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0691A -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0691A
KR20120120691A KR1020110038423A KR20110038423A KR20120120691A KR 20120120691 A KR20120120691 A KR 20120120691A KR 1020110038423 A KR1020110038423 A KR 1020110038423A KR 20110038423 A KR20110038423 A KR 20110038423A KR 20120120691 A KR20120120691 A KR 20120120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rum
carrier
handl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0051B1 (ko
Inventor
권기두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8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051B1/ko
Publication of KR20120120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3/1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 being of cylindrical shape, e.g. barrels, buckets, dust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2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elastically mounted, e.g. for wheelbarr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02Cylindrically-shaped articles, e.g. drums, barrels, fl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산업현장에서 드럼통의 이동작업이 캐리어 구조체를 이용하여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에서 쌍을 이루며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수직프레임(10)과; 상기 수직프레임(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승강축(20)과; 상기 승강축(20)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 구성되며, 드럼통(1) 상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반원형상을 이루는 상부 지지대(21)와; 상기 상부 지지대(21)와 수직프레임(10)을 연결하며 구성된 제1스프링(22)과;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하부에 연결 구성되며, 드럼통(1) 하부를 지지하도록 반원형상을 이루는 하부 지지대(30)와; 상기 수직프레임(10)과 하부 지지대(30)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3)과; 상기 연결프레임(13)에 구성된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작동핸들(40)과; 상기 작동핸들(40)의 선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승강축(20)의 하단부를 받쳐주는 받침플레이트(42)와; 상기 받침플레이트(42)와 하부 지지대(30)를 연결하며 구성된 제2스프링(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A CARRIER STRUCTURE FOR DRUM MOVING}
본 발명은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통의 위치이동이 1인 작업자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용 캐리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통은 유류 등을 담아 보관하거나 운송할 수 있는 용기로서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드럼통의 크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달리 제작될 수 있으며, 보통 200리터(L) 용적용 드럼통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럼통은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하부가 밀폐된 원통 형상을 갖고있으며, 상부에는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와 함께 이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이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한편, 종래에 이러한 드럼통을 사용 목적지까지 운반해야 할 경우, 드럼통의 무거운 무게 때문에 드럼통을 눕혀서 굴리거나 또는 다수의 운반자가 힘을 합쳐 들어올린 후 평면 운반 플레이트 상에 올려 운반하는 작업을 거쳤다.
그러나, 종래에 드럼통 운반 플레이트는 평면 형태의 플레이트로서 드럼통을 적재시 다수의 인력이 필요하거나 적재한 후에도 목적지로의 이동시에 드럼통이 넘어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드럼통 운반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1인의 작업자가 드럼통의 이동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동용 캐리어 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드럼통 이동이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캐리어는, 양측에 쌍을 이루며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 상부에 일체로 연결 구성되며, 드럼통 상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반원형상을 이루는 상부 지지대와; 상기 상부 지지대와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며 구성된 제1스프링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구성되며, 드럼통 하부를 지지하도록 반원형상을 이루는 하부 지지대와; 상기 수직프레임과 하부 지지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구성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작동핸들과; 상기 작동핸들의 선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승강축의 하단부를 받쳐주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와 하부 지지대를 연결하며 구성된 제2스프링과; 상기 하부 지지대에 구성된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핸들 일측에는 보조핸들(50)이 함께 구비되며, 상기 보조핸들 선단부에는 체결핀이 구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 또는 하부 지지대에는 상기 체결핀이 삽입 지지되어 질 수 있도록 삽입통공이 형성된 지지프레임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캐리어 구조체를 이용하여 1인 작업자가 드럼통의 이동작업을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드럼통을 기울이지 않고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안정적인 수평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내용물의 흔들림 및 외부충격 발생을 최소화하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이동용 캐리어의 작동전 측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 이동용 캐리어의 상승 동작시 측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 이동용 캐리어의 작동전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이동용 캐리어의 상승 동작시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보조핸들 탄성지지구 개략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상부 지지대 평면 구조도.
