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847A - 흡착회수와 냉각응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 - Google Patents

흡착회수와 냉각응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847A
KR20130016847A KR1020110079008A KR20110079008A KR20130016847A KR 20130016847 A KR20130016847 A KR 20130016847A KR 1020110079008 A KR1020110079008 A KR 1020110079008A KR 20110079008 A KR20110079008 A KR 20110079008A KR 20130016847 A KR20130016847 A KR 20130016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volatile organic
pipe
cooling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공대원
Original Assignee
(주)케스지기술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스지기술환경 filed Critical (주)케스지기술환경
Priority to KR1020110079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6847A/ko
Publication of KR20130016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을 대기오염물질로서 소각 처리하는 대신에,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포함된 유해가스의 배기관을 흡착회수기와 연결시키는 한편, 상기 흡착회수기에서 흡착 및 탈착과정을 거쳐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히트펌프장치의 냉각응축기로 유입시켜 용제화 처리를 수행하며, 이와 같이 용제화 처리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아니하는 우수한 연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대기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설비의 구축과 동시에 신재생에너지를 획득하는 설비의 구축이 가능토록 하며, 이로 인하여 대기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부가적인 이익이 창출되도록 함에 따라, 환경오염의 방지와 더불어 경제적 이익이라는 시너지 효과를 얻어낼 수 있도록 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포함된 유해가스의 배기관(5)이 흡착회수기(10)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배기관(5)에는 유해가스중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전처리필터(6)와 배기용 송풍기(7)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흡착회수기(10)에서 탈착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배출을 위하여 배풍기(15a)를 구비하는 가스회수관(15)이 흡착회수기(1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가스회수관(15)이 히트펌프장치(20)의 증발기를 이루는 냉각응축기(26)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흡착회수기(10)는, 케이싱(11)과, 상기 케이싱(11)의 내부에 삽입되는 로터형 흡착재(12)와, 상기 로터형 흡착재(12)를 케이싱(11)의 내부에서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로터형 흡착재(12)의 양측에 해당하는 케이싱(11)의 내부공간은 파티션(19)에 의하여 부채꼴 형상의 흡착영역(12a)과 탈착영역(12b)과 냉각영역(12c)으로 구획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영역(12a)(12b)(12c)은 로터형 흡착재(12)를 사이에 두고 동일한 위치에 대응 형성되며, 상기 배기관(5)은 흡착영역(12a)의 입구측에 해당하는 케이싱(11)의 유입덕트(11a)와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흡착영역(12a)의 출구측에 해당하는 케이싱(11) 부분에 정화공기의 배출덕트(11b)가 설치되고, 상기 가스회수관(15)은 탈착영역(12b)의 출구측에 해당하는 케이싱(11)의 배기덕트(11f)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냉각영역(12c)의 입구측에 해당하는 케이싱(11)의 흡기덕트(11c)에는 필터(14a)를 구비하는 외기유입관(14)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냉각영역(12c)의 출구측에 해당하는 케이싱(11)의 공급덕트(11d)와 탈착영역(12b)의 입구측에 해당하는 케이싱(11)의 회수덕트(11e)에는 히터(13)를 경유하는 순환배관(13a)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냉각응축기(26)의 하단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응축과정에서 발생한 용제를 연료로서 회수하는 용제회수관(36)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착회수와 냉각응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Fueling system of VOCs by absorptive collecting and cooling condensation}
본 발명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을 대기오염물질로서 소각 처리하는 대신에, 흡착회수기에서의 흡착 및 탈착과정과 냉각응축기에서의 용제화 처리를 거치도록 하며, 이와 같이 용제화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아니하는 연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환경오염의 방지와 더불어 경제적 이익이라는 시너지 효과를 얻어낼 수 있도록 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및 그 부속품을 도장(塗裝)하기 위한 자동차 도장부스나 그 이외의 각종 도장시설에서는 도장작업시 비산되는 페인트 미스트(Paint mist; 페인트 분진) 뿐만 아니라, 도장된 물품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페인트의 용제가 대기중으로 증발하여 톨루엔과 같은 각종 휘발성 유기화합물(Volertile Organic Compounds, V.0.Cs)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그대로 대기중으로 방출되면,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빛과 반응하여 오존이나 알데히드 또는 스모그 중의 질소화합물과 같은 광화학 산화물을 생성하게 됨으로서, 대도시의 광화학 스모그와 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이루는 대부분의 물질들은 낮은 농도에서도 자극적이며 불쾌한 냄새를 유발시키는 한편, 호흡기를 통하여 인체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에는 신경계 등의 장애를 일으키는 발암물질이 되므로, 최근에 들어서는 그 배출시설에 대한 법적인 배출규제가 마련되고 있다.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주된 발생처(약 50% 정도)가 되는 자동차 도장부스와 같은 도장시설에 있어, 대기오염을 유발하는 물질 중 페인트 미스트의 경우는 각종 필터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제거가 가능하지만, 용제의 증발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필터에 의한 제거가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포함된 유해가스를 소각 처리토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소각처리에는 직접연소방식과 촉매산화방식이 일부 적용되고 있으나,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포함된 유해가스를 연소시킴에 따라 발생한 산화열을 축열재에 축열시킨 다음, 이를 유해가스의 가열 및 연소에 재사용토록 한 축열연소 및 산화처리장치(R.T.O: Regenerative Thermal Oxidizer)를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축열연소 및 산화처리장치(R.T.O)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소각처리에 따른 연료비용을 절감하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산화시 발생되는 폐열을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축열연소 및 산화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거의 모든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장치는,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산화시켜 대기오염을 줄이는 한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산화시 발생하는 폐열만을 재활용하여 에너지의 낭비와 경제적인 손실을 줄이고자 하는 데에만 중점을 두었을 뿐이고, 연료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회수하여 이를 필요시마다 연료로 재활용토록 하는 측면은 전혀 고려되지 못한 것이었다.
