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108U -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 - Google Patents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108U
KR20130007108U KR2020120004646U KR20120004646U KR20130007108U KR 20130007108 U KR20130007108 U KR 20130007108U KR 2020120004646 U KR2020120004646 U KR 2020120004646U KR 20120004646 U KR20120004646 U KR 20120004646U KR 20130007108 U KR20130007108 U KR 201300071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guide rail
pillar
slide block
service lif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펭-티엔 첸
Original Assignee
펭-티엔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펭-티엔 첸 filed Critical 펭-티엔 첸
Priority to KR2020120004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108U/ko
Publication of KR201300071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108U/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3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 F16C29/0635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 F16C29/065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provided as bores in a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e.g.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is a single part with end caps provided at each end with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02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 F16C29/0611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the return passages, i.e. the passages where the rolling elements do not carry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이며, 가이드 레일, 슬라이드 블록, 및 복수의 롤링 기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드 블록 사이에 복수의 롤링 기둥 수용 구멍이 마련되고, 각 롤링 기둥 수용구멍은 모두 2개의 V형 홈이 공동으로 구성하며, 각 V형 홈은 2개의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롤링 기둥 유닛의 롤링 기둥은 그 중 하나의 경사면에 대해서 롤링 선접촉하고, 경사면이 마손된 후, 롤링 기둥이 다른 하나의 마손되지 않은 경사면을 선택하여 롤링 선접촉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 수명을 배증하는 효과를 달성하며, 또한 상기 롤링 기둥의 양측단 거리 중간선에 각각 길이가 다른 제1, 제2 단면이 마련되고, 다른 단면을 선택하여 롤링 기둥 수용 구멍 내에 끼움으로써 롤링 기둥과 V형 홈 내벽의 접촉선 위치에 변동 이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선형 슬라이드 레일의 사용 수명을 배증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LINEAR SLIDE RAIL HAVING THE EXTENDABLE LIFE CYCLE}
본 고안은 일종의 선형 슬라이드 레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종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지의 일종의 선형 슬라이드 레일(20)은 가이드 레일(21), 슬라이드 블록(22) 및 복수의 롤링 구슬(23)을 갖는다. 상기 슬라이드 블록(22)의 하방에는 가이드 레일(21)을 끼워 맞추기 위한 오목 홈(221)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21)의 상면 및 양측 변에 각각 복수의 롤링 홈(221)이 마련되고, 슬라이드 블록(22)의 내부의, 각 롤링 홈(221)에 대응하여 인접하는 위치에 순환 구멍(222)이 오목하게 마련되고, 복수의 롤링 구슬(23)이 롤링 홈(221) 내에 끼워지고, 대응하는 순환 구멍(222) 내에 진입하여 순환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블록(22)이 상기 가이드 레일(21)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한다.
이러한 선형 슬라이드 레일(20)의 장점은 가이드 레일(21)의 상면 부분에 비즈(23)가 장착되어 지지 부품이 되어 효과적으로 슬라이드 블록(22)의 상방으로부터의 압력을 받아들이는 것이며, 단점은 롤링 구슬(23)이 점접촉을 형성하는 관계로 롤링 구슬(23)과 롤링 홈(221)의 접촉면이 힘을 받아 마찰되어 쉽게 손상되어 사용 수명이 길지 않다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 나타내는 다른 하나의 주지의 선형 슬라이드 레일(30)은 가이드 레일(31), 슬라이드 블록(32) 및 복수의 롤링 기둥(33)을 갖는다. 슬라이드 블록(32)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31) 상에 마련되어 선형 이동 가능하고, 슬라이드 블록(32)의 양측 변 부분의 각각에 2개의 롤링 홈(321)이 마련되며, 슬라이드 블록(32) 내부의 2개의 롤링 홈(321)에 대응하는 측변 부분에 2개의 순환 구멍(322)이 오목하게 마련되고, 롤링 기둥(33)이 롤링 홈(321)에 수용된 후, 대응하는 순환 구멍(322) 내에 진입하여 순환을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드 블록(32)을 순조롭게 이동시키는 효과를 달성한다.
