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580A -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 - Google Patents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580A
KR20130064580A KR1020110131264A KR20110131264A KR20130064580A KR 20130064580 A KR20130064580 A KR 20130064580A KR 1020110131264 A KR1020110131264 A KR 1020110131264A KR 20110131264 A KR20110131264 A KR 20110131264A KR 20130064580 A KR20130064580 A KR 20130064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rm
cargo
slider
for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권
장대석
오민석
Original Assignee
정상권
한성웰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권, 한성웰텍 (주) filed Critical 정상권
Priority to KR1020110131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4580A/ko
Publication of KR20130064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58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3Automatically gui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7Whole unit including fork support moves relative to m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물류관리시스템이 구축된 물류센터 등에서 한번에 많은 양의 화물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원격제어로 동작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다단으로 구성되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본체에 고정설치되는 운반용 랙;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구동 및 방향전환이 가능한 복수개의 구동 휠;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마스트 전면에 설치되어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암 슬라이더; 상기 암 슬라이더의 수직 이동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암 슬라이더의 전면에 설치되는 암 레스트; 상기 암 레스트의 일단에 힌지 고정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암; 화물을 실을 수 있는 포크가 구비되어 상기 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조립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The forklift which improves a transportation load capacity}
본 발명은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물류관리시스템이 구축된 물류센터 등에서 물류이송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게차는 무거운 화물을 운반하거나 차량이나 랙에 화물을 이/적재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지게차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운전자가 지게차에 직접 탑승하여 운전하는 유인식 타입과,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인 무인으로 원격제어가 이루어지는 지게차(이하, 운반차라 통칭함)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인 및 무인식 운반차는 화물을 이/적재하는 포크부위가 본체의 전방에 한 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이러한 운반차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할 경우, 화물의 크기나 부피에 관계없이 포크에 하나의 화물만을 싣고 운반하거나 이/적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그 작업 효율성이 매우 낮았다.
이러한 종래 운반차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기존 운반차의 포크 길이를 늘려 하나의 포크부위에 한 개 이상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리치포크가 개발되었고(도 1참조), 또 다른 형태로 마스트의 상하에 복수의 포크를 설치하여 하나의 마스트에 두개의 포크를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포크 타입(도 2참조)이 개발되어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래에 개선된 리치 포크타입이나 듀얼포크타입의 경우, 마스트 전방에 위치한 포크에 추가로 화물이 적재되어 화물의 운반능력은 향상될 수 있었으나, 최초 운반차의 설계하중보다 많은 화물을 적재함으로 인해서 본체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의 중량을 추가로 늘리지 않을 경우 화물 운반중에 운반차가 전도될 위험이 항상 존재하였었다.
또한, 본체에 카운터웨이트의 중량을 추가할 경우, 운반차의 자중이 증대되어 운반차의 연료소비율이 저하되고 운반차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유지보수비용이 증대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었다.
즉, 대단위의 물류센터나 물류저장설비가 설치된 곳에서는 무인 물류관리시스템이 적용되어 무인 운반차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다수의 랙(rack)이 설치된 공간 내에서 화물의 이/적재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무인 물류관리시스템에 사용되는 운반차는 전기구동모터 및 밧데리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일정시간 또는 일정거리 이동을 하면서 작업을 수행한 운반차는 일정 장소에 설치된 충전소에 들러 충전을 해야한다.
