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488A - 식품 원료 교반 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원료 교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488A
KR20120110488A KR1020110028380A KR20110028380A KR20120110488A KR 20120110488 A KR20120110488 A KR 20120110488A KR 1020110028380 A KR1020110028380 A KR 1020110028380A KR 20110028380 A KR20110028380 A KR 20110028380A KR 20120110488 A KR20120110488 A KR 20120110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horizontal
case
raw material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통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통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통푸드
Priority to KR1020110028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0488A/ko
Publication of KR2012011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488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원료를 교반하는 교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 원료 교반 장치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일측에는 식품 원료가 공급되는 원료공급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중앙에는 교반된 원료가 배출되는 원료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프레임회전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회전축은 케이스의 천장을 관통하여 케이스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중앙모터와; 다수 개의 수평부재가 연결되어 '+' 또는 '*' 중 어느 한 가지 형상을 취하고, 각 수평부재가 연결된 중앙은 상기 프레임회전축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케이스 내부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에 상기 수평부재를 관통하는 교반날개회전축이 형성되어 있고, 각 수평부재 외측 선단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모터와; 상단이 상기 교반날개회전축에 연결되어 케이스 내부 공간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교반날개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 외주면에 상하로 이격된 채 다수 개가 층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으며, 교반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평교반날개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중앙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되, 각 수평교반날개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받침대와; 상기 각 수평부재의 교반축이 설치된 지점에서 중앙측의 위치에 상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케이스 내부 공간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는 수직부재와; 서로 마주보는 수직부재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위에서 아래로 다수 개가 층을 이루어 평면상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평회전축과; 상기 수평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직으로 회전하는 수직교반날개와; 상기 케이스의 천장 및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분사노즐과, 각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구성되어 케이스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세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상부프레임을 따라 케이스 내부를 회전하는 교반축에 의해 설치된 다수 개의 교반날개가 회전함으로써 재료의 분리 현상이 방지되면서 골고루 교반이 이루어지고, 벽면 측으로 이동하는 원료는 가이드받침대를 이용하여 중앙 측으로 이동한 후 낙하하도록 하여 다시 교반날개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도록 하고, 중앙 측으로 낙하하는 원료는 상하 방향으로 자유 회전하는 수직교반날개에 의해 상하로 뒤섞이도록 함으로써 원할한 교반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식품 원료 교반 장치{Agitator for food materals}
본 발명은 식품 원료를 교반하는 교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프레임을 따라 케이스 내부를 회전하는 교반축에 의해 설치된 다수 개의 교반날개가 회전함으로써 재료의 분리 현상이 방지되면서 골고루 교반이 이루어지고, 벽면 측으로 이동하는 원료는 가이드받침대를 이용하여 중앙 측으로 이동한 후 낙하하도록 하여 다시 교반날개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도록 하고, 중앙 측으로 낙하하는 원료는 상하 방향으로 자유 회전하는 수직교반날개에 의해 상하로 뒤섞이도록 함으로써 원할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한, 식품 원료 교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을 제조할 때 통상적으로 복수의 재료를 혼합하는 공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혼합 공정을 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교반 장치가 구비되며, 이러한 교반 장치는 일반적으로 회전식 날개가 부착된 교반 장치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교반 장치에 관한 기술로 "교반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38051호)에는 도 1과 같은 일반적인 교반 장치에 관해 공개되어 있다.
