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667A - Aseismic damper - Google Patents
Aseismic damp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36667A KR20120136667A KR1020110055730A KR20110055730A KR20120136667A KR 20120136667 A KR20120136667 A KR 20120136667A KR 1020110055730 A KR1020110055730 A KR 1020110055730A KR 20110055730 A KR20110055730 A KR 20110055730A KR 20120136667 A KR20120136667 A KR 201201366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module
- damping
- friction
- slot hole
- central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3068 static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5 visc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83 fri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3 mobil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1715 photosynthesis, light harves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0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with friction surfaces rectilinearly movable along each oth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2/00—Special physical effects, e.g. nature of damping effects
- F16F2222/04—Friction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진 댐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구조물의 상층보 및 하층보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와,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몸체를 상호 상대 마찰 이동하도록 결합하고, 바람이나 지진과 같은 외부 하중이 작용할 때, 중앙 몸체에 대한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상대 마찰 이동을 통한 1차 마찰 댐핑 과정과, 중앙 몸체의 자체 변형에 따른 2차 댐핑 과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하중에 따라 제진 및 내진 특성을 모두 갖는 복합형 제진 댐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damper. More specifically,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coupled to the upper beam and the lower beam of the building structure, respectively, and the central body disposed therebetween to combine relative friction movement, when an external load such as wind or earthquake, The primary friction damping process through the relative frictional movement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with respect to the center body, and the secondary damping process according to the self-deformation of the center body are carried out sequentially, so that both the vibration damping and the earthquake-resista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xternal load are achieved. It relates to a composite damping damper having.
최근 전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일련의 큰 강도의 지진으로 인해 대규모의 인명피해와 천문학적인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일반에서도 지진에 대한 경각심이 새삼 확산되고 있다.The recent series of massive earthquakes around the world have caused massive casualties and astronomical damages. As a result, the awareness of earthquakes is spreading in general.
지진하중에 대응한 구조방식은 내진, 제진 및 면진 구조로 구분된다. 내진 구조의 경우 입력되는 지진력에 대해 구조체가 강도로 저항하는 형식이고, 제진 구조는 감쇠를 갖는 제진 장치를 통해 지진력을 일정 정도 감소시킴과 더불어 입력된 지진 에너지를 댐퍼가 흡수하여 주골조의 손상을 제어하는 형식이며, 면진 구조는 구조물과 지반을 분리하여 건물에 전달되는 지진력을 최소화한 형식으로 볼 수 있다.Structural methods that respond to earthquake loads are divided into seismic, vibration and seismic isolation. In the case of the earthquake-resistant structure, the structure is resistant to the input seismic force, and the damping structure reduces the seismic force to some extent through the damping device having the damping, and the damper absorbs the input seismic energy, The seismic structure separates the structure from the ground and can be viewed in a form that minimizes the seismic force transmitted to the building.
바람과 지진 같은 수평력에 의해 유발된 에너지가 주구조체의 변형을 통해 소산되는 내진 구조는 재해 발생시 전체 구조물에 손상이 유발되며, 지진력을 저감시키지 못한다. 또한 면진 구조는 강진지역에서 상당히 많은 지진에너지를 흡수하는 경우에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나, 국내의 경우 비용 등의 문제로 인해 건축구조물에서의 적용사례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Earthquake-resistant structures, in which energy caused by horizontal forces such as wind and earthquakes are dissipated through deformation of the main structure, cause damage to the entire structure in the event of a disaster, and do not reduce seismic force. In addition, the seismic isolation structure can exert great effect in absorbing a lot of seismic energy in the Gangjin area, but in Korea, there are few cases of application in building structures due to cost and other problems.
제진 장치는 그 제어 방법에 따라 수동형, 준능동형 및 능동형 제진 장치로 구분되는데, 별도의 에너지원이 사용되지 않는 수동형 제진 장치가 일반적으로 많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수동형 제진 장치는 에너지 소산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속도 의존형의 점성물질을 사용한 점성 댐퍼; 점성물질과 탄성물질을 함께 사용하여 속도와 변형률 의존형 특성을 가지는 점탄성 댐퍼; 금속재료의 항복 후 이력 특성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강재 댐퍼; 입력된 에너지를 마찰에 의해 열에너지로 전환시켜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마찰 댐퍼 등이다.Vibration dampers are classified into passive, semi-active, and active vibration suppressors according to their control methods. Passive vibration suppressors, in which no separate energy source is used, are generally applied. In addition, the passive vibration isolation system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ypes according to the energy dissipation type. Viscous dampers using velocity - dependent viscous materials; A viscoelastic damper having velocity and strain dependent properties using a viscous material and an elastic material together; A steel damper that dissipates energy using hysteresis characteristics after the yield of the metal material; A friction damper for converting the input energy into thermal energy by friction to dissipate energy.
