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027A - 패류를 이용한 농축 액상조미료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액상조미료 - Google Patents
패류를 이용한 농축 액상조미료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액상조미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6027A KR20130106027A KR1020120027612A KR20120027612A KR20130106027A KR 20130106027 A KR20130106027 A KR 20130106027A KR 1020120027612 A KR1020120027612 A KR 1020120027612A KR 20120027612 A KR20120027612 A KR 20120027612A KR 20130106027 A KR20130106027 A KR 201301060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concentrate
- dried
- liquid seaso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7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7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41000237536 Mytilus edul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20638 mussel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41000383638 Allium nigr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FTSSQIKWUOOEGC-RULYVFMPSA-N fructooligosaccharide Chemical compound OC[C@H]1O[C@@](CO)(OC[C@@]2(OC[C@@]3(OC[C@@]4(OC[C@@]5(OC[C@@]6(OC[C@@]7(OC[C@@]8(OC[C@@]9(OC[C@@]%10(OC[C@@]%11(O[C@H]%12O[C@H](CO)[C@@H](O)[C@H](O)[C@H]%12O)O[C@H](CO)[C@@H](O)[C@@H]%11O)O[C@H](CO)[C@@H](O)[C@@H]%10O)O[C@H](CO)[C@@H](O)[C@@H]9O)O[C@H](CO)[C@@H](O)[C@@H]8O)O[C@H](CO)[C@@H](O)[C@@H]7O)O[C@H](CO)[C@@H](O)[C@@H]6O)O[C@H](CO)[C@@H](O)[C@@H]5O)O[C@H](CO)[C@@H](O)[C@@H]4O)O[C@H](CO)[C@@H](O)[C@@H]3O)O[C@H](CO)[C@@H](O)[C@@H]2O)[C@@H](O)[C@@H]1O FTSSQIKWUOOEGC-RULYVFMP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40107187 fructooligosaccharide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20639 cla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1000237519 Bivalv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0287219 Serinus canar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0000008564 Boehmeria niv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000231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269851 Sarda sard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620877 Ruditapes philippinarum Species 0.000 abstract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abstract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1000263300 Paphia undulata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547 stew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08000007502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1320 Ather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23126 Jaundic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4880 Polyu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08 liv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00 swe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32 Allium cepa var. ce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528 Arctium lap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30 Arctium lap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078 Arctium min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03416 Asparagus officin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340 Asparagus officin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2657 Atop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84 Ce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67823 Hydrangea macrophy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486 Hydrangea macrophy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454 Hyperhid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790 Musa x paradisia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UGCAAVRZWBXEQ-UHFFFAOYSA-N Precholecalciferol Natural products C=1CCC2(C)C(C(C)CCCC(C)C)CCC2C=1C=CC1=C(C)CCC(O)C1 YUGCAAVRZWBX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2674 Swell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99 Thyroid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21 anti-sep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5 banan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14 cal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GWXLDORMOJMVQZ-UHFFFAOYSA-N cerium Chemical compound [Ce] GWXLDORMOJMV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07 