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014A - 화분 - Google Patents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014A
KR20120114014A KR1020110031748A KR20110031748A KR20120114014A KR 20120114014 A KR20120114014 A KR 20120114014A KR 1020110031748 A KR1020110031748 A KR 1020110031748A KR 20110031748 A KR20110031748 A KR 20110031748A KR 20120114014 A KR20120114014 A KR 20120114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supply guide
body portion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완구
Original Assignee
강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완구 filed Critical 강완구
Priority to KR1020110031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4014A/ko
Publication of KR20120114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위치를 달리하는 물공급 가이드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은 몸체부에 투명부와 물공급 가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시각적으로 확인된 화분의 내부의 상태에 따라 물의 공급이 필요한 부분으로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분{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의 내부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내부 상태 확인 결과에 따라 건조한 부분이나, 물공급이 필요한 부분으로만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에는 다양한 식물이 심어지고, 심어진 식물에 따라 물이나 영양분의 양이나 공급 횟수 등을 달리한다. 즉, 토양의 적정한 함수율과 관수주기가 각기 달라짐으로써, 식물이 심어진 화분에 시기적절하게 물이나 영양 등을 공급하여 식물을 관리해야 한다.
특히, 난용 화분의 경우, 난의 뿌리를 흙에 심어 놓은 용기로서, 화분에 심어져 있는 난의 생명력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온도와 습도의 조건이 일치하여야 하며, 특히 습도의 유지를 위해서는 일정량의 물 등을 공급하여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종래의 화분의 경우, 식물이 심어져 있는 화분의 개방된 상방을 통해 물이나 영양분을 공급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화분은 상부에서 물을 공급하는 구조로서, 화분 내부로 일정하게 물을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화분은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 물의 공급 시기나, 물의 부족한 부분을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분의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화분 내부의 상태에 따라 물공급이 필요한 부분이나, 위치에 따라 부분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위치를 달리하는 물공급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을 제공한다.
상기 물공급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다단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물공급 가이드; 상기 물공급 가이드에 구비되고, 물이 주입되는 물주입구;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 가이드를 따라 이동된 물을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위치를 달리하는 물공급 가이드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을 제공한다.
상기 물공급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다단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물공급 가이드; 상기 물공급 가이드에 구비되고, 물이 주입되는 물주입구;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 가이드를 따라 이동된 물을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부는 상기 물공급 가이드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단으로 구비되는 상기 물주입구는 인접한 물주입구끼리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주입구는, 상기 물공급 가이드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깔대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물받이; 및 상기 물받이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물공급 가이드로 주입시키는 주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주입구는 상기 물공급 가이드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물공급 가이드의 타단부는 상기 물공급 가이드의 일단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은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다단으로 이격되는 물공급 가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화분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위치를 달리하여 부분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의 외측에 투명부를 구비함으로써, 화분 내부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투명부를 통해 확인된 화분의 내부 상태에 따라 물의 공급 시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명부의 양단으로 화분의 몸체부 둘레에는 다단으로 물공급 가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투명부에 의해 시각적으로 확인된 내부의 상태에 따라 물이 부족한 부분으로만 물을 공급할 수 있어 화분의 내부 상태에 따라 일정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분에 구비되는 물공급 가이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분에 형성되는 유입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분에 구비되는 물공급 가이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분에 형성되는 유입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분(100)은 몸체부(10)와, 몸체부(10)에 구비되는 물공급 가이드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10)에는 식물 및 식물이 재배되는 데 필요한 용토가 담겨진다. 이러한 용토는 각종 화초 등의 식물을 재배하는데 적합한 물질이 혼합되어 사용된다. 용토의 일례로 사질양토나, 점질양토, 사토, 부엽토,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zonolite), 하이드로볼(Hydro-ball) 등이 있다.