하지만, 종래 운반차의 운송적재능력의 한계로 그 이동량이 많아 에너지의 손실이 많을 뿐만 아니라 잦은 충전으로 물류운송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화물의 운반 및 이/적재를 위해 추가의 운반차를 구입하여 관리해야 되므로 이의 구입비용이나 에너지 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다수의 운반차 이동경로 파악과 그 제어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많은 애로사항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한국 공개특허 10-2007-58242호(지게차의 후방장애물 감지 제어장치)와, 한국 등록특허 10-1041983호(무인지게차를 위한 위치측정 장치 및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운반차의 적재능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본체 상부에 운반용 랙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포크 이외에도 화물을 운송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거리단축을 통한 물류운송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반차의 마스트에 설치된 암 슬라이더에서 암 레스트가 일측으로 인출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암 레스트에 고정된 암 및 상기 암에 고정된 포크조립체가 회전되어 본체에 구비된 운바용 랙 및 물류저장시설에 설치된 보관 랙에 화물의 이/적재가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는 원격제어로 동작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다단으로 구성되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본체에 고정설치되는 랙;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구동 및 방향전환이 가능한 복수개의 구동 휠;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마스트 전면에 설치되어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암 슬라이더; 상기 암 슬라이더의 수직 이동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암 슬라이더의 전면에 설치되는 암 레스트; 상기 암 레스트의 일단에 힌지 고정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암; 화물을 실을 수 있는 포크가 구비되어 상기 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조립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본체는 일정 무게를 갖는 카운터 웨이트와, 원격제어부와 무선정보교환이 가능한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와, 이동경로 추적을 위한 레이저스캐너와, 상기 레이저스캐너에서 획득한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경로를 파악 그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처리부와 상기 송수신장치 및 정보처리부의 데이터가 실시간 저장되는 메모리부가 구비된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본체의 전후면 하단부에는 일단이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본체의 전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보조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지지대의 저면에는 본체의 이동방향에 따라 자유자재로 회전이 가능한 프리로드휠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포크조립체는 상기 암(arm)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힌지고정부와, 상기 힌지고정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일정 크기의 평판재로 구성되는 백레스트와, 상기 백레스트의 하단에서 백레스트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화물을 적재하도록 구비된 포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좌우측 또는 어느 일측 하단부에는 상기 암 레스트가 암슬라이더의 일측으로 이동하여 암슬라이더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인출될 경우 본체 외측으로 자동으로 인출시켜 본체의 무게중심을 유지시키는 측면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암 슬라이더와 암 레스트에는 암 슬라이더에서 인출되는 암 레스트를 감지하여 상기 측면지지대의 인출동작을 제어하는 이동감지센서 및 센서감지부재가 설치되어 화물의 이동방향에 따라 측면지지대의 인출이 자동으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는 본체의 상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운반용 랙이 설치되어, 한번 이동시에 많은 화물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어 물류이동 및 관리가 더욱 용이하도록 한다.
특히, 마스트에 설치된 암레스트가 암슬라이더의 일측으로 인출되어 그 일단에서 암이 회전하고, 압에 설치된 포크조립체가 또 한번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화물의 이/적재 편리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에 설치된 운반용 랙에 화물의 이/적재가 용이하여 운반차의 전체 이동거리 단축을 통한 물류관리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운반차의 이송능력 향상을 통해 에너지소비를 더욱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지게차의 사용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의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체에 발명에 따른 운반차의 주요 구성에 대한 동작블럭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의 동작 및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는 본체의 일 측면에 설치된 마스트에 암 슬라이더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암 슬라이더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암 레스트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암 레스트의 일단에 암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암의 선단에는 화물을 이/적재하는 포크조립체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포크조립체와 암의 회전을 통해 화물의 이/적재 편리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이동시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본체의 상부에 다단의 운반용 랙을 설치하여 이곳에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지 않은 기타의 구성들은 통상의 운반차에 적용되고 있거나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여 당업자에 의해 구현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언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100)의 전체적인 구성이 도 3의 외관사시도에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주요 특징적 구성들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반차(100)는 본체(10)를 기준으로 본체(10)의 일측면에 일정 높이의 마스트(30)가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마스트(30)의 전면에는 승강수단(70)에 의해 마스트(30)의 설치방향인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암 슬라이더(arm slider,40)가 설치되고, 상기 암 슬라이더(40)의 수직 이동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암 슬라이더(40)의 전면에 암 레스트(arm rest,50)가 설치되며, 상기 암 레스트(50)에는 화물을 실을 수 있는 포크(66)가 구비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조립체(60)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부 중심부에는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됨과 동시에 방향전환을 통해 본체(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구동 휠(20)이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다단으로 구성되어 각 단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운반용 랙(15)이 설치된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마스트(30)의 하단부측으로 일단이 본체(1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본체(10)의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복수개의 보조지지대(34)가 결합되며, 상기 보조지지대(34)의 저면에는 본체(10)의 이동 및 구동 휠(20)의 회전에 따라 자유자재로 회전되어 운반차의 안전한 이동 및 화물의 이/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프리로드 휠(36)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의 일부 분해사시도를 참조하면서 주요 특징적 구성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마스트(30)는 본체(10)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그 전방에 결합되는 암 슬라이더(arm slider,40)의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및 지지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암슬라이더(40)의 상하 동작을 위해 상기 마스트(30)의 내측에는 승강수단(70)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수단(70)은 체인과 유압식으로 구성되어 본체(10)의 내측에 설치된 마이컴으로부터 제어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수단(70)의 구체적인 구성이나 동작내용은 종래의 운반차 등에 사용되는 구성이 채용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마스트(30)에 설치되는 암 슬라이더(40)는 상하로 복수개의 이동가이드(42)가 중앙부에 일정한 깊이의 오목함 홈이 형성된 레일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암 슬라이더(40)에 결합되는 암 레스트(50)의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암(arm)슬라이더(40)에 수평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암 레스트(50)의 후면 상하부에는 상기 이동가이드(42)에 결합되어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롤러 형태의 이동부재(52)가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부재(52)는 암 레스트(50)의 후면 좌우 양단 및 중간부 등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암 레스트(50)의 일단에는 일정한 형상의 암(arm,55)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암(55)의 타단측에는 상기 포크조립체(60)가 힌지고정부(62)를 매개로 회동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된다.
