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5850A - 주방용 오물분쇄기 - Google Patents
주방용 오물분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35850A KR20120135850A KR1020110055372A KR20110055372A KR20120135850A KR 20120135850 A KR20120135850 A KR 20120135850A KR 1020110055372 A KR1020110055372 A KR 1020110055372A KR 20110055372 A KR20110055372 A KR 20110055372A KR 20120135850 A KR20120135850 A KR 201201358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waste
- water
- sink
- grinding
- kitch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0806 kitchen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오물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싱크대에 오물분쇄기를 장착하여 물과 함께 분쇄하여 싱크대 배수구로 배출하는 장치로서 사용자가 사용상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도록 분쇄 실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한 부분에 상기 분쇄 실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배출관과, 상기 몸체의 개수대의 상부에는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덮개가 결합하고, 상기 분쇄 실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분쇄 실의 내측에 구비되는 분쇄 판을 구동하도록 모터가 내장되며, 상기 분쇄시 내 벽면에는 상기 분쇄 판의 회전에 따른 물의 회전을 차단하여 소용돌이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 길이로 돌출되게 하나 이상의 날개 편이 형성되며, 외부의 배수관의 악취가 싱크대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분쇄 실에 연결 설치되는 배수관에 악취차단트랩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도록 분쇄 실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한 부분에 상기 분쇄 실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배출관과, 상기 몸체의 개수대의 상부에는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를 개폐하도록 덮개가 결합하고, 상기 분쇄 실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분쇄 실의 내측에 구비되는 분쇄 판을 구동하도록 모터가 내장되며, 상기 분쇄시 내 벽면에는 상기 분쇄 판의 회전에 따른 물의 회전을 차단하여 소용돌이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 길이로 돌출되게 하나 이상의 날개 편이 형성되며, 외부의 배수관의 악취가 싱크대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분쇄 실에 연결 설치되는 배수관에 악취차단트랩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방용 오물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의 분쇄시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가 싱크캡(04)으로 투입되고 주방용 오물분쇄기 본체(01)의 상부에 구비된 분쇄회전판에 의하여 분쇄하여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를 배수구로 배출하는 장치로서, 싱크대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바로 처리함과 동시에 기존 싱크대 개수구에는 위생상 불결한 이물질이 개수구에 붙어 있는데 본 주방용 오물분쇄기는 회오리 물살에 의하여 이물질을 물과 함께 배출하여 항상 위생적이며, 사용상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주방의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필요한 경우 작동해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하게 분쇄한 다음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의 개수구 하부에 설치되고,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 판 또는 분쇄 날을 사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한 후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편리하게 처리하도록 하고 있지만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 상태에서 그대로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인하여 하수도관에서 악취나 역한 냄새가 싱크대로 올라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분쇄 실에 연결 설치되는 배수관에 악취차단트랩(05)이 설치하여 하수도관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배출관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악취방지트랩에서 물로 차단하여 항상 청결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편리한
또한, 기존의 음식물처리장치나 본 출원에 선출원한 음식물처리장치의 경우에는 음식물쓰레기 분쇄과정에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 판 또는 분쇄 날이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를 회전시킴에 따라 분쇄 실의 내벽을 타고 치솟아 오르는 현상(소용돌이)이 발생하여 분쇄력이 저하되고 분쇄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분쇄시 분쇄 실의 내벽을 타고 물과 함께 올라온 음식물쓰레기가 싱크대의 상부 일 측면에 구비된 오버플로(물 넘침방지장치)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할 뿐더러,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가 주방용 오물분쇄기에 투입되어야하니 싱크캡이 열린 상태에서는 안전상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물쓰레기의 분쇄 시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가 분쇄 실의 상부로 치솟는 현상을 방지하여 분쇄력의 증가와 분쇄시간을 짧게 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상 편리성을 높이도록 하며,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가 배출관으로 배출할 수 있는 뚜껑을 구비하며, 하수관의 막힘 현상이나 배출관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여 청결하고 위생적인 사용을 도모하며, 음식물쓰레기가 물과 함께 오버플로(over flow)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방용 오물분쇄기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상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먼저 분쇄실 내벽에 크고 작은 다수개의 돌기를 구비하여 물과 음식물쓰레기가 내벽을 타고 치솟아 오르는현상(소용돌이)을 1차로 다수개의 돌기가 방해를 하여 저하하고, 2차로 업퍼바디(02) 상부에 구비된 차단 링(02-2)에서 차단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밑으로 끌어내려 분쇄력을 상승시키고, 분쇄시간을 단축한다,
또한, 악취방지트랩(05)을 주방용 오물분쇄기 본체(01)의 배수관에 연결하여 소용돌이 현상으로 인하여 오버플로(over flow)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배출관으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여 청결하고 위생적인 주방문화를 구현한다.
