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997A -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 - Google Patents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997A
KR20120088997A KR1020110010028A KR20110010028A KR20120088997A KR 20120088997 A KR20120088997 A KR 20120088997A KR 1020110010028 A KR1020110010028 A KR 1020110010028A KR 20110010028 A KR20110010028 A KR 20110010028A KR 20120088997 A KR20120088997 A KR 20120088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rame
punching
attachment
ope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2290B1 (ko
Inventor
권용건
Original Assignee
삼성포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포장(주) filed Critical 삼성포장(주)
Priority to KR1020110010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290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2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eeding web material to secu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02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B41/04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grippers
    • B65B41/06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방형 상자를 이용한 각종 농산물의 포장작업시 필름을 자동으로 절단하고 부착하므로써 포장 불량률이 현저히 낮고, 완전 자동화에 의해 인건비 절감을 가능하도록 하고, 생산성을 높여 농가소득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방형 상자를 이용한 각종 농산물의 포장작업시 장착롤러에 장착된 필름을 절단장치가 자동으로 이송하면서 절단하고 절단된 필름을 이송장치가 이송하며, 이송된 필름을 부착장치가 부착하는 방식으로 부착과정이 단계별 구획됨과 동시에 개방형 상자의 크기에 맞게 절단된 필름을 부착하게 되므로 포장 불량률이 현저히 낮고, 특히 펀칭장치가 필름에 통공 또한 형성하게 되므로 완전 자동화에 의해 인건비 절감을 가능하도록 하고, 생산성을 높여 농가소득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AUTOMATIC FILM ATTACHING MACHINE}
본 발명은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방형 상자를 이용한 각종 농산물의 포장작업시 필름을 자동으로 절단하고 부착하므로써 포장 불량률이 현저히 낮고, 자동화에 의해 인건비 절감을 가능하도록 하고, 생산성을 높여 농가소득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거에는 농산물을 포장할 때 비개방형 상자, 즉, 덮개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어 내부에 농산물을 담은 후 덮개를 서로 부착함으로써 포장을 완료하는 비개방형 상자가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상기한 비개방형 상자의 경우에는 덮개를 해체하지 않고는 내부에 어떤 농산물이 포장되어 있는지 혹은 포장된 농산물의 품질을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하여 소비자들에게 신뢰감을 줄 수가 없고 또 포장단위가 커 직거래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바, 근래에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한 개방형 상자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개방형 상자는 개방구를 통해서 농산물을 담은 후 그 개방부에 투명한 비닐소재로 된 필름을 부착하여 포장을 완성하도록 구성된 것이나, 초기에는 이 필름을 별도로 부착하는 부착장치가 소개된 바 없어 농민들이 수작업으로 필름을 절단 및 부착하고 있었다. 필름을 부착하는 것 이외에도 필름 내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부착되는 필름에 통공을 형성하는 작업까지 농민들이 수작업으로 병행하고 있었다.
이렇게 농민들이 수작업으로 필름을 부착해야 되므로 많은 노동력이 필요로 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인건비 상승을 초래하게 되었다. 근래에는 농어촌 인구의 고령화와 더불어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이러한 추세와 맞물려 인건비는 더욱 상승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과적으로, 농산물을 포장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자연스럽게 농산물 가격 또한 상승하게 되었으며, 노동력 대비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고, 수작업으로 필름을 부착을 하다보면 부착면이 일정하지 못하는 등 상품불량으로 이어져 가치를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러한 필름을 자동으로 부착하는 부착장치가 제안되어 있는 바,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2006-0029711호가 그 일예이다. 이 문헌에 의해 공개된 부착장치는 필름을 개방형 상자에 부착하고 절단하므로써 자동화를 구현하고 있으나, 필름을 개방형 상자에 부착한 뒤 절단을 하도록 구성되므로 상자가 정위치에서 약간만 벗어나게 되면 절단시 상자를 훼손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역시 상품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개방형 상자를 이용한 각종 농산물의 포장작업시 필름을 통공을 하여 자동으로 절단하고 부착하므로써 포장 불량률이 현저히 낮고, 자동화에 의해 인건비 절감을 가능하도록 하고, 생산성을 높여 농가소득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농산물이 저장된 개방형 상자를 이송하되 이송 중 셋팅된 위치에서 이송을 멈춘 뒤 필름이 부착되면 재이송하여 배출하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상측에서 직교 방향으로 양 측면에 설치된 프레임; 상기 이송수단 혹은 프레임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어 롤 형태로 권취된 필름을 장착하는 장착롤러;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롤러에 장착된 필름을 셋팅된 길이만큼 공급 받아 절단하는 절단장치; 상기 프레임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절단수단에서 절단된 필름을 공급받아 셋팅된 위치로 이송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되, 이송하는 필름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에어를 통해 흡착한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장치; 및 상기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이송장치가 이송하는 필름의 상면 양 측을 에어 흡착하여 전달 받은 후 하향 작동되면서 상기 이송수단에 안치된 개방형 상자에 필름을 부착하는 