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075A - Spreader of container crane - Google Patents

Spreader of container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075A
KR20120083075A KR1020110004520A KR20110004520A KR20120083075A KR 20120083075 A KR20120083075 A KR 20120083075A KR 1020110004520 A KR1020110004520 A KR 1020110004520A KR 20110004520 A KR20110004520 A KR 20110004520A KR 20120083075 A KR20120083075 A KR 20120083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rame
width
length
sprea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5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72127B1 (en
Inventor
이원규
박세명
조지운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04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127B1/en
Publication of KR20120083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0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12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1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의 트롤리에 연결된 상태로 컨테이너와 결합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에 있어서, 트롤리에 연결되는 본체 프레임, 본체 프레임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길이프레임, 각 길이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며, 컨테이너에 안착시, 컨테이너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조절부, 폭조절부에 설치되며, 폭조절부가 연장되면서 컨테이너와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는,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길이프레임에 각각 컨테이너의 폭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폭조절부가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컨테이너 상에서 폭조절부가 본체 프레임 및 길이프레임의 하중에 의해 폭 방향 테두리에 배치되도록 연장된 후, 길이프레임에 의해 각 컨테이너의 모서리부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는 바, 컨테이너의 폭 방향 크기에 상관없이 본체 프레임을 컨테이너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coupled to the container in a state connected to the trolley of the crane, the main body frame connected to the trolley, a pair of length frames install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frame, connected to each length frame It is installed, when seated in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width adjusting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the width adjusting portion, the container crane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coupled to the container while the width adjusting portion is extended.
The spreader of such a container crane is connected to the width adjusting part which extends toward the width direction of a container, respectively, in the length frame extended and contr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container. Therefore, the width adjusting portion on the container is extended so as to be placed in the widthwise edge by the load of the main frame and the length frame, and then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at the corners of each container by the length frame, correlated to the width direction size of th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easily fix the body frame to the container without.

Description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Spreader of container crane}Spreader of container crane

본 발명은 스프레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두와 선박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선적 또는 하역시키는 크레인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크레인에 고정시키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rea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reader of a container crane which is installed on a crane for loading or unloading a container between a pier and a ship, and fixes the container to the crane.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20피트 또는 40피트 등의 단위 규격으로 구성되어, 먼저 화물발송 장소에서 화물을 수납 적재한 뒤에 트레일러(Trailer)나 트럭 또는 경우에 따라 열차나 바아지(Barge)등에 의해 육상 또는 수상을 이동하여 컨테이너 부두내의 화물 집하장으로 수집된 뒤 여기서 항목별로 분류되어 선적된다. 이렇게, 선적된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선박이나 바아지 캐리어 등에 의해 해상을 이동한 뒤 목적항에 도착하여 하역과 함께 트레일러나 트럭 등으로 분산 이송되어 목적지에 도달하게 된다.In general, a container is composed of a unit of 20 feet or 40 feet, and is first loaded and stored at the place where the cargo is shipped, and then land or water by a trailer or a truck or, optionally, a train or barge. Are collected and collected at the cargo dock in the container wharf, where they are then classified and shipped. In this way, the loaded container is moved to the sea by a container ship or a bag carrier, arrives at the port of destination and is distributed and transported to a trailer, truck, etc. to reach a destination.

이와 같은 컨테이너 이송시스템에 있어서, 컨테이너의 선적와 하역에 사용되는 설비 중에 하나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컨테이너 크레인으로 복수의 차륜(W)이 구비된 차대(D) 상에 포스트(Post ; P)와 빔(Beam ; B)에 의해 'n'형상의 프레임(Fame)을 구성하고, 상기 빔(B)상에 상기 컨테이너(N)를 권상하는 트롤리(Troley ; T)가 이동한다.In such a container transport system, one of the facilities used for loading and unloading a container is a container crane as shown in FIG. 1, and a post (P; P) on a chassis 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heels W. FIG. And a beam (B) B constitute a 'n'-shaped frame Fame, and a trolley T, which winds up the container N on the beam B, moves.