다시 말해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경우 그 자체가 휘발성 및 연소성을 가지는 매우 우수한 연료이며, LPG 12,000 kcal/kg을 기준으로 그 가격을 환산하면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7,000 kcal/kg으로서 2011년 현재 1kg당 약 940원의 경제적인 가치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소시 발생하는 산화열을 해당 처리장치에 설치된 열교환기 등을 이용한 간접적이고 소극적인 폐열회수 방식으로만 재활용하였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소시 발생하는 산화열을 해당 처리장치의 가동시에만 사용할 수 있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아니하는 연료로서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처리장치와 멀리 떨어진 건조설비나 난방설비 등에 이용코자 할 경우에는, 단열덕트나 단열배관을 포함하는 대규모의 복잡한 설비가 불가피하게 되므로, 해당 설비의 구축에 따른 막대한 비용부담을 감안할 경우 경제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처리장치가 설치된 공장시설 내에서만 국한되어 활용되고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포함된 유해가스를 대기오염물질로서 소각 및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 유해가스중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흡착회수기에서 흡착 및 탈착시킨 다음, 이를 히트펌프장치의 냉각응축기로 유입시켜 용제화 처리를 수행토록 하며, 이와 같이 용제화 처리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아니하는 연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이로 인하여, 해당 산업현장 뿐만 아니라 인근의 주택이나 농사용 난방시스템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각종 설비에도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연소용 연료로서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처리시스템 자체가 신재생에너지를 획득하는 설비가 되도록 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부가적인 이익이 창출되도록 함에 따라, 환경오염의 방지와 더불어 경제적 이익이라는 시너지 효과를 얻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포함된 유해가스의 배기관이 흡착회수기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배기관에는 유해가스중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전처리필터와 배기용 송풍기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흡착회수기에서 탈착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배출을 위하여 배풍기를 구비하는 가스회수관이 흡착회수기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가스회수관이 히트펌프장치의 증발기를 이루는 냉각응축기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흡착회수기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삽입되는 로터형 흡착재와, 상기 로터형 흡착재를 케이싱의 내부에서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로터형 흡착재의 양측에 해당하는 케이싱의 내부공간은 파티션에 의하여 부채꼴 형상의 흡착영역과 탈착영역과 냉각영역으로 구획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영역은 로터형 흡착재를 사이에 두고 동일한 위치에 대응 형성되며, 상기 배기관은 흡착영역의 입구측에 해당하는 케이싱의 유입덕트와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흡착영역의 출구측에 해당하는 케이싱 부분에 정화공기의 배출덕트가 설치되고, 상기 가스회수관은 탈착영역의 출구측에 해당하는 케이싱의 배기덕트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냉각영역의 입구측에 해당하는 케이싱의 흡기덕트에는 필터를 구비하는 외기유입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냉각영역의 출구측에 해당하는 케이싱의 공급덕트와 탈착영역의 입구측에 해당하는 케이싱의 회수덕트에는 히터를 경유하는 순환배관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냉각응축기의 하단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응축과정에서 발생한 용제를 연료로서 회수하는 용제회수관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용제회수관은 저장탱크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저장탱크는 비중차를 이용한 용제와 수분의 분리 및 용제의 순도별 추출이 가능한 정제탱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히트펌프장치는, 컴프레셔와, 방열팬이 구비된 방열기와, 냉매증발기로서의 보조냉각기가 제 1냉매배관으로 연결된 1차 냉각싸이클 및 상기 1차 냉각싸이클의 보조냉각기로부터 연장되는 제 2냉매배관이 냉각응축기와, 리시버탱크와, 순환펌프를 거쳐 보조냉각기와 다시 연결 설치되는 2차 냉각싸이클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냉각기는 외부쉘을 이루는 냉각탱크의 내부에 제 1냉매배관이 열교환튜브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냉각응축기는 외부쉘을 이루는 응축탱크의 내부에 제 2냉매배관이 열교환튜브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기후드와 전처리필터의 사이에 해당하는 배기관측에는 풍량과 풍압의 조정을 위한 조절댐퍼가 설치되고, 송풍기와 흡착회수기의 사이에 해당하는 배기관측에는 흡착회수기로 유입되는 유해가스의 유입량을 제어하는 비상조절댐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냉각응축기의 상단측에는 미응축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회수를 위한 리턴배관이 설치되고, 상기 리턴배관이 송풍기를 지난 위치에서 배기관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회수 과정 및 냉각응축 과정을 거쳐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용제화시킴으로서, 상기 용제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아니하는 연료로 재활용토록 하는 효과가 있고, 