etc. are moored through mooring ropes. Alternatively, the mooring method through the mooring rope may be used even when the ship and the ship berthing. The mooring rope is fastened to a fixed bollard or the like and supports the docked ship or the like so as not to be separated by waves or the like, thereby mooring the ship or the like.
이때, 상기와 같이 계류로프가 볼라드 등에 체결되어 선박 등을 계류시키기 위하여는, 계류로프를 전달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즉, 해상터미널의 경우를 예로 들면, 해상터미널에서 선박으로 계류로프를 전달하고, 선박에서는 상기와 같은 계류로프를 볼라드에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은 계류로프의 전달은 승선한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뤄지게 된다. 즉, 해상터미널이나 선박에 승선한 작업자가 직접 계류로프를 던져 전달하게 되며, 반대편에 승선한 작업자가 이를 받아 볼라드 등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mooring rope is fastened to the bollard, etc.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oor ships, it is necessary to deliver the mooring rope. That is, in the case of the maritime terminal, for example, the mooring rope is delivered from the maritime terminal to the ship, the vessel is required to work by fastening the mooring rope as described above to the bollard. Typically, the delivery of such mooring ropes is made by hand by a person on board. That is, the worker who boarded the maritime terminal or the ship directly throws the mooring rope, and the worker who boards the other side receives the fastening and attaches it to the bollard.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계류로프의 전달 과정은 작업자에게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상기와 같은 계류로프의 전달 과정에서 미끄러지거나, 바다에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선박과의 거리가 멀 경우에는 작업자에 의한 계류로프의 전달이 매우 곤란하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계류작업이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다.
However, the delivery process of the mooring rope as described above may cause various safety accidents to the worker. For example, a safety accident such as a worker slipping in the mooring rope or falling into the sea may occur. 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from the ship is far, it is very difficult to deliver the mooring rope by the work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oring operation may be reduced in efficiency depending on the skill of the operator.
본 발명은 간편하고 신속하게 계류로프 등을 전달할 수 있는 계류용 로봇아암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oring robot arm that can easily and quickly deliver the mooring rop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에 장착되는 플랫폼; 일단부가 상기 플랫폼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제 1 아암; 상기 제 1 아암을 상기 플랫폼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 1 구동부; 일단부가 상기 제 1 아암의 타단부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제 2 아암; 상기 제 2 아암을 상기 제 1 아암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 2 구동부; 일단부가 상기 제 2 아암의 타단부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에 계류로프가 체결되는 로프체결부가 형성된 제 3 아암; 및 상기 제 3 아암을 상기 제 2 아암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 3 구동부;를 포함하는 계류용 로봇아암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latform is mounted to the base to be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A first arm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platform to be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A first driver pivoting the first arm relative to the platform; A second arm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arm to be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A second drive part which pivots the second arm with respect to the first arm; A third arm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rm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and a rope fastening portion having a mooring rope fastened to the other end; And a third drive unit for rotating the third arm with respect to the second arm.