engineer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61 gastrointestin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91 intestinal mot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39446 nucleic acid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3 re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14 sou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64 sulfur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1510 thyroid gland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56 t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827 tubercul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1—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obtained by solvent extr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1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heating loose unpacked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0—Preserving against microb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물탕, 샤브샤브의 국물요리, 칼국수, 조개국, 찌개 등의 육수의 활용과 각종 무침, 조림, 볶음 등에 천연조미료 대용할 수 있는 패류를 이용해서 고농축의 액상조미료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액상조미료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정제수)에 건조 및 생홍합, 건조 및 생바지락, 생굴, 생재첩, 모시조개 등의 패류와 흑마늘을 넣고 가열하여 고형분을 제거하여 제1농축액을 수득하고,
상기 제1농축액에 건조다랑어, 건조다시마를 투입하여 재가열에 의한 고형분을 제거하여 제2농축액을 수득하고,
상기 제2농축액에 천일염, 까나리 및 바지락 액젓, 프락토올리고당, 흑설탕, 정종 및 물을 투입하여 3차 가열한 후 실온에서 냉각, 여과하여 일정량의 고농축 액상조미료를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정제수)에 건조 및 생홍합, 건조 및 생바지락, 생굴, 생재첩, 모시조개 등의 패류와 흑마늘을 넣고 가열하여 고형분을 제거하여 제1농축액을 수득하고,
상기 제1농축액에 건조다랑어, 건조다시마를 투입하여 재가열에 의한 고형분을 제거하여 제2농축액을 수득하고,
상기 제2농축액에 천일염, 까나리 및 바지락 액젓, 프락토올리고당, 흑설탕, 정종 및 물을 투입하여 3차 가열한 후 실온에서 냉각, 여과하여 일정량의 고농축 액상조미료를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축 액상 조미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류를 이용해서 각종 국물요리는 물론, 나물무침, 조림, 볶음 등에 맛과 간을 맞출수 있도록 패류의 맛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조리가 간편하고 장기간 보관이 보장되는 농축의 액상조미료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액상조미료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조미료는 식품이 갖고 있는 짠맛, 신맛, 쓴맛을 완화시켜 복잡한 깊고 진한 여운이 남는 감칠맛을 식품에 부여함으로써 맛을 서로 조화시켜 맛있는 맛을 이끌어 내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조미료는 지금까지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화학적 방법 또는 발효공학적 방법에 의하여 얻는 인공 조미료와 자연 식품으로부터 화학적 및 생물학적 가공 없이 얻는 천연 조미료로 구분된다.
인공 조미료는 각종 양념류인 천연 조미료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한 이점이 있으나, 영양분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하다는 인식으로 천연조미료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다수의 기술로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패류를 이용하여 천연조미료인 액상 조미료 기술의 범주에 속한다.
홍합, 바지락, 재첩, 모시조개 등의 조개류, 굴 등은 맛이 담백하고 향미가 풍부하여 찌개, 국, 국수 등의 다양한 요리에 국물 맛을 내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리를 위해서 실제 조개류는 사용 전에 해감을 토하게 하여야 하고, 껍집을 제거하여야 하며 깨끗이 씻어주어야 하고, 부패하기가 쉬어 장시간 보관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조개류는 무기물과 비타민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나, 국물요리에 맛을 내거나 젓갈류에 사용되는 용도에 한정되었다.
본 발명은 각종 국물요리는 물론, 나물무침, 조림, 볶음 등에 맛과 간을 맞출수 있도록 패류의 맛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조리가 간편하고 장기간 보관이 보장되는 패류를 이용한 농축 액상조미료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액상조미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정제수)에 건조 및 생홍합, 건조 및 생바지락, 생굴, 생재첩, 모시조개 등의 패류와 흑마늘을 넣고 가열하여 고형분을 제거하여 제1농축액을 수득하고,
상기 제1농축액에 건조다랑어, 건조다시마를 투입하여 재가열에 의한 고형분을 제거하여 제2농축액을 수득하고,
상기 제2농축액에 천일염, 까나리 및 바지락 액젓, 프락토올리고당, 흑설탕, 정종 및 물을 투입하여 3차 가열한 후 실온에서 냉각, 여과하여 일정량의 농축 액상조미료를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농축 조미료는 해물탕, 샤브샤브의 국물요리, 칼국수, 조개국, 찌개 등의 육수의 활용과 각종 무침, 조림, 볶음 등에 천연조미료 대용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차에 걸쳐 열탕처리에 의해 장기간 보관에도 변질되거나 부패가 차단된 패류의 맛과 향미를 갖는 천연조미료로 활용되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패류를 이용한 농축 액상조미료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액상조미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패류는 홍합, 바지락, 굴, 재첩, 모시조개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패류의 효능을 살펴보면,
굴은 땀을 멈추게 하고 진정, 자양강장효과가 있고, 빈혈이 있는 사람이나 정신불안이 있는 사람에게 효과가 있는 것을 알려져 있고,
모시조개는 혈압을 낮추고, 목마름을 멈추는 효과, 이뇨작용이 있으며, 황달, 부종, 결핵에 의한 기침,당뇨병 등에 이용되며,
바지락은 해독, 평간 이뇨작용이 있고, 황달, 잠 잘때 땀을 잘 흘리는 사람에게 효과가 있다.
