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132A - 백 필터 장치 및 백 필터 장치 청소 방법 - Google Patents
백 필터 장치 및 백 필터 장치 청소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2132A KR20130002132A KR1020110063188A KR20110063188A KR20130002132A KR 20130002132 A KR20130002132 A KR 20130002132A KR 1020110063188 A KR1020110063188 A KR 1020110063188A KR 20110063188 A KR20110063188 A KR 20110063188A KR 20130002132 A KR20130002132 A KR 201300021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g
- filter
- compressed air
- filter bag
- brush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9000003638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claims 1
- 238000010410 dust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3546 flue gas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1680 brush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628 steelm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Abstract
백 필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결배가스에 포함된 분진이 내측면에 부착되는 필터 백; 및 필터 백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털어내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백 필터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백 필터 장치 및 백 필터 장치 청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철 공정 중 소결 공정에서 분진이 발생한다. 이러한 분진은 1차적으로 전기 집진기에 의해 제거되고, 2차적으로 백 필터에 의해 제거된다. 소결 공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의 양이 기타 공정에 비해 많아 전기 집진기만을 사용하는 경우 분진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어 2차적으로 백 필터가 사용된다.
그런데, 소결 공정에서 발생된 분진의 양이 많기 때문에 많은 양의 분진이 비교적 단시간 내에 백 필터의 필터 백에 전체적으로 부착되어 백 필터의 작동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백 필터의 내부로 역세공기를 불어넣어 필터 백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백 필터 장치에 포함된 필터 백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는 백 필터 장치 및 백 필터 청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결배가스에 포함된 분진이 내측면에 부착되는 필터 백; 및 필터 백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털어내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백 필터 장치가 제공된다.
브러시는, 필터 백의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필터 백의 입구를 통해 내부로 연장된 회전축; 및 회전축으로부터 필터 백의 내측면으로 연장되고, 필터 백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털어내도록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솔 부재를 포함하고, 솔 부재는, 회전축에 대해 펴지거나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은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솔 부재는 내측 단부가 회전축의 내측에 위치하고 외측 단부가 회전축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회전축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브러시는, 솔 부재의 내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도록 회전축의 내측에 배치되고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내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솔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솔 부재는 복수이고, 복수의 솔 부재는 각각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백 필터 장치는 백 필터 차압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센서; 및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백 필터 차압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필터 백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털어내도록 브러시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 필터 장치는 필터 백의 내부 공기를 회전시켜 필터 백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는 압축공기 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압축공기 분사부는 필터 백의 내부에 배치되고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분사구; 분사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구는 복수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분사구는 필터 백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백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는 복수의 분사구 중 임의의 한 쌍이 배치되고, 한 쌍의 분사구는 필터 백의 중심에 대해 상호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압축공기 분사부는, 분사구와 압축공기 공급장치 사이에 개재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공기 분사부는, 분사구와 압축공기 공급장치 사이에 개재된 감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백 필터 장치는 필터 백의 내부 공기를 회전시켜 필터 백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는 압축공기 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압축공기 분사부는 필터 백의 내부에 배치되고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분사구; 분사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브러시의 작동이 종료되면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필터 백을 포함하는 백 필터 장치 청소 방법으로서, 백 필터 차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백 필터의 차압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브러시를 사용하여 필터 백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털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 필터 장치 청소 방법이 제공된다.
백 필터 장치 청소 방법은 필터 백의 내부 공기를 회전시켜 필터 백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백 필터 장치에 포함된 필터 백의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장치에 포함된 솔 부재가 회전축에 대해 펴지거나 접히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청소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장치에 포함된 솔 부재가 회전축에 대해 펴지거나 접히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청소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백 필터 장치 및 백 필터 청소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장치(100)는 필터 백(110)과 브러시(130)를 포함한다.
