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132A - 항알레르기제 - Google Patents

항알레르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0132A
KR20120110132A KR1020127019674A KR20127019674A KR20120110132A KR 20120110132 A KR20120110132 A KR 20120110132A KR 1020127019674 A KR1020127019674 A KR 1020127019674A KR 20127019674 A KR20127019674 A KR 20127019674A KR 20120110132 A KR20120110132 A KR 20120110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extract
blue
allergic
i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모루 이세무라
아키히로 가네코
겐스케 야스이
Original Assignee
시즈오까껭 고리쯔다이가꾸호징
닛신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즈오까껭 고리쯔다이가꾸호징, 닛신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즈오까껭 고리쯔다이가꾸호징
Publication of KR2012011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13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21D2/362Leguminous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7/00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 A23D7/005Edible oil or fat compositions containing an aqueous phase, e.g. margarine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23D7/0056Sprea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제조가 용이하며, 섭취하기 쉬운 항알레르기 작용이 있는 약제를 제공한다.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을 항알레르기제로 한다.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에는 IgE 의 산생 억제 작용, Th1-Th2 밸런스를 Th1 측으로 편향시키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항알레르기제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항알레르기제{ANTI-ALLERGIC AGENT}
본 발명은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gE 산생 억제 효과 및 Th1/Th2 값의 증가 효과를 갖는 항알레르기제, 그리고 그것들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용 음식품에 관한 것이다.
선진국에서 알레르기성 질환은 가장 발증률이 높은 질환 중 하나이다. 특히 대표적인 것으로서, 화분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기관지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등이 있고, 그 외에도 류머티즘, 염증성 장 질환, 음식 알레르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화분증과 아토피성 피부염의 환자수는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큰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알레르기 반응은 크게 4 가지의 타입 (Ⅰ ? Ⅳ 형) 으로 분류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대부분의 알레르기성 질환은 Ⅰ 형 알레르기로 인해 일어난다고 여겨지고 있다. Ⅰ 형 알레르기는 즉시형 알레르기로도 불리고 있고, 이 타입으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은 B 세포로부터 과잉 산생되는 알레르겐 특이적 IgE 항체, 마스트 세포나 호염기구로부터 방출되는 히스타민이나 류코트리엔 등의 케미컬 메디에이터, 또는 헬퍼 T 세포의 서브타입인 Th1 세포와 Th2 세포의 기능 밸런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Th1-Th2 밸런스」로 한다) 의 Th2 측으로의 편향 등의 복수의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즉, 체내에 진입한 알레르겐은 항원 제시 세포에 도입되어 분해되고, 그 일부 정보가 T 세포에 항원 제시된다. 항원 제시를 받은 T 세포는 Th2 세포로 분화?활성화되고, IL-4 등의 사이토카인을 산생하여 B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B 세포로부터는 알레르겐에 특이적인 IgE 항체가 산생되고, 이 IgE 항체는 마스트 세포나 호염기구 표면에 존재하는 Fc 수용체에 결합된다. 다시 알레르겐이 체내에 침입하여 마스트 세포나 호염기구 표면의 IgE 항체를 가교하면, 세포 내로부터 히스타민 등의 케미컬 메디에이터가 대량으로 산생?유리되고, 또한 세포 표면에서는 류코트리엔 등이 산생된다. 이들 산생된 물질은 혈관 투과성을 항진시켜 부종이나 콧물의 과잉 분비를 일으키고, 또한 평활근을 수축시켜 기도 수축을 일으킨다.
한편, 최근의 생활 양식이나 식생활의 변화 등으로 인해 Th1-Th2 밸런스가 만성적으로 Th2 측으로 편향되어, 알레르기성 질환 증가 경향의 한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현재, 알레르기 증상을 개선하는 방법으로는, 마스크, 고글, 공기 청정기 등에 의해 화분이나 하우스 더스트 등의 알레르겐과의 접촉 기회를 줄이는 방법이나, 알레르겐이 되는 음식을 특정하여 그 음식을 섭취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 등의 물리적인 방법, 유리된 히스타민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저해하는 항히스타민제,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스테로이드제, 세포막 안정화 작용을 갖는 탈과립 억제제 또는 류코트리엔 합성 저해제 등의 항알레르기제에 의해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 등의 약물적인 방법이 있다. 그러나, 알레르겐과의 접촉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고, 또한, 항알레르기제에는 대부분의 경우 부작용이 있어, 일상적으로 장기에 걸쳐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이들 약제 대신에,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알레르기 증상을 개선하고자 하는 시도도 행해지고 있고, 예를 들어, 첨차(甛茶), 차조기, β-글루칸 등을 첨가한 식품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식품은 의약품에 비해 부작용은 적기는 하지만, 알레르기 개선 효과도 한정적이고 충분한 효과가 있다고는 할 수 없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지금까지 없었다.
따라서, 일상적으로 복용이 가능하고, 게다가 효과적으로 화분증 등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항알레르기 식품이 요망되고 있다.