또한, 재첩은 고단백·고미네랄 식품으로 단백질 함량은 100g당 12.5g으로 같은 무게의 두부(9.3g)보다 위이고, 메티오닌·타우린 등 웰빙 효과가 큰 아미노산들이 재첩의 단백질에 포함되 있으며 메티오닌·타우린은 간의 해독을 돕고 간기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고,
홍합은 몸의 활성화와 피를 돌게 해주고, 체내 나트륨 배설 효과 및 프로비타민D의 높은 함량으로 뼈를 튼튼하게 하는 효과, 노화 예방 및 빈혈 예방효과, 여성질환 및 스트레스 해소에 좋은 효과, 체력보강 및 원기회복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물 18중량부에 건조홍합 0.5 내지 1.5중량부, 건조바지락 0.5 내지 1.5중량부, 생굴 0.5 내지 1.5중량부, 생재첩 0.5 내지 1.5중량부, 생바지락 0.5 내지 1.5중량부, 생홍합 0.5 내지 1.5중량부, 모시조개 0.5 내지 1.5중량부 및 흑마늘 0.05 내지 0.15중량부를 투입하고, 100 내지 120℃에서 60 내지 90분간 가열한 후, 고형분을 제거하여 11.5중량부의 양의 제1농축액을 수득한다.
상기 제1농축액 11.5중량부에 건조가다랑어 0.1 내지 1.0중량부, 건조다시마 0.1 내지 1.0중량부를 투입하고, 100 내지 120℃에서 15 내지 25분간 더 가열한 후, 고형분을 제거하여 9.2중량부의 양의 제2농축액을 수득한다.
상기 제2농축액 9.2중량부에 국내산 천일염 0.05 내지 0.15중량부, 까나리 액젓 0.15 내지 0.25중량부, 바지락 액젓 0.15 내지 0.25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0.15 내지 0.25중량부, 흑설탕 0.05 내지 0.15중량부, 정종 0.05 내지 0.15중량부, 물 0.3 내지 0.5중량부를 투입하고 100 내지 120℃에서 5 내지 10분간 더 가열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10.3중량부의 패류의 액상조미료를 수득하여 PET병 또는 유리병 등에 충전하여 밀봉포장으로 제품화한다.
<실시예>
제1농축액 수득단계
농축기에 정제수 12kg에 건조홍합 1kg, 건조바지락 1kg, 생굴 1kg, 생재첩 1kg, 생바지락 1kg, 생홍합 1kg, 모시조개 1kg를 투입하여 110 내지 120℃에서 1시간 내지 1시간 30분 동안 끊여 농축하여 줄어든 정제수에 대해 6kg의 정제수를 보충하면서 고형분(건더기)를 모두 건져 11,5kg의 엑기스를 얻었다.
이러한 단계에서 적용된 흑마늘은 생마늘보다 폴리페놀을 10배이상 함유하고 있으며, 유황의 화합물인 S-아릴시스테인성분도 생성이 되며, 노화방지,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효능과 마늘성분의 특유의 냄새와 향을 없앨 수 있어 사용된다.
특히, 흑마늘은 강력한 살균및 향균작용, 고혈압 예방, 당뇨병의 예방과 치료, 정력의 강화, 피로회복 효과, 위장기능 강화, 장운동의 활성화, 간기능의 강화, 신경안정효과, 해독작용, 면역력의 증진, 피부질환의 예방과 치료, 아토피질환에 효능 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패류의 특징적 효능을 더욱 보강할 수 있다.