필터 백(110)은 백 필터 장치(100)의 소결배가스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배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내측면에 부착시켜 소결배가스를 필터링 한다. 이러한 필터 백(110)은 백 필터 장치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질,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필터 백(110)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두 개 이상의 필터 백이 백 필터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백(110)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브러시(130)가 사용된다. 브러시(130)는 필터 백(110)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털어내어 필터 백(110)의 내측면을 청소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브러시(130)가 필터 백(110)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직접 털어냄으로써, 필터 백(110)의 내측면에 박힌 가시모양의 분진 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브러시(130)는 회전축(131)과, 솔 부재(133) 및 내축(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축(131)은 필터 백(110)의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필터 백(110)의 입구를 통해 내부로 연장된다. 회전축(131)은 회전축 구동모터(141)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회전축 구동모터(141)의 구동력은 기어장치(142)에 의해 회전축(131)으로 전달될 수 있다. 회전축(131)은 백 필터 장치(100)의 하우징(103)을 관통하여 하우징(103)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고, 회전축 구동모터(141)는 하우징(103)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회전축(131)은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회전축(131)의 중공부는 회전축(1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회전축(131)의 중공부에는 내축(135)이 배치된다. 회전축(131)의 내측에 배치된 내축(135)은 회전축(131)의 길이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내축(135)은 내축 구동모터(146)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운동한다. 예를 들어, 내축 구동모터(146)가 작동하여 내축 구동모터(146)와 결합된 피니언 기어(147)가 회전하면, 일면에 피니언 기어(147)와 맞물리는 랙 기어(148)가 형성된 내축(135)이 회전축(131)의 길이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때, 내축 구동모터(146)는, 회전축 구동모터(141)와 결합된 구동기어(143)와 맞물리는 종동기어(144)의 일면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내축(135)에는 후술하는 솔 부재(133)의 내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내축(135)이 회전축(131)의 길이방향으로 운동할 때 솔 부재(133)는 회전축(131)에 대해 펴지거나 접힌다. 솔 부재(133)가 회전축(131)에 대해 펴지거나 접히는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솔 부재(133)는 회전축(131)으로부터 필터 백(110)의 내측면으로 연장 형성된다. 솔 부재(133)는 회전축(131)과 함께 회전하면서 필터 백(110)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직접 털어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솔 부재(133)는 회전축(131)에 대해 펴지거나 접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브러시(130)를 사용하여 필터 백(110)을 청소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솔 부재(133)를 회전축(131)에 대해 펴고, 브러시(130)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 솔 부재(133)를 회전축(131)에 대해 접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장치에 포함된 솔 부재가 회전축에 대해 펴지거나 접히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축(131)의 내측에 배치된 내축(135)이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운동하면, 회전축(131)을 관통하여 내축(135)에 힌지 결합된 솔 부재(133)는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운동한다. 이 경우, 솔 부재(133)는 회전축(131)에 대해 접힌다.
또한, 솔 부재(133)가 접힌 상태에서 내축(135)이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운동하면, 솔 부재(133)는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운동하여 회전축(131)에 대해 펴진다.
이때, 회전축(131)의 외주면에는 솔 부재(133)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데, 솔 부재(133)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관통홀은 회전축(1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솔 부재(133)는 회전축(131)의 내측에 배치된 내축(135)이 회전축(131)의 길이방향으로 운동함으로써, 회전축(131)에 대해 펴지거나 접힐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솔 부재는 자중에 의해 회전축에 대해 접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회전축이 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해 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별도로 내축이 필요하지 않고 솔 부재가 회전축의 외주면에 힌지 결합되기만 하면 충분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솔 부재(133)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솔 부재(133)의 개수는 필터 백(110)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솔 부재(133)는 각각 회전축(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되어, 필터 백(110)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130)는 백 필터 차압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작동한다. 여기서, 백 필터 차압은 백 필터 장치(100)의 소결배가스 유입구(101)와 소결배가스 배출구(102) 사이의 압력차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필터 백(110)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의 양이 적은 경우, 소결배가스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소결배가스 중 필터 백(110) 내부로 유입된 일부가 필터 백(110)의 내측면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소결배가스 유입구(101)와 소결배가스 배출구(102) 사이의 압력차는 상대적으로 작다.
