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445A -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활성을 지표로 한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 개선제의 스크리닝 방법 - Google Patents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활성을 지표로 한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 개선제의 스크리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445A
KR20120112445A KR20127014360A KR20127014360A KR20120112445A KR 20120112445 A KR20120112445 A KR 20120112445A KR 20127014360 A KR20127014360 A KR 20127014360A KR 20127014360 A KR20127014360 A KR 20127014360A KR 20120112445 A KR20120112445 A KR 20120112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bleomycin
expression
skin
atopic dermat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14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7126B1 (ko
Inventor
도시히코 히비노
야요이 가마타
마미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20112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5Medicinal preparations ; Physical properties thereof, e.g. dissolu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34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hydrolase
    • C12Q1/37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hydrolase involving peptidase or protein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enzymes or isoenzym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81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from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14Hydrolases (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 G01N2333/914Hydrolases (3)
    • G01N2333/9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G01N2333/95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 G01N2333/964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 G01N2333/96425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mammals
    • G01N2333/96427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mammals in general
    • G01N2333/9643Proteinases, i.e. endopeptidases (3.4.21-3.4.99) derived from animal tissue from mammals in general with EC number
    • G01N2333/96466Cysteine endopeptidases (3.4.2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00Screening for compounds of potential therapeutic value
    • G01N2500/04Screening involving studying the effect of compounds C directly on molecule A (e.g. C are potential ligands for a receptor A, or potential substrates for an enzyme 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00Screening for compounds of potential therapeutic value
    • G01N2500/10Screening for compounds of potential therapeutic value involving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0Dermatological disorders
    • G01N2800/202Dermatit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보 약제가 대조 약제와 비교하여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유의적으로 항진하는 경우에, 그 후보 약제를 건조 피부,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개선제라고 평가하는, 건조 피부 개선제를 스크리닝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활성을 지표로 한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 개선제의 스크리닝 방법{METHOD OF SCREENING FOR AGENT FOR IMPROVING DRY SKIN ASSOCIATED WITH ATOPIC DERMATITIS EMPLOYING ACTIVITY OF BLEOMYCIN HYDROLASE ACTIVITY AS MEASURE}
본 발명은, 건조한 피부,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개선제를 스크리닝 평가하는 방법,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를 개선 또는 예방하는 방법, 나아가서는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표피의 과립층의 케라틴 선유는, 각화(角化)될 때에 필라그린이라고 불리는 단백질에 결합하여 응집하여, "케라틴 패턴"이라 불리는 특이적인 형태를 만든다. 과립 세포 내의 케라토히알린 과립에는 필라그린의 전구 물질인 프로필라그린(필라그린 단위가 10 내지 12개 세로로 나란히 늘어선 것)이 다량으로 존재하는데, 각화할 때, 필라그린 모노머가 생성되는 동시에 탈인산화에 의해 케라틴 선유를 응집시킨다. 그 후, 펩티딜아르기닌 데이미나아제(peptidylarginine deiminase)(PAD)라고 하는 효소의 작용에 의해서 탈이미노화되어, 케라틴과 유리된 후, 각층(角層) 상층에서 아미노산 등으로 분해된다. 이들 아미노산은 천연 보습 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 NMF)라고 불리며, 각층 수분량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또한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Blank I.H. J.I. Dermatol., 18, 433 (1952); Blank I.H. J.I. Dermatol., 21, 259 (1953)).
NMF의 주성분인 아미노산이 피그라린에 유래하는 것이 밝혀진 이래, 건조 피부를 보이는 병태와 피그라린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노인성 건피증, 아토피성 질환 등의 건조 피부에 있어서 각층 중의 아미노산이 감소하고 있는 것이 밝혀져 있다(Horii I. et al., Br. J. Dermatol., 121, 587-592(1989); Tanaka M. et al., Br. J. Dermatol., 139, 618-621(1989)).
PAD는 필라그린의 아르기닌 잔기에 작용하여 탈이미노화시켜, 시트룰린 잔기로 변환시킨다. 이와 같이 필라그린이 탈이미노화됨으로써 필라그린와 케라틴 섬유와의 친화성이 약해져, 케라틴 섬유가 유리되고, 그 결과 필라그린은 프로테아제의 작용을 받기 쉽게 되어, 최종적으로 NMF로까지 분해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자는, PAD로 탈이미노화된 필라그린을 분해하는 효소로서, 칼파인-1을 특정하고 있고, 그 분해 산물로서의 작은 펩티드 단편이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BH)에 의해서 아미노산 단위, 즉 NMF로까지 분해되는 것을 분명히 하고 있다(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2008), Volume 128, ABSTRACTS, S90, 539, 제30회 일본분자생물학회 연회?제80회 일본생화학회대회 합동대회 강연요지집, 제583페이지,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4, NO.19, pp. 12829-12836, 2009, 3P-0251 및 일본 특허출원 2008-135944호(이하 제944호 출원이라 부름)).
최근의 연구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의 일부는, 프로필라그린 유전자의 이상에 의해 생기는 것이 알려져 있고,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5-50% 정도에서 상기 유전자의 이상이 보인다(Smith FJD, et al. Nat Genet 38:337-42(2006); Aileen Sandilands1, et al., J. I. Dermatol., 127, 1282-1284(2007) 및 Nomura T, et al., J. I. Dermatol., 128(6) : 1436-41(2008)). 그러나,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피부에서는, 반드시 필라그린의 발현이 극적으로 저하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비특허문헌 1 : Blank I.H. J.I. Dermatol., 18, 433(1952) 비특허문헌 2 : Blank I.H. J.I. Dermatol., 21, 259(1953) 비특허문헌 3 : Horii I. et al., Br. J. Dermatol., 121, 587-592(1989) 비특허문헌 4 : Tanaka M. et al., Br. J. Dermatol., 139, 618-621(1989) 비특허문헌 5 : Kamata et al., J. Biochem., 141, 69-76, 2007 비특허문헌 6 :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2008), Volume 128, ABSTRACTS, S90, 539 비특허문헌 7 : 제30회 일본분자생물학회연회?제80회 일본생화학회대회 합동대회 강연요지집, 제583페이지, 3P-0251 비특허문헌 8 :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84, NO. 19, pp. 12829-12836, 2009 비특허문헌 9 : Smith FJD, et al. Nat Genet 38:337-42(2006) 비특허문헌 10 : Aileen Sandilands1, et al., J. I. Dermatol., 127, 1282-1284
본 발명은, NMF 생성 효소 발현의 변동에 의한 새로운 피부 거칠어짐 메카니즘에 기초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를 개선 또는 예방하는 약제를 스크리닝하는 방법이나,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를 평가하는 방법,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를 개선 또는 예방하는 방법, 나아가서는,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를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제944호 출원에 있어서, 본 발명자는,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활성 항진이 NMF의 생성을 통해 피부 배리어 기능을 개선하는 것을 밝혔다. 이와 같이,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는 NMF 생성의 최종 단계에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해 생기는 건조 피부에 관해서는, 많은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게서 여전히 필라그린의 발현이 보이므로, 필라그린 유전자의 이상과는 별도의 원인으로 생기는 것이 예상된다.
본 발명자는, 인간 피부에서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저하가, MMF 생성 기구의 이상에 의해서 생기는 피부 배리어 기능의 저하뿐만 아니라, 주로 면역 이상에 기인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그 피부염에 의해서 생기는 건조 피부 등과도 관계되어 있다는 가설 하에, 건조 피부 인간 시험에 의한 상기 효소의 발현 변동을 검증하고, 그리고 그 발현 제어 기구의 해석 등을 했다. 그 결과, 본 발명자는,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저하가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해서 생기는 건조 피부와 관련되어 있고, 또한 그 효소를 코드하는 유전자의 5' 플랭킹 영역 내에 상기 효소의 발현을 현저히 유도하는 제어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알아냈다. 자세히는, 본 발명자는, BH의 5'-플랭킹 영역을 클로닝했다. 그 결실 분석에서는 -216 bp 상류 중에 BH 프로모터 활성에 중요한 영역이 동정되었다. 전기영동 이동도 시프트?어세이에서는, 시험관 내에 있어서, MZF-1, Sp-1 및 인터페론 조절 인자(IRF)-1/2가 이 영역에 결합할 수 있음을 밝혔다. 게다가, MZF-1 및 Sp-1 모티브의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에서는, BH 프로모터 활성이 크게 저하되었다. 이들 데이터는, BH 발현이 MZF-1 및 Sp-1을 통해 상향 제어됨을 시사했다. 흥미롭게도, Th1 시토킨인 인터페론(IFN)-γ는, BH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과 저분자 간섭 RNA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BH 발현에 대한 IFN-γ의 억제 효과를 입증했다. 그 한편, Th2 시토킨인 IL-4는, BH 발현에 대하여 직접적인 작용을 전혀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것은 배양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 MZF-1 및 Sp-1을 하향 제어했기 때문에, IL-4가 BH 조정의 서프레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마지막으로, AD를 앓고 있는 환자의 피부에 있어서 BH의 발현을 조사했다. BH 활성과 발현은 AD 병변 피부에 있어서 크게 감소하고 있었기 때문에, AD에서의 필라그린 분해 경로의 결함이 시사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자는, BH의 전사가 분화 중 및 염증 중 양쪽에서 조절되고 있을 것임을 알아내어, 본원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원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1) 후보 약제가 대조 약제와 비교하여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유의적으로 항진하는 경우에, 그 후보 약제를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개선제라고 평가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개선제를 스크리닝 평가하는 방법.