그런데, 대두는 두부, 간장, 낫토 등의 원료로서 잘 알려져 있고, 대두로부터 기능성 성분을 얻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이소플라본과 특정 사포닌을 유효 성분으로 한 알레르기증의 예방/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이들 성분은 대두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대두에 함유되는 이소플라본이나 사포닌은 양이 적어, 대두 중에서도 특히 함유량이 많다고 여겨지는 배축 부위로부터 추출을 실시하고, 또한 복잡한 정제 공정에 의해 농축시킬 필요가 있다. 게다가 이소플라본이나 사포닌은 쓴 맛이 강하여 정미성(呈味性)이 나쁘며, 계속해서 섭취할 수 없는데다가, 독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성분이기 때문에, 섭취 간격이나 섭취량을 치밀하게 컨트롤하면서 섭취할 필요가 있어, 효과를 얻도록 섭취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스타키오즈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스타키오즈는 대두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대두에 함유되는 스타키오즈는 양이 적고, 단순한 추출 조작으로는 효과적인 성분은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복잡한 정제 공정을 실시하여 98 % 정도의 고농도로 농축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스타키오즈는 알레르기 중에서도 Ⅳ 형 알레르기에밖에 효과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면역 세포가 관여하는 지연형 알레르기에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는 하지만, IgE 가 관련된 화분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기관지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의 소양 (가려움) 증상과 같은 즉시형 알레르기 (Ⅰ 형, Ⅱ 형, Ⅲ 형 알레르기) 에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9739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21372호
본 발명의 과제는 안전?저렴 또한 간편하게 일상적으로 계속해서 섭취할 수 있으며, 또한 현저한 항알레르기 작용을 가져, 여러 가지의 즉시형 알레르기성 질환, 특히 Ⅰ 형 알레르기 질환, 예를 들어, 화분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기관지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예방 및/또는 개선에 유효한 천연 소재를 개발하고,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청대두의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청대두로부터 물, 알코올 또는 함수 알코올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추출한 조성물이, 황색 대두 등의 다른 종류의 대두에 비해, 매우 강력한 IgE 저하 작용을 나타냄과 함께, Th1-Th2 밸런스를 Th1 우위로 개선시켜 (Th1/Th2 값을 증가시켜), 여러 가지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개선에 유용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청대두를 사용하면, 복잡한 농축을 실시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효과가 높은 항알레르기제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사항에 관한 것이다.
(1) 청대두 종자의 용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알레르기제.
(2) IgE 산생을 억제하는 (1) 에 기재된 항알레르기제.
(3) Th1/Th2 값을 증가시키는 (1) 에 기재된 항알레르기제.
(4) 용매 추출물이 물 추출물인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알레르기제.
(5) 용매 추출물이 함수 에탄올 추출물인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알레르기제.
(6)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알레르기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알레르기용 음식품, 사료 및 화장료.
본 발명에 의해, 안전?저렴 또한 간편하게 일상적으로 계속해서 섭취할 수 있으며, 또한 현저한 항알레르기 작용을 가져, 화분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기관지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여러 가지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개선에 유효한 항알레르기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는 세포 레벨로 IgE 의 산생을 억제하고, Th1-Th2 밸런스를 Th1 측으로 편향시키기 때문에, 경구 섭취에 의해 전신에 고루 퍼지게 하거나, 또는 국소 적용에 의해서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하지 않은 작용은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계속해서 효과를 실감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항알레르기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항알레르기제이다.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는 청대두 종자의 용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 정의
본 발명에 있어서 「항알레르기」란, 헬퍼 T 세포의 Th1-Th2 밸런스를 Th1 측으로 편향시키는 (Th1 우위로 하는) 것에 의해, Th2 측으로의 편향 (Th2 우위) 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유해 작용을 예방, 치료, 감소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IgE 항체로 인해 비만 세포 등으로부터 분비되는 케미컬 메디에이터가 일으키는 평활근의 수축, 혈관 투과성의 항진, 호중구의 유주(遊走) 및 혈소판의 응집 등, 그리고 그것들로 인해 유발되는 여러 가지 증상을 예방, 치료, 감소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Th1-Th2 밸런스」란, Th1 세포와 Th2 세포가 전구 세포 (Th0 세포) 로부터 상대 세포로의 분화를 서로 억제 제어하는 기구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Th1-Th2 밸런스를 Th1 측으로 편향시킨다 (Th1 우위로 한다)」란, Th1/Th2 값을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Th1/Th2 값」이란, Th2 세포에 대한 Th1 세포의 절대적인 또는 상대적인 비율을 말한다. 절대적인 비율은, 예를 들어, 소정량의 말초혈 중에 존재하는 Th1 세포와 Th2 세포의 수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인 비율은, 예를 들어, Th1 세포가 분비하는 IFN-γ 의 발현량 또는 분비량과, Th2 세포가 분비하는 IL-4 의 발현량 또는 분비량을 측정하고, 그것들을 대비하는 방법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미컬 메디에이터」란, 예를 들어, 비만 세포나 호염기구 등으로부터 분비되는 히스타민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IgE 항체로 인해 일어나는 작용에 대해서는, 혈액 중의 IgE 량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 외에, 상기 케미컬 메디에이터량을 측정하는 방법 등에 의해서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청대두」란, 완숙 상태의 종자에 있어서 종피 및/또는 배(胚) 의 전부 또는 일부가 녹색을 나타내는 대두 (Glycine max) 품종의 총칭이다. 예를 들어, 아키타미도리, 키요미도리, 에치고미도리, 오오소데후리, 오토후케오오소데(후리), 오오소데노마이, 와세미도리, 스즈카리, 아오마루쿤, 아오메 대두, 아키시미도리 1 호, 소우세이, 아오뉴도, 코쿠진, 아야미도리, 시나노아오마메, 이와테미도리, 히덴, 히타시마메, 텐신 청대두, 세이진 대두 (Chinease green soybean) 등의 품종이 해당된다. 일반적으로, 청대두에는, 아키타미도리와 같이, 종피 및 배가 녹색을 나타내는 품종과, 오오소데후리와 같이 종피만이 녹색을 나타내는 품종이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의 청대두는 어느 품종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종피 및 배가 녹색을 나타내는 품종이다. 또한, 청대두라 하더라도 「배꼽」의 색은 품종에 따라 황색, 녹색, 암갈색, 흑색으로 여러 가지인데,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완숙 상태」란, 종자가 발아 능력을 가질 때까지 충분히 성숙한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풋콩이라고 칭해지는 미성숙한 상태의 대두 종자는 황색 대두 또는 흑대두라 하더라도 녹색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와 같은 미성숙 상태시에만 녹색을 나타내는 품종은 본 발명의 청대두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녹색」이란, 파장 490 ㎚ ? 570 ㎚ 의 반사광에 기초하여 사람의 눈에 의해 인식되는 색채를 말한다. 따라서, 상기 파장의 범위 내이면 그 농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담녹색, 황록색, 녹색, 청록색, 진한녹색 및 흑녹색을 포함한다.