도 1의 교반 장치는 회전식 날개부착 교반기의 대표적인 방식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회전식 날개가 부착된 교반기는 교반기 외부의 모터 등으로부터 얻어진 회전동력을 교반기 내부의 회전축에 전달하여 회전축에 고정된 교반날개가 회전축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혼합 교반 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교반 장치의 경우 중앙에 설치된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날개가 회전함에 따라 원심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에서 교반되는 재료는 점차 회전축으로부터 멀리 이격되려는 힘에 의해 벽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식품 제조를 위해 교반되는 재료는 모두가 동일한 질량을 갖는 것이 아닌 관계로, 각 재료의 무게에 따라 서로 분리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즉, 교반기 내부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재료별 분리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중앙 일축 회전에 따른 재료 분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품교반장치"(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5-0006601호)에는 케이스를 공과 같은 구 형상으로 형성하고, 케이스 자체를 회전시키도록 하였으나, 이는 케이스 회전에 소요되는 전력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438051호 (2004.06.19) KR 20-1995-0006601 (1995.08.16)
본 발명의 식품 원료 교반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부프레임을 케이스 내부에 설치하고, 상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수평부재의 선단 하부에 별도의 교반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축을 설치하고, 이 교반축에 수평교반날개를 설치함으로써 수평교반날개가 회전하는 다수 개의 교반축으로 인해 중앙에 하나의 축이 구비된 종래의 교반 장치에 비해 재료의 분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특히, 각 수평교반날개는 결과적으로 상부프레임에 연결된 채 회전하고, 상부프레임은 중앙모터에 의해 연결된 채 케이스 내부를 회전함으로써, 수평교반날개는 케이스 내부를 이동하면서 회전함으로써 식품 원료가 골고루 교반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각 수평교반날개의 하부 위치에 가이드받침대를 설치함으로써, 수평교반날개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의 벽면측으로 이동한 재료가 직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료가 골고루 교반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한편, 상부프레임의 각 수평부재 중간 하부에 수직부재를 설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수직부재에는 수평회전축을 연결 설치하고, 수평회전축에 수직교반날개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수직교반날개에 의해 내부 원료가 상하 방향으로 원할한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즉, 상부프레임을 따라 케이스 내부를 회전하는 교반축에 의해 설치된 다수 개의 교반날개가 회전함으로써 재료의 분리 현상이 방지되면서 골고루 교반이 이루어지고, 벽면 측으로 이동하는 원료는 가이드받침대를 이용하여 중앙 측으로 이동한 후 낙하하도록 하여 다시 교반날개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도록 하고, 중앙 측으로 낙하하는 원료는 상하 방향으로 자유 회전하는 수직교반날개에 의해 상하로 뒤섞이도록 함으로써 원할한 교반이 이루어지게 하려는 것이다.
또, 케이스 상부 및 측면에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이 설치됨으로써 케이스 내벽면 및 내부에 설치된 교반축, 수평, 수직 교반날개 등을 원할하게 세척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 원료 교반 장치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일측에는 식품 원료가 공급되는 원료공급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중앙에는 교반된 원료가 배출되는 원료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프레임회전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회전축은 케이스의 천장을 관통하여 케이스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중앙모터와; 다수 개의 수평부재가 연결되어 '+' 또는 '*' 중 어느 한 가지 형상을 취하고, 각 수평부재가 연결된 중앙은 상기 프레임회전축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케이스 내부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에 상기 수평부재를 관통하는 교반날개회전축이 형성되어 있고, 각 수평부재 외측 선단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모터와; 상단이 상기 교반날개회전축에 연결되어 케이스 내부 공간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교반날개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 외주면에 상하로 이격된 채 다수 개가 층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으며, 교반축의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평교반날개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중앙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되, 각 수평교반날개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받침대와; 상기 각 수평부재의 교반축이 설치된 지점에서 중앙측의 위치에 상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케이스 내부 공간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는 수직부재와; 서로 마주보는 수직부재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위에서 아래로 다수 개가 층을 이루어 평면상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평회전축과; 상기 수평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직으로 회전하는 수직교반날개와; 상기 케이스의 천장 및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분사노즐과, 각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구성되어 케이스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세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는 하단이 교반축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부재의 최하단 수평회전축은 서로 마주보는 수직부재를 연결하면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직으로 회전하는 보조수직교반날개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일측변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각 수평부재에 맞닿아 있으며, 타측변은 케이스 내부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변과 타측변을 연결하는 변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중앙보다 외측이 넓은 호 형상을 가지며, 일측변과 연결된 두 변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원료분산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중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상부프레임을 케이스 내부에 설치하고, 상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수평부재의 선단 하부에 별도의 교반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축을 설치하고, 이 교반축에 수평교반날개를 설치함으로써 수평교반날개가 회전하는 다수 개의 교반축으로 인해 중앙에 하나의 축이 구비된 종래의 교반 장치에 비해 재료의 분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각 수평교반날개는 결과적으로 상부프레임에 연결된 채 회전하고, 상부프레임은 중앙모터에 의해 연결된 채 케이스 내부를 회전함으로써, 수평교반날개는 케이스 내부를 이동하면서 회전함으로써 식품 원료가 골고루 교반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케이스의 내주면에는 각 수평교반날개의 하부 위치에 가이드받침대를 설치함으로써, 수평교반날개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의 벽면측으로 이동한 재료가 직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료가 골고루 교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부프레임의 각 수평부재 중간 하부에 수직부재를 설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수직부재에는 수평회전축을 연결 설치하고, 수평회전축에 수직교반날개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수직교반날개에 의해 내부 원료가 상하 방향으로 원할한 교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부프레임을 따라 케이스 내부를 회전하는 교반축에 의해 설치된 다수 개의 교반날개가 회전함으로써 재료의 분리 현상이 방지되면서 골고루 교반이 이루어지고, 벽면 측으로 이동하는 원료는 가이드받침대를 이용하여 중앙 측으로 이동한 후 낙하하도록 하여 다시 교반날개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도록 하고, 중앙 측으로 낙하하는 원료는 상하 방향으로 자유 회전하는 수직교반날개에 의해 상하로 뒤섞이도록 함으로써 원할한 교반이 이루어진다.
