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708A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708A
KR20130107708A KR1020120029695A KR20120029695A KR20130107708A KR 20130107708 A KR20130107708 A KR 20130107708A KR 1020120029695 A KR1020120029695 A KR 1020120029695A KR 20120029695 A KR20120029695 A KR 20120029695A KR 20130107708 A KR20130107708 A KR 20130107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age
conditioning case
regeneration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6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20751B1 (en
Inventor
박수두
서정훈
이상기
김태완
정환명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9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751B1/en
Publication of KR20130107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7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75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7Control means therefor for minimizing the humidity of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5Temperature regulation
    • B60H2001/00164Temperature regulation with more than one by-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2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 B60H2003/028Moistening ; Devices influencing humidity levels, i.e. humidity control the devices comprising regener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is provided to reduce the air volume loss caused by a dehumidifying rotor by opening a bypass channel in a maximum cooling/heating mode or a necessary mode. CONSTITUTION: A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comprises a dehumidifying rotor (120) and a case (110) of the air conditioner. The dehumidifying rotor is installed at the upstream of an evaporator (101) to the air flow direction inside the case. One side area relative to the case of the dehumidifying rotor is used for a dehumidifying unit (121) dehumidifying the air inside the case and the other side is used for a regenerating unit (122) regenerating the moisture adsorbed in the dehumidifying unit to be dried. A bypass channel (119) in which the air supplied to an air inlet (111) of the case is bypassed to the dehumidifying rotor and a door opening/closing the bypass channel are installed in one side of the dehumidifying rotor inside the case.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Automotive air conditioning uni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의 제습을 위해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제습로터를 설치한 공조장치에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제습로터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개폐하는 도어를 설치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in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dehumidification rotor is installed in an air conditioning case for dehumidification of a vehicle interior, a bypass for bypassing the dehumidification rotor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A vehicle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flow path and the bypass flow path.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Generally,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s an automobile interior which is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front and rear view of the driver by removing the casting which is to be cooled or heated in the summer or winter season, or in case of rain or windshield during rainy or winter season Such an air conditioner is usually equipped with a heating device and a cooling device at the same time, and selectively introduces outside air or indoor air, and then the air is heated or cooled to blow air into the inside of the vehicle.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Semi-Center type)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으로 대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dependent structure of the blower unit, the evaporator unit, and the heater core unit,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three-piece type in which the three units are independently provided, and an evaporator unit and a heater core unit, And a center mounting type in which all of the three units are incorporated in an air conditioning case can be categorized into a semi-center type in which a fan unit is installed as a separate unit, and a center mounting type in which all the three units are incorporated in an air conditioning case.

한편, 최근에는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 실내의 운전석과 조수석에 각기 다른 온도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개별적인 냉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른바 좌,우 독립 공조장치가 적용되고 있다.Recently, so-called left and right independent air conditioners have been applied, in which air is supplied to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s seat at different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passengers, so that individual cooling and heating is performed.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써, 상기 공조장치(1)는, 일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각각 모드도어(16)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2), 페이스 벤트(13), 플로어 벤트(14)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내의 공기통로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장치(20)로 구성된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The air conditioner 1 includes an air inlet 11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defrost vent (not shown) 12, a face vent 13, and a floor vent 14 are formed; An evaporator (2) and a heater core (3) provided on the air passage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at regular intervals in order; And an air blowing device 20 connected to the air inlet 1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to blow indoor air or outdoor air.

그리고,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는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와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도록 온도조절도어(15)가 설치된다.Between the evaporator 2 and the heater core 3 is disposed a temperature control door for regulating the opening of the cold air passage for bypassing the heater core 3 and the opening of the hot air passage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3, (15).

아울러, 상기 모드도어(16)는 해당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면서 다양한 공기 토출모드(벤트모드,바이레벨모드,플로어모드,믹스모드,디프로스트모드)를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ode door 16 performs various air discharging modes (vent mode, bi-level mode, floor mode, mix mode, and defrost mode) while adjusting the opening of the corresponding vent.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1)에 의하면,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상기 냉풍통로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통로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송풍장치(20)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거치면서 증발기(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소정의 공기 토출모드(벤트모드,바이레벨모드,플로어모드,믹스모드,디프로스트모드)에 따라 모드도어(16)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According to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ximum cooling mode is activated,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5 opens the cold air passage and closes the warm air passage. Thus, the air blown by the blower 20 is 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evaporator 2 through the evaporator 2 to be changed into a cool air, and then the air is blown into a predetermined air discharge mode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vent opened by the mode door 16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mode, the floor mode, the mix mode, and the defrost mode), thereby cool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15)는, 상기 냉풍통로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송풍장치(20)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통과한 후 온풍통로를 통하여 히터코어(3)를 거치면서 히터코어(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뒤, 소정의 공기 토출모드에 따라 모드도어(16)에 의해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Also, when the maximum heating mode is activated,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5 closes the cold air passage and opens the hot air passage. The air blown by the blower 20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2 and then flows through the heater core 3 through the hot air passage to be heat-exchanged with the cooling water flowing in the heater core 3,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hrough a vent opened by the mode door 16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air discharge mode, thereby heating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상기의 공조장치(1)에서 상기 증발기(2)는, 차량 실내를 냉방시키는 작용과 함께, 증발기(2)의 표면온도가 실내공기의 이슬점 이하로 내려갈 때, 증발기(2)를 거쳐 토출되는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작용도 함께 수행하게 된다.In the air conditioner 1, the evaporator 2 functions to cool the passenger compartment, and whe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2 falls below the dew point of the room air,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vaporator 2 The dehumidifying action for removing the moisture in the air is also performed.

이러한 상기 증발기(2)의 냉방부하는, 유입공기의 건구 온도차와 관련된 현열부하와, 습도차와 관련된 잠열부하로 이루어지는데, 고온 다습한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상태에서 에어컨 가동시, 냉방부하 중 잠열부하가 대부분을 차지함으로써 냉방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The cooling load of the evaporator 2 is composed of a sensible heat load associated with the dry bulb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inlet air and a latent heat load associated with the humidity differenc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while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outdoor air flows into the room. As latent heat load accounts for most, the cooling efficiency may be greatly reduced.

이처럼, 상기 종래의 공조장치(1)는, 습도가 높은 날씨에서 에어컨 작동시, 습기가 많이 함유된 공기가 증발기(2)를 바로 통과하게 됨으로써 냉방부하가 증대되어 냉방효율이 저하되며, 이러한 공기가 증발기(2)를 통과하여 냉각된 상태로 차실내로 유입될 경우 차실내의 쾌적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1), when the air conditioner operates in an environment of high humidity, the ai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moisture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2) When the refrigerant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2 and flows into the room while being cool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fort of the inside of the room is lowered.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제습처리를 위한 제습로터(45)가 설치된 공조장치가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 air conditioner having a dehumidification rotor 45 for dehumidification has recently been developed.