점성 댐퍼와 점탄성 댐퍼는 잔류변형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으나, 지속적인 유지 관리가 필요하고 온도 및 주파수에 의존하는 특성으로 인해 제어의 어려움과 더불어 제작을 위한 원천기술이 대부분 해외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고가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강재 댐퍼는 적용된 강재의 특성에 따라 비교적 안정적인 이력 거동을 하지만, 잔류변형이 발생하여 재해 후 부품을 전면 교체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마찰 댐퍼의 경우 매우 안정적인 이력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마찰열에 의한 문제가 발생할 여지와 더불어 마찰의 반복에 따라 마찰 재료의 마모가 발생하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Viscous dampers and viscoelastic dampers are advantageous in that they have little residual deformation. However, due to the necessity of continuous maintenance and dependence on temperature and frequency, due to the difficulties of control, . Steel dampers have a relatively stable hysteretic behavio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lied steel, but they have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replace parts after a disaster due to residual deformation. In addition, the friction damper has a very stable hysteresis characteristics, but also has the disadvantages such as the wear of the friction material due to the friction repeated as well as the problem caused by the friction heat.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 구조물의 상층보 및 하층보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와,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몸체를 상호 상대 마찰 이동하도록 결합하고, 바람이나 지진과 같은 외부 하중이 작용할 때, 중앙 몸체에 대한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상대 마찰 이동을 통해 외부 하중에 대한 1차 마찰 댐핑 과정을 수행하여 건축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진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coupled to the upper beam and the lower beam of the building structure, respectively, and the central body disposed therebetween mutual friction When coupled to move, and when external loads such as wind or earthquake are applied, the primary friction damping process for external loads can be performed by the relative frictional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bodies relative to the central body to improve the safety of the building structure. It is to provide a damping damper that can b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앙 몸체에 대한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상대 마찰 이동에 따른 1차 마찰 댐핑 과정 이후, 중앙 몸체의 자체 변형에 따른 2차 댐핑 과정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하중에 따라 제진 및 내진 특성을 모두 갖는 복합형 제진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a secondary damping process according to the self-deformation of the center body after the first friction damping process according to the relative frictional movement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so that the damping and It is to provide a composite damping damper having both seismic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차 마찰 댐핑 과정 및 2차 댐핑 과정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외부 하중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해당 댐핑 부위의 구성 요소만 부분 교체하는 방식으로 부품 손상에 대한 복원 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보수 보강 작업을 최소화하여 수행할 수 있는 제진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the first friction damping process and the second damping process to occur in sequence, thereby restoring the damage to the parts by replacing only the components of the corresponding damping por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load It is to provide a damping damper that can be completed to minimize the maintenance reinforcement work.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몸체; 상기 상부 몸체와 중앙 몸체를 서로 상대 마찰 이동 가능하게 연결 결합하는 상부 연결 모듈; 및 상기 하부 몸체와 중앙 몸체를 서로 상대 마찰 이동 가능하게 연결 결합하는 하부 연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몸체에 대한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상대 마찰 이동을 통해 외부 하중을 1차 마찰 댐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댐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dispos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A central body disposed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 upper connection module configured to connect the upper body and the central body to each other to allow relative friction movement; And a lower connection module for coupling and coupling the lower body and the central body to each other so as to relatively frictionally move each other, wherein the first friction damping of the external load is performed through the relative frictional movement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Provided is a damping damper.
이때, 상기 상부 연결 모듈 및 하부 연결 모듈은 상기 중앙 몸체에 대한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상대 마찰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connection module and the lower connection module may be formed to limit the relative frictional movement distance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또한, 상기 상부 연결 모듈에 의한 최대 정지 마찰력과 상기 하부 연결 모듈에 의한 최대 정지 마찰력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ximum static frictional force by the upper connection module and the maximum static frictional force by the lower connec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중앙 몸체는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와의 상대 마찰 이동에 의한 1차 마찰 댐핑 이후, 소성 변형하며 외부 하중을 2차 댐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body may be formed to plastically deform and secondary damp the external load after primary friction damping due to relative frictional movement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또한,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는 상기 중앙 몸체보다 구조적으로 더 높은 강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may be formed to have a structurally higher strength than the central body.
이때,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단에 직각 방향으로 결합되는 플랜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s the main plat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lange plate coupled to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main plate in a right direction.
또한,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메인 플레이트에는 양면으로 돌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티프너가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stiffener may be mounted on the main plate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so as to protrude on both sides.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다수개의 분할판으로 형성되어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plate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divided plates to be detachably coupled.
한편, 상기 상부 연결 모듈은 상하 양단부가 상기 상부 몸체 및 중앙 몸체의 양면에 각각 밀착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몸체 및 중앙 몸체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 개재되는 마찰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몸체 및 중앙 몸체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홀을 통해 볼트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connection module is a pair of connecting plate which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body and the center body in close contact respectively; And a friction pad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central body and the connection plate, wherein one of the upper body and the central body and the connection plate can be bolted to each other through a long slot hole.
이때, 상기 슬롯홀은 다수개의 결합 볼트가 각각 관통 결합할 수 있도록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lot hole may be formed in plural so that a plurality of coupling bolts can be penetrated through each.
또한, 상기 슬롯홀은 다수개의 결합 볼트가 모두 관통 결합할 수 있도록 하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ot hole may be formed in one long so that a plurality of coupling bolts can be coupled through all.