부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롤러와 절단장치 사이에는 절단장치로 이송되는 필름에 통공을 형성하는 펀칭장치가 프레임에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단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상하로 설치되어 기어를 통해 맞물려 회전되면서 그 사이로 상기 장착롤러에 장착된 필름을 셋팅된 길이만큼 배출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작동실린더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송롤러를 통해서 배출되는 필름을 절단하는 절단칼과, 상기 절단칼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절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프레임 내벽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랙기어로 이루어지는 이송레일부; 상기 레일에 양 단부가 이동바퀴를 매개로 안치되는 이송프레임; 상기 이송프레임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양 단부는 피니언을 통해 상기 랙기어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설치되어 회동축을 정/역회전시키면서 이송프레임을 이송레일부를 따라 이송시키는 모터; 상기 이송프레임 상면에 설치되어 절단된 필름을 안치하는 안치판; 및 상기 안치판에 설치되어 안치되는 필름의 하면을 에어를 통해 흡착하는 흡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착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가이드봉을 매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착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착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작동실린더; 및 상기 부착프레임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하측에 각각 부착되며 하면에 흡입공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되는 필름의 상면 양 측을 에어를 통해 흡착하여 상기 작동실린더의 하향 동작시 이송수단에 안치된 개방형 상자에 필름을 부착하는 한 쌍의 흡착판; 및 상기 지지봉과 흡착판 사이에 개재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펀칭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작동실린더를 매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판재와, 상기 장착판재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하향 동작에 의해 필름에 통공을 형성하는 한 쌍의 펀칭부와, 상기 펀칭부 하측에 설치되어 펀칭부의 펀칭 동작시 지지하게 되는 한 쌍의 받침구로 이루어지는 펀칭부재; 상기 프레임에 좌우측으로 설치되어 기어를 통해 맞물려 회전되면서 그 사이로 펀칭부재에 의해 통공이 형성된 필름을 셋팅된 길이만큼 배출하는 한 쌍의 배출롤러; 및 상기 배출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펀칭부는 상기 장착판재에 설치되는 펀칭판; 상기 펀칭판의 가운데 부분에서 하향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필름에 통공을 형성하는 펀칭핀; 및 상기 핀칭핀 양 측에서 펀칭판에 탄성력을 지니도록 장착되어져 하향 작동시 펀칭핀 보다 필름에 먼저 닿아 필름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방형 상자를 이용한 각종 농산물의 포장작업시 장착롤러에 장착된 필름을 절단장치가 자동으로 이송하면서 절단하고 절단된 필름을 이송장치가 이송하며, 이송된 필름을 부착장치가 부착하는 방식으로 부착과정이 단계별 구획됨과 동시에 개방형 상자의 크기에 맞게 절단된 필름을 부착하게 되므로 포장 불량률이 현저히 낮고, 특히 펀칭장치가 필름에 통공 또한 형성하게 되므로 완전 자동화에 의해 인건비 절감을 가능하도록 하고, 생산성을 높여 농가소득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의 작동관계를 보인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장착롤러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6의 c-c선 단면도이며, "나"는 d-d선 단면도.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부착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며, "다"는 "나"의 e-e선 단면도.
도 9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펀칭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펀칭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다"는 "나"의 f-f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11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펀칭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고, "나" 및 "다"는 "가"의 g-g선 단면도.
도 1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 및 이송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고, "나"는 "가"의 h-h선 단면도.
도 1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및 부착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고, "나"는 "가"의 I-I선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10)는 크게 이송수단(100), 프레임(200), 장착롤러(300), 절단장치(400), 이송장치(500) 및 부착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펀칭장치(700)를 추가로 더 포함한다.
먼저, 상기 이송수단(100)은 농산물이 저장된 개방형 상자(1)를 이송하되 이송 중 셋팅된 위치에서 이송을 멈춘 뒤 여기서는 미도시된 필름이 부착되면 재이송하여 배출하는 것으로,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이송수단의 상측에서 직교 방향으로 양 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으로, 상기의 각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미부호 설명인 프레임판을 구비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송수단(100)의 일측에 스크류봉(210)을 통해서 설치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개방형 상자(1)에 필름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높낮이 조절이 불필요 할 수 있으나, 개방형 상자(1)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작업을 위해서 혹은 설치 장소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20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서 일예로 스크류봉(210)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이미 주지된 각종 실린더 종류와 기어 종류를 이용해 승하강 시킬 수 도 있음을 인지해야 되며, 이송수단(100)의 일측에 설치하지 않고 지면에 직접 설치될 수 도 있음은 자명하다.