상기 「종자」는 종피 및/또는 배를 포함하고, 배는 자엽 및 배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매 추출물」이란, 청대두 종자로부터 항알레르기 작용을 갖는 유효 성분을 용매 중에 용출시킨 후의 용액 또는 그 건조물 (분말 또는 고형물을 불문한다) 을 말한다. 본 발명의 용매 추출물은 항알레르기 작용을 갖는 유효 성분이 농축된 결과, 청대두 종자 그 자체와 비교하여 단위 중량당의 유효 성분 함유량이 많아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항알레르기 작용을 갖는 유효 성분이 고순도로 정제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다른 성분이 혼재하는 크루드한 상태이어도 된다.
1-2.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
이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용매 추출에 있어서, 청대두는 1 또는 2 이상의 품종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청대두 이외의 대두 (예를 들어, 황색 대두, 흑대두) 를 용매 추출물에 함유시킬 수도 있다.
사용하는 청대두의 성숙 상태는 특별히 제한은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미성숙한 것 (이른바 풋콩 상태), 성숙한 것 (건조 및 미건조 상태를 포함한다) 또는 그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종자 통째로 전부를 사용하는 것 외에, 종피만, 또는 배만을 사용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종자 통째로 전부를 사용하는 것이다. 추출 용매와 혼합할 때의 청대두의 형상은 특별히 문제삼지 않는다. 예를 들어, 꼬투리로부터 취출한 그대로 (종자 그 자체) 의 상태, 종자를 단편화 또는 분쇄한 상태, 압착 추출한 착즙 상태 또는 그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추출에 사용하는 용매는 물 또는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물로는, 순수, 증류수, 수도수, 산성수, 알칼리수, 중성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및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의 실온에서 액체인 알코올 ; 디에틸에테르, 프로필에테르 등의 에테르 ;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 아세톤, 에틸메틸케톤 등의 케톤 ; 헥산 ; 그리고 클로로포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조합의 예로는, 후술하는 함수 유기 용매를 들 수 있다. 상기의 유기 용매 중에서는, 조작성이나 환경성의 면에서, 실온에서 액체인 알코올, 예를 들어, 탄소 원자수 1 ? 4 의 저급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잔류 용매에 의한 안전성의 관점에서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 용매에는, 유기 용매에 추가로 수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함수 유기 용매도 포함된다. 추출 효율을 높게 유지하는 관점에서, 상기함수 유기 용매 중의 수성 성분의 함유량은 통상 80 체적% 이하, 바람직하게는 65 체적%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수 유기 용매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알코올에 추가로 수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함수 알코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함수 에탄올을 들 수 있다.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청대두를 추출 용매 중에 침지, 교반 또는 환류 등을 하는 방법, 혹은 초임계 유체 추출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추출 방법으로는, 청대두를, 감압, 상압 혹은 가압하에서, 실온 혹은 가온한 용매 중에 첨가하고, 침지 혹은 교반하면서 추출하는 방법, 또는 용매 중에서 환류하면서 추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때, 추출 온도는 5 ℃ 부터 용매의 비점 이하의 온도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추출 시간은 사용하는 용매의 종류 (함수 유기 용매인 경우에는 추가로 수성 성분 함유량) 나 추출 조건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30 분 ? 72 시간 정도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환류 조작에 의해 추출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청대두의 추출물이 변성이나 열분해를 일으키지 않도록 저비점의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산화탄소 등을 사용하는 초임계 유체 추출법에 의해 추출 조작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어서, 추출액 및 잔류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필요에 따라 여과 혹은 원심 분리 등에 제공하여, 잔류물인 고형 성분을 제거한 추출액을 얻는다. 또한, 제거한 고형 성분을 다시 추출 조작에 제공할 수도 있고, 추가로 이 조작을 수 회 반복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그대로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로서 사용해도 되고, 추가로 필요에 따라, 농축 혹은 동결 건조나 스프레이 드라이 등의 방법에 의해, 건조, 분말화한 것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추출액을 건조시키는 경우, 구체적인 건조 방법은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이 변성이나 열분해를 일으키지 않는 조건하에서 실시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부형제를 첨가하고, 여과, 원심 분리, 원심 여과, 스프레이 드라이, 스프레이 쿨, 드럼 드라이, 진공 건조, 동결 건조 등의 방법을 들 수 있고, 이들 방법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채용할 수 있다.