이러한, 컨테이너 크레인은 차륜(W)의 구동 및 방향전환에 의해 전후 및 좌우 방향 그리고 회전하며 컨테이너(N)를 이송하게 된다. 여기서, 컨테이너(N)의 권상을 위해 트롤리(T)에 스프레더(sprader; S)가 구비되는데 규격이 서로 다른 컨테이너(N)의 지지를 위해 스프레더(S)는 신축식으로 구성된다.Such, the container crane is to move the container (N) in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rotates by the drive and direction of the wheel (W). Here, a spreader S is provided on the trolley T for hoisting of the container N, but the spreader S is elastically configured to support containers N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레더(20)는, 상기 스프레더(20)의 본체(21)에 대해서 신축되는 텔레스코픽 프레임(Telescopic frame; 22)이 컨테이너(10)의 크기에 맞게 조정되어 단부에 형성된 트위스트록장치(24)에 의해서 컨테이너(10)의 모서리에 설치된 코너 캐스팅(11)에 고정되어 컨테이너(10)를 고정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the spreader 20 includes a twist formed on an end portion of a telescopic frame 22 that is stretched and contract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1 of the spreader 20 to fit the size of the container 10. The locking device 24 is fixed to the corner casting 11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container 10 to fix the container 10.

그러나, 종래의 스프레더(20)는, 상기 컨테이너(10)의 코너 캐스팅(11)에 상기 트위스트록장치(24)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조정실에서 크레인 및 스프레더(20)의 텔레스코픽 프레임(22) 위치를 조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조정이 작업자의 작업숙련도에 의존하게 되는 바, 많은 작업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preader 20, the telescopic frame 22 of the crane and the spreader 20 in the control room by the operator in order to accurately position the twist lock device 24 in the corner casting 11 of the container 10. To adjust the position, this adjustment is dependent on the operator's work skills,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work time is consumed.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크기에 상관없이 컨테이너의 코너 캐스팅에 록킹장치를 용이하게 배치시켜, 컨테이너와의 도킹 작업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reader for a container crane, which requires a docking device to be easily placed in the corner casting of the container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ontainer, so that docking with the container takes less time.

본 발명은, 크레인의 트롤리에 연결된 상태로 컨테이너와 결합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에 연결되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길이프레임과, 각 상기 길이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에 안착시, 상기 컨테이너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조절부 및, 상기 폭조절부에 설치되며, 상기 폭조절부가 연장되면서 상기 컨테이너와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preader of a container crane coupled to the container in a state connected to the trolley of the crane, the main body frame connected to the trolley, a pair of length frames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frame, It is connected to the length frame, and when seated in the container, the width adjusting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and installed in the width adjusting portion, the width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fastening member coupled to the container To provide a spreader of a container crane.

또한, 상기 길이프레임은 상기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에 대해 신축되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frame may have a telescopic structure that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또한, 상기 폭조절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중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의 폭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adjusting portion may be extended while open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by the load of the body frame.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폭조절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폭 방향 테두리 부분에 걸림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width adjusting part is disposed on the widthwise edge portion of the container.

또한, 상기 폭조절부는, 상 단부가 각 상기 길이프레임의 폭방향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폭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로 신축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폭조절 프레임과, 상기 컨테이너의 상 면부에 안착되도록 각 상기 폭조절 프레임의 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컨테이너 상 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중이 가해질 때,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폭조절 프레임이 상기 컨테이너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이동바퀴가 장착된 테두리접촉블럭 및, 각 상기 테두리접촉블럭에 설치되며, 상기 테두리접촉블럭이 상기 길이프레임과 상기 폭조절 프레임의 연장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의 모서리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코너 캐스팅에 고정되게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adjusting portion, the upper end is rotatably hinged to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each of the length frame, the width adjusting frame having a telescopic structure so as to be stretchable in a state arrange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And, hinged rotatably hinged to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width adjustment frame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body frame in the stat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width adjustment while sliding Edge contact blocks equipped with a moving wheel so that the frame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and are installed on each of the edge contact blocks, the edge contact block is the edge of the container by the extension of the length frame and the width adjustment frame Fastening to be fixed to the corner casting in the state of being located It may contain material.

또한, 상기 폭조절 프레임은, 상호 수평상태로 이격 배치되며, 길이방향 양 단부는 길이방향에 대한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각각 상기 길이프레임 및 상기 테두리접촉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제1폭조절대와, 한 쌍의 상기 제1폭조절대 사이에 수평상태로 배치되며, 길이방향 양 단부는 상기 제1폭조절대와 서로 다른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각각 상기 길이프레임 및 상기 테두리접촉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제2폭조절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adjusting frame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horizontal state, a pair of longitudinally rotatably hinged to the length frame and the edge contact block so as to be located on the same vertical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 first width guide having a telescopic structure and a pair of the first width guide is disposed in a horizontal state, the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ocated on a vertical line with respect to the length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width guide. And a second width adjuster having a telescopic structure rotatably hinged to the length frame and the edge contact block, respectively.