이러한 선형 슬라이드 레일(30)의 장점은 롤링 기둥(33)이 롤링 부품이 되어 롤링 기둥(33)과 롤링 홈(321)의 사이가 선접촉을 하며, 롤링 기둥(33)의 적재 능력이 롤링 구슬보다 강하고 효과적으로 기계의 큰 중량을 받을 수 있어 사용 수명도 비교적 길다는 것이다.
다만, 그 사용상에 있어서 여전히 불충분한 점이 있으며, 그것은 일반적으로 선형 슬라이드 레일(30)은 장시간의 사용 후, 또는 기계에 충돌이나 그 밖의 큰 힘의 충격 사고가 발생하면 롤링 기둥(33)과 롤링 홈(321)의 접촉선이 마찰되어 손상되고, 일단 롤링 홈(321)에 마손(摩損) 현상이 발생하면 전체적인 기계의 정밀도에 심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사용자는 전체적인 선형 슬라이드 레일(30)을 떼어내고 교환하여 다시 정밀도를 교정해야 하며, 상당한 시간과 비용을 소모하게 된다. 또한 심한 경우에는 기계 전부를 폐기해야 된다. 이 때문에 어떻게 선형 슬라이드 레일(30)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지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업자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남아 있다.
이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롤링 기둥의 접촉선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 수명의 연장을 달성하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은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을 제공하고, 이는 제1 태양에서 가이드 레일, 슬라이드 블록, 및 복수의 롤링 기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 상부에 외측 작용변이 마련되고, 상기 외측 작용변 상에 복수의 V형 홈이 마련되고, 각 V형 홈은 모두 좌측 경사면과 우측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 작용변과 대향하는 내측 작용변이 오목하게 마련되고, 상기 내측 작용변에 복수의 V형 홈이 오목하게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V형 홈은 서로 대응하면서 공동으로 복수의 롤링 기둥 수용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 내부의 각 롤링 기둥 수용 구멍의 양측 경사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제1 순환 구멍과 제2 순환 구멍이 오목하게 마련된다. 복수의 상기 롤링 기둥 유닛은 상술한 롤링 기둥 수용 구멍 내에 수용되고, 각 상기 롤링 기둥 유닛은 복수의 원주형 롤링 기둥을 포함하고, 각 상기 롤링 기둥의 외주는 선택적으로 V형 홈의 그 중 하나의 경사면과 롤링 선 접촉하고, 이 롤링 기둥들은 V형 홈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 1 또는 제2 순환 구멍 내에 끼워진다.
본 고안은 제1 태양에서 상기 롤링 기둥 수용 구멍은 2개의 V형 홈이 공동으로 구성하고, 각 상기 V형 홈이 모두 2개의 경사면을 가지며, 롤링 기둥 유닛의 롤링 기둥을 그 중 하나의 경사면과 롤링 선접촉시키고, 롤링 기둥은 사용 중인 경사면이 마손된 후에 다른 하나의 마손되지 않은 경사면을 선택하여 롤링 선접촉할 수 있고, 이로써 슬라이드 레일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을 제공하고, 이는 제2 태양에서 가이드 레일, 슬라이드 블록 및 복수의 롤링 기둥 유닛으로 구성된다. 그 중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 상부에 외측 작용변이 마련되고, 상기 외측 작용변 상에 복수의 V형 홈이 오목하게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 작용변과 대향하는 내측 작용변이 오목하게 마련되고, 상기 내측 작용변에 복수의 V형 홈이 오목하게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V형 홈은 서로 대응하면서 공동으로 복수의 롤링 기둥 수용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롤링 기둥 유닛이 각각 상술한 롤링 기둥 수용 구멍 내에 수용되며, 각 롤링 기둥 유닛은 복수의 원주형 롤링 기둥을 포함하고, 각 상기 롤링 기둥의 외주는 V형 홈과 롤링 선접촉하여 하나의 접촉선을 형성하며, 각 롤링 기둥의 중앙에 중간선이 정의되고, 롤링 기둥의 양단 부분에 제1 단면과 제2 단면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단면과 제2 단면이 마련되며, 상기 제 1 단면의 중간선이 대향하는 중간선의 거리는 상기 제 2 단면이 대향하는 중간선의 거리보다 길고, 상기 롤링 기둥은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단면 또는 상기 제 2 단면을 통해 상기 롤링 기둥 수용 구멍 내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롤링 기둥과 V형 홈의 접촉선 위치에 변동을 발생시킨다.