본 발명에 따른 계류용 로봇아암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긴 도달 거리를 통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계류로프를 셔틀선 등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미사용시에는 해상터미널 등에 접혀 있는 구조로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으며, 종래 작업자의 수작업 등으로 이루어졌던 계류작업이 일정부분 자동화됨으로써, 계류 작업시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 또한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The mooring robot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mpact structure and can easily and quickly transfer the mooring rope to a shuttle ship through a long reach. In addition, when not in use, the space can be maximized by the structure folded in the sea terminal, etc., and the mooring work that has been made by manual labor of the prior art is partially automated, and safety accidents that can occur during mooring work can also be prevent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로봇아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로봇아암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로봇아암의 작동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oring robot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mooring robot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mooring robot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로봇아암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mooring robot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로봇아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로봇아암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oring robot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mooring robot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로봇아암(100)은, 플랫폼(110), 제 1 내지 3 아암(120, 130, 140), 제 1 내지 3 구동부(150, 160, 170) 및 윈치부(180)로 구성될 수 있다.1 and 2, the
플랫폼(110)은 베이스(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10)는 선박 등 각종 해상 부유체의 계류(mooring)가 필요한 구조물의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로봇아암(100)이 해상 터미널에 설치되는 경우, 베이스(10)는 상기 해상 터미널의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로봇아암(100)은 상기 해상 터미널 등에 한정하여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며, 계류가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에 적용 및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플랫폼(110)은 베이스(10)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플랫폼(110)은 도 1에 도시된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제 1 아암(12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플랫폼(1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 1 아암(120)은 일단부가 플랫폼(110)에 힌지 결합되어, 수평축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아암(120)은 도 1에 도시된 Y축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제 2 아암(13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아암(1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 2 아암(130)은 일단부가 제 1 아암(120)에 힌지 결합되어, 수평축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아암(130)은 후단부가 제 1 아암(120)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도 1에 도시된 Y축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제 3 아암(140)은 제 2 아암(130)의 타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 3 아암(140)은 제 2 아암(130)의 타단부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3 아암(140)은 상단부가 제 2 아암(130)의 전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도 1에 도시된 Y축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아암(140)의 하단부에는 로프체결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로프체결부(141)는 후술할 계류로프(181)이 체결되게 되며,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로프체결부(141)는 필요에 따라 상기 예시한 원형 고리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시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이때, 필요에 따라, 제 1 내지 3 아암(120, 130, 140)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다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아암(130)이 다단 구조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여 도시하였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 1 아암(120)이나 제 3 아암(140) 또한 다단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다단 구조는 제 1 내지 3 아암(120, 130, 140)의 길이 방향 신축을 가능하게 하여, 계류용 로봇아암(100)의 도달 거리를 늘리거나, 미사용시 계류용 로봇아암(100)이 컴팩트한 구조로 접힐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단 구조로 형성된 제 2 아암(130) 등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 신축 구동을 위한 액츄에이터 등이 장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if necessary,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rms (120, 130, 140) may be formed of a multi-stage structure that can be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한편, 제 1 내지 3 구동부(150, 160, 170)는 각각 제 1 내지 3 아암(120, 130, 140)을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공압 액츄에이터나 서보모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내지 3 구동부(150, 160, 170)가 유압 액츄에이터로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first to