또한, 상기 폭조절 프레임은, 길이방향 양 단부가 각각 상기 길이프레임 및 상기 폭조절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제3폭조절대와, 상기 제3폭조절대에 수평상태로 이격 배치되며, 길이방향 양 단부는 상기 제3폭조절대와 서로 다른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각각 상기 길이프레임 및 상기 폭조절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제4폭조절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dth adjusting fram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width adjusting member having a telescopic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rotatably hinged to the length frame and the width adjusting frame, respectively, and horizontally to the third width adjusting member. A fourth width having a telescopic structure rotatably hinged to the length frame and the width adjustment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both ends of the length direction are positioned on a vertical line with respect to the third width guide and a different length direction,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n adjuster.

또한, 상기 폭조절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중이 가해질 때 각 상기 폭조절 프레임이 상기 컨테이너의 폭방향을 향해 동일한 길이로 펼침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회전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adjustment frame is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when the load of the main body frame may include a rotation connecting member for guiding each of the width adjustment frame to extend the same length towar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또한,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일 단이 상호 연결상태로 회전되게 힌지 결합되며, 타 단은 각각 상기 폭조절 프레임의 상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제1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ry connection member, one end is hinged to be rotated in an interconnected state, the other end may each comprise a pair of first connecting rod rotatably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width adjustment frame. .

또한,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상기 길이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제1연결대의 일 단이 상호 연결된 상기 힌지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 부분을 상방으로 당기거나 하방으로 밀면서 펼침 또는 펼침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게 접힘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승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abl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hinge portion of which the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in the length frame, and pulls the hinge portion upward or pushed downward to the original state in the unfolded or unfolded state It may further comprise a first lifting means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be folded back.

또한,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일 단이 상기 폭조절 프레임의 일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며, 타 단은 각 상기 길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된 한 쌍의 탄성력을 가지는 제2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ry connection member, one end is rotatably pin coupled to one side of the width adjustment frame, the other end is a second connecting rod having a pair of elastic force rotatably pin coupled to each of the length frame.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일 단이 상기 길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상태로 상호 이맞춤되어 연동 회전되도록 기어부가 마련된 한 쌍의 회전기어대와, 일 단이 각 상기 폭조절 프레임의 일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 단은 각 상기 회전기어대의 타 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제3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ry connection member, a pair of rotary gear stage provided with a gear unit so that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a state rotatably coupled to the length frame, one end of each of the width adjustment frame Is hinged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the other end may include a pair of third connecting rod rotatably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ry gear.

또한,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상기 길이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 설치된 승강대와, 일 단이 각 상기 폭조절 프레임의 일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 단은 상기 승강대의 일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제4연결대 및, 상기 승강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게 하면서 펼침 또는 펼침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게 접힘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승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ry connection member, the lifting platform is installed to be slidably coupled to the length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e end is rotatably hinged to one side of each of the width adjustment frame, the other end is one side of the platform A pair of fourth connecting rods rotatably hinged to the second connecting rod, and a second lifting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lifting platform to generate driving force to be folded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in an unfolded or unfolded state while being moved upward or downward. Means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이동바퀴는, 상기 테두리접촉블럭에서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wheel may be rotatably mounted to facilitate the change of direction in the border contact block.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트위스트록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may be a twist lock.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길이프레임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길이프레임을 신축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길이조절 구동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fram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ing drive means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is connected to the length frame, so as to stretch the length frame.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상 면부는 평평하며, 상기 상 면부의 테두리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가이드벽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container is flat, guide walls protruding upward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edg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는,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길이프레임에 각각 컨테이너의 폭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폭조절부가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컨테이너 상에서 폭조절부가 본체 프레임 및 길이프레임의 하중에 의해 폭 방향 테두리에 배치되도록 연장된 후, 길이프레임에 의해 각 컨테이너의 모서리부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는 바, 컨테이너의 폭 방향 크기에 상관없이 본체 프레임을 컨테이너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The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width adjusting portion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respectively, in the longitudinal frame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Therefore, the width adjusting portion on the container is extended so as to be placed in the widthwise edge by the load of the main frame and the length frame, and then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at the corners of each container by the length frame, correlated to the width direction size of th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easily fix the body frame to the container without.