본 고안은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을 제공하고, 이는 제2 태양에서 상기 롤링 기둥의 양단 부분에 한쪽이 길고 한쪽이 짧은 제1 단면과 제2 단면이 마련되고, 롤링 기둥에 상기 제 1 단면 또는 제2 단면을 선택시켜 롤링 기둥 수용 구멍 내에 진입시키고, 롤링 기둥과 V형 홈 내벽의 접촉선 위치에 변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선형 슬라이드 레일의 사용 수명을 배가시킨다.
본 고안은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을 제공하고, 이는 가이드 레일, 슬라이드 블록, 및 복수의 롤링 기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드 블록의 사이에 복수의 롤링 기둥 수용 구멍이 마련되며, 각 롤링 기둥 수용 구멍은 모두 2개의 V형 홈이 공동으로 구성하고, 각 V형 홈은 2개의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롤링 기둥 유닛의 롤링 기둥은 그 중 하나의 경사면에 대해서 롤링 선접촉하고, 경사면이 마손된 후, 롤링 기둥이 다른 하나의 마손되지 않은 경사면을 선택하여 롤링 선접촉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 수명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롤링 기둥의 양측단 거리 중간선에 각각 길이가 다른 제1, 제2 단면이 마련되고, 다른 단면을 선택하여 롤링 기둥 수용 구멍 내에 끼워 넣음으로써 롤링 기둥과 V형 홈 내벽의 접촉선 위치에 변동 이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선형 슬라이드 레일의 사용 수명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주지의 선형 슬라이드 레일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주지의 선형 슬라이드 레일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의 제1 실시예의 조립 단면도이며, 본 고안이 가이드 레일, 슬라이드 블록 및 복수의 롤링 기둥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확대 표시도이며,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드 블록의 사이에 롤링 기둥을 수용하는 롤링 기둥 수용 구멍이 마련되고, 롤링 기둥 수용 구멍의 양측 경사각 부분에 제1 순환 구멍과 제2 순환 구멍이 마련되며, 롤링 기둥이 롤링 기둥 수용 구멍과 제1 순환 구멍 내에 수용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도 5는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상기 롤링 기둥 유닛의 롤링 기둥이 동일한 길이의 2개의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 동작도이며, 상기 롤링 기둥이 롤링 기둥 수용 구멍 및 제2 순환 구멍 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확대 표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본 고안이 다른 롤링 기둥 구조를 사용하고, 상기 롤링 기둥의 양단 부분에 길이가 다른 제1 단면과 제2 단면이 마련된 것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 동작도이며, 상기 롤링 기둥의 제1 단면이 하부의 롤링 기둥 수용 구멍 내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 동작도이며, 상기 롤링 기둥의 제2 단면이 하부의 롤링 기둥 수용 구멍 내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 동작도이며, 상기 롤링 기둥이 제1 단면을 통해 상방의 롤링 기둥 수용 구멍 내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 동작도이며, 상기 롤링 기둥이 제2 단면을 통해 상방의 롤링 기둥 수용 구멍 내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기술 내용, 구조 특징, 달성하는 목적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도면을 조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은 그 제1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40), 슬라이드 블록(50) 및 4쌍의 롤링 기둥 유닛(60)을 포함한다. 이어서, 상술한 구성 요건의 형상 및 공간 조합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단면이 직사각형을 나타내는 장척(長尺) 형상 궤도이고, 그 상부에 외측 작용변이 마련되고, 상기 외측 작용변은 상면(41) 및, 상기 상면(41)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2개의 측변면(42)을 포함한다. 상기 상면(41)의 좌우의 2개소에 2개의 V형 홈(43)이 오목하게 마련되고, 2개의 V형 홈(43)에 각각 롤링 기둥 유닛(60)이 장착된다.
