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731A - 간호용 침대 - Google Patents

간호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731A
KR20130122731A KR1020137007663A KR20137007663A KR20130122731A KR 20130122731 A KR20130122731 A KR 20130122731A KR 1020137007663 A KR1020137007663 A KR 1020137007663A KR 20137007663 A KR20137007663 A KR 20137007663A KR 20130122731 A KR20130122731 A KR 20130122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rsing
support
thigh
suppor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유키 이시다
Original Assignee
타카유키 이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카유키 이시다 filed Critical 타카유키 이시다
Publication of KR20130122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5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the patient is supported by a specific part of the body
    • A61G2200/58Thig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간호용 침대(1)는 요간호자(P)의 둔부를 지지하는 둔부 받침부(6)와, 상기 둔부부터 상반신 부분을 지지하는 상반신 받침부(7)와, 상기 둔부부터 하반신 부분을 지지하는 하반신 받침부(8)를 가진 매트몸체(2)와, 매트몸체(2)를 지지하는 침대틀(3)과, 둔부 받침부(6)이 하부에 수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로 이동 가능한 변기장치(4)를 갖추며, 하반신 받침부(8)는 요간호자(P)의 대퇴부를 지지하는 대퇴 받침부(14)를 갖추되, 대퇴 받침부(14)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대퇴부를 들어올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호용 침대{BED FOR NURSING CARE}
본 발명은 간호를 필요로 하는 자(要介護者)를 위한 간호용 침대와 관련되며, 특히 변기를 갖춘 간호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침대에 누운 채로 일어나지 못하는 신체 장애인이나 노인 등의 간호를 필요로 하는 자(요간호자, 要介護者)의 간호를 하려면, 간호사 등의 간호하는 자에게 큰 노동력의 부담을 주고 있다. 그런데, 최근 이 간호자의 노동력 부담을 경감하기 위하여, 각종 간호용 침대가 제안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종래의 간호용 침대로서는, 예를 들면 침대에서 자고 있는 요간호자가 스위치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사용 시에는 요간호자의 둔부(臀部)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開口部)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로 변기가 이동되어 설치되는 한편, 미사용 시에는 그 개구부를 매트로 닫아서 막게 하는 간호용 침대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2001-212186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한 종래의 간호용 침대에서는, 요간호자가 대변을 볼 때 대변을 보기 쉬운 자세를 취할 수가 없기 때문에, 요간호자가 용이하게 대변을 볼 수 없는 문제와, 대변을 볼 때의 자세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간호자가 요간호자의 장내 세정을 실시할 때, 매트 위에 올라가 무리한 자세를 취해야만 하므로, 간호자가 장내 세정 작업을 실시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와, 장내 세정 작업 시에 매트 등을 더럽힐 우려가 있는 문제 등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며, 요간호자가 용이하고 편한 자세로 대변을 볼 수 있음과 동시에, 간호자가 장내 세정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으며, 장내 세정 작업 시에 매트 등을 더럽힐 우려가 없는 간호용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간호용 침대는, 요간호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둔부 받침부와, 상기 둔부부터 상반신 부분을 지지하는 상반신 받침부와, 상기 둔부부터 하반신 부분을 지지하는 하반신 받침부를 가진 매트몸체와, 상기 매트몸체를 지지하는 침대틀과, 상기 둔부 받침부가 하부에 수납됨으로써 형성되는 개구부로 이동 가능한 변기 장치를 갖추며, 상기 둔부 받침부는 상기 요간호자의 대퇴부를 지지하는 대퇴 받침부를 갖추되, 그 대퇴 받침부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대퇴부를 들어올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간호용 침대는, 상기 대퇴 받침부를 상승시키는 대퇴 받침부 구동 기구를 구비하며, 그 대퇴 받침부 구동 기구는, 상기 대퇴 받침부를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로드를 신축시키는 승강 장치와, 상기 승강 장치의 하부를 머리 측 또는 발치 측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슬라이드 장치를 갖추며, 상기 대퇴부를 들어올릴 때, 상기 승강 장치가 상기 로드를 신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장치가 상기 승강 장치의 하부를 발치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대퇴 받침부를 머리 측으로 기울어 움직이게 하면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간호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대퇴 받침부는 좌우로 분할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대퇴 받침부를 좌우로 이간(離間) 또는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 슬라이드 장치를 갖추되, 대퇴부를 들어올릴 때 상기 좌우 슬라이드 장치가 상기 각 대퇴 받침부를 서로 좌우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관한 간호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둔부 받침부의 좌우 외측 부분은 머리 측 부분과 발치 측 부분으로 분할되며, 상기 대퇴 받침부가 상승할 때 상기 머리 측 부분과 상기 발치 측 부분과의 추결(樞結)부가 상승하여, 상기 둔부 받침부의 좌우 외측 부분이 산접기 형상이 되며, 상기 대퇴 받침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관헌 간호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 틀의 상기 둔부 받침부를 지지하는 부분을 하부에 되감아서 머리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둔부 받침부를 하부에 수납하는 둔부 받침부 수납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관한 간호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변기 장치는, 위쪽에 개구(開口)를 가지는 용기,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어 위쪽을 개폐 가능한 비닐봉투와, 상기 용기의 발치 측으로 승강(昇降)이 가능하며 상단에 흡인구(吸引口)를 가진 소변 흡인기를 갖추며, 상기 요간호자가 남성일 경우에는 상기 소변 흡인기의 흡인구를 상기 용기의 위쪽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요간호자가 여성일 경우에는 상기 비닐봉투의 발치 측 부분을 상기 용기의 위쪽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관한 간호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단의 머리 측에 설치되는 머리 측 후크(hook)와, 상기 용기의 발치 측에 설치되어 상기 소변흡인기와 함께 승강하는 발치 측 후크(hook)에 상기 비닐봉투의 손잡이를 걸어서, 그 비닐봉투가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관한 