또한, 상기 상부 몸체 및 중앙 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슬롯홀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형성된 슬롯홀 중 어느 하나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ny one of the slot hole formed in any one of the upper body and the center body and the slot hole formed in the connecting plate may b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other may be form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 구조물의 상층보 및 하층보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와,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몸체를 상호 상대 마찰 이동하도록 결합하고, 바람이나 지진과 같은 외부 하중이 작용할 때, 중앙 몸체에 대한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상대 마찰 이동을 통해 외부 하중에 대한 1차 마찰 댐핑 과정을 수행하여 건축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coupled to the upper beam and the lower beam of the building structure, respectively, and the central body disposed therebetween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move relative friction, when an external load such as wind or earthquake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afety of the building structure by performing the first friction damping process against external loads through the relative friction movement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또한, 중앙 몸체에 대한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상대 마찰 이동에 따른 1차 마찰 댐핑 과정 이후, 중앙 몸체의 자체 변형에 따른 2차 댐핑 과정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하중에 따라 제진 및 내진 특성을 모두 가질 수 있으므로, 유발 진동원 별로 별도의 진동 저감 장치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풍하중 및 지진 하중과 같은 다양한 외부 하중에 대해 에너지를 소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since the secondary damping process according to the self-deformation of the central body is performed after the primary friction damping process according to the relative friction movement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body, the vibration damping and seismic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dissipate energy for various external loads such as wind load and seismic load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vibration reduction device for each induced vibration source.
또한, 1차 마찰 댐핑 과정 및 2차 댐핑 과정이 순차적으로 발생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외부 하중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해당 댐핑 부위의 구성 요소만 부분 교체하는 방식으로 부품 손상에 대한 복원 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보수 보강 작업을 최소화하여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first friction damping process and the second damping process sequentially,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restoration work for the damage to the parts by replacing only the components of the corresponding damping por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loa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erformed by minimizing maintenance reinforcement work.
또한, 상부 몸체, 하부 몸체 및 중앙 몸체로 분리 형성되어 각각 볼트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건설 장비를 동원하지 않더라도 인력에 의해 용이하게 현장 설치가 가능하며, 볼트 등을 이용한 건식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간편하여 공사 기간의 단축 및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body, the lower body and the central body is formed separately to be coupled to the bolt, even without a separate construction equipment can be easily installed on site by manpower, can be combined by a dry method using bolts, etc. Since the construction is very eas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또한, 내진설계 되지 않은 기존 건축 구조물의 비구조 벽체의 일부 구간에 내진 보강용으로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신축 건물의 풍하중 및 지진하중 저감용 제진 장치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install a portion of the non-structural wall of the existing building structure not subjected to the earthquake-proof design for the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and it can be widely used as a vibration damper for reducing the wind load and seismic load of the new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의 조립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의 상부 연결 모듈 및 하부 연결 모듈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의 댐핑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의 상부 연결 모듈 및 하부 연결 모듈의 또 다른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ssembly shape of a vibration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mp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amp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exemplarily illustrates various forms of an upper connection module and a lower connection module of a vibration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damping operation state of the damp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nd FIG. 7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connection module and the lower connection module of the vibration damp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의 조립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의 상부 연결 모듈 및 하부 연결 모듈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ssembly shape of a damp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mp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amp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llustrates various forms of the upper connection module and the lower connection module of the damp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show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는 자체 강성으로써 저항 변형함과 동시에 마찰력으로 인한 이력에 의해 외부 하중을 감쇠시키는 장치로서,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와,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몸체(300)와, 상부 연결 모듈(400) 및 하부 연결 모듈(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vibration damp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damping an external load by its own stiffness and resistance to deformation and history due to frictional force and includes an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는 각각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데, 상부 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건축 구조물의 상층보(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몸체(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가 건축 구조물의 하층보(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배치된다. 중앙 몸체(300)는 이러한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 사이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며, 상단부는 상부 몸체(100)와 결합되고 하단부는 하부 몸체(200)와 결합된다.The
상부 연결 모듈(400)은 상부 몸체(100)의 하단부와 중앙 몸체(300)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 결합시키는데, 상부 몸체(100)와 중앙 몸체(300)가 서로에 대해 상대 마찰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 결합한다. 하부 연결 모듈(500)은 하부 몸체(200)의 상단부와 중앙 몸체(300)의 하단부를 상호 연결 결합시키는데, 하부 몸체(200)와 중앙 몸체(300)가 서로에 대해 상대 마찰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 결합한다.The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는 바람이나 지진과 같은 외부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상층보(10)에 결합된 상부 몸체(100)와 하층보(20)에 결합된 하부 몸체(200)가 각각 중앙 몸체(300)에 대해 상대 마찰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외부 하중이 마찰 댐핑되어 감쇠되므로, 건축 구조물에 대한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damp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body coupled to the
이러한 상부 연결 모듈(400) 및 하부 연결 모듈(500)은 중앙 몸체(300)에 대한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의 상대 마찰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하는 슬롯홀(H2)과 결합 볼트(B)를 이용한 결합 구조 등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연결 모듈(400) 및 하부 연결 모듈(500)은 상부 연결 모듈(400)에 의한 최대 정지 마찰력과 하부 연결 모듈(500)에 의한 최대 정지 마찰력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몸체(300)에 대한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의 상대 마찰 이동에 의해 외부 하중을 1차 마찰 댐핑하게 되는데, 이후 마찰 댐핑의 한계값 이상의 외부 하중이 계속 작용하게 되면, 중앙 몸체(300)는 1차 마찰 댐핑 이후 소성 변형하며 외부 하중을 2차 댐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amp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amp the external load primary friction by the relative friction movement of the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는 중앙 몸체(300)에 대한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의 상대 마찰 이동에 의한 1차 마찰 댐핑 기능을 수행하고, 이후 중앙 몸체(300)의 자체 변형에 의한 2차 댐핑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제진 특성을 가지며, 외부 하중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중앙 몸체(300)가 탄성 변형 상태에 있어 자체의 강성으로써 구조체의 강성을 증진시킨다는 점에서 내진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는 외부 하중의 크기에 따라 제진 및 내진 특성을 모두 갖는 하이브리드 댐퍼로서 작용한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damp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primary friction damping function by the relative frictional movement of the
다음으로, 각각의 구성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본다.Next, let's look at each configuration in more detail.