각 V형 홈(43)은 좌측 경사면(431)과 우측 경사면(432)으로 구성되고, 좌측 경사면(431)과 우측 경사면(432) 사이에 협각(θ)이 형성된다. 상기 협각(θ)의 각도는 90도보다 크며, 90도보다 크게 하는 이유는 롤링 기둥 유닛(60)의 롤링 기둥(61)이 V형 홈(43)의 그 중 하나의 경사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롤링 기둥(61)의 양 단면이 다른 하나의 경사면과 마찰 접촉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 다른 경사면의 정밀도의 완전성을 유지하는 것에 있다. 그 밖에 상기 가이드 레일(40)은 2개의 측변면(42) 상에 2개의 V형 홈(44)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블록(50)의 하부에 가이드 레일(40)의 외측 작용변과 대향하는 내측 작용변이 마련되고, 상기 내측 작용변은 내측 상면(51)과 2개의 측변 벽면(52)을 포함한다. 내측 상면(51)과 가이드 레일(40)의 상면(41)은 대향하는 형상을 나타내며, 2개의 측변 벽면(52)과 가이드 레일(40)의 측변면(42)이 대향하는 형상을 나타낸다. 내측 상면(51)의 좌우 2개소에 오목하게 마련된 V형 홈(53), 슬라이드 블록(50)과 가이드 레일(40)의 V형 홈(53, 43)은 서로 상하로 대응하면서 공동으로 2개의 롤링 기둥 수용 구멍(502)을 형성한다.
슬라이드 블록(50) 내부의 각 롤링 기둥 수용 구멍(502)의 좌우 양측의 경사각 부분에는 각각 제1 순환 구멍(54)과 제2 순환 구멍(55)이 마련되어 있다. 이 외에 2개의 측변 벽면(52)에 2개의 V형 홈(56)이 오목하게 마련되고, 슬라이드 블록(50)과 가이드 레일(40)의 V형 홈(56, 44)이 서로 대응하면서 공동으로 2개의 롤링 기둥 수용 구멍(503)을 정의하고, 슬라이드 블록(50) 내부의 상기 롤링 기둥 수용 구멍(503)에 대응하는 측변 경사각 부분에 순환 구멍(57)이 오목하게 마련된다.
4쌍의 롤링 기둥 유닛(60)은 상술한 롤링 기둥 수용 구멍(502, 503) 내에 장착되고, 각 1쌍의 롤링 기둥 유닛(60)은 복수의 원주형 롤링 기둥(61)이 직렬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 중에서 상기 롤링 기둥(61)은 원주체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에 원호형으로 돌출된 형상의 원호면(611)이 있으며, 각 롤링 기둥(61)의 중앙에 중간선(M)이 정의되고, 롤링 기둥(61)의 양단에 중간선(M)으로부터 동일한 길이(L)로 이격된 2개의 단면(612)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롤링 기둥(61)의 원호면(611)은 선택적으로 V형 홈(43)의 좌측 경사면(431)과 롤링 선접촉하고, 롤링 기둥(61)의 단면(612)과 우측 경사면(432)은 접촉하지 않으면서 간격(I)을 유지하고, 또한 롤링 기둥(61)의 좌향 또는 우향의 경사 각도의 차이에 의해 선택적으로 롤링 기둥(61)이 제1 순환 구멍(54) 또는 제2 순환 구멍(55) 내에 진입하여 순환을 형성한다.
