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1463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1463A
KR20130131463A KR1020137026141A KR20137026141A KR20130131463A KR 20130131463 A KR20130131463 A KR 20130131463A KR 1020137026141 A KR1020137026141 A KR 1020137026141A KR 20137026141 A KR20137026141 A KR 20137026141A KR 20130131463 A KR20130131463 A KR 20130131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mmon electrode
liquid crystal
mai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5668B1 (ko
Inventor
진 히로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ublication of KR20130131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13Storage capacitors associated with the pixel electro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53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with different alignment orientations or pretilt angles on a same surface, e.g. for grey scale or improved viewing angle
    • G02F1/13375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with different alignment orientations or pretilt angles on a same surface, e.g. for grey scale or improved viewing angle with different alignment orient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18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having a patterned common electr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제1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한 제1 보조 용량선 및 제2 보조 용량선과,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제1 보조 용량선과 상기 제2 보조 용량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게이트 배선과, 제1 방향으로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한 제1 소스 배선 및 제2 소스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배선과 상기 제2 소스 배선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주화소 전극과, 상기 주화소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보조 용량선과 대향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주화소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으로부터 이격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제2 부화소 전극과, 수평 배향성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주화소 전극, 상기 제1 부화소 전극 및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을 덮는 제1 배향막을 구비한 제1 기판과, 상기 주화소 전극을 사이에 둔 양측에서 제2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한 제2 주공통 전극과, 상기 제2 주공통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제2 부화소 전극 사이에서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제2 부공통 전극과, 수평 배향성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주공통 전극 및 상기 제2 부공통 전극을 덮는 제2 배향막을 구비한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에 유지된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면 표시 장치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액정 표시 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전력 등의 이점으로 인해 특히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각 화소에 스위칭 소자를 내장한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IPS(In-Plane Switching) 모드나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의 횡전계(프린지 전계도 포함함)를 이용한 구조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는, 어레이 기판에 형성된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을 구비하고, 어레이 기판의 주면에 대하여 거의 평행한 횡전계로 액정 분자를 스위칭한다.
한편, 어레이 기판에 형성된 화소 전극과, 대향 기판에 형성된 대향 전극의 사이에, 횡전계 또는 경사 전계를 형성하고, 액정 분자를 스위칭하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9282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9-160041호 공보 US6,657,693B1
본 실시 형태의 목적은, 표시 품위가 양호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한 제1 보조 용량선 및 제2 보조 용량선과,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제1 보조 용량선과 상기 제2 보조 용량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게이트 배선과, 제1 방향으로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한 제1 소스 배선 및 제2 소스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배선과 상기 제2 소스 배선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주화소 전극과, 상기 주화소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보조 용량선과 대향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주화소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으로부터 이격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제2 부화소 전극과, 수평 배향성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주화소 전극, 상기 제1 부화소 전극 및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을 덮는 제1 배향막을 구비한 제1 기판과, 상기 주화소 전극을 사이에 둔 양측에서 제2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한 제2 주공통 전극과, 상기 제2 주공통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제2 부화소 전극 사이에서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제2 부공통 전극과, 수평 배향성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주공통 전극 및 상기 제2 부공통 전극을 덮는 제2 배향막을 구비한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에 유지된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한 제1 보조 용량선 및 제2 보조 용량선과,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제1 보조 용량선과 상기 제2 보조 용량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게이트 배선과, 제1 방향으로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한 제1 소스 배선 및 제2 소스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배선과 상기 제2 소스 배선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주화소 전극과, 상기 주화소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보조 용량선과 대향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주화소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으로부터 이격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제2 부화소 전극과, 상기 제1 소스 배선 및 상기 제2 소스 배선과 각각 대향하고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제1 주공통 전극과, 수평 배향성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주화소 전극, 상기 제1 부화소 전극, 상기 제2 부화소 전극 및 상기 제1 주공통 전극을 덮는 제1 배향막을 구비한 제1 기판과,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제2 부화소 전극 사이에서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제2 부공통 전극과, 수평 배향성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공통 전극을 덮는 제2 배향막을 구비한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에 유지된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한 제1 보조 용량선 및 제2 보조 용량선과,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제1 보조 용량선과 상기 제2 보조 용량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게이트 배선과, 제1 방향으로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한 제1 소스 배선 및 제2 소스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배선과 상기 제2 소스 배선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주화소 전극과, 상기 주화소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보조 용량선과 대향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주화소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으로부터 이격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제2 부화소 전극과, 상기 게이트 배선과 대향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제1 부공통 전극과, 수평 배향성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주화소 전극, 상기 제1 부화소 전극, 상기 제2 부화소 전극 및 상기 제1 부공통 전극을 덮는 제1 배향막을 구비한 제1 기판과, 상기 주화소 전극을 사이에 둔 양측에서 제2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하고 상기 제1 부공통 전극과 동일 전위의 제2 주공통 전극과, 수평 배향성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주공통 전극을 덮는 제2 배향막을 구비한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에 유지된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액정 표시 패널의 구성 및 등가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 하나의 화소에서의 최소 단위 구성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제1 구성예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의 대향 기판에서의 하나의 화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제1 구성예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의 하나의 화소를 대향 기판측에서 보았을 때의 어레이 기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제2 구성예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의 대향 기판에서의 하나의 화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제2 구성예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의 하나의 화소를 대향 기판측에서 보았을 때의 어레이 기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제3 구성예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의 대향 기판에서의 하나의 화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제3 구성예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의 하나의 화소를 대향 기판측에서 보았을 때의 어레이 기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제4 구성예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의 하나의 화소를 대향 기판측에서 보았을 때의 어레이 기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1 내지 제4 구성예에서 설명한 어레이 기판과, 제1 내지 제3 구성예에서 설명한 대향 기판의 조합을 정리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변형의 하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화소 전극과, 게이트 배선 및 보조 용량선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액정 표시 장치(1)는,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액정 표시 패널 LPN, 액정 표시 패널 LPN에 접속된 구동 IC 칩(2) 및 플렉시블 배선 기판(3), 액정 표시 패널 LPN을 조명하는 백라이트(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액정 표시 패널 LPN은, 제1 기판인 어레이 기판 AR과, 어레이 기판 AR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기판인 대향 기판 CT와, 이들 어레이 기판 AR과 대향 기판 CT의 사이에 유지된 액정층(도시생략)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패널 LPN은, 화상을 표시하는 액티브 에리어 ACT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액티브 에리어 ACT는, m×n개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 PX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단, m 및 n은 양의 정수임).
백라이트(4)는, 도시한 예에서는, 어레이 기판 AR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4)로서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 가능하며, 또한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용한 것이나 냉음극관(CCFL)을 이용한 것 등 중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며,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액정 표시 패널 LPN의 구성 및 등가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액정 표시 패널 LPN은, 액티브 에리어 ACT에 있어서, n개의 게이트 배선 G (G1 내지 Gn), n개의 보조 용량선 C(C1 내지 Cn), m개의 소스 배선 S(S1 내지 Sm) 등을 구비하고 있다. 게이트 배선 G 및 보조 용량선 C는, 예를 들어 제1 방향 X를 따라서 대략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들 게이트 배선 G 및 보조 용량선 C는, 제1 방향 X로 교차하는 제2 방향 Y를 따라서 간격을 두고 인접하고, 교대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방향 X와 제2 방향 Y는 서로 직교하고 있다. 소스 배선 S는, 게이트 배선 G 및 보조 용량선 C와 교차하고 있다. 소스 배선 S는, 제2 방향 Y를 따라서 대략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 배선 G, 보조 용량선 C 및 소스 배선 S는, 반드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아도 되며, 이들 일부가 굴곡하고 있어도 된다.
각 게이트 배선 G는, 액티브 에리어 ACT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게이트 드라이버 GD에 접속되어 있다. 각 소스 배선 S는, 액티브 에리어 ACT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소스 드라이버 SD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게이트 드라이버 GD 및 소스 드라이버 SD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어레이 기판 AR에 형성되고, 컨트롤러를 내장한 구동 IC 칩(2)과 접속되어 있다.
각 화소 PX는, 스위칭 소자 SW, 화소 전극 PE, 공통 전극 CE 등을 구비하고 있다. 유지 용량 Cs는, 예를 들어 보조 용량선 C와 화소 전극 PE의 사이에 형성된다. 보조 용량선 C는, 보조 용량 전압이 인가되는 전압 인가부 VCS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정 표시 패널 LPN은, 화소 전극 PE가 어레이 기판 AR에 형성되는 한편, 공통 전극 CE의 적어도 일부가 대향 기판 CT에 형성된 구성이며, 이들 화소 전극 PE와 공통 전극 CE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를 주로 이용하여 액정층 LQ의 액정 분자를 스위칭한다. 화소 전극 PE와 공통 전극 CE의 사이에 형성되는 전계는, 제1 방향 X와 제2 방향 Y로 규정되는 X-Y 평면 또는 어레이 기판 AR의 기판 주면 또는 대향 기판 CT의 기판 주면에 대하여 약간 기운 경사 전계(또는, 기판 주면에 거의 평행한 횡전계)이다.
스위칭 소자 SW는, 예를 들어 n채널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스위칭 소자 SW는, 게이트 배선 G 및 소스 배선 S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액티브 에리어 ACT에는, m×n개의 스위칭 소자 SW가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 PE는, 각 화소 PX에 배치되고, 스위칭 소자 SW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액티브 에리어 ACT에는, m×n개의 화소 전극 PE가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 CE는, 예를 들어 코먼 전위이며, 액정층 LQ를 개재하여 복수의 화소 PX의 화소 전극 PE에 대하여 공통으로 배치되어 있다.