간호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머리 측 후크는 발치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관한 간호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저부(底部)에는, 상기 소변흡인기 또는 상기 발치 측 후크의 상승 동작에 따라서 발치 측 부분이 상승해 경사 자세를 이루는 저판(底板)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관한 간호용 침대에 있어서, 요간호자를 들어올려서 이동시키기 위한 요간호자 리프트 이동 장치를 갖추며, 그 요간호자 리프트 이동 장치는 상기 침대 틀에 고정되는 지주(支柱)와, 지주에 좌우 측면 및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가 되는 암(arm)과, 그 암의 끝에 장착되는 리프트수단과, 그 리프트수단에 착탈 자재로 장착되며 그 리프트수단을 통해 상기 암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요간호자 유지수단(保持具)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관한 간호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수단은 연직(鉛直)자세로 평행하게 설치된 연직 프레임(frame)과, 상기 각 연직 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암과의 사이를 건너지르는 리프팅 로프와, 상기 각 연직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된 등받이와, 상기 각 연직 프레임의 하단에 접속된 스프링(spring)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관한 간호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요간호자 유지수단은, 요간호자의 정면 측에 배치되는 봉제인형과, 그 봉제인형의 양어깨부(兩肩部)에서 각각 전후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해서 요간호자의 겨드랑이 밑을 지지하는 팔부(腕部)와,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요간호자의 대퇴부를 지지하는 대퇴 받침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관한 간호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요간호자 유지수단은, 상기 봉제인형의 좌우 하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각부(脚部)를 갖추며, 상기 대퇴 받침부는 원통 형상의 스펀지재와, 그 스펀지재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벨트를 갖추고, 상기 각 각부의 후단부에는 각각 상기 벨트에 걸 수 있는 후크(hook)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요간호자가 용이하고 편한 자세로 대변을 볼 수가 있음과 동시에, 간호자가 장내 세정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으며, 장내 세정 작업 시에 매트 등을 더럽힐 우려가 없는 간호용 침대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간호용 침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간호용 침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간호용 침대에서 요간호자가 배설을 할 때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간호용 침대에서 요간호자가 배설을 할 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간호용 침대의 변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간호용 침대의 변기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간호용 침대의 요간호자 리프트 이동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간호용 침대의 요간호자 리프트 이동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간호용 침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간호용 침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간호용 침대에 있어서 요간호자가 배설을 할 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내고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간호용 침대(1)는 매트몸체(2)와, 매트몸체(2)를 지지하는 침대틀(3)과, 매트몸체(2)의 하부에 설치되는 변기장치(4)와, 침대틀(3)의 머리 측에 장착되는 요간호자 리프트 이동장치(5)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매트몸체(2)는 간호용 침대(1)에 누운 요간호자(P)의 둔부를 지지하는 둔부 받침부(6)와, 상기 둔부보다 상반신 부분을 지지하는 상반신 받침부(7)와, 상기 둔부보다 하반신 부분을 지지하는 하반신 받침부(8)로 분할되어 있다.
둔부 받침부(6)는 중앙 부분(9)과 좌우 외측 부분(10, 11)으로 분할되며, 중앙 부분(9)은 매트몸체(2)의 하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좌우 외측 부분(10, 11)은 각각, 머리측(頭部側) 부분(10a, 11a)과, 발치측 부분(10b, 11b)과, 머리측 부분(10a, 11a)과 발치측 부분(10b, 11b)과의 추결부(椎結部)(10c, 11c)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추결부(10c, 11c)가 상승함으로써 머리측 부분(10a, 11a)과 발치측 부분(10b, 11b)이 경사져서, 좌우 외측 부분(10, 11)이 산접기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반신 받침부(7)는 간호용 침대(1)에 누운 요간호자(P)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받침부(12)와 요간호자(P)의 몸통을 지지하는 몸통 받침부(13)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머리 받침부(12)는 뗄 수 있게 설치되며, 몸통 받침부(13)의 중앙 부분(13a)은 그 좌우 양측 부분(13b, 13c)보다 약간 움푹 패여 형성되어 있다. 또, 상반신 받침부(7)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 및 전달 기구를 통해서, 발치 측 부분을 지점(支點)으로 회전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도 4 참조), 이 구동원은 모터(motor)나 작동장치(actuator) 등의 전동식 혹은 공기 압력식 등의 각종 구동원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전달기구는 링크(link) 기구나 톱니바퀴, 벨트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모두 종래의 공지 기술에 의해 실현 가능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하반신 받침부(8)는 간호용 침대(1)에 누운 요간호자(P)의 대퇴부를 지지하는 대퇴 받침부(14)와, 요간호자(P)의 종아리부를 지지하는 종아리 받침부(15)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대퇴 받침부(14)는 다시 좌우의 대퇴 받침부(14a, 14b)로 분할되며, 좌우의 대퇴 받침부(14a, 14b)는 서로 좌우로 이간(離間) 또는 근접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한편, 머리 측으로 기울어 움직이게 하면서 상승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아리 받침부(15)는 좌우 외측 부분(15a, 15b)과 중앙 부분(15c)으로 분할되며, 중앙 부분(15c)은 떼어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침대틀(3)은 내부에 공간(16)이 있도록 금속제 각 파이프를 외주(外周)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침대틀(3)의 머리 측에는 헤드 보드(headboard)(17)가 장착되며, 침대틀(3)의 네 귀퉁이의 하부에는 각각 다리부(18)가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침대틀(3)의 공간(16)에는 머리 측에서부터 차례대로, 세면 장치(19), 둔부 받침부 수납 장치(20), 둔부 받침부의 좌우 외측 부분 구동장치(21), 및 대퇴 받침부 구동 기구(22)가 설치되어 있다.