도 2는 제습로터를 갖는 공조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간략히 설명하면, 송풍장치(30)와 공조케이스(40)내의 증발기(41) 사이에 제습통로(44) 및 재생통로(43)를 형성하고, 상기 제습통로(44) 및 재생통로(43)상에는 하나의 제습로터(45)를 걸쳐지게 설치하며, 상기 제습로터(45) 전방의 재생통로(44)내에는 재생히터(46)를 설치한 것이다.2, a dehumidification passage 44 and a regeneration passage 43 are formed between the blower 30 and the evaporator 41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As shown in FIG. And a regenerative heater 46 is installed in the regeneration passageway 44 in front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45. The regeneration passageway 44 is provided on the regeneration passageway 43, It is.

이때, 상기 재생통로(44)의 배출구(44a)는 차량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재생통로(44)를 통과한 공기가 모두 차량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port 44a of the regeneration passageway 44 extends in the vehicle outward direction, so that all air passing through the regeneration passageway 4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이후, 제습이 필요할 경우, 상기 제습로터(45)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재생히터(46)가 가동하게 된다.Thereafter, when dehumidification is required, the regenerative heater 46 is activated at the same time that the dehumidification rotor 45 rotates.

따라서, 상기 송풍장치(30)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는 제습통로(43)측에 위치한 제습로터(45) 부위를 통과하면서 습기가 제거된 상태로 증발기(41)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증발기(41)를 거치면서 냉각되고 히터코어(42)를 선택적으로 통과한 후 차실내로 공급되게 된다.Part of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an 30 flows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rotor 45 located at the dehumidification passage 43 side and flows into the evaporator 41 in a state where the moisture is removed. 41, and is selectively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fte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42.

상기 송풍장치(30)를 통과한 공기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재생통로(44)로 유입된 후, 상기 재생히터(46)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상기 재생통로(44)측에 위치한 제습로터(45) 부위를 통과하게 되는데,The other part of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ir blowing device 30 flows into the regeneration passage 44 and is then heated by the regeneration heater 46 to be supplied to the dehumidifying rotor 45 ) Region,

이때, 상기 제습통로(43)에서 습기를 흡착한 상태의 제습로터(45) 부위가 상기 재생통로(44)측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재생히터(46)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상기 제습로터(45)를 통과하면서 제습로터(45)에 흡착된 습기를 강제 증발시킨 후 재생통로(44)의 배출구(44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At this time, since the dehumidification rotor 45 in a state where the moisture is adsorbed in the dehumidification passage 43 is rotated toward the regeneration passage 44, the air heated by the regenerative heater 46 is returned to the dehumidification rotor 45 , The moisture adsorbed on the dehumidification rotor 45 is forcibly evaporat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44a of the regeneration passage 44. [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상기 제습로터(45)의 표면은 원래의 건조한 상태로 재생되어 다시 제습능력을 갖게 된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surface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45 is regenerated in its original dry state and becomes dehumidified again.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송풍장치(30)에서 송풍된 공기 전체가 상기 공조케이스(40)내에 제습로터(45)를 통과해야 함에 따라 상기 제습로터(45)의 통기저항으로 인해 풍량이 저하되고, 특히 제습이 필요 없는 모드에서 풍량 손실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인해 공조성능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the entire air blown by the blower 30 must pass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rotor 45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40, the air volume decreases due to the ventilation resistance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45.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excessive air volume loss occurs in a mode that does not require dehumidification,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is also lowered.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실내의 제습을 위해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제습로터를 설치한 공조장치에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제습로터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개폐하는 도어를 설치함으로써, 최대 냉,난방모드 또는 필요한 모드에서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개방하여 제습로터로 인한 풍량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이로인해 공조성능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bypass passage for bypassing the dehumidification rotor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in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for the dehumidification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by installing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ypass flow path, by opening the bypass flow path in the maximum cooling, heating mode or required mode to reduce the air flow loss due to the dehumidification rotor, thereby improving the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To provide an air conditioning devi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풍장치와,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기를 토출하도록 복수개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의 사이에는 증발기가 설치되는 냉풍통로 및 가열기가 설치되는 온풍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내의 공기유동방향으로 상기 증발기 상류측에는, 상기 공조케이스에 대해 일측 영역은 공조케이스내를 유동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부로 사용되고, 타측 영역은 상기 제습부에서 흡착된 습기를 건조 재생하는 재생부로 사용되는 제습로터가 설치되고, 상기 공조케이스내의 상기 제습로터 일측에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습로터를 바이패스하도록 하는 바이패스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blower, and an air inlet is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air blown from the blower is introduced, a plurality of air outlets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to discharge the air, the air inlet And an air conditioning case having a cold air passage in which an evaporator is installed and a hot air passage in which a heater is installed, between the air discharge port and the air discharge port, wherein the evaporator is located upstream of the evaporator in the air flow direction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One side region is used as a dehumidification unit for dehumidifying air flowing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dehumidification rotor used as a regeneration unit for drying and regenerating moisture adsorbed by the dehumidification unit, and one side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The dehumidification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the emit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ypass flow passage and the bypass flow path to by-pass is installed.

본 발명은, 차량 실내의 제습을 위해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제습로터를 설치한 공조장치에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제습로터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개폐하는 도어를 설치함으로써, 최대 냉,난방 모드 또는 필요한 모드에서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개방하여 제습로터로 인한 풍량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이로인해 공조성능도 향상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stalled a dehumidification rotor in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for the dehumidification of the vehicle interior, the bypass passage for bypassing the dehumidification rotor in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ypass passage By installing, the bypass flow path can be opened in the maximum cooling, heating mode or the required mode to reduce the air flow loss due to the dehumidification rotor, thereby improving the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제습로터를 갖는 공조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송풍장치와 공조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최대냉방모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최대난방모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도어가 플랩도어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가열기가 히터코어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air conditioner,
2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having a conventional dehumidification rotor,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lower and an air conditioning case are separated in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ximum cooling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ximum heating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door is configured as a flap door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heater is configured as a heater core i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내부에 블로어(178)가 구비된 송풍장치(170)와, 상기 송풍장치(170)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복수개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의 사이에는 냉풍통로(P1) 및 온풍통로(P2)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냉풍통로(P1)상에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상기 온풍통로(P2)상에 설치되는 가열기(102)와, 상기 증발기(101)와 가열기(102)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가열기(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상기 가열기(10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blowing device 170 having a blower 178 therein and a blower 170 for blowing air blown from the blowing device 170 to an air inlet (110) having a plurality of air outlets for discharging inflow air and a cool air passage (P1) and a warm air passage (P2) formed between the air inlets and the air outlets, An evaporator 101 installed on the cold air passage P1 and a heater 102 installed on the air passage P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 temperature control doo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hot air passage (P2) passing through the heater (102) and the cold air passage (P1) installed between the heater 115).

