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694A - 책 받침대 - Google Patents

책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694A
KR20120129694A KR1020110048139A KR20110048139A KR20120129694A KR 20120129694 A KR20120129694 A KR 20120129694A KR 1020110048139 A KR1020110048139 A KR 1020110048139A KR 20110048139 A KR20110048139 A KR 20110048139A KR 20120129694 A KR20120129694 A KR 20120129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bile device
book
groov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푸르름
Original Assignee
신푸르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푸르름 filed Critical 신푸르름
Priority to KR1020110048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9694A/ko
Publication of KR20120129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023/049Desk stand for laptop compu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책 받침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책 받침대는, 책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받침부; 상기 책의 밑부분을 지지하도록 상기 받침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밑판부; 상기 받침부의 경사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받침부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받침부에 모바일 기기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받침부의 측면에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노출되며 전면에 상기 모바일 기기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안착홈이 마련되는 회전판; 및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는 거치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책 받침대{BOOK STAND}
본 발명은 책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나 전자사전 등의 모바일 기기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하고 모바일 기기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책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 받침대는 사용자가 좀 더 편안한 자세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책을 비스듬하게 기대어 놓을 수 있는 물품이다. 이러한 책 받침대는 읽고 있는 책장이 임의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책의 밑부분을 받치는 받침부의 전단면 양측에 책장 가압구가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책 받침대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책 받침대(10)는 책을 받치는 받침판(12)과, 책의 밑부분을 지지하도록 받침판(12)의 하부에 결합되는 밑판(14)과, 받침판(12)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16)를 포함한다. 한편, 지지대(16)는 받침판(12)의 배면에 다수의 걸림홈(13A)을 갖도록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는 걸림부(13)에 걸림됨으로써 받침판(12)의 경사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독서 또는 학습시 시선과 책의 경사도를 조절하여 바른 자세로 장시간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책 받침대는 스마트폰이나 전자사전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장착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독서 또는 학습 중에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시 사용자의 시선 이동이 빈번해지고, 이에 따라 독서 또는 학습의 집중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정보 검색시 사용자의 시선은 책 받침대와 일정거리 떨어진 스마트폰이나 전자사전으로 이동함에 따라 시선의 이동이 빈번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독서 또는 학습 중에 어학 학습이나 음악감상을 하는 경우 해당 음향이 모바일 기기에서 직접 출력됨에 따라 책 받침대의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폰이나 전자사전 등의 모바일 기기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하고 모바일 기기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책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책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받침부; 상기 책의 밑부분을 지지하도록 상기 받침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밑판부; 상기 받침부의 경사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받침부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받침부에 모바일 기기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받침부의 측면에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노출되며 전면에 상기 모바일 기기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안착홈이 마련되는 회전판; 및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는 거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받침대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안착홈에는, 양측 내벽에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판에는, 상단부 양측에 표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거치판은 상기 회전판이 상기 받침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도록 연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은, 상기 받침부의 내부에 수용된 뒤 상기 수용홈에서 임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홈의 내면에 탄성으로 밀착되는 볼 스톱퍼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받침부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회전판을 잡고 꺼낼 수 있도록 개방부의 양측에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손가락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밑판부는,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모바일 기기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의 폭은, 상기 모바일 기기와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책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받침부; 상기 책의 밑부분을 지지하도록 상기 받침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밑판부; 상기 받침부의 경사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받침부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받침부에 모바일 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받침부의 배면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받침부의 측면에 힌지부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려는 경우 상기 받침부의 접혀진 위치에서 상기 받침부와 평행하도록 회전되어 펼쳐진 뒤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보조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받침대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받침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를 삽입시켜 거치할 수 있도록 전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모바일 기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받침부의 측면과 상기 보조 받침부의 일측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자력으로 접합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자석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받침부의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용홈에서 받침부의 측면 외부로 노출된 뒤 모바일 기기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를 갖는 책 받침대를 제공함으로써, 독서 또는 학습 중에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시선의 이동을 최소화하면서도 편의성을 높이고 독서 및 학습에 따른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의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가 마련됨으로써, 어학 학습이나 음악감상에 따른 음향을 출력이 가능하여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책 받침대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책 받침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책 받침대의 받침부에서 출몰되는 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책 받침대의 거치부에 마련되는 볼 스톱퍼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책 받침대의 거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책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책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 받침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책 받침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책 받침대의 받침부에서 출몰되는 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책 받침대의 거치부에 마련되는 볼 스톱퍼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책 받침대의 거치부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책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 받침대(1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받침부(110)와, 책의 밑부분을 지지하도록 받침부(1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밑판부(120)와, 받침부(110)의 경사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130)와, 받침부(110)에 모바일 기기(M)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거치부(140)를 포함한다.