제 1 구동부(150)는 제 1 아암(120)을 플랫폼(110)에 대해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플랫폼(11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구동부(150)는 일단부가 플랫폼(110)에 체결될 수 있으며, 타단부가 제 1 아암(120)의 일측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구동부(150)가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제 1 아암(120)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되게 된다.The
제 2 구동부(160)는 제 2 아암(130)을 제 1 아암(120)에 대해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가 제 1 아암(120)의 일측에 체결되며, 타단부가 제 2 아암(130)의 일측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구동부(160)가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제 2 아암(130)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되게 된다.The
제 3 구동부(170)는 제 3 아암(140)을 제 2 아암(130)에 대해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가 제 2 아암(130)의 일측에 체결되며, 타단부가 제 3 아암(140)의 일측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구동부(170)가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제 3 아암(140)은 수평축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되게 된다.The
한편, 윈치부(180)는 계류에 필요한 계류로프(181)이 권취되어 있는 것으로, 플랫폼(110)이나 제 1 아암(120)의 하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윈치부(180)는 구동모터 등을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계류로프(181)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윈치부(180)는 스토퍼 등을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계류로프(181)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윈치부(180)는 계류로프(181)이 소정정도 풀린 상태에서 계류로프(181)이 더 이상 풀리지 않도록 구속하거나, 계류로프(181)이 자연스럽게 풀림 또는 감김되도록 계류로프(181)을 구속 해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윈치부(180)의 권취된 계류로프(181)은 전술한 제 3 아암(140)에 형성된 로프체결부(141)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계류로프(181)의 자유단 부분에는 루프부(183)가 형성될 수 있다. 루프부(183)는 계류를 위한 볼라드(bollard) 구조물 등에 체결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류로프(181)의 자유단 부분에는 스토퍼(182)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82)는 로프체결부(141)에 체결된 계류로프(181)이 로프체결부(14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와 같이 로프체결부(141)가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와 같은 원형 고리의 내경보다 소정정도 큰 디스크(disk) 형태의 스토퍼(182)가 계류로프(181)의 일단측에 마련될 수 있다. 덧붙여, 계류로프(181)은 로프체결부(141)에 접촉된 상태에서 소정정도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므로, 마찰을 줄이고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코팅 처리된 계류로프(181)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로봇아암(100)은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로컬 또는 원격으로 계류용 로봇아암(100)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플랫폼(110)의 회전이나, 제 1 내지 3 구동부(150, 160, 170)의 구동 제어, 윈치부(180)의 구동 제어 등 전반적인 계류용 로봇아암(10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로봇아암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mooring robot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로봇아암의 작동상태도이다.3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mooring robot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작동예에서는 계류용 로봇아암(100)이 해상터미널(20)에 설치되어, 해상터미널(20)에 접근되는 셔틀선(30)의 계류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로봇아암(100)은 계류가 필요한 다양한 해상 구조물 등에 적용 및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예에서 예시한 바에 한정되어 적용 및 사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e present working example, the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로봇아암(100)은 제 1 내지 3 아암(120, 130, 140)의 회동을 통해 컴팩트한 구조로 긴 도달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계류용 로봇아암(100)의 해상터미널(20)의 측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다른 장비나 외부 구조체 등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 1 내지 3 아암(120, 130, 140)이 접혀 있는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미사용시에는 다단 구조의 제 2 아암(130) 등이 길이 방향 축소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이때, 셔틀선(30) 등이 해상터미널(20)로 접근되어 계류하고자 하는 경우, 제 1 내지 3 아암(120, 130, 140)은 각각 전개되어 셔틀선(30)으로 계류로프(181)을 전달하게 된다. 즉, 제 1 아암(120)은 도 3의 A방향으로 회동되고, 제 2 아암(130)은 도 3의 B방향으로 회동되며, 필요에 따라, 제 3 아암(140)까지 도 3의 C방향으로 회동되어 셔틀선(30) 측을 향해 계류용 로봇아암(100)이 전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계류용 로봇아암(100)은 제 1 내지 3 아암(120, 130, 140)의 길이만큼 셔틀선(30)을 향해 길게 연장되게 되며, 이로 인해, 간소한 구조로 긴 도달 거리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경우, 다단 구조의 제 2 아암(130) 등은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게 되며, 이로 인해, 계류용 로봇아암(100)은 보다 긴 도달거리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한편, 플랫폼(110)은 상기와 같은 제 1 내지 3 아암(120, 130, 140)의 전개에 앞서, 셔틀선(30)이 접근되는 방향에 따라 계류용 로봇아암(100)의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즉, 플랫폼(110)은 셔틀선(30)이 접근되는 방향으로 소정정도 회전되어, 상기와 같은 제 1 내지 3 아암(120, 130, 140)의 전개가 셔틀선(30)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 1 내지 3 아암(120, 130, 140)의 전개는 전술한 제 1 내지 3 구동부(150, 160, 170)에 의하여 이뤄질 수 있으며, 제 1 내지 3 구동부(150, 160, 170)는 제어부에 의해 로컬 또는 원격으로 제어되어, 작업자는 간편하게 계류용 로봇아암(100)을 구동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내지 3 아암(120, 130, 140)이 전개되는 동안, 윈치부(180)는 셔틀선(30)에 전달할 계류로프(181)을 서서히 풀어주거나, 또는, 자연스럽게 계류로프(181)이 풀리도록 계류로프(181)의 구속을 해제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내지 3 아암(120, 130, 140)이 전개되면, 계류로프(181)은 로프체결부(141)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로 셔틀선(30)에 전달되게 된다.Meanwhile, while the first to