중앙 몸체(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1차 마찰 댐핑 이후 2차 댐핑 작용하도록 자체 변형하게 되는데, 이때, 상층보(10)와 하층보(20)에 각각 결합된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는 항복 변형하지 않은 상태에서 중앙 몸체(300)만 항복 변형할 수 있도록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는 중앙 몸체(300)보다 구조적으로 더 높은 강도를 갖도록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예를 들면,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평판형의 메인 플레이트(M)와, 메인 플레이트(M)의 좌우 양측단에 각각 직각 방향으로 결합되는 평판형의 플랜지 플레이트(F)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앙 몸체(300)는 단순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중앙 몸체(300)의 중심부에는 일정 강도 이상의 외부 하중에 대해 자체 변형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따라서,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는 메인 플레이트(M)의 양측단에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 플레이트(F)가 결합되기 때문에, 강도가 보강되므로 구조적으로 중앙 몸체(300)보다 더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Therefore, the
또한,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에는 메인 플레이트(M)의 양면으로 돌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티프너(S)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의 구조적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플랜지 플레이트(F) 및 스티프너(S)를 통해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의 강도를 구조적으로 향상시킬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의 재질을 좀 더 인장 강도 또는 항복 강도가 큰 재질로 적용함으로써,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의 강도를 재료적인 측면에서 향상시킬 수도 있다.As such, although the strength of the
이러한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는 상층보(10) 및 하층보(2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원활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각각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110,210)를 통해 상층보(10) 및 하층보(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는 건축 구조물의 벽체를 이루는 구조가 아니라 건축 구조물의 비구조 벽체를 보강하도록 추가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건축 구조물의 상층보(10) 및 하층보(20)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와, 그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몸체(300)로 분리 형성되어 설치 현장에서 결합되므로, 그 설치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별도의 건설 중장비를 동원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amp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to reinforce the non-structural wall of the building structure, not the structure forming the wall of the building structure, the
특히, 건물 층고가 높거나 하여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경우, 작업자에 의한 설치 작업이 용이하도록 각각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를 이루는 메인 플레이트(M)를 수평 방향으로 분리된 다수개의 분할판(미도시)으로 형성하여 현장에서 용접 또는 볼트 작업 등을 통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height of the building is high or the size of the
상부 연결 모듈(400) 및 하부 연결 모듈(500)은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와 중앙 몸체(300)를 연결하는 서로의 연결 대상이 다를 뿐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여기서는 상부 연결 모듈(40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Since the
상부 연결 모듈(400)은 상하 양단부가 상부 몸체(100) 및 중앙 몸체(300)의 양면에 각각 밀착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플레이트(410)와, 상부 몸체(100) 및 중앙 몸체(300)와 연결 플레이트(410) 사이에 삽입 개재되는 마찰 패드(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부 몸체(100) 및 중앙 몸체(300) 중 어느 하나와 연결 플레이트(410)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홀(H2)을 통해 볼트 결합된다.The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410)의 상단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슬롯홀(H2)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볼트홀(H1)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부 몸체(100)에는 수평 방향의 슬롯홀(H2)이 형성되고, 중앙 몸체(300)에는 다수개의 볼트홀(H1)이 형성된다. 연결 플레이트(410)는 이러한 상부 몸체(100)와 중앙 몸체(300)의 양면에 각각 밀착 결합되도록 한 쌍 구비되며, 이러한 연결 플레이트(410)의 내측면에 각각 마찰 패드(420)가 부착되어 상부 몸체(100) 및 중앙 몸체(300)와 연결 플레이트(410) 사이에 삽입 개재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a slot hole H2 is formed horizontally at an upper end of the
연결 플레이트(410) 및 중앙 몸체(300)에 형성된 볼트홀(H1)에는 결합 볼트(B)와 너트(N)가 결합되어 중앙 몸체(300)와 연결 플레이트(410)가 위치 고정되게 결합되고, 슬롯홀(H2)에도 마찬가지로 결합 볼트(B)와 너트(N)가 결합되는데, 이때, 결합 볼트(B)와 너트(N) 사이에는 각각 마찰 면적이 넓게 형성된 별도의 와셔(W)가 삽입된다. 이와 같이 슬롯홀(H2)을 통해 결합 볼트(B)와 너트(N)가 체결되면, 볼트 체결력에 의해 연결 플레이트(410)와 상부 몸체(100)가 마찰 패드(420)를 사이에 두고 밀착 결합된다.The coupling bolt B and the nut N are coupled to the bolt hole H1 formed in the