다음으로, 상기 장착롤러(300)는 상기 이송수단(100) 혹은 프레임(200)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어 롤 형태로 권취된 필름을 장착하는 것으로, 상세한 구성 및 작용관계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절단장치(400)는 상기 프레임(200)의 전측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롤러(300)에 장착된 필름을 셋팅된 길이만큼 이송시키면서 절단하는 것으로, 이 또한 그 상세한 구성 및 작용관계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장치(500)는 상기 프레임(200)의 가운데 부분 상단에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절단장치(400)에서 절단된 필름을 공급받아 셋팅된 위치로 이송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되, 이송하는 필름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에어를 통해 흡착한 상태로 이송하는 것으로, 이 또한 하기에서 그 상세한 구성 및 작용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부착장치(600)는 상기 프레임(200)의 후측 상단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이송장치(500)가 이송하는 필름의 상면 양 측을 에어 흡착하여 전달 받은 후 하향 작동되면서 상기 이송수단(100)에 안치된 개방형 상자(1)에 필름을 부착하는 것으로, 이 또한 하기에서 그 상세한 구성 및 작용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펀칭장치(700)는 장착롤러(300)와 절단장치(40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200)의 전측 하단에 설치되어 절단장치(400)로 이송되는 필름에 통공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 또한 하기에서 그 상세한 구성 및 작용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00) 일측에는 상기 이송장치(500) 및 부착장치(600)에 사용되는 흡착력을 발생하기 위한 흡착기(800)가 구비되는데, 이는 흡착펌프 등 이미 주지되어 있으므로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필름 자동부착기(10)가 필름을 자동으로 부착하고자 하는 대상은 일측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 농산물이 저장되는 개방형 상자(1)로써, 단순히 투명한 필름을 상자에 부착하여서 밀폐하는 것이 아니라 필름에는 내부에 습기가 차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통공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필름은 롤 형태로 권취되어 공급되므로 대부분의 경우에는 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채 공급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펀칭장치(700)를 추가로 개재하여 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대부분의 필름에 자동으로 통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만약 통공이 형성된 필름을 사용하게 되면 펀칭장치는 사용할 필요가 없음을 인지해야 된다. 그리고, 통상 제공되는 필름에는 그 양단부에 접착부가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고 직접 부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에서 간략하게 살펴본 각 구성요소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수단의 작동관계를 보인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이송수단(100)은 본체(110) 상면에 다수의 회동롤러(112)가 구동모터(11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방형 상자(1)를 이송할 수 있도록 되며, 이송되는 개방형 상자(1)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회동롤러(112)의 상면 전후측에는 가이드롤러(116)가 다수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롤러(112) 사이에는 스토퍼(12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회동롤러(112)에 안치되어 이송되는 개방형 상자(1)를 셋팅된 위치에 멈추게 하기 위해서이며, 주지된 감지센서를 통해서도 구현 가능함은 너무나 당연하다.
또한, 상기 본체(110) 전후방에는 상기 프레임(200)의 스크류봉(210)을 결합하여 승하강 시키기 위한 결합체(13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일종의 기어박스로서 널리 주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렇게 구성된 이송수단(100)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방형 상자(1)를 회동롤러(112)에 안치하여 회동롤러(112)를 회전시키게 되면 개방형 상자(1)는 도면상 좌에서 우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개방형 상자(1)는 일정 거리 이동하게 되면 회동롤러(112) 사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스토퍼(120)에 의해 더 이상 이송되지 못하게 되고, 곧 이를 인식한 구동모터(114)가 동작을 중지하여 상자(1)가 셋팅된 위치에 멈출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셋팅된 위치에 멈춘 상자에 예컨대 필름이 부착되면 이 신호를 매개로 스토퍼(120)는 하향되고 구동모터(114)는 동작을 계속하여 개방형 상자(1)를 이송시켜 배출하도록 작동된다. 이러한, 동작 신호는 각 장치들과 연동되면서 작동될 수 있도록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프로그램화됨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장착롤러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장착롤러(300)는 롤 형태로 권취된 필름(2)을 외주연으로 장착하여서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베어링(310)에 양 단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며, 표면에 탭(320)을 형성하여 이 탭(320)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구(330)의 결합을 통해 장착된 필름(2)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렇게 장착롤러(300) 표면에 탭(320)을 형성하고 고정구(330)를 결합하므로써 필름을 고정하는 것은 이 고정구(330)는 탭(320)을 따라 이동되므로 폭이 상이한 필름(2)이 장착되더라도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장착롤러(300)에 장착된 필름(2)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양 단부를 결합하는 베어링(310)은 상하로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베어링(310)으로부터 장착롤러(300)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절단장치(400)는 한 쌍의 이송롤러(410), 모터(420) 및 절단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410)는 파선으로 도시된 프레임(200)에 양단이 회동 가능한 채 상하로 설치되어 기어(412)를 통해 맞물려 회전되면서 그 사이로 필름을 셋팅된 길이만큼 이송하도록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모터(420)는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41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측 이송롤러(410)에 설치되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필름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필름을 셋팅된 길이만큼 배출한 뒤 작동을 중지할 수 있는 등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서브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미도시된 측정센서 또는 앤코더(Encoder)에 의해서 배출되는 필름의 길이를 측정한 뒤 모터(420)의 동작을 중지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절단부재(430)는 상기 이송롤러(410)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프레임(200) 상에 설치되어 이송롤러(410)가 셋팅된 길이만큼 필름을 이송하면 그 길이에 맞춰 절단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200)에 설치된 작동실린더(434) 또는 모터에 의한 캠장치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송롤러(410)를 통해서 배출되는 필름을 절단하는 절단칼(432) 및 상기 절단칼(432) 하측에 설치되어 절단되는 필름 즉, 절단면을 지지하는 지지판(43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프레임(200)에는 이송롤러(410)가 장착롤러(300)로부터 필름을 공급 받아 배출할 때 필름 자체가 적정한 긴장감을 유지한 채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롤러(440)가 추가로 구비되며, 이 지지롤러(440)와 이송롤러(410) 사이에는 필름의 처짐을 방지하는 효과와 함께 필름에 묻어있는 본드의 저항을 줄이는 역할을 하는 보조판(450)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6의 c-c선 단면도이며, "나"는 d-d선 단면도이다.