또, 케이스 상부 및 측면에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이 설치됨으로써 케이스 내벽면 및 내부에 설치된 교반축, 수평, 수직 교반날개 등을 원할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식품 원료 교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식품 원료 교반 장치를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식품 원료 교반 장치를 나타낸 단면개략도.
이하,본 발명의 식품 원료 교반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식품 원료 교반 장치는 크게 케이스(10), 중앙모터(20), 상부프레임(30), 교반모터(40), 교반축(50), 수평교반날개(60), 가이드받침대(70), 수직부재(80), 수평회전축(90), 수직교반날개(100), 세척장치(110)로 구성된다.
케이스(10)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일측에는 식품 원료가 공급되는 원료공급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중앙에는 교반된 원료가 배출되는 원료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 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원료배출구(12)를 향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원료의 원할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앙모터(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외측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이 중앙모터(20)는 하부에 일반적인 모터의 샤프트인 프레임회전축(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회전축(21)은 케이스(10)의 천장을 관통하여 케이스(10) 내부공간에 위치한다.
상부프레임(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수평부재(31)가 서로 연결되어 '+' 또는 '*' 중 어느 한 가지 형상을 취한다.
이때, 각 수평부재(31)의 갯수는 4개나 6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2개, 3개 5개, 8개 등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각 수평부재(31)가 연결된 중앙은 상기 프레임회전축(21)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회전축(21)의 회전에 따라 케이스(10) 내부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교반모터(40)는 본체가 각 수평부재(31)의 외측 선단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반 모터의 샤프트에 해당하는 교반날개회전축(41)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되, 교반날개회전축(41)은 수평부재(31)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교반축(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반날개회전축(41)에 연결되어 내부 공간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교반축(50)은 교반날개회전축(41)의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평교반날개(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축(50)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여러 개가 층을 이루어 다수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평교반날개(60)는 교반축(50)이 회전함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여 케이스(10) 내부 공간의 식품 원료를 교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가이드받침대(70)는 케이스(10)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단면 구조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은 케이스(10) 내벽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일측에 비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받침대(70)는 각각의 수평교반날개(60)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구조는 케이스(10)의 외곽 측에 위치한 수평교반날개(60)가 회전하여 식품 원료를 교반할 때 케이스(10)의 외곽 측으로 이동한 원료가 수직 낙하할 경우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는 바, 외곽측으로 가이드받침대(70)를 설치함으로써 중앙측 방향으로 미끄러져 떨어져 다시 수평교반날개(60)의 영향으로 교반됨으로써 원할한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수직부재(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평부재(31)의 교반축(50)이 설치된 지점에서 중앙측의 위치에 상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케이스(10) 내부 공간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교반축(50)의 갯수만큼 설치된다 할 것이다.