이상은 본 고안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의 형상의 개요이다. 이어서 본 고안의 사용 동작 및 달성하는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먼저, 롤링 기둥(61)의 원호면(611)이 선택적으로 가이드 레일(40)의 V형 홈(43)의 그 중 하나의 경사면과 롤링 선접촉하고, V형 홈(43)의 다른 하나의 경사면을 아이들(idle) 상태로 이룬다. 또한 롤링 기둥(61)의 원호면(611)의 좌향 경사 또는 우향 경사 상태에 의해 대응하는 제1 순환 구멍(54) 또는 제2 순환 구멍(55) 내에 진입한다. 이렇게 하여 롤링 기둥 유닛(60)의 모든 롤링 기둥(61)이 순조롭게 롤링 기둥 수용 구멍(502) 내에서 롤링 순환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롤링 기둥(61)이 접촉하는 가이드 레일(40)의 V형 홈(43)의 경사면에 마손이 발생하면 롤링 기둥 유닛(60)의 모든 롤링 기둥(61)은 모두 교환되고, 교환 후의 롤링 기둥(61)은 더 이상 원래의 경사면과 접촉하지 않고, V형 홈(43)의 다른 하나의 마손되지 않은 경사면과 롤링 선접촉하며, 롤링 기둥(61)은 선택적으로 대응하는 제1 순환 구멍(54) 또는 제2 순환 구멍(55)에 삽입된다. 이로써 롤링 기둥 유닛(60)은 V형 홈(43) 상에서 완전히 새로운 접촉선으로 롤링되며, 이로써 사용 수명을 2배로 연장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본 고안은 또 다른 일종의 교환수단을 갖는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선형 슬라이드 레일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레일(40), 슬라이드 블록(50) 및 복수의 롤링 기둥 유닛(7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40)의 측변면(42) 및 상기 슬라이드 블록(50)의 측변 벽면(52)에는 2개의 V형 홈(44, 56)이 오목하게 마련되고, 2개의 V형 홈(44, 56)은 서로 대응하면서 공동으로 2개의 롤링 기둥 수용 구멍(503)을 정의하며, 롤링 기둥 유닛(70)의 롤링 기둥(71)이 수용된다.
본 실시예의 가장 특별한 점은 상기 롤링 기둥 유닛(70)이 사용하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다른 롤링 기둥(71) 구조라는 점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롤링 기둥(71)도 원주체 구조이며, 그 외주에 원호 형상으로 돌출되는 원호면(711)을 구비하고, 각 롤링 기둥(71)의 중앙에 중간선(M)이 정의되며, 롤링 기둥(71)의 양단 부분에 제1 단면(712)과 제2 단면(713)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단면(712)의 중간선(M)으로부터의 거리가 L1가 되고, 상기 제 2 단면(713)의 중간선(M)으로부터의 거리가 L2가 되며, L1는 L2보다 길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각 롤링 기둥(71)의 외주 원호면(711)과 V형 홈(44, 56)의 내벽이 접촉하여 접촉선(P1)(P2)를 형성한다. 사용자는 롤링 기둥(71)에 선택적으로 제1 단면(712) 또는 제2 단면(713)을 통해 롤링 기둥 수용 구멍(503) 내에 끼워 넣을 수 있으며, 이로써 롤링 기둥(71)에 V형 홈(44, 56)의 내벽에서의 접촉선(P1)(P2)의 위치를 변동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최초의 사용 상황에서 롤링 기둥 유닛(70)의 롤링 기둥(71)은 선택적으로 제1 단면(712)을 기준으로 롤링 기둥 수용 구멍(503) 내에 끼워진다. 이 때, 롤링 기둥(71)의 외주의 원호면(711)은 V형 홈(44, 56)의 내벽과의 사이에 접촉선(P1)을 발생시키고, 또한 롤링 기둥(71)이 순환 구멍(57) 내에 진입함으로써 롤링 기둥 유닛(70)의 모든 롤링 기둥(71)이 순조롭게 롤링 기둥 수용 구멍(503) 내에서 순환하여 구른다.