상기 송풍장치(170)는, 상부에 내,외기유입구(171,17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내,외기유입구(171,172)를 개폐하도록 내,외기 전환도어(173)가 설치된 인테이크 덕트(174)와, 상기 인테이크 덕트(174)의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내부에 블로어(178)가 설치된 스크롤케이스(176)로 구성된다.The blower device 170 includes an intake duct 174 having internal and external air inlets 171 and 172 formed therein and an internal and external air conversion door 173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inlets 171 and 172 therein; The scroll case 176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take duct 174 and has a blower 178 installed therein.

상기 스크롤케이스(176)의 일측에는 상기 블로어(178)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측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토출부(177)가 연장 형성된다.One side of the scroll case 176 has a discharge portion 177 is formed to extend the air blown by the blower 178 to the air inlet 111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또한, 상기 송풍장치(170)내의 블로어(178) 상부(상류측)에는 후술하는 제습로터(12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필터(175)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filter 175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upstream side) of the blower 178 in the blower 17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dehumidifying rotor 12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필터(175)는 상기 인테이크 덕트(174)와 스크롤케이스(176)의 사이에 삽입 설치된다.The filter 175 is inserted between the intake duct 174 and the scroll case 176.

이처럼, 상기 필터(175)는 상기 제습로터(12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어, 제습로터(120)내의 제습재(미도시) 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하게 된다.As such, the filter 175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thereby improving efficiency and durability of a dehumidifying material (not shown) in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측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토출구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앞좌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113)와,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114)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air outlets formed on the outlet sid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include a defrost vent 112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nd a face vent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face of the occupant of the front seat A floor vent 114 for discharging air to the foot of a passenger is formed.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플로어 벤트(114)를 각각 개폐하도록 복수개의 모드도어(116)가 설치된다.A plurality of mode doors 116 are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o open and close the defrost vent 112, the face vent 113 and the floor vent 114, respectively.

한편, 상기 증발기(101) 하부의 공조케이스(110)측에는 상기 증발기(101)의 표면에서 발생하여 낙하하는 응축수를 차량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드레인부(118)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side of the lower evaporator 101, the drain portion 118 is formed to discharge the condensat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01 to fall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상기 드레인부(118)는 후술하는 바이패스통로(130)와 배출통로(150) 및 재생통로(140)를 관통하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드레인부(118)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와 배출통로(150) 및 재생통로(140)와 연통하지 않고 관통하게 된다.The drain portion 118 extends downward from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while passing through a bypass passage 130, a discharge passage 150 and a regeneration passage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drain portion 118 passes through the bypass passage 130 without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ssage 150 and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한편, 상기 냉풍통로(P1)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증발기(101) 위치에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의 사이 구간에 형성되며, 상기 온풍통로(P2)는 상기 증발기(101)의 후방측 냉풍통로(P1)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가열기(102)를 거친 후 다시 상기 냉풍통로(P1)와 합류되게 된다.The cold air passage P1 is formed in a region between the evaporator 101 and the air outlet in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The hot air passage P2 communicates with the rear side cool air passage P1 and passes through the heater 102, and then joins the cold air passage P1 again.

여기서, 상기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가 분기되는 지점에 상기 온도조절도어(115)가 설치되어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게 되고, 상기 냉풍통로(P1)와 온풍통로(P2)가 다시 합류되는 지점에는 믹싱영역(MC)이 형성되어 이 곳에서 냉풍과 온풍이 혼합되게 된다.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cold air passage P1 and the warm air passage P2 diverge to regulate the opening of the cold air passage P1 and the warm air passage P2, A mixing region MC is formed at a point where the first flow path P1 and the warm air passage P2 are merged again so that the cold air and the warm air are mixed here.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공기유동방향으로 상기 증발기(101) 상류측(전방측)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에 대해 일측 영역은 공조케이스(110)내를 유동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부(121)로 사용되고, 타측 영역은 상기 제습부(121)에서 흡착된 습기를 건조 재생하는 재생부(122)로 사용되는 제습로터(120)가 설치된다.In addition, in the air flow direction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one side area of the evaporator 101 upstream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dehumidifies air flowing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used as the dehumidifying unit 121 and the regeneration unit 122 which dry-regenerates the moisture adsorbed by the dehumidifying unit 121 is installed.

상기 제습로터(12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와 상기 증발기(101)의 사이 구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section between the air inlet 11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the evaporator 101.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제습로터(120) 전,후방측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를 상기 제습로터(120)에 대한 제습부 영역(110a)과 재생부 영역(110b)으로 구획하는 구획벽(117)이 형성된다.In addition, before and after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e interior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o the dehumidification unit region 110a and the regeneration unit region 110b for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The partition wall 117 which partitions is formed.

상기 제습로터(120)의 전,후방측에 형성된 구획벽(117)은, 각각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하부면에서부터 상기 제습로터(120)의 중심부위까지 연장되게 형성되며, 이로인해, 상기 제습로터(120)는 상기 구획벽(117)을 관통하여 걸쳐진 형태로 설치된다.The partition walls 117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are formed to exten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o the center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thereby. The dehumidifying rotor 120 is installed in such a manner as to penetrate the partition wall 117.

따라서, 상기 송풍장치(170)에서 송풍되어 공조케이스(110)내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구획벽(117)의 상부측에 배치된 상기 제습로터(120)의 제습부(12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가 상기 제습부(121)에 흡착되어 제습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ocess of passing air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121 of the dehumidifying rotor 12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117 by the air blown by the blower 170 and flows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will be adsorbed to the dehumidifying unit 121 to be dehumidified.

한편, 상기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는, 상기 구획벽(117)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공기통로와 구획되므로 상기 공조케이스(110)내를 유동하는 공기가 직접적으로 통과하지 못하고, 후술하는 바이패스통로(130) 및 재생통로(140)를 통과한 공기만 상기 재생부(122)를 통과하게 된다.The regeneration unit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117 and is partitioned by the air passage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ir can not directly pass therethrough and only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bypass passage 130 and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asses through the regeneration section 122.

또한, 상기 제습로터(120)내에는 제습재가 구비되어 제습로터(120)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흡착하게 된다.In addition, a dehumidifying material is provided in the dehumidifying rotor 120 to adsorb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rotor 120.

이러한 상기 제습로터(1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획벽(117)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획벽(117)에는 상기 제습로터(1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지지브라켓(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The dehumidifying rotor 1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rotatably installed on the partition wall 117 side. At this time, a supporting bracket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117 to rotatably support the dehumidifying rotor 120.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습로터(120)를 회전 구동하도록 모터(미도시)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motor (not shown) is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o rotate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상기 모터는 상기 구획벽(117)에 고정되어 상기 제습로터(120)를 직접 회전시킬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모터를 상기 제습로터(120) 외측의 공조케이스(110)내에 설치한 후 상기 제습로터(120)와 모터를 벨트로 연결하여 제습로터(12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The motor may be fixed to the partition wall 117 to directly rotate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or to install the motor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outside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120 and the motor may be connected by a belt to rotate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그리고, 상기 냉풍통로(P1) 및 온풍통로(P2) 하부의 상기 공조케이스(110)측에는, 상기 제습로터(120)의 제습부(121)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 공기가 상기 냉풍통로(P1) 및 온풍통로(P2)를 바이패스하도록 하는 바이패스통로(130) 및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로 공급되도록 하는 재생통로(140)가 형성된다.A part of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ehumidifying part 121 of the dehumidifying rotor 120 is introduced into the cold air passage P1 on the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under the cold air passage P1 and the warm air passage P2. And a regeneration passage (140) for allowing air pass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130) to be supplied to the regeneration section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Is formed.