대기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설비 자체가 신재생에너지를 획득하는 설비가 되도록 함으로서, 대기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부가적인 이익이 창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환경오염의 방지와 더불어 경제적 이익이라는 시너지 효과를 얻어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가지는 특성을 백분 활용하여 LPG와 유사한 수준의 매우 높은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신재생에너지를 대기오염물질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착회수와 냉각응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을 나타내는 배관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흡착회수기의 구동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히트펌프장치의 요부발췌 배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배관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도장설비(1)나 건조설비(2)의 배기후드(3)를 거쳐 배출되는 유해가스중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로터형 흡착재(12)를 사용하는 흡착회수기(10) 및 히트펌프장치(20)의 증발기가 되는 냉각응축기(26)에 의하여 용제화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포함된 유해가스의 배기관(5)이 흡착회수기(10)와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배기관(5)에는 유해가스중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전처리필터(6)와, 유해가스의 흡기(풍량과 풍압 등)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댐퍼(8)와, 배기용 송풍기(7)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7)를 지난 위치에는 흡착회수기(10)로의 유해가스 유입량을 2차적으로 조절하는 한편, 흡착회수기(10)의 이상 발생시 흡착회수기(10)로 송풍되는 유해가스를 차단하고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비상조절댐퍼(8a)가 설치된다.
상기 비상조절댐퍼(8a)에는 공기유입관(5)과 연계된 미도시된 바이패스 통로가 구비됨으로서, 센서 등으로부터 흡착회수기(10)의 이상발생신호가 입력되면, 흡착회수기(10)를 통한 유해가스의 송풍량을 제한시키거나, 유해가스의 송풍통로를 공기유입관(5)으로부터 바이패스 통로측으로 전환시켜 유해가스를 외부로 직접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전처리필터(6)는 유해가스 중에 포함된 이물질, 특히 페인트 미스트와 같은 분진이나 먼지 등을 사전에 제거시킴으로서, 통상 제올라이트(Zeolite)가 코팅된 세라믹블럭으로 제조되는 흡착회수기(10)의 로터형 흡착재(12)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송풍기(7)는 흡착회수기(10)의 배출덕트(11b)와 연결되는 배풍기 형태로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송풍기(7)는 흡착회수기(10)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회수율을 유해가스의 송풍량에 맞추어 조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미도시된 가스센서에 의하여 자동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스센서는 배기관(5) 또는 흡착회수기(10)의 유입덕트(11a)나 배출덕트(11b) 등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흡착회수기(10)에서 흡착 및 탈착 처리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배출을 위하여, 배풍기(15a)를 구비하는 가스회수관(15)이 흡착회수기(10)로부터 연장되는 한편, 상기 가스회수관(15)이 히트펌프장치(20)의 증발기를 이루는 냉각응축기(26)와 연결 설치됨으로서, 고온가스 형태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액상의 용제로 응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스회수관(15)에도 배풍기(15a)의 이전 또는 이후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기관(5)에 적용된 것과 같은 방식의 조절댐퍼(8)를 설치함으로서, 냉각응축기(26)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량을 냉매의 응축부하에 맞추어 적절하게 조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흡착회수기(10)는 도 1과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케이싱(40)의 내부에서 회전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로터형 흡착재(12)와, 상기 로터형 흡착재(12)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흡착재 케이스(11)와, 상기 로터형 흡착재(12)를 흡착재 케이스(11)와 함께 장치케이싱(40)의 내부에서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도면상 상기 구동기구로서, 장치케이싱(40)의 내측 바닥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6)와, 상기 구동모터(16)의 출력축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풀리(16a)와, 상기 구동풀리(16a)를 흡착재 케이스(11)의 외주면과 연결시켜 로터형 흡착재(12)를 회전시키는 전동벨트(17)를 대표적인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외에도 체인구동방식이나 기어구동방식과 같은 다양한 구동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은 흡착회수기(10)의 구동원리를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도시한 모식도로서, 제올라이트가 코팅된 세라믹블록 재질의 로터형 흡착재(12)를 회전시켜 유해가스중에 포함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흡착 및 탈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흡착회수기(10)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며, 이러한 흡착회수기(10)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처리에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장치이다.