도 6 및 7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이송장치(500)는 크게 이송레일부(510), 이송프레임(520), 회동축(530), 모터(540), 안치판(550) 및 흡착구(5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이송레일부(510)는 파선으로 도시된 프레임(200) 내벽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는 대략 ㄷ자 형상의 레일(512) 및 상기 레일(512)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랙기어(514)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프레임(520)은 상기 레일(512)에 양 단부가 이동바퀴(522)를 매개로 안치되어 전후 이동은 가능하되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축(530)은 상기 이송프레임(520)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양 단부는 피니언(532)을 통해 상기 랙기어(514)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모터(540)는 상기 회동축(530)에 설치되어 회동축(530)을 정/역회전시키면서 이송프레임(520)을 이송레일부(510)를 따라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모터(540)가 회전되면 이송프레임(520), 회동축(530) 및 모터(540) 전체가 회동축(530)에 결합된 피니언(532)과 랙기어(514)의 맞물림으로 인해 이송레일부(51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축(530)의 이동을 위해 프레임(200)의 측벽에는 절개공(220)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상기 안치판(550)은 상기 이송프레임(520) 상면에 양 측으로 각각 설치되어 절단된 필름을 안치하는 것으로, 필름의 양 단부에 도포된 접착부는 안치하지 않는 폭을 유지하게 되며, 적어도 어느 일측 안치판(550)은 필름의 폭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이송프레임(520) 상에 볼트(552)를 매개로 결합되어 있어 좌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면을 제 위치에 안치시 저항을 줄이는 오목볼록한 요철형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흡착구(560)는 상기 안치판(550)에 각각 설치되어 안치되는 필름의 하면을 에어를 통해 흡착하도록 흡입공(562)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착구(560)는 안치판(550) 하측에 설치되어 있되 그 상면은 안치판(550)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며, 여기서는 미도시 하였으나 전술한 흡착기(800)와 연결된 분배기(570)와 관로(572)를 통해 연결되어 에어를 흡착하게 된다. 이때, 흡착면이 넓어 안정적인 흡착이 가능하도록 흡착구(560)의 상면은 접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착구(560)는 상기 안치판(550)에 각각 설치되어 개략적으로 도시된 관로(572)를 통해서 분배기(570)와 연결되므로 관로(572)를 여유 있게 설치하게 되면 안치판(550)의 폭 조절시 대응이 용이하다.
도 8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부착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부착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며, "다"는 "나"의 e-e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부착장치(600)는 부착프레임(610), 작동실린더(620), 브라켓(630), 지지봉(640), 흡착판(650) 및 스프링(66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부착프레임(610)은 여기서는 파선으로 도시된 프레임(200)에 그 양단이 가이드봉(612)을 매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볼트(616)를 매개로 고정 설치된 이동바(614)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작동실린더(620)는 상기 프레임(200)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착프레임(61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모터에 의한 캠장치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브라켓(63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부착프레임(610)에 대칭되게,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프레임(610)과 상기 부착프레임(610)이 가지는 이동바(614)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이동바(614)에 설치된 브라켓(630)은 이동바(614)의 폭 조절시 같이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일측 브라켓(630)을 이동바(614)에 설치하여 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은 역시 필름의 폭 변화에 따라 조절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봉(640)은 상기 브라켓(630)에 하향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종의 가이드 수단으로, 미부호 설명이나 상단부에 형성된 머리부로 인해 브라켓에서 하향 이탈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흡착판(65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봉(640) 하측에 각각 부착되며 하면에 흡착공(652)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이송장치(500)로부터 이송되는 필름의 상면 양 측을 에어를 통해 흡착하여 상기 작동실린더(620)의 하향 동작시 이송수단(100)에 안치된 개방형 상자에 필름을 부착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흡착판(650)의 하면은 여기서는 미도시 하였으나 필름을 이송하는 이송장치(500)의 안치판(550) 상면 보다 약간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되어 안치판(550)에 안치되어 이송되는 필름의 상면을 흡착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스프링(660)은 "다"에서 확대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지지봉(640)과 흡착판(650) 사이에 개재되어 탄성력을 부과하게 되며, 흡착판(650)이 필름을 부착하기 위해 하향 동작되어 개방형 상자의 상면에 부딪히게 되면 수축되면서 충격을 완화하게 되는 완충 역할을 위해 구비된다.