즉, 상기 제습로터(120)의 제습부(121)를 통과한 제습된 공기를 상기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하부에 상기 바이패스통로(130) 및 재생통로(140)를 형성한 것이다.That is, in order to supply dehumid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part 121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to the regeneration part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130) and a regeneration passage (140).

이때, 상기 제습로터(120)의 제습부(121)를 통과한 제습된 공기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를 통해 상기 증발기(101)를 바이패스하게 되므로 유동저항이 적게 걸리게 된다.At this time, the dehumid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part 121 of the dehumidifying rotor 120 bypasses the evaporator 101 through the bypass passage 130, so that the flow resistance is low.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의 입구(130a)는 상기 제습로터(120)와 상기 증발기(101) 사이의 공기통로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의 출구(130b)는 상기 가열기(102)의 후방측 온풍통로(P2) 및 상기 재생통로(140)와 각각 연통하도록 형성된다.The inlet 130a of the bypass passage 13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air passage between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and the evaporator 101, and the outlet 130b of the bypass passage 130 is the heater. It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rear side warm air passage (P2) and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respectively.

즉,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와 상기 온풍통로(P2)를 구획하는 격벽(131)에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의 출구(130b)와 상기 가열기(102)의 후방측 온풍통로(P2)를 연통시키는 온풍연통공(132)이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와 상기 재생통로(140)를 구획하는 격벽(141)에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의 출구(130b)와 상기 재생통로(140)의 입구(140a)를 연통시키는 재생연통공(142)이 형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partition 131 partitioning the bypass passage 130 and the warm air passage P2 has an outlet 130b of the bypass passage 130 and a rear side warm air passage P2 of the heater 102. The hot air communication hole 132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partition passage 141 partitioning the bypass passage 130 and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has an outlet 130b of the bypass passage 130 and the regeneration. The regeneration communication hole 142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140a of the passage 140 is formed.

한편, 상기 재생통로(140)의 입구(140a)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의 출구(130b)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출구(140b)는 상기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 전방측과 연통하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let 140a of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130b of the bypass passage 130, the outlet 140b is the front of the regeneration unit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It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ide.

따라서, 상기 제습로터(120)의 제습부(121)를 통과한 제습된 공기가 상기 바이패스통로(130) 및 재생통로(140)를 통해 상기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The dehumidified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dehumidifying portion 121 of the dehumidifying rotor 120 is supplied to the regeneration portion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through the bypass passage 130 and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It can be.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와 상기 재생통로(140)의 사이에는, 상기 재생통로(140)를 통해 상기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통로(150)가 형성된다.Between the bypass passage 130 and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regeneration section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A passage 150 is formed.

상기 배출통로(150)의 입구(150a)는 상기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 후방측과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출구(150b)는 상기 드레인부(118)와 인접하여 형성된다.The inlet 150a of the discharge passage 15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rear side of the regeneration section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and the outlet 150b is formed adjacent to the drain section 118.

이때, 상기 배출통로(150)의 출구(150b)는 상기 재생통로(140)를 관통하면서 상기 드레인부(118)와 동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outlet 150b of the discharge passage 150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ain portion 118 while passing through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아울러, 상기 배출통로(150)의 출구(150b)는 상기 드레인부(118)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배출통로(150)의 출구(150b)를 상기 드레인부(118)의 둘레 이중관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outlet 150b of the discharge passage 15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drain portion 118 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drain portion 118 of the discharge passage 150. Alternatively, It may be formed in a double-tube structure.

이처럼, 상기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를 통과한 공기를 차량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상기 배출통로(150)의 출구(150b) 형성시 상기 응축수를 차량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부(118) 구조물을 활용하므로 전체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것이다.When the outlet 150b of the discharge passage 150 for discharging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egeneration unit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is discharged, 118)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entire structure and miniaturize it.

그리고, 상기 가열기(102)는, 차량 엔진의 냉각수가 유동하는 히터코어(103) 또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전기가열식 히터(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er 102 may use an electric heater (not shown) that is he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 heater core 103 or a vehicle battery in which coolant of a vehicle engine flows.

일예로 상기 히터코어(103)는, 도 8과 같이, 한 쌍의 탱크(103a)의 사이에 복수개의 튜브(103b)를 연결하고, 상기 각 튜브(103b)의 사이에는 방열핀(103c)을 설치하여 구성되며, 차량 엔진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가열된 뜨거운 냉각수가 상기 히터코어(103)를 순환하게 되고, 이때 상기 히터코어(103)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키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heater core 103 connects a plurality of tubes 103b between a pair of tanks 103a and installs heat radiation fins 103c between the respective tubes 103b. In the process of cooling the vehicle engine, the heated hot coolant circulates through the heater core 103, and heat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03.

여기서, 상기 히터코어(103)의 탱크측에는 냉각수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입,출구파이프(103d)가 구비된다.An inlet and an outlet pipe 103d are provided on the tank side of the heater core 103 so that cooling water can flow in and out.

상기한 가열기(102)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0) 및 온풍통로(P2)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일측 영역(102a)은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상에 배치되고 타측 영역(102b)은 상기 온풍통로(P2)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One side region 102a of the heater 102 is disposed on the bypass passage 130 so as to heat the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130 and the hot air passage P2, 102b are installed on the hot air passage P2.

이때,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상에 배치되는 가열기(102)의 일측 영역(102a)은, 상기 온풍통로(P2)상에 배치되는 가열기(102)의 타측 영역(102b)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one side region 102a of the heater 102 disposed on the bypass passage 130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other side region 102b of the heater 102 disposed on the hot air passage P2 .