따라서, 도 2를 기초로 하여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흡착회수기(10)의 세부적인 기술적 구성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흡착회수기(10)의 대표적인 적용례를 제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흡착회수기(10)가 도 2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원리로 작동되는 흡착회수기(10)에 있어, 로터형 흡착재(12)의 양측(도 2에서 전,후방측)에 해당하는 장치케이싱(40)의 내부공간은 파티션(19)에 의하여 부채꼴 형상의 흡착영역(12a)과 탈착영역(12b)과 냉각영역(12c)으로 구획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영역(12a)(12b)(12c)은 도 1에서와 같이 로터형 흡착재(12)를 사이에 두고 동일한 위치에 대응 형성된다.
도면상 흡착영역(12a)이 대부분의 공간을 차지하고, 탈착영역(12b)과 냉각영역(12c)은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구획되는 한편, 배기관(5)과 공기배출관(9)의 관경이 가스회수관(15)의 관경보다 크게 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바, 그 이유는 배기관(5)을 거쳐 유입되는 유해가스중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가 낮더라도, 가스회수관(15)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중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는 용제화에 적합한 수준을 유지토록 함에 있다.
통상, 배기관(5)과 공기배출관(9)의 관경은 1.3m 정도가 되고, 가스회수관(15)의 관경은 35cm 정도가 되며, 외기유입관(14)과 순환배관(13a)의 관경 또한 가스회수관(15)의 관경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치수로 설치되며, 이러한 배관치수 역시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흡착회수기(10)의 처리용량에 맞추어 다양한 배관치수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장치케이싱(40)의 양측 내부공간을 흡착영역(12a)과 탈착영역(12b) 및 냉각영역(12c)으로 구획하는 3개의 파티션(19)은 장치케이싱(40)의 내측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로터형 흡착재(12)와 함께 회전하지 않으며, 각 파티션(19)의 하단측 연결부위 및 장치케이싱(40)의 양측에 조립 설치되는 덮개판(18)의 중앙부에는 로터형 흡착재(12)의 회전축(19a)을 지지하는 축보스(19b) 및 회전지지부(18a)가 각각 제공된다.
상기 흡착회수기(10)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회수를 위하여, 유해가스의 배기관(5)은 흡착영역(12a)의 입구측에 해당하는 장치케이싱(40)의 유입덕트(11a)와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흡착영역(12a)의 출구측에 해당하는 장치케이싱(40) 부분에 정화공기의 배출덕트(11b)가 설치되고, 상기 가스회수관(15)은 탈착영역(12b)의 출구측에 해당하는 장치케이싱(40)의 배기덕트(11f)와 연결 설치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냉각영역(12c)의 입구측에 해당하는 장치케이싱(40)의 흡기덕트(11c)에 필터(14a)를 구비하는 외기유입관(14)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냉각영역(12c)의 출구측에 해당하는 장치케이싱(40)의 공급덕트(11d)와 탈착영역(12b)의 입구측에 해당하는 장치케이싱(40)의 회수덕트(11e)에는 히터(13)를 경유하는 순환배관(13a)이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유입덕트(11a)를 거쳐 유입된 유해가스중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흡착영역(12a)의 내부에서 로터형 흡착재(12)로 흡착 및 회수되는 한편, 이 과정에서 정화처리된 공기는 배출덕트(11b)와 연결된 공기배출관(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로터형 흡착재(12)로 흡착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로터형 흡착재(12)가 회전하여 탈착영역(12b)을 지나는 과정에서, 히터(13)를 거쳐 가열된 외부공기에 의하여 탈착된 다음 가스회수관(15)으로 배출된다.