1-3.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알레르기제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는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을 그대로 단독으로, 혹은 의약품, 식품 또는 사료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하여 계속적으로 항알레르기제로서 사용 (섭취, 투여를 포함한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는, 통상적인 경우,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을 건조 질량 기준으로 하여, 성인 1 일당 0.01 ? 100 g 의 범위로 처방된다. 경구 투여인 경우, 일반적인 1 일당 사용량은 0.1 ? 50 g 이지만, 그 추출물은 대두에서 유래하는 안전성이 높은 것이기 때문에, 그 사용량을 더욱 늘릴 수도 있다. 1 일당 사용량은 1 회로 사용해도 되지만, 수회로 나누어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는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을 그대로 단독으로 의약, 식품, 사료 또는 화장료로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술하는 첨가제, 다른 공지된 면역 부활 물질 및/또는 면역 조절 물질과 조합하여 의약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의약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어, 정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시럽제, 드라이 시럽제, 액제, 현탁제 등의 경구제, 흡입제, 좌제 등의 경장 제제, 연고, 크림제, 겔제, 첩부제(貼付劑) 등의 피부 외용제, 점적제, 주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경구제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형은 유효 성분인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에, 관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어, 부형제, 붕괴제, 결합제, 활택제, 계면 활성제, 알코올, 물, 수용성 고분자, 감미료, 교미제, 산미료 등을 그 제형에 따라 배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액제, 현탁제 등의 액체 제제는 복용 직전에 물 또는 다른 적당한 매체에 용해 또는 현탁시키는 형태이어도 되고, 또한 정제, 과립제의 경우에는 주지된 방법에 의해 그 표면을 당 등으로 코팅해도 된다.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의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의 함유량은 그 제형에 따라 상이하지만, 경구제이면 건조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통상은 0.001 ? 99 질량%, 바람직하게는 0.01 ? 80 질량% 의 범위이고, 상기 서술한 성인 1 일당 사용량을 준수할 수 있도록, 1 일당 사용량을 관리할 수 있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4. 효과
본 양태의 효과로서,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는, 이것을 그대로 단독으로 혹은 의약품으로서 계속적으로 사용하면, INF-γ 의 증가와 IL-4 의 감소에 의해 헬퍼 T 세포의 Th1-Th2 밸런스를 Th1 측으로 편향시킬 수 있다. 즉, Th1/Th2 값이 증가하고, IgE 량이 저하되기 때문에, 화분증, 아토피증과 같은 Ⅰ 형 알레르기에서 유래하는 각종 증상, 자기 면역 질환, 종양으로 인해 일어나는 면역 억제, 항암제 치료나 방사선 치료로 인해 일어나는 면역능 저하, 후천성 면역 부전 증후군 (AIDS), 각종 세균으로 인한 감염증, 및 가령이나 병태에 수반하는 면역능 저하 등의 여러 가지 장애?질환의 예방 및/또는 개선, 건강의 증진, 자양 강장의 촉진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는 식품으로서 사용되는 청대두를 원료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고, 또한 풍미도 양호한 점에서, 그대로 단독으로도 충분히 경구 섭취할 수 있고, 장기간의 일상적인 계속적 투여가 가능하다. 또한 여러 가지 의약품, 식품, 사료의 형태로 하여 장기간의 계속적 섭취도 용이하다. 게다가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의 유효 성분은 청대두로부터 용매 추출만의 조작으로 간편하게 취출할 수 있는데다가, 효과가 높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헬퍼 T 세포의 Th1-Th2 밸런스를 Th1 측으로 편향시키기 때문에, 종양으로 인해 일어나는 면역 억제 상태의 개선, 항암제 치료나 방사선 치료로 인해 일어나는 면역능 저하 상태의 개선, 후천성 면역 부전 증후군 (AIDS) 의 예방 또는 개선, 각종 세균으로 인한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 Ⅰ 형 알레르기에서 유래하는 각종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 및 가령이나 병태에 수반하는 면역능 저하의 개선 등의 여러 가지의 증상, 문제의 개선, 건강의 증진, 자양 강장의 촉진에 유용하다.
2. 항알레르기용 음식품, 사료 및 화장료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항알레르기용 음식품, 사료 및 화장료이다.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용 음식품, 사료 및 화장료는 상기 양태의 항알레르기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2-1. 음식품 및 사료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용 음식품 및 사료 (이하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용 음식품 등」으로 한다) 는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음식품 및 사료이다. 음식품 등으로서 조제하는 경우, 그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건강 식품, 기능성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혹은 가축, 경주마 혹은 감상 동물 등의 사료 또는 펫 푸드 등 외에,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를 배합할 수 있는 모든 음식품 또는 사료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정제, 추어블정, 분제, 캡슐제, 과립제, 드링크제, 경관 경장 영양제 등의 유동식 등의 각종 제제 형태를 들 수 있는 제제 형태의 음식품 등은 상기 의약 조성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음식품은 녹차, 우롱차나 홍차 등의 차 음료, 청량 음료, 젤리 음료, 스포츠 음료, 유음료, 탄산 음료, 과즙 음료, 락트산균 음료, 발효유 음료, 분말 음료, 코코아 음료, 정제수 등의 음료, 버터, 잼, 후리카케, 마가린 등의 스프레드류, 마요네즈, 쇼트닝, 커스터드 크림, 드레싱류, 빵류, 쌀밥류, 면류, 파스타, 된장국, 두부, 우유, 요구르트, 스프 또는 소스류, 과자 (예를 들어 비스킷이나 쿠키류, 초콜릿, 캔디, 케이크, 아이스크림, 추잉검, 태블릿) 등으로서 조제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는 본 발명의 상기 음식품과 거의 동일한 조성?형태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음식품에 관한 기재를, 사료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식품은, 추가로, 식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다른 식품 소재, 각종 영양소, 각종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각종 유지, 여러 가지의 첨가제 (예를 들어 정미 성분, 감미료, 유기산 등의 산미료, 계면 활성제, pH 조정제, 안정제, 산화 방지제, 색소, 플레이버) 등을 배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섭취되고 있는 식품에 본 발명의 제를 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련된 식품을 제조할 수도 있다.
식품에 있어서의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의 함유량은 그 형태에 따라 상이하지만, 건조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통상은 0.001 ? 80 질량%, 바람직하게는 0.01 ? 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0 질량% 의 범위이다. 1 일당 섭취량은 1 회로 섭취해도 되지만, 수회로 나누어 섭취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성인 1 일당 섭취량을 식음할 수 있도록, 1 일당 섭취량을 관리할 수 있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2. 화장료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는 화장료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화장료를 조제하는 경우,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을 그대로 화장료로서 이용해도 되고, 또는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을 범용의 방법으로 배합한, 유액, 화장액, 크림, 로션, 에센스, 팩 및 시트, 파운데이션, 페이스 파우더, 블러시, 립스틱, 아이섀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세안료, 피부 세정료, 겔제, 젤제, 미백제, 보디 샴푸 등의 세정료, 샴푸, 린스 등의 모발 화장료, 두발료, 헤어 트리트먼트, 양모제, 욕용제, 연고, 의약 부외품, 기름 종이 등의 형태로서 조제해도 된다.