따라서, 상기 제습로터(120)의 제습부(121)를 통과한 제습된 공기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를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101)를 바이패스 하게 되고, 이후 상기 가열기(102)의 일측 영역(102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열되며, 상기 가열된 공기는 상기 재생통로(140)를 통해 상기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로 공급되어 제습로터(120)를 건조 재생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dehumid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part 121 of the dehumidifying rotor 120 bypasses the evaporator 101 while pass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130, The heated air is supplied to the regeneration section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through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to dry and regenerate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송풍장치(170)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회전 구동되는 제습로터(120)의 제습부(121)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가 제습로터(120)에 흡착되어 제습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습로터(120)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후 상기 가열기(102)를 선택적으로 거친 후 차실내로 토출되고, 일부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로 유입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air blown from the air blowing device 170 flows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passes through the dehumidifying part 121 of the rotationally driven dehumidifying rotor 120. In this process,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s adsorbed to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and dehumidified. Subsequently, a part of the air that has been dehumid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101, is selectively roughened by the heater 102, and then is discharged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130).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로 유입된 제습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101)를 바이패스 한 후,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상에 배치된 가열기(102)의 일측 영역(102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가열되고, 상기 가열된 공기는 상기 재생통로(140)를 통해 상기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로 공급된다.The dehumidified air introduced into the bypass passage 130 passes through the region 102a of the heater 102 disposed on the bypass passage 130 after bypassing the evaporator 101. The heated air is supplied to the regeneration unit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through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이때, 상기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로 공급된 가열된 공기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제습부 영역(110a)에서 습기를 흡착한 상태에서 재생부 영역(110b)으로 회전된 상기 제습로터(120) 부위(재생부)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습로터(120)에 흡착된 습기가 강제 증발되며, 이후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를 통과하면서 가습된 공기는 상기 배출통로(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heated air supplied to the regeneration unit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is rotated to the regeneration unit 110b in a state in which moisture is adsorbed in the dehumidification unit region 110a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Passed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portion (regeneration unit), the moisture adsorbed to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in this process is forcibly evaporated, and then passes through the regeneration unit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The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150.

상기한 과정을 통해 상기 제습로터(120)는 원래의 건조한 상태로 재생되어 다시 제습능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is regenerated in an original dry state to have a dehumidification capacity again.

즉, 상기 제습로터(120)는, 상기 구획벽(117)에 의해 구획된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제습부 영역(110a)과 재생부 영역(110b)에서 계속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제습부 영역(110a)을 거치면서 습기를 흡착한 부위가 재생부 영역(110b)을 거치면서 가열된 공기에 의해 재생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continues to rotate in the dehumidifier section area 110a and the regenerator section area 110b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117, The region where the moisture is adsorbed through the adsorbent 110a is regenerated by the heated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regenerant region 110b.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의 출구(130b)와 인접한 상기 공조케이스(110)측에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재생통로(140)측으로 유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가열기(102)의 후방측 온풍통로(P2)측으로 유동시키도록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도어(160)가 설치된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130 flows toward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at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djacent to the outlet 130b of the bypass passage 130 or the heater 102. The switching door 160 for switch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s installed so as to flow to the rear side of the hot air passage (P2) side.

상기 전환도어(160)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와 상기 온풍통로(P2)를 구획하는 격벽(131)상에 형성된 온풍연통공(132)과,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와 상기 재생통로(140)를 구획하는 격벽(141)상에 형성된 재생연통공(142)을 개폐하도록 작동하여,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를 상기 온풍통로(P2)와 연통시키거나 또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를 상기 재생통로(140)와 연통시키게 된다.The switching door 160 is a hot air communication hole 132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131 partitioning the bypass passage 130 and the hot air passage (P2), the bypass passage 130 and the regeneration It operates to open and close the regeneration communication hole 142 formed on the partition 141 partitioning the passage 140, so that the bypass passage 130 communicates with the hot air passage (P2) or the bypass passage ( 13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상기한 전환도어(16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61)과, 상기 회전축(161)의 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온풍연통공(132)과 재생연통공(142)을 개폐하는 플레이트(162)로 구성된다.The conversion door 160, the rotary shaft 161 rotatably installed o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rotary shaft 161 and the hot air communication hole 132 and It consists of a plate 16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generation communication hole 142.

따라서, 최대 냉방모드시에는, 상기 전환도어(160)가 온풍연통공(132)을 폐쇄하고, 상기 재생연통공(142)을 개방하도록 작동함으로써, 상기 제습로터(120)를 통과한 제습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로 유입된 후 상기 가열기(102)의 일측 영역(102a)을 통과하면서 가열되고, 이후, 상기 전환도어(160)에 의해 개방된 재생연통공(142)을 통해 상기 재생통로(140)로 유입되어 상기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로 공급된다. 상기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로 공급된 가열된 공기는 상기 제습로터(120)를 통과하면서 제습로터(120)를 건조 재생시킨 후 상기 배출통로(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refore, in the maximum cooling mode, the switching door 160 operates to close the hot air communication hole 132 and open the regenerative communication hole 142, thereby dehumid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Some of the heat is introduced into the bypass passage 130 and then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one-side region 102a of the heater 102, and then the regenerative communication hole 142 opened by the switching door 160 is opened. Is introduced into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through the supplied to the regeneration unit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The heated air supplied to the regeneration unit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passes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to dry and regenerate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150 .

최대 난방모드시에는, 상기 전환도어(160)가 온풍연통공(132)을 개방하고, 상기 재생연통공(142)을 폐쇄하도록 작동함으로써, 상기 제습로터(120)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로 유입된 후 상기 가열기(102)의 일측 영역(102a)을 통과하면서 가열되고, 이후, 상기 전환도어(160)에 의해 개방된 온풍연통공(132)을 통해 상기 가열기(102)의 후방측 온풍통로(P2)로 유입되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풍통로(P2)를 유동하는 공기와 혼합된 후 차실내로 토출된다.In the maximum heating mode, the switch door 160 operates to open the hot air communication hole 132 and close the regenerative communication hole 142 so that a part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is After entering the bypass passage 130 and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one-side region 102a of the heater 102, thereafter, through the hot air communication hole 132 opened by the switching door 160, the heater ( It is introduced into the rear side warm air passage (P2) of the 102 and mixed with the air flowing in the warm air passage (P2)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cabin.

또한,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101)를 바이패스하게 되므로 유동저항이 적게 걸리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air flowing into the bypass passage 130 bypasses the evaporator 101, the flow resistance is low.

아울러, 최대 난방모드시에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를 통과하는 공기가 모두 상기 온풍통로(P2)측으로 유입됨으로서, 풍량을 증대할 수 있고, 상기 제습로터(120)를 건조 재생시키기 위해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를 통과하면서 상기 가열기(102)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차실내 난방열원으로 활용하게 되어 난방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aximum heating mode, all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130 flows into the warm air passage P2, so that the air volume can be increased, and the bypass to dry-regenerate the dehumidifying rotor 120 is performed.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102 while passing through the pass passage 130 may be utilized as a heating heat source in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heating performance.

그리고, 상기한 공조장치(100)는, 상기 송풍장치(170)로부터 송풍되는 풍량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제습로터(120)의 회전수(RPM)를 가변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된다.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motor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blown from the fan unit 170 to variably control the rotation speed RPM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Respectively.

즉, 상기 제습로터(120)의 제습재 효율은 제습재를 통과하는 풍량 및 제습재의 단품성능에 따라 최대의 제습 효율을 가지는 최적 회전수를 가지고 있다.That is, the dehumidifying material efficiency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has an optimum number of rotations having the maximum dehumidific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air volume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material and the performance of the dehumidifying material.