이러한 슬롯홀(H2)을 통한 결합 구조에 따라 상부 몸체(100)는 슬롯홀(H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롯홀(H2)의 길이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부 몸체(100)의 이동은 마찰 패드(420)와의 접촉에 의한 최대 정지 마찰력보다 더 큰 외부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만 발생한다.According to the coupling structure through the slot hole H2, the
즉, 마찰 패드(420)와의 접촉에 의한 최대 정지 마찰력보다 더 큰 외부 하중이 상부 몸체(100)에 작용하면, 상부 몸체(100)는 슬롯홀(H2)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때, 중앙 몸체(300)는 볼트홀(H1)을 통해 고정되므로 연결 플레이트(410)와 위치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시 말하면, 중앙 몸체(300)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몸체(100)가 슬롯홀(H2)을 따라 마찰 이동하며 중앙 몸체(300)에 대해 상대 이동한다.That is, when an external load greater than the maximum static frictional force due to contact with the
이때, 마찰 패드(420)는 건설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마찰 패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패드가 사용될 수도 있는 등 마찰 패드(420)에 대한 구성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하부 연결 모듈(500) 또한 상부 연결 모듈(400)과 마찬가지로 하부 몸체(200) 및 중앙 몸체(300)의 양면에 밀착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플레이트(510)와, 하부 몸체(200) 및 중앙 몸체(300)와 연결 플레이트(510) 사이에 삽입 개재되는 마찰 패드(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부 몸체(200) 및 중앙 몸체(300) 중 어느 하나와 연결 플레이트(510)가 슬롯홀(H2)을 통해 볼트 결합됨으로써, 하부 몸체(200)와 중앙 몸체(300)가 서로 상대 마찰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전술한 상부 연결 모듈(400)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중복 방지를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몸체(100)와 중앙 몸체(300)는 상부 연결 모듈(400)에 의해 상대 마찰 이동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고, 하부 몸체(200)와 중앙 몸체(300)는 하부 연결 모듈(500)에 의해 상대 마찰 이동 가능하게 연결 결합된다. 따라서, 상부 연결 모듈(400) 및 하부 연결 모듈(500)의 체결력에 의한 최대 정지 마찰력보다 더 큰 외부 하중이 가해지면, 상부 몸체(100)와 하부 몸체(200)는 중앙 몸체(300)에 대해 상대 마찰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마찰 이동에 따라 외부 하중이 감쇠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상부 몸체(100)와 하부 몸체(200)의 상대 마찰 이동은 슬롯홀(H2)을 따라 이루어지므로, 슬롯홀(H2)의 길이에 따라 상대 마찰 이동 거리가 제한된다. 따라서, 상부 몸체(100)와 하부 몸체(200)가 슬롯홀(H2)을 따라 최대 한도로 상대 마찰 이동한 후에는 더이상 마찰 이동할 수 없고, 이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몸체(300)가 소성 변형하며 외부 하중을 2차 댐핑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relative friction movement betwee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의 상부 연결 모듈 및 하부 연결 모듈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의 댐핑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의 상부 연결 모듈 및 하부 연결 모듈의 또 다른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forms of the upper connection module and the lower connection module of the damp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amping operation state of the damp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illustrating another form of the upper connection module and the lower connection module of the damp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부 연결 모듈(400)과 하부 연결 모듈(500)은 상부 연결 모듈(400)에 의한 최대 정지 마찰력과 하부 연결 모듈(500)에 의한 최대 정지 마찰력이 같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최대 정지 마찰력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연결 모듈(400)의 슬롯홀(H2)과, 하부 연결 모듈(500)의 슬롯홀(H2)의 개수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연결 모듈의 연결 플레이트(410)와, 연결 플레이트(410)와 결합되는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에는 각각 슬롯홀(H2)이 형성되어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가 중앙 몸체(300)에 대해 상대 마찰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마찰 패드(420)와 접촉에 의한 마찰력은 각각 결합 볼트(B)의 체결력에 의해 비례하게 되며, 이는 결합 볼트(B)의 개수와 비례함을 의미한다.In more detail, as described above, the slot plate H2 is formed in the
따라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볼트(B)의 개수가 동일하도록 상부 연결 모듈(400) 및 하부 연결 모듈(500)에 형성되는 슬롯홀(H2)의 개수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상부 연결 모듈(400) 및 하부 연결 모듈(500)에 의해 발생되는 최대 정지 마찰력이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a) of FIG. 4, the number of slot holes H2 formed in the
한편, 이와 달리 상부 연결 모듈(400) 및 하부 연결 모듈(500)에 의해 발생되는 최대 정지 마찰력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도 4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연결 모듈(400) 및 하부 연결 모듈(500)에 결합되는 결합 볼트(B)의 개수가 서로 상이하도록 슬롯홀(H2)의 개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contrast, the maximum static friction force generated by the