수평회전축(9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수직부재(80)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위에서 아래로 다수 개가 층을 이루어 평면상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면을 살펴보면 위에서 첫번째 및 세번째에 설치된 수평회전축(90)은 전면과 후면의 수직부재(80)를 연결하는 전후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위에서 두번째에 설치된 수평회전축(90)은 좌측면과 우측면의 수직부재(80)를 연결하는 좌우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 평면상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수평회전축(90)은 후술하는 수직교반날개(100)의 회전을 위한 축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수평회전축(90)은 양측이 서로 마주보는 두 수직부재(80)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수직교반날개(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회전축(9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수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중앙에 수평회전축(90)이 끼워지도록 원통형의 파이프가 형성되고, 파이프 외주면에 다수 개의 플레이트를 부착하여 형성함으로써 수평회전축(90)에 끼워진 채 자유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직교반날개(100)는 상부프레임(30)의 회전 및 위에서 아래로 공급되는 식품 원료가 부딪힘으로 인해 별도의 외부 동력 공급 없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앞서 설명한 수평회전축(90)이 상하로 교차되도록 설치됨으로 인해 상하로 인접한 수직교반날개(100)는 회전하는 방향이 서로 교차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원료의 교반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세척장치(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천장 및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분사노즐(111)과, 각 분사노즐(111)을 연결하는 연결관(112)으로 구성되어 케이스(10)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결관(112)은 세척수를 공급하는 탱크 및 펌프 등에 연결되어 있어 분사노즐(111)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세척수의 공급에 따라 세척 과정을 거친 세척수가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지 않고 별도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료배출구(12)의 하부에 연결된 관은 두 개의 배관으로 분기되고, 일측에는 세척수배출밸브(141)가, 타측에는 원료배출밸브(140)가 설치되어 있어 교반시에는 세척수배출밸브(141)가 차단되고, 세척시에는 원료배출밸브(140)가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케이스(10)의 하부에는 원료가 적재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것보다 상하로 뒤집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수직부재(80)는 하단이 교반축(50)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직부재(80)의 최하단 수평회전축(90)은 서로 마주보는 수직부재(80)를 연결하면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91)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9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직으로 회전하는 보조수직교반날개(120)가 더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수직부재(80)가 교반축(50)보다 낮게 위치하며, 최하단의 수직부재(80)에는 수형회전축이 수직부재(80)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9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도룰부에 보조수직교반날개(1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부프레임(30)에 연결된 수직부재(80)가 케이스(10) 내부를 순환하면서 수직교반날개(100) 및 보조수직교반날개(120)가 케이스(10) 하부를 수직으로 교반하여 하부의 원료가 상하로 골고루 교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원료공급구(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원료는 각 재료별로 무게가 달라 무게가 무거운 재료는 케이스(10) 내부 바닥에 먼저 도달하게 되어 상하로 재료가 구분되어 적재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원료공급구(11)를 통해 내부로 낙하하는 원료를 케이스(10) 상부에서 분산시켜 최대한 층의 분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변(131)이 상기 상부프레임(30)의 각 수평부재(31)에 맞닿아 있으며, 타측변(132)은 케이스(10) 내부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변(131)과 타측변(132)을 연결하는 변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중앙보다 외측이 넓은 호 형상을 가지며, 일측변(131)과 연결된 두 변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원료분산판(130)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처럼 원료분산판(130)을 설치하게 되면, 상부프레임(30)이 회전함에 따라 원료공급구(11)로 유입되는 원료는 회전하는 원료분산판(130)에 의해 골고루 분산되면서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어 원할한 교반이 이루어지고, 층의 분리가 덜 발생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식품 원료 교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식품 원료 교반 장치는 중앙모터(20)의 작동에 따라 상부프레임(30)이 회전하게 되고, 상부프레임(30)의 회전에 따라 교반축(50) 및 수직부재(80)가 케이스(10) 내부 공간을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각 교반축(50)은 상부프레임(30)의 수평부재(31) 상부에 안착된 교반모터(40)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며, 이에 의해 수평교반날개(60)는 수평으로 자체 회전한다.