상기 암(55)에 회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상기 포크조립체(60)는 계단모양의 단턱이 형성된 암(55)의 선단부에 힌지고정부(62)가 상하에서 고정되어 안정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힌지고정부(62)의 외측에는 평판재 형상의 백레스트(64)가 일정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백레스트(64)의 전방에는 화물의 운반 및 이/적재가 가능하도록 ㄴ형상의 포크(66)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상기 포크(66)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 일정거리 이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만, 두 개 이상의 포크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설치 위치도 백레스트(64)의 좌·우측 또는 중앙에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운반차의 중심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체(10)의 내부에는 운반차로 화물의 운반 및 이/적재시에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카운트웨이트(12)와 각 장치의 제어를 위한 마이컴(도시생략) 등이 설치되며, 상기 마이컴은 별도의 원격제어부와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명령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일측이나 마스트(30)의 상단에는 운반차의 이동시 좌표설정을 위한 레이저스캐너(1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운반차(100)의 저면, 즉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구동 휠(20)의 동력전달을 위한 복수개의 모터와 동력전달수단(도시생략)이 구비되어 구동휠(20)의 구동 및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체(10)의 전면 양쪽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보조지지대(34)는 마스트(30)를 통해 화물의 운반 및 이적재시에 운반차(10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체(10)의 하단 좌·우측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하단부에는 상기 암 레스트(50)가 암 슬라이더(40)의 일측으로 이동되어 그 선단부에 결합된 암(55) 및 포크조립체(60)가 본체(10)의 측면을 향해 회전되는 경우 또는 암 레스트(50)가 암 슬라이더(40)에 본체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상 인출될 경우 본체(10)의 안정적인 자세 유지를 위해 자동으로 출몰되는 측면지지대(13)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측면지지대(13)의 원활한 인출이 가능하도록 측면지지대(13)의 저면에는 프리로드휠(37)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지지대(13)의 출몰 동작은 상기 암(55) 및 포크조립체(60)의 회동과 암 레스트(50)가 암 슬라이더(40)의 일측으로 이동되어 본체(10)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상 인출될 경우 자동으로 이를 감지하여 동작되도록 감지센서(43) 및 센서감지부재(53)가 암 레스트(50)나 암 슬라이더(40) 또는 암(55)의 회동부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암(55)과 암 레스트(50)에 감지센서(43) 및 센서감지부재(53)가 각각 설치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에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운반차(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요 구성의 개략적인 동작 블럭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물류센터 등에 설치된 원격제어부(80)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송수신받는 송수신장치(14)와, 상기 송수신장치(14)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정보처리부(18)와, 송수신된 데이터 및 운반차의 이동된 좌표값과 거리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부(17)가 구비되어 마이컴(19)에 의해 전체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19)에는 운반차의 이동을 위한 구동수단(22)과 마스트(30)에 설치된 암 슬라이더(40), 암 레스트(5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암(55) 및 포크조립체(60)의 동작 및 회전을 제어하는 승강 및 회전제어수단(70), 암 슬라이더(40)에 설치된 암 레스트(50)의 수평이동수단(75)을 통합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제어방법이나 동작은 마이컴(19)에 저장된 일련의 알고리즘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암(55)의 회동과 힌지고정부(62)의 회전은 각 회전부에 소정의 회전모터가 설치되어 동작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기술을 채택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100)를 이용하여 화물의 운송 및 이/적재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원격제어부(80)를 통해 무선으로 운행가능한 것으로, 원격제어부(80)를 통해 수신된 제어명령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마이컴(19)을 통해 각부가 제어된다.
즉, 마이컴(19)은 수신된 제어명령에 따라 본체(10)의 하단부에 설치된 구동 휠(20)에 동력이 전달되어 구동 휠(20)의 회전과 이동방향이 설정된다.