어레이 기판 AR은, 공통 전극 CE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급전부 VS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급전부 VS는, 예를 들어 액티브 에리어 ACT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 CE 중, 대향 기판 CT에 형성된 공통 전극 CE의 적어도 일부는, 액티브 에리어 ACT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도전 부재(도시생략)를 개재하여, 어레이 기판 AR에 형성된 급전부 VS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공통 전극 CE의 일부가 어레이 기판 AR에 형성된 경우에는, 어레이 기판 AR에 형성된 공통 전극 CE의 일부는 예를 들어 액티브 에리어 ACT의 외측에서 급전부 VS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하나의 화소 PX에서의 최소 단위 구성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화소 전극 PE는, 주화소 전극 PA,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를 갖고 있다. 이들 주화소 전극 PA,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주화소 전극 PA,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가 어느 것이나 어레이 기판 AR에 구비되어 있다. 주화소 전극 PA는, 제2 방향 Y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는, 제2 방향 Y와는 다른 제1 방향 X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2 부화소 전극 PC는, 제1 부화소 전극 PB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화소 전극 PE는, 대략 I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화소 전극 PA는 대략 화소 중앙부에 있어서 제2 방향 Y를 따라서 직선적으로 연장한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는, 각각 화소 PX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있어서 제1 방향 X를 따라서 직선적으로 연장한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는, 각각 상기 화소 PX와 상하에 인접하는 화소 간에 배치되어도 된다. 즉, 제1 부화소 전극 PB는 도시한 상기 화소 PX와 그 하측의 화소(도시생략)의 경계에 걸쳐 배치되어도 되고, 제2 부화소 전극 PC는 도시한 상기 화소 PX와 그 상측의 화소(도시생략)의 경계에 걸쳐 배치되어도 된다.
제1 부화소 전극 PB는, 예를 들어 주화소 전극 PA의 일단부에 결합하고, 주화소 전극 PA로부터 그 양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2 부화소 전극 PC는, 예를 들어 주화소 전극 PA의 타단부에 결합하고, 주화소 전극 PA로부터 그 양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들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는, 주화소 전극 PA와 대략 직교하고 있다. 또한, 제1 부화소 전극 PB는 주화소 전극 PA의 일단부보다도 약간 타단부 근처에 결합하고 있어도 되고, 마찬가지로 제2 부화소 전극 PC는 주화소 전극 PA의 타단부보다도 약간 일단부 근처에 결합하고 있어도 된다. 화소 전극 PE는, 예를 들어 제2 부화소 전극 PC에 있어서 스위칭 소자(도시생략)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공통 전극 CE는, 주공통 전극 CA 및 부공통 전극 CB를 갖고 있다. 이들 주공통 전극 CA 및 부공통 전극 CB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공통 전극 CE는, 화소 전극 PE와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통 전극 CE에 있어서, 주공통 전극 CA 및 부공통 전극 CB 중 적어도 일부는, 대향 기판 CT에 구비되어 있다.
주공통 전극 CA는, 제2 방향 Y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이 주공통 전극 CA는, 주화소 전극 PA를 사이에 둔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X-Y 평면 내에 있어서, 주공통 전극 CA 중 어느 것이나 주화소 전극 PA와는 겹치지 않고, 주공통 전극 CA의 각각과 주화소 전극 PA의 사이에는 대략 동등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즉, 주화소 전극 PA는, 인접하는 주공통 전극 CA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부공통 전극 CB는, 제1 방향 X를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부공통 전극 CB는, 제1 부화소 전극 PB와 제2 부화소 전극 PC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X-Y 평면 내에서, 부공통 전극 CB 중 어느 것이나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와는 겹치지 않고,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의 각각과 부공통 전극 CB의 사이에는 대략 동등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즉, 부공통 전극 CB는, 제1 부화소 전극 PB와 제2 부화소 전극 PC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주공통 전극 CA는, 제2 방향 Y를 따라서 직선적으로 연장한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공통 전극 CB는, 제1 방향 X를 따라서 직선적으로 연장한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공통 전극 CA는 제1 방향 X를 따라서 간격을 두고 2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들을 구별하기 위해서, 도면 중 좌측 주공통 전극을 CAL이라 칭하고, 도면 중 우측 주공통 전극을 CAR이라 칭한다. 주공통 전극 CAL 및 주공통 전극 CAR은, 부공통 전극 CB와 동일 전위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주공통 전극 CAL 및 주공통 전극 CAR은, 부공통 전극 CB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주공통 전극 CAL 및 주공통 전극 CAR은, 각각 상기 화소 PX와 좌우로 인접하는 화소 간에 배치되어 있다. 즉, 주공통 전극 CAL은 도시한 상기 화소 PX와 그 좌측의 화소(도시생략)의 경계에 걸쳐 배치되고, 주공통 전극 CAR은 도시한 상기 화소 PX와 그 우측의 화소(도시생략)의 경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부공통 전극 CB는, 상기 화소 PX의 대략 중앙을 가로지르고 있다.
인접하는 주공통 전극 CAL 및 주공통 전극 CAR의 사이에는, 1개의 주화소 전극 PA가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주공통 전극 CAL, 주화소 전극 PA 및 주공통 전극 CAR은, 제1 방향 X를 따라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즉, 주화소 전극 PA와 주공통 전극 CA는 제1 방향 X를 따라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주화소 전극 PA와, 주공통 전극 CAL 및 주공통 전극 CAR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주공통 전극 CAL과 주화소 전극 PA의 제1 방향 X를 따른 거리는, 주공통 전극 CAR과 주화소 전극 PA의 제1 방향 X를 따른 거리와 대략 동등하다.
인접하는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의 사이에는, 1개의 부공통 전극 CB가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1 부화소 전극 PB, 부공통 전극 C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는, 제2 방향 Y를 따라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와 부공통 전극 CB는 제2 방향 Y를 따라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제1 부화소 전극 PB, 부공통 전극 C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부화소 전극 PB와 부공통 전극 CB의 제2 방향 Y를 따른 거리는, 제2 부화소 전극 PC와 부공통 전극 CB의 제2 방향 Y를 따른 거리와 대략 동등하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하나의 화소 PX에 있어서, 화소 전극 PE와 공통 전극 CE로 구획된 4개의 영역이 주로 표시에 기여하는 개구부 또는 투과부로서 형성된다.
여기에 나타낸 예에서는, 액정 분자 LM의 초기 배향 방향은, 예를 들어 제2 방향 Y와 대략 평행한 방향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지만, 주공통 전극 CA 중 적어도 하나는, 주공통 전극 CA와 대략 평행하게(또는 제2 방향 Y를 따라서) 연장하는 소스 배선 S와 대향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부화소 전극 PB, 제2 부화소 전극 PC 및 부공통 전극 CB 중 어느 하나는, 이들과 대략 평행하게(또는 제1 방향 X를 따라서) 연장하는 게이트 배선 G나 보조 용량선 C와 대향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후에 상세히 설명하지만, 주공통 전극 CA는, 어레이 기판 AR에 구비된 제1 주공통 전극 CA1 및 대향 기판 CT에 구비된 제2 주공통 전극 CA2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부공통 전극 CB는, 어레이 기판 AR에 구비된 제1 부공통 전극 CB1 및 대향 기판 CT에 구비된 제2 부공통 전극 CB2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1 주공통 전극 CA1, 제2 주공통 전극 CA2, 제1 부공통 전극 CB1 및 제2 부공통 전극 CB2는, 모두 동일 전위이다.
도 4는, 스위칭 소자 SW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 LPN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공통 전극의 도시를 생략하고, 설명에 필요한 개소만을 도시하고 있다.
액정 표시 패널 LPN을 구성하는 어레이 기판 AR의 배면측에는, 백라이트(4)가 배치되어 있다.
어레이 기판 AR은, 예를 들어 유리 기판이나 플라스틱 기판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제1 절연 기판(10)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어레이 기판 AR은, 제1 절연 기판(10)의 대향 기판 CT에 대향하는 측에, 스위칭 소자 SW, 화소 전극 PE, 제1 배향막 AL1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스위칭 소자 SW는, 톱 게이트형의 박막 트랜지스터이지만, 보텀 게이트형의 박막 트랜지스터이어도 된다. 또한, 스위칭 소자 SW의 반도체층 SC는, 예를 들어 폴리실리콘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아몰퍼스 실리콘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반도체층 SC는, 채널 영역 SCC를 사이에 둔 양측에 각각 소스 영역 SCS 및 드레인 영역 SCD를 갖고 있다. 또한, 제1 절연 기판(10)과 반도체층 SC의 사이에는, 절연막인 언더코트층이 개재되어 있어도 된다. 반도체층 SC는, 게이트 절연막(11)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11)은, 제1 절연 기판(10) 위에도 배치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 SW의 게이트 전극 WG는, 게이트 절연막(11)의 위에 형성되고, 반도체층 SC의 채널 영역 SCC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게이트 배선 G 및 보조 용량선 C도, 게이트 절연막(11)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게이트 전극 WG, 게이트 배선 G 및 보조 용량선 C는, 동일 재료를 이용하여 동일 공정으로 형성가능하다. 게이트 전극 WG는, 게이트 배선 G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 WG, 게이트 배선 G 및 보조 용량선 C는, 제1 층간 절연막(12)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이 제1 층간 절연막(12)은, 게이트 절연막(11) 위에도 배치되어 있다. 이들 게이트 절연막(11) 및 제1 층간 절연막(12)은, 예를 들어 산화실리콘 및 질화실리콘 등의 무기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 SW의 소스 전극 WS 및 드레인 전극 WD는, 제1 층간 절연막(12)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스 배선 S도, 제1 층간 절연막(12)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소스 전극 WS, 드레인 전극 WD 및 소스 배선 S는, 동일 재료를 이용하여 동일 공정으로 형성 가능하다. 소스 전극 WS는, 소스 배선 S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소스 전극 WS는, 게이트 절연막(11) 및 제1 층간 절연막(12)을 관통하는 콘택트 홀을 통하여 반도체층 SC의 소스 영역 SCS에 콘택트하고 있다. 드레인 전극 WD는, 게이트 절연막(11) 및 제1 층간 절연막(12)을 관통하는 콘택트 홀을 통하여 반도체층 SC의 드레인 영역 SCD에 콘택트하고 있다. 이들 게이트 전극 WG, 게이트 배선 G, 보조 용량선 C, 소스 전극 WS, 드레인 전극 WD 및 소스 배선 S는, 예를 들어 몰리브덴, 알루미늄, 텅스텐, 티타늄 등의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스위칭 소자 SW는, 제2 층간 절연막(13)에 의해 덮여 있다. 즉, 소스 전극 WS, 드레인 전극 WD 및 소스 배선 S는, 제2 층간 절연막(13)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이 제2 층간 절연막(13)은, 제1 층간 절연막(12) 위에도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층간 절연막(13)은,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 수지나 열경화형 수지 등의 각종 유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 PE는, 제2 층간 절연막(13) 위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지만, 화소 전극 PE를 구성하는 주화소 전극 PA,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는, 제2 층간 절연막(13)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 화소 전극 PE는, 제2 층간 절연막(13)을 관통하는 콘택트 홀을 통하여 드레인 전극 WD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화소 전극 PE는, 예를 들어 인듐 주석 산화물(ITO)이나 인듐 아연 산화물(IZO)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거나, 알루미늄 등의 다른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제1 배향막 AL1은, 어레이 기판 AR의 대향 기판 CT와 대향하는 면에 배치되고, 액티브 에리어 ACT의 대략 전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이 제1 배향막 AL1은, 화소 전극 PE를 덮고 있으며, 제2 층간 절연막(13) 위에도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배향막 AL1은, 수평 배향성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어레이 기판 AR은, 공통 전극의 일부로서 제1 주공통 전극 및 제1 부공통 전극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한편, 대향 기판 CT는, 예를 들어 유리 기판이나 플라스틱 기판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제2 절연 기판(20)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대향 기판 CT는, 제2 절연 기판(20)의 어레이 기판 AR에 대향하는 측에, 도시를 생략한 공통 전극 중 제2 주공통 전극 및 제2부공통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이나, 제2 배향막 AL2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대향 기판 CT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각 화소 PX를 구획하는(또는, 소스 배선 S, 게이트 배선 G, 보조 용량선 C, 스위칭 소자 SW 등의 배선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블랙 매트릭스나 각 화소 PX에 대응하여 배치된 컬러 필터층, 블랙 매트릭스 및 컬러 필터층 표면의 요철의 영향을 완화하는 오버코트층 등이 배치되어도 된다.