또, 수직부재(80)에 연결되어 있는 수직교반날개(100)는 상부프레임(30)의 회전 및 상부에서 낙하하는 원료가 부딪힘에 따라 회전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원료공급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식품 원료의 일부는 중앙모터(20)를 중심으로 케이스(10) 내부를 회전하면서 자체 회전하는 다수 개의 수평교반날개(60)에 의해 교반되며, 수평교반날개(60)에 의해 교반된 원료의 일부는 중앙측으로, 또다른 일부는 케이스(10) 외곽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케이스(10) 외곽측으로 이동한 원료는 가이드받침대(70)에 의해 쌓이며, 경사면을 따라 중앙측으로 이동하여 다시 하부의 수평교반날개(60)에 의해 교반되어 일부는 중앙측으로, 또다른 일부는 케이스(10) 외곽측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케이스(10)의 중앙측으로 이동한 원료는 수직부재(80)에 연결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된 수직교반날개(100)에 의해 상하로 교반되는데, 이때 수직교반날개(100)가 연결된 수직부재(80)가 중앙모터(20)에 의해 회전하게 되므로 중앙측으로 이동한 원료는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의 복합 교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식품 원료는 질량에 따라 중앙 측과 외곽 측의 층의 구분이 덜 발생하게 되면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교반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무게와 관계없이 최대한 골고루 교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원료분산판(13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최초 원료가 원료공급구(11)로 유입될 때 중앙모터(2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원료분산판(130)에 쌓이면서 회전하면서 낙하하게 되어 케이스(10) 내부에 골고루 낙하하게 되므로 무게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의 층 분리가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여기에, 하부에 보조수직교반날개(120)를 구비한 경우 케이스(10) 내부의 하부에서는 케이스(10) 내부를 회전하면서 자체 수직 회전하는 보조수직교반날개(120)에 의해 최종적으로 원할한 교반이 이루어지게된다.
10 : 케이스 11 : 원료공급구
12 : 원료배출구 20 : 중앙모터
21 : 프레임회전축 30 : 상부프레임
31 : 수평부재 40 : 교반모터
41 : 교반날개회전축 50 : 교반축
60 : 수평교반날개 70 : 가이드받침대
80 : 수직부재 90 : 수평회전축
91 : 돌출부 100 : 수직교반날개
110 : 세척장치 111 : 분사노즐
112 : 연결관 120 : 보조수직교반날개
130 : 원료분산판 131 : 일측변
132 : 타측변 140 : 원료배출밸브
141 : 세척수배출밸브

Claims (3)

  1. 식품 원료 교반 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 일측에는 식품 원료가 공급되는 원료공급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중앙에는 교반된 원료가 배출되는 원료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0)와;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프레임회전축(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회전축(21)은 케이스(10)의 천장을 관통하여 케이스(10)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중앙모터(20)와;
    다수 개의 수평부재(31)가 연결되어 '+' 또는 '*' 중 어느 한 가지 형상을 취하고, 각 수평부재(31)가 연결된 중앙은 상기 프레임회전축(21)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회전축(21)의 회전에 따라 케이스(10) 내부공간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부프레임(30)과;
    하부에 상기 수평부재(31)를 관통하는 교반날개회전축(41)이 형성되어 있고, 각 수평부재(31) 외측 선단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교반모터(40)와;
    상단이 상기 교반날개회전축(41)에 연결되어 케이스(10) 내부 공간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교반날개회전축(41)의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교반축(50)과;
    상기 교반축(50) 외주면에 상하로 이격된 채 다수 개가 층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으며, 교반축(50)의 회전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평교반날개(6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주면을 따라 중앙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되, 각 수평교반날개(60)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받침대(70)와;
    상기 각 수평부재(31)의 교반축(50)이 설치된 지점에서 중앙측의 위치에 상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케이스(10) 내부 공간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는 수직부재(80)와;
    서로 마주보는 수직부재(80)를 수평으로 연결하며, 위에서 아래로 다수 개가 층을 이루어 평면상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평회전축(90)과;
    상기 수평회전축(9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직으로 회전하는 수직교반날개(100)와;
    상기 케이스(10)의 천장 및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분사노즐(111)과, 각 분사노즐(111)을 연결하는 연결관(112)으로 구성되어 케이스(10)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세척장치(110);를 포함하여 구성된,
    식품 원료 교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80)는 하단이 교반축(50)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부재(80)의 최하단 수평회전축(90)은 서로 마주보는 수직부재(80)를 연결하면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9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9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직으로 회전하는 보조수직교반날개(120)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원료 교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일측변(131)이 상기 상부프레임(30)의 각 수평부재(31)에 맞닿아 있으며, 타측변(132)은 케이스(10) 내부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변(131)과 타측변(132)을 연결하는 변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중앙보다 외측이 넓은 호 형상을 가지며, 일측변(131)과 연결된 두 변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원료분산판(13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원료 교반 장치.