(2)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를 코드하는 유전자의 전사 활성이 대조의 것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항진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발현 및/또는 활성이 유의적으로 항진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1)의 방법.
(3)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를 코드하는 유전자의 전사 조절 영역에 대한, 전사 인자 IRF-1, IRF-2, MZF-1, SP-1 및/또는 GATA-1의 결합 활성이 대조의 것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항진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전사 활성이 유의적으로 항진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2)의 방법.
(4) 피부 조직에서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유의적으로 항진시킴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를 개선 또는 예방하는 방법.
(5)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를 코드하는 유전자의 전사 활성을 항진시킴으로써 상기 발현 및/또는 활성이 유의적으로 항진되는 (4)의 방법.
(6)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를 코드하는 유전자의 전사 조절 영역에 대한, 전사 인자 IRF-1, IRF-2, MZF-1, SP-1 및/또는 GATA-1의 결합 활성을 항진시킴으로써 상기 발현 및/또는 활성이 유의적으로 항진되는 (5)의 방법.
(7) 피부 조직에서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이 대조 피부의 것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저하하고 있는 경우에,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경향이 있다고 진단하고, 대조 피부의 것과 비교하여 같은 정도 이상이면,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경향이 없다고 진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소인을 진단하는 방법.
(8)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를 코드하는 유전자의 전사 활성이 대조의 것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저하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발현 및/또는 활성이 유의적으로 저하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7)의 방법.
(9) 전사 인자 IRF-1, IRF-2, MZF-1, SP-1 및/또는 GATA-1의 결합 활성이 대조의 것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저하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전사 활성이 저하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8)의 방법.
본 발명에 의해 확립된,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변동에 의한 새로운 피부 거칠어짐 메카니즘, 특히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지표로 하는 스크리닝계에 기초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신규 개선제의 탐색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본원 발명의 방법은,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하지 않는 통상의 건조 피부의 개선제의 탐색에도 적용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사실,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이 낮은 그룹에서는, 유의적으로 배리어 기능(경피 수분 증산량 : TEWL)이 저하하고, 각층 수분량도 저하하고 있었다.
도 1은 테이프 스트립핑에 의해 얻어진 인간 피부 추출액 중의 블레오마이신 효소량과 테이프 스트립핑 횟수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웨스턴 블롯도이다.
도 2는 인간 피부 추출액 중의 블레오마이신 효소량과 건조 피부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웨스턴 블롯도이다. T, A : 건조를 느끼지 않는 피험자 유래의 샘플; N : 약간 건조를 느끼는 피험자 유래의 샘플 및; M : 건조를 느끼는 피험자 유래의 샘플.
도 3은 인간의 팔의 각층 추출액 중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량과 그 효소 활성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횡축의 번호는 피험자의 식별 번호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서 얻어진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량과 활성의 관계에 관한 최소제곱법에 의한 일차 근사이다.
도 5는 인간의 팔의 각층 추출액 중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와 피부 파라미터(A : 유리 아미노산, B : 활성, C : TEWL)에 관한 통계적 해석이다. BH 저: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량<10, 활성<1.5(nmol/min/ml); BH 고: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량≥10, 활성≥1.5(nmol/min/ml).
도 6은 피부 분류용 앙케이트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도 6의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분류된 피험자의 각층의 피부 파라미터 측정 결과이다.
도 8은 정상 피부에서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 및 필라그린의 국재(局在)를 도시하는 조직 염색도이다.
도 9는 아토피 환자 피부에서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 및 필라그린의 국재를 도시하는 조직 염색도이다.
도 10은 정량적 PCR를 이용한 케라티노사이트의 분화와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종축의 값은 80% 컨플루언트의 발현량을 1로 한 경우의 상대량을 나타낸다.
도 11은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를 코드하는 유전자의 5' 플랭킹 영역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인간 표피 케라티노사이트를 이용한 BH 프로모터의 루시퍼라아제 어세이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전사 인자 SP1, MZF1 및 GATA1의 발현과 UV 조사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정상 인간 표피 각화 세포에서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 및 프로테아제의 발현과 UV 조사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BH의 5'-플랭킹 영역의 연속적인 5'-결실 돌연변이주를 PCR에 의해 작성하기 위해 사용한 프라이머이다.
도 16은 BH 및 관련 인자의 전사 레벨을 정량적 리얼타임 RT-PCR에 의해서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한 프라이머이다.
도 17은 전기영동 이동도 시프트 분석에 사용한 프로브이다.
도 18의 (A)는 인간 BH의 5'-플랭킹 영역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5'-플랭킹 영역 내의 추정 전사 인자 결합 부위는 Genome Net MOTIF 프로그램에 의한 검색으로 밝혔다. (B)는 결실 분석에서 결정된 BH의 프로모터 영역. (C) BH의 최소 프로모터의 서열 및 추정 전사 인자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216/-1 영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나타내는 추정 전사 인자 결합 부위에 밑줄을 그었다.
도 19의 (A)는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에 의한 BH 프로모터에서의 전사 인자 결합 부위의 특성 결정. 추정 전사 인자 결합 부위의 결실 구축체의 모식도 및 배양 케라티노사이트에서의 그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나타낸다.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은 -616/+1 영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걸친 구축체로 실시했다. (B)는 BH 프로모터의 cis-작용 엘리먼트에 대한 MZF-1, Sp-1, GATA-1 또는 IRF-1/2의 결합을 나타낸다. 실험은, 배양 케라티노사이트로부터의 핵 추출물, 및 추정 전사 인자 결합 부위 MZF-1, Sp-1, GATA-1 또는 IRF-1/2를 포함하는 비오틴화 이중쇄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를 이용하는 전기영동 이동도 시프트?어세이(EMSA)로 행했다. 레인 1은 핵 추출물에서의 비오티닐화 프로브의 결합 프로필, 레인 2는 2배 과잉량의 비(非)라벨화 프로브와 경합시킨 후의 비오티닐화 프로브의 결합 프로필을 나타낸다.
도 20의 (A)는 BH 발현의 리얼타임 RT-PCR 분석. BH 유전자 발현에 대한 Th1, Th2 및 Th17 시토킨의 효과를 나타낸다. (B)는 IRF-1/2 결합 부위의 돌연변이 분석. IFN-γ의 존재 하에서의 배양 케라티노사이트에서의 BH 프로모터 활성을 나타낸다. 케라티노사이트를 BH 프로모터 영역의 인택트 IRF-1/2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pGL3-216로 트랜스펙션하여, IFN-γ로 24시간 처리했다(상부 패널). 케라티노사이트를 △pGL3-616(IRF-1/2 결실 돌연변이체)으로 트랜스펙션하고, 10 ng/ml의 IFN-γ 또는 IL-4의 존재 하 또는 부재 하에서 24시간 처리했다(하부 패널). (C)는 IRF-1/2가 BH의 IFN-γ 유발성 하향 조절의 필수 메디에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저분자 간섭 RNA(siRNA)을 사용한 IRF-1 및 IRF-2 유전자 발현의 측정. 케라티노사이트를 IRF-1 또는 IRF-2의 siRNA(40 nM)로 트랜스펙션하고, 24시간 배양하여, 10 ng/ml의 IFN-γ로 처리하고, 24시간 더 배양하고 나서 RNA 단리를 했다. 우측 패널에는 IRF-1 및 IRF-2의 사일렌싱 효과를 나타낸다.
도 21의 (A)는 표피에서의 전사 조절 기구를 조사하기 위한 리얼타임 PCR법에 의한 증식형 또는 분화형 세포에서의 BH, 칼파인 I 및 추정 전사 인자의 발현 분석이다. (B)는 배양 케라티노사이트에서의 전사 인자 MZF-1, Sp-1, GATA-1, IRF-1 및 IRF-2 발현 패턴 분석이다.
도 22의 (A)는 추정 전사 인자 IRF-1 및 IRF-2의 발현에 대한 IFN-γ의 효과이다. (B)는 추정 전사 인자 IRF-1, IRF-2, MZF-1 및 Sp-1의 발현에 대한 IL-4의 효과이다.
도 23의 (A)는 정상 표피에서의, 항BH 항체와 항필라그린 항체에 의한 이중 염색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과립층에서의 BH와 필라그린의 동시 국재이다. (B)는 AD 환자의 병변 피부와 비병변 피부로부터의 추출물의 BH 활성이다.
본 발명은 제1 관점에 있어서, 후보 약제가 대조 약제와 비교하여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유의적으로 항진하는 경우에, 그 후보 약제를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개선제라고 평가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개선제를 스크리닝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는 분자량 250?280 kDa(육량체)의 세포질 시스테인 펩티드 가수 분해 효소이며, 당초 알려져 있었던 기능은, 암의 병용 화학 요법에 빈번히 사용되는 당펩티드 블레오마이신의 대사 불활성화이다. 시스테인 단백질 분해 효소 파파인 수퍼 패밀리의 특징적인 활성 부위 잔기를 포함하고, 코드 유전자는 인간에게서는 유전자좌 17q11.2에 존재한다(Takeda et al., J Biochem., 119, 29-36, 1996). 모든 조직에 존재하고, 피부에서의 그 존재도 알려져 있었지만(Kamata et al., J. Biochem., 141, 69-76, 2007), 필라그린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본 발명자가 밝힐 때까지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조직 염색 결과로부터,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는, 필라그린과 마찬가지로, 정상 피부에서는 표피 상층에서 많이 발현하고 있음이 분명해졌다(도 8). 한편,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게서는, 아토피 피진부에서 상기 효소 및 필라그린의 발현이 저하된다(도 9). 이것은, 프로필라그린 유전자의 이상이 아니라, 그 분해 효소계의 이상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이 되는 것을 강하게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에서는, 병변부뿐만 아니라, 비병변부에서도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 활성은 유의적으로 낮다(데이터는 나타내지 않음).