그리고 주방용 오물분쇄기의 사용시 음식물쓰레기를 물과 함께 배출하여야 물이 윤활유 역할과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하는데 필수이나, 뚜껑 없이 사용시 안전상의 문제와 분쇄시 음식물쓰레기가 튀어 오르는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많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전하고 튀어오르는 현상을 방지하는 뚜껑(11)이 구비된 주방용 오물분쇄기의 구현에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과 함께 공급된 음식물쓰레기를 밑으로 끌어내려 분쇄력을 상승시키고 분쇄시간을 단축하며, 청결하고 위생적인 주방을 위하여 배출관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며, 사용자의 안전과 음식물쓰레기의 튀어오르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퍼바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B"-"B"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C"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퍼바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B"-"B"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뚜껑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C" 단면도.
상기와 같은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정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측면도이다.
업퍼바디(02) 상부와 싱크캡(04) 사이에 싱크대가 구비되고 싱크대 개수구멍 하부에 업퍼바디(02) 상부가 밀착되며, 싱크대 개수구멍 상부에는 싱크캡(04)가 구비되어 업퍼바디(02) 상부 내부에 구비된 나사에 싱크캡(04)의 나사가 체결되어 싱크대에 고정된다.
이때 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업퍼바디(02) 상부에 구비된 홈에 누설방지 링(02-1)이 삽입되어 싱크대 하부의 누설을 방지하며, 싱크대 상부의 누설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싱크캡(04)와 싱크대 사이에 싱크대패킹(03)이 구비되어 싱크대 상부의 누설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주방용 오물분쇄기는 주방용 오물분쇄기본체(01)의 일 측면에 구비된 배수구로 악취방지트랩(05)이 연결되어 분쇄시 발생하는 소용돌이 현상으로 인하여 오버플로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며, 배출관으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여 청결하고 위생적인 주방문화를 구현한다.
악취방지트랩(05)에 구비된 역류방지장치는 오버플로(물 넘침 방지장치)에서 넘치는 물을 한족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분쇄시 역류하는 음식물쓰레기는 고무판(도시생략)이 차단하여 역류를 방지한다.
주방용 오물분쇄기 본체(01)에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물과 함께 악취방지트랩(05)을 통과하여 배수호스(10)를 통해 배수관을 배출되는데 이때 음식물쓰레기가 잘 배출될 수 있도록 윤활유 역할을 하는 물과 함께 흘러보내야 하수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며, 배수관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다.
주방용 오물분쇄기로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 회전판과 회전날개의 원심력에 의하여 음식물쓰레기는 물과 함께 분쇄실 내벽을 타고 치솟아오르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현상은 업퍼바디(02)의 하부에 위치한 회전판과 회전날개에 의한 분쇄력을 저하하고, 분쇄시간 또한 연장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쇄실 내 벽면에 형상이 다른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물과 음식물쓰레기의 치솟아오르는 현상을 방해하여 아래로 끌어내리고, 다수개의 돌기를 통과한 물과 음식물쓰레기는 돌기의 상부에 형성된 차단 링(02-2)에 의하여 상승을 차단하여 아래로 떨어트려 회전판과 회전날개에 의하여 분쇄가 이러지도 록 한다.
주방용 오물분쇄기의 작동시 싱크캡(04)에 뚜껑이 구비되지 않으면 분쇄시 음식물쓰레기가 밖으로 튀어오르는 현상과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을뿐더러 분쇄소음이 밖으로 나와 정숙한 운전에 방해가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이 통과되는 뚜껑이 구비되어야하는데 분쇄시 소용돌이 현상에 의하여 음식물쓰레기가 분쇄실 벽면을 타고 치솟아오르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쇄실 내부벽면에 다수개의 돌기가 있어 소용돌이 현상을 방해하며, 그래도 치솟아오르는 음식물쓰레기는 분쇄 실 상부에 위치한 차단 링(02-2)에 의하여 밑으로 끌어내리는 효과를 발휘해 분쇄력을 높이고 분쇄시간을 단축하는 구실을 한다.
차단 링(02-2)을 통과한 음식물쓰레기는 차단 링(02-2)의 상부에 모이게 되는데 이때 뚜껑(11)의 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구멍("나")을 통하여 유입된 물에 의하여 밑으로 떨어지게 되고, 인입된 물의 양이 많을 때에는 중앙의 구멍("가")을 통해 떨어지게 된다. (도 7, 도 8 참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형성된 뚜껑(11)은 먼저 차단 링(02-2) 상부에 올라온 음식물쓰레기를 다수개의 구멍("가")을 통하여 다시 밑으로 떨어트리고, 분쇄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의 튀어오르는 현상을 방지하며,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 도 6 참조)
주방용 오물분쇄기의 사용시 회전판이나 회전날개(도시생략)에 탁탁한 물질이 걸렸거나 모터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모터가 정지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회전판이나 회전날개의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주방용 오물분쇄기 본체(01) 하부의 과열방지스위치(06)를 눌러 다시 접점을 붙이고, 모터의 열을 식힌 다음 발판스위치(07)을 눌러 재가동시키면 된다. (도 1 참조)
01: 주방용 오물분쇄기 본체
02: 업퍼바디
02-1: 누설방지 링
02-2: 차단 링
03: 싱크대 패킹
04: 싱크캡
05: 악취방지트랩
06: 과열방지스위치
07: 발판스위치
08: 전원코드
09: 전선커넥터
10: 배수호스
11: 뚜껑
02: 업퍼바디
02-1: 누설방지 링
02-2: 차단 링
03: 싱크대 패킹
04: 싱크캡
05: 악취방지트랩
06: 과열방지스위치
07: 발판스위치
08: 전원코드
09: 전선커넥터
10: 배수호스
11: 뚜껑
Claims (4)
- 음식물쓰레기의 분쇄시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가 분쇄 실의 상부로 치솟는 현상을 방지하여 분쇄력의 증가와 분쇄시간을 짧게 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상 편리성을 높이도록 하며,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가 배출관으로 배출할 수 있는 뚜껑을 구비하며, 하수관의 막힘 현상이나 배출관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여 청결하고 위생적인 사용을 도모하며, 음식물쓰레기가 물과 함께 오버플로( over flow)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주방용 오물분쇄기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오물분쇄기.