따라서, 제습재의 단품성능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장치(170)로부터 송풍되는 풍량, 즉 상기 블로어(178)를 제어하는 구동 회전수(단수)에 따라 상기 제습로터(120)를 최적 회전수로 제어함으로써 최대의 제습 효율을 낼 수 있다.Therefore, assuming that the unit performance of the dehumidifying material is the sam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blown from the blower 170, that is, the drive rotational speed (the number of stages) of controlling the blower 178. ) Can be achieved at maximum dehumidification efficiency.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상기 제습로터(120) 일측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습로터(120)를 바이패스하도록 하는 바이패스유로(119) 및 상기 바이패스유로(119)를 개폐하는 도어(180)가 설치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llow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11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o bypass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And a door 180 that opens and closes the bypass passage 119.

이때, 상기 도어(180)는, 도 5와 같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81a)과, 상기 회전축(181a)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이패스유로(119)를 개폐하는 플레이트(181b)로 이루어진 플랫도어(flat door)(181)를 설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oor 180, as shown in Figure 5, the rotation shaft 181a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shaft 181a is formed in the bypass passage 119 Flat door 181 consisting of a plate (181b) for opening and closing may be installed.

상기 플랫도어(181)는, 상기 회전축(181a)의 일단부가 공조케이스(1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공조케이스(110)의 외측에 설치된 구동수단(미도시)과 연결된다.The flat door 181, one end of the rotary shaft 181a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connected to the drive means (not shown)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플랫도어(181)가 작동하면서 상기 바이패스유로(119)를 개폐하게 됨으로써, 최대 냉,난방모드 또는 필요한 모드에서 상기 바이패스유로(119)를 개방하여 상기 제습로터(120)의 통기저항으로 인한 풍량 손실을 줄일 수 있고, 공조성능도 향상할 수 있다.Therefore, the bypass passage 119 is opened and closed while the flat door 181 is operated by the control of the driving means, thereby opening the bypass passage 119 in the maximum cooling, heating mode or the required mode. The air volume loss due to the ventilation resistance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can be reduced, and the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도어(180)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7과 같이, 일단부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면에 고정부재(182a)를 통해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습로터(120)의 상류측 공조케이스(110)내 압력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바이패스유로(119)를 개폐하는 플랩도어(flap door)(182)를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door 180, one end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rough the fixing member 182a and the other end is upstream of the dehumidifying rotor 120. A flap door 18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ypass passage 119 may be installed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e in the side air conditioning case 110.

상기 플랩도어(182)는 일정 탄력을 갖는 러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ap door 182 preferably uses a rubber material having a certain elasticity.

이러한 상기 플랩도어(182)는, 상기 제습로터(120)의 상류측 공조케이스(110)내 압력이 일정 이상일 경우 도 7과 같이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바이패스유로(119)를 개방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습로터(120)의 통기저항으로 인한 풍량 손실을 줄일 수 있다.The flap door 182 is elastically deformed as shown in FIG. 7 when the pressure in the upstream air-conditioning case 110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level, thereby opening the bypass passage 119. The air volume loss due to the ventilation resistance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can be reduced.

이때, 상기 플랩도어(182)의 재질 및 두께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유로(119)를 개방하는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ning point of the bypass passage 119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flap door 182.

한편, 상기에서는 상기 도어(180)를 플랫도어(181) 또는 플랩도어(182)를 사용한 경우만 설명하였으나, 이 외에도 돔형 도어 또는 슬라이딩형 도어 등 다양한 형태의 도어를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case where the door 180 is used as the flat door 181 or the flap door 182 is described. In addition to this, various types of doors such as a domed door or a sliding door may be used.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최대 냉방모드나 최대 난방모드 또는 필요한 모드에서 상기 도어(180)를 통해 상기 바이패스유로(119)를 개방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10)내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제습로터(120)를 바이패스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습로터(120)의 통기저항으로 인한 풍량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opens the bypass passage 119 through the door 180 in the maximum cooling mode, the maximum heating mode, or the required mode, so that som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transferred to the dehumidification rotor. By bypassing (12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ir flow loss due to the ventilation resistance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물론, 상기 공조케이스(110)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제습로터(120)를 바이패스하지만, 일부는 상기 제습로터(120)를 통과하게 된다.
Of course, som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bypasses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but some passes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바이패스유로(119)를 개방하는 도어(180)가 플랫도어(181)인 경우를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case in which the door 180 for opening the bypass passage 119 is a flat door 18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가. 최대냉방모드(도5)end. The maximum cooling mode (Figure 5)

최대냉방모드시는 도 5와 같이, 상기 전환도어(160)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0)가 상기 재생통로(140)와 연통하도록 상기 온풍연통공(132)은 폐쇄하고 상기 재생연통공(142)을 개방하도록 작동하며, 상기 온도조절도어(115)는 공조케이스(110)내 냉풍통로(P1)를 개방하고 온풍통로(P2)를 폐쇄하게 된다.In the maximum cooling mode, as shown in FIG. 5, the switching door 160 closes the hot air communication hole 132 so that the bypass passage 130 communicates with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and the regeneration communication hole 142. )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opens the cold air passage (P1)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closes the hot air passage (P2).

또한, 상기 플랫도어(181)는, 상기 바이패스유로(119)를 개방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lat door 181 opens the bypass passage 119.

아울러 상기 제습로터(120)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is rotated by a motor.

또한, 상기 가열기(102)가 히터코어(103)일 경우에는 히터코어(103)의 내부로 엔진 냉각수가 순환하게 되고, 상기 가열기(102)가 전기가열식 히터일 경우에는 전기가열식 히터에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heater 102 is the heater core 103, the engine coolant is circulated into the heater core 103, and when the heater 102 is the electric heater,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 heater. Will be.

따라서, 상기 송풍장치(170)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로 유입된 후, 일부는 상기 바이패스유로(119)를 통해 상기 제습로터(120)를 바이패스하게 되고, 일부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제습부 영역(110a)을 유동하면서 상기 제습로터(120)의 제습부(121)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가 제습로터(120)에 흡착되어 제습된다.Thus, after the air blown by the blower 170 is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 part of the air is bypassed through the bypass passage 119 and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Is passed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121 of the dehumidifying rotor 120 while flowing the dehumidifying unit region 110a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s adsorbed to the dehumidifying rotor 120 in this process. It is dehumidified.

여기서, 상기 공조케이스(110)내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제습로터(120)를 바이패스함으로써, 최대냉방모드시 풍량 손실을 줄일 수 있다.Here, som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bypasses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thereby reducing the air volume loss in the maximum cooling mode.

계속해서, 상기 제습로터(120)를 바이패스한 공기 및 제습로터(120)를 통과한 제습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상기 온도조절도어(115)에 의해 상기 가열기(102)를 바이패스하게 되고, 이후 공기토출모드(페이스모드, 플로어모드, 디프로스트모드, 믹싱모드, 바이레벨모드)에 따라 개방된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토출구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차실내를 냉방하게 된다.Subsequently, some of the air bypassed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and the dehumid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are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01, and then,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By the heater 102 is bypassed, and then through the air outlet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opened in accordance with the air discharge mode (face mode, floor mode, defrost mode, mixing mode, bi-level mode) Is discharged to cool the interior of the vehicle.