더욱이,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량의 변동에 관해서 배양 케라티노사이트를 이용하여 검토한 결과, 상기 효소는, 분화하지 않은 케라티노사이트에서는 그다지 발현하지 않는 데 대하여, 컨플루언트에 달하여 분화가 진행된 케라티노사이트에서 고발현하고 있는 것, 기저 세포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고, 분화가 진행되어 표피 세포로 이행하고 나서 고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10). 이 결과는 상기 세포 염색의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의 측정은, 상기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임의의 방법에 따라서, 예컨대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에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하는 면역 측정 방법, 예컨대 효소 라벨을 이용하는 ELISA법, 방사성 라벨을 이용하는 RIA법, 면역비탁법, 웨스턴 블롯법, 라텍스 응집법, 적혈구 응집법 등에 따라서, 정량적 또는 정성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면역 측정법의 방식에는 경합법이나 샌드위치법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활성의 측정은, 예컨대, 시트룰린이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에 거의 특이적인 기질이라고 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그 형광 합성 기질인 Cit-MCA의 분해를 형광 분광 광도계로 평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량의 측정은, 상기 효소를 코드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의 측정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량은 세포 내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를 코드하는 mRNA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한다. mRNA의 추출, 그 양의 정량적 또는 정성적 측정도 당업계에 있어서 주지이며, 예컨대 PCR법, 3SR법, NASBA법, TMA법 등, 여러 가지 주지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그 밖에,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는 in situ 하이브리다이제이션법이나 그 생물 활성의 측정을 통하여 정성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개선제를 스크리닝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후보 약제가 대조 약제와 비교하여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유의적으로 항진하는 경우에, 그 약제는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개선제라고 평가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스크리닝되는 약제는 건조 피부,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에 기인하는 건조 피부에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0020] 일본피부과학회 아토피성 피부염 진료 가이드라인에 의하면, 「아토피성 피부염」이란, 증상의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는, 소양(搔痒)이 있는 습진을 주병변으로 하는 질환이며, 이 질환은, 소양의 유무, 특징적 피진으로서, 홍반, 습윤성 홍반, 구진(丘疹), 장액성 구진, 인설(鱗屑), 가피(痂皮) 등의 급성 병변이나, 침윤성 홍반?태선화(苔癬化) 병변, 양진(痒疹), 인설, 가피 등의 만성 병변의 유무에 기초하여 진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경우,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란, 필라그린 유전자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정의에 의해 확정 진단이 이루어진 아토피성 피부염을 동반하는 건조 피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스크리닝 방법은, 시험하는 약제의 존재 하에서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를 코드하는 mRNA의 발현이 항진하는 것을 통상의 PCR에 의해 측정하는 방법, 상기 효소 발현에 관여하는 프로모터 영역을 루시퍼라아제 유전자 벡터에 삽입하여, 프로모터 어세이로서 발현의 강약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후자의 경우, BH의 프로모터 영역은 BH 발현이 최대가 되는 -216 bp에서 -816 bp의 영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현량의 측정에는, 루시퍼라아제뿐만 아니라,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아자미그린(Azami-Green) 등의 형광 단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융합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를 세포에 도입하여, 약제의 존재 하에서 세포를 배양하고, 통상 24시간 후에 세포를 용해하여,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약제의 BH 발현에 미치는 작용을 측정할 수 있다. 이용하는 세포는, 시판되는 정상 표피 세포(NHEK : 쿠라보 등)나 불사화(不死化)한 HaCaT 세포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루시퍼라아제 활성의 측정에는, 로슈 다이아그노스티카의 리스페라아제 어세이 키트 등을 사용함으로써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경우, 「대조 약제와 비교하여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유의적으로 항진」이란, 건조 피부 개선 효과,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에 대하여 개선 효과가 없는 대조 약제와 비교하여, 측정된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량 또는 활성, 혹은 그 양쪽이 예컨대 각각 120% 이상, 또는 150% 이상, 또는 200%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의 항진은, 상기 효소를 코드하는 유전자의 전사 활성을 항진함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를 코드하는 유전자의 5'-플랭킹 영역, 특히 전사 조절 영역과, 이 영역에 결합하는 전사 인자를 도 11에 나타낸다.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가 발현되기 위해서는, 상기 전사 조절 영역은 상기 효소의 코드 서열로부터 216 bp?1216 bp 하류까지의 영역을 갖고 있으면 된다. 높은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 활성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상기 전사 조절 영역은 816 bp 하류까지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에는, 그 효소의 코드 서열로부터 적어도 216 bp 하류까지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도 11에 기재한 전사 인자 중에서도, 이 영역에 포함되는 IRF-1, IRF-2, MZF-1, SP-1, GATA-1의 결합 활성을 항진함으로써,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은 특히 항진한다고 생각된다. 사실,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는, 자외선(UV) 조사에 의해서 그 발현이 항진되는 바(데이터는 나타내지 않음), MZF-1, GATA-1의 발현 항진과 UV의 강도 및 조사 시간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보인다(도 13).
여기서, 후보 약제에 의해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를 코드하는 유전자의 전사 활성, 또는 그 유전자의 전사 조절 영역에 대한 전사 인자의 결합 활성은, 대조 약제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예컨대 각각 120% 이상, 또는 150% 이상, 또는 200% 이상 항진되는 경우,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량 및/또는 활성이 유의적으로 항진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은 시토킨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예컨대, 아토피성 피부염에 관여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Th2 시토킨의 일종인 인터류킨-4(IL-4)는,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을 하향 조절한다. 이것은,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피부에서 보이는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저발현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한편, IL-4와 반대로 IgE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Th1 시토킨의 대표, 인터페론γ는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항진한다. 또한, Th2 시토킨에서 염증성 시토킨의 대표인 종양 세포 괴사 인자 알파(TNFα)도 상기 효소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항진시킨다. 이들 물질뿐만 아니라,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은 UV 조사에 의해서도 항진된다. 결과는 나타내지 않지만, 체표면 중에서도, 자외선 조사를 받기 쉬운 볼 등의 피부에서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활성은 UV 조사에 의해서 항진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제2 관점에 있어서, 피부 조직에서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유의적으로 항진시킴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를 개선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를 개선 또는 예방하는 방법은, 피부에서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예컨대 그 처치 방법을 실시하기 전의 피부에서의 발현 및/또는 활성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항진시킨다. 「유의적으로 항진」이란, 예컨대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120% 이상, 또는 150% 이상, 또는 200% 이상의 값으로 하는 경우를 말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유의적으로 항진시키는 임의의 약제가 사용된다. 또한, 그 효소의 발현이나 활성을 항진하는 것이라면, 약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하는 약제 등은, 피부에의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형태로 피부에 적용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적용하더라도, 혹은 다른 임의의 성분과 함께 배합하여 적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적용하는 피부의 부위도 한정되지 않고, 두피를 포함하는 체표면의 모든 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3 관점에 있어서, 피부 조직에서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이 대조 피부의 것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저하하고 있는 경우에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경향이 있다고 진단하고, 대조 피부의 것과 비교하여 같은 정도 이상이면,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경향이 없다고 진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소인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피험자의 피부가 건조 피부인지 여부는, 피험자, 의사 등의 주관에 의해 판단하거나, 피표(皮表) 수분 측정기를 이용하여 피부의 수분량을 측정함으로써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명세서의 실험 3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도 6에 기재한 플로우차트에 따라서, 기름짐, 건조되기 쉬움 등에 기초하여 피험자 등의 주관에 의해 「건조 피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건조 피부의 판정은 용이하게 행할 수 있지만, 피험자의 피부가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소인을 갖는지의 판단은 곤란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진단 방법에 따르면, 피험자의 현재의 피부 상태뿐만 아니라,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에 걸리기 쉬운지 여부를 진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이 대조 피부의 것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저하」란, 예컨대 피부 의학적 견지에서 촉촉한 피부라고 의사에 의해 판단된 정상적인 「대조 피부」와 비교하여, 측정된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이 80% 이하, 또는 70%이하, 또는 60% 이하, 또는 50% 이하, 또는 30% 이하, 또는 10%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대조 피부의 것과 비교하여 같은 정도 이상」이란, 예컨대 피부 의학적 견지에서 촉촉한 피부라고 의사에 의해 판단된 정상적인 「대조 피부」와 비교하여, 측정된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이 예컨대 80% 이상, 또는 90% 이상, 또는 100%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피검체가 되는 피부 각층 시료의 채취는 임의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지만, 간편성의 관점에서 테이프 스트립핑법이 바람직하다. 테이프 스트립핑이란, 피부 표층에 점착 테이프 조각을 붙이고, 떼어내어, 피부 각층을 그 떼어낸 점착 테이프에 부착시킴으로써 각층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이다. 테이프 스트립핑법을 이용하면, 각층을 테이프 1장 채취하는 것만으로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이나 활성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어,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를 지표로 한,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에 관한 비침습성의 평가 방법이 가능하게 된다. 테이프 스트립핑의 바람직한 방법은, 우선 피부의 표층을 예컨대 에탄올 등으로 정화하여 피지, 오물 등을 제거하고, 적당한 사이즈(예컨대 5×5 cm)로 자른 점착 테이프 조각을 피부 표면 위에 가볍게 얹어, 테이프 전체에 균등한 힘을 가하여 평평하게 단단히 누르고, 그 후 균등한 힘으로 점착 테이프를 벗겨냄으로써 이루어진다. 점착 테이프는 시판되는 셀로판테이프 등이라도 좋고, 예컨대 Scotch Superstrength Mailing Tape(3M사 제조), 셀로판테이프(Cellotape(등록상표); 니치반주식회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구체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실험에서는 이하의 재료를 사용했다.