제2농축액 수득단계
상기 제1농축액 수득단계에서 얻어진 농축엑기스 11.5kg에 건조다랑어 0.5kg, 건조다시마 0.5kg을 넣고 15 내지 25분 끊인 후에 건더기(고형분)을 제거하여 9.2kg의 엑기스를 얻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계에 적용된 다랑어는 노화방지, 암예방에 좋은 핵산(DHA), 칼슘, 인, 마그네슘, 쎌레륨이 풍부하고, 동맥경화방지에 좋은 다량의 불포화 지방산(EPA) 함유하여 콜레스테롤을 녹이는 특성과, 저칼로리 식품으로 비만방지와 풍부한 비타민 함유로 신진대사의 균형 유지, 다량의 철분 함유로 빈혈방지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다시마는 콜레스테롤 수치와 혈압을 내리고, 당뇨예방 효과, 갑상선 질환 예방, 변비 예방효과로 국물요리의 맛을 내는 식재료 활용에 유용한 천연조미료라는 점을 이용하였다.
제3농축액 수득단계
상기 제2농축액 수득단계에서 얻어진 농축엑기스 9.2kg에 국내산 천일염 100g, 카나리 액젓200g, 바지락 액젓 200g, 프락토올리고당 200g, 흑설탕 100g, 정종 100g, 정제수 400g을 넣고 한번 끊인 후 냉각, 여과하여 10.3kg의 엑기스를 얻었다.
이러한 단계에서 적용된 까나리 액젓은 다른 어종에 비해 비린내가 적고 풍미가 좋은 점을 활용했다.
또한, 프락토올리고당은 바나나, 양파, 아스파라거스, 우엉, 마늘등과 같은 채소나 벌꿀, 버섯, 과일류 등의 식품에 포함되어 있는 천연물질로서, 설탕의 약30~60% 정도의 단맛이 있고, 칼슘의 흡수에 도움을 주는 식품으로 활용되는 점을 활용했다.
흑설탕은 백설탕보다 포도당에 가까운 구조로 체내 흡수가 좋고, 비타민이나 미네랄이 풍부한 점을 활용했다.
포장단계
상기 제3농축액 수득단계에서 얻어진 농축엑기스 10.3kg을 PET병이나 유리병, 진공팩 등에 포장하여 제품화한다.
물론 이러한 단계에서 살균처리한 상태로 포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농축 액상조미료는 식당이나 일반가정의 조리음식인 해물탕, 샤브샤브, 칼국수, 조개국, 찌개 등의 육수와 각종 무침, 조림, 볶음 등에 천연조미료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적용된 패류 이외의 조개 등을 활용할 수 있다.
Claims (2)
- 물 18중량부에 건조홍합 0.5 내지 1.5중량부, 건조바지락 0.5 내지 1.5중량부, 생굴 0.5 내지 1.5중량부, 생재첩 0.5 내지 1.5중량부, 생바지락 0.5 내지 1.5중량부, 생홍합 0.5 내지 1.5중량부, 모시조개 0.5 내지 1.5중량부 및 흑마늘 0.05 내지 0.15중량부를 투입하고, 100 내지 120℃에서 60 내지 90분간 가열한 후, 고형분을 제거하여 11.5중량부의 양의 제1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제1농축액 11.5중량부에 건조가다랑어 0.1 내지 1.0중량부, 건조다시마 0.1 내지 1.0중량부를 투입하고, 100 내지 120℃에서 15 내지 25분간 더 가열한 후, 고형분을 제거하여 9.2중량부의 양의 제2농축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농축액 9.2중량부에 국내산 천일염 0.05 내지 0.15중량부, 까나리 액젓 0.15 내지 0.25중량부, 바지락 액젓 0.15 내지 0.25중량부, 프락토올리고당 0.15 내지 0.25중량부, 흑설탕 0.05 내지 0.15중량부, 정종 0.05 내지 0.15중량부, 물 0.3 내지 0.5중량부를 투입하고 100 내지 120℃에서 5 내지 10분간 더 가열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10.3중량부의 패류의 액상조미료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를 이용한 고농축 액상조미료의 제조방법.