물공급 가이드부(20)는 몸체부(10)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위치를 달리하도록 몸체부(1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다. 물공급 가이드부(20)는 몸체부(10)에 높이를 달리하여 다단으로 구비된다. 몸체부(1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할 때, 몸체부(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도 있고, 물이 공급되어야 하는 내부위치에 따라, 공급되어야 하는 위치상의 물공급 가이드부(20)를 통해 몸체부(1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물공급 가이드부(20)는 물공급 가이드(21)와, 물주입구(22) 및 유입공(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공급 가이드(21)는 몸체부(10)의 외측에 다단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물공급 가이드(21)는 몸체부(10)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높이를 달리하여 다단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다단으로 구비되는 물공급 가이드(21)를 통해 물이 공급되는 위치를 달리할 수 있어, 몸체부(10)의 원하는 위치상에 부분적으로 물이나 영양분 등이 공급될 수 있다.
물주입구(22)는 물공급 가이드(21)에 구비되고, 물공급 가이드(21)로 물을 유입시키도록 물이 주입되는 입구이다.
유입공(23)은 물주입구(22)로 주입된 물이 물공급 가이드(21)를 따라 가이드 되면서 몸체부(10) 내부로 유입되도록 몸체부(10)에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공(23)은 물공급 가이드(21)를 따라 복수개의 홀 형상으로 몸체부(10) 상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분(100)은 몸체부(10)와 물공급 가이드부(20) 및 투명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투명부(30)는 몸체부(10)의 내부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몸체부(10)에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부(30)는 몸체부(10)의 상방에서부터 하방까지의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몸체부(10)의 측면에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명부(30)는 몸체부(10)에 투명유리나 투명 아크릴 등의 내부 확인이 가능한 투명 필름으로 구비된다. 또한, 투명부(30)는 몸체부(10)에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결합된다. 일례로 실리콘 실란트 등과 같은 수밀용 접착제 등이 사용되어 몸체부(10)와 투명부(30)가 수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투명 유리나 투명 필름 등은 화분(100)의 외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미관상 일체감을 줄 수도 있으며, 여러 가지 형태의 무늬 등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투명부(30)는 몸체부(10)의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투명 유리나 투명 필름 등에 한정될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또한 몸체부(10)와의 결합도 수밀을 가능하게만 하면 되므로, 접착제등을 통해 접착되는 것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부(30)는 물공급 가이드(21)의 일단부(21a)와 타단부(21b) 사이에 구비된다. 물공급 가이드(21)의 일단부(21a)는 투명부(30)의 일단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물공급 가이드(21)의 타단부(21b)는 투명부(30)의 타단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또한 물공급 가이드(21)의 일단부(21a)와 타단부(21b)는 몸체부(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서로 연결된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주입구(22)는 다단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물공급 가이드(21)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또한, 물공급 가이드(21)의 배치된 간격에 따라 물주입구(22)와 이격된 물주입구(22) 사이에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물의 주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인접한 물주입구(22)끼리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최상단의 물주입구(221 : 이하 제1물주입구라 함)와, 제1물주입구(221)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물주입구(222 : 도 1에서 두번째 물주입구:이하 제2물주입구라 함)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또한, 제2물주입구(222)와, 제2물주입구(222)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물주입구(223 : 도 1에서 세번째 물주입구:이하 제3물주입구라 함)도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또한, 제3물주입구(223)와, 제3물주입구(223)에서 하방으로 이격된 물주입구(224 : 도 1에서 네번째 도시된 물주입구:이하 제4물주입구라 함)도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1물주입구(221)와 제3물주입구(223)는 서로 동일한 수직축 상에 놓여있어도 서로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1물주입구(221)와 제3물주입구(223)는 서로 같은 수직축 상에 놓이게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물주입구(222)와 제4물주입구(224)도 서로 동일한 수직축 상에 놓여있어도 서로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2물주입구와 제4물주입구도 서로 같은 수직축 상에 놓이게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물주입구(22)의 