이에 반해, 필터 백(110)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의 양이 많은 경우, 소결배가스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소결배가스 중 필터 백(110) 내부로 유입된 일부가 필터 백(110)의 내측면을 통과하기 어렵다. 이때, 소결배가스 유입구(101)와 소결배가스 배출구(102) 사이의 압력차는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백 필터 차압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면 필터 백(110)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의 양이 많다고 판단되어 브러시(130)가 작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장치(100)는 백 필터 차압을 측정하기 위해 압력 센서(미도시)와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백 필터 차압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브러시(13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소결배가스 유입구(101)와 소결배가스 배출구(102)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각 압력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비교하면 백 필터 차압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압력 센서에서 측정된 백 필터 차압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브러시(130)를 작동시킨다. 이때, 제어부는 회전축 구동모터(141)를 제어하여, 회전축(131)을 회전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내축 구동모터(146)를 제어하여, 솔 부재(133)가 회전축(131)에 대해 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장치(100)는 백 필터 차압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브러시(130)를 사용하여 필터 백(110)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털어내어 제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장치(200)는 필터 백(210), 브러시(230) 및 압축공기 분사부(2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백(210)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브러시(230)뿐만 아니라 압축공기 분사부(250)를 사용함으로써 필터 백(210)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필터 백(210)과 브러시(230)는 앞선 실시예의 필터 백(110)과 브러시(230)와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장치(200)는 압축공기 분사부(250)를 포함한다. 압축공기 분사부(250)는 필터 백(210)의 내부 공기를 회전시켜 필터 백(210)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한다. 즉, 압축공기 분사부(250)는 필터 백(210) 내부에서 소용돌이를 만들고, 필터 백(210)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이 소용돌이에 의해 필터 백(210)의 내측면으로부터 떨어져나간다.
압축공기 분사부(250)는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분사구(251)와 분사구(251)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장치(253)를 포함한다.
분사구(251)는 필터 백(2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분사구(251)는 분사구(251)에서 분사된 압축공기가 필터 백(210)의 내부 공기를 회전시키도록 필터 백(210)의 중심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분사구(251)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의 분사구(251)는 필터 백(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 백(210)의 길이방향은 브러시(230)의 회전축의 길이방향과 동일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필터 백(2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는 복수의 분사구(251) 중 임의의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한 쌍의 분사구(251)는 필터 백(210)의 중심에 대해 상호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분사구(251)는 180도 간격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각 분사구(251)에서 분사된 압축공기의 방향은 필터 백(210)의 중심에 대해 상호 대칭이 되고, 필터 백(210) 내부의 공기는 회전하게 된다.
분사구(25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백(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필터 백(210)의 내측면에 배치된 압축공기관(255)에 형성될 수 있다. 압축공기관(255)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한 쌍의 압축공기관(255)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구(251)는 압축공기관(255)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분사구(251)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는 압축공기 공급장치(253)에서 공급된다. 압축공기 공급장치(253)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는 압축공기관(255)과 연결된 압축공기 공급라인(256)을 통해 분사구(251)로 이동한다.
압축공기 분사부(250)는 분사구(251)와 압축공기 공급장치(253) 사이에 개재된 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밸브는 압축공기 공급라인(25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의 개폐동작에 의해 압축공기 공급장치(253)에서 분사구(251)로의 압축공기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차단된다.
나아가, 압축공기 분사부(250)는 분사구(251)와 압축공기 공급장치(253) 사이에 개재된 감압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압기는 압축공기 공급장치(253)에서 발생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과도한 경우 이를 감압시킨다. 이 경우, 분사구(251)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필터 백(210)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공기 분사부(250)는 브러시(230)의 작동이 종료하는 경우 작동한다. 브러시(230)에 의한 필터 백(210)의 청소가 종료되면 브러시(230)의 솔 부재가 회전축에 대해 접힌다. 이 경우, 필터 백(210)의 내부공간은 브러시(230)의 솔 부재가 회전축에 대해 펴진 경우보다 넓어진다. 이때, 압축공기 분사부(250)는 필터 백(210)의 내부공간에서 소용돌이를 발생시키도록 작동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장치는 필터 백(210)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1차적으로 브러시(230)를 사용하고, 2차적으로 압축공기 분사부(250)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장치(200)는 압력 센서(미도시)와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와 제어부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와 제어부의 특징을 모두 포함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는 브러시(230)가 작동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브러시(230)의 작동을 종료시킨다.