세면 장치(19)는 머리 받침부(12)의 하부에 배치되는 세면기(23)와 세면기(23)의 하부에 배치되는 물통(24)을 갖추어 구성되어 있으며, 세면기(23)의 배수관(25)이 물통(24) 상에서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세면기(23)는 매트몸체(2)의 머리 받침부(12)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둔부 받침부 수납 장치(20)는 작동장치 등의 구동원에 의해 머리측 또는 발치측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장치(26)와 둔부 받침부(6)를 지지하는 부분(27)을 하부에 되감을 수 있는 되감기 장치(28)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좌우 외측 부분 구동장치(21)는 매트몸체(2)의 머리측 부분(10a, 11a)과 발치측 부분(10b, 11b)과의 각 추결부(10c, 11c)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각 추결부(10c, 11c)를 승강시키는 작동장치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대퇴 받침부 구동 기구(22)는 대퇴 받침부(14)를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로드(29)를 신축시키는 승강 장치(30)와, 이 승강 장치(30)의 하부를 머리측 또는 발치측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장치(31)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으며, 승강 장치(30)가 로드(29)를 신장시킴과 동시에 슬라이드 장치(31)가 승강 장치(30)의 하부를 발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대퇴 받침부(14)를 머리측으로 기울어 움직이게 하면서 상승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대퇴 받침부 구동 기구(22)는 각 대퇴 받침부(14a, 14b)를 좌우로 이간 또는 근접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좌우 슬라이드 장치(도시 생략)도 갖추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고 있듯이, 변기장치(4)는 위쪽에 개구를 가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제로 물통 형태의 용기(33)과, 배 모양의 내용기(內容器)(71)를 통해서 용기(33)내에 수용되며 위쪽이 개폐 가능한 비닐봉투(34)와, 용기(33)의 발치 측에 설치하여 승강 가능하며 끝에 흡인구(40)를 가지는 소변 흡인기(35)와, 소변 흡인기(35)를 승강시키는 소변 흡인기 승강 장치(36)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변기장치(4)는 둔부 받침부(6)의 하부에서 발치측으로 평행으로 연장하는 2개의 레일(37)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레일(37)은 침대틀(3)의 발치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꺼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도 4 참조).
용기(33)의 상단에는 발치측과 머리측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횡가재(橫架材)(38)가 설치되며, 이 횡가재(38)의 표면에는 좌우 2곳에 머리측 후크(39)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용기(33)의 위쪽에는 좌우로 분할된 대좌(台座)(도시 생략)가 좌우로 이간 또는 근접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으며, 요간호자(P)의 배설 시에는 이 대좌에 의해 요간호자(P)의 둔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소변 흡인기(35)는 주름 호스 제품으로, 상단의 흡인구(40)가 머리측으로 향해 수평 자세를 이루도록 각 파이프 형태의 지지부재(支持部材)(41)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소변 흡인기(35)는 이 지지부재(41)로 지지된 상태에서 소변 흡인기 승강 장치(36)에 의해 평행한 가이드 레일(guide rail)(32)을 따라 용기(33)의 위쪽으로 상승하며, 소변 흡인기(35)의 하단의 개구(42)가 용기(33) 내에 수용된 비닐봉투(34) 상에서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소변 흡인기(35)의 하단의 개구(42)는 별체의 진공식 장치(도시 생략)에 접속하거나, 혹은 전용의 용기(도시 생략)로 흐르도록 해도 괜찮다.
또, 지지부재(41)의 머리 측에는 좌우 2곳에 발치측 후크(43)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머리측 후크(39)와 발치측 후크(43)에 비닐봉투(34)의 손잡이(44)를 걸게 하여, 비닐봉투(34)가 용기(33) 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비닐봉투(34)는 슈퍼나 편의점 등에서 쇼핑을 했을 때에 제공되는 비닐봉투를 사용할 수가 있으며, 비닐봉투(34)의 내부에는 흡수성이 좋은 일회용 용변 처리재(45)가 설치되어 있다.
용기(33)의 저부에는 저판(46)이 설치되며, 이 저판(46)의 머리측 단부(端部)(46a)에는 롤러(roller)(47)가 선회되게 설치되어 있고, 저판(46)의 발치측 단부(도시 생략)는 지지부재(41)로 선회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부재(41)로 지지되는 소변 흡인기(35)의 상승 동작에 따라, 저판(46)의 상기 발치측 단부가 상승함과 동시에 머리측 단부(46a)가 발치측으로 이동하여, 저판(46)이 경사 자세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간호자 리프트 이동장치(5)는 연직 자세에서 하단부가 침대틀(3)의 머리 측 모서리(角)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신축 자재의 지주(支柱)(48)와, 지주(48)의 상단부에 편지(片持)시켜 지지되며 좌우측 방향 및 상하로 회전 가능한 암(49)과, 암(49)의 끝에 장착되는 리프트수단(50)과,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리프트수단(50)을 통해 암(49)으로 들어 올릴 수 있는 요간호자 유지수단(51)을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지주(48)는 도 1 및 도 3에서 이점 쇄선(二点鎖線)으로 나타내고 있듯이, 매트몸체(2)로부터 이간하는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리프트수단(50)은 연직 자세로 평행으로 설치된 연직 프레임(52)과, 각 연직 프레임(52)의 상단부와 암(49)과의 사이를 건너지르는 리프팅 로프(53)와, 각 연직 프레임(52)의 사이에 설치된 등받이(54)와, 각 연직 프레임(52)의 하단에 접속된 스프링(55)을 갖추어 구성되어 있으며, 등받이(49)의 표면은 스펀지 등의 쿠션재(도시 생략)에 의해 덮여 있다.
요간호자 유지수단(51)은 요간호자(P)의 정면 측에 배치되는 봉제인형(56)과, 봉제인형(56)의 양어깨부에서 각각 전후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하여 요간호자(P)의 겨드랑이 밑을 지지하는 팔부(57)와, 봉제인형(56)의 좌우 하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다리부(58, 59)와, 스프링(55)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요간호자(P)의 대퇴부를 지지하는 대퇴 받침부(60)를 갖추고 있다.