받침부(110)는, 책 받침대(100)의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며 수용홈(112)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수용홈(112)은, 받침부(110)의 내부에 후술하는 거치부(140)를 수용한 뒤 필요에 따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며 손가락 삽입홈(114)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즉, 수용홈(112)은 거치부(140)를 수용하거나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받침부(110)의 측면에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수용홈(112)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받침부(110)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형성된다. 즉, 수용홈(112)은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일 경우에 받침부(110)의 우측면에 형성되며 왼손잡이일 경우에 받침부(110)의 좌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손가락 삽입홈(114)은, 받침부(110)의 수용홈(112)에 수용된 거치부(140)를 노출시 손가락으로 잡아서 꺼낼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손가락 삽입홈(114)은 거치부(140)를 중심으로 수용홈(112)의 개방되는 양측영역에 위치하도록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에 사용자는 손가락 삽입홈(114)으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거치부(140)를 잡을 수 있게 됨으로써 받침부(110)의 수용홈(112)으로부터 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손가락 삽입홈(114)에 의해 수용홈(112)에 수용된 거치부(140)의 회전판(142)을 쉽게 잡을 수 있는 것이다.
밑판부(120)는, 책의 밑부분을 지지하도록 받침부(11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며 모바일 기기(M)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122)가 마련된다.
즉, 밑판부(120)는 받침부(110)의 하부에 힌지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받침부(110)에 의해 지지되는 책의 밑부분을 지지하도록 한다.
스피커(122)는, 거치부(140)에 장착되는 모바일 기기(M)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밑판부(120)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가 결합된다. 이러한 스피커(122)는 모바일 기기(M)와 연결케이블(도면에 미도시)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즉, 밑판부(120)는 외부에 연결케이블이 접속될 수 있는 케이블 접속단자(124)가 형성되며 내부에 연결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모바일 기기(M)의 음향신호를 스피커(122)로 출력하기 위한 다양한 회로구성(도면에 미도시)이 마련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회로구성은 모바일 기기(M)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스피커(122)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회로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미 당업자에 의해 널리 실시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미 설명부호 ‘126’는 밑판부(120)의 전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책장 가압구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책장 가압구(126)는 받침부(110)로 받쳐지는 책의 책장이 임의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부(130)는, 받침부(110)의 경사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받침부(11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부(130)는 받침부(110)의 배면에 다수의 걸림홈을 갖도록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도면에 미도시)에 걸림됨으로써 받침부의 경사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거치부(140)는, 받침부(110)에 모바일 기기(M)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는 마련되는 구성으로, 회전판(142)과, 회전판(142)에 결합되는 거치판(148)을 포함한다.
이때, 거치부(140)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되는 모바일 기기(M)는 스마트폰이나 전자사전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142)은, 받침부(110)의 수용홈(11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수용홈(112)에 힌지부(143)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에 안착홈(144) 및 볼 스톱퍼(146)가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회전판(142)은 힌지부(143)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용홈(112)에 수용되며 모바일 기기(M)의 거치시 수용홈(112)으로부터 노출된다.
안착홈(144)은, 회전판(142)의 전면에 모바일 기기(M)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안내홈(145)이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안착홈(144)은 회전판(142)의 전면에 모바일 기기(M)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때, 안착홈(144)의 폭은 모바일 기기(M)와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모바일 기기(M)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안내홈(145)은, 안착홈(144)의 양측 내벽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를 갖도록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며 후술하는 거치판(148)의 연직 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볼 스톱퍼(146)는, 수용홈(112)에 수용된 회전판(142)이 임의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회전판(142)의 내부에서 전면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수용홈(112)의 내벽에 밀착되는 볼(146A)과, 볼(146A)을 탄성 지지하도록 회전판(142)의 내부에 결합되는 스프링(146B)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볼 스톱퍼(146)는 회전판(142)이 받침부(110)의 수용홈(112)으로 수용된 뒤 스프링(146B)의 탄성력으로 볼(146A)을 수용홈(112)의 내벽에 강하게 밀착시킴으로써 회전판(142)이 수용홈(112)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노출될 때를 제외하고 임의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거치판(148)은, 회전판(142)에 탈착 가능하게 안착되는 모바일 기기(M)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안착홈(144)의 내부에 연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며 상단부 양측에 안내홈(145)에 삽입되는 안내돌기(149)가 마련되는 구성이다.
거치판(148)은, 안착홈(144)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모바일 기기(M)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대략 ‘ㄴ’자 단면을 갖는 평판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거치판(148)은 후술하는 안내돌기(149)에 의해 회전판(142)의 안착홈(144)에 연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된다.