공통 전극은, 예를 들어 ITO나 IZO 등의 광 투과성을 갖는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배향막 AL2는, 대향 기판 CT의 어레이 기판 AR과 대향하는 면에 배치되고, 액티브 에리어 ACT의 대략 전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이 제2 배향막 AL2는, 공통 전극 등을 덮고 있다. 이러한 제2 배향막 AL2는, 수평 배향성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배향막 AL1 및 제2 배향막 AL2에는, 액정 분자 LM을 초기 배향시키기 위한 배향 처리(예를 들어, 러빙 처리나 광 배향 처리)가 이루어져 있다. 제1 배향막 AL1이 액정 분자 LM을 초기 배향시키는 제1 배향 처리 방향 PD1은, 제2 배향막 AL2가 액정 분자 LM을 초기 배향시키는 제2 배향 처리 방향 PD2와 평행하다. 도 3의 (A)로 나타낸 예에서는, 제1 배향 처리 방향 PD1과 제2 배향 처리 방향 PD2가 서로 대략 평행하며 모두 동일한 방향이다. 도 3의 (B)로 나타낸 예에서는, 제1 배향 처리 방향 PD1과 제2 배향 처리 방향 PD2가 서로 대략 평행하며, 서로 역방향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어레이 기판 AR과 대향 기판 CT는, 각각의 제1 배향막 AL1 및 제2 배향막 AL2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때, 어레이 기판 AR의 제1 배향막 AL1과 대향 기판 CT의 제2 배향막 AL2의 사이에는, 예를 들어 수지 재료에 의해 한쪽 기판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기둥 형상 스페이서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소정의 셀 갭, 예를 들어 2 내지 7㎛의 셀 갭이 형성된다. 어레이 기판 AR과 대향 기판 CT는, 소정의 셀 갭이 형성된 상태에서, 액티브 에리어 ACT의 외측의 씰링재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액정층 LQ는, 어레이 기판 AR과 대향 기판 CT의 사이에 형성된 셀 갭에 유지되고, 제1 배향막 AL1과 제2 배향막 AL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액정층 LQ는, 액정 분자 LM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액정층 LQ는, 예를 들어 유전율 이방성이 정(포지티브형)의 액정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어레이 기판 AR의 외면, 즉 어레이 기판 AR을 구성하는 제1 절연 기판(10)의 외면에는, 제1 광학 소자 OD1이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이 제1 광학 소자 OD1은, 액정 표시 패널 LPN의 백라이트(4)와 대향하는 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백라이트(4)로부터 액정 표시 패널 LPN에 입사하는 입사광의 편광 상태를 제어한다. 이 제1 광학 소자 OD1은, 제1 편광축 AX1을 갖는 제1 편광판 PL1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1 편광판 PL1과 제1 절연 기판(10)의 사이에 위상차판 등의 다른 광학 소자가 배치되어도 된다.
대향 기판 CT의 외면, 즉 대향 기판 CT를 구성하는 제2 절연 기판(20)의 외면에는, 제2 광학 소자 OD2가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이 제2 광학 소자OD2는, 액정 표시 패널 LPN의 표시면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액정 표시 패널 LPN으로부터 출사한 출사광의 편광 상태를 제어한다. 이 제2 광학 소자 OD2는, 제2 편광축 AX2를 갖는 제2 편광판 PL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2 편광판 PL2와 제2 절연 기판(20)의 사이에 위상차판 등의 다른 광학 소자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편광판 PL1의 제1 편광축 AX1과, 제2 편광판 PL2의 제2 편광축 AX2는, 크로스니콜의 위치 관계에 있다. 이때, 한쪽 편광판은, 예를 들어 그 편광축이 액정 분자 LM의 초기 배향 방향, 즉 제1 배향 처리 방향 PD1 또는 제2 배향 처리 방향 PD2와 평행 또는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초기 배향 방향이 제2 방향 Y와 평행한 경우, 한쪽 편광판의 편광축은, 제2 방향 Y와 평행, 또는 제1 방향 X와 평행하다.
도 3에 있어서, (a)로 나타낸 예에서는, 제1 편광판 PL1은, 그 제1 편광축AX1이 액정 분자 LM의 초기 배향 방향인 제2 방향 Y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제2 편광판 PL2는, 그 제2 편광축 AX2가 액정 분자 LM의 초기 배향 방향에 대하여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b)로 나타낸 예에서는, 제2 편광판 PL2는, 그 제2 편광축 AX2가 액정 분자 LM의 초기 배향 방향인 제2 방향 Y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제1 편광판 PL1은, 그 제1 편광축AX1이 액정 분자 LM의 초기 배향 방향에 대하여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노멀리 블랙 모드를 실현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액정 표시 패널 LPN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액정층 LQ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화소 전극 PE와 공통 전극 CE의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무전계 시(OFF 시)에는, 도 3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층 LQ의 액정 분자 LM은, 그 장축이 제1 배향막 AL1의 제1 배향 처리 방향 PD1 및 제2 배향막 AL2의 제2 배향 처리 방향 PD2를 향하도록 배향하고 있다. 이러한 OFF 시가 초기 배향 상태에 상당하며, OFF 시의 액정 분자 LM의 배향 방향이 초기 배향 방향에 상당한다.
또한, 엄밀하게는 액정 분자 LM은, X-Y 평면에 평행하게 배향하고 있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고, 프리틸트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액정 분자 LM의 엄밀한 초기 배향 방향이란, OFF 시의 액정 분자 LM의 배향 방향을 X-Y 평면에 정사영한 방향이다. 그러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이하에서는 액정 분자 LM은, X-Y 평면에 평행하게 배향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X-Y 평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회전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제1 배향 처리 방향 PD1 및 제2 배향 처리 방향 PD2는, 모두 제2 방향 Y와 대략 평행한 방향이다. OFF 시에 있어서는, 액정 분자 LM은, 도 3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장축이 제2 방향 Y와 대략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초기 배향한다. 즉, 액정 분자 LM의 초기 배향 방향은, 제2 방향 Y와 평행(또는, 제2 방향 Y에 대하여 0°)하다.
도시한 예와 같이, 제1 배향 처리 방향 PD1 및 제2 배향 처리 방향 PD2가 평행하면서 동일한 방향인 경우, 액정층 LQ의 단면에 있어서, 액정 분자 LM은, 액정층 LQ의 중간부 부근에서 대략 수평(프리틸트각이 대략 제로)으로 배향하고, 이곳을 경계로 하여 제1 배향막 AL1의 근방 및 제2 배향막 AL2의 근방에 있어서 대칭으로 되는 프리틸트각을 갖고 배향한다(스프레이 배향). 이와 같이 액정 분자 LM이 스프레이 배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기판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에서도 제1 배향막 AL1의 근방의 액정 분자 LM과 제2 배향막 AL2의 근방의 액정 분자 LM에 의해 광학적으로 보상된다. 따라서, 제1 배향 처리 방향 PD1 및 제2 배향 처리 방향 PD2가 서로 평행하면서, 동일한 방향인 경우에는, 흑색 표시의 경우에 광 누설이 적고, 고콘트라스트비를 실현할 수 있어, 표시 품위가 향상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배향 처리 방향 PD1 및 제2 배향 처리 방향 PD2가 서로 평행하면서 역방향인 경우, 액정층 LQ의 단면에 있어서, 액정 분자 LM은, 제1 배향막 AL1의 근방, 제2 배향막 AL2의 근방 및 액정층 LQ의 중간부에 있어서 대략 균일한 프리틸트각을 갖고 배향한다(호모지니어스 배향).
백라이트(4)로부터의 백라이트 광의 일부는, 제1 편광판 PL1을 투과하고, 액정 표시 패널 LPN에 입사한다. 액정 표시 패널 LPN에 입사한 광은, 제1 편광판 PL1의 제1 편광축 AX1과 직교하는 직선 편광이다. 이러한 직선 편광의 편광 상태는, OFF 시의 액정 표시 패널 LPN을 통과하였을 때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액정 표시 패널 LPN을 투과한 직선 편광은, 제1 편광판 PL1에 대하여 크로스니콜의 위치 관계에 있는 제2 편광판 PL2에 의해 흡수된다(흑색 표시).