봉제인형(56)은 팬더, 곰, 고릴라, 원숭이, 돼지 등의 형상을 가지며, 요간호자(P)에서 정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팔부(57)는 전후 방향으로 평행으로 연장하는 통 모양의 좌우 외부 프레임(61, 62)과, 좌우 외부 프레임(61, 62)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하여 삽입(貫揷)되는 평면시(視) ㄷ자형 내부 프레임(63)을 가지며, 봉제인형(56)의 양어깨부를 지점으로 연직 방향(도 8의 화살표 방향)으로 90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팔부(57)의 내부 프레임(63)은 좌우 외부 프레임(61, 62)과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도시 생략)을 통해서 좌우 외부 프레임(61, 62)의 전방으로 부세(付勢)되고 있으며, 좌우 후단부에는 각각 결합 부재(64, 65)가 장착되고 이 결합 부재(64, 65)는 등받이(54)의 좌우 양단에 괘탈(掛脫)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내부 프레임(63)의 전단부를 상기 스프링의 부(付)세력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압압(押壓)해서 좌우 외부 프레임(61, 62)에 대해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결합 부재(64, 65)가 좌우 외부 프레임(61, 62)의 후단에서 돌출하며, 결합 부재(64, 65)가 등받이(54)의 좌우 양단에 걸림으로써 팔받침부(57)가 리프트수단(50)에 고정되게 되어 있다. 게다가 팔부(57)은, 다이얼식의 조작부(도시 생략)를 좌우로 회전시켜서 전(前)프레임(63)이 좌우로 신축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들어올린 요간호자(P)의 어깨 폭에 맞추어 좌우 방향의 폭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대퇴 받침부(60)는 원통 형상의 스펀지재(68)와, 스펀지재(68)에 삽통되어 양단부에 각각 연결수단(도시 생략)이 장착된 띠모양의 벨트(70)를 갖추고 있으며, 각 연결구는 스프링(55)의 하단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좌우의 각부(58, 59)의 후단부에는 각각 후크부(66, 67)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후크부(66, 67)는 벨트(70)에 거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춘 요간호자 유지수단(51)에 의해 요간호자를 들어 올려 이동시킬 경우, 요간호자(P)가 봉제인형(56)에 대치하도록 요간호자(P)의 상반신 부분을 봉제인형(56)과 등받이(54)의 사이에 들어가게 하여, 요간호자(P)의 양쪽 겨드랑이 아래에 팔부(57)의 좌우 프레임(61, 62)을 각각 배치함과 동시에, 요간호자(P)의 둔부 아래에 스펀지재(68)를 배치한다. 그리고, 이 상태로 요간호자(P)를 들어 올리면, 요간호자(P)는 앞쪽으로 기울어 봉제인형을 껴안은 자세가 되며, 요간호자(P)가 바라는 위치로 안전하고 확실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요간호자(P)를 들어 올릴 때, 요간호자(P)의 정면에서는 봉제인형(56)이 접촉되고, 등쪽에서는 등받이(54)의 표면을 가리는 쿠션재가 접촉되며, 둔부에는 스펀지재(68)가 접촉됨과 동시에, 스프링(55)에 의해 요간호자(P)의 앉은키에 맞추어 요간호자 유지수단(51)의 높이가 조정되기 때문에, 요간호자(P)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기한 구성을 갖춘 간호용 침대(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요간호자(P)가 배설할 때의 간호용 침대(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도시 생략)로 배설용의 조작구가 선택되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내고 있듯이, 상기 구동원 및 전달 기구가 발치 측 부분을 지점으로 상반신 받침부(7)를 위쪽(도 4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요간호자(P)의 상반신 부분이 일어난다.
또한, 대퇴 받침부 구동 기구(22)의 승강 장치(30)가 로드(29)를 신장시킴과 동시에, 슬라이드 장치(31)가 승강 장치(30)의 하부를 발치 측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좌우의 대퇴 받침부(14a, 14b)가 각각 머리 측으로 기울어가면서 상승한다. 게다가 상기 좌우 슬라이드 장치가 좌우의 대퇴 받침부(14a, 14b)를 서로 좌우로 이간할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요간호자(P)의 대퇴부는 들어 올려지면서 좌우로 다리가 벌려진다.
또한, 이때, 좌우 외측 부분 구동장치(21)가 머리측 부분(10a, 11a)과 발치측 부분(10b, 11b)의 각 추결부(10c, 11c)를 상승시킴으로써, 머리 측 부분(10a, 11a)과 발치측 부분(10b, 11b)이 기울어져서, 좌우 외측 부분(10, 11)은 각각 산접기 형상이 되며, 둔부 받침부(6)의 좌우 외측 부분(10, 11)과 상반신 받침부(7)의 발치측 부분 및 좌우의 대퇴 받침부(14a, 14b)의 머리 측 부분과의 사이에 각각 틈새가 생긴다. 이것에 의해, 상기한 상반신 받침부(7)의 회전동작 및 좌우의 대퇴 받침부(14a, 14b)의 상승 동작을 원활하고 확실하게 실시하게 할 수가 있다.
게다가 둔부 받침부 수납 장치(20)의 슬라이드 장치(26)가 머리 측으로 슬라이드하면서 되감기 장치(28)가 둔부 받침부(6)을 지지하는 부분(27)을 하부로 감아서, 둔부 받침부(6)의 중앙 부분(9)의 하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이 개구를 통해서 공간(16)에 둔부 받침부(6)의 중앙 부분(9)이 늘어지게(垂下)된다.
또한, 이때, 종아리 받침부(15)의 중앙 부분(15c)을 분리하여, 변기장치(4)를 레일(37)을 따라 상기 개구의 하부까지 슬라이드시켜 소정 위치에 설치하고, 소변 흡인기 승강 장치(36)에 의해 소변 흡인기(35)를 용기(33)의 위쪽으로 상승시킨다. 그리고, 요간호자(P)의 둔부를 변기장치(4)의 대좌 위에 실어 요간호자(P)가 남성일 경우에는 소변 흡인기(35)의 흡인구멍(40)에 남성의 성기를 삽입시킨 다음, 요간호자(P)에게 배설 자세를 취하게 하고, 비닐봉투(34) 내에 배설을 실시하게 한다.
이 경우, 요간호자(P)는 좌우의 대퇴 받침부(14a, 14b)에 의해 대퇴부를 들어 올릴 수 있기 때문에, 무리가 없는 편안한 배설 시에 힘이 들어가기 쉬운 자세를 취할 수가 있다. 또한, 배설 시 요간호자(P)가 남성일 경우에는 소변이 소변 흡인기(35)를 통해서 비닐봉투(34) 내로 회수되는 한편, 요간호자(P)가 여성일 경우에는 비닐봉투(34)의 발치측 부분(34a)(도 5 참조)에 의해 소변 비닐봉투(34)의 외부로의 비산이 방지됨과 동시에, 용기(33)의 저판(46)이 소변 흡인기(35)의 상승 동작에 따라 경사 자세를 이루어(도 6 참조) 비닐봉투(34)에 모인 배설물을 한군데로 간단하게 모을 수가 있다. 따라서, 배설물의 회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어 간호자의 노력의 경감을 꾀할 수가 있다.