즉,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연결 모듈(500)에서 더 많은 개수의 결합 볼트(B)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 연결 모듈(400) 및 상부 몸체(100)에 형성되는 슬롯홀(H2)의 개수보다 하부 연결 모듈(500) 및 하부 몸체(200)에 형성되는 슬롯홀(H2)의 개수를 더 많이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부 연결 모듈(500)에서 결합 볼트(B)에 의한 체결력이 강화되어 더 큰 최대 정지 마찰력을 갖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b) of FIG. 4, a slot is formed in the
또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연결 모듈(400)에서 더 많은 개수의 결합 볼트(B)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부 연결 모듈(500) 및 하부 몸체(200)에 형성되는 슬롯홀(H2)의 개수보다 상부 연결 모듈(400) 및 상부 몸체(100)에 형성되는 슬롯홀(H2)의 개수를 더 많이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부 연결 모듈(400)에서 결합 볼트(B)에 의한 체결력이 강화되어 더 큰 최대 정지 마찰력을 갖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C, a slot is formed in the
한편,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볼트(B)의 개수가 동일하도록 상부 연결 모듈(400) 및 하부 연결 모듈(500)에 형성되는 슬롯홀(H2)의 개수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부 마찰 패드(420)와 하부 마찰 패드(520)의 마찰계수값을 다르게 함으로써 상부 연결 모듈(400) 및 하부 연결 모듈(500)에 의해 발생되는 최대 정지 마찰력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A, the number of slot holes H2 formed in the
이와 같이 상부 연결 모듈(400)에 의해 발생되는 최대 정지 마찰력과 하부 연결 모듈(500)에 의해 발생되는 최대 정지 마찰력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 상부 몸체(100)의 상대 마찰 이동 및 하부 몸체(200)의 상대 마찰 이동이 순차적으로 일어나게 된다.As such, when a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maximum static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연결 모듈(500)에 의한 최대 정지 마찰력이 상부 연결 모듈(400)에 의한 최대 정지 마찰력보다 더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일정 강도의 외부 하중이 작용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부 연결 모듈(400)에 의한 최대 정지 마찰력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상부 몸체(100)가 중앙 몸체(300)에 대해 상대 마찰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부 몸체(100)가 슬롯홀(H2)의 길이만큼 최대한 상대 마찰 이동하게 되면, 슬롯홀(H2)에 결합 볼트(B)가 맞물림되어 그 상태에서 상대 마찰 이동이 제한된다. 이후에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100)와 중앙 몸체(300)가 동시에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중앙 몸체(300)가 하부 몸체(200)에 대해 상부 몸체(10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대 마찰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 5의 (c)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몸체(200)가 중앙 몸체(300)에 대해 상부 몸체(10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대 마찰 이동하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A, the maximum static frictional force by the
이와 같이 상부 몸체(100)의 상대 마찰 이동 및 하부 몸체(200)의 상대 마찰 이동이 순차적으로 일어나며, 외부 하중을 순차적으로 마찰 댐핑하게 되고, 이후에는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몸체(300)가 소성 변형하며 외부 하중을 2차 댐핑하게 된다.The relative friction movement of the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 댐퍼는 1차 마찰 댐핑 과정이 상부 연결 모듈(400) 및 하부 연결 모듈(500)에서 순차적으로 일어날 뿐만 아니라 이러한 1차 마찰 댐핑 이후에 중앙 몸체(300)의 자체 변형에 의한 2차 댐핑 과정이 일어나기 때문에, 외부 하중의 크기에 따라 특정 댐핑 과정만 발생하게 된다. 즉, 상대적으로 작은 외부 하중에 대해서는 상부 연결 모듈(400)에서만 1차 마찰 댐핑 과정이 일어나고, 좀 더 큰 외부 하중에 대해서는 상부 연결 모듈(400) 및 하부 연결 모듈(500)에서 모두 1차 마찰 댐핑 과정이 일어나며, 이보다 더 큰 외부 하중에 대해서는 1차 마찰 댐핑 과정과 더불어 중앙 몸체(300)의 변형에 의한 2차 댐핑 과정이 일어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damping damp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only sequentially perform the first friction damping process in the
따라서, 외부 하중의 크기에 따라 해당되는 특정 댐핑 과정이 발생하므로, 외부 하중이 소멸되어 정상적으로 제진 댐퍼를 복원하는 경우, 제진 댐퍼의 모든 구성 요소를 모두 교체 또는 수리할 필요없이 댐핑 과정이 발생하는 특정 개소와 관련된 구성 요소만을 교체할 수 있다. 즉, 제진 댐퍼를 복원하는 경우, 외부 하중의 크기에 따라 구성 요소의 부분 교체만 할 수 있으므로, 보수 보강 작업을 최소화하여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a specific damping process occurs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load, when the external load is destroyed and normally restores the damping damper, the specific damping process occurs without having to replace or repair all the components of the damping damper. Only components related to the location can be replaced. That is, when restoring the damping damper, only partial replacement of the componen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load, thereby minimizing the repair reinforcement work.