칼파인 I는 EMD Bioscience사에서 구입했다.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는, 인간 표피 각층으로부터 비특허문헌 5에 따라서 제작했다. 인간 IL-4 및 IFN-γ는, PEPROTECH EC(영국 런던)로부터 구입했다. 인간 IL-13 및 IL-17A/F는, R&D SYSTEM(미네소타주 미네아폴리스) 제조의 것으로 했다. 시트룰린4-메틸쿠마릴-7-아미드(Cit-MCA)를 Bachem Bioscience(스위스 부벤도르프)로부터 입수했다. 사용되는 다른 모든 화학 물질은 시약 등급의 것이었다.
케라티노사이트의 배양
신생아기 표피 유래의 정상 인간 표피 케라티노사이트(Kurabo, 일본 오사카)를 저농도(0.03 mM)의 칼슘 및 HKGS Growth Supplement(Cascade Biologics)를 포함하는 EpiLife 배지(Cascade Biologics, 오레건주 포틀랜드) 속에서 배양했다. 모든 세포를 5%의 CO2를 가하면서 37℃에서 인큐베이트하고, 그리고 계대 4대 이내에 사용했다. 케라티노사이트를, 컨플루언트 70%, 컨플루언트 100%, 컨플루언트 2일 후 및 2 mM의 칼슘 중 컨플루언트 2일 후에 채취했다.
실험 1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는, NMF 생성 처리의 최종 단계에서 작용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 건조 피부에서는 본 효소의 발현이 저하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피부에서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의 저하가 건조 피부와 관련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해서 검토했다.
피부 각층 시료는, 투명 점착 테이프(Cellotape(등록상표)(NICHIBAN))를 팔의 피부 표면에 붙인 후 박리하는 테이프 스트립핑에 의해 채취했다. 피부 각층이 부착된 이 테이프를 재단하여, 추출 버퍼(0.1M Tris-HCl(pH 8.0), 0.14M NaCl, 0.1% Tween-20, 1 ml)에 침지하고, 초음파 처리(20 sec×4)하여, 각층 추출액을 작성했다. 그 추출액을 웨스턴 블롯에 걸었다. 사용한 항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BH) 항체는, 카마타 등(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09)에 의해 제작된 항체를 이용했다. 구체적으로는, 각층 추출액을 SDS 전기영동 후, Immobilon-P(Millipore사)에 전사하여, 이 전사된 막을 세정한 후, 항BH 항체와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또한 세정에 의해 항체를 제거한 후, HRP 결합 이차 항체를 반응시켰다. 세정 후, ECL Plus Western Blotting Detection Kit(GE Healthcare)에 의해 발광시킨 BH 단백 밴드를 X선 필름에 새기고, 밴드의 농담에 의해 발현량을 추정했다.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
도 1에서, 검체 1은 본인이 건조 피부라고 스스로 생각하고 있는 사람의 피부 각층 시료이며, 검체 2는 건조 피부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는 건강한 학생의 피부 각층 시료이다. 또한, 도 2 중의 검체 T 및 A는 건조를 느끼지 않는 피험자에게서 유래한 것이고, 검체 N은 약간 건조한다고 느끼는 피험자, 그리고 검체 M은 건조를 느끼는 피험자에게서 유래하는 것이다. 검체 1 중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량은 적고, 한편, 검체 2 중의 상기 효소 발현량은 많다. 이 결과로부터, 검체 1, 2는 각각 건조 피부, 촉촉한 피부에서 유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검체 1을 이용한 결과로부터는, 건조 피부에서는, NMF 생성 장소인 표피 표면에 가까울수록,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량이 저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검체 T 및 A는, 특별히 건조를 느끼지 않는 검체로부터 얻어진 추출액, 검체 N 및 M은, 건조를 강하게 의식하는 검체로부터 얻어진 추출액의 웨스턴 블롯 상(像)을 나타낸다.
실험 2
본 실험에서는, 인간 피부에서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양이나 활성의 개체차와, 상기 효소량과 활성의 상관에 대해 검토했다. 실험 1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서, 20?25세의 여학생 40명의 팔의 피부로부터 각층 추출액을 작성했다. 그 추출액 중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량과 그 효소 활성을 Kamata et al(J. Biol. Chem., Vol. 284, Issue 19, 12829-12836, May 8, 2009) 등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했다. 발현량은 웨스턴 블롯에 의해, 그리고 효소 활성은 그 효소의 아미노펩티다아제 활성에 관해서, 형광 기질인 Cit-β-NA의 분해량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했다. 결과를 도 3에, 그리고 그 상관도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의 결과로부터 분명한 것과 같이,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량과 그 활성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존재하고 있다.
이어서, 상기 각층 추출액에 대해서,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와 여러 가지 피부 파라미터에 관해서 통계적인 해석을 했다. 본 실험에서는, 40인의 각층 추출액을 이하의 2종류로 분류했다. 웨스턴 블롯 결과로부터 명백해진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량을 덴시토미터로 수치화한 후, 1을 임의의 단위로 하여 표시한 경우에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량이 10 미만이고, 또한 상기 효소의 활성이 1.5 nmol/min/ml 미만인 추출액: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단백질량이 적고, 또한 활성이 낮은 것(BH 저); 그 이외의 것: 단백질량이 많고, 또한 활성이 높은 것(BH 고).
유리 아미노산은, Kamata et al(J. Biol. Chem., Vol. 284, Issue 19, 12829-12836, May 8, 2009) 등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칼파인 I로 분해한 필라그린 펩티드와 각 추출액을 반응시켜, 플루오레사민을 이용하여 아미노기를 정량함으로써 유리 아미노산량을 측정했다. 유리 아미노산의 측정 결과를 도 5A에 나타낸다. 도 5A 중의 종축의 단위는 측정 시료 3 ml 중의 총 유리 아미노산량(nmol)을 나타낸다.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활성은, 상술한 대로, 상기 효소의 아미노펩티다아제 활성을 형광 기질인 Cit-β-NA의 분해량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했다.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 활성의 측정 결과를 도 5B에 나타낸다. 도 5B 중의 종축의 단위는 Cit-β-NA의 분해량(nmol/min/ml))을 나타낸다.
상기 학생의 피부의 TEWL은, Vapometer(Delfin Technologies, Ltd, Fin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g/m2/h로서 표시했다. TEWL의 측정 결과를 도 5C에 나타낸다.
도 5C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 활성이 낮은 그룹(2.5U<)과 높은 그룹에서 각층 수분량에 유의적인 차가 존재하고 있었다. 더욱이, 상기 효소의 양과 활성 양쪽이 낮은 그룹에서는, 유리 아미노산이 적고, 그리고 TEWL도 높다(도 5A 및 5C).
데이터는 나타내지 않지만, 유리 아미노산이 낮은 그룹(1000<)과 높은 그룹에서는, NMF, 우로카닌산의 양에 유의적인 차가, 그리고 NMF가 낮은 그룹(0.8<)과 높은 그룹에서는, 우로카닌산에 유의적인 차가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TEWL가 낮은 그룹(2.5<)과 높은 그룹에서는, NMF, 젖산, 요소에 유의적인 차가 존재하고 있었다. 우로카닌산이 필라그린에 다수 포함되는 히스티딘으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을 고려하면,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가 필라그린 분해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험 결과로부터,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절대량이 적은 경우, 유리 아미노산량 및 배리어 기능이 함께 유의적으로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데이터는 나타내지 않지만, 볼 유래의 각층 추출액을 이용한 경우라도,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량과 배리어 기능과의 비례 관계가 확인되고 있다.
실험 3
본 실험에서는, 도 6에 기재한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상기 여학생에게 앙케이트 조사하여, 각 학생의 피부를, 촉촉한 피부, 건조 피부, 건조형 지성 피부, 지성 피부의 4가지로 분류했다. 앙케이트 결과와, 상기 실험 2에서 측정한 피부 파라미터 결과의 상관 관계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로부터는, 지성 건조 피부로 분류된 학생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4
본 실험에서는, 피부에서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와 필라그린의 국재에 관해서 검토한다.
면역 조직 화학 염색
면역 조직 화학 염색은, Kamata et al(J. Biol. Chem., Vol. 284, Issue 19, 12829-12836, May 8, 2009)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행했다. 재료는 5 μm 두께의 인간 피부의 냉동 절편, 그리고 항래트 BH IgG를 이용했다. 자세하게는, 인간 피부 표본을 사전동의 하에 도쿄의과대학의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환자로부터 얻었다. 본 연구는, 윤리(Human Ethics)에 관한 도쿄의과대학 시설내 심사위원회와 시세이도 특별부회에 의해서 승인되었다.