또한, 탈착영역(12b)을 지나는 과정에서 가열된 로터형 흡착재(12) 부분이 냉각영역(12c)을 지나는 과정에서, 필터(14a)를 구비하는 외기유입관(14)과 흡기덕트(11c)를 거쳐 유입된 외부공기에 의하여 냉각된 다음, 다시 흡착영역(12a)으로 이동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 및 회수작업에 재사용되는 바, 상기 외기유입관(14)은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5)으로부터 분기되어 흡기덕트(11c)와 연결되는 분기관(14')이 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유해가스중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흡착회수기(10)에서 지속적으로 흡착 및 탈착시킬 수 있는 한편, 흡착회수기(10)에서 탈착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배풍기(15a)의 작동에 따라 가스회수관(15)을 거쳐 히트펌프장치(20)의 냉각응축기(26)로 유입됨으로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지속적인 응축 및 용제화작업 또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히트펌프장치(20)는 도 1 및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컴프레셔(21)와, 방열팬(24)이 구비된 방열기(23)와, 냉매증발기로서의 보조냉각기(25)가 제 1냉매배관(20a)으로 연결된 1차 냉각싸이클 및 상기 1차 냉각싸이클의 보조냉각기(25)로부터 연장되는 제 2냉매배관(20b)이 냉각응축기(26)와, 리시버탱크(27)와, 순환펌프(28)를 거쳐 보조냉각기(25)와 다시 연결 설치되는 2차 냉각싸이클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보조냉각기(25)는 외부쉘을 이루는 냉각탱크(25a)의 내부에 제 1냉매배관(20a)이 열교환튜브(25b)를 이루도록 설치된 쉘앤튜브(Shell & Tube)식 열교환기가 되고, 상기 냉각응축기(26) 역시 마찬가지로 외부쉘을 이루는 응축탱크(26a)의 내부에 제 2냉매배관(20b)이 열교환튜브(26b)를 이루도록 설치된 쉘앤튜브(Shell & Tube)식 열교환기가 된다.
또한, 상기 컴프레셔(21)의 토출측에 해당하는 제 1냉매배관(20a)에는 압력게이지(P.G)와 컨트롤밸브(22)가 설치됨으로서, 방열기(23)와 보조냉각기(25)를 통한 냉매의 공급압력과 유량 및 이를 기초로 하는 보조냉각기(25)에서의 1차 응축부하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 2냉매배관(20b)에 설치되는 컨트롤밸브(29)는 리시버탱크(27)에 저장된 냉매가 순환펌프(28)에 의하여 보조냉각기(25)로 공급되는 유량 및 이를 기초로 하는 냉각응축기(26)에서의 최종 응축부하를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외에도, 컴프레셔(21)측의 진동감쇄기와 드라이필터(컴프레셔로부터 토출된 냉매가스중의 이물질 제거), 수액기(방열기를 거친 응축냉매의 저장), 모세관이나 팽창밸브(냉각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과 압력조절), 어큐뮬레이터(냉각기를 거쳐 컴프레셔로 공급되는 냉매의 유량과 압력조절)와 같이 냉각(냉동)싸이클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다른 여러 가지의 보조수단이 히트펌프장치(20)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와 같이 1차 냉각싸이클과 2차 냉각싸이클로 히트펌프장치(20)를 구성하는 이유는, 냉각응축기(26)의 내부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응축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히트펌프장치(20)의 구동원이 되는 컴프레셔(21)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히트펌프장치(20)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킴과 동시에, 냉각응축기(26)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응축에 사용되는 냉매를 가장 적합한 종류의 것으로 용이하게 적용시키도록 함에 있다.