이 후, 제어부는 브러시(230)의 작동이 종료되면 압축공기 분사부(250)를 작동시킨다. 이때, 제어부는 밸브를 개방시켜 압축공기 공급장치(253)에서 분사구(251)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청소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청소 방법은 백 필터 차압을 측정하는 단계(S110)와, 백 필터의 차압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브러시를 사용하여 필터 백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털어내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두 단계를 포함하는 백 필터 청소 방법은 앞선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장치(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청소 방법은 필터 백의 내부 공기를 회전시켜 필터 백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청소 방법은 앞선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백 필터 청소 방법은 필터 백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1차적으로 브러시를 사용하고 2차적으로 압축공기 분사부를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백 필터를 청소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210 : 필터 백
130, 230 : 브러시
131 : 회전축
133 : 솔 부재
135 : 내축
250 : 압축공기 분사부
130, 230 : 브러시
131 : 회전축
133 : 솔 부재
135 : 내축
250 : 압축공기 분사부
Claims (14)
- 소결배가스에 포함된 분진이 내측면에 부착되는 필터 백; 및
상기 필터 백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털어내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백 필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상기 필터 백의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필터 백의 입구를 통해 내부로 연장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필터 백의 내측면으로 연장되되, 상기 필터 백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털어내도록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솔 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대해 펴지거나 접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필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솔 부재는,
내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내측에 위치하고 외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는,
상기 솔 부재의 내측 단부가 힌지 결합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운동 가능한 내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필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필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솔 부재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솔 부재는 각각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필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백 필터 차압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백 필터 차압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필터 백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털어내도록 상기 브러시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필터 장치.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백의 내부 공기를 회전시켜 상기 필터 백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는 압축공기 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는,
상기 필터 백의 내부에 배치되고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분사구;
상기 분사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필터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복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분사구는 상기 필터 백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필터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백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평면 상에는 상기 복수의 분사구 중 임의의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분사구는 필터 백의 중심에 대해 상호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필터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는,
상기 분사구와 상기 압축공기 공급장치 사이에 개재된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필터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는,
상기 분사구와 상기 압축공기 공급장치 사이에 개재된 감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필터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백의 내부 공기를 회전시켜 상기 필터 백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는 압축공기 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는,
상기 필터 백의 내부에 배치되고,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분사구;
상기 분사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러시의 작동이 종료되면 상기 압축공기 분사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필터 장치.