인간?아토피성 피부염(병변 피부와 비병변 피부) 및 정상 피부의 절편을 항래트 BH IgG 및 항인간?필라그린 IgG와 함께 실온에서 1시간 인큐베이트하고, 그 후, PBS로 세정하고, 그리고 형광 결합 이차 항체인 Alexa Fluor 555 또는488(Molecular Probes Inc., Eugene, OR)과 함께 더욱 인큐베이트했다. DAPI(4',6'-디아미디노-2-페닐인돌; Molecular Probes)를 핵의 가시화에 사용했다.
정상 피부의 조직 염색 결과를 도 8에, 그리고 건강한 사람 유래의 피부(정상 피부)와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 유래의 피부(아토피 피진부)의 대비 결과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는 표피 상층에서 고발현하고 있으며, 필라그린과 동일 국재를 보였다. 한편, 아토피 피진부에서는 정상 피부와 비교하여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 및 필라그린의 발현이 낮았다(도 9).
정량적 PCR
케라티노사이트에서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량은 이하의 방법으로 정량적 PCR에 의해 측정했다. Light Cycler 480(Roche Diagnostics GmbH, Mannheim, Germany, 시약은 Light Cycler FastStart DNA Master CYBR Green I를 이용했다. SYBR Green I master mix 10 μl에 이하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 프라이머를 각각 0.6 μl, 물을 6.8 μl 가하여, 전량을 20 μl로 하고, 95℃ 15초, 55℃ 20초, 72℃ 20초로, 45 사이클의 PCR를 실시했다. 얻어진 결과는 하우스키핑 유전자인 G3PDH의 결과와 비교하여 보정했다.
포워드 프라이머 : TGTGGTTTGGCTGTGATGTT(서열번호 1)
리버스 프라이머 : GCACCATCCTGATCATCCTT(서열번호 2)
상기 정량적 PCR의 결과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는, 80% 컨플루언트의 케라티노사이트, 즉, 분화하지 않은 케라티노사이트와 비교하여, 컨플루언트에 달했다. 즉, 분화된 케라티노사이트에서 고발현하고 있었다. 다시 말해서, 본 실험 결과로부터, 상기 효소가 분화 전의 기저 세포에서는 그다지 발현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 정량적 PCR의 결과는 상기 조직 염색의 결과를 뒷받침하는 것이다.
실험 5
1) 인간 표피 케라티노사이트를 이용한 BH 프로모터의 루시퍼라아제 어세이 :
증식기(약 80% 컨플루언트) 혹은 분화 후(컨플루언트 후, 공기 노출하여, 2 mM 칼슘을 첨가하고, 2일 더 배양을 계속한 것)의 케라티노사이트에, Lysis buffer(200 μl)를 가하여, 세포를 용해시킨다. 측정에는, Bright-Glo Luciferase assay System(Promega Co., Madison, WI, USA)를 이용했다. 샘플 20 μl를 소정의 튜브로 옮겨, Auto Lumat Plus(LB953) 8Berthhold GmbH & Co. KG. Bad Wildbad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도 12의 결과로부터,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가 발현되기 위해서는, 상기 전사 조절 영역은 상기 효소의 코드 서열로부터 적어도 216 bp 하류까지의 영역을 갖고 있으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2) NHEK 에의 UV 조사:
30 mJ 혹은 60 mJ의 UVB를 조사하여(Torex Fl20S-E-30/DMR, 20 W, Toshiba Medical Supply), 3시간 후, 24시간 후, 48시간 후에 소정의 방법으로 RNA를 회수하여, 정량 PCR에 의해,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 및 칼파인의 mRNA 발현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30 mJ 조사 후 48시간에 회수한 시료가 가장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mRNA를 발현하고 있었다(도 13).
3) 블레오마이신 발현에 미치는 시토킨의 영향
IL-4(종농도 : 0.1, 1.0, 10 ng/ml), TNFα(종농도 : 0.1, 1.0, 10 ng/ml), IFNγ(종농도 : 1.0, 10, 100 ng/ml)의 각각을, 증식기의 배양 케라티노사이트에 첨가하여, 24시간 인큐베이트한 후, Isogen을 이용하여 RNA를 채취했다. 정량 PCR에 의해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mRNA 발현을 측정했다. 결과를 도 14에 나타낸다. 도 14의 결과로부터, Th2 시토킨의 일종인 인터류킨-4(IL-4)는,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을 하향 조절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6
인간 BH 유전자의 특성 결정
1) BH의 5'-플랭킹 영역의 클로닝
인간 BH 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기초하여, 5'-플랭킹 영역을,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 1(GSP1), 5'-tccctcgagtctgtatcagagcagctaca-3'(서열번호 3)과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 2(GSP2), 5'-tgaacacgcgtccgagctgctcatggcg-3'(서열번호 4)를 사용하여, 제조업자의 취급설명서에 따라서 Genome Walker Kit(Clontech, Mountain View, CA)를 이용하여 증폭했다. 간단히 말하면, 5%의 디메틸설폭시드의 존재 하에, Ex Taq DNA 폴리머라아제(Takara, Shiga, Japan)를 이용하는, 제조업자에 의해서 장려되는 2단계 PCR 프로토콜 : 94℃에서 25초간, 그리고 72℃에서 4분간을 7 사이클, 그것에 이어서 94℃에서 25초간, 그리고 67℃에서 4분간을 32 사이클, 그리고 최후의 신장 67℃에서 4분간을 사용하여, GSP1과 어댑터 프라이머(AP) 1를 이용한 일차 PCR를 실시했다. 이어서, 일차 PCR 혼합물을 희석하고, 그리고 GSP2와 AP2를 이용한 이차 PCR 증폭의 주형으로서 사용했다. 7 사이클 대신에 5 사이클의 첫회 사이클과, 그것에 이어지는 32 사이클 대신에 20 사이클의 사용을 제외하고, 이차 PCR는 일차 PCR와 동일했다. BH의 5'-플랭킹 영역의 연속적인 5'-결실 돌연변이주를, 도 15에 열거한 프라이머를 사용한 PCR에 의해서 산출했다. 증폭 후에, 모든 PCR 산물을 pGEM-T 간이 벡터(Promega, Madison, WI) 내에 클론화하고, 그리고 ABI Prism 310 Genetic Analyzer(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를 이용하여 서열 결정했다.
리포터?플라스미드 pGL3-1216/+1을 구축하기 위해서, PCR를 이하의 조건 하 : 최초의 변성 94℃에서 4분간, 94℃에서 30초간, 60℃에서 1분간, 72℃에서 1분간을 30 사이클,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장 72℃에서 4분간, 주형으로서의 pGEM-T-1216/+1, 및 제한 부위 Kpn I 및 Mlu I를 포함하는 1조의 특이적인 BH 프라이머(5'-ccgggtaccatcagagttccttagaa-3'(서열번호 5) 및 5'-taaatacgcgttggcgcccacgctgccg-3')(서열번호 6)를 사용하여 실시했다. 얻어진 PCR 산물을 Kpn I 및 Mlu I로 소화하고, 그리고 pGL3-Basic 벡터(Promega) 내에 클로닝했다. 한편, pGL3-Basic 벡터는 반딧불이?루시퍼라아제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다. 구축물 전부를 QIAGEN Plasmid Midi Kit(QIAGEN, Duesseldorf, Germany)를 사용함으로써 조제했다.
2)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
MZF-1, Sp-1 및 IRF-1/2 결합 부위의 돌연변이 유발을, 제조업자의 취급설명서에 따라서 Quick change site-directed mutagenesis 키트(Stratagene, La Jolla, CA)를 사용함으로써 실시했다. Sp-1에 결실 변이를 제작하기 위해서, 5'-ggaccccgtttcagcctccccgcc-3'(서열번호 7)(돌연변이체 Sp-1 부위의 순방향 프라이머)와 5'-ggcggggaggctgaaacggggtcc-3'(서열번호 8)(돌연변이체 Sp-1 부위의 역방향 프라이머)를 사용했다. MZF-1 돌연변이체에 대해서는, 5'-gactcagcaacgcggttttgtccctccgc-3'(서열번호 9)(돌연변이체 MZF-1 부위의 순방향 프라이머)와 5'-gcggagggacaaaaccgcgttgctgagtca3'(서열번호 10)(돌연변이체 MZF-1 부위의 역방향 프라이머)를 사용했다. IRF-1/2 돌연변이체에 대해서는, 5'-gccgccgagcctccggcgctcc-3'(서열번호 11)(돌연변이체 IRF-1/2 부위의 순방향 프라이머)와 5'-ggagcgccggaggctcggcggc-3'(서열번호 12)(IRF-1/2 부위의 역방향 프라이머)를 사용했다.