도 8은 도 7의 A-A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캐리어의 드럼통 거치전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캐리어의 드럼통 거치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 구조를 살펴보면, 2개의 수직프레임(10)이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구성되고, 수직프레임(10) 내부에는 승강축(20)이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져 있으며, 승강축(20) 상단부에는 반원형상의 상부 지지대(21)가 구비되었다. 특히, 상부 지지대(21)에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드럼통(1) 상단 테두리부(2)를 안정적으로 받쳐주기 위한 받침턱(23)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개소에 돌출 형성되었다.
그리고, 수직프레임(10) 하부에는 역시 반원형상을 이루는 하부 지지대(30)가 구비되었으며, 하부 지지대(30)는 아치형상을 이루는 연결프레임(13)에 의해 수직프레임(10)과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편, 연결프레임(13)에는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작동핸들(40)이 연결 구성되었으며, 작동핸들(40)의 선단부에는 승강축(20)의 하단부를 받쳐주는 받침플레이트(42)가 구비되었고, 받침플레이트(42)는 제2스프링(43)에 의해 하부 지지대(30)와 연결구성되어 일정 탄성 지지력이 가해진다.
그리고, 작동핸들(40)을 따라 일측에는 보조핸들(50)이 자전거용 브레이크 핸들과 같은 형태로 함께 구비되며, 보조핸들(50) 선단부에는 체결핀(51)이 구성되고, 연결프레임(13) 또는 하부지지대(30)에는 상기 체결핀(51)이 삽입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삽입통공(12)이 형성된 지지프레임(11)이 구성되었다.
이와 함께, 작동핸들(40)에는 보조핸들(5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52)가 도 6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고정 구성되며, 보조핸들(50)에는 걸림턱(54)이 구성되고, 보조핸들(50)에는 지지구(52)와 걸림턱(54) 사이에서 압착되어 걸림턱(54)을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제3스프링(53)이 구비되었다. 작동핸들(40)에는 보조핸들(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함께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파이프형태의 가이드관(미도시)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 지지대(30)에는 앞쪽 2개 뒷쪽 1개의 이동바퀴(60,61)가 각각 구비됨으로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부 지지대(21) 및 하부 지지대(30)는 작업 대상물인 드럼통(1)과 동일한 구경의 규격으로 제작되어 지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4는 손잡이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캐리어를 이용한 드럼통 이동작업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가 작동핸들(40)의 손잡이부(44)를 잡고 캐리어를 작업 대상물인 드럼통(1)으로 근접 이동시켜 도 9에서와 같이 드럼통(1)이 상부 지지대(21) 및 하부 지지대(30)에 밀착되어 지도록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부 지지대(21)에 형성된 받침턱(23)은 도 8에서와 같이 드럼통(1)의 테두리부(2) 내측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동핸들(40)을 도 3 및 도 10에서와 같이 하향으로 당겨주게 되면 도 5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작동핸들(40)이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회동 되면서 받침플레이트(42)가 승강축(20)의 하단부를 밀어올려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축(20) 상단부에 일체로 결합되어져 있는 상부 지지대(21)가 함께 상승하게 됨으로써 상부 지지대(21)에 걸려져 있는 드럼통(1)이 도 10에서와 같이 상승 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작동핸들(40) 일측에 지지되어지고 있는 보조핸들(50)이 작동핸들(40)과 함께 회동되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회동과정에서 체결핀(51)이 지지프레임(11)의 삽입통공(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이르게 되면 보조핸들(50)은 제3스프링(53)의 탄성 작용력이 계속적으로 작용되는 상태이므로, 이러한 탄성 작용력에 의해 체결핀(51)이 삽입통공(12)에 삽입되어 작동핸들(40)의 회동된 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동핸들(40)을 밀어서 본 발명 캐리어를 이동시킴으로서 드럼통(1)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동이 완료되면 작동핸들(40)을 원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 드럼통(1)을 지면에 하강 안착시킴으로써 이동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즉, 이때에는 작업자가 보조핸들(50)을 당겨줌으로써 선단부의 체결핀(51)이 지지프레임(11)의 삽입통공(12)으로 부터 이탈되어지도록 하여 고정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면 드럼통(1)의 자중이 작용하여 승강축(20)이 받침플레이트(42)를 눌러주게 되고, 따라서 작동핸들(40)이 회동축(41)을 축으로 하여 원위치로 회동되어 지게 되고, 이때 승강축(20)과 상부 지지대(21)가 하강되어 짐으로써 드럼통(1)의 지면 안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캐리어 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1인의 작업자가 드럼통을 보다 안전하면서 쉽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 : 드럼통 2 : 테두리부