상기와 같이 셔틀선(30)으로 계류로프(181)이 전달되면, 계류로프(181)은 루프부(183) 등을 볼라드에 체결하여 셔틀선(30)에 고정되게 되며, 윈치부(180)는 계류로프(181)이 풀리지 않도록 구속하거나, 소정범위 내에서만 감김 또는 풀림되도록 부분적으로 구속하여 셔틀선(30)을 계류시키게 된다.Whe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용 로봇아암(100)은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긴 도달 거리를 통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계류로프(181)을 셔틀선(30) 등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미사용시에는 해상터미널(20) 등에 접혀 있는 구조로, 공간 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으며, 종래 작업자의 수작업 등으로 이루어졌던 계류작업이 일정부분 자동화됨으로써, 계류 작업시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 또한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계류용 로봇아암 110: 플랫폼
120: 제 1 아암 130: 제 2 아암
140: 제 3 아암 141: 로프체결부
150: 제 1 구동부 160: 제 2 구동부
170: 제 3 구동부 180: 윈치부
181: 계류로프 182: 스토퍼
183: 루프부100: mooring robot arm 110: platform
120: first arm 130: second arm
140: third arm 141: rope fastening portion
150: first driver 160: second driver
170: third drive unit 180: winch unit
181: mooring rope 182: stopper
183: loop portion
Claims (8)
일단부가 상기 플랫폼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제 1 아암;
상기 제 1 아암을 상기 플랫폼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 1 구동부;
일단부가 상기 제 1 아암의 타단부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제 2 아암;
상기 제 2 아암을 상기 제 1 아암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 2 구동부;
일단부가 상기 제 2 아암의 타단부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타단부에 계류로프가 체결되는 로프체결부가 형성된 제 3 아암; 및
상기 제 3 아암을 상기 제 2 아암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 3 구동부;를 포함하는 계류용 로봇아암.
A platform mounted to the base to be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A first arm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platform to be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A first driver pivoting the first arm relative to the platform;
A second arm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arm to be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A second drive part which pivots the second arm with respect to the first arm;
A third arm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rm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and a rope fastening portion having a mooring rope fastened to the other end; And
The mooring robot arm, comprising: a third drive unit for rotating the third arm with respect to the second arm.
상기 제 1 내지 3 구동부는, 유공압 액츄에이터 및 서보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류용 로봇아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o third driving units, the mooring robot ar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hydraulic actuator and a servo motor.
상기 로프체결부는,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된 계류용 로봇아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pe fastening portion, the mooring robot arm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ing.
상기 플랫폼 또는 상기 제 1 아암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계류로프가 권취되며, 상기 계류로프의 감김, 풀림, 구속 및 구속 해제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윈치부를 더 포함하는 계류용 로봇아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oring robot arm further comprises a winch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platform or the first arm, the mooring rope being wound, the winch part being configured to be wound, unwinded, restrained, and released from the mooring rope.
상기 윈치부에 권취된 상기 계류로프의 자유단에는 루프부가 형성된 계류용 로봇아암.
The method of claim 4,
A mooring robot arm having a loop portion formed at a free end of the mooring rope wound around the winch portion.
상기 윈치부에 권취된 상기 계류로프의 자유단에는 상기 계류로프가 상기 로프체결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가 마련된 계류용 로봇아암.
The method of claim 4,
A mooring robot arm provided with a stopper at a free end of the mooring rope wound around the winch to prevent the mooring rop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ope fastening part.
상기 플랫폼 및 상기 1 내지 3 아암의 구동을 로컬 제어하거나, 유무선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계류용 로봇아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oring robot arm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locall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latform and the 1 to 3 arms, or remotely by wire or wireless.