위치는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라 할 것이므로, 다단으로 배치되는 물주입구(22)가 서로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물주입이 용이하다면 다른 배치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물주입구(22)는 물받이(22a)와, 주입공(2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받이(22a)는 물을 주입공(22b)으로 모아 주입시킬 수 있도록 깔대기 형상으로 물공급 가이드(21)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물주입구(22)는 물공급 가이드(21)의 일단부(21a)에 인접하게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라 할 것이고, 물공급 가이드(21)의 내부로 물을 유입시킬 수 있는 위치라면 물공급 가이드(21)의 어느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주입공(22b)은 물받이(22a)로 유입되는 물을 물공급 가이드(21)로 주입시키도록 형성된다. 주입공(22b)은 물받이(22a) 하방에 형성되고, 물공급 가이드(21)와 연결된다. 물받이(22a)에 채워지는 물은 주입공(22b)을 통해 물공급 가이드(21)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1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부(10) 내부에 식물이 심어져 용토로 덮여져 있는 상태에서, 투명부(30)를 통해 몸체부(10) 내부의 용토의 상태나, 심어져 있는 식물의 뿌리 등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몸체부(10)의 상단에 오픈된 부분을 통해 물을 공급한다. 이때, 용토는 물을 흡수하여 습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오픈된 부분을 통해 공급된 물의 양이 충분하지 않다거나 일정하게 공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물 공급후 시간이 흐르게 되면, 상대적으로 습한 부분과 건조한 부분이 발생되고, 이는 투명부(30)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투명부(30)를 통해 몸체부(10)의 내부상태를 확인하고, 내부 상태에 따라 물공급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그 위치로 물을 공급한다. 즉, 물공급이 필요한 몸체부(10)의 위치로 구비되는 물공급 가이드부(20)로 물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도 1, 도 2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한 부분이 상단에서 두번째 물공급 가이드의 위치라면, 제2물주입구(222)로 물을 주입한다.
물받이(22a)로 물이 주입되면, 깔때기 형상의 물받이(22a)에는 물이 채워지면서, 물받이(22a) 하방의 물공급 가이드(21)로 연결되는 주입공(22b)을 통해 물공급 가이드(21)로 인입된다.
인입된 물은 물공급 가이드(21)를 통해 몸체부(10)의 둘레에 채워지고, 몸체부(10)로 연결되는 유입공(23)을 통해 몸체부(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건조한 부분으로만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의 공급되는 양을 투명부(30)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적당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화분(100a)은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몸체부(10)와, 물공급 가이드부(2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물공급 가이드부(20a)는 물공급 가이드(211)와 물주입구(22) 및 유입공(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주입구(22)는 상기 물공급 가이드(211)의 일단부(211a)에 형성되며, 상기 물공급 가이드(211)의 타단부(211b)는 상기 물공급 가이드(211)의 일단부(211a)보다 낮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물공급 가이드(211)를 제 1 실시예와 비교하면, 제 1 실시예의 물공급 가이드(21)는 화분(100)의 수평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며, 제 2 실시예의 물공급 가이드(211)는 타단부(211b)가 일단부(211a)보다 낮게 형성되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물주입구(22)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물공급 가이드(211)의 일단부(211a)에 배치된다. 따라서, 물주입구(22)에서 물을 주입하면, 물은 경사진 물공급 가이드(211)를 따라 물공급 가이드(211)의 타단부(211b)까지 가이드되고, 물공급 가이드(211)에서 가이드 된 물은 유입공(23)을 통해 몸체부(1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100a)의 작동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몸체부(10)의 상단에 오픈된 부분을 통해 물을 공급한다. 이때, 용토는 물을 흡수하여 습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오픈된 부분을 통해 공급된 물의 양이 충분하지 않다거나 일정하게 공급되지 않는 경우, 또는 물 공급 후 시간이 흘러, 상대적으로 습한 부분과 건조한 부분이 발생된다.
사용자는 투명부(30)를 통해 건조한 부분을 확인하고, 물 공급이 필요한 몸체부(10)의 내부의 위치상에 구비되는 물공급 가이드부(20)로 물을 공급한다.
건조한 부분이 몸체부(10)의 상단에서 두번째 구비되는 물공급 가이드(211) 위치에 있다면, 몸체부(10)의 상단에서 두번째 구비되는 물공급 가이드(211) 물주입구(22)로 물을 주입한다. 물받이(22a)는 상대적으로 물공급 가이드(211)의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일단부(211a)에 구비되므로, 물받이(22a)로 물이 주입되면, 깔때기 형상의 물받이(22a)에는 물이 채워지면서, 물받이(22a) 하방의 물공급 가이드(211)로 연결되는 주입공(22b)을 통해 물공급 가이드(211)로 인입된다. 인입된 물은 경사진 물공급 가이드(211)를 통해 몸체부(10)의 둘레로 채워진다. 물공급 가이드(211)가 경사지게 구비되므로 물은 빠르게 물공급 가이드(211)의 타일단(211b)으로 이동된다. 이동되는 물은 몸체부(10)로 연결되는 유입공(23)을 통해 몸체부(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대적으로 건조한 부분으로만 물을 공급한다.