한편, 액정층 LQ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 즉 화소 전극 PE와 공통 전극 CE의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된 상태(ON 시)에서는, 화소 전극 PE와 공통 전극 CE의 사이에 기판과 대략 평행한 횡전계(또는 경사 전계)가 형성된다. 액정 분자 LM은, 전계의 영향을 받고, 그 장축이 도면 중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X-Y 평면과 대략 평행한 평면 내에서 회전한다.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화소 전극 PE와 주공통 전극 CAL 사이의 영역 중, 상측 절반의 영역 내의 액정 분자 LM은, 제2 방향 Y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면 중 좌측 아래를 향하도록 배향하고, 또한 하측 절반 영역 내의 액정 분자 LM은, 제2 방향 Y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면 중 좌측 위를 향하도록 배향한다. 화소 전극 PE와 주공통 전극 CAR 사이의 영역 중, 상측 절반 영역 내의 액정 분자 LM은, 제2 방향 Y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면 중 우측 아래를 행하도록 배향하고, 하측 절반 영역 내의 액정 분자 LM은, 제2 방향 Y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면 중 우측 위를 향하도록 배향한다.
이와 같이, 각 화소 PX에 있어서, 화소 전극 PE와 공통 전극 CE 사이에 전계가 형성된 상태에서는, 액정 분자 LM의 배향 방향은, 화소 전극 PE와 겹치는 위치를 경계로서 복수의 방향으로 나뉘고, 각각의 배향 방향에서 도메인을 형성한다. 즉, 하나의 화소 PX에는, 복수의 도메인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ON 시에는, 제1 편광판 PL1의 제1 편광축 AX1과 직교하는 직선 편광은, 액정 표시 패널 LPN에 입사하고, 그 편광 상태는, 액정층 LQ를 통과할 때 액정 분자 LM의 배향 상태에 따라서 변화한다. 이러한 ON 시에 있어서는, 액정층 LQ를 통과한 적어도 일부의 광은, 제2 편광판 PL2를 투과한다(백색 표시).
이와 같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나의 화소 내에 4개의 도메인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4 방향에서의 시야각을 광학적으로 보상할 수 있어, 광시야각화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계조 반전이 없고, 높은 투과율의 표시를 실현할 수 있어, 표시 품위가 양호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나의 화소 내에 있어서, 화소 전극 PE와 공통 전극 CE로 구획되는 4개의 영역 각각에 대하여 개구부의 면적을 대략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각 영역의 투과율이 대략 동등하게 되고, 각각의 개구부를 투과한 광이 서로 광학적으로 서로 보상하여, 넓은 시야각 범위에 걸쳐 균일한 표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액정 분자의 초기 배향 상태가 기판에 대하여 수직인 수직 배향형의 액정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본 실시 형태는 중간조에 있어서도 시야각이 넓고 휘도가 밝은 것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ON 시에는, 화소 전극 PE의 주화소 전극 PA 부근, 제1 부화소 전극 PB 부근 및 제2 부화소 전극 PC 부근, 또는 공통 전극 CE의 주공통 전극 CA 부근 및 부공통 전극 CB 부근에서는, 횡전계가 거의 형성되지 않기(또는, 액정 분자 LM을 구동하는데 충분한 전계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액정 분자 LM은, OFF 시와 마찬가지로 초기 배향 방향으로부터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 이로 인해, 상기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 PE 및 공통 전극 CE가 광 투과성의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이들 영역에서는 백라이트 광이 거의 투과하지 않아, ON 시에 있어서 표시에 거의 기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화소 전극 PE 및 공통 전극 CE는, 반드시 투명한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알루미늄이나 은 등의 도전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해도 된다.
또한, 어레이 기판 AR과 대향 기판 CT의 정렬 어긋남이 발생하였을 때, 화소 전극 PE를 사이에 둔 양측의 공통 전극 CE와의 거리에 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렬 어긋남은, 모든 화소 PX에 공통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화소 PX 간에서의 전계 분포에 상이는 없어, 화상의 표시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작다.
또한, 전술한 하나의 화소 PX에서의 최소 단위 구성체는, 정사각형에 한하지 않고 제2 방향 Y 또는 제1 방향 X로의 신축에 제한은 없으며 직사각형이어도 된다. 즉, 단위 구성체 그 자체 또는 단위 구성체를 조합함으로써 원하는 화소 사이즈를 설계할 수 있다. 이렇게 단위 구성체의 치수를 자유롭게 설계하여도, 액정 분자 LM은 전극 간에 발생하는 전계에 의해 기판에 수평하게 배향하기 때문에, 기판에 대한 법선 방향의 리타데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작다. 따라서, 화소 사이즈의 변경이 휘도 및 시야각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
한편, 초기 배향 상태가 기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향하고 인가 전압에 의해 수평하게 배향하는 수직 배향형의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전극 간에 발생하는 전계 강도가 화소 내에서 서로 다르면, 기판에 대한 액정 분자의 경사 정도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기판에 대한 법선 방향의 리타데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따라서, 화소 사이즈의 변경이, 휘도 및 시야각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이러한 점에서 가령 이 단위 구성체에 수직 배향형의 액정 분자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화소 내의 전계 강도 및 전계 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단위 구성체는 정사각형으로 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일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구성예≫
우선, 본 실시 형태의 제1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제1 구성예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 LPN의 대향 기판 CT1에서의 하나의 화소 PX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제1 구성예에서는, 공통 전극 CE는, 주공통 전극으로서 대향 기판 CT1에 구비된 제2 주공통 전극 CA2 및 부공통 전극으로서 대향 기판 CT1에 구비된 제2 부공통 전극 CB2를 갖고 있다. 이들 제2 주공통 전극 CA2 및 제2부공통 전극 CB2는, 제2 배향막 AL2에 의해 덮여 있다.
즉, 도시한 대향 기판 CT1은, 제2 방향 Y를 따라서 직선적으로 연장한 띠 형상의 제2 주공통 전극 CA2와, 제1 방향 X를 따라서 직선적으로 연장한 띠 형상의 제2 부공통 전극 CB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제2 주공통 전극 CA2 및 제2 부공통 전극 CB2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2 주공통 전극 CA2 및 제2 부공통 전극 CB2는, 일체적(또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대향 기판 CT1에 있어서, 공통 전극 CE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제2 주공통 전극 CA2는 제1 방향 X를 따라서 간격을 두고 2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들을 구별하기 위해, 도면 중 좌측의 제2 주공통 전극을 CAL2라 칭하고, 도면 중 우측의 제2 주공통 전극을 CAR2라 칭한다. 제2 주공통 전극 CAL2 및 제2 주공통 전극 CAR2는, 제2 부공통 전극 CB2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공통 전극 CE는,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지만, 액티브 에리어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도전 부재를 개재하여, 어레이 기판에 형성된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코먼 전위가 급전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한 대향 기판 CT1과의 조합이 적합한 어레이 기판 AR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제1 구성예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 LPN의 하나의 화소 PX를 대향 기판 CT1측에서 보았을 때의 어레이 기판 AR1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화소 전극 PE와 공통 전극 CE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공통 전극 CE를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하나의 화소 PX에서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만을 도시하고, 스위칭 소자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어레이 기판 AR1은, 제1 방향 X를 따라서 연장한 보조 용량선 C1 및 보조 용량선 C2와, 제1 방향 X를 따라서 연장한 게이트 배선 G1과, 제2 방향 Y를 따라서 연장한 소스 배선 S1 및 소스 배선 S2와, 화소 전극 PE를 구비하고 있다. 보조 용량선 C1, 보조 용량선 C2 및 게이트 배선 G1은, 게이트 절연막(11)의 위에 형성되고, 제1 층간 절연막(12)에 의해 덮여 있다. 소스 배선 S1 및 소스 배선 S2는, 제1 층간 절연막(12)의 위에 형성되고, 제2 층간 절연막(13)에 의해 덮여 있다. 화소 전극 PE는, 제2 층간 절연막(13)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화소 PX는, 도면 중 파선으로 나타낸 영역에 상당하고, 제1 방향 X를 따른 길이보다도 제2 방향 Y를 따른 길이 쪽이 긴 직사각 형상이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화소 PX에 있어서, 소스 배선 S1은 좌측 단부에 배치되고, 소스 배선 S2는 우측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엄밀하게는 소스 배선 S1은 상기 화소 PX와 그 좌측에 인접하는 화소의 경계에 걸쳐 배치되고, 소스 배선 S2는 상기 화소 PX와 그 우측에 인접하는 화소의 경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화소 PX에 있어서, 보조 용량선 C1은 상측 단부에 배치되고, 보조 용량선 C2는 하측 단부에 배치되고, 게이트 배선 G1은 대략 화소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게이트 배선 G1과 보조 용량선 C1과의 제2 방향 Y에 따른 간격은, 게이트 배선 G1과 보조 용량선 C2의 제2 방향 Y를 따른 간격과 대략 동등하다. 또한, 보조 용량선 C1은, 상기 화소 PX와 그 상측의 화소의 경계에 걸쳐 배치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보조 용량선 C2는, 상기 화소 PX와 그 하측의 화소의 경계에 걸쳐 배치되어도 된다.
화소 전극 PE는, 소스 배선 S1과 소스 배선 S2의 사이에 배치되고, 스위칭 소자(도시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화소 전극 PE는, 제2 방향 Y를 따라서 직선적으로 연장한 띠 형상의 주화소 전극 PA, 제1 방향 X를 따라서 직선적으로 연장한 띠 형상의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를 갖고 있다. 이들 주화소 전극 PA,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주화소 전극 PA,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는, 일체적(또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어레이 기판 AR1에 있어서, 화소 전극 PE는, I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화소 전극 PA,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는, 모두 제1 배향막 AL1에 의해 덮여 있다.