도 11을 참조하면, 선형 슬라이드 레일을 어느 기간 사용하여 롤링 기둥(71)과 가이드 레일(40), 슬라이드 블록(50)의 V형 홈(44, 56)의 내벽의 원래의 접촉선(P1)에 마손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롤링 기둥 유닛(70)의 모든 롤링 기둥(71)을 교환하고, 교환 후의 롤링 기둥(71)의 원호면(711)에 V형 홈(44, 56)의 내벽과 별도의 새로운 접촉선(P2)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롤링 기둥 유닛(70)의 모든 롤링 기둥(71)은 새로운 접촉선(P2)의 위치에서 구르게 되고, 이로써 마찬가지로 선형 슬라이드 레일의 사용 수명을 2배로 연장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2가지 기술 수단을 병합하여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로 할 수 있으며, 이는 제1,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레일(40), 슬라이드 블록(50) 및 복수의 롤링 기둥 유닛(7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40)과 슬라이드 블록(50)의 사이에는 복수의 롤링 기둥 수용 구멍(502)이 마련되고, 슬라이드 블록(50) 내부의, 롤링 기둥 수용 구멍(502)에 대응하는 좌우 양측 경사각 부분에 제1 순환 구멍(54)과 제2 순환 구멍(55)이 마련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링 기둥 유닛(70)이 사용하는 롤링 기둥(71)의 양단에는 한쪽이 길고 한쪽이 짧은 제1 단면(712) 및 제2 단면(713)이 마련되고, 이로써 본 실시예는 제1 순환 구멍(54), 제2 순환 구멍(55)의 설치를 이용하여 롤링 기둥(71)에 선택적으로 V형 홈(43)의 그 중 하나의 경사면과 롤링 선접촉시켜 선형 슬라이드 레일에 수명을 2배로 연장하는 효과를 달성시킨다. 이어서, 다시 상기 롤링 기둥(71)을 선택적으로 제1 단면(712) 또는 제2 단면(713)을 통해 다를 방향으로 롤링 기둥 수용 구멍(502) 내에 삽입함으로써 롤링 기둥(71)과 V형 홈(43) 내벽의 접촉선 P1(P2) 위치를 변경하고, 이로써 선형 슬라이드 레일의 사용 수명을 더욱 연장할 수 있다.
종합하면, 본원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은 주지의 선형 슬라이드 레일의 사용 수명이 비교적 짧다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 수단으로서, 가이드 레일(40)과 슬라이드 블록(50)의 사이에 롤링 기둥 수용 구멍(502, 503)을 마련하고, 슬라이드 블록(50) 내부의 각 롤링 기둥 수용 구멍(502)에 대응하는 좌우 양측 부분에 제1 순환 구멍(54)과 제2 순환 구멍(55)을 마련하며, 롤링 기둥 유닛(60)의 롤링 기둥(61)에 선택적으로 롤링 기둥 수용 구멍(502)의 그 중 하나의 경사면과 롤링 선접촉시켜 순환하여 구르게 하고, 사용 중인 경사면에 마손 현상이 발생했을 때 롤링 기둥(61)에 마모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경사면을 선택시켜 롤링 선접촉시키고, 상기 가이드 레일(40)과 슬라이드 블록(50)을 계속해서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ㅆ 사용 수명을 2배로 연장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이 밖에 본 고안은 다른 롤링 기둥(71)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롤링 기둥(71)의 양측단에 중간선(M)으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제1 단면(712)과 제2 단면(713)을 마련하고, 다른 길이의 단면 중 한쪽을 선택하여 롤링 기둥 수용 구멍(502)(503) 내에 끼워 넣음으로써 롤링 기둥(71)의 외주 원호면(611)과 롤링 기둥 수용 구멍(502)(503)의 내벽 사이의 접촉선(P1)(P2)의 위치에 변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상용적으로 사용 수명을 2배로 연장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상술한 2가지의 교환 수단은 병합하고 조립하여 운용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몇 배의 사용 수명으로 더 연장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 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적어도 선형 슬라이드 레일의 수명을 2배로 연장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항공 공업, 자동차 공업, 금속 가공 기계 및 그 밖의 산업 기계 상에서 응용 가능하며, 이 기계들의 사용 연한을 연장함으로써 기계의 구입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가이드 레일(40)은 마손이 발생한 상황에서 단지 롤링 기둥(61, 71)의 접촉선 위치를 변경하기만 하면 되고, 주지의 선형 슬라이드 레일과 같이 전체를 떼어내고 교환하여 새롭게 교정할 필요가 없으며, 이 때문에 본 고안의 교환 작업은 주지의 기술에 비해 신속하고 편리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거하여 이룰 수 있는 동등의 변화와 수식은 모두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가 커버하는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40 가이드 레일 41 표면