요간호자(P)에 의해 배설이 종료된 후에는, 소변 흡인기 승강 장치(36)가 소변 흡인기(35)를 강하(降下)시킴과 동시에, 횡가재(38)를 용기(33)의 상단을 따라 발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비닐봉투(34)의 위쪽의 개구를 닫아서 막게 한 다음, 변기장치(4)를 레일(37)을 따라 침대틀(3)의 발치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끌어내며, 간호자가 비닐봉투(34)의 손잡이(44)를 각 후크(39, 43)로부터 떼어내어 비닐봉투(34)째 배설물을 소정의 장소에 폐기한다.
다음으로, 요간호자(P)의 장내 세정을 실시할 때에 간호용 침대(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장내 세정용의 조작구가 선택됨으로써 상기한 요간호자(P)가 배설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반신 받침부(7)에 의해 요간호자(P)의 상반신 부분이 일으켜짐과 동시에, 대퇴 받침부(14a, 14b)에 의해 요간호자(P)의 대퇴부를 들어 올려지면서 좌우로 다리가 벌려진다.
또, 각 추결부(10c, 11c)의 상승에 의해 좌우 외측 부분(10, 11)이 각각 산접기 형상이 되며, 둔부받침부(6)의 좌우 외측 부분(10, 11)과 상반신 받침부(7)의 발치측 부분 및 좌우의 대퇴 받침부(14a, 14b)의 머리 측 부분과의 사이에 각각 틈새가 생긴다.
게다가 둔부 받침부 수납 장치(20)에 의해 둔부 받침부(9)의 중앙 부분(9)이 수하되어 형성된 공간에, 상기한 변기장치(4) 대신에 레일(37)에 설치된 용기(33)보다 대용량의 용기를 갖춘 변기 장치(도시 생략)가 상기 공간까지 슬라이드되어 설치된다. 이 상태로, 요간호자(P)의 둔부를 상기 변기 장치의 대좌 위에 실어 종아리 받침부(15)의 중앙 부분(15c)을 분리함으로써 형성된 공간에 배치한 의자(도시하지 않음)에 간호자가 착석한 자세로 요간호자(P)의 장내 세정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간호자는 장내 세정 시, 매트몸체(2) 위에 실려서 무리한 자세를 취할 필요가 없으며, 장내 세정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장내 세정 작업 시에 매트 등을 더럽힐 우려도 없다.
간호자에 의한 장내 세정의 종료 후, 상기 변기 장치를 레일(37)을 따라 침대틀(3)의 발치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끌어내며, 간호자가 비닐봉투를 후크로부터 떼어내어 소정의 장소에 폐기한다.
다음으로, 도 9~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간호용 침대(101)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상기한 실시의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도 9~도 11 중, 도 1~도 8과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간호용 침대(101)의 매트몸체(102)는 좌우 양측으로 예를 들면 폭 30 cm 정도의 측부(103, 104)가 각각 착탈이 가능하며, 측부(103, 104)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매트몸체(102)의 폭이 예를 들면 150 cm 정도의 와이드 폭이 되도록 되어 있다.
매트몸체(102)는 간호용 침대(101)에 누운 요간호자(P)의 둔부를 지지하는 둔부 받침부(105)와, 상기 둔부보다 상반신 부분을 지지하는 상반신 받침부(106)와, 상기 둔부보다 하반신 부분을 지지하는 하반신 받침부(107)로 분할되어 있으며, 둔부 받침부(105)는 매트몸체(102)의 하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반신 받침부(106)는 간호용 침대(101)에 누운 요간호자(P)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 받침부(108)와, 요간호자(P)의 몸통을 지지하는 몸통 받침부(109)와, 머리 받침부(108)의 좌우 양측으로 설치되는 음향 설비 수납부(110a, 110b)와, 둔부 받침부(105) 및 몸통 받침부(109)의 좌우 양측으로 설치되는 팔걸이부(111a, 111b)와, 몸통 받침부(109)의 상부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좌우 넘어짐 방지부(112a, 112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반신 받침부(106)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 및 전달 기구를 통해서, 발치 측 부분을 지점으로 회전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도 11 참조), 이 구동원으로서는 모터나 작동장치 등의 전동식 혹은 공기 압력식 등의 각종 구동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 전달 기구로서는 링크 기구나 톱니바퀴, 벨트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모두 종래의 공지 기술에 의해 실현 가능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머리 받침부(108)는 떼어낼 수 있게 설치되고, 몸통 받침부(109)에는 다수의 작은 구멍(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침대틀(3)의 내부의 공간(16)에 설치된 마이너스 이온 발생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이러한 작은 구멍(113)을 통해서 요간호자(P)의 등, 허리, 둔부에 소정의 온도로 관리된 마이너스 이온이 분출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요간호자(P)의 욕창을 방지하며, 요간호자(P)는 쾌적하게 수면을 취할 수가 있다. 또한, 몸통 받침부(109)의 좌우 측부에 에어 매트(119a, 119b)를 마련해서, 어느 쪽이든 한쪽의 에어 매트(119a, 119b)를 팽창시켜서, 요간호자(P)가 자면서 몸을 뒤척이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음향 설비 수납부(110a, 110b)는 요간호자(P)의 머리 측이 돌출하도록 좌우로 기울어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음향 설비 수납부(110a, 110b)의 내부에는 스피커 및 마이크(모두 도시 생략)가 수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소정의 조작을 하면, 음향 설비 수납부(110a, 110b)가 좌우로 기울어 움직여서,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가 요간호자(P)의 귓전 및 입가의 근처에 배치되며, 상시 또는 긴급 시에 요간호자(P)와 동실 또는 별실에 있는 간호자와 대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반신 받침부(107)는 간호용 침대(101)에 누운 요간호자(P)의 좌우의 대퇴부를 지지하는 좌우의 대퇴 받침부(114a, 114b)와, 각 대퇴 받침부(114a, 114b)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이불올림부(115a, 115b)와, 요간호자(P)의 종아리부를 지지하는 종아리 받침부(116)로 분할되어 구성되어 있다. 