주화소 전극 PA는, 인접하는 소스 배선 S1 및 소스 배선 S2 각각의 바로 위의 위치보다도 화소 PX의 내측에 위치하고, 소스 배선 S1과 소스 배선 S2의 대략 중간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주화소 전극 PA는, 화소 PX 상측 단부 부근으로부터 하측 단부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1 부화소 전극 PB는, 화소 PX 아래 측단부에 배치되고, 주화소 전극 PA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부화소 전극 PB는, 주화소 전극 PA로부터 그 양측, 즉 주화소 전극 PA의 좌측의 소스 배선 S1 및 주화소 전극 PA의 우측의 소스 배선 S2를 향하여 각각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부화소 전극 PC는, 화소 PX 상측 단부에 배치되고, 주화소 전극 PA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2 부화소 전극 PC는, 주화소 전극 PA로부터 그 양측, 즉 소스 배선 S1 및 소스 배선 S2를 향하여 각각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1 구성예에 있어서는, 제2 부화소 전극 PC는, 보조 용량선 C1과 대향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2 부화소 전극 PC는, 보조 용량선 C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부화소 전극 PC와 보조 용량선 C1의 사이에는, 절연막으로서, 제1 층간 절연막(12) 및 제2 층간 절연막(13)이 개재되어 있다.
이들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의 제1 방향 X를 따른 각각의 길이에 비해서는, 대략 동등하여도 되고, 서로 다른 길이이어도 된다. 제2 부화소 전극 PC의 제1 방향 X를 따른 길이에 대해서는, 제2 부화소 전극 PC가 보조 용량선 C1을 덮는 경우에는, 소스 배선 S1과 소스 배선 S2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 용량선 C1의 제1 방향 X를 따른 길이와 동등 이상이다.
또한,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의 제2 방향 Y를 따른 각각의 폭에 대해서는, 대략 동등하여도 되고, 서로 다른 폭이어도 된다. 제2 부화소 전극 PC의 폭에 대해서는, 제2 부화소 전극 PC가 보조 용량선 C1 위에서 스위칭 소자(도시생략)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의 경우, 제1 부화소 전극 PB의 폭보다도 폭이 넓어져도 된다. 제2 부화소 전극 PC가 보조 용량선 C1을 덮는 경우, 제2 부화소 전극 PC의 폭은 보조 용량선 C1의 폭과 동등 이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용량선 C1이 화소 상측 단부에 배치되고, 게이트 배선 G1이 대략 화소 중앙부에 배치된 구성에서는, 제2 부화소 전극 PC가 소스 배선 S1과 소스 배선 S2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 용량선 C1을 덮도록 배치 가능하다. 또한, 보조 용량선 C2가 화소 하측 단부에 배치된 구성에서는, 제1 부화소 전극 PB가 소스 배선 S1과 소스 배선 S2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 용량선 C2를 덮도록 배치 가능하다.
또한, 1개의 보조 용량선의 위에는, 제2 방향 Y에 인접하는 2개의 화소 전극의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가 배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보조 용량선 C1의 위에는, 도시한 상기 화소 PX의 화소 전극 PE의 제2 부화소 전극 PC와 함께, 상기 화소 PX의 상측 화소에 배치된 화소 전극의 제1 부화소 전극이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화소 PX의 화소 전극 PE의 제1 부화소 전극 PB는, 보조 용량선 C2의 위에 배치된다.
또한, 게이트 배선 G1이 화소 PX의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에 배치되고, 보조 용량선 C1이 대략 화소 중앙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1 부화소 전극 PB 또는 제2 부화소 전극 PC는, 게이트 배선 G1과 대향하고 있어도 된다(또는, 제1 부화소 전극 PB 또는 제2 부화소 전극 PC가 게이트 배선 G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됨).
한편, 공통 전극 CE에 있어서, 제2 주공통 전극 CAL2 및 제2 주공통 전극 CAR2는 주화소 전극 PA의 바로 위의 위치를 사이에 둔 양측에 배치되고, 또한 제2 부공통 전극 CB2는 제1 부화소 전극 PB의 바로 위의 위치와 제2 부화소 전극 PC의 바로 위의 위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주화소 전극 PA는 제2 주공통 전극 CAL2와 제2 주공통 전극 CAR2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는 제2 부공통 전극 CB2를 사이에 둔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2 주공통 전극 CAL2는, 화소 PX의 좌측 단부에 배치되고, 소스 배선 S1에 대향하고 있다(또는, 제2 주공통 전극 CAL2가 소스 배선 S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음). 또한, 제2 주공통 전극 CAR2는, 화소 PX의 우측 단부에 배치되고, 소스 배선 S2에 대향하고 있다(또는, 제2 주공통 전극 CAR2가 소스 배선 S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음). 또한, 제2 부공통 전극 CB2는, 대략 화소 중앙부에 배치되고, 게이트 배선 G1에 대향하고 있다(또는, 제2 부공통 전극 CB2가 게이트 배선 G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음).
이와 같은 제1 구성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하나의 화소 내에 4개의 도메인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4 방향에서의 시야각을 광학적으로 보상할 수 있어, 광시야각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주공통 전극 CAL2 및 제2 주공통 전극 CAR2는, 각각 소스 배선 S1 및 소스 배선 S2와 대향하고 있다. 특히, 제2 주공통 전극 CAL2 및 제2 주공통 전극 CAR2가 각각 소스 배선 S1 및 소스 배선 S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주공통 전극 CAL2 및 제2 주공통 전극 CAR2가 소스 배선 S1 및 소스 배선 S2보다도 주화소 전극 PA측에 배치된 경우와 비교하여, 표시에 기여하는 개구부를 확대할 수 있어, 화소 PX의 투과율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주공통 전극 CAL2 및 제2 주공통 전극 CAR2를 각각 소스 배선 S1 및 소스 배선 S2의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주화소 전극 PA와 제2 주공통 전극 CAL2 및 제2 주공통 전극 CAR2의 사이의 거리를 확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보다 수평하게 가까운 횡전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종래의 구성인 IPS 모드 등의 이점인 광시야각화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화소 전극 PE의 제1 부화소 전극 PB 또는 제2 부화소 전극 PC는, 보조 용량선이나 게이트 배선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 용량선이나 게이트 배선으로부터의 원하지 않는 전계를 차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보조 용량선이나 게이트 배선으로부터 액정층 LQ에 대하여 원하지 않는 바이어스가 인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번인 등의 표시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표시 품위가 더욱 양호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구성예≫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제2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구성예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제2 구성예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 LPN의 대향 기판 CT2에서의 하나의 화소 PX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제2 구성예에서는, 공통 전극 CE는, 주공통 전극으로서 후술하는 어레이 기판에 구비된 제1 주공통 전극 CA1 및 부공통 전극으로서 대향 기판 CT2에 구비된 제2 부공통 전극 CB2를 갖고 있다. 이 제2 부공통 전극 CB2는, 제2 배향막 AL2에 의해 덮여 있다.
즉, 도시한 대향 기판 CT2는, 제1 방향 X를 따라서 직선적으로 연장한 띠 형상의 제2 부공통 전극 CB2를 구비하고 있고, 주공통 전극은 구비하고 있지 않다. 즉, 대향 기판 CT2에 있어서, 공통 전극 CE는, 제1 방향 X로 연장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통 전극 CE의 제2 부공통 전극 CB2는,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지만, 액티브 에리어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도전 부재를 개재하여, 어레이 기판에 형성된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코먼 전위가 급전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한 대향 기판 CT2와의 조합이 적합한 어레이 기판 AR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제2 구성예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 LPN의 하나의 화소 PX를 대향 기판 CT2측에서 보았을 때의 어레이 기판 AR2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화소 전극 PE와 공통 전극 CE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공통 전극 CE를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하나의 화소 PX에서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만을 도시하고, 스위칭 소자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어레이 기판 AR2는, 어레이 기판 AR1과 마찬가지로, 제1 방향 X를 따라서 연장한 보조 용량선 C1 및 보조 용량선 C2와, 제1 방향 X를 따라서 연장한 게이트 배선 G1과, 제2 방향 Y를 따라서 연장한 소스 배선 S1 및 소스 배선 S2와, 화소 전극 PE를 구비하고 있다. 화소 전극 PE는, 제1 배향막 AL1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어레이 기판 AR2는, 공통 전극 CE의 일부, 즉 제2 방향 Y를 따라서 직선적으로 연장한 띠 형상의 제1 주공통 전극 CA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주공통 전극 CA1은, 제2 부공통 전극 CB2와 동일 전위이다.
또한, 도시한 제1 주공통 전극 CA1은 제1 방향 X를 따라서 간격을 두고 2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들을 구별하기 위해서, 도면 중 좌측의 제1 주공통 전극을 CAL1이라 칭하고, 도면 중 우측의 제1 주공통 전극을 CAR1이라 칭한다. 이들 제1 주공통 전극 CAL1 및 제1 주공통 전극 CAR1은, 예를 들어 화소 전극 PE와 마찬가지로, 제2 층간 절연막(13)의 위에 형성되고, 제1 배향막 AL1에 의해 덮여 있다. 이 경우, 제1 주공통 전극 CAL1 및 제1 주공통 전극 CAR1은, 화소 전극 PE와 동일 재료(예를 들어, ITO 등)를 이용하여 동일 공정으로 형성 가능하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주공통 전극 CAL1은, 화소 PX의 좌측 단부에 배치되고, 소스 배선 S1과 대향하고 있다(또는, 제1 주공통 전극 CAL1이 소스 배선 S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음). 또한, 제1 주공통 전극 CAR1은, 화소 PX의 우측 단부에 배치되고, 소스 배선 S2와 대향하고 있다(또는, 제1 주공통 전극 CAR1이 소스 배선 S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음). 제1 주공통 전극 CAL1 및 제1 주공통 전극 CAR1과, 소스 배선 S1 및 소스 배선 S2의 사이에는, 절연막으로서, 제2 층간 절연막(13)이 개재되어 있다.
이들 제1 주공통 전극 CAL1 및 제1 주공통 전극 CAR1은, 각각 액티브 에리어 내에서는 직선적으로 연장하고, 액티브 에리어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어레이 기판 AR2에 형성된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코먼 전위가 급전된다. 또한, 제1 주공통 전극 CAL1 및 제1 주공통 전극 CAR1 각각이 액티브 에리어 내에서 소스 배선 S1 및 소스 배선 S2를 덮는 경우에는, 제1 주공통 전극 CAL1 및 제1 주공통 전극 CAR1의 제1 방향 X에 따른 폭에 대해서는, 소스 배선 S1 및 소스 배선 S2의 제1 방향 X에 따른 폭과 동등 이상이다.