안내돌기(149)는, 거치판(148)을 안착홈(144)의 연직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거치판(148)의 상단부 양측에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돌기(149)는 안착홈(144)에 마련된 안내홈(145)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거치부(140)는 회전판(142)이 받침부(110)의 수용홈(112)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 거치판(148)이 사용자의 외력 또는 자중에 의해 안착홈(144)의 내부에서 연직 방향으로 이동되어 모바일 기기(M)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며 이에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M)를 회전판(142)의 안착홈(144)에 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 받침대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 받침대(100)는 모바일 기기(M)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140)가 받침부(110)의 내부로 수용되거나 또는 받침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 받침대(100)에 독서 또는 학습시 정보 검색을 위해 모바일 기기(M)를 거치하려는 경우, 받침부(110)의 측면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홈(114)으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회전판(142)을 잡고 당기게 되면, 회전판(142)이 힌지부(143)에 의해 수용홈(112)에서 받침부(110)의 외부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거치부(140)는 모바일 기기(M)를 거치할 수 있도록 받침부(110)의 측면으로 노출된다.
거치부(140)가 노출되면, 안착홈(144)에 거치되는 모바일 기기(M)의 안착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안착홈(144)에서 거치판(148)을 연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거치판(148)은 회전판(142)이 수용홈(112)으로부터 노출되면 안착홈(144)에 결합된 상태에서 연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전환된 뒤 안내홈(145) 및 안내돌기(149)에 의해 연직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이동되어 안착홈(144)에 거치되는 모바일 기기(M)의 안착공간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거치판(148)의 연직 방향 이동은 안내돌기(149)가 안내홈(145)을 따라 안내될 수 없을 때까지 계속 진행되며, 안내돌기(149)가 거치판(148)의 이동에 의해 안내홈(145)의 하단부에 걸림되면 멈추게 된다.
즉, 거치판(148)은 모바일 기기(M)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도록 안착홈(14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직 방향으로 이동된 뒤 안내돌기(149)가 안내홈(145)의 하단부에 걸림되어 멈추게 되는 것이다.
거치판(148)의 모바일 기기(M)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도록 회전판(142)의 안착홈(144)에서 연직 방향으로 이동되면, 모바일 기기(M)를 안착홈(144)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모바일 기기(M)의 하단부는 거치판(148)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모바일 기기(M)가 안착홈(144)에 안착된 뒤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책 받침대(100)는, 받침부(110)의 수용홈(112)에 수용된 상태에서 힌지부(143)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용홈(112)에서 받침부(110)의 측면 외부로 노출된 뒤 모바일 기기(M)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거치부(140)에 의하여, 독서 또는 학습 중에 모바일 기기(M)를 거치하여 원하는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시선의 이동을 최소화하면서도 편의성을 높이고 독서 및 학습에 따른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책 받침대(100)는 밑판부(120)에 모바일 기기(M)의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122)가 마련됨으로써, 어학 학습이나 음악감상에 따른 음향을 출력이 가능하여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책 받침대(10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독서 또는 학습시 필요한 연필꽃이, 시계, 방향제 등과 같은 구성이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활용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 받침대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책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 받침대(2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받침부(210)와, 책의 밑부분을 지지하도록 받침부(2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밑판부(220)와, 받침부(210)의 경사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230)와, 받침부(210)에 모바일 기기(M)를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거치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받침부(210), 밑판부(220) 및 지지부(2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이므로 이하에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다만 본 실시예의 받침부(210)는 일 실시예의 받침부(110)에서 제시되는 수용홈(112) 및 손가락 삽입홈(114)이 삭제된다.
거치부(240)는, 받침부(210)에 모바일 기기(M)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는 구성이며, 받침부(210)의 측면에 절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보조 받침부(242)를 포함한다.
보조 받침부(242)는, 받침부(210)의 측면에 힌지부(243)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며, 모바일 기기(M)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44)이 마련된다. 이러한 보조 받침부(242)는 힌지부(243)에 의해 받침부(210)의 배면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모바일 기기(M)를 거치하려는 경우 받침부(210)의 접혀진 위치로부터 받침부(210)와 평행하도록 회전되어 펼쳐진 뒤 고정부(246)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삽입홈(244)은, 보조 받침부(242)에 모바일 기기(M)를 삽입시켜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보조 받침부(242)의 전면에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때, 삽입홈(244)은 모바일 기기(M)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모바일 기기(M)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246)는, 받침부(210)로부터 펼쳐진 보조 받침부(242)를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받침부(210)의 측면과 보조 받침부(242)의 일측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자석으로 형성된다.