한편, 이상에서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연결 모듈(400)의 상부 몸체(100)와 연결되는 부위에 슬롯홀(H2)이 형성되고, 하부 연결 모듈(500)의 하부 몸체(200)와 연결되는 부위에 슬롯홀(H2)이 형성되어, 상부 연결 모듈(400) 및 하부 연결 모듈(500)이 중앙 몸체(300)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가 중앙 몸체(300)에 고정된 연결 플레이트(410)에 대해 상대 마찰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에 고정 결합된 연결 플레이트(410)에 대해 중앙 몸체(300)가 상대 마찰 이동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lot hole (H2) is formed in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즉, 상부 연결 모듈(400)의 중앙 몸체(300)와 연결되는 부위에 슬롯홀(H2)이 형성되고, 하부 연결 모듈(500)의 중앙 몸체(300)와 연결되는 부위에 슬롯홀(H2)이 형성되어, 중앙 몸체(300)가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에 고정 결합된 연결 플레이트(410)에 대해 상대 마찰 이동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at is, the slot hole (H2) is formed in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이는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와 중앙 몸체(300)가 상호 상대 마찰 이동하는 방식이므로, 어떤 방식으로 구성하든 동작 원리는 동일하다.This is because the
또한, 이상에서는 하나의 슬롯홀(H2)에 하나의 결합 볼트(B)가 각각 관통 결합하며 체결되어 상부 연결 모듈(400) 및 하부 연결 모듈(500)에 다수개의 슬롯홀(H2)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슬롯홀(H2)에 다수개의 결합 볼트(B)가 모두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 연결 모듈(400) 및 하부 연결 모듈(500)에 각각 하나의 슬롯홀(H2)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one coupling bolt B is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one slot hole H2, and the plurality of slot holes H2 are formed in the
이때, 예를 들어, 상부 연결 모듈(400)에 의한 최대 정지 마찰력이 하부 연결 모듈(500)에 의한 최대 정지 마찰력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경우라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연결 모듈(400)에 형성된 슬롯홀(H2)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하부 연결 모듈(500)에 형성된 슬롯홀(H2)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하부 연결 모듈(500)의 슬롯홀(H2)에 관통 결합되는 결합 볼트(B)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게 적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for example, when the maximum static frictional force by the
또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연결 모듈(400) 및 하부 연결 모듈(500)에는 수평 방향의 슬롯홀(H2)이 형성되고,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에는 수직 방향의 슬롯홀(H2)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부 몸체(100) 및 하부 몸체(200)가 중앙 몸체(30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상대 마찰 이동할 수도 있고, 상하 방향으로 상대 마찰 이동할 수도 있으므로, 더욱 다양한 방향의 외부 하중에 대한 마찰 댐핑 작용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7,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상부 몸체 200: 하부 몸체
300: 중앙 몸체 400: 상부 연결 모듈
500: 하부 연결 모듈 410,510: 연결 플레이트
420,520: 마찰 패드 H2: 슬롯홀100: upper body 200: lower body
300: central body 400: upper connection module
500: lower connection module 410,510: connection plate
420,520: friction pad H2: slot hole
Claims (17)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 몸체;
상기 상부 몸체와 중앙 몸체를 서로 상대 마찰 이동 가능하게 연결 결합하는 상부 연결 모듈; 및
상기 하부 몸체와 중앙 몸체를 서로 상대 마찰 이동 가능하게 연결 결합하는 하부 연결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몸체에 대한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상대 마찰 이동을 통해 외부 하중을 1차 마찰 댐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댐퍼.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respectively dispos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A central body disposed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 upper connection module configured to connect the upper body and the central body to each other to allow relative friction movement; And
A lower connection module for coupling and coupling the lower body and the center body to each other to allow relative friction movement.
And damping external loads primarily through relative frictional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bodies relative to the central body.
상기 상부 연결 모듈 및 하부 연결 모듈은 상기 중앙 몸체에 대한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상대 마찰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댐퍼.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upper connection module and the lower connection module are configured to limit the relative frictional movement distances of the upper and lower bodies relative to the central body.
상기 상부 연결 모듈에 의한 최대 정지 마찰력과 상기 하부 연결 모듈에 의한 최대 정지 마찰력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댐퍼.
The method of claim 2,
The damping dam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ximum static frictional force by the upper connection module and the maximum static frictional force by the lower connection module is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중앙 몸체는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와의 상대 마찰 이동에 의한 1차 마찰 댐핑 이후, 소성 변형하며 외부 하중을 2차 댐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댐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entral body is a damping dam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stic deformation after the primary friction damping by the relative frictional movement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d the secondary load damping external load.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는 상기 중앙 몸체보다 구조적으로 더 높은 강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댐퍼.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s damping damp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structurally higher strength than the central body.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단에 직각 방향으로 결합되는 플랜지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댐퍼.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 main plat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lange plate coupled to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main plate at right angles
Damping damper comprising a.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메인 플레이트에는 양면으로 돌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티프너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댐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t least one stiffener is mounted on the main plate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so as to protrude on both sides.
상기 메인 플레이트는 다수개의 분할판으로 형성되어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댐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ain plat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divider damping damp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separated.
상기 상부 연결 모듈은
상하 양단부가 상기 상부 몸체 및 중앙 몸체의 양면에 각각 밀착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몸체 및 중앙 몸체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 개재되는 마찰 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몸체 및 중앙 몸체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홀을 통해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댐퍼.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upper connection module
A pair of connecting plates whose upper and lower ends are tightly coupled to both surfaces of the upper body and the central body, respectively; And
A friction pad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central body and the connecting plate;
It includes, wherein any one of the upper body and the central body and the connecting plate is a damping dam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lted through the slot hole formed to one side.
상기 슬롯홀은 다수개의 결합 볼트가 각각 관통 결합할 수 있도록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댐퍼.
The method of claim 9,
The slot hole is a damping damp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upling bolts are formed so that each can be coupled through.
상기 슬롯홀은 다수개의 결합 볼트가 모두 관통 결합할 수 있도록 하나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댐퍼.
The method of claim 9,
The slot hole is damping damp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one long so that a plurality of coupling bolts can be coupled through.
상기 상부 몸체 및 중앙 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슬롯홀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형성된 슬롯홀 중 어느 하나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댐퍼.
The method of claim 9,
Damping damper,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slot hole formed in any one of the upper body and the center body and the slot hole formed in the connecting plate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ther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하부 연결 모듈은
상하 양단부가 상기 하부 몸체 및 중앙 몸체의 양면에 각각 밀착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몸체 및 중앙 몸체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 개재되는 마찰 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몸체 및 중앙 몸체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홀을 통해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댐퍼.