또한, 물의 공급양을 투명부(3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적당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100a: 화분 10 : 몸체부
20, 20a : 물공급 가이드부 21, 211 : 물공급 가이드
21a, 211a : 물공급 가이드의 일단부 21b, 211b : 물공급 가이드의 타단부
22 : 물주입구 22a : 물받이
22b : 주입공 221 : 제1물주입구
222 : 제2물주입구 223 : 제3물주입구
224 : 제4물주입구 23 : 유입공
30 : 투명부

Claims (8)

  1.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위치를 달리하는 물공급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다단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물공급 가이드;
    상기 물공급 가이드에 구비되고, 물이 주입되는 물주입구;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 가이드를 따라 이동된 물을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3.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위치를 달리하는 물공급 가이드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에 다단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물공급 가이드;
    상기 물공급 가이드에 구비되고, 물이 주입되는 물주입구; 및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 가이드를 따라 이동된 물을 상기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는 상기 물공급 가이드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6. 제5항에 있어서,
    다단으로 구비되는 상기 물주입구는 인접한 물주입구끼리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주입구는,
    상기 물공급 가이드에 형성되고, 깔대기 형상으로 구비되는 물받이; 및
    상기 물받이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물공급 가이드로 주입시키는 주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주입구는 상기 물공급 가이드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물공급 가이드의 타단부는 상기 물공급 가이드의 일단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KR1020110031748A 2011-04-06 2011-04-06 화분 KR20120114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748A KR20120114014A (ko) 2011-04-06 2011-04-06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748A KR20120114014A (ko) 2011-04-06 2011-04-06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014A true KR20120114014A (ko) 2012-10-16

Family

ID=4728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748A KR20120114014A (ko) 2011-04-06 2011-04-06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40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29703A (zh) * 2014-12-25 2015-03-25 贵阳丰久昌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花盆
CN108207402A (zh) * 2018-01-08 2018-06-29 佛山市洛克威特科技有限公司 一种调温花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29703A (zh) * 2014-12-25 2015-03-25 贵阳丰久昌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花盆
CN108207402A (zh) * 2018-01-08 2018-06-29 佛山市洛克威特科技有限公司 一种调温花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36669A1 (en)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hydroponically
CN205093246U (zh) 一种花卉立体栽培装置
CN104542071A (zh) 花盆
CN205755821U (zh) 一种草莓立体栽培架
KR101402563B1 (ko) 육묘 포트용 관수장치
KR20120114014A (ko) 화분
CN205511129U (zh) 一种玫瑰花种植槽
KR102134661B1 (ko) 다단식 자동 식물 재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팜
CN204721923U (zh) 一种可自动浇水的花盆
KR101678155B1 (ko) 수경 재배기
CN208708366U (zh) 一种无土栽培用种子育苗装置
KR101650690B1 (ko) 요철이 형성된 화분 수직 재배장치
CN203985373U (zh) 一种自动供水花盆
CN203327677U (zh) 一种组装式苗床内衬
CN204811182U (zh) 一种园林用的盆栽种植架
CN210680857U (zh) 一种用于滇重楼种苗的运输装置
CN209345642U (zh) 一种兰花栽培架
CN208850264U (zh) 一种定根盆
KR101360229B1 (ko)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
KR20110008363U (ko) 활엽수용 육묘 포트
KR20200088730A (ko) 다단식 자동 식물 재배 장치
CN204482482U (zh) 一种新型可升降的花盆
CN218456967U (zh) 一种荒漠种子生根水培装置
KR101077690B1 (ko) 백련 인공 재배용 베드
CN206433438U (zh) 一种工艺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3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9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