도 9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펀칭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나"는 펀칭부재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다"는 "나"의 f-f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펀칭장치(700)는 펀칭부재(710), 배출롤러(720) 및 모터(730)를 포함한다.
상기 펀칭부재(710)는 여기서는 파선으로 도시된 프레임(200)에 작동실린더(711)를 매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판재(712)와, 상기 장착판재(712)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하향 동작에 의해 필름에 통공을 형성하는 한 쌍의 펀칭부(713)와, 상기 펀칭부(713)와 동일 수직선상 하측에 설치되어 펀칭부(713)의 펀칭 동작시 지지하게 되는 한 쌍의 받침구(718)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롤러(72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프레임(200)에 좌우측으로 설치되어 기어(722)를 통해 맞물려 회전되면서 그 사이로 펀칭부재(710)에 의해 통공이 형성된 필름을 셋팅된 길이만큼 배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모터(730)는 상기 한 쌍의 배출롤러(720) 중 어느 일측 배출롤러(720)와 축 결합되어 회전 작동시키는 것으로, 필름을 셋팅된 길이만큼 배출시킨 뒤 작동 중지될 수 있도록 설정하기 위해 서브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브모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각종 감지센서가 추가로 설치되어 필름의 배출 길이를 측정한 뒤 모터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펀칭부(713)는 상기 장착판재(712)에 설치되는 펀칭판(714)과, 상기 펀칭판(714)의 가운데 부분에서 하향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필름에 통공을 형성하는 펀칭핀(715) 및 상기 핀칭핀(715) 양 측에서 펀칭판(714)에 탄성력을 지니도록 장착되어져 하향 작동시 펀칭핀(715) 보다 필름에 먼저 닿아 필름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봉(716)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봉(716)은 "다"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펀칭판(714)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되, 스프링(717)이 개재되어 있어 탄성력을 지니게 되며, 그 하면은 상기 펀칭핀(715)의 하면보다 더 하향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펀칭판(714)과 받침구(718)는 필름의 폭 변화시 이에 대응하여 통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동된 후 고정은 미부호 설명인 볼트를 매개로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필름자동부착기(10)의 사용 상태 및 작용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11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펀칭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고, "나" 및 "다"는 "가"의 g-g선 단면도이며, 도 1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 및 이송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고, "나"는 "가"의 h-h선 단면도이며, 도 1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 및 부착장치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고, "나"는 "가"의 I-I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여 사용 상태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기에 앞서, 하기에서 설명하는 작용관계에 따른 순서는 미도시된 제어부에 설정되는 프로그램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명백히 한다.
먼저, 도 10을 참조로 하면, 우선 사용자는 장착롤러(300)에 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는 필름(2)을 장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필름(2)의 양 단부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개방형 상자(1)에 부착되기 위한 접착부가 도포된 채 제공되므로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필름(2)을 장착하게 되면 사용자는 개방형 상자(1)에 포장하고자 하는 농산물을 저장한 뒤 이송수단(100)에 올려놓고, 이송수단(100)을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이송수단(100)에 설치된 회동롤러(여기서는 미도시)를 따라 이송되며, 일정 거리 이송된 후 스토퍼(여기서는 미도시)에 의해 셋팅된 위치에 멈추게 된다.