상기 제습로터(120)를 통과한 제습된 공기 중 나머지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로 유입되어 상기 증발기(101)를 바이패스하게 되고, 이 후 상기 가열기(102)의 일측 영역(102a)을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계속해서,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를 통과하면서 가열기(102)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상기 전환도어(160)에 의해 개방된 재생연통공(142)을 통해 상기 재생통로(140)로 유입되어 상기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로 공급되게 되고, 이 후, 상기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를 통과하면서 제습로터(120)를 건조 재생시킨 후 상기 배출통로(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The remaining portion of the dehumidifi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flows into the bypass passage 130 to bypass the evaporator 101 and then to the one side region 102a of the heater 102, . Subsequently,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102 while pass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130 is introduced into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through the regeneration communication hole 142 opened by the switching door 160. After being supplied to the regeneration unit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regeneration unit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to dry regeneration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the discharge passage 150 Will be discharged to outside.

그리고, 상기 회전 구동되는 제습로터(12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제습부 영역(110a)을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습기를 흡착하여 제습하고, 상기 바이패스통로(130) 및 재생통로(140)를 통해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재생부 영역(110b)을 통과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흡착된 습기를 강제 증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제습로터(120)는 원래의 건조한 상태로 재생되어 다시 제습능력을 갖게 된다.The dehumidifying rotor 120 driven to rotate is dehumidified by adsorbing moisture from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part region 110a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the bypass passage 130 and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are dehumidified. The moisture absorbed by the heated air passing through the regeneration unit 110b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forced to evaporate. Through this process,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is regenerated in an original dry state to have a dehumidification capacity again.

한편, 도 5는 최대냉방모드이면서 재생모드이다. 즉, 재생모드는, 상기 전환도어(160)를 통해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와 재생통로(140)를 연통시켜,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를 통과하면서 가열기(102)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재생통로(140)를 통해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로 공급하여 제습로터(120)를 재생하는 모드로서, 냉,난방모드에 관계없이 제습이 필요할 경우 재생모드를 구동할 수 있다.
5 is the maximum cooling mode and the regeneration mode. That is, in the regeneration mode, the bypass passage 130 and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witching door 160, and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102 while pass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130. Is supplied to the regeneration unit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through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to regenerate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and if the dehumidification is required regardless of the cooling and heating mode to drive the regeneration mode Can be.

나. 최대난방모드(도6)I. The maximum heating mode (Figure 6)

최대난방모드시는 도 6과 같이, 상기 전환도어(160)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0)가 상기 온풍통로(P2)와 연통하도록 상기 온풍연통공(132)은 개방하고 상기 재생연통공(142)을 폐쇄하도록 작동하며, 상기 온도조절도어(115)는 공조케이스(110)내 냉풍통로(P1)를 폐쇄하고 온풍통로(P2)를 개방하게 된다.In the maximum heating mode, as shown in FIG. 6, the switching door 160 opens the hot air communication hole 132 so that the bypass passage 130 communicates with the hot air passage P2 and the regenerative communication hole 142. )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to close the cold air passage (P1)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open the hot air passage (P2).

또한, 상기 플랫도어(181)는, 상기 바이패스유로(119)를 개방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lat door 181 opens the bypass passage 119.

아울러 상기 제습로터(120)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is rotated by a motor.

또한, 상기 가열기(102)가 히터코어(103)일 경우에는 히터코어(103)의 내부로 엔진 냉각수가 순환하게 되고, 상기 가열기(102)가 전기가열식 히터일 경우에는 전기가열식 히터에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heater 102 is the heater core 103, the engine coolant is circulated into the heater core 103, and when the heater 102 is the electric heater,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 heater. Will be.

따라서, 상기 송풍장치(170)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로 유입된 후, 일부는 상기 바이패스유로(119)를 통해 상기 제습로터(120)를 바이패스하게 되고, 일부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제습부 영역(110a)을 유동하면서 상기 제습로터(120)의 제습부(121)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중에 포함된 습기가 제습로터(120)에 흡착되어 제습된다.Thus, after the air blown by the blower 170 is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 part of the air is bypassed through the bypass passage 119 and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Is passed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121 of the dehumidifying rotor 120 while flowing the dehumidifying unit region 110a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is adsorbed to the dehumidifying rotor 120 in this process. It is dehumidified.

여기서, 상기 공조케이스(110)내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제습로터(120)를 바이패스함으로써, 최대난방모드시 풍량 손실을 줄일 수 있다.Here, some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bypasses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thereby reducing the air volume loss in the maximum heating mode.

계속해서, 상기 제습로터(120)를 바이패스한 공기 및 제습로터(120)를 통과한 제습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후, 상기 온도조절도어(115)에 의해 상기 온풍통로(P2)상에 배치된 상기 가열기(102)의 타측 영역(102b)을 통과하면서 가열되고, 이후 공기토출모드(페이스모드, 플로어모드, 디프로스트모드, 믹싱모드, 바이레벨모드)에 따라 개방된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토출구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어 차실내를 난방하게 된다.Subsequently, some of the air bypassed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and the dehumid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pass through the evaporator 101, and then, by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15.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other region 102b of the heater 102 disposed on the hot air passage P2, and then in accordance with the air discharge mode (face mode, floor mode, defrost mode, mixing mode, bi-level mode). It is discharged into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of the open air conditioning case 110 to hea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terior.

상기 제습로터(120)를 통과한 제습된 공기 중 나머지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로 유입되어 상기 증발기(101)를 바이패스하게 되고, 이 후 상기 가열기(102)의 일측 영역(102a)을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계속해서,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를 통과하면서 가열기(102)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상기 전환도어(160)에 의해 개방된 온풍연통공(132)을 통해 상기 가열기(102)의 후방측 온풍통로(P2)로 유입되면서 상기 온풍통로(P2)를 유동하는 온풍과 혼합되어 함께 차실내로 토출되므로 난방 성능을 향상하게 된다.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dehumidifi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flows into the bypass passage 130 to bypass the evaporator 101 and then to the one side region 102a of the heater 102, . Subsequently, the air heated by the heater 102 while pass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130 passes through the hot air communication hole 132 opened by the switching door 160 to warm the rear side of the heater 102. As it flows into the passage (P2) is mixed with the warm air flowing in the hot air passage (P2) is discharged together in the cabin to improve the heating performance.