42 측변면 43 V형 홈
431 좌측 경사면 432 우측 경사면
44 V형 홈 50 슬라이드 블록
502 롤링 기둥 수용 구멍 503 롤링 기둥 수용 구멍
51 내측 상면 52 측변 벽면
53 V형 홈 54 제 1 순환 구멍
55 제 2 순환 구멍 56 V형 홈
57 순환 구멍 60 롤링 기둥 유닛
61 롤링 기둥 611 원호면
612 단면 70 롤링 기둥 유닛
71 롤링 기둥 711 원호면
712 제 1 단면 713 제 2 단면

Claims (5)

  1.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이며, 상부에 외측 작용변이 마련되고, 상기 외측 작용변 상에 복수의 V형 홈이 마련되고, 각 V형 홈은 모두 좌측 경사면과 우측 경사면으로 구성된 상기 가이드 레일;
    슬라이드 블록이며, 하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 작용변과 대향하는 내측 작용변이 오목하게 마련되고, 상기 내측 작용변에 복수의 V형 홈이 오목하게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V형 홈은 서로 대응하면서 공동으로 복수의 롤링 기둥 수용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 내부의 각 롤링 기둥 수용 구멍의 양측 경사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제1 순환 구멍과 제2 순환 구멍이 오목하게 마련된 상기 슬라이드 블록; 및
    복수의 롤링 기둥 유닛이며, 상술한 롤링 기둥 수용 구멍 내에 수용되고, 각 상기 롤링 기둥 유닛은 복수의 원주형 롤링 기둥을 포함하고, 각 상기 롤링 기둥의 외주는 선택적으로 V형 홈의 그 중 하나의 경사면과 롤링 선접촉하고, 이 롤링 기둥들은 V형 홈의 경사면의 경사 각도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 1 또는 제2 순환 구멍 내에 끼워지는 상기 복수의 롤링 기둥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 작용변은 상면과, 2개의 상기 상면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측변면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내측 작용변은 내측 상면과 2개의 상기 내측 상면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측변 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상면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면은 대향하며, 2개의 상기 측변 벽면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2개의 상기 측변면은 대향하고, V형 홈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면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내측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V형 홈의 좌측 경사면과 우측 경사면 사이에 협각이 형성되고, 상기 협각의 각도는 90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
  4.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이며, 상부에 외측 작용변이 마련되고, 상기 외측 작용변 상에 복수의 V형 홈이 오목하게 마련된 상기 가이드 레일;
    슬라이드 블록이며, 하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 작용변과 대향하는 내측 작용변이 오목하게 마련되고, 상기 내측 작용변에 복수의 V형 홈이 오목하게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V형 홈은 서로 대응하면서 공동으로 복수의 롤링 기둥 수용 구멍을 정의하는 상기 슬라이드 블록; 및
    복수의 롤링 기둥 유닛이며, 각각 상술한 롤링 기둥 수용 구멍 내에 수용되고, 각 롤링 기둥 유닛은 복수의 원주형 롤링 기둥을 포함하고, 각 상기 롤링 기둥의 외주는 V형 홈과 롤링 선접촉하여 하나의 접촉선을 형성하고, 각 롤링 기둥의 중앙에 중간선이 정의되고, 롤링 기둥의 양단 부분에 제1 단면과 제2 단면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단면과 제2 단면이 마련되며, 상기 제 1 단면의 중간선이 대향하는 중간선의 거리는 상기 제 2 단면이 대향하는 중간선의 거리보다 길고, 상기 롤링 기둥은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단면 또는 상기 제 2 단면을 통해 상기 롤링 기둥 수용 구멍 내에 수용되고, 이로써 상기 롤링 기둥과 V형 홈의 접촉선 위치에 변동을 발생시키는 상기 복수의 롤링 기둥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