화소 전극 PE는, 제1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소스 배선 S1과 소스 배선 S2의 사이, 즉 제1 주공통 전극 CAL1과 제1 주공통 전극 CAR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화소 전극 PE는, 주화소 전극 PA,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를 갖고 있다.
주화소 전극 PA는, 제1 주공통 전극 CAL1과 제1 주공통 전극 CAR1의 대략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의 각각은, 제1 주공통 전극 CAL1 및 제1 주공통 전극 CAR1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단, 화소 전극 PE가 제1 주공통 전극 CAL1 및 제1 주공통 전극 CAR1과 함께 제2 층간 절연막(13)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의 각각은, 제1 주공통 전극 CAL1 및 제1 주공통 전극 CAR1에는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또는,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의 각각이 제1 주공통 전극 CAL1 및 제1 주공통 전극 CAR1로부터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음).
제2 부화소 전극 PC는, 보조 용량선 C1과 대향하고 있다(또는, 제2 부화소 전극 PC가 보조 용량선 C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음).
또한, 게이트 배선 G1이 화소 PX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에 배치되고, 보조 용량선 C1이 대략 화소 중앙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1 부화소 전극 PB 또는 제2 부화소 전극 PC는, 게이트 배선 G1과 대향하고 있어도 된다(또는, 제1 부화소 전극 PB 또는 제2 부화소 전극 PC가 게이트 배선 G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됨).
한편, 공통 전극 CE에 있어서, 제2 부공통 전극 CB2는 제1 부화소 전극 PB의 바로 위의 위치와 제2 부화소 전극 PC의 바로 위의 위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주화소 전극 PA는 제1 주공통 전극 CAL1과 제1 주공통 전극 CAR1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는 제2 부공통 전극 CB2를 사이에 둔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2 부공통 전극 CB2는, 대략 화소 중앙부에 배치되고, 게이트 배선 G1에 대향하고 있다(또는, 제2 부공통 전극 CB2가 게이트 배선 G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음).
이와 같은 제2 구성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하나의 화소 내에 4개의 도메인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4 방향에서의 시야각을 광학적으로 보상할 수 있어, 광시야각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구성예에서 설명한 효과 외에, 공통 전극 CE의 제1 주공통 전극 CA1 중 적어도 하나는, 소스 배선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스 배선으로부터의 원하지 않는 전계를 차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소스 배선으로부터 액정층 LQ에 대하여 원하지 않는 바이어스가 인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크로스 토크(예를 들어, 상기 화소 PX가 흑색을 표시하는 화소 전위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화소 PX에 접속된 소스 배선에 백색을 표시하는 화소 전위가 공급되었을 때, 상기 화소 PX의 일부로부터 광 누설이 발생하여 휘도의 상승을 초래하는 현상) 등의 표시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표시 품위가 더욱 양호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제2 구성예에서 설명한 어레이 기판 AR2는, 제1 구성예에서 설명한 대향 기판 CT1과 조합하여도 된다. 이 경우, 공통 전극 CE는, 주공통 전극으로서, 어레이 기판 AR2에 구비된 제1 주공통 전극 CA1 및 대향 기판 CT1에 구비된 제2 주공통 전극 CA2를 갖는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제1 주공통 전극 CA1과 제2 주공통 전극 CA2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영역에서는, 원하지 않는 종전계(즉, 기판 주면의 법선 방향을 따른 전계)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구성예≫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제3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구성예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제3 구성예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 LPN의 대향 기판 CT3에서의 하나의 화소 PX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제3 구성예에서는, 공통 전극 CE는, 주공통 전극으로서 대향 기판 CT3에 구비된 제2 주공통 전극 CA2 및 부공통 전극으로서 후술하는 어레이 기판에 구비된 제1 부공통 전극 CB1을 갖고 있다. 이 제2 주공통 전극 CA2는, 제2 배향막 AL2에 의해 덮여 있다.
즉, 도시한 대향 기판 CT3은, 제2 방향 Y를 따라서 직선적으로 연장한 띠 형상의 제2 주공통 전극 CA2를 구비하고 있으며, 부공통 전극은 구비하고 있지 않다. 즉, 대향 기판 CT3에 있어서, 공통 전극 CE는, 제2 방향 Y로 연장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제2 주공통 전극 CA2는 제1 방향 X를 따라서 간격을 두고 2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들을 구별하기 위해서, 도면 중 좌측의 제2 주공통 전극을 CAL2라 칭하고, 도면 중 우측의 제2 주공통 전극을 CAR2라 칭한다.
이와 같은 공통 전극 CE의 제2 주공통 전극 CA2는,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지만, 액티브 에리어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도전 부재를 개재하여, 어레이 기판에 형성된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코먼 전위가 급전된다.
이어서, 도 9에 도시한 대향 기판 CT3과의 조합이 적합한 어레이 기판 AR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제3 구성예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 LPN의 하나의 화소 PX를 대향 기판 CT3의 측에서 보았을 때의 어레이 기판 AR3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화소 전극 PE와 공통 전극 CE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공통 전극 CE를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하나의 화소 PX에서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만을 도시하고, 스위칭 소자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어레이 기판 AR3은, 어레이 기판 AR1과 마찬가지로, 제1 방향 X를 따라서 연장한 보조 용량선 C1 및 보조 용량선 C2와, 제1 방향 X를 따라서 연장한 게이트 배선 G1과, 제2 방향 Y를 따라서 연장한 소스 배선 S1 및 소스 배선 S2와, 화소 전극 PE를 구비하고 있다. 화소 전극 PE는, 제1 배향막 AL1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어레이 기판 AR3은, 공통 전극 CE의 일부로서, 제1 방향 X를 따라서 직선적으로 연장한 띠 형상의 제1 부공통 전극 CB1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부공통 전극 CB1은, 제2 주공통 전극 CA2와 동일 전위이다.
이 제1 부공통 전극 CB1은, 화소 전극 PE와 교차하기 때문에, 화소 전극 PE와 동일층에 형성할 수는 없다. 이로 인해, 화소 전극 PE와 제1 부공통 전극 CB1의 사이에는 층간 절연막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제1 배향막 AL1은, 화소 전극 PE 및 제1 부공통 전극 CB1 중 어느 상방에도 위치하고 있다.
이 제1 부공통 전극 CB1은, 제1 부화소 전극 PB와 제2 부화소 전극 P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1 부공통 전극 CB1은, 대략 화소 중앙부에 배치되고, 게이트 배선 G1에 대향하고 있다(또는, 제1 부공통 전극 CB1이 게이트 배선 G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음). 제1 부공통 전극 CB1과 게이트 배선 G1 사이에는, 절연막으로서, 적어도 제1 층간 절연막(12) 및 제2 층간 절연막(13)이 개재하고 있다.
이 제1 부공통 전극 CB1은, 액티브 에리어 내에서는 직선적으로 연장하고, 액티브 에리어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어레이 기판 AR3에 형성된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코먼 전위가 급전된다. 또한, 제1 부공통 전극 CB1이 액티브 에리어 내에서 게이트 배선 G1을 덮는 경우에는, 제1 부공통 전극 CB1의 제2 방향 Y를 따른 폭에 대해서는, 게이트 배선 G1의 제2 방향 Y를 따른 폭과 동등 이상이다.
화소 전극 PE는, 제1 구성예와 마찬가지로, 소스 배선 S1과 소스 배선 S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화소 전극 PE는, 주화소 전극 PA,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를 갖고 있다.
주화소 전극 PA는, 소스 배선 S1과 소스 배선 S2의 대략 중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는, 제1 부공통 전극 CB1을 사이에 둔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부화소 전극 PC는, 보조 용량선 C1과 대향하고 있다(또는, 제2 부화소 전극 PC가 보조 용량선 C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음).
또한, 게이트 배선 G1이 화소 PX 상측 단부 또는 하측 단부에 배치되고, 보조 용량선 C1이 대략 화소 중앙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1 부화소 전극 PB 또는 제2 부화소 전극 PC가 게이트 배선 G1과 대향하고 있어도 되고(또는, 제1 부화소 전극 PB 또는 제2 부화소 전극 PC가 게이트 배선 G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제1 부공통 전극 CB1이 보조 용량선 C1과 대향하고 있어도 된다(또는, 제1 부공통 전극 CB1이 보조 용량선 C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됨).
한편, 공통 전극 CE에 있어서, 제2 주공통 전극 CAL2 및 제2 주공통 전극 CAR2는, 주화소 전극 PA의 바로 위의 위치를 사이에 둔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주화소 전극 PA는 제2 주공통 전극 CAL2와 제2 주공통 전극 CAR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2 주공통 전극 CAL2는, 화소 PX의 좌측 단부에 배치되고, 소스 배선 S1과 대향하고 있다(또는, 제2 주공통 전극 CAL2가 소스 배선 S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음). 또한, 제2 주공통 전극 CAR2는, 화소 PX의 우측 단부에 배치되고, 소스 배선 S2와 대향하고 있다(또는, 제2 주공통 전극 CAR2가 소스 배선 S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음).
이와 같은 제3 구성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하나의 화소 내에 4개의 도메인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4 방향에서의 시야각을 광학적으로 보상할 수 있어, 광시야각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구성예에서 설명한 효과 외에, 공통 전극 CE의 제1 부공통 전극 CB1은, 게이트 배선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게이트 배선으로부터의 원하지 않는 전계를 차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게이트 배선으로부터 액정층 LQ에 대하여 원하지 않는 바이어스가 인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번인 등의 표시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표시 품위가 더욱 양호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 PE와 제1 부공통 전극 CB1의 사이에 층간 절연막을 개재하는 구조는, 다른 구성예와 비교하여 제조 공정수가 증가한다. 그러나, 이 구성예의 전체의 제조 공정수는 종래의 FF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수와 동일하다. 종래의 FF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화소 내에 멀티 도메인을 형성하는 구성의 하나로, 화소 전극의 형상을 'ㄱ'자 형상으로 하는 구성이 있다. 이 'ㄱ'자 형상의 화소 전극의 중앙 부근에 있어서는, 디스크리네이션이 발생하기 쉽고, 이에 의해 화소 전체의 휘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FF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이 디스크리네이션이 발생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휘도가 향상된다.