좌우의 대퇴 받침부(114a, 114b)는 서로 좌우로 이간 또는 근접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가능한 한편 머리 측으로 기울어 움직이면서 상승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아리 받침부(116)는 좌우 외측 부분(116a, 116b)과 중앙 부분(116c)으로 분할되며, 중앙 부분(116c)은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침대틀(3)의 공간(16)에는 세면 장치(19), 둔부 받침부 수납 장치(20), 둔부 받침부의 좌우 외측 부분 구동장치(21), 및 대퇴 받침부 구동 기구(22) 외에, 팔걸이부 구동장치(117) 및 이불올림부 구동장치(118)가 설치되어 있으며, 팔걸이부 구동장치(117) 및 이불올림부 구동장치(118)는 각 팔걸이부(111a, 111b) 및 각 이불올림부(115a, 115b)를 각각 승강시키는 복수의 작동장치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기한 구성을 갖춘 간호용 침대(10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요간호자(P)가 배설할 때의 간호용 침대(10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리모트 콘트롤러(도시 생략)로부터 배설용의 조작구가 선택됨으로써, 도 11에 나타내고 있듯이, 이불올림부 구동장치(118)가 이불올림부(115a, 115b)를 각각 상승시키고 동시에 좌우 외측으로 약 90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이불(120)을 들어올릴 수 있음과 동시에 좌우로 깔려서 이불(120)의 느슨해짐이 방지되기 때문에, 이후의 요간호자(P)의 배설 동작을 원활하고 간단하게 실시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대퇴 받침부 구동 기구(22)의 승강 장치(30)가 로드(29)를 신장시킴과 동시에 슬라이드 장치(31)가 승강 장치(30)의 하부를 발치측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좌우의 대퇴 받침부(114a, 114b)가 각각 머리 측으로 기울어 움직이면서 상승한다. 게다가 상기 좌우 슬라이드 장치가 좌우의 대퇴 받침부(114a, 114b)를 서로 좌우로 이간할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요간호자(P)의 대퇴부를 들어 올리면서 좌우로 다리를 벌린다. 또한, 이때 도시하지 않는 구동원 등에 의해 둔부 받침부(105) 및 몸통 받침부(109)가 약간 상승하여, 요간호자(P)의 허리 및 등을 조금 들어 올림으로써, 요간호자(P)의 대퇴부를 좌우로 벌리는 동작을 무리 없이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둔부 받침부 수납 장치(20)의 슬라이드 장치(26)가 머리 측으로 슬라이드하여, 되감기 장치(28)가 둔부 받침부(105)를 지지하는 부분(27)을 하부로 감아서, 둔부 받침부(105)의 하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이 개구를 통해서 공간(16)에 둔부 받침부(105)가 수하된다. 또한, 종아리 받침부(116)의 중앙 부분(116c)을 분리하여, 변기장치(4)를 레일(37)을 따라 상기 개구의 하부까지 슬라이드시키고, 상승시켜서, 매트몸체(102)와 변좌가 평면이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원 등에 의해 둔부 받침부(105) 및 몸통 받침부(109)가 강하(降下)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지며, 요간호자(P)의 허리 및 등을 조금 내려서 요간호자(P)의 둔부를 상기 변좌로 실은 후, 상기 구동원 및 전달 기구가 발치 측 부분을 지점으로 상반신 받침부(106)을 위쪽(도 11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해서, 요간호자(P)의 상반신 부분이 일으켜져 무리가 없는 자세가 된다.
또, 이때 팔걸이부 구동장치(117)가 좌우의 팔걸이부(111a, 111b)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좌우 넘어짐 방지부(112a, 112b)가 약 45도 위쪽으로 기울어 움직여서, 요간호자(P)가 좌우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 후, 소변 흡인기 승강 장치(36)로 인해 소변 흡인기(35)가 용기(33)의 위쪽으로 상승되며, 요간호자(P)가 남성일 경우에는 소변 흡인기(35)의 흡인구멍(40)에 남성의 성기를 삽입시킨 다음, 요간호자(P)가 배설 자세를 취하도록 하여 비닐봉투(34) 내에 배설을 실시하게 한다.
이 경우, 요간호자(P)는 좌우의 대퇴 받침부(114a, 114b)에 의해 대퇴부를 들어 올려질 수 있기 때문에, 무리가 없는 편안한 배설 시에 힘이 들어가기 쉬운 자세를 취할 수가 있다. 또한, 배설 시, 요간호자(P)가 남성일 경우에는 소변이 소변 흡인기(35)를 통해서 비닐봉투(34) 내로 회수되는 한편, 요간호자(P)가 여성일 경우에는 비닐봉투(34)의 발치측 부분(34a)(도 5 참조)에 의해 소변의 비닐봉투(34)의 외부로의 비산이 방지됨과 동시에, 용기(33)의 저판(46)이 소변 흡인기(35)의 상승 동작에 따라서 경사 자세를 이루는(도 6 참조) 것에 의해 비닐봉투(34)에 모인 배설물을 한군데로 간단하게 모을 수가 있다. 따라서, 배설물의 회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어 간호자의 노력의 경감을 꾀할 수가 있다.
요간호자(P)에 의해 배설이 종료된 후에는, 소변 흡인기 승강 장치(36)에 의해 소변 흡인기(35)를 강하시킴과 동시에, 횡가재(38)를 용기(33)의 상단을 따라 발치 측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비닐봉투(34)의 위쪽의 개구를 닫아서 막게 한 다음, 변기장치(4)를 레일(37)을 따라 침대틀(3)의 발치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끌어내며, 간호자가 비닐봉투(34)의 손잡이(44)를 각 후크(39, 43)로부터 떼어내어서 비닐봉투(34)째 배설물을 소정의 장소에 폐기한다.
다음으로, 요간호자(P)의 장내 세정을 실시할 때에 간호용 침대(10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장내 세정용의 조작구가 선택되는 것에 의해 상기한 요간호자(P)가 배설하는 경우와 같은 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종아리 받침부(116)의 중앙 부분(116c)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한 의자(도시하지 않음)에 간호자가 착석한 자세로 요간호자(P)의 장내 세정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간호자는 장내 세정 시 매트몸체(102) 위에 실려 무리한 자세를 취할 필요가 없고, 장내 세정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으며, 장내 세정 작업 시에 매트나 이불(120) 등을 더럽힐 우려도 없다. 그리고, 간호자에 의한 장내 세정의 종료 후, 상기 변기 장치를 레일(37)을 따라 침대틀(3)의 발치 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끌어내며, 간호자가 비닐봉투를 후크에서 떼어내어서 소정의 장소에 폐기한다.