계속해서, 장착된 필름(2)의 끝단을 풀어 펀칭장치(700)으로 공급하게 되며, 공급된 필름(2)을 펀칭장치(700)은 통공을 형성하여 배출하게 된다. 즉, 도 11의 "가" 내지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롤러(300)에 장착된 필름(2)을 펀칭부재(710)의 받침구(718) 상면에 안치시킴과 동시에 한 쌍의 배출롤러(720) 사이를 통과하도록 공급하게 된다. 이때, 펀칭부재(710)의 펀칭부(713)가 작동실린더(711)의 작동으로 하향 동작하게 되면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판(714)에 장착된 고정봉(716)이 먼저 필름(2) 상면에 닿아 고정하게 되고, 곧 "다"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펀칭핀(715)이 필름(2)에 미부호 설명인 통공을 형성하게 된다. 필름(2)에 통공을 형성한 펀칭부(713) 및 펀칭부재(710)가 다시 상승하게 되면 배출롤러(720)는 모터(730)에 의해 회전되면서 셋팅된 길이만큼 필름(2)을 도면상 우측으로 배출하게 되고, 셋팅된 길이만큼 필름(2)이 배출되면 모터(730)에 의해 배출롤러(720)는 다시 동작을 멈추고 이와 동시에 펀칭부(713)가 다시 필름(2)에 통공을 형성하며, 배출롤러(720)는 다시 셋팅된 길이만큼 필름(2)을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일정 길이의 필름(2)이 펀칭장치(700)에 의해 배출되면 펀칭장치(700)의 작동을 일시 중지해 놓고 통공이 형성된 필름(2)을 사용자는 상측에 설치된 절단장치(400)로 공급해 준다. 즉, 도 12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장치(400)의 이송롤러(410) 사이로 필름(2)을 공급한 뒤 절단장치(400)와 작동 중지된 펀칭장치(700)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펀칭장치(700)는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되고, 절단장치(400)의 이송롤러(410)는 모터(420)에 의해 통공이 형성된 필름(2)을 셋팅된 거리만큼 이송시킨 뒤 동작을 멈춘다. 그러면, 절단부재(430)의 절단칼(432)이 하향 동작되면서 이송된 필름(2)을 절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410)를 통해 이송 배출되는 필름(2)은 절단칼(432)이 절단하기 전 이송장치(500)의 안치판(550)에 이미 안치됨은 당연하다. 계속해서, 상기 필름(2)이 절단되면 이송장치(500)의 안치판(550) 사이에 구비된 흡착구(560)는 필름(2)의 하면을 에어를 통해 흡착하게 되고, 곧 이송장치(500)의 모터(540)가 작동되어 회동축(530)을 회전시켜 이송프레임(520)이 이송레일부(510)를 따라 이송되도록 하여 셋팅된 위치에 정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이송장치(500)가 필름(2)을 이송하게 되면 그 상측에 구비된 부착장치(600)가 필름(2)을 전달 받아 이송수단(100)에 의해 이송된 개방형 상자(1)에 부착하게 된다. 즉, 도 13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500)가 필름(2)을 이송하여 부착장치(600)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 이송장치(500)의 흡착구는 더 이상 에어를 흡착하지 않게 되고, 곧 부착장치(600)의 흡착판(650)이 에어를 통해 필름(2)이 양 단부 상면을 흡착하여 이송장치(500)로부터 이격시킨다. 그러면, 이송장치(500)는 다시 모터(540)의 동작으로 원위치 즉, 절단장치(400) 쪽으로 복귀하여 다음 이송을 준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장치(500)가 복귀하고 나면 부착장치(600) 즉, 부착프레임(610)은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실린더(620)의 동작으로 인해 하향 동작되고, 흡착판(650)에 흡착된 필름(2)을 곧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개방형 상자(1)의 개방구에 부착하며, 에어 흡착을 중지한 뒤 다시 작동실린더(620)의 동작으로 상향하여 최소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흡착판(650)은 개재된 스프링(660)으로 인해 탄성력을 지니게 되므로 부착시 개방형 상자(1)의 상면과 닿은 충격을 흡수하면서 필름을 부착하게 될 것이다. 물론, 필름(2)의 양 단부에 구비된 접착부는 상자(1)에 직접 부착될 수 있도록 하측에 위치됨은 너무나 당연하다. 이렇게 하여, 부착장치(600)가 필름(2)을 개방형 상자(1)에 부착하게 되면 이송수단(100)의 스토퍼(여기서는 미도시)가 하향되고 동시에 회동롤러가 회동되면서 필름(2)이 부착된 개방형 상자(1)를 이송시켜 배출하게 되며, 사용자는 이 포장된 상자(1)를 수거하면서 새로운 상자를 다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10)에 의하면 개방형 상자(1)를 이용한 각종 농산물의 포장작업시 장착롤러(300)에 장착된 필름을 절단장치(400)가 자동으로 이송하면서 절단하고 절단된 필름(2)을 이송장치(500)가 이송하며, 이송된 필름을 부착장치(600)가 부착하는 방식으로 부착과정이 단계별 구획됨과 동시에 개방형 상자(1)의 크기에 맞게 절단된 필름(2)을 부착하게 되므로 포장 불량률이 현저히 낮고, 특히 펀칭장치(700)가 필름(2)에 통공 또한 형성하게 되므로 완전 자동화에 의해 인건비 절감을 가능하도록 하고, 생산성을 높여 농가소득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 : 개방형 상자 2 : 필름
10 : 필름 자동부착기 100 : 이송수단
110 : 본체 112 : 회동롤러
114 : 구동모터 116 : 가이드롤러
120 : 스토퍼 130 : 결합체
200 : 프레임 210 : 스크류봉
300 : 장착롤러 310 : 베어링
320 : 탭 330 : 고정구
400 : 절단장치 410 : 이송롤러
412 : 기어 420 : 모터
430 : 절단부재 432 : 절단칼
434 : 작동실린더 436 : 지지판
440 : 지지롤러 450 : 보조판
500 : 이송장치 510 : 이송레일부
512 : 레일 514 : 랙기어
520 : 이송프레임 522 : 이동바퀴
530 : 회동축 532 : 피니언
540 : 모터 550 : 안치판
552 : 볼트 560 : 흡착구
562 : 흡입공 570 : 분배기
572 : 관로 600 : 부착장치
610 : 부착프레임 612 : 가이드봉
620 : 작동실린더 630 : 브라켓
640 : 지지봉 650 : 흡착판
652 : 흡착공 660 : 스프링
700 : 펀칭장치 710 : 펀칭부재
711 : 작동실린더 712 : 장착판재
713 : 펀칭부 714 : 펀칭판
715 : 펀칭핀 716 : 고정봉
717 : 스프링 718 : 받침구
720 : 배출롤러 722 : 기어
730 : 모터

Claims (7)

  1. 농산물이 저장된 개방형 상자를 이송하되 이송 중 셋팅된 위치에서 이송을 멈춘 뒤 필름이 부착되면 재이송하여 배출하는 이송수단;
    상기 이송수단의 상측에서 직교 방향으로 양 측면에 설치된 프레임;
    상기 이송수단 혹은 프레임의 일측 하단에 설치되어 롤 형태로 권취된 필름을 장착하는 장착롤러;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롤러에 장착된 필름을 셋팅된 길이만큼 공급 받아 절단하는 절단장치;
    상기 프레임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절단수단에서 절단된 필름을 공급받아 셋팅된 위치로 이송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되, 이송하는 필름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에어를 통해 흡착한 상태로 이송하는 이송장치; 및