3) 트랜스펙션과 프로모터 활성의 계측
케라티노사이트를 5×104 세포/웰의 밀도로 12 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 내에서 배양하고, 그리고 FuGene HD Transfection 시약(Roche Diagnostics, Basel, Switzerland)을 사용하여, 각각의 구축물 1 μg을 이용하여 트랜스펙션했다. 트랜스펙션 효율을 보정하기 위해서, 모든 세포에 HSV-TK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 있는 레닐라(Renilla) 루시퍼라아제 유전자를 포함하는 pGL4.74[hRluc-TK] 벡터 Promega)를 동시 트랜스펙션했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세포를 트랜스펙션 24시간 후에 채집하고, 그리고 1 웰당 250 μl의 Passive lysis 버퍼(Promega)를 이용하여 용해했다.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Dual Luciferase Reporter Assay System(Promega) 및 Autolumat plus luminometer(Berthold Technologies, Bad Wildbad, Germany)를 이용하여 분석했다. 반딧불이?루시퍼라아제 활성을 레닐라?루시퍼라아제 활성에 관해서 표준화했다. 각 구축물에 대해서, 3개의 트랜스펙션을 독립적으로 실시하고, 그리고 결과를 평균치로서 나타냈다.
4) 정량적 리얼타임 RT-PCR 분석
BH 및 관련 인자의 전사 레벨을 정량적 리얼타임 RT-PCR에 의해서 분석했다. 전체 RNA를 제조업자의 취급설명서에 따라서 ISOGEN(Nippon Gene, Tokyo, Japan)를 이용하여 배양 세포로부터 추출했다. SuperScript(상표) II(Invitrogen, Carlsbad, CA)를 이용하여 cDNA에 역전사했다. 리얼타임 RT-PCR를 제조업자의 취급설명서에 따라서 LightCycler 480 SYBR Green I Master(Roche Diagnostics)를 사용하여 LightCycler raid cycler 시스템에 의해 실시했다. 사용한 프라이머에 관한 정보를 도 16에 나타낸다. 글리세르알데히드-3-인산 데히드로게나아제(GAPDH)를 기준 유전자로서 사용했다. 증폭한 단편의 특이성을 LightCycler 분석 소프트웨어에 의한 융해 곡선의 정량 분석에 의해서 확인했다. mRNA의 양을 GAPDH의 mRNA에 대하여 표준화하고, 그리고 최종적으로 미처리 대조의 mRNA에 대한 비로서 나타냈다.
5) IRF-1 및 -2의 siRNA 베이스의 억제
배양 케라티노사이트를 제조업자의 취급설명서에 따라서, 40 nM의 siIRF-1, siIRF-2 및 siControl A(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와 함께 Lipofectamine RNAi Max(Invitrogen, Carlsbad, CA)를 사용하여 트랜스펙션했다. 그 세포를 항생 물질 불포함 배지 속에서 24시간 배양하고, 그 후, 전체 RNA를 추출하고, 그리고 상기한 것과 같이, 리얼타임 RT-PCR에 의해서 분석했다.
6) 전기영동 이동도 시프트 분석(EMSA)
이중쇄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를, 단일쇄 비오틴화 올리고뉴클레오티드와 단일쇄 미표지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어닐링함으로써 조제했다(도 17). 핵의 추출과 EMSA를, Nuclear Extraction 키트 및 EMSA gel shift 키트(Panomics, Santa Clara, CA)를 사용함으로써 실시했다. 핵 추출물(4 μg)을, 1×결합 버퍼 및 1 μg의 폴리d(I-C) 및 MZF-1, Sp-1, IRF-1/2 및 GATA-1 결합 부위에 대응하는 비오틴화 프로브(50 pmol)와 함께 15℃에서 30분간 인큐베이트했다. 경합 어세이를 위해, 2배의 과잉 미표지 프로브를 비오틴화 프로브의 첨가 전에 결합 반응에 가했다. 이들 인큐베이션 혼합물을, 이어서 0.5×TBE 버퍼와 함께 8%의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속에서 전기영동하고, 그리고 Biodyne B 나일론막(Pall, Port Washington, NY)에 전사했다. EMSA gel shift 키트 속의 화학 발광 검출 시약을 사용함으로써, 밴드를 가시화했다.
7) 결과
인간 BH 유전자 프로모터의 단리와 특성 결정
Genome Net MOTIF 프로그램에 의한 검색으로, 인간 BH의 5'-플랭킹 영역 내의 다수의 추정 전사 인자 결합 부위가 분명하게 되었다(도 18A). 특히, 전사 개시 부위의 위치에 가까운 -216/+1 영역 중에, MZF1, Sp-1, IRF-1/2 및 GATA-1/2에 의해서 인식되는 콘센서스 서열에 잘 합치한 서열이 존재했기 때문에, 이들의 전사 인자가 BH 프로모터 활성의 조정에 관계되고 있음이 시사되었다. 보다 엄밀하게 BH의 프로모터 영역을 결정하기 위해서 결실 분석을 실시했다(도 18B). 최고 레벨의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pGL3-816로 트랜스펙션한 분화형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 검출했다. 그러나, 결실 플라스미드의 상대 루시퍼라아제 활성은, 결실이 pGL3-216로 진행될 때까지 높은 채로 남아 있었다. 구축체 중에서, (pGL3-444라 표시) 단편 -444/+1을 포함하는 플라스미드는, 배양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낮은 활성을 보여, -616/-444 영역에서의 상류 서프레서 활성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이들 결과가 -216/-1 영역이 BH 유전자 전사를 위한 최소 프로모터를 포함하고 있음을 실증했기 때문에, 그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도 18C에 나타낸다. 이 서열은 TATA- 또는 CCAAT- 박스를 포함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이 유전자의 하우스키핑 성질이 시사되었다. 한편, 몇 개의 전사성 인자 결합 부위, 예컨대 MZF-1, Sp-1, IRF-1/2 및 GATA-1/2 등이 이 코어?프로모터 영역에 존재하고 있었다.
BH 유전자 조절에 관여하는 잠재적 cis-엘리멘트의 동정
BH 유전자 발현의 전사 조절에 관여하는 최소 프로모터의 잠재적 cis-엘리멘트를 결정하기 위해서, 각 cis-엘리멘트를 표적으로 한 새로운 일련의 결실 돌연변이주를 구축했다. MZF-1, Sp-1 및 IRF-1/2의 결합 부위를 결실한 경우, 프로모터 활성이 크게 하향 제어되었다(도 19A).
또한, 이들 전사 인자가 추정 결합 부위의 각각에 실제로 결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이를 위해, 전기영동 이동도 시프트?어세이(EMSA)을 배양 케라티노사이트로부터의 핵 추출물, 및 MZF-1, Sp-1, GATA-1 또는 IRF-1/2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비오틴화 이중쇄 올리고뉴클레오티드 프로브를 이용하여 실시했다. 도 19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Sp-1, MZF-1 및 IRF1/2는, BH 프로모터의 대응하는 표적 부위에 결합했지만, GATA-1/2는 결합하지 않았다. 이들 결과는, -216?-105 bp의 프로모터 영역의 이들의 결합 부위가, BH 전사를 위한 cis-엘리멘트에 불가결하다는 것을 보이고 있다.
BH 유전자 발현의 시토킨 매개성 조절
BH는 NMF 산출 효소이기 때문에, 그것이 AD의 병태생리에 관여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BH 유전자 발현에 대한 Th1, Th2 및 Th17 시토킨의 효과를 조사했다. 도 20A는, 증식형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 Th1 시토킨인 IFN-γ가, 용량 의존적 양식으로 BH mRNA 발현을 하향 제어한 것을 도시했다. 그 한편, Th2 및 Th17 시토킨은, BH의 발현에 대하여 유의적인 효과를 전혀 보이지 않았다. 같은 결과가 분화형 케라티노사이트에 의해서 얻어졌다(데이터 미게재). BH 유전자 발현의 조정에서의 IFN-γ의 역할을 해명하기 위해서, 프로모터 어세이를 실시하여, 시토킨 응답 요소를 특정했다. 도 20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IFN-γ는 -131?-120 사이에 IRF-1/2 결합 서열을 포함한 pGL3-BH-616으로 트랜스펙션한 배양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 BH 프로모터 활성을 하향 제어했다. 이 서열의 결실 후에는, IFN-γ가 프로모터 활성을 억제하는 일은 이제 없었다(도 20B). 아울러, IRF-1/2가 BH의 IFN-γ 유발성 하향 조절의 필수 메디에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저분자 간섭 RNA(siRNA)을 사용하여, IRF-1 및 IRF-2 유전자 발현을 억제했다. IFN-γ의 활성은, IRF-1 또는 -2 siRNA(40 nM) 중 어느 것으로 트랜스펙션한 배양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도 20C). 이들 결과는, IRF-1/2 결합 서열이 BH 유전자 발현의 IFN-γ 유발성 하향 조절에 불가결하다는 것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배양 케라티노사이트에서의 BH 및 관련 인자의 발현
표피에서의 전사 조절의 기구를 조사하기 위해서, 리얼타임 PCR법에 의해서 증식형 또는 분화형 세포에서의 BH, 칼파인 I 및 추정 전사 인자의 발현을 분석했다. 도 21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BH mRNA는, 예컨대 증식형 케라티노사이트와 비교한, 집중밀집기 2일 후의 것(3.6배) 및 고칼슘 농도로 배양한 것(8.6배) 등과 같이, 분화형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 상향 제어되었다. 이들 결과는 프로모터 어세이 데이터와 일치하고 있다(도 18B). 같은 결과를, 칼파인 I(약 2.5배의 상향 제어)에 대해서 얻었다. 또한, 배양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 여러 가지 전사 인자, 예컨대, MZF-1, Sp-1, GATA-1, IRF-1 및 IRF-2 등의 발현 패턴을 조사했다. 도 21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이들 전사 인자는, BH의 발현을 따라서, 분화형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 상향 제어되었다. 그러나, GATA-1 mRNA 발현은 다른 인자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1/32). GATA-1은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BH가 MZF-1 및 Sp-1을 통해 분화 의존적 양식으로 합성됨을 시사한다. IRF-1 및 IRF-2가 또한 분화 자극에 의해서도 상향 제어되었다고 하는 사실은 BH 발현이 IFN-γ에 대하여 매우 감수성임을 나타내고 있다.