화장료는,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 외에, 원하는 제형에 따라 종래 공지된 부형제나 향료를 비롯하여, 유지류, 계면 활성제, 방부제, 금속 이온 봉쇄제, 수용성 고분자, 증점제, 안료 등의 분말 성분, 자외선 방어제, 보습제, 산화 방지제, pH 조절제, 세정제, 건조제, 유화제 등을 적절히 배합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화장료에 있어서의 청대두의 용매 추출물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건조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통상은 0.001 ? 80 질량%, 바람직하게는 0.01 ? 50 질량% 의 범위 내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를 함유하는 식품, 사료 및 화장료에는, 상기 이외에도 예를 들어, 공액 리놀레산, 타우린, 글루타티온, 카르니틴, 크레아틴, 코엔자임 Q, 글루크론산, 글루크루노락톤, 고추 엑기스, 생강 엑기스, 카카오 엑기스, 과라나 엑기스, 가르시니아 엑기스, 테아닌, γ-아미노부티르산, 캡사이신, 캡시에이트, 각종 유기산, 플라보노이드류, 폴리페놀류, 카테킨류, 크산틴 유도체, 프락토올리고당 등의 난소화성 올리고당,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배합해도 된다.
이들 첨가제의 배합량은 조성물의 형태, 첨가제의 종류 및 소망하는 섭취량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지만, 본 발명의 제, 식품, 사료 및 화장료 중, 0.01 ? 70 질량% 의 범위 내이고, 바람직하게는 0.1 ? 50 질량% 의 범위 내이다.
2-3. 효과
본 발명의 식품, 사료 또는 화장료는 상기 양태의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를 함유하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사용하면 상기 항알레르기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Th1/Th2 값이 증가하고, IgE 량이 저하되기 때문에, 화분증, 아토피증, 자기 면역 질환 등의 여러 가지 장애?질환의 예방 및/또는 개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는 식품으로서 사용되는 청대두를 원료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고, 또한 풍미도 양호한 점에서, 그대로 단독으로도 충분히 경구 섭취하거나 화장료로서 사용할 수 있고, 식품, 사료의 형태로서 장기간의 계속적 섭취도 용이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물 추출물의 제조
청대두를 파쇄한 것 10 g 에 물 100 ㎖ 를 첨가하고, 90 ℃ 에서 60 분간 가열하여 추출을 실시하였다. 여과하여 불용물을 제거하고, 물을 증발시켜 분말 2.2 g 을 얻었다.
[실시예 2] 함수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청대두를 파쇄한 것 10 g 에 함수 에탄올 (에탄올 : 물 = 95 : 5) 100 ㎖ 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4 시간 진탕 (100 rpm) 하여 추출을 실시하였다. 여과하여 불용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분말 1.2 g 을 얻었다.
[실시예 3] 물 추출물의 제조
청대두 (에치고미도리) 를 파쇄한 것 1 ㎏ 에 물 12 ℓ 를 첨가하고, 95 ℃ 에서 60 분간 가열하여 추출을 실시하였다. 원심 분리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을 여과하여 불용물을 제거하고, 동결 건조시켜 분말 346 g 을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대두 (황색 대두), 흑대두, 적완두, 레드 키드니, 가르반조로부터 함수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을 실시하여, 각각 분말을 얻었다.
[비교예 2] 황대두의 물 추출물의 제조
황대두 (후쿠유타카) 를 파쇄한 것 400 g 에 물 4 ℓ 를 첨가하고, 95 ℃ 에서 60 분간 가열하여 추출을 실시하였다. 원심 분리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상청을 여과하여 불용물을 제거하고, 동결 건조시켜 분말 145 g 을 얻었다.
[시험예 1] IgE 저하 작용 (1)
마우스 (Balb/c, ♂) 에 항원 용액 100 ㎕ (난백 알부민 (이하, OVA 라고 한다) 1 ㎍ 과 아쥬반트 (수산화알루미늄) 2 ㎎ 을 현탁액으로 한 것) 를 복강 내 투여 (감작 1 회째) 하고, 1 주일 후에 다시 100 ㎕ 의 상기 현탁액을 복강 내 투여 (감작 2 회째) 하였다. 2 회째의 감작 후에 마우스의 미부로부터 채혈하고, 혈중의 OVA 특이적 IgE 량을 효소 항체법에 의한 측정 키트 (DS 마우스 IgE ELISA (OVA) ; 다이닛폰 스미토모 제약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IgE 량에 편향이 없도록, 컨트롤군과 청대두 투여군의 2 군으로 군 분류하였다. 시험식으로서, 컨트롤군에는 AIN-76 사료 (표 1) 를 공급하고, 청대두 투여군에는 실시예 2 의 청대두 함수 에탄올 추출물을 5 % 함유하는 AIN-76 사료를 공급하여 사육하였다. 시험식의 투여 개시일을 0 일로 하고, 0, 7, 16 일 후에 미부로부터 채혈을 실시하여, 혈중의 OVA 특이적 IgE 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AIN-76 정제 사료의 조성
수크로오스 50 %
콘 스타치 15 %
카세인 20 %
콘 오일 5 %
AIN-76 비타민 믹스 1 %
AIN-76 미네랄 믹스 3.5 %
DL-메티오닌 0.3 %
셀룰로오스 5 %
중타르타르산콜린 0.2 %
합계 100 %
혈액 중의 OVA 특이적 IgE 량 (㎍/㎖)
0 일 7 일 16 일
컨트롤 0.041 0.183 1.081
청대두 0.042 0.141 0.905
표 2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에 의해, OVA 에 의해 감작된 혈액 중의 IgE 증가량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IgE 저하 작용 (2)