상기한 것처럼,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간호용 침대(101)의 매트몸체(102)는, 좌우 양측으로 측부(103, 104)가 장착되어 와이드폭(150 cm)이 되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간호용 침대(101)의 좌우 양측에 추락 방지용 안전 파이프를 설치해도, 보통 140 cm 폭의 이불(108)이 휘거나 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요간호자(P)가 쾌적하게 수면을 취할 수가 있다.
(2) 요간호자 리프트 이동장치(5)에 의해 요간호자(P)를 간호용 침대(101)의 근처에 설치한 욕조로 이동시켜 입욕시킨 후, 상기 안전 파이프를 떼어낸 측부(103, 104)로 이동시켜 요간호자(P)의 몸을 닦는 장소로서 이용할 수가 있으며, 입욕 작업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설명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간호용 침대의 매우 적합한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 가지의 한정을 첨부하는 경우도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특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기재가 없는 한, 이러한 측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구성요소는 적절하게 기존의 구성요소 등으로 대체가 가능하고, 한편 다른 기존의 구성요소와의 조합을 포함한 여러 가지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기재를 가지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2)

  1. 요간호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둔부 받침부와, 상기 둔부부터 상반신 부분을 지지하는 상반신 받침부와, 상기 둔부부터 하반신 부분을 지지하는 하반신 받침부를 가지는 매트몸체와,
    상기 매트몸체를 지지하는 침대틀과,
    상기 둔부 받침부가 하부에 수납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로 이동 가능한 변기 장치를 갖추며,
    상기 하반신 받침부는 상기 요간호자의 대퇴부를 지지하는 대퇴 받침부를 갖추고, 상기 대퇴 받침부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대퇴부를 들어올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퇴 받침부는 좌우로 분할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대퇴 받침부를 좌우로 이간 또는 근접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좌우 슬라이드 장치를 갖추고, 대퇴부를 들어올릴 때, 상기 좌우 슬라이드 장치가 상기 각 대퇴 받침부를 서로 좌우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 받침부를 상승시키는 대퇴 받침부 구동 기구를 갖추고,
    상기 대퇴 받침부 구동 기구는 상기 대퇴 받침부를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로드를 신축시키는 승강 장치와, 상기 승강 장치의 하부를 머리 측 또는 발치 측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장치를 갖추며, 상기 대퇴부를 들어 올릴 때, 상기 승강 장치가 상기 로드를 신장시키면서 상기 슬라이드 장치가 상기 승강 장치의 하부를 발치 측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대퇴 받침부를 머리 측으로 기울어 움직이게 하면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침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둔부 받침부의 좌우 외측 부분은 머리 측 부분과 발치 측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대퇴 받침부가 상승할 때에, 상기 머리 측 부분과 상기 발치 측 부분과의 추결부가 상승하여, 상기 좌석 받침부의 좌우 외측 부분이 산접기 형상이 되며, 상기 대퇴 받침부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침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틀의 상기 둔부 받침부를 지지하는 부분을 하부에 되감아서 머리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둔부 받침부를 하부에 수납하는 둔부 받침부 수납 장치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침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장치는 위쪽에 개구를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어 위쪽을 개폐 가능한 비닐봉투와, 상기 용기의 발치 측에 설치하여 승강 가능하며 상단에 흡인구를 가지는 소변 흡인기를 갖추되, 상기 요간호자가 남성일 경우에는 상기 소변 흡인기의 흡인구를 상기 용기의 위쪽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요간호자가 여성일 경우에는 상기 비닐봉투의 발치 측 부분을 상기 용기의 위쪽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침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단의 머리 측에 설치되는 머리 측 후크와, 상기 용기의 발치 측에 설치되어 상기 소변 흡인기와 함께 승강하는 발치 측 후크에 상기 비닐봉투의 손잡이를 거는 것에 의해, 그 비닐봉투가 상기 용기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침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측 후크는 발치 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침대.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저부에는 상기 소변 흡인기 또는 상기 발치 측 후크의 상승 동작에 따라 발치 측 부분이 상승하여 경사 자세를 이루는 저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침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간호자를 들어올려서 이동시키기 위한 요간호자 리프트 이동 장치를 갖추고, 그 요간호자 리프트 이동 장치는 상기 침대틀에 고정되는 지주와, 지주에 좌우 측면 및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암과, 상기 암의 끝에 장착되는 리프트수단과, 상기 리프트수단에 착탈 자재로 장착되며 상기 리프트수단을 통해 상기 암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요간호자 유지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침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수단은 연직 자세로 평행으로 설치된 연직 프레임과, 상기 각 연직 프레임의 상단부와 상기 암과의 사이를 건너지르는 리프팅 로프와, 상기 각 연직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된 등받이와, 상기 각 연직 프레임의 하단에 접속된 스프링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침대.
  11. 제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요간호자 유지수단은 요간호자의 정면 측에 배치되는 봉제인형과, 상기 봉제인형의 양어깨부로부터 각각 전후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하여 요간호자의 겨드랑 밑을 지지하는 팔부와,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요간호자의 대퇴부를 지지하는 대퇴 받침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침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간호자 유지수단은 상기 봉제인형의 좌우 하단부에서 각각 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각부를 갖추고, 상기 대퇴 받침부는 원통 형상의 스펀지재와, 상기 스펀지재에 삽통되어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벨트를 갖추고, 상기 각 각부의 후단부에는 각각 전기 벨트에 걸 수 있는 후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용 침대.