    상기 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이송장치가 이송하는 필름의 상면 양 측을 에어 흡착하여 전달 받은 후 하향 작동되면서 상기 이송수단에 안치된 개방형 상자에 필름을 부착하는 부착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롤러와 절단장치 사이에는 절단장치로 이송되는 필름에 통공을 형성하는 펀칭장치가 프레임에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상하로 설치되어 기어를 통해 맞물려 회전되면서 그 사이로 상기 장착롤러에 장착된 필름을 셋팅된 길이만큼 배출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작동실린더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이송롤러를 통해서 배출되는 필름을 절단하는 절단칼과, 상기 절단칼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절단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프레임 내벽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 하측에 각각 설치되는 랙기어로 이루어지는 이송레일부;
    상기 레일에 양 단부가 이동바퀴를 매개로 안치되는 이송프레임;
    상기 이송프레임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양 단부는 피니언을 통해 상기 랙기어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설치되어 회동축을 정/역회전시키면서 이송프레임을 이송레일부를 따라 이송시키는 모터;
    상기 이송프레임 상면에 설치되어 절단된 필름을 안치하는 요철모양의 안치판; 및 상기 안치판에 설치되어 안치되는 필름의 하면을 에어를 통해 흡착하는 흡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가이드봉을 매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착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착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작동실린더; 및
    상기 부착프레임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하측에 각각 부착되며 하면에 흡입공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되는 필름의 상면 양 측을 에어를 통해 흡착하여 상기 작동실린더의 하향 동작시 이송수단에 안치된 개방형 상자에 필름을 부착하는 한 쌍의 흡착판; 및
    상기 지지봉과 흡착판 사이에 개재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작동실린더를 매개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판재와, 상기 장착판재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하향 동작에 의해 필름에 통공을 형성하는 한 쌍의 펀칭부와, 상기 펀칭부 하측에 설치되어 펀칭부의 펀칭 동작시 지지하게 되는 한 쌍의 받침구로 이루어지는 펀칭부재;
    상기 프레임에 좌우측으로 설치되어 기어를 통해 맞물려 회전되면서 그 사이로 펀칭부재에 의해 통공이 형성된 필름을 셋팅된 길이만큼 배출하는 한 쌍의 배출롤러; 및
    상기 배출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모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부는
    상기 장착판재에 설치되는 펀칭판;
    상기 펀칭판의 가운데 부분에서 하향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필름에 통공을 형성하는 펀칭핀; 및
    상기 핀칭핀 양 측에서 펀칭판에 탄성력을 지니도록 장착되어져 하향 작동시 펀칭핀 보다 필름에 먼저 닿아 필름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봉;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
KR1020110010028A 2011-02-01 2011-02-01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 KR101212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028A KR101212290B1 (ko) 2011-02-01 2011-02-01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028A KR101212290B1 (ko) 2011-02-01 2011-02-01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997A true KR20120088997A (ko) 2012-08-09
KR101212290B1 KR101212290B1 (ko) 2012-12-12

Family

ID=4687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028A KR101212290B1 (ko) 2011-02-01 2011-02-01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290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6250A (zh) * 2017-08-19 2017-12-01 深圳市沃尔核材股份有限公司 一种管材自动包装设备
KR20180059637A (ko) * 2016-11-25 2018-06-0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연료전지 테이핑장치
CN108438340A (zh) * 2018-04-09 2018-08-24 奥士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pcb板制造的pcb板储存保护设备
CN108500872A (zh) * 2018-05-17 2018-09-07 深圳市永顺创能技术有限公司 一种高精度的3d曲面膜定位装置
CN108974754A (zh) * 2018-07-23 2018-12-11 平湖市品耀机器自动化有限公司 一种用于覆膜机的传送装置
CN110937171A (zh) * 2019-12-09 2020-03-31 广东申菱环境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支腿自动覆膜装置
CN112644010A (zh) * 2019-10-11 2021-04-13 广东思沃精密机械有限公司 贴膜机
CN113060340A (zh) * 2021-03-15 2021-07-02 东莞东洋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路由器外壳的保护膜自动贴膜机