마우스 (Balb/c, ♂, 6 주령) 에 항원 용액 200 ㎕ (OVA 1 ㎍ 과 아쥬반트 (수산화알루미늄) 2 ㎎ 을 현탁액으로 한 것) 를 복강 내 투여 (감작 1 회째) 하고, 2 주일 후에 다시 200 ㎕ 의 상기 현탁액을 복강 내 투여 (감작 2 회째) 하였다. 2 회째의 감작 1 주일 후에 마우스의 미부로부터 채혈하고, 혈중의 OVA 특이적 IgE 량을 효소 항체법에 의한 측정 키트 (DS 마우스 IgE ELISA (OVA) ; 다이닛폰 스미토모 제약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혈청 IgE 량에 편향이 없도록, 컨트롤군, 청대두 물 추출물 (실시예 3) 투여군, 황대두 물 추출물 (비교예 2) 의 3 군으로 군 분류하였다. 군 분류일을 0 일로 하고, 2 일 후부터 시험식으로서, 컨트롤군에는 표 1 에 나타내는 AIN-76 사료를 공급하고, 시험군에는 실시예 3, 비교예 2 의 추출물을 각각 사료 중 5 % 의 함유량이 되도록 첨가한 사료를 공급하여 사육하였다. 14 일 후에 도중 채혈을 실시하고, 28 일 후에 해부하여, 각각 혈중의 OVA 특이적 IgE 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타 클래스의 항체에 대한 영향을 보기 위하여, 28 일 후의 토털 IgG 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혈액 중의 OVA 특이적 IgE 량 및 토털 IgG 량 (㎍/㎖)
0 일 14 일 28 일

IgE
컨트롤 0.27 1.48 1.51
청대두 (실시예 3) 0.27 0.52 0.34
황대두 (비교예 2) 0.30 1.27 0.98

IgG
컨트롤 - - 137.7
청대두 (실시예 3) - - 158.9
황대두 (비교예 2) - - 159.6
표 3 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 (청대두의 추출물) 에 의해, OVA 에 의해 감작된 혈액 중의 IgE 증가량이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 그 효과는 황대두에 비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IgG 량에 대해서는 컨트롤군과 비교하여 변화가 없고,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는 IgE 항체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IgE 저하 작용 (3)
마우스 (Balb/c, ♂, 6 주령) 에 항원 용액 200 ㎕ (OVA 1 ㎍ 과 아쥬반트 (수산화알루미늄) 2 ㎎ 을 현탁액으로 한 것) 를 복강 내 투여 (감작 1 회째) 하고, 1 주일 후에 다시 200 ㎕ 의 상기 현탁액을 복강 내 투여 (감작 2 회째) 하였다. 2 회째의 감작 1 주일 후에 마우스의 미부로부터 채혈하고, 혈중의 OVA 특이적 IgE 량을 효소 항체법에 의한 측정 키트 (DS 마우스 IgE ELISA (OVA) ; 다이닛폰 스미토모 제약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혈청 IgE 량에 편향이 없도록, 컨트롤군, 청대두 함수 에탄올 추출물 (실시예 2) 투여군, 청대두 물 추출물 (실시예 1) 의 3 군으로 군 분류하였다. 시험식으로서, 컨트롤군에는 표 1 에 나타내는 AIN-76 사료를 공급하고, 시험군에는 실시예 1, 2 의 추출물을 각각 사료 중 5 % 의 함유량이 되도록 첨가한 사료를 공급하여 사육하였다. 시험식의 투여 개시일을 0 일로 하고, 24 일 후에 해부하여, 혈중의 OVA 특이적 IgE 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혈액 중의 OVA 특이적 IgE 량 (㎍/㎖)
컨트롤군 실시예 2
함수 에탄올 추출물군
실시예 1
물 추출물군
1.77 ± 0.38 1.53 ± 0.51 1.02 ± 0.32
표 4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에 의해, OVA 에 의해 감작된 혈액 중의 IgE 증가량이 저하되는 것, 특히 물 추출물이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IFN-γ 유전자 발현 증가 작용
세포주 (Jurkat 세포) 를 10 % FBS 첨가 DMEM 배지 (GIBCO 사 제조) 에서 37 ℃, 5 % CO2 의 조건으로 배양을 실시하였다. 세포수 3 × 105 개/㎖ 가 되도록 배양액으로 희석하고, 이것을 24 웰 플레이트에 각 웰 1 ㎖ 로 분주(分注)하였다. 배양액에 실시예 2 및 비교예의 각종 콩류의 함수 에탄올 추출물을 최종 농도 500 ㎍/㎖ 가 되도록 100 ㎕ 첨가하고, 48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세포 내의 IFN-γ 유전자 발현을 정량적 PCR 측정 장치 (Thermal cycler Dice TP-800 ; 타카라 바이오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용매 추출물 무첨가의 컨트롤을 1 로 하는 상대치로 표 5 에 나타낸다.
IFN-γ 유전자 발현량 (상대치)
컨트롤
실시예 2 비교예
청대두 대두 흑대두 적완두 레드 키드니 가르반조
1.00 4.63 1.06 1.12 1.28 1.31 1.08
표 5 로부터, 청대두 이외의 대두는 IFN-γ 에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에 의해, Th1 의 지표인 IFN-γ 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Th1-Th2 밸런스를 Th1 측으로 편향시키는 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IL-4 유전자 발현 억제 작용
시험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세포주 (Jurkat 세포) 를 배양하고, 24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실시예 2 의 청대두 함수 에탄올 추출물을 최종 농도 250 ㎍/㎖ 또는 500 ㎍/㎖ 가 되도록 100 ㎕ 첨가하고, 48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세포 내의 IL-4 유전자 발현을 정량적 PCR 측정 장치 (Thermal cycler Dice TP-800 ; 타카라 바이오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용매 추출물 무첨가의 컨트롤을 1 로 하는 상대치로 표 6 에 나타낸다.