KR1020137007663A 2010-10-26 2011-10-25 간호용 침대 KR201301227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39177A JP4698762B1 (ja) 2010-10-26 2010-10-26 介護用ベッド
JPJP-P-2010-239177 2010-10-26
PCT/JP2011/074571 WO2012057154A1 (ja) 2010-10-26 2011-10-25 介護用ベッ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731A true KR20130122731A (ko) 2013-11-08

Family

ID=4423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663A KR20130122731A (ko) 2010-10-26 2011-10-25 간호용 침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06680B2 (ko)
JP (1) JP4698762B1 (ko)
KR (1) KR20130122731A (ko)
CN (1) CN103153253A (ko)
WO (1) WO20120571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043B1 (ko) * 2021-04-22 2021-09-03 이호범 오픈 셀 구조의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8001B (zh) * 2011-06-15 2013-03-20 朱明谦 一种自助接便床
US9038215B2 (en) * 2012-09-13 2015-05-26 Ahmed I. S. I. Al-Jafar Bed with integral toilet
CN103519953A (zh) * 2013-08-07 2014-01-22 黄建民 一种多功能瘫护床
CN103830060A (zh) * 2014-01-23 2014-06-04 包宇鹏 多功能自动控制护理床
JP6412716B2 (ja) * 2014-05-08 2018-10-24 孝行 石田 介護用ベッド
CN105078687A (zh) * 2015-08-31 2015-11-25 李红宾 自动清洁护理装置
USD811112S1 (en) * 2016-01-22 2018-02-27 Ascion, Llc Adjustable bed foundation
WO2018175376A1 (en) * 2017-03-24 2018-09-27 Bedgear, Llc Zero gravity bed
US9918887B1 (en) * 2017-05-17 2018-03-20 Anthony Franklin Wolter, III Medical toilet bed system
KR102053502B1 (ko) * 2017-12-07 2019-12-09 지앤씨 유한회사 침대형 배변 처리장치
US10821042B1 (en) * 2018-03-27 2020-11-03 Beatrice Williams Patient bed with mattress and integrated bed pan
TWI819199B (zh) * 2019-03-08 2023-10-21 日商優護床股份有限公司 移動要照護者的方法
CN109925140A (zh) * 2019-03-27 2019-06-25 国瑞(天津)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自理的病床组件
CN109966572B (zh) * 2019-04-18 2024-01-30 江阴市人民医院 脑室外引流随动调节固定架
US11806268B2 (en) * 2019-07-15 2023-11-07 Thelma Rowena Liverpool System for collecting body waste of non-ambulatory patients
CN111494116B (zh) * 2020-04-30 2022-05-20 上海佳径智能科技有限公司 带有马桶的护理床
CN111494119B (zh) * 2020-04-30 2022-05-20 上海佳径智能科技有限公司 带有马桶和浴缸的护理床及其安装方法
CN111494117B (zh) * 2020-04-30 2022-05-20 上海佳径智能科技有限公司 多功能智能护理床及其安装方法
CN112891109B (zh) * 2021-02-05 2022-03-08 西昌市人民医院 一种新生儿红臀护理装置
CN113576798A (zh) * 2021-08-05 2021-11-02 戴恩医疗科技(浙江)股份有限公司 一种全自动智能一体式大小便护理机
CN113925699B (zh) * 2021-10-27 2022-09-09 河南省中医院(河南中医药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妇产科防羊水溢出的病床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48A (en) 1980-06-02 1982-01-05 Canon Inc Direct reversal type color photographic material and formation of its image
JPS58105320U (ja) * 1982-01-06 1983-07-18 松本 好夫 身体障害者用寝台
US6374436B1 (en) * 1994-01-25 2002-04-23 Hill-Rom Services, Inc. Hospital bed
US5461738A (en) * 1992-02-28 1995-10-31 Kimura Industry Co., Ltd. Bed system with excreting mechanism
US5535464A (en) * 1993-12-02 1996-07-16 Salonica; Frank T. Sectional invalid bed with disposable waste container
US5729849A (en) * 1994-12-08 1998-03-24 Garakani; Mojtaba Sectional bed apparatus
US5842237A (en) * 1996-02-15 1998-12-01 Lotecon, Llc Convertible bed/chair with waste disposal
JP2000024918A (ja) 1998-07-13 2000-01-25 Ntn Corp ウェハー研磨装置
JP2000210343A (ja) * 1998-11-16 2000-08-02 Shinsei:Kk ベッド
JP3037678B1 (ja) 1999-02-04 2000-04-24 善貴 片山 便座付介護用ベッド
JP2001212186A (ja) 2000-02-07 2001-08-07 Ebara Kiko Kk トイレ付き介護ベッド
JP2002085482A (ja) * 2000-09-11 2002-03-26 Kimura Giken:Kk ベッドシステム
KR100610584B1 (ko) * 2004-05-15 2006-08-14 박신택 환자용 침대
JP2006175181A (ja) 2004-12-20 2006-07-06 Akira Harada 療養ベッド
WO2008093527A1 (ja) * 2007-01-31 2008-08-07 Takayuki Ishida 介護用ベッド
CN100506326C (zh) 2007-02-02 2009-07-01 清华大学 一种双腿可分开角度训练的坐式腿部力量训练器
JP2010187706A (ja) * 2007-06-11 2010-09-02 Takayuki Ishida 要介護者吊り上げ移動装置
JP5317159B2 (ja) 2007-09-19 2013-10-16 株式会社大一商会 遊技機
JP2010029343A (ja) * 2008-07-28 2010-02-12 Takayuki Ishida 介護用ベッ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043B1 (ko) * 2021-04-22 2021-09-03 이호범 오픈 셀 구조의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53253A (zh) 2013-06-12
US8806680B2 (en) 2014-08-19
JP4698762B1 (ja) 2011-06-08
WO2012057154A1 (ja) 2012-05-03
JP2012090700A (ja) 2012-05-17
US20130185870A1 (en)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22731A (ko) 간호용 침대
JP4241871B2 (ja) ベッド
JPWO2008093527A1 (ja) 介護用ベッド
CN203609608U (zh) 全功能护理床
JP6733906B2 (ja) 入浴介護装置
JP7121379B2 (ja) 便器付ベッド
JP4452082B2 (ja) 特殊入浴システムならびに車椅子兼ストレッチャー
JP2000279454A (ja) 自助介護用ベッド装置
JP6412716B2 (ja) 介護用ベッド
JPH11239591A (ja) 便器付き療養ベッド
JP4316552B2 (ja) 介護用ベッドシステム
JP2010029343A (ja) 介護用ベッド
JPH08196573A (ja) 介護移動装置
KR200359358Y1 (ko) 환자용 기능성 침대
JP3069355U (ja) 介護装置
JP2006212377A (ja) 洗浄機能を備えたトイレ付介護用ベッド
CN215385450U (zh) 一种移位机
JP2003290298A (ja) 要介護者の上げ下げ機能付きベッド
JP2517650Y2 (ja) ベッド装置
JP2009268786A (ja) 介護用起立支援移動台車
JPH0240981Y2 (ko)
JP2005058599A (ja) 介護用車椅子
JP2013215537A (ja) 自立排泄ベッド
JP2001120601A (ja) 介護用移動補助具
CN113509338A (zh) 一种移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