추정 전사 인자의 발현에 대한 Th1 및 Th2 시토킨의 효과
이들 전사 인자의 시토킨 의존성 조절에 관해서 더욱 조사했다. 도 22A는 IFN-γ가 용량 의존식으로 IRF-1 mRNA 발현을 강하게 상향 제어한 것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IRF-2 발현은 IFN-γ의 존재 하에서 상향 제어되었다. 대조적으로, IRF-1 및 IRF-2의 발현은 100 ng/ml에 있어서만 IL-4의 존재 하에서 유의적으로 증강되었다(도 22B). 흥미롭게도, MZF-1 및 Sp-1은 함께 10 ng/ml의 IL-4의 존재 하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하향 제어되었다(도 22C). 이들 결과는, BH 발현이 각각 직접적 및 간접적으로 Th1 및 Th2 시토킨에 의해서 조절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 피부에 있어서 BH는 하향 제어된다
FLG의 기능 상실형 돌연변이는 AD의 발증 기서에 관련되지만, 유전자 결손뿐만 아니라, 분해 경로의 장해도 또한 AD의 병리에 관련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AD 환자의 병변 피부 및 비병변 피부에서의 BH 및 필라그린의 국재, 및 BH 활성을 이어서 조사했다. 정상 표피에서는, 항BH 항체와 항필라그린 항체에서의 이중 염색은, 상면 표피에서의, 특히 앞서 보고된 것과 같이, 과립층에서의 BH와 필라그린의 동시 국재를 보였다(도 23A). 보다 높은 배율에서는, BH가 과립층에서부터 각화층까지 국소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한편, 필라그린이 과립 세포에 한정되고 있음이 명확하게 드러났다. 대조적으로, BH 발현은 이 연구에서 진찰한 AD 환자(n=7)의 병변 피부 및 비병변 피부에 있어서 극적으로 감소했다. 이들 환자 전부는 유의적인 염색이 항상 검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약한 필라그린 염색을 보였다(도 23A). 면역 조직 화학에 더하여, BH 활성을 18명의 AD 환자 및 30명의 건강한 정상 자원자로부터 얻은 테이프 박리 샘플로부터의 각질 세포 추출물에 있어서 계측했다. AD 환자의 병변 피부와 비병변 피부로부터의 추출물은, 건강한 정상인으로부터의 그것과 비교하여, (각각 27.1과 8.8%까지) 실질적으로 낮은 BH 활성을 보였다(도 23B). 이들 결과는, BH가 필라그린과 동시 국재화되고, 그리고 그 활성이 AD를 앓고 있는 환자의 피부에 있어서 극적으로 저감되는 것을 실증했다.
고찰
이 연구에서는, BH 유전자 발현의 조절 기서를 프로모터 영역의 클로닝 및 기능을 특징지음으로써 연구했다. 프로모터 해석에서는, -216 bp 상류 중에 BH 프로모터 활성에 있어서 중요한 영역을 동정했다(도 18B). 이 영역에서는, 추정 MZF-1 및 Sp-1 결합 부위가 BH 프로모터 활성에 대하여 유의적인 효과를 보였다(도 18C 및 19A). 흥미롭게도, Sp-1 및 MZF-1도 또한 필라그린 분해 개시에 있어서 중요한 효소인 PAD1의 조정에 관여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Sp-1은, 포유동물 세포에 있어서 전사 인자로서 기능하는 징크 핑거 단백질의 Sp/Kruppel 유사 패밀리의 전형적인 멤버이다. 증식, 아폽토시스, 분화 및 종양성 형질 전환을 포함한 세포 기능의 거의 모든 면에 관여한다고 생각된다. 인간 표피에 있어서, Sp-1은, 인볼루크린, 로리크린,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PAD1, 2 및 3의 그것을 포함시켜, 표피 분화에 참가하는 유전자의 중요한 조절 인자이다. MZF-1은 징크 핑거 단백질의 Krupple 패밀리에 속하는 전사 인자이며, 분화 전능성 조혈성 세포 및 골수 시원 세포에 있어서 발현된다. 그러나, 포유동물 표피에 있어서의 전사 조절에서의 MZF-1의 기능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증식형 케라티노사이트와 비교하여, 분화형 케라티노사이트에 있어서 MZF-1 및 Sp-1, 및 BH를 동시에 상향 제어하는 것을 알아내고(도 21B), 하우스키핑적인 역할보다 오히려 분화에서의 BH의 역할을 보였다. 우리들의 결과는, 이들 전사 인자가 케라티노사이트 최종 분화 중의 BH의 기본적인 전사 조절을 위한 활성화 인자로서 기능하는 것을 명확히 보였다.
한편, cis 작용 엘리멘트의 조사는, 이 영역 내의 IRF-1/2 결합 부위를 더욱 규정했다. EMSA를 사용하여, BH 프로모터 영역에의 IRFs의 직접 결합을 확인했다(도 19B). 이 결합 서열의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은, BH 프로모터 활성의 유의적인 감소를 가져왔다(도 19A). 그 때문에, IRF-1/2 전사 인자도 또한, 기본 조건 하에, BH 유전자의 최소 프로모터 활성에 필요할 것이다. IRF 패밀리는 전사 인자의 그룹이며, 지금까지는 9개의 IRF 멤버(IRF-1?-9)가 여러 가지 세포형 및 조직에서 동정되었다. 이들 IRF 분자는, IFN-α, β 및 γ에 의한 자극 하에서, 항바이러스 방어, 면역 응답/조절 및 세포 성장 조절에 있어서 역할을 하고 있다. IRF-1 및 -2는 많은 IFN-γ 유도성 유전자의 조정에 관여하는 작동약-길항약 쌍으로서 기능함을 보이고 있다. 흥미롭게도, IFN-γ는, BH mRNA 발현을 현저히 억제했다(도 20A 및 20B). 넉다운 및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 분석에서는, IRF-1/2 결합 부위가 BH 발현의 IFN-γ 매개성 억제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했다(도 20B 및 20C). 이들 결과는, IRF-1/2가 인간 케라티노사이트에서의 BH 유전자의 IFN-γ 매개성 하향 조절의 메디에이터임을 명확히 보이고 있다. 한편, Th2 시토킨인 IL-4 및 IL-13은, 24시간의 인큐베이션 동안, 직접적인 작용을 전혀 보이지 않았다(도 20A). 그러나, 이들 Th2 시토킨은 액티베이터 분자인 MZF-1 및 Sp-1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억제했다. 따라서, Th2 시토킨이 BH 발현을 마이너스로 조절하는 것은 타당한 것이다.
또한, BH가 병변 및 비병변 AD 피부에 있어서 극적으로 하향 제어된 것도 도시했다(도 23A 및 23B). 필라그린 돌연변이는 AD 등의 배리어 장해 관련 질환의 주된 위험 인자이지만, 돌연변이 분석에서는, 아일랜드에서의 발생의 50% 미만, 그리고 일본에서의 ?20%의 비율밖에 차지하고 있지 않음이 지적되었다. 필라그린 합성 부전뿐만 아니라, 필라그린의 분해 상해도 배리어 기능의 붕괴에 관여한다고 가정했다. NMF의 감소가 건조 피부를 가져와, 그것이 배리어의 붕괴를 진행시키는 것은 명확하다. AD가 Th2 극성화 질환임은 주지된 바이다. 그러나, 최근의 보고는, Th1 시토킨도 또한 AD에 있어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예컨대, 「내인성 AD」는, IL-4, IL-5 및 IL-13의 낮은 발현 및 IFN-γ의 높은 발현에 의해서 면역학적으로 특징지어진다. 아울러, Th1에서 Th2로의 시프트가, AD 피부에서 급성상에서 만성상으로 가는 사이에 일어난다. 우리들의 결과는, AD에 있어서, IFN-γ가 생각되고 있었던 것보다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음을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들의 결과는, 인간 표피에서의 BH 전사가 이중 양식으로 조절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한쪽의 경로는 케라티노사이트 최종 분화의 제어 하에 있고, 그리고, 또 한쪽은 Th1 및 Th2 시토킨에 의존하고 있다. 이들 경로는, 서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밸런스가 BH 발현의 하향 조절을 향하여 용이하게 시프트할 것이다. BH의 저하가 NMF의 부족을 가져오고, 이로써 건조 피부나, 나아가서는 배리어의 붕괴로 이어진다. 이들 결과는 BH 조정과 AD의 발증 기서에의 새로운 견식(見識)을 제공한다.