또한, 이 제3 구성예에서 설명한 어레이 기판 AR3은, 제1 구성예에서 설명한 대향 기판 CT1과 조합하여도 된다. 이 경우, 공통 전극 CE는, 부공통 전극으로서, 어레이 기판 AR3에 구비된 제1 부공통 전극 CB1 및 대향 기판 CT1에 구비된 제2 부공통 전극 CB2를 갖는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제1 부공통 전극 CB1과 제2 부공통 전극 CB2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영역에서는, 원하지 않는 종전계(즉, 기판 주면의 법선 방향을 따른 전계)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구성예≫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제4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구성예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제4 구성예에서의 액정 표시 패널 LPN의 하나의 화소 PX를 대향 기판 CT의 측에서 보았을 때의 어레이 기판 AR4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하나의 화소 PX에서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만을 도시하고, 스위칭 소자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 제4 구성예에서는, 공통 전극 CE는, 주공통 전극으로서 어레이 기판 AR4에 구비된 제1 주공통 전극 CA1 및 부공통 전극으로서 어레이 기판 AR4에 구비된 제1 부공통 전극 CB1을 갖고 있다.
어레이 기판 AR4는, 어레이 기판 AR1과 마찬가지로, 제1 방향 X를 따라서 연장한 보조 용량선 C1 및 보조 용량선 C2와, 제1 방향 X를 따라서 연장한 게이트 배선 G1과, 제2 방향 Y를 따라서 연장한 소스 배선 S1 및 소스 배선 S2와, 화소 전극 PE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어레이 기판 AR4는, 제2 방향 Y를 따라서 직선적으로 연장한 띠 형상의 제1 주공통 전극 CA1(CAL1 및 CAR1) 및 제1 방향 X를 따라서 직선적으로 연장한 띠 형상의 제1 부공통 전극 CB1을 갖는 공통 전극 CE를 구비하고 있다. 즉, 어레이 기판 AR4에 있어서, 공통 전극 CE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주공통 전극 CA1의 구성에 대해서는, 어레이 기판 AR2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 부공통 전극 CB1의 구성에 대해서는, 어레이 기판 AR3으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제1 배향막 AL1은, 화소 전극 PE, 제1 주공통 전극 CA1 및 제1 부공통 전극 CB1 중 어느 상방에도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통 전극 CE의 제1 주공통 전극 CA1 및 제1 부공통 전극 CB1은,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지만, 액티브 에리어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도전 부재를 개재하여 어레이 기판 AR4에 형성된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코먼 전위가 급전된다.
이 제4 구성예에서 설명한 어레이 기판 AR4는, 제1 구성예에서 설명한 대향 기판 CT1, 제2 구성예에서 설명한 대향 기판 CT2 및 제3 구성예에서 설명한 대향 기판 CT3 중 어느 것과도 조합 가능하다.
상기의 제1 내지 제4 구성예에서 설명한 어레이 기판 AR1, 어레이 기판 AR2, 어레이 기판 AR3 및 어레이 기판 AR4와, 상기의 제1 내지 제3 구성예에서 설명한 대향 기판 CT1, 대향 기판 CT2 및 대향 기판 CT3의 조합에 대해서는, 도 12에 정리하였다. 도면 중 사선은 본 실시 형태의 기본 구성을 실현할 수 없는 조합에 상당하고, 도면 중 이중원(◎)은 각 구성예에서 설명한 조합에 상당하며, 도면 중 흰색 동그라미(○)는 각 구성예에 있어서 가능한 조합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또 다른 변형에 대하여 하나의 화소 PX의 구성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변형의 하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화소 전극 PE는, 제2 방향 Y를 따라서 연장하면서 제1 방향 X를 따라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한 2개의 주화소 전극 PA, 제1 방향 X를 따라서 연장한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를 갖고 있다. 이러한 화소 전극 PE는, 어레이 기판에 구비되어 있다.
공통 전극 CE는, 제2 방향 Y를 따라서 연장한 주공통 전극 CA 및 제1 방향 X를 따라서 연장한 부공통 전극 CB를 갖고 있다. 주공통 전극 CA는, 2개의 주화소 전극 PA 각각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3개의 주공통 전극 CA와 2개의 주화소 전극 PA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부공통 전극 CB는, 제1 부화소 전극 PB와 제2 부화소 전극 PC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와 1개의 부공통 전극 CB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통 전극 CE에 대해서도, 주공통 전극 CA 및 부공통 전극 CB의 적어도 일부는, 대향 기판에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하나의 화소 PX 내에 8개의 영역이 형성되고, ON 시에는,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액정 분자가 배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의 각 구성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의 다른 변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화소 전극 PE는, 제2 방향 Y를 따라서 연장한 주화소 전극 PA, 제1 방향 X를 따라서 연장한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를 갖고 있다. 이들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는, 주화소 전극 PA의 단부가 아니라, 화소 중앙부 근방의 위치에서 주화소 전극 PA와 결합하고 있다. 이러한 화소 전극 PE는, 어레이 기판에 구비되어 있다.
공통 전극 CE는, 제2 방향 Y를 따라서 연장한 주공통 전극 CA 및 제1 방향 X를 따라서 연장한 부공통 전극 CB를 갖고 있다. 주공통 전극 CA는, 화소 전극 PE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2개의 주공통 전극 CA와 1개의 주화소 전극 PA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부공통 전극 CB는,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 각각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3개의 부공통 전극 CB와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통 전극 CE에 대해서도, 주공통 전극 CA 및 부공통 전극 CB의 적어도 일부는, 대향 기판에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하나의 화소 PX 내에 8개의 영역이 형성되고, ON 시에는,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액정 분자가 배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의 각 구성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화소 전극 PE의 제1 부화소 전극 PB 및 제2 부화소 전극 PC와, 게이트 배선 G1, 보조 용량선 C1 및 보조 용량선 C2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의 (a) 및 (b)로 나타낸 예는, 게이트 배선 G1이 보조 용량선 C1과 보조 용량선 C2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상당한다. 도 15의 (c) 내지 (f)로 나타낸 예는, 게이트 배선 G1이 보조 용량선 C1보다도 보조 용량선 C2의 측에 근접하고 있는 경우에 상당한다. 또한, (a) 내지 (f)로 나타낸 어느 하나의 예에 있어서도, 제2 부화소 전극 PC는, 보조 용량선 C1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면 중 (a) 및 (f)로 나타낸 예에서는, 제1 부화소 전극 PB는, 보조 용량선 C2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도시한 화소 전극 PE의 상측에 인접하는 화소 전극의 부화소 전극도 보조 용량선 C1의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도시한 화소 전극 PE의 하측에 인접하는 화소 전극의 부화소 전극도 보조 용량선 C2의 상방에 위치한다.
도면 중 (b) 및 (e)로 나타낸 예에서는, 제1 부화소 전극 PB는, 게이트 배선 G1과 보조 용량선 C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면 중 (c)로 나타낸 예에서는, 제1 부화소 전극 PB는, 게이트 배선 G1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면 중 (d)로 나타낸 예에서는, 제1 부화소 전극 PB는, 게이트 배선 G1과 보조 용량선 C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어느 한쪽의 예에 있어서도, 대향 기판 CT1 내지 CT3을 적용 가능하며, 제1 주공통 전극 CA1을 구비한 어레이 기판 AR2, 제1 부공통 전극 CB1을 구비한 어레이 기판 AR3 및 제1 주공통 전극 CA1 및 제1 부공통 전극 CB1을 구비한 어레이 기판 AR4 중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본 실시 형태는, 특히 도트 반전 구동에서 용량 결합 구동을 행하는 용량 결합 도트 반전 구동(CCDI 구동)을 행하는 구성에 적합하다. 즉, 용량 결합 구동(CC 구동)에서는, 각 화소의 유지 용량 Cs를 통하여, 보조 용량 신호를 화소 전극 PE에 중첩함으로써 소정의 전압에 도달시키기 위해서, 유지 용량 Cs와 화소 용량을 대략 동등하게 하는 경우에는, 신호 전압 진폭을 대략 반감할 수 있다. CCDI 구동에서는, 인접하는 화소 PX의 유지 용량 Cs가 서로 다른 보조 용량선 C에 접속되고, 인접하는 화소 PX의 유지 용량 Cs에 공급되는 보조 용량 전압을 서로 다른 극성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상기 화소 PX의 유지 용량 Cs가 보조 용량선 C1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화소 PX의 유지 용량 Cs는 보조 용량선 C2에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화소의 유지 용량과 보조 용량선을 접속함으로써, 인접하는 화소 PX의 유지 용량 Cs에 공급되는 보조 용량 전압을 서로 다른 전압(예를 들어 '하이'와 '로우')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게이트 드라이버 GD, 소스 드라이버 SD, 컨트롤러를 내장한 구동 IC 칩(2) 등은, 이러한 CCDI 구동을 행하기 위한 구동 기구로서 기능하고, 어레이 기판 AR에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CCDI 구동을 적용한 구성에 의하면,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음과 함께 표시 품위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표시 품위가 양호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고 있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제1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한 제1 보조 용량선 및 제2 보조 용량선과,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제1 보조 용량선과 상기 제2 보조 용량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게이트 배선과, 제1 방향으로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한 제1 소스 배선 및 제2 소스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배선과 상기 제2 소스 배선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주화소 전극과, 상기 주화소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보조 용량선과 대향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주화소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으로부터 이격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제2 부화소 전극과, 수평 배향성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주화소 전극, 상기 제1 부화소 전극 및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을 덮는 제1 배향막을 구비한 제1 기판과,
    상기 주화소 전극을 사이에 둔 양측에서 제2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한 제2 주공통 전극과, 상기 제2 주공통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제2 부화소 전극 사이에서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제2 부공통 전극과, 수평 배향성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주공통 전극 및 상기 제2 부공통 전극을 덮는 제2 배향막을 구비한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에 유지된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소 전극과 상기 제2 주공통 전극의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액정 분자의 초기 배향 방향은, 제2 방향에 대략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1 소스 배선 및 상기 제2 소스 배선과 각각 대향하고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제1 배향막에 의해 덮이고 상기 제2 주공통 전극과 동일 전위의 제1 주공통 전극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게이트 배선과 대향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제1 배향막에 의해 덮이고 상기 제2 주공통 전극과 동일 전위의 제1 부공통 전극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게이트 배선과 대향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제1 배향막에 의해 덮이고 상기 제2 주공통 전극과 동일 전위의 제1 부공통 전극과, 상기 제1 부공통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소스 배선 및 상기 제2 소스 배선과 각각 대향하고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제1 배향막에 의해 덮인 제1 주공통 전극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1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한 제1 보조 용량선 및 제2 보조 용량선과,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제1 보조 용량선과 상기 제2 보조 용량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게이트 배선과, 제1 방향으로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한 제1 소스 배선 및 제2 소스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배선과 상기 제2 소스 배선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주화소 전극과, 상기 주화소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보조 용량선과 대향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주화소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으로부터 이격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제2 부화소 전극과, 상기 제1 소스 배선 및 상기 제2 소스 배선과 각각 대향하고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제1 주공통 전극과, 수평 배향성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주화소 전극, 상기 제1 부화소 전극, 상기 제2 부화소 전극 및 상기 제1 주공통 전극을 덮는 제1 배향막을 구비한 제1 기판과,