CN115179337A (zh) * 2022-06-28 2022-10-14 江苏金纬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片板膜切割装置及其加工方法
CN115465526A (zh) * 2022-09-28 2022-12-13 潍坊恒诚祥精密机械科技有限公司 小卷纸包装检测装置
CN115477041A (zh) * 2022-09-26 2022-12-16 湖南品触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气泡的柔性屏表面贴膜机
CN115648649A (zh) * 2022-11-11 2023-01-31 芜湖市开化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覆膜机生产用修边机及其使用方法
CN118219548A (zh) * 2024-04-24 2024-06-21 深圳市成大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oled柔性屏覆膜用预检测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616B1 (ko) * 2021-04-30 2021-12-06 임동환 천공 장치를 포함하는 포장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4379A (en) 1971-02-22 1975-07-15 Continental Can Co Method of closing a flexible container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9637A (ko) * 2016-11-25 2018-06-0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연료전지 테이핑장치
CN107416250A (zh) * 2017-08-19 2017-12-01 深圳市沃尔核材股份有限公司 一种管材自动包装设备
CN107416250B (zh) * 2017-08-19 2024-04-05 深圳市沃尔核材股份有限公司 一种管材自动包装设备
CN108438340B (zh) * 2018-04-09 2023-10-13 奥士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pcb板制造的pcb板储存保护设备
CN108438340A (zh) * 2018-04-09 2018-08-24 奥士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pcb板制造的pcb板储存保护设备
CN108500872A (zh) * 2018-05-17 2018-09-07 深圳市永顺创能技术有限公司 一种高精度的3d曲面膜定位装置
CN108500872B (zh) * 2018-05-17 2024-01-30 深圳市永顺创能技术有限公司 一种高精度的3d曲面膜定位装置
CN108974754A (zh) * 2018-07-23 2018-12-11 平湖市品耀机器自动化有限公司 一种用于覆膜机的传送装置
CN108974754B (zh) * 2018-07-23 2024-03-26 浙江汉脑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覆膜机的传送装置
CN112644010A (zh) * 2019-10-11 2021-04-13 广东思沃精密机械有限公司 贴膜机
CN110937171A (zh) * 2019-12-09 2020-03-31 广东申菱环境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支腿自动覆膜装置
CN113060340A (zh) * 2021-03-15 2021-07-02 东莞东洋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路由器外壳的保护膜自动贴膜机
CN115179337A (zh) * 2022-06-28 2022-10-14 江苏金纬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片板膜切割装置及其加工方法
CN115179337B (zh) * 2022-06-28 2023-12-29 江苏金纬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片板膜切割装置及其加工方法
CN115477041A (zh) * 2022-09-26 2022-12-16 湖南品触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气泡的柔性屏表面贴膜机
CN115477041B (zh) * 2022-09-26 2024-04-02 湖南品触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气泡的柔性屏表面贴膜机
CN115465526A (zh) * 2022-09-28 2022-12-13 潍坊恒诚祥精密机械科技有限公司 小卷纸包装检测装置
CN115648649A (zh) * 2022-11-11 2023-01-31 芜湖市开化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覆膜机生产用修边机及其使用方法
CN118219548A (zh) * 2024-04-24 2024-06-21 深圳市成大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oled柔性屏覆膜用预检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290B1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290B1 (ko) 개방형 상자의 필름 자동부착기
CN101880206B (zh) 一体化侧推式装箱机
CA2709336A1 (en) Tensioning of the top roll of a crop conditioner
CN104925319A (zh) 包装盒贴胶封口装置
CN201633955U (zh) 自动输送折叠纸盒装置
CN207482303U (zh) 纸箱板送料机构
CN203922660U (zh) 一种履带式压盖机
CN203740711U (zh) 集张力及纠偏调节功能为一体的张力纠偏一体机
JP2017035017A (ja) コンバイン
CN105480452A (zh) 卷筒纸保护套包装机
KR102245785B1 (ko) 박스포장용 테이프접착장치
KR101158322B1 (ko) 피포장지 피이딩 장치
CN102556738B (zh) 整形压平机
CN204432024U (zh) 包本机的封皮进给控制机构
CN102910314A (zh) 全自动拉伸膜包装机进膜校偏装置
US10131106B2 (en) Packaging machine former
CN206857149U (zh) 包装袋裁切装置
CN206629465U (zh) 一种玉米割台拨禾链张紧机构
CN104495292A (zh) 带式输送机滚筒夹料检测装置
CN104386316A (zh) 用于糖果计数的转盘式计数机罐体驻停控制机构
CN109110219A (zh) 一种角边封箱装置
CN203819574U (zh) 一种可调节的包装机料仓装置
CN202704506U (zh) 全自动分瓶机
CN211165511U (zh) 包装纸喷胶送料机及烟盒制造设备
CN109808922B (zh) 一种自动化有机肥灌装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