다시 말해서, 통상의 냉각싸이클과 같이 컴프레셔(21)와 방열기(23)와 냉각응축기(26)와 팽창밸브 또는 모세관이 포함된 단일 냉매싸이클을 구성하여, 냉각응축기(26)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응축작업을 수행토록 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냉각응축기(26)에서의 응축부하가 컴프레셔(21)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컴프레셔(21)의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할 확률이 높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냉각(냉동)싸이클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냉매인 프레온가스 등을 이용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응축작업을 수행토록 할 수도 있으나, 냉각응축기(26)의 내부에서 냉매액이나 냉매가스가 누설될 경우,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냉매와의 화학반응으로 인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가지는 연료기능이 저하될 우려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프레셔(21)와 방열기(23)와 보조냉각기(25)를 제 1냉매배관(20a)으로 연결하여 1차 냉각싸이클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2차 냉각싸이클의 냉각응축기(26)로부터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응축시키고 가열된 상태로 배출되는 냉매를, 순환펌프(28)에 의하여 1차 냉각싸이클의 보조냉각기(25)로 보내어 냉각시키도록 하면, 냉각응축기(26)에서의 응축부하가 컴프레셔(21)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조냉각기(25)가 컴프레셔(21)에 가해지는 응축부하의 완충기능을 수행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히트펌프장치(20)의 가동이 가능함은 물론, 제 1냉매배관(20a)에는 냉각(냉동)싸이클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냉매를 적용시키고, 제 2냉매배관(20b)에는 열교환 성능이 우수하며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열매체를 적용시키는 2원 냉각방식에 의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응축과정에서 얻어진 용제의 연료가치 또한 충분하게 확보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히트펌프장치(20)를 이용하여 흡착회수기(10)로부터 배출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응축 및 용제화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응축기(26)의 하단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응축과정에서 발생한 용제를 회수하는 용제회수관(36)이 연결 설치되고, 냉각응축기(26)의 상단측에는 미응축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배기관(5)으로 재공급하는 리턴배관(5a)이 설치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용제회수관(36)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용제를 저장하는 저장탱크(30)와 연결 설치되는 바, 상기 저장탱크(30)는 비중차를 이용한 용제와 수분의 분리 및 용제의 순도별 추출이 가능한 정제탱크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저장탱크(30)에는 용제회수관(36)과 연결되는 유입포트(31)와, 수분의 분리를 위한 배수포트(32) 및 용제의 회수를 위한 회수포트(33)(3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수포트(32)는 저장탱크(30)의 최하단부에 설치되어 바닥부로 침강되는 수분을 배수관(32a)으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회수포트(33)(34)는 저장탱크(30) 내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비중차에 의하여 서로 다른 순도로 분리 저장되는 용제를 회수관(33a)(34a)으로 회수토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도면상 제 1회수포트(33)와 제 2회수포트(34)로 이루어지는 2개의 포트가 적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저장탱크(30)의 크기와 저장용량에 맞추어 회수포트의 개수는 3개 이상이 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배수관(32a) 및 회수관(33a)(34a)에는 해당 배관의 개폐작동을 위한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냉각응축기(26)에서 얻어낸 용제를 정제탱크가 되는 저장탱크(30)에 저장시킬 수도 있고, 보다 신속한 연료사용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밸브를 구비하는 용제회수관(36)을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용제회수관(36)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제를 저장드럼(35)에 저장시킨 다음, 상기 저장드럼(35)을 차량 등에 적재하여 요구하는 장소로 운반시킬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화시스템(100)으로서, 상기 흡착회수기(10)를 다수 개로 설치하되, 유해가스의 배기관(5) 및 가스회수관(15)이 각각의 흡착회수기(10)와 병렬식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한편, 각각의 흡착회수기(10)로부터 가스회수관(15)으로 통합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냉각응축기(26)로 공급시키도록 한 것이며, 그 이외의 나머지 기술적 구성은 위에서 설명되어진 것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흡착회수기(10)를 다수 개로 설치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흡착회수에 사용하게 되면, 하나의 대형 흡착회수기(10)를 사용하는 것보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회수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하나의 흡착회수기(10)가 고장이 나더라도 다른 나머지의 흡착회수기(10)를 사용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용제화 처리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연료화시스템(100)에 의하면, 대기오염물질로서 소각 처리하였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흡착회수기(10)에서 회수하여 냉각응축기(26)에서 용제화시킴으로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아니하는 용제형 연료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해당 산업현장 뿐만 아니라 주택지의 주거난방시설(37)이나 농어촌보일러(38) 또는 각종 설비의 