The method of claim 9,
The lower connection module
A pair of connecting plates whose upper and lower ends are tightly coupled to both surfaces of the lower body and the central body, respectively; And
Friction pad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and center bodies and the connecting plate
The vibration damper of claim 1, wherein any one of the lower body and the central body and the connection plate are bolted to each other through a slot hole formed to one side.
상기 슬롯홀은 다수개의 결합 볼트가 각각 관통 결합할 수 있도록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댐퍼.
The method of claim 13,
The slot hole is a damping damp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upling bolts are formed so that each can be coupled through.
상기 슬롯홀은 다수개의 결합 볼트가 모두 관통 결합할 수 있도록 하나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댐퍼.
The method of claim 13,
The slot hole is damping damp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one long so that a plurality of coupling bolts can be coupled through.
상기 하부 몸체 및 중앙 몸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슬롯홀과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 형성된 슬롯홀 중 어느 하나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댐퍼.
The method of claim 13,
Damping damper,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slot hole formed in any one of the lower body and the center body and the slot hole formed in the connecting plate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ther is form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상부 연결 모듈의 마찰 패드와 상기 하부 연결 모듈의 마찰 패드에 대한 마찰 계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진 댐퍼.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friction coefficients of the friction pad of the upper connection module and the friction pad of the lower connection modul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5730A KR101402479B1 (en) | 2011-06-09 | 2011-06-09 | Aseismic Damp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5730A KR101402479B1 (en) | 2011-06-09 | 2011-06-09 | Aseismic Dampe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1465A Division KR20140034268A (en) | 2014-02-24 | 2014-02-24 | Aseismic damp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6667A true KR20120136667A (en) | 2012-12-20 |
KR101402479B1 KR101402479B1 (en) | 2014-06-09 |
Family
ID=47903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5730A KR101402479B1 (en) | 2011-06-09 | 2011-06-09 | Aseismic Damp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247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95779A1 (en) * | 2020-04-04 | 2021-10-07 | Kinetica Dynamics Inc. | Dual-phase vibration damping building coupling member with lock-up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5743B1 (en) * | 2015-05-27 | 2016-09-08 | 상신브레이크주식회사 | Complex vibration control device with friction damper |
KR101824790B1 (en) * | 2016-01-11 | 2018-03-15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Concrete reinfored structure and aseismic damping system with the same |
KR101694187B1 (en) | 2016-06-02 | 2017-01-09 | 송호산 | Vibration control damper for Lintel Beam Type |
KR20190066949A (en) * | 2017-12-06 | 2019-06-1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Damping member for earthquake-proof and bridge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40923A (en) * | 1993-02-19 | 1994-08-30 | Mitsui Constr Co Ltd | Base isolation damper |
CN104847031B (en) * | 2007-12-13 | 2017-09-29 | 翁令司工业股份有限公司 | Wall type friction damper |
KR101028234B1 (en) * | 2010-06-22 | 2011-04-11 |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 Hybrid vibr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viscoelasticity and friction |
KR101171628B1 (en) * | 2010-08-06 | 2012-08-06 | 씨티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Multi Point Rolling Friction Damper using Extrusion |
-
2011
- 2011-06-09 KR KR1020110055730A patent/KR101402479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95779A1 (en) * | 2020-04-04 | 2021-10-07 | Kinetica Dynamics Inc. | Dual-phase vibration damping building coupling member with lock-u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2479B1 (en) | 2014-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onstantinou et al. | Experimental and analytical investigation of seismic response of structures with supplemental fluid viscous dampers | |
Chan et al. | Evaluation of yielding shear panel device for passive energy dissipation | |
US5630298A (en) | Shear link energy absorber | |
CN102635176B (en) | Shear yield and bending yield combined type staged soft steel damper | |
KR20140034268A (en) | Aseismic damper | |
KR101402479B1 (en) | Aseismic Damper | |
Saeedi et al. | Seismic assessment of steel frames with triangular-plate added damping and stiffness devices | |
CN202544161U (en) | Shearing and bending combined phased yielding mild steel damper | |
KR101028217B1 (en) | Double steel pipe type hybrid vibr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viscoelasticity and friction | |
Beheshti-Aval et al. | A hybrid friction-yielding damper to equip concentrically braced steel frames | |
Sanati et al. | Performance evaluation of a novel rotational damper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steel frames subjected to lateral excitations | |
US11371241B2 (en) | Damper for energy dissipation | |
KR101028239B1 (en) | Hybrid vibr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viscoelasticity and hysteresis | |
JP2014194116A (en) |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building | |
KR101344813B1 (en) | Coupling structure and method for beam to column connection | |
CN108978924B (en) | Tension-compression loading type mild steel damper with replaceable function | |
KR102142206B1 (en) | Seismic retrofit of existing structue using spring damper and multipoint prestressed cable | |
AlMusbahi et al. | A composite building isolation system for earthquake protection | |
CA2930193C (en) | Polygonal seismic isolation systems | |
WO2013051702A1 (en) | Seismic isolation support device for traveling crane | |
JP7224101B2 (en) | Displacement stopper and seismic isolation building | |
WO2019020991A1 (en) | Building, integrated damping unit, and method of damping | |
KR102194241B1 (en) | Damper of steel pannel type for preventing of buckling | |
Hameed et al. | Seismic performance of low to medium rise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using passive energy dissipation devices | |
Marshall et al. | Dynamic Response of Steel Moment-Frame Structures with Hybrid Passive Control Syste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