IL-4 유전자 발현량 (상대치)
컨트롤
실시예 2
250 ㎍/㎖ 500 ㎍/㎖
1.00 0.70 0.45
표 6 으로부터,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에 의해, Th2 의 지표인 IL-4 의 발현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Th1-Th2 밸런스를 Th1 측으로 편향시키는 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IgE, IL-4 량 억제 작용
마우스 (Balb/c, ♂) 에 항원 용액 100 ㎕ (OVA 1 ㎍ 과 아쥬반트 (수산화알루미늄) 2 ㎎ 을 현탁액으로 한 것) 를 복강 내 투여 (감작 1 회째) 하고, 14 일 후에 다시 상기 현탁액 100 ㎕ 를 복강 내 투여 (감작 2 회째) 하였다. 2 회째의 감작 후에 마우스의 미부로부터 채혈하고, 혈중의 OVA 특이적 IgE 량을 효소 항체법에 의한 측정 키트 (DS 마우스 IgE ELISA (OVA) ; 다이닛폰 스미토모 제약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IgE 량에 편향이 없도록, 컨트롤군, 청대두 투여군과 대두 투여군의 3 군으로 군 분류하였다. 시험식으로서, 컨트롤군에는 AIN-76 사료를 공급하고, 청대두 투여군에는 실시예 2 의 청대두 함수 에탄올 추출물을 5 % 함유하는 AIN-76 사료를 공급하고, 대두 투여군에는 비교예 1 의 대두 함수 에탄올 추출물을 5 % 함유하는 AIN-76 사료를 공급하여 사육하였다. 시험식의 투여 개시일을 0 일로 하고, 3 주일 후에 페이어판의 IL-4 유전자 발현량을 정량적 PCR 측정 장치 (Thermal cycler Dice TP-800 ; 타카라 바이오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용매 추출물 무첨가의 컨트롤을 1 로 하는 상대치로 표 7 에 나타낸다.
또한, 비장 세포를 채취하고, 72 시간 배양하여 배양 상청의 OVA 특이적 IgE 량을, 효소 항체법에 의한 측정 키트 (DS 마우스 IgE ELISA (OVA) ; 다이닛폰 스미토모 제약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페이어판의 IL-4 유전자 발현량 (상대치)
컨트롤
실시예 2 비교예
청대두 대두
1.00 0.71 0.86
비장 세포의 IgE 량 (㎍/㎖)
컨트롤
실시예 2 비교예
청대두 대두
6.20 3.93 5.23
표 7 로부터,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에 의해, 청대두 이외의 대두에 비해 Th2 의 지표인 IL-4 의 발현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Th1-Th2 밸런스를 Th1 측으로 편향시키는 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표 8 로부터, 본 발명의 항알레르기제에 의해, 청대두 이외의 대두에 비해, OVA 에 의해 감작된 비장 세포의 IgE 증가량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정제의 제조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청대두의 물 추출물 84 g, 결정 셀룰로오스 (아사히 화성) 10 g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BASF) 5 g 을 혼합하고, 이것에 에탄올 30 ㎖ 를 첨가하고, 습식법에 의해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과립을 제조하였다. 이 과립을 건조시킨 후, 스테아르산마그네슘 1.2 g 을 첨가하여 타정용 과립 분말로 하고, 타정기를 사용하여 타정하여, 1 정이 1 g 인 정제 100 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청대두의 함수 에탄올 추출물 100 g, 유당 (DMV) 100 g 및 결정 셀룰로오스 (아사히 화성) 40 g 을 혼합하고, 이것에 에탄올 130 ㎖ 를 반죽기에 첨가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5 분간 반죽하였다. 반죽 종료 후, 10 메시로 체질하고, 건조기 중에서 50 ℃ 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후, 정립하여 과립제 240 g 을 얻었다.
[실시예 6] 시럽제의 제조
정제수 400 g 을 끓이고, 이것을 휘저으면서, 백당 750 g 및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청대두의 물 추출물 100 g 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열시(熱時)에 천으로 거르고, 이것에 정제수를 첨가해 전체량을 1000 ㎖ 로 하여 시럽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유동식의 제조
약 65 ℃ 의 순수 700 g 에 카세인나트륨 (DMV) 40 g, 말토덱스트린 (산와 전분) 160 g 및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청대두의 함수 에탄올 추출물 50 g 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이어서 비타민 믹스 및 미량 미네랄의 각 성분 혼합액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액을 호모 믹서에 투입하고, 약 8,000 rpm 으로 15 분간 조(粗)유화하였다. 얻어진 유화액을 약 20 ℃ 로 냉각시키고, 향료를 첨가 후, 최종 메스 업을 실시하여, 이 액을 파우치에 본액 230 g 충전 후, 질소 치환을 실시하면서 파우치를 밀봉하고, 121 ℃ 에서 15 분간 살균을 실시하여 유동식을 얻었다.
[실시예 8] 빵의 제조
소맥분 (강력분) 160 g 과 드라이 이스트 2 g 을 혼합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청대두의 물 추출물 5 g, 설탕 25 g, 식염 3 g, 탈지 분유 6 g 을 온탕 70 g 에 녹이고, 계란 1 개를 첨가하고 잘 혼합하였다. 이것을 상기의 소맥분과 드라이 이스트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손으로 잘 반죽한 후, 버터 약 40 g 을 첨가하고 추가로 잘 반죽하여 20 개의 롤빵 생지를 만들고, 이어서 이들 빵 생지를 발효시킨 후, 표면에 계란 푼 것을 바르고, 오븐으로 180 ℃ 에서 약 15 분 구워 롤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과자의 제조
마가린과 설탕을 혼합하고 믹서를 사용하여 잘 교반하여 휘프를 조제하였다. 이것에 절반량의 전란을 첨가하여 크림상으로 하였다. 이것에 실시예 3 에서 얻어진 청대두의 물 추출물을 첨가하고, 가볍게 혼합을 하여 생지를 제조하였다. 생지를 성형하고, 오븐으로 150 ℃ 에서 25 분간 소성하여 과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과자의 제조
전란을 거품기로 풀고, 설탕 90 g 분의 감미료를 넣고 잘 혼합하였다. 이것에 실시예 3 에서 얻어진 청대두의 물 추출물 10 g, 소맥분 40 g 과 베이킹 파우더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고, 추가로 버터 및 럼주를 첨가하고 잘 혼합하여 생지를 제조하였다. 생지를 형에 넣고, 오븐으로 170 ℃ 에서 15 분간 소성하여 과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레토르트밥의 제조
쌀 2 합을 사용하고 일반적인 물량에 대하여, 실시예 3 에서 얻어진 청대두의 물 추출물 2 g 을 첨가하여 밥을 짓고, 이것을 관용의 방법에 따라 레토르트용 팩에 충전한 후, 질소 치환을 실시하면서 밀봉하고, 121 ℃ 에서 15 분간 살균을 실시하여 레토르트밥을 얻었다.