SEQUENCE LISTING <110> SHISEIDO COMPANY, LTD. <120> Method for Screening of Agent for Improving Atopic Dry Skin Using Activity of Bleomycin Hydrolase as Indicator <130> Y697-PCT <150> JP2009-275909 <151> 2009-12-03 <160> 12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3PDH Forward primer <400> 1 tgtggtttgg ctgtgatgtt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3PDH Reverse primer <400> 2 gcaccatcct gatcatcctt 20 <210> 3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G gene specific primer 1 <400> 3 tccctcgagt ctgtatcaga gcagctaca 29 <210> 4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H gene specific primer 2 <400> 4 tgaacacgcg tccgagctgc tcatggcg 28 <210> 5 <211> 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H specific primer containing Kpn 1 <400> 5 ccgggtacca tcagagttcc ttagaa 26 <210> 6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H specific primer containing Mlu 1 <400> 6 taaatacgcg ttggcgccca cgctgccg 28 <210> 7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p-1 site forward primer <400> 7 ggaccccgtt tcagcctccc cgcc 24 <210> 8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p-1 site reverse primer <400> 8 ggcggggagg ctgaaacggg gtcc 24 <210> 9 <211> 2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ZF-1 site forward primer <400> 9 gactcagcaa cgcggttttg tccctccgc 29 <210> 10 <211> 3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ZF-1 site reverse primer <400> 10 gcggagggac aaaaccgcgt tgctgagtca 30 <210> 1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RF-1/2 site forward primer <400> 11 gccgccgagc ctccggcgct cc 22 <210> 1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RF-1/2 site reverse primer <400> 12 ggagcgccgg aggctcggcg gc 22

Claims (9)

  1. 후보 약제가, 대조 약제와 비교하여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유의적으로 항진하는 경우에, 그 후보 약제를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개선제라고 평가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개선제를 스크리닝 평가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를 코드하는 유전자의 전사 활성이 대조의 것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항진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발현 및/또는 활성이 유의적으로 항진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를 코드하는 유전자의 전사 조절 영역에 대한, 전사 인자 IRF-1, IRF-2, MZF-1, SP-1 및/또는 GATA-1의 결합 활성이 대조의 것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항진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전사 활성이 유의적으로 항진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방법.
  4. 피부 조직에서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을 유의적으로 항진시킴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를 개선 또는 예방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를 코드하는 유전자의 전사 활성을 항진시킴으로써 상기 발현 및/또는 활성이 유의적으로 항진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를 코드하는 유전자의 전사 조절 영역에 대한, 전사 인자 IRF-1, IRF-2, MZF-1, SP-1 및/또는 GATA-1의 결합 활성을 항진시킴으로써 상기 발현 및/또는 활성이 유의적으로 항진되는 방법.
  7. 피부 조직에서의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발현 및/또는 활성이, 대조 피부의 것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저하하고 있는 경우에,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경향이 있다고 진단하고, 대조 피부의 것과 비교하여 같은 정도 이상이면,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경향이 없다고 진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의 소인을 진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를 코드하는 유전자의 전사 활성이 대조의 것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저하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발현 및/또는 활성이 유의적으로 저하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전사 인자 IRF-1, IRF-2, MZF-1, SP-1 및/또는 GATA-1의 결합 활성이 대조의 것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저하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전사 활성이 저하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방법.
KR1020127014360A 2009-12-03 2010-12-02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활성을 지표로 한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 개선제의 스크리닝 방법 KR101787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75909 2009-12-03
JPJP-P-2009-275909 2009-12-03
PCT/JP2010/071599 WO2011068166A1 (ja) 2009-12-03 2010-12-02 ブレオマオシン水解酵素の活性を指標としたアトピー性皮膚炎による乾燥肌改善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445A true KR20120112445A (ko) 2012-10-11
KR101787126B1 KR101787126B1 (ko) 2017-10-18

Family

ID=4411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360A KR101787126B1 (ko) 2009-12-03 2010-12-02 블레오마이신 수해 효소의 활성을 지표로 한 아토피성 피부염에 의한 건조 피부 개선제의 스크리닝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8906629B2 (ko)
EP (1) EP2508605B1 (ko)
JP (1) JP5858788B2 (ko)
KR (1) KR101787126B1 (ko)
CN (1) CN102648278B (ko)
ES (1) ES2541614T3 (ko)
HK (1) HK1174054A1 (ko)
TW (1) TWI528034B (ko)
WO (1) WO20110681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1123B2 (ja) * 2011-11-09 2015-08-26 株式会社 資生堂 プロフィラグリンc末端ドメイン特異的抗体及びその用途
JP6199592B2 (ja) * 2013-04-15 2017-09-20 株式会社 資生堂 分析方法
FR3011009B1 (fr) * 2013-09-25 2016-11-25 Oreal Signature bacterienne de la dermatite atopique et son utilisation dans la prevention et/ou le traitement de cette pathologie
JP6462437B2 (ja) * 2014-05-08 2019-01-30 花王株式会社 皮膚の乾燥状態の評価方法
WO2022181438A1 (ja) * 2021-02-26 2022-09-01 国立大学法人神戸大学 被験試料の皮膚における異物応答反応の惹起性の評価方法、皮膚における異物応答反応の抑制性を有する物質の探索方法、及び、皮膚における異物応答反応を抑制する剤
CN113528573A (zh) * 2021-07-29 2021-10-22 徐州医科大学 含有hdac1基因启动子和报告基因的重组质粒及其构建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9002B2 (ja) 1995-06-14 2005-04-13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普通形コンバインの穀稈刈取装置
US6974667B2 (en) * 2000-06-14 2005-12-13 Gene Logic, Inc. Gene expression profiles in liver cancer
US20040156826A1 (en) * 2002-09-27 2004-08-12 Fernando Dangond Treatment of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based on gene expression changes in central nervous system tissues
AU2006330410A1 (en) * 2005-12-28 2007-07-05 Centocor, Inc. Markers and methods for assessing and treating psoriasis and related disorders
JP4803004B2 (ja) 2006-11-28 2011-10-26 旭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高周波ガラスアンテナ及び窓ガラス板
FR2920304B1 (fr) 2007-09-04 2010-06-25 Oreal Utilisation cosmetique de lysat bifidobacterium species pour le traitement de la secheresse.
JP5602015B2 (ja) * 2008-05-23 2014-10-08 株式会社 資生堂 ブレオマイシン水解酵素の活性を指標とした天然保湿因子による皮膚バリアー機能状態の評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48278B (zh) 2015-03-25
EP2508605A1 (en) 2012-10-10
EP2508605B1 (en) 2015-05-20
US20150118686A1 (en) 2015-04-30
KR101787126B1 (ko) 2017-10-18
CN102648278A (zh) 2012-08-22
US9068228B2 (en) 2015-06-30
JPWO2011068166A1 (ja) 2013-04-18
TW201131169A (en) 2011-09-16
ES2541614T3 (es) 2015-07-22
US8906629B2 (en) 2014-12-09
TWI528034B (zh) 2016-04-01
WO2011068166A1 (ja) 2011-06-09
US20120302649A1 (en) 2012-11-29
EP2508605A4 (en) 2013-05-01
HK1174054A1 (en) 2013-05-31
JP5858788B2 (ja) 2016-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8228B2 (en) Method for screening ameliorants of dry skin caused by atopic dermatitis using bleomycin hydrolase activity as indicator
Blanchard et al. IL-13 involvement in eosinophilic esophagitis: transcriptome analysis and reversibility with glucocorticoids
US20200215139A1 (en) Bleomycin hydrolase production promotor
Yamamoto et al. Quantification of activated and total caspase-14 with newly developed ELISA systems in normal and atopic skin
Hong et al. Association of TG2 from mast cells and chronic spontaneous urticaria pathogenesis
Corriveau et al. The fibrotic phenotype of systemic sclerosis fibroblasts varies with disease duration and severity of skin involvement: reconstitution of skin fibrosis development using a tissue engineering approach
Oostendorp et al. Evaluation of cultured human dermal-and dermo-epidermal substitutes focusing on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s: Comparison of protein and RNA analysis
JP2021099351A (ja) 生体サンプル中のミトコンドリア複製の機能不全をインビトロで調査するための方法、そのキット及び使用、早老症様の症候群又は症状に対する治療方法、並びに特定のプロテアーゼ阻害剤及び/又はニトロソ酸化還元ストレススカベンジャー化合物を同定するため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Wang et al. Altered gene expression in kidneys of mice with 2, 8-dihydroxyadenine nephrolithiasis
KR20100059897A (ko) 심혈관 및 혈전 위험도를 측정하기 위한 clec1b의 용도
KR102601496B1 (ko) 피부 노화 진단을 위한 후각 수용체 유전자 및 이들의 용도
Kindt et al. Intermedin: a skin peptide that is downregulated in atopic dermatitis
JP7502945B2 (ja) デリケートエリアのかぶれの検査方法
TÜRKMEN et al. Evaluation of the Diagnostic Significance of Some Biomarkers in Pruritic Dermatological Diseases: A Case-Control Study.
Infante et al. Galunisertib downregulates mutant type I collagen expression and promotes MSCs osteogenesis in pediatric osteogenesis imperfecta
Purzycka-Bohdan et al. Assessment of Interleukin 16 Serum Levels and Skin Expression in Psoriasis Patients in Correlation with Clinical Severity of the
Matsuo et al. Role of glucosylation of ceramide in epidermal barrier formation
Pincelli et al. Expression and function of nerve growth factor and nerve growth factor receptors on cultured normal human keratinocytes
Fujimoto et al. Expression of cornifin in squamous differentiated epithelial tissues
Hamanaka et al. Structure determination of acylglucosylceramides of human cultured keratinocytes
Presland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S-100-like calcium binding domain of human profilaggrin
WO2011151658A1 (en) Anti-ageing ag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