한편, 상기 최대냉방모드 및 최대난방모드 뿐만 아니라 필요한 모드에서 상기 플랫도어(181)를 작동시켜 상기 바이패스유로(119)를 개방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풍량 손실을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ypass passage 119 can be opened by operating the flat door 181 in the required mode as well as the maximum cooling mode and the maximum heating mode, thereby reducing the air volume loss.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가열기 103: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1: 공기유입구
112: 디프로스트 벤트 113: 페이스 벤트
114: 플로어 벤트 115: 온도조절도어
116: 모드도어 117: 구획벽
118: 드레인부 119: 바이패스유로
120: 제습로터 121: 제습부
122: 재생부 130: 바이패스통로
131, 141: 격벽 132: 온풍연통공
140: 재생통로 142: 재생연통공
150: 배출통로 160: 전환도어
170: 송풍장치 180: 도어
181: 플랫도어 182: 플랩도어
100: air conditioner 101: evaporator
102: heater 103: heater core
110: air conditioning case 111: air inlet
112: De-Frost Vents 113: Face Vents
114: Floor Vents 115: Temperature Control Door
116: mod door 117: partition wall
118: drain portion 119: bypass euro
120: dehumidification rotor 121: dehumidifying unit
122: reproducing section 130: bypass passage
131, 141: bulkhead 132: hot air communication hole
140: regeneration passage 142: regeneration communication hole
150: discharge passage 160: conversion door
170: blower 180: door
181: flat door 182: flap door

Claims (7)

송풍장치(170)와,
상기 송풍장치(170)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공기를 토출하도록 복수개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11)와 공기토출구의 사이에는 증발기(101)가 설치되는 냉풍통로(P1) 및 가열기(102)가 설치되는 온풍통로(P2)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공기유동방향으로 상기 증발기(101) 상류측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에 대해 일측 영역은 공조케이스(110)내를 유동하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부(121)로 사용되고, 타측 영역은 상기 제습부(121)에서 흡착된 습기를 건조 재생하는 재생부(122)로 사용되는 제습로터(120)가 설치되고,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상기 제습로터(120) 일측에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습로터(120)를 바이패스하도록 하는 바이패스유로(119) 및 상기 바이패스유로(119)를 개폐하는 도어(1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Blower 170,
An air inlet 111 is formed at one side to allow air blown from the air blowing device 170 to flow in and a plurality of air discharging holes are formed at the other side to discharge air, and between the air inlet 111 and the air discharging port And an air conditioning case (110) in which a cold air passage (P1) in which an evaporator (101) is installed and a warm air passage (P2) in which a heater (102) is installed,
The upstream side of the evaporator 101 in the air flow direction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one side area with respect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used as a dehumidifying unit 121 for dehumidifying air flowing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dehumidification rotor 120 used as a regeneration unit 122 for dry regenerating moisture adsorbed by the dehumidifying unit 121,
One side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e bypass flow passage 119 to allow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11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bypasses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18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ypass passage (119) is install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8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81a)과, 상기 회전축(181a)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이패스유로(119)를 개폐하는 플레이트(181b)로 이루어진 플랫도어(flat door)(18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oor 180 is formed on a rotating shaft 181a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181a to open and close the bypass passage 119.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door (flat door) 181 made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80)는, 일단부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습로터(120)의 상류측 공조케이스(110)내 압력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바이패스유로(119)를 개폐하는 플랩도어(flap door)(18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oor 180 has one end fixed to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d the other end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e in the upstream air conditioning case 110 of the dehumidifying rotor 120.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p door (18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1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풍통로(P1) 및 온풍통로(P2) 하부의 상기 공조케이스(110)측에는, 상기 제습로터(120)의 제습부(121)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 공기가 상기 냉풍통로(P1) 및 온풍통로(P2)를 바이패스하도록 하는 바이패스통로(130) 및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로 공급되도록 하는 재생통로(140)가 형성되며,
상기 가열기(102)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0) 및 온풍통로(P2)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일측 영역(102a)은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상에 배치되고 타측 영역(102b)은 상기 온풍통로(P2)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습로터(120)의 제습부(121)를 통과하여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를 통과하는 제습된 공기를 상기 가열기(102)로 가열한 후 상기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로 공급하여 제습로터(120)를 재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part of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ehumidifying part 121 of the dehumidifying rotor 120 is blown into the cooling air passage P1 and the warm air passage P2 on the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under the cold air passage P1 and the warm air passage P2, A bypass passage 130 for bypassing the passage P2 and a regeneration passage 140 for allow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130 to be supplied to the regeneration section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Lt; / RTI &
One side region 102a of the heater 102 is disposed on the bypass passage 130 and the other side region 102b is disposed on the bypass passage 130 so that air flow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130 and the warm air passage P2 can be heated. Is provided so as to be disposed on the hot air passage P2,
After the dehumid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dehumidifying unit 121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and pass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130 is heated by the heater 102 and then the regeneration unit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To regenerate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와 상기 재생통로(140)의 사이에는, 상기 재생통로(140)를 통해 상기 제습로터(120)의 재생부(122)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통로(1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generation section 122 of the dehumidification rotor 120 is connected to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through the bypass passage 130 and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to discharge air, 150) ar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101) 하부의 공조케이스(110)측에는 상기 증발기(10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드레인부(118)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150)의 출구(150b)는 상기 드레인부(118)와 인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drain portion 118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under the evaporator 101 to discharg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101 to the outside,
And an outlet (150b) of the discharge passage (150) is formed adjacent to the drain portion (11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의 출구(130b)는 상기 가열기(102)의 후방측 온풍통로(P2) 및 상기 재생통로(140)와 각각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통로(130)의 출구(130b)와 인접한 상기 공조케이스(110)측에는 상기 바이패스통로(13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재생통로(140)측으로 유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가열기(102)의 후방측 온풍통로(P2)측으로 유동시키도록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전환도어(1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utlet 130b of the bypass passage 13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rear side hot air passage P2 and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of the heater 102, respectivel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130 flows toward the regeneration passage 140 at the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djacent to the outlet 130b of the bypass passage 130 or of the heater 102. Vehic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ing door 160 for switch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s installed so as to flow to the rear side warm air passage (P2) side.
KR1020120029695A 2012-03-23 2012-03-23 Air conditioner for vehicle Expired - Fee Related KR1019207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695A KR101920751B1 (en) 2012-03-23 2012-03-23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695A KR101920751B1 (en) 2012-03-23 2012-03-23 Air condition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708A true KR20130107708A (en) 2013-10-02
KR101920751B1 KR101920751B1 (en) 2018-11-22

Family

ID=49630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695A Expired - Fee Related KR101920751B1 (en) 2012-03-23 2012-03-23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75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863A (en) * 1998-03-25 1999-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hroom dry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0766A (en) * 2002-10-31 2004-05-27 Max Co Ltd Attic space air conditioner
JP4514624B2 (en) 2005-02-28 2010-07-28 株式会社西部技研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2006240573A (en) * 2005-03-07 2006-09-14 Mazda Motor Corp Air conditioner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863A (en) * 1998-03-25 1999-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hroom 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751B1 (en)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3474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45551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558001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JP2012236495A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KR101179593B1 (en) Airconditioner having structure of two layer air flow for vehicles
JP2016064695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5626094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403448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520323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622633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0280724A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KR101463494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920751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056790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0289456A (en) Humidifying and dehumidifying rotor, manufacture thereof,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KR101403435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20196406A (en)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41884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KR101760859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JP2024135258A (en)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54487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13014307A (en)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H11301246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67268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0211341A (en) Air conditioning unit of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3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