[실시예 12] 파스타용 소스의 제조
파스타용의 미트 소스 1 인분 (150 g) 을 냄비에 넣고, 이것에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청대두의 함수 에탄올 추출물 1 g 을 첨가하고 가온 혼합하였다. 이 소스를 파우치에 충전한 후, 질소 치환을 실시하면서 파우치를 밀봉하고, 121 ℃ 에서 15 분간 살균을 실시하여 파스타용 미트 소스를 얻었다.
[실시예 13] 야채 주스의 제조
시판되는 야채 주스에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청대두의 함수 에탄올 추출물을 5 질량% 가 되도록 첨가?혼합하여 야채 주스를 조제하였다.
[실시예 14] 콩소메 스프의 제조
양파 100 g, 당근 100 g, 파 100 g, 샐러리 50 g, 및 토마토 100 g 의 각 슬라이스를 냄비에 넣고, 여기에 다진 쇠고기 500 g, 계란 흰자 2 개분, 비프 부용 1 ㎏ 을 첨가하고, 불에 올려놓고 비등하면 불을 줄이고, 표면에 떠오른 스컴이나 지방분을 제거하면서 약불에서 1 시간 익히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진 청대두의 물 추출물 50 g 을 첨가하고 추가로 30 분간 익히고, 천으로 걸러 콩소메 스프를 얻었다.
[실시예 15] 연고제의 제조 (질량%)
A 액.
?실시예 2 에서 얻어진 청대두의 함수 에탄올 추출물 : 1
?프로필렌글리콜 : 5
?파라옥시벤조산메틸 : 0.2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0.5
B 액.
?아디프산디이소프로필 : 10
?세탄올 : 2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 : 2
?모노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 1
?파라옥시벤조산부틸 : 0.1
C 액.
?정제수 : 100 질량% 까지 적당량
B 액을 70 ℃ 에서 가열 용해하면서 혼합하여 유상으로 한다. A 액을 70 ℃ 에서 가열 용해하면서 혼합하고, 이것에 B 액의 유상을 첨가하여 혼합 유화하고, 그 후 C 액을 첨가하면서 냉각 처리를 하고 잘 혼합하여 연고를 얻었다.

Claims (6)

  1. 청대두 종자의 용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알레르기제.
  2. 제 1 항에 있어서,
    IgE 산생을 억제하는 항알레르기제.
  3. 제 1 항에 있어서,
    Th1/Th2 값을 증가시키는 항알레르기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 추출물이 물 추출물인 항알레르기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매 추출물이 함수 에탄올 추출물인 항알레르기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알레르기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알레르기용 음식품, 사료 및 화장료.
KR1020127019674A 2009-12-28 2009-12-28 항알레르기제 KR201201101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71769 WO2011080825A1 (ja) 2009-12-28 2009-12-28 抗アレルギー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132A true KR20120110132A (ko) 2012-10-09

Family

ID=44226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674A KR20120110132A (ko) 2009-12-28 2009-12-28 항알레르기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288527A1 (ko)
KR (1) KR20120110132A (ko)
CN (1) CN102711782B (ko)
SG (1) SG182289A1 (ko)
WO (1) WO20110808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1143A (zh) * 2018-07-13 2018-10-19 安徽亳药千草国药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保健功能的中药颗粒剂及制备方法
CN110305843B (zh) * 2019-07-12 2020-06-02 赛德特生物科技开发有限公司 可以改善自身免疫性疾病的免疫细胞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242A (ja) * 1990-05-30 1992-02-06 Fuji Oil Co Ltd 大豆サポニンの製造法
JPH04261122A (ja) * 1991-02-13 1992-09-17 Wakamoto Pharmaceut Co Ltd 豆科植物種子中に含まれるアンジオテンシン変換酵素活性阻害物
JP3081172U (ja) * 2001-04-18 2001-10-26 南海食品株式会社 油揚げ
US6418843B1 (en) * 2001-04-23 2002-07-16 Illinois Tool Works Inc. Element for positioning and supporting a golf ball as an image is imprinted thereon
JP4131444B2 (ja) * 2002-11-11 2008-08-13 クラシエフーズ株式会社 密封容器入り調理青大豆
JP2007197398A (ja) * 2006-01-30 2007-08-09 Fuji Oil Co Ltd アレルギー症状予防/治療用経口組成物
JP4036242B2 (ja) * 2007-02-15 2008-01-23 宇部興産株式会社 二塩基酸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11782B (zh) 2014-07-09
WO2011080825A1 (ja) 2011-07-07
US20120288527A1 (en) 2012-11-15
CN102711782A (zh) 2012-10-03
SG182289A1 (en)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326B1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5357652B2 (ja) 抗アレルギー剤
JPWO2002102396A1 (ja) 関節炎の予防剤または治療剤
KR101426356B1 (ko) 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33016A (ko)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67958B1 (ko) 아마란스 또는 곡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2008137976A (ja) 脂肪蓄積抑制剤
KR20210079828A (ko) 개똥쑥 추출물, 후박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비만 및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10132A (ko) 항알레르기제
KR20160114841A (ko) 두충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아디포넥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07239B1 (ko) 천문동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7051103A (ja) 抗酸化組成物
JP5192215B2 (ja) 免疫賦活組成物
JP2010180141A (ja) 抗アレルギー組成物
KR20160090662A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08429A (ko) 아욱 유래 글리세라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종양 면역 조절용 조성물
KR20150113709A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12180340A (ja) 脳機能低下抑制剤
JP2011153086A (ja) 抗アレルギー剤
KR20170023055A (ko) 쥐눈이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망막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142285A1 (ja) 睡眠改善剤
JP2012158528A (ja) IgEおよびIL−4産生抑制組成物
KR20180100838A (ko) PI3K 및 mTOR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1557B1 (ko)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104853B2 (ja) 肝機能保護剤または改善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