산업용보일러(39)에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용제를 연소용 연료로서 직접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연료화시스템(100) 자체가 대기오염물질의 처리와 동시에 신재생에너지를 획득하는 설비가 되므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부가적인 이익, 즉 연료로서의 재활용이 가능한 용제의 판매나 대여 등을 통한 이익이 창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환경오염의 방지와 더불어 경제적 이익이라는 시너지 효과를 얻어낼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되어진 전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최적 실시예만이 상세하게 설명되어진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예시된 구조를 기초로 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사항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 기술적 내용을 기초로 평가되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연료화시스템(100)을 이루는 각종 배관중에서 필요한 위치에 유량센서나 온도센서 또는 압력센서나 가스센서 등의 필요한 센서를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화시스템(100)이 최적의 조건에서 가동되도록 하는 자동제어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센서를 이용한 자동제어방식 자체는 각종 시스템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그 종류 또한 매우 다양하므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아니하였음을 밝혀두는 바이며, 냉각응축기(26)를 사용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용제를 얻어내는 방식 또한 도면에 도시된 히트펌프장치(20)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냉각(냉동)싸이클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흡착회수기(10)는 각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종류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로터형 흡착재(12)의 소재로서 제올라이트가 코팅된 세라믹블럭 역시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서,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활성탄 등의 흡착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료화시스템(100)을 넓은 공간에 걸쳐 배관설비 형식으로 시설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연료화시스템(100)을 콤펙트하게 구성하여 별도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연료화시스템(100) 자체의 분리와 운반 및 재장착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1 : 도장설비 2 : 건조설비 3 : 배기후드
4 : 버너 5 : 배기관 5a : 리턴배관
6 : 전처리필터 7 : 송풍기 8 : 조절댐퍼
8a : 비상조절댐퍼 9 : 공기배출관 10 : 흡착회수기
11 : 흡착재 케이스 11a : 유입덕트 11b : 배출덕트
11c : 흡기덕트 11d : 공급덕트 11e : 회수덕트
11f : 배기덕트 12 : 로터형 흡착재 12a : 흡착영역
12b : 탈착영역 12c : 냉각영역 13 : 히터
13a : 순환배관 14 : 외기유입관 14' : 분기관
14a : 필터 15 : 가스회수관 15a : 배풍기
16 : 구동모터 16a : 구동풀리 16b : 모터브라켓
17 : 전동벨트 18 : 덮개판 18a : 회전지지부
19 : 파티션 19a : 회전축 19b : 축보스
20 : 히트펌프장치 20a : 제 1냉매배관 20b : 제 2냉매배관
21 : 컴프레셔 22,29 : 컨트롤밸브 23 : 방열기
24 : 방열팬 25 : 보조냉각기 25a : 냉각탱크
25b,26b : 열교환튜브 26 : 냉각응축기 26a : 응축탱크
27 : 리시버탱크 28 : 순환펌프 30 : 저장탱크
31 : 유입포트 32 : 배수포트 32a : 배수관
33 : 제 1회수포트 33a,34a : 회수관 34 : 제 2회수포트
35 : 저장드럼 36 : 용제회수관 37 : 주거난방시설
38 : 농어촌보일러 39 : 산업용보일러 40 : 장치케이싱
100 : 연료화시스템 P.G : 압력게이지

Claims (5)

  1.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포함된 유해가스의 배기관(5)이 흡착회수기(10)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배기관(5)에는 유해가스중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전처리필터(6)와 배기용 송풍기(7)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흡착회수기(10)에서 탈착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배출을 위하여 배풍기(15a)를 구비하는 가스회수관(15)이 흡착회수기(1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가스회수관(15)이 히트펌프장치(20)의 증발기를 이루는 냉각응축기(26)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흡착회수기(10)는, 케이싱(11)과, 상기 케이싱(11)의 내부에 삽입되는 로터형 흡착재(12)와, 상기 로터형 흡착재(12)를 케이싱(11)의 내부에서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로터형 흡착재(12)의 양측에 해당하는 케이싱(11)의 내부공간은 파티션(19)에 의하여 부채꼴 형상의 흡착영역(12a)과 탈착영역(12b)과 냉각영역(12c)으로 구획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영역(12a)(12b)(12c)은 로터형 흡착재(12)를 사이에 두고 동일한 위치에 대응 형성되며,
    상기 배기관(5)은 흡착영역(12a)의 입구측에 해당하는 케이싱(11)의 유입덕트(11a)와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흡착영역(12a)의 출구측에 해당하는 케이싱(11) 부분에 정화공기의 배출덕트(11b)가 설치되고, 상기 가스회수관(15)은 탈착영역(12b)의 출구측에 해당하는 케이싱(11)의 배기덕트(11f)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냉각영역(12c)의 입구측에 해당하는 케이싱(11)의 흡기덕트(11c)에는 필터(14a)를 구비하는 외기유입관(14)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냉각영역(12c)의 출구측에 해당하는 케이싱(11)의 공급덕트(11d)와 탈착영역(12b)의 입구측에 해당하는 케이싱(11)의 회수덕트(11e)에는 히터(13)를 경유하는 순환배관(13a)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냉각응축기(26)의 하단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응축과정에서 발생한 용제를 연료로서 회수하는 용제회수관(36)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회수와 냉각응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회수관(36)은 