- 제 1항에 있어서
주방용 오물분쇄기로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 회전판과 회전날개의 원심력에 의하여 음식물쓰레기는 물과 함께 분쇄실 내벽을 타고 치솟아오르는 현상을 차단하도록 분쇄실 내 벽면에 형상이 다른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물과 음식물쓰레기의 치솟아오르는 현상을 방해하여 아래로 끌어내리고, 다수개의 돌기를 통과한 물과 음식물쓰레기는 돌기의 상부에 형성된 차단 링(02-2)에 의하여 상승을 차단하여 아래로 떨어트려 회전판과 회전날개에 의하여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오물분쇄기. - 제 1항에 있어서
뚜껑(11)의 측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구멍("나")을 통하여 유입된 물에 의하여 밑으로 떨어지게 되고, 인입된 물의 양이 많을 때에는 중앙의 구멍("가")을 통하여 다시 밑으로 떨어트리고, 분쇄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의 튀어오르는 현상을 방지하며,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오물분쇄기 - 제 1항에 있어서
악취방지트랩(05)에 구비된 역류방지장치는 오버플로(물 넘침 방지장치)에서 넘치는 물을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분쇄시 역류하는 음식물쓰레기는 고무판(도시생략)이 차단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오물분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5372A KR20120135850A (ko) | 2011-06-07 | 2011-06-07 | 주방용 오물분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5372A KR20120135850A (ko) | 2011-06-07 | 2011-06-07 | 주방용 오물분쇄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5850A true KR20120135850A (ko) | 2012-12-17 |
Family
ID=4790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5372A Withdrawn KR20120135850A (ko) | 2011-06-07 | 2011-06-07 | 주방용 오물분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3585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28130A (zh) * | 2016-05-17 | 2016-07-06 | 滕文彪 | 一种全自动厨卫垃圾处理器 |
CN110485518A (zh) * | 2019-08-08 | 2019-11-22 | 广东顺德厨彩生活电器有限公司 | 一种厨房垃圾处理器的三通排水管件 |
-
2011
- 2011-06-07 KR KR1020110055372A patent/KR20120135850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28130A (zh) * | 2016-05-17 | 2016-07-06 | 滕文彪 | 一种全自动厨卫垃圾处理器 |
CN105728130B (zh) * | 2016-05-17 | 2017-12-08 | 滕文彪 | 一种全自动厨卫垃圾处理器 |
CN110485518A (zh) * | 2019-08-08 | 2019-11-22 | 广东顺德厨彩生活电器有限公司 | 一种厨房垃圾处理器的三通排水管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597021B2 (ja) | 生ゴミ粉砕処理装置 | |
KR101413883B1 (ko) |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 |
KR100845540B1 (ko) |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 | |
KR101444621B1 (ko) |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10029860A (ko) | 멀티 고정 분쇄 칼날이 구비된 디스포저 | |
CN202933754U (zh) | 食物垃圾处理器 | |
KR200440415Y1 (ko) |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분쇄처리장치 | |
CN110984315A (zh) | 一种智能磨盘式垃圾处理机及其操作方法 | |
CN106996127A (zh) | 一种食物垃圾粉碎机 | |
KR101191339B1 (ko) | 디스포저 | |
KR20120134896A (ko) | 음식물 분쇄 배수장치 | |
KR20120135850A (ko) | 주방용 오물분쇄기 | |
KR101301569B1 (ko) | 이중 분쇄날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장치 | |
KR101309951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40144591A (ko) | 음식물 처리장치 | |
CN204564253U (zh) | 一种垃圾破碎处理器 | |
KR20100024461A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40044843A (ko) | 음식물 쓰레기 분쇄 배출 설비 | |
JP3849003B2 (ja) | 圧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送装置付き便器 | |
CN204672364U (zh) | 一种小型垃圾破碎处理器 | |
KR20130003335U (ko) | 싱크대설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CN108272422B (zh) | 一种洗碗机的自动碎渣结构 | |
CN209144932U (zh) | 一种垃圾处理器 | |
CN213390397U (zh) | 一种厨余垃圾处理器的排渣结构 | |
CN212576459U (zh) | 一种家用垃圾处理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