KR1020110028380A 2011-03-29 2011-03-29 식품 원료 교반 장치 Abandoned KR20120110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380A KR20120110488A (ko) 2011-03-29 2011-03-29 식품 원료 교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380A KR20120110488A (ko) 2011-03-29 2011-03-29 식품 원료 교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488A true KR20120110488A (ko) 2012-10-10

Family

ID=4728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380A Abandoned KR20120110488A (ko) 2011-03-29 2011-03-29 식품 원료 교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048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71A (ko) * 2014-06-24 2016-01-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머드 교반기 및 이를 이용한 시추선용 머드 순환시스템
CN105413818A (zh) * 2015-12-24 2016-03-23 苏州北开生化设备有限公司 一种应用于实验室的匀浆机及其工作方法
CN110302700A (zh) * 2019-07-03 2019-10-08 盐城市新顺城市开发建设有限公司 一种有机食品检测用样品混合装置
CN111013461A (zh) * 2019-12-25 2020-04-17 重庆德庄农产品开发有限公司 连续式原料混合装置
CN111701491A (zh) * 2020-06-27 2020-09-25 合肥学院 一种制备半固态浆料的搅拌装置
CN116371270A (zh) * 2023-04-12 2023-07-04 安徽松羽工程技术设备有限公司 一种带粉碎的高效搅拌釜
KR102778236B1 (ko) * 2023-09-14 2025-03-07 강세구 식물성 유산균에 의해 발효된 닭 모형의 가공육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그 가공육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닭 모형의 가공육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71A (ko) * 2014-06-24 2016-01-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머드 교반기 및 이를 이용한 시추선용 머드 순환시스템
CN105413818A (zh) * 2015-12-24 2016-03-23 苏州北开生化设备有限公司 一种应用于实验室的匀浆机及其工作方法
CN110302700A (zh) * 2019-07-03 2019-10-08 盐城市新顺城市开发建设有限公司 一种有机食品检测用样品混合装置
CN111013461A (zh) * 2019-12-25 2020-04-17 重庆德庄农产品开发有限公司 连续式原料混合装置
CN111013461B (zh) * 2019-12-25 2021-11-19 重庆德庄农产品开发有限公司 连续式原料混合装置
CN111701491A (zh) * 2020-06-27 2020-09-25 合肥学院 一种制备半固态浆料的搅拌装置
CN116371270A (zh) * 2023-04-12 2023-07-04 安徽松羽工程技术设备有限公司 一种带粉碎的高效搅拌釜
KR102778236B1 (ko) * 2023-09-14 2025-03-07 강세구 식물성 유산균에 의해 발효된 닭 모형의 가공육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그 가공육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닭 모형의 가공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0488A (ko) 식품 원료 교반 장치
KR101175301B1 (ko) 식품 원료 교반 장치
US10376853B2 (en) Method of operating a batch mixer and batch mixer for performing the method
CN208526450U (zh) 一种涂料搅拌装置
CN107224892A (zh) 一种用于陶瓷生产的搅拌机
JP2022124151A (ja) 茹麺撹拌装置
CN110154237A (zh) 混凝土搅拌设备
CN206454559U (zh) 一种便于清洗的化工物料搅拌混合设备
US9854813B2 (en) Rotor for alimentary dough kneader machines
ES2440078T3 (es) Máquina amasadora y método correspondiente de fabricación de una masa alimentaria
CN109621811B (zh) 化工原料加工用可均匀搅拌的混合装置
CN106390828A (zh) 一种用于化工设备的搅拌均匀可散热的搅拌器
CN218308287U (zh) 一种高效砂石整形机
CN207887024U (zh) 一种搅拌釜的清洗装置
CN214131431U (zh) 一种化工设备用混合液体搅拌装置
CN106890585A (zh) 一种搅拌装置
CN213966262U (zh) 一种水果饮料的搅拌装置
CN214598686U (zh) 一种便携式水性涂料搅拌设备
CN212795402U (zh) 一种混凝土原料搅拌机
CN211868281U (zh) 一种匀速混料机
CN207874572U (zh) 一种卧式自旋转搅拌装置
CN206748742U (zh) 一种多进料口的水泥搅拌设备
CN104906980A (zh) 一种适用于高粘度厚重物料的高速分散机的搅拌轴
KR101166977B1 (ko) 니다기용 교반블레이드
CN206560831U (zh) 一种自旋式搅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08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