저장탱크(30)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저장탱크(30)는 비중차를 이용한 용제와 수분의 분리 및 용제의 순도별 추출이 가능한 정제탱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회수와 냉각응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펌프장치(20)는, 컴프레셔(21)와, 방열팬(24)이 구비된 방열기(23)와, 냉매증발기로서의 보조냉각기(25)가 제 1냉매배관(20a)으로 연결된 1차 냉각싸이클 및 상기 1차 냉각싸이클의 보조냉각기(25)로부터 연장되는 제 2냉매배관(20b)이 냉각응축기(26)와, 리시버탱크(27)와, 순환펌프(28)를 거쳐 보조냉각기(25)와 다시 연결 설치되는 2차 냉각싸이클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냉각기(25)는 외부쉘을 이루는 냉각탱크(25a)의 내부에 제 1냉매배관(20a)이 열교환튜브(25b)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냉각응축기(26)는 외부쉘을 이루는 응축탱크(26a)의 내부에 제 2냉매배관(20b)이 열교환튜브(26b)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회수와 냉각응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후드(3)와 전처리필터(6)의 사이에 해당하는 배기관(5)측에는 풍량과 풍압의 조정을 위한 조절댐퍼(8)가 설치되고, 송풍기(7)와 흡착회수기(10)의 사이에 해당하는 배기관(5)측에는 흡착회수기(10)로 유입되는 유해가스의 유입량을 제어하는 비상조절댐퍼(8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회수와 냉각응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응축기(26)의 상단측에는 미응축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회수를 위한 리턴배관(5a)이 설치되고, 상기 리턴배관(5a)은 송풍기(7)를 지난 위치에서 배기관(5)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회수와 냉각응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
KR1020110079008A 2011-08-09 2011-08-09 흡착회수와 냉각응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 KR20130016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008A KR20130016847A (ko) 2011-08-09 2011-08-09 흡착회수와 냉각응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008A KR20130016847A (ko) 2011-08-09 2011-08-09 흡착회수와 냉각응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847A true KR20130016847A (ko) 2013-02-19

Family

ID=47896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008A KR20130016847A (ko) 2011-08-09 2011-08-09 흡착회수와 냉각응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68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66619A (zh) * 2013-10-29 2014-02-12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多组分混合有机气体回收方法
CN105126456A (zh) * 2015-07-15 2015-12-09 南通星辰合成材料有限公司 治理含有甲苯类挥发性有机化合物废气的方法
KR20160109455A (ko) * 2015-03-11 2016-09-21 금남비앤이 주식회사 휘발성유기화합물 소각로 겸용 열매체 보일러
CN106693582A (zh) * 2017-01-05 2017-05-24 南京大学 粕类蒸脱尾气中有机溶剂分离回收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66619A (zh) * 2013-10-29 2014-02-12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多组分混合有机气体回收方法
KR20160109455A (ko) * 2015-03-11 2016-09-21 금남비앤이 주식회사 휘발성유기화합물 소각로 겸용 열매체 보일러
CN105126456A (zh) * 2015-07-15 2015-12-09 南通星辰合成材料有限公司 治理含有甲苯类挥发性有机化合物废气的方法
CN106693582A (zh) * 2017-01-05 2017-05-24 南京大学 粕类蒸脱尾气中有机溶剂分离回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1053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летучего орган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KR101719540B1 (ko) 촉매 산화 설비 및 에너지 재활용 수단을 구비한 실내 농축 연소 시스템
KR101692830B1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 시스템
KR100784409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축 촉매 연소 시스템 및 방법
JP2012115721A (ja) 排ガス処理装置
KR100690441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축 촉매 연소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농축 뱅크
KR20130016847A (ko) 흡착회수와 냉각응축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
KR101837060B1 (ko) 실내농축연소기
CN206660779U (zh) 一种废气治理系统
CN210645752U (zh) 沸石转轮吸附器
KR101209257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착재를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식 축열연소장치
KR20020011041A (ko)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함유 폐수, 폐 흡수액, 폐흡수유, 폐 유기용제 등의 재생 및 분리 회수 방법 및 장치
KR101435587B1 (ko) 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악취 동시처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KR20180000409A (ko) 유기화합물의 연료화시스템
KR20070004398A (ko) 냉동기를 갖는 정화장치
KR20020010384A (ko) 흡착제의 연속 진공 가온 재생 및 흡착물질의 분리 회수방법 및 장치
KR101359569B1 (ko) Voc 응축 모듈
KR20190122391A (ko) 도장공장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 시스템
JP2004036523A (ja) 排気処理装置
JP2010051932A (ja) 排気リサイクルシステム
JP4818240B2 (ja) 揮発性有機化合物回収用カートリッジの脱着方法
KR100694822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회수방법 및 장치
KR100761982B1 (ko) 공기 청정 시스템
KR20020006646A (ko) 1탑형 흡착·탈착 방식 흡착탑
KR200259453Y1 (ko) 순환 및 유량 변화형 촉매연소식 탈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