상기 구동휠(20)의 회전과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거리와 방향이 정해진 운반차(100)는 본체(10)의 측면이나 마스트(30)의 상단에 설치된 레이저스캐너(16)에 의해 물류작업장에 설치된 레이저발신장치로부터 신호를 접수하여 운행경로를 파악하면서 목표지점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목표지점까지 이동한 운반차(100)는 마스트(30)에 설치된 상기 암 슬라이더(40) 및 암 레스트(50)가 운반될 물건이 위치한 보관 랙(90)의 전방으로 이동한 후, 마이컴으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각부가 동작되어 암 레스트(50)에 고정된 포크조립체(60)가 보관 랙(90)의 방향에 따라 힌지고정부(62)를 기점으로 회전하여 포크에 화물을 적재하게 된다(도 6참조).
포크에 실린 화물(P)은 화물을 적재한 순서와 역순으로 동작되어 보관 랙(90)에서 화물(P)을 인출한 후에 암(55)과 포크조립체(60)의 힌지고정부(62)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 7과 같이 본체(10)의 측면으로 이동한 후에, 암 슬라이더(40)에 결합된 암 레스트(50)가 수평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본체(10)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동한 후에 상기 포크조립체(60)는 본체(10)를 향해 다시 180도 회전하게 되어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8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암 슬라이더(40)는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운반용 랙(15)의 전방 높이까지 승강수단(70)의 동작에 따라 상승한 후에, 암 슬라이더(40)에서 인출되었던 암 레스트(50)가 다시 암 슬라이더(40)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도 9와 같이 다단의 운반용 랙(15) 중 하나의 랙에 포크에 실린 화물(P)을 이재하게 된다.
운반용 랙(15)에 화물 적재가 완료되면, 상기 암 슬라이더 내측으로 이동했던 상기 암 레스트는 다시 본체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포크를 운반용 랙에서 빼낸 후에 포크조립체(60) 및 암의 회전과 암 레스트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다시 본체(10)의 전방인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해서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된 운반용 랙(15)에 화물 적재를 완료한 후에, 포크(66)에 새로운 화물을 하나 싣고 목적지로 이동하여 상술한 화물적재 순서와 반대로 필요한 위치에 하나씩 화물을 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100)는 한번 이동으로 종래의 운반차에 비해 적게는 2배에서 많게는 4배 정도의 많은 화물을 동시에 적재 운반할 수 있어 화물의 운반능력을 월등히 향상시킴으로써 물류관리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고, 운반차의 에너지 소비를 줄여 경제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포크조립체(60)를 이용해 화물을 이/적재하는 동안, 본체(10)의 측면 하단에 구비된 측면지지대(13)는 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포크에 실린 화물의 중량으로 본체의 중심이 흔들리거나 유동이 발생되어 본체의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100)는 다수의 보관 랙이 설치된 물류저장시설이나 물류센터 등에 설치되어 무인으로 24시간 동작되는 운반차로 이용할 경우 매우 유용할 것이다.
특히, 물류저장설비나 물류센터에서는 대량의 화물을 보관, 분류, 저장하는 추세이고, 이러한 설비 등이 갖춰진 경우 통상 무인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모든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물류관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100)를 이용하여 물류관리를 할 경우 한번에 많은 화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동시에 운반하게 되어 종래와 같이 몇 번에 걸쳐 운송해야 하는 번거러움과 이동거리의 단축을 통해 신속한 작업성이 요구되는 대단위의 물류시설에 더욱 적합할 것이다.
특히, 운반차에 적용되는 배터리 등의 전기구동장치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동거리 단축에 따른 가동시간 증대 및 충전시간의 단축을 통해 전력사용량 등 부가적인 에너지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는 대단위의 물류센터, 특히 무인 물류관리시스템을 적용하여 24시간 운영되는 물류센터 등에서 이용할 경우, 한번에 많은 양의 화물을 동시에 운반할 수 있는 운송능력의 극대화를 통해 작업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감과 운반차의 내구성 향상, 고가의 운반차 도입대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물류관리설비의 관리 및 운영의 효율성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한다.