- 필터 백을 포함하는 백 필터 장치 청소 방법으로서,
백 필터 차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백 필터의 차압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브러시를 사용하여 상기 필터 백의 내측면에 부착된 분진을 털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백 필터 장치 청소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백의 내부 공기를 회전시켜 상기 필터 백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백 필터 장치 청소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3188A KR101277743B1 (ko) | 2011-06-28 | 2011-06-28 | 백 필터 장치 및 백 필터 장치 청소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3188A KR101277743B1 (ko) | 2011-06-28 | 2011-06-28 | 백 필터 장치 및 백 필터 장치 청소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132A true KR20130002132A (ko) | 2013-01-07 |
KR101277743B1 KR101277743B1 (ko) | 2013-06-24 |
Family
ID=4783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3188A KR101277743B1 (ko) | 2011-06-28 | 2011-06-28 | 백 필터 장치 및 백 필터 장치 청소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7743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26428A (zh) * | 2018-02-08 | 2018-06-08 | 刘雨娜 | 一种便于清灰的节能烟气除尘装置 |
CN109114954A (zh) * | 2018-07-26 | 2019-01-01 | 合肥三伍机械有限公司 | 一种用于燃烧炉出气口净化装置 |
CN110496459A (zh) * | 2019-07-31 | 2019-11-26 | 卫鸿婧 | 一种通讯设备检修用除尘装置 |
CN110812966A (zh) * | 2019-11-29 | 2020-02-21 | 河南鑫安利职业健康科技有限公司 | 一种布袋除尘器清灰装置 |
WO2021016822A1 (zh) * | 2019-07-29 | 2021-02-04 | 深圳市能源环保有限公司 | 一种除尘袋的清洗装置 |
CN113828075A (zh) * | 2021-09-06 | 2021-12-24 | 白伏河 | 一种工业布袋除尘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14201B (zh) * | 2014-06-26 | 2016-01-20 | 河南工业大学 | 应用于粮油加工行业的除尘器布袋清理机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62148A (en) * | 1975-09-23 | 1979-07-24 | Ltg Lufttechnische Gmbh | Filtering apparatus |
JP2000157820A (ja) * | 1998-11-25 | 2000-06-13 | Taketsuna Seisakusho:Kk | 濾過集塵機用フィルターの除塵装置 |
JP4527307B2 (ja) * | 2001-03-23 | 2010-08-18 | Nec液晶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集塵装置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
-
2011
- 2011-06-28 KR KR1020110063188A patent/KR10127774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26428A (zh) * | 2018-02-08 | 2018-06-08 | 刘雨娜 | 一种便于清灰的节能烟气除尘装置 |
CN109114954A (zh) * | 2018-07-26 | 2019-01-01 | 合肥三伍机械有限公司 | 一种用于燃烧炉出气口净化装置 |
WO2021016822A1 (zh) * | 2019-07-29 | 2021-02-04 | 深圳市能源环保有限公司 | 一种除尘袋的清洗装置 |
CN110496459A (zh) * | 2019-07-31 | 2019-11-26 | 卫鸿婧 | 一种通讯设备检修用除尘装置 |
CN110812966A (zh) * | 2019-11-29 | 2020-02-21 | 河南鑫安利职业健康科技有限公司 | 一种布袋除尘器清灰装置 |
CN110812966B (zh) * | 2019-11-29 | 2021-07-27 | 苏占云 | 一种布袋除尘器清灰装置 |
CN113828075A (zh) * | 2021-09-06 | 2021-12-24 | 白伏河 | 一种工业布袋除尘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77743B1 (ko) | 2013-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7743B1 (ko) | 백 필터 장치 및 백 필터 장치 청소 방법 | |
CA2144921C (en) | Self-cleaning fume extraction device | |
CN105817099B (zh) | 气体净化器及其工作方法 | |
US20060260281A1 (en) | Cleaning device for dust collector | |
US20210401248A1 (en) | Vacuum cleaner and filter assembly | |
KR101698173B1 (ko) | 배관 청소로봇 | |
US10744542B2 (en) | Polishing chamber assembly | |
CA3010330C (en) | Filter cleaning | |
JP2007263412A5 (ko) | ||
JP5820653B2 (ja) | 容器回転型混合乾燥機 | |
JP6054454B2 (ja) | カークリーナ(Carcleaner) | |
JP6702650B2 (ja) | 繊維性フィルターシステム、及び当該繊維性フィルターシステムを清浄する方法 | |
CN108071448A (zh) | 用于车辆排气系统的颗粒捕集器及其再生方法 | |
JP5776632B2 (ja) | エアフィルタ再生方法及びエアフィルタ再生装置 | |
JP2008064403A (ja) | エアシャワー装置 | |
CN112090175A (zh) | 空气滤清器 | |
US20070107391A1 (en) | Filtration device with a filter bag and a cleaning device for a filter bag | |
KR20170015093A (ko) | 모듈형 이동식 집진기 | |
JP6594943B2 (ja) | マット洗浄機 | |
KR101792180B1 (ko) | 필터구조체 | |
CN112955058A (zh) | 手持式真空吸尘器 | |
JP4364626B2 (ja) | 塵埃除去装置 | |
KR101089386B1 (ko) | 집진기 필터용 탈리장치 | |
JP2003001037A (ja) | 気体浄化方法及び気体浄化装置 | |
TW201639513A (zh) | 電動吸塵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