  5. 제 4항에 있어서,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 작용변은 상면과, 2개의 상기 상면의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측변면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내측 작용변은 내측 상면과 2개의 상기 내측 상면 양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측변 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상면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면은 대향하며, 2개의 상기 측변 벽면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2개의 상기 측변면은 대향하고, V형 홈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면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내측 상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
KR2020120004646U 2012-06-01 2012-06-01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 Pending KR201300071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646U KR20130007108U (ko) 2012-06-01 2012-06-01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646U KR20130007108U (ko) 2012-06-01 2012-06-01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108U true KR20130007108U (ko) 2013-12-11

Family

ID=5244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646U Pending KR20130007108U (ko) 2012-06-01 2012-06-01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10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7168A (zh) * 2018-04-16 2018-07-24 盐城工学院 导轨
CN113803370A (zh) * 2021-10-21 2021-12-17 杭州高正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六向定位自动补偿间隙的直线导轨滑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7168A (zh) * 2018-04-16 2018-07-24 盐城工学院 导轨
CN113803370A (zh) * 2021-10-21 2021-12-17 杭州高正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六向定位自动补偿间隙的直线导轨滑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6508B2 (ja) アクチュエータ
US8360644B2 (en) Linear motion guide unit with cage
US9157479B2 (en) Finite linear motion guide unit with cross-roller bearing system
KR20130007108U (ko)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선형 슬라이드 레일
JP3176185U (ja) 柱状ローラー式リニアスライディングブロック
JPH0646050B2 (ja) 直線摺動用ベアリング及び直線摺動用テーブル
CN202811841U (zh) 可提高两倍使用寿命的线性滑轨
JP3176868U (ja) 使用寿命を延長できる線形スライドレール
JP6329364B2 (ja) 転動体間にセパレータを配設した直動案内ユニット
KR101560127B1 (ko) 운동 안내 장치
TWI613373B (zh) 滾動引導裝置
JP5695248B2 (ja) 運動案内装置
CN103573810B (zh) 可提高两倍使用寿命的线性滑轨
KR101923294B1 (ko) 먼지막이 시트를 구비하는 선형 슬라이딩 레일
JP3185831U (ja) 二倍に使用寿命を延長できる線形スライドレール
JP4340547B2 (ja) ローラチェーンを組み込んだ案内ユニット
JPWO2008117852A1 (ja) 二段式スライドユニット
JP2017211015A (ja) 転がり案内装置
JP2007309373A (ja) 直動案内ユニット
TWI605202B (zh) Linear slide
JP6726524B2 (ja) 摺動部材
JP2005256962A (ja) リニアガイド装置
KR20140116825A (ko) 보강빔을 가지는 롤링 베어링을 위한 스페이서
JP2008298194A (ja) 保持ピース及びそれを備えた直動案内装置
JP5491445B2 (ja) 床用目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206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01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502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