10 : 본체 12 : 카운트웨이트(counter weight)
13 : 측면지지대 14 : 송수신장치
15 : 운반용 랙 16 : 레이저스캐너
17 : 메모리부 18 : 정보처리부
19 : 마이컴 20 : 구동 휠(drive wheel)
30 : 마스트(mast) 34 : 보조지지대
36,37 : 프리로드휠 40 : 암 슬라이더(arm slider)
42 : 이동가이더 43 : 감지센서
50 : 암 레스트(arm rest) 52 : 이동부재
53 : 센서감지부재 55 : 암(arm)
60 : 포크조립체(fork assembly) 62 : 힌지고정부
64 : 백레스트 66 : 포크
70 : 승강수단 75 : 수평이동수단
80 : 원격제어부 100 : 운반차
P : 화물

Claims (6)

  1. 원격제어로 동작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다단으로 구성되어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본체에 고정설치되는 운반용 랙;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구동 및 방향전환이 가능한 복수개의 구동 휠;
    상기 본체의 일 측면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마스트 전면에 설치되어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암 슬라이더;
    상기 암 슬라이더의 수직 이동방향에 대해 직각인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암 슬라이더의 전면에 설치되는 암 레스트;
    상기 암 레스트의 일단에 힌지 고정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암;
    화물을 실을 수 있는 포크가 구비되어 상기 암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조립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정 무게를 갖는 카운터 웨이트와, 원격제어부와 무선정보교환이 가능한 무선데이터 송수신장치와, 이동경로 추적을 위한 레이저스캐너와, 상기 레이저스캐너에서 획득한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경로를 파악 그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처리부와 상기 송수신장치 및 정보처리부의 데이터가 실시간 저장되는 메모리부가 구비된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후면 하단부에는 일단이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본체의 전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보조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지지대의 저면에는 본체의 이동방향에 따라 자유자재로 회전이 가능한 프리로드휠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조립체는
    상기 암(arm)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힌지고정부와,
    상기 힌지고정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일정 크기의 평판재로 구성되는 백레스트와,
    상기 백레스트의 하단에서 백레스트 전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화물을 적재하도록 구비된 포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좌우측 또는 어느 일측 하단부에는 상기 암 레스트가 암슬라이더의 일측으로 이동하여 암 슬라이더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인출되거나, 암이 일정각도 회전되거나, 포크조립체가 힌지고정부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전될 경우 본체 외측으로 자동으로 인출시켜 본체의 무게중심을 유지시키는 측면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 슬라이더와 암 레스트, 암레스트와 암, 또는 힌지고정부 중 어느 한곳 이상에는 암 슬라이더에서 본체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암레스트를 감지하거나, 포크조립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측면지지대의 인출동작을 제어하는 이동감지센서 및 센서감지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
KR1020110131264A 2011-12-08 2011-12-08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 Ceased KR20130064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264A KR20130064580A (ko) 2011-12-08 2011-12-08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264A KR20130064580A (ko) 2011-12-08 2011-12-08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580A true KR20130064580A (ko) 2013-06-18

Family

ID=48861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264A Ceased KR20130064580A (ko) 2011-12-08 2011-12-08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4580A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668A (ko) * 2014-11-14 2016-05-24 씨제이대한통운 (주) 지능형 무인 이/적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적재 방법
KR20180084849A (ko) * 2015-11-09 2018-07-25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상승 구동될 때 개선된 하향 시계를 가지는 상품 피커 자재 취급 차량
CN108557494A (zh) * 2018-05-25 2018-09-21 纽威包装技术(常州)有限公司 全自动智能码垛装车卸车系统
CN110406922A (zh) * 2019-09-11 2019-11-05 廊坊市智恒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rgv小车
CN110577170A (zh) * 2019-09-24 2019-12-17 上海木蚁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抽拉式电动叉车
CN111646150A (zh) * 2020-06-30 2020-09-11 太原福莱瑞达物流设备科技有限公司 用于货物叠放的合垛机
CN111674313A (zh) * 2020-07-08 2020-09-18 湖北物资流通技术研究所(湖北物资流通生产力促进中心) 基于城市公交式货运的物流分拣车厢的穿梭车组件
CN112811355A (zh) * 2021-01-29 2021-05-18 广东牛力物流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防护结构的物流搬运用堆垛车
CN115448217A (zh) * 2022-09-06 2022-12-09 合肥神马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可自动识别电缆线盘的运输车
CN116022695A (zh) * 2022-12-15 2023-04-28 芜湖哈特机器人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智能化运输车的自动提升装置
CN116715176A (zh) * 2023-08-10 2023-09-08 龙合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麦克纳姆轮全向搬运智能机器人的控制方法