    상기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의 사이에서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제2 부공통 전극과, 수평 배향성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공통 전극을 덮는 제2 배향막을 구비한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에 유지된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소 전극과 상기 제1 주공통 전극의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액정 분자의 초기 배향 방향은, 제2 방향에 대략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1 주공통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게이트 배선과 대향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제1 배향막에 의해 덮인 제1 부공통 전극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1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한 제1 보조 용량선 및 제2 보조 용량선과,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제1 보조 용량선과 상기 제2 보조 용량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게이트 배선과, 제1 방향으로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한 제1 소스 배선 및 제2 소스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배선과 상기 제2 소스 배선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주화소 전극과, 상기 주화소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보조 용량선과 대향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제1 부화소 전극과, 상기 주화소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부화소 전극으로부터 이격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띠 형상의 제2 부화소 전극과, 상기 게이트 배선과 대향하고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한 제1 부공통 전극과, 수평 배향성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주화소 전극, 상기 제1 부화소 전극, 상기 제2 부화소 전극 및 상기 제1 부공통 전극을 덮는 제1 배향막을 구비한 제1 기판과,
    상기 주화소 전극을 사이에 둔 양측에서 제2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하고 상기 제1 부공통 전극과 동일 전위의 제2 주공통 전극과, 수평 배향성을 나타내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주공통 전극을 덮는 제2 배향막을 구비한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에 유지된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소 전극과 상기 제2 주공통 전극의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액정 분자의 초기 배향 방향은, 제2 방향에 대략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1 부공통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소스 배선 및 상기 제2 소스 배선과 각각 대향하고 제2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상기 제1 배향막에 의해 덮인 제1 주공통 전극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은, 상기 제2 보조 용량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의 사이, 또는 상기 제1 보조 용량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은, 상기 제2 보조 용량선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화소 전극은 상기 주화소 전극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부화소 전극은 상기 주화소 전극의 타단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소 전극은, 상기 제1 소스 배선과 상기 제2 소스 배선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공통 전극은, 상기 제1 소스 배선 및 상기 제2 소스 배선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공통 전극은, 상기 게이트 배선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향막이 상기 액정 분자를 초기 배향시키는 제1 배향 처리 방향 및 상기 제2 배향막이 상기 액정 분자를 초기 배향시키는 제2 배향 처리 방향은 서로 대략 평행하며,
    상기 액정 분자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사이에 있어서 스프레이 배향 또는 호모지니어스 배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외면에 배치되고 제1 편광축을 구비한 제1 편광판과, 제2 기판의 외면에 배치되고 제1 편광축과 크로스니콜의 위치 관계에 있는 제2 편광축을 구비한 제2 편광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편광판의 제1 편광축이 상기 액정 분자의 초기 배향 방향과 직교하거나 또는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용량 결합 도트 반전 구동을 행하기 위한 구동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37026141A 2011-04-08 2012-02-15 액정 표시 장치 KR101635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86560 2011-04-08
JPJP-P-2011-086560 2011-04-08
PCT/JP2012/053544 WO2012137540A1 (ja) 2011-04-08 2012-02-15 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463A true KR20130131463A (ko) 2013-12-03
KR101635668B1 KR101635668B1 (ko) 2016-07-01

Family

ID=4696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141A KR101635668B1 (ko) 2011-04-08 2012-02-15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25097B2 (ko)
JP (1) JP5707487B2 (ko)
KR (1) KR101635668B1 (ko)
CN (1) CN103534642B (ko)
WO (1) WO20121375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8490A (ja) 2013-03-14 2014-09-25 Japan Display Inc 液晶表示装置
JP2015072434A (ja) * 2013-10-04 2015-04-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6336762B2 (ja) 2014-01-24 2018-06-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2015184418A (ja)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CN104007590A (zh) * 2014-06-17 2014-08-2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Tft阵列基板结构
JP2016133771A (ja) 2015-01-22 2016-07-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US10105965B2 (en) * 2015-04-23 2018-10-23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printing method and ink jet printing apparatus
JP6531313B2 (ja) * 2015-05-01 2019-06-19 凸版印刷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6767666B2 (ja) * 2016-01-29 2020-10-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ヘッド及び液体噴射装置並びに液体噴射装置の製造方法
US10916168B2 (en) * 2019-05-24 2021-02-09 Hannstouch Solution Incorporated Panel and pixel structure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0041A (ja) 1995-12-08 1997-06-20 Toshiba Corp 液晶表示素子
JPH103092A (ja) * 1996-06-14 1998-01-06 Oobayashi Seiko Kk 液晶表示装置
KR20040091184A (ko) * 2003-04-19 2004-10-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96424A (ko) * 2003-04-25 2004-11-16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고 콘트라스트비를 갖는 lcd 디바이스
JP2009192822A (ja) 2008-02-14 2009-08-27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2397A (ja) * 1993-01-25 1994-08-12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JP2701698B2 (ja) 1993-07-20 1998-01-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H07159807A (ja) 1993-12-06 1995-06-23 Hitachi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TW454101B (en) 1995-10-04 2001-09-11 Hitachi Ltd In-plane field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liquid crystal molecules with more than two different kinds of reorientation direction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H09160042A (ja) 1995-12-08 1997-06-20 Toshiba Corp 液晶表示素子
JPH09160061A (ja) 1995-12-08 1997-06-20 Toshiba Corp 液晶表示素子
JPH1026765A (ja) 1996-07-10 1998-01-27 Toshiba Corp 液晶表示素子、投影型液晶表示装置及び基板
JP3644653B2 (ja) 1996-08-07 2005-05-11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1090708A (ja) * 1996-09-17 1998-04-10 Toshiba Corp 液晶表示素子
JPH10186366A (ja) * 1996-12-26 1998-07-14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
JP3883244B2 (ja) * 1997-01-23 2007-02-21 エルジー フィリップス エルシー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晶表示装置
JP4364332B2 (ja) 1998-06-23 2009-11-1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303351B1 (ko) 1998-12-17 2002-06-20 박종섭 수직 배향 모드 액정 표시 장치
JP3210639B2 (ja) * 1999-04-27 2001-09-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1282205A (ja) * 2000-03-31 2001-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4157307B2 (ja) * 2002-02-18 2008-10-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応用装置
JP4107978B2 (ja) 2003-02-21 2008-06-2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
JP2005003802A (ja) 2003-06-10 2005-01-06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5084233A (ja) * 2003-09-05 2005-03-31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959367B1 (ko) * 2003-10-13 2010-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KR100606410B1 (ko) * 2003-12-11 2006-07-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7564510B2 (en) 2004-01-26 2009-07-21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4088619B2 (ja) 2004-01-28 2008-05-21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表示装置
KR100617040B1 (ko) 2004-03-16 2006-08-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5292515A (ja) 2004-03-31 2005-10-20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JP4202354B2 (ja) * 2005-10-31 2008-12-24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晶表示装置
KR101247113B1 (ko) 2005-11-22 2013-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320494B1 (ko) 2006-04-12 2013-10-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수평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200813535A (en) 2006-09-12 2008-03-16 Wintek Corp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1413275B1 (ko) 2007-01-29 2014-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80071231A (ko) 2007-01-30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427708B1 (ko) 2007-02-01 2014-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JP2009294633A (ja) * 2007-09-26 2009-12-17 Nec Lcd Technologies Ltd 液晶表示装置
JP2009216793A (ja) * 2008-03-07 2009-09-24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2009244287A (ja) * 2008-03-28 2009-10-22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5380416B2 (ja) * 2010-10-20 2014-01-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0041A (ja) 1995-12-08 1997-06-20 Toshiba Corp 液晶表示素子
JPH103092A (ja) * 1996-06-14 1998-01-06 Oobayashi Seiko Kk 液晶表示装置
KR20040091184A (ko) * 2003-04-19 2004-10-2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96424A (ko) * 2003-04-25 2004-11-16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고 콘트라스트비를 갖는 lcd 디바이스
JP2009192822A (ja) 2008-02-14 2009-08-27 Toshiba Mobile Display Co Ltd 液晶表示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6,657,693B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34642B (zh) 2016-01-27
WO2012137540A8 (ja) 2013-01-10
CN103534642A (zh) 2014-01-22
JP5707487B2 (ja) 2015-04-30
US9025097B2 (en) 2015-05-05
US20140036214A1 (en) 2014-02-06
JPWO2012137540A1 (ja) 2014-07-28
KR101635668B1 (ko) 2016-07-01
WO2012137540A1 (ja)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5668B1 (ko) 액정 표시 장치
JP5386555B2 (ja) 液晶表示装置
US942478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39558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552457B2 (ja) 液晶表示装置
JP5759813B2 (ja) 液晶表示装置
US920751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74333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674587B2 (ja) 液晶表示装置
US981728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3205652A (ja) 液晶表示装置
JP6010330B2 (ja) 液晶表示装置
JP2013072954A (ja) 液晶表示装置
JP5785831B2 (ja) 液晶表示装置
JP5824301B2 (ja) 液晶表示装置
JP5945479B2 (ja) 液晶表示装置
JP5785834B2 (ja) 液晶表示装置
JP5938181B2 (ja) 液晶表示装置
JP2015072374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