상기 제 1 내지 3 아암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다단 구조로 형성된 계류용 로봇아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rms,
A mooring robot arm formed of a longitudinally stretchable multistage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8664A KR20130134838A (en) | 2012-05-31 | 2012-05-31 | Robot arm apparatus for moor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8664A KR20130134838A (en) | 2012-05-31 | 2012-05-31 | Robot arm apparatus for moor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4838A true KR20130134838A (en) | 2013-12-10 |
Family
ID=4998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8664A Ceased KR20130134838A (en) | 2012-05-31 | 2012-05-31 | Robot arm apparatus for moor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134838A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O20170158A1 (en) * | 2017-02-01 | 2018-06-18 | Rolls Royce Marine As | Automated transportable mooring unit and a system comprising multiple automated transportable mooring units |
WO2020035632A1 (en) * | 2018-08-15 | 2020-02-20 | Lohkoasennus Oy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handling of mooring ropes |
WO2020187900A1 (en) * | 2019-03-18 | 2020-09-24 | Macgregor Norway As | A vessel having a mooring system for automatic mooring to a bollard and a method for mooring |
WO2020187887A1 (en) * | 2019-03-18 | 2020-09-24 | Macgregor Norway As | A mooring structure for automatic mooring of a vessel to a quay and a method for mooring |
IT202100011906A1 (en) * | 2021-05-10 | 2021-08-10 | Moorsimply S R L | MOORING ASSISTANCE DEVICE |
EP4046902A1 (en) | 2021-02-18 | 2022-08-24 | Moorsimply S.r.l. | A mooring assistance device |
US11447208B2 (en) | 2018-01-19 | 2022-09-20 | Kongsberg Maritime As | Vessel with a semi automatic or automatic mooring system and method |
-
2012
- 2012-05-31 KR KR1020120058664A patent/KR20130134838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O20170158A1 (en) * | 2017-02-01 | 2018-06-18 | Rolls Royce Marine As | Automated transportable mooring unit and a system comprising multiple automated transportable mooring units |
NO342581B1 (en) * | 2017-02-01 | 2018-06-18 | Rolls Royce Marine As | Automated transportable mooring unit and a system comprising multiple automated transportable mooring units |
US11447208B2 (en) | 2018-01-19 | 2022-09-20 | Kongsberg Maritime As | Vessel with a semi automatic or automatic mooring system and method |
WO2020035632A1 (en) * | 2018-08-15 | 2020-02-20 | Lohkoasennus Oy |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handling of mooring ropes |
WO2020187900A1 (en) * | 2019-03-18 | 2020-09-24 | Macgregor Norway As | A vessel having a mooring system for automatic mooring to a bollard and a method for mooring |
WO2020187887A1 (en) * | 2019-03-18 | 2020-09-24 | Macgregor Norway As | A mooring structure for automatic mooring of a vessel to a quay and a method for mooring |
EP4046902A1 (en) | 2021-02-18 | 2022-08-24 | Moorsimply S.r.l. | A mooring assistance device |
IT202100011906A1 (en) * | 2021-05-10 | 2021-08-10 | Moorsimply S R L | MOORING ASSISTANCE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134838A (en) | Robot arm apparatus for mooring | |
KR102531606B1 (en) | Pile upending system | |
KR20150113007A (en) | Crane with heave compensation | |
KR20150117795A (en) | Fender Davit Apparatus | |
US6758155B1 (en) | Fender retrieval system | |
US3945508A (en) | Devices for transferring heavy loads at sea | |
WO2018117833A1 (en) | Device and method for paying out an elongated flexible article from a vessel | |
EP2516250B1 (en) | A crane on a vessel | |
JP6316354B2 (en) | How to lay mooring chains | |
JP6313613B2 (en) | Crane equipment and work boat | |
JP4541678B2 (en) | Onboard boat lifting device | |
JP6166940B2 (en) | Lifting method and lifting assist device using crane | |
KR101563974B1 (en) | Helicopter landing guidance system | |
CA2545287C (en) | Access method between marine structures and apparatus | |
KR101358312B1 (en) | Marine vessel | |
KR200436987Y1 (en) | Boat lifting and lowering device to the ship's rear slope | |
US20140014018A1 (en) | Apparatus and anchor handling vessels for installing or removing and replacing a segment of a mooring line | |
US20140017013A1 (en) | Methods for installing or removing and replacing a segment of a mooring line | |
EP3604110B1 (en) | Reduced-complexity fender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 |
EP3210873A1 (en) | Line tensioner | |
JP5406135B2 (en) | Mooring equipment | |
JPH08282578A (en) | Arm tip gripping mechanism in arm type vessel mooring and alongside pier/off-shore support device | |
CA2982936C (en) | Enhanced system and method for detangling and protection of automatic fender positioning systems | |
US11072402B2 (en) | Reduced-complexity fender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 |
JP2019018716A (en) | Moor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8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