- 제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류를 이용한 고농축 액상조미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7612A KR101380495B1 (ko) | 2012-03-19 | 2012-03-19 | 패류를 이용한 농축 액상조미료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액상조미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7612A KR101380495B1 (ko) | 2012-03-19 | 2012-03-19 | 패류를 이용한 농축 액상조미료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액상조미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6027A true KR20130106027A (ko) | 2013-09-27 |
KR101380495B1 KR101380495B1 (ko) | 2014-04-01 |
Family
ID=49454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7612A KR101380495B1 (ko) | 2012-03-19 | 2012-03-19 | 패류를 이용한 농축 액상조미료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액상조미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8049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4109202A1 (de) | 2013-09-04 | 2015-03-26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Arbeitshänger-Historienverwaltungssystem und -Verfahr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9179B1 (ko) | 2020-05-15 | 2020-09-23 | 안미정 | 참담치를 이용한 식품첨가제 제조방법 및 그 식품첨가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4649B1 (ko) * | 1992-09-18 | 1995-05-04 | 박상갑 | 조개농축 조미료 및 그의 제조방법 |
JP3506593B2 (ja) * | 1997-03-31 | 2004-03-15 | 宝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調味料の製造方法 |
KR20030090181A (ko) * | 2002-05-21 | 2003-11-28 | 박희주 | 심층수를 이용한 해산물 천연액상조미료 |
KR101125439B1 (ko) * | 2009-07-15 | 2012-03-27 | 박상갑 | 흑마늘, 인삼 및 해산물을 이용한 천연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
-
2012
- 2012-03-19 KR KR1020120027612A patent/KR10138049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4109202A1 (de) | 2013-09-04 | 2015-03-26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Arbeitshänger-Historienverwaltungssystem und -Verfahre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80495B1 (ko) | 2014-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6896B1 (ko) | 명태코다리 통조림의 제조방법 | |
KR101736011B1 (ko) | 닭백숙의 조리방법 | |
CN106819892A (zh) | 一种速冻猪肉卷 | |
CN106306283A (zh) | 一种杏鲍菇脯的加工工艺 | |
CN103238882A (zh) | 即食卤制花生米加工工艺 | |
KR100715148B1 (ko) | 바지락 해장국 | |
CN110892981A (zh) | 一种海鲜味调味酱及其制备方法 | |
CN103932307A (zh) | 一种滋补甲鱼汤及其制备方法 | |
KR101380495B1 (ko) | 패류를 이용한 농축 액상조미료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액상조미료 | |
CN104286837B (zh) | 抗运动性疲劳营养套餐及其制备方法 | |
KR102660496B1 (ko) | 방풍나물을 첨가한 굴국 식품 제조방법 및 굴국 식품 | |
KR101194142B1 (ko) | 전복 육수와 된장 혼합물을 이용한 전복의 숙성방법 | |
KR101672857B1 (ko) |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 |
CN103932167B (zh) | 一种黄山双石煲加工工艺 | |
KR20130020306A (ko) | 해신탕 및 그 조리방법 | |
KR100875081B1 (ko) | 심층수를 이용한 멍게 젓갈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의해 제조된 멍게 젓갈 | |
KR102015704B1 (ko) | 패류의 건식통조림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건식통조림 | |
CN104522622A (zh) | 一种黑木耳鳕鱼火腿肠及其制作方法 | |
KR20000000047A (ko) | 자라 가공식품 | |
CN110584105A (zh) | 一种黄豆牛肉罐头及其制作方法 | |
CN103478773A (zh) | 一种糖醋虾蛄及其制作方法 | |
CN103976399A (zh) | 一种狗肉干的制作工艺 | |
KR20120002745A (ko) | 기능성 꽁치 액젓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9182022A (zh) | 一种生蚝养生保健酒 | |
CN102551033A (zh) | 一种xo蟹酱的加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