10 : 수직프레임 11 : 지지프레임
12 : 삽입통공 13 : 연결프레임
20 : 승강축 21 : 상부 지지대
22 : 제1스프링 23 : 받침턱
30 : 하부 지지대 40 : 작동핸들
41 : 회동축 42 : 받침플레이트
43 : 제2스프링 44 : 손잡이부
50 : 보조핸들 51 : 체결핀
52 : 지지구 53 ; 제3스프링
54 : 걸림턱 60,61 : 이동바퀴

Claims (5)

  1. 양측에서 쌍을 이루며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 상단부에 일체로 연결 구성되며, 드럼통 상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반원형상을 이루는 상부 지지대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연결 구성되며, 드럼통 하부를 지지하도록 반원형상을 이루는 하부 지지대와;
    상기 수직프레임과 하부 지지대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구성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작동핸들과;
    상기 작동핸들의 선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승강축의 하단부를 받쳐주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에 구성된 이동바퀴;
    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핸들 일측에는 보조핸들이 함께 구비되며, 상기 보조핸들 선단부에는 체결핀이 구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 또는 하부 지지대에는 상기 체결핀이 삽입 지지되어질 수 있도록 삽입통공이 형성된 지지프레임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핸들에는 보조핸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가 구성되며, 상기 보조핸들에는 걸림턱이 구성되고, 상기 보조핸들에는 지지구와 걸림턱 사이에서 압착되어 걸림턱을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제3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대에는 드럼통 상단 테두리부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턱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개소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대와 수직프레임에는 제1스프링이 연결 구성되었으며, 상기 받침플레이트와 하부 지지대에는 제2스프링이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
KR1020110038423A 2011-04-25 2011-04-25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 KR101270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423A KR101270051B1 (ko) 2011-04-25 2011-04-25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423A KR101270051B1 (ko) 2011-04-25 2011-04-25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691A true KR20120120691A (ko) 2012-11-02
KR101270051B1 KR101270051B1 (ko) 2013-05-31

Family

ID=4750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423A KR101270051B1 (ko) 2011-04-25 2011-04-25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0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61534A (zh) * 2013-11-27 2014-03-26 茅鸿勇 推车车轮的万向与定向移动的自动转换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705B1 (ko) * 2018-03-30 2019-07-31 (주)현민 가스통 운반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61534A (zh) * 2013-11-27 2014-03-26 茅鸿勇 推车车轮的万向与定向移动的自动转换机构
CN103661534B (zh) * 2013-11-27 2017-01-04 宁波海曙天华产品设计有限公司 推车车轮的万向与定向移动的自动转换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051B1 (ko) 201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91065B (zh) 一种安全可靠的抱桶倾倒装置
JP2020175165A (ja) 手提げ工具箱
US20130094928A1 (en) Barrel truck
KR101683231B1 (ko) 압력용기용 캐리어
JP3190760U (ja) 携帯式多用途収納箱
US8695736B1 (en) Bin moving assembly
KR101270051B1 (ko)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
KR200439624Y1 (ko) 가스탱크 운반대차
JP2016022943A (ja) 引き寄せハンドル方式のフォルディング構造を有するパレット運搬装置
CN207361703U (zh) 绳带式液压圆桶叉车
KR200465595Y1 (ko) 집진통 결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청소기
KR20130138437A (ko) 이동식 수동 테이블 리프트
CN210338811U (zh) 一种物流储运箱
JP3180446U (ja) 自転車用折り畳みリヤカー
CN208615966U (zh) 升降搬运车
CN207347081U (zh) 支架式液压圆桶叉车
KR20180000958A (ko) 말뚝 취출장치
CN207389262U (zh) 一种灭火器推车
CN206797411U (zh) 一种带有可拆卸手柄且方便抬起化工原料桶的推车
CN104590604A (zh) 便携式烟叶压缩设备
CN105019126A (zh) 调线器锁定装置
CN202308879U (zh) 一种开关柜手车提升装置
JP3194428U (ja) 台車
JP3189153U (ja) ロールボックスパレット
CN213384370U (zh) 一种防桶倾倒的桶装饮用水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