US11794996B2 (en) 2017-11-14 2023-10-24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US11794995B2 (en) 2017-11-14 2023-10-24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US11987483B2 (en) 2020-06-05 2024-05-2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Operator control system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12103771B2 (en) 2017-11-14 2024-10-01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US12139335B2 (en) 2017-11-14 2024-11-12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7668A (ko) * 2014-11-14 2016-05-24 씨제이대한통운 (주) 지능형 무인 이/적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적재 방법
KR20180084849A (ko) * 2015-11-09 2018-07-25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상승 구동될 때 개선된 하향 시계를 가지는 상품 피커 자재 취급 차량
KR20240055163A (ko) * 2015-11-09 2024-04-26 크라운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상승 구동될 때 개선된 하향 시계를 가지는 상품 피커 자재 취급 차량
US11993497B2 (en) 2015-11-09 2024-05-28 Crown Equipment Corporation Order picker materials handling vehicle with improved downward visibility when driving elevated
US11794996B2 (en) 2017-11-14 2023-10-24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US12291396B2 (en) 2017-11-14 2025-05-06 Hai Robot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warehouse robot to store and fetch inventory materials
US12139335B2 (en) 2017-11-14 2024-11-12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US12103771B2 (en) 2017-11-14 2024-10-01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US11794995B2 (en) 2017-11-14 2023-10-24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US12006143B2 (en) 2017-11-14 2024-06-11 Hai Robotics Co., Ltd. Handling robot
CN108557494A (zh) * 2018-05-25 2018-09-21 纽威包装技术(常州)有限公司 全自动智能码垛装车卸车系统
CN110406922A (zh) * 2019-09-11 2019-11-05 廊坊市智恒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rgv小车
CN110577170A (zh) * 2019-09-24 2019-12-17 上海木蚁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抽拉式电动叉车
US12071333B2 (en) 2020-06-05 2024-08-27 Crown Equipment Corporation Vertical viewing windows in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US11987483B2 (en) 2020-06-05 2024-05-2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Operator control system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CN111646150A (zh) * 2020-06-30 2020-09-11 太原福莱瑞达物流设备科技有限公司 用于货物叠放的合垛机
CN111674313A (zh) * 2020-07-08 2020-09-18 湖北物资流通技术研究所(湖北物资流通生产力促进中心) 基于城市公交式货运的物流分拣车厢的穿梭车组件
CN112811355A (zh) * 2021-01-29 2021-05-18 广东牛力物流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防护结构的物流搬运用堆垛车
CN115448217A (zh) * 2022-09-06 2022-12-09 合肥神马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可自动识别电缆线盘的运输车
CN116022695A (zh) * 2022-12-15 2023-04-28 芜湖哈特机器人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智能化运输车的自动提升装置
CN116715176B (zh) * 2023-08-10 2023-12-15 龙合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麦克纳姆轮全向搬运智能机器人的控制方法
CN116715176A (zh) * 2023-08-10 2023-09-08 龙合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麦克纳姆轮全向搬运智能机器人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4580A (ko) 운반 적재능력을 향상시킨 운반차
CA3066261C (en) Automated loading of delivery vehicles using automated guided vehicles
CN210162597U (zh) 一种无人化仓储系统
CN109415194B (zh) 用于在仓库环境中使用物料搬运车辆的系统和方法
CN208182551U (zh) 仓储机器人叉车
CN111137808A (zh) 搬运小车
US10273704B2 (en) Automated parking garage/self-storage apparatus
US7575407B2 (en) Article storage facility
US201902433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transport and storage of autonomous ground vehicles
US20100322752A1 (en) Article Transporting Apparatus
JP2018111589A (ja) 水平搬送台車
CN214396482U (zh) 一种换电站
CN111422787B (zh) 移动车
CN111673759A (zh) 一种智能物流搬运机器人
CN214355625U (zh) 一种换电站
JP3233367U (ja) 自動トレー搬送装置
KR20130062132A (ko) 양 방향적재가 가능한 운반차
JP2018165188A (ja) 水平搬送台車
KR20140076410A (ko) 측면 이중 포크 캐리지형 무인운반차
CN109720766B (zh) 移动存储库及移动存储系统
WO2023104088A1 (zh) 一种装卸方法及潜伏agv、复合四脚托盘和叉车agv
CN215364735U (zh) 一种机器人
EP3561628B1 (en) Industrial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optimisation of moving payload
CN216189113U (zh) 一种仓储物流用夹取搬运设备
CN216582255U (zh) 一种新型高速路应急物料仓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0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5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