즉, 고정부(246)는 보조 받침부(242)가 모바일 기기(M)의 거치를 위해 받침부(210)와 평행하도록 회전되어 펼쳐지는 경우 자력에 의해 상호 접합되어 받침부(210)의 측면에 보조 받침부(242)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책 받침대(200)는, 모바일 기기(M)를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거치부(240)가 받침부(210)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작용 및 효과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책 받침대(20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또 다른 실시예로써, 모바일 기기(M)를 거치하도록 마련되는 거치부(240)가 받침부(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즉, 거치부(240)는 받침부(2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동 또는 자동 조작에 의해 받침부(210)의 측면으로 슬라이딩 노출된 뒤 모바일 기기(M)를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는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받침부 112: 수용홈
114: 손가락 삽입홈 120: 밑판부
122: 스피커 124: 케이블 접속단자
130: 지지부 140: 거치부
142: 회전판 143: 힌지부
144: 안착홈 145: 안내홈
146: 볼 스톱퍼 148: 거치판
149: 안내돌기

Claims (10)

  1. 책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받침부;
    상기 책의 밑부분을 지지하도록 상기 받침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밑판부;
    상기 받침부의 경사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받침부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받침부에 모바일 기기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받침부의 측면에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노출되며 전면에 상기 모바일 기기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안착홈이 마련되는 회전판; 및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는 거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에는,
    양측 내벽에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판에는,
    상단부 양측에 표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거치판은 상기 회전판이 상기 받침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안착공간을 제공하도록 연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받침부의 내부에 수용된 뒤 상기 수용홈에서 임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수용홈의 내면에 탄성으로 밀착되는 볼 스톱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받침부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회전판을 잡고 꺼낼 수 있도록 개방부의 양측에 표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손가락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부는,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모바일 기기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받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폭은, 상기 모바일 기기와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받침대.
  8. 책을 받치도록 형성되는 받침부;
    상기 책의 밑부분을 지지하도록 상기 받침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밑판부;
    상기 받침부의 경사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받침부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받침부에 모바일 기기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받침부의 배면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받침부의 측면에 힌지부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려는 경우 상기 받침부의 접혀진 위치에서 상기 받침부와 평행하도록 회전되어 펼쳐진 뒤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보조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받침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받침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를 삽입시켜 거치할 수 있도록 전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모바일 기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받침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받침부의 측면과 상기 보조 받침부의 일측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자력으로 접합되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 받침대.
KR1020110048139A 2011-05-20 2011-05-20 책 받침대 KR20120129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139A KR20120129694A (ko) 2011-05-20 2011-05-20 책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139A KR20120129694A (ko) 2011-05-20 2011-05-20 책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694A true KR20120129694A (ko) 2012-11-28

Family

ID=4751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139A KR20120129694A (ko) 2011-05-20 2011-05-20 책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96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9772A (zh) * 2014-07-25 2014-10-01 滁州开关电器科技有限公司 组合式扫描仪
CN105549221A (zh) * 2016-02-16 2016-05-04 侯绪华 多功能眼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9772A (zh) * 2014-07-25 2014-10-01 滁州开关电器科技有限公司 组合式扫描仪
CN105549221A (zh) * 2016-02-16 2016-05-04 侯绪华 多功能眼镜
CN105549221B (zh) * 2016-02-16 2019-02-05 浙江誉博眼镜有限公司 多功能眼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2028B2 (en) Wristwatch type smart terminal
US20150011265A1 (en) Support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101615329B1 (ko) 보조 독서판이 구비된 독서대
US11226656B2 (en) Computer
KR200466549Y1 (ko) 단말기용 핑거 홀더
KR20120129694A (ko) 책 받침대
KR20190055449A (ko)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KR20170003621U (ko) Nfc 카드 수납용 카세트를 갖는 가상 현실 헤드셋
KR20140058852A (ko) 다기능 받침대로 활용 가능한 독서대
KR200488893Y1 (ko) 태블릿 내장형 거치대
KR200476235Y1 (ko) 휴대폰 케이스
JPH10136071A (ja) 卓上機器用筐体の角度調節装置
JP2002199560A (ja) 配線装置
KR200476126Y1 (ko) 접이식 일체 독서대
KR200390084Y1 (ko) 일체형컴퓨터 거치대
KR101946952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54084Y1 (ko) 독서대를 구비한 책상
KR20080102916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독서대
KR200485571Y1 (ko) 사물 거치홈이 형성된 협탁
KR101406384B1 (ko) 디스플레이 탈부착 독서대
KR20150136758A (ko) 인출입이 용이한 책꽂이
KR20200114833A (ko) 휴대 단말기용 우퍼 거치대
KR102253375B1 (ko)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CN214896608U (zh) 一种便捷式英语翻译器
CN215773217U (zh) 一种多功能手机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