도 1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크레인의 구성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스프레더에 의한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에 고정되는 컨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길이조절 구동수단 적용 개략 상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4에 나타낸 폭조절 프레임의 연결상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의 회전연결부재 적용단면도 및 작동상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의 컨테이너 고정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container cran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of use of a conventional spreader.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preader of a container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FIG. 3.
5 is a schematic side view of FIG. 3.
6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FIG. 4.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fixed to the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state diagram of the length adjustment drive means of FIG.
9 and 10 are connected state diagrams of the width adjustment frame shown in FIG.
11 to 18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rotary connection member of the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to 21 is a container fixed state of the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개략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개략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개략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는, 본체 프레임(100), 길이프레임(200), 폭조절부(301), 체결부재(50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스프레더와 연결되는 컨테이너(10)의 상 면부는 도 7과 같이 이후 설명될 상기 폭조절부(301)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평평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10) 상 면부의 길이방향 및 폭 방향의 각 테두리부에는 이후 상기 폭조절부(301)를 상기 컨테이너(10)의 모서리부로 이동될 수 있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벽(11)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레더는 크레인의 트롤리(도면미도시)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컨테이너(10)의 모서리부에 설치된 코너 캐스팅(도면미도시)에 고정된다.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preader of a container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FIG. 3, FIG. 5 is a schematic side view of FIG. 3, and FIG. 6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FIG. 4. 3 to 6, the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includes a main frame 100, a length frame 200, a width adjusting unit 301, and a fastening member 500.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container 10 connected to the spreader has a flat shape so as to smoothly move the width adjusting part 30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7. In addition, guide walls 11 are formed at each edg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container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to guide the width adjusting portion 301 to the edge portion of the container 10. do. Thus, the spreader is fixed to a corner casting (not shown) install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container 10 in a state connected to the trolley (not shown) of the crane.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상기 크레인의 트롤리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사각박스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이후 설명될 상기 길이프레임(200), 상기 폭조절부(301), 상기 체결부재(500)가 설치된다.The body frame 100 is a portion connected to the trolley of the crane. The body frame 100 has a cross section of a rectangular box shape, and the length frame 200, the width adjusting unit 301, and the fastening member 500 to be described later are installed.

그리고,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길이프레임(200)을 상기 컨테이너(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신축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길이조절 구동수단(60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길이조절 구동수단(600)은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인(610)을 연장설치하며, 상기 체인(610)의 평행부 각 측에 고정부(611,612)를 통해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체인(61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61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613)를 구동되면 그 구동축의 구동방향에 따라 상기 길이프레임(200)은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축소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길이조절 구동수단(600)은 앞서 설명한 상기 구동모터(613)에 의한 상기 길이프레임(200)의 신축 동작 외에, 상기 크레인으로부터 전달받는 유압을 통해 상기 길이프레임(200)을 연장되도록 밀거나 축소되도록 당길 수 있도록 실린더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ody frame 100 may be provided with a length adjustment driving means 600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length frame 200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easily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10. have. Referring to FIG. 8, the length adjusting drive unit 600 extends the chain 6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00, and fixing parts 611 and 612 on each side of the parallel part of the chain 610. It includes a drive motor 613 for driving the chain 610 in a fixed state through). Accordingly, when the driving motor 613 is driven, the length frame 200 extends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frame 100 or is in a reduced state according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Here, the length adjustment drive means 600 is pushed to extend the length frame 200 through the hydraulic pressure received from the crane in addition to the stretching operation of the length frame 200 by the drive motor 613 described above. It may also be provided in a cylinder structure to be pulled to reduce or shrink.

상기 길이프레임(200)은 상기 길이프레임(200)은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이다. 이러한, 상기 길이프레임(200)는 상기 컨테이너(10)의 X축 방향 크기, 즉 상기 컨테이너(10)의 길이에 따라 좌우로 신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길이프레임(200)은 작업자나 앞서 설명한 상기 길이조절 구동수단(600)을 통해 신축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length frame 200 is a pair of frames that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length frame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frame 100, respectively. The length frame 200 may be stretched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X-axis size of the container 10, that is, the length of the container 10. Therefore, the length frame 200 may have a telescopic structure to be stretchable through the operator or the length adjustment driving means 600 described above.

상기 폭조절부(301)는 상기 컨테이너(10)의 상 면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본체 프레임(100) 및 상기 길이프레임(200)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폭조절부(301)는 각 상기 길이프레임(200)의 일 측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10)의 상 면부에 안착시, 상기 컨테이너(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폭조절부(301)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 및 상기 길이프레임(200)의 하중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컨테이너(10)의 폭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길이가 연장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인위적 힘을 가해서 컨테이너(10)의 폭 방향으로 벌어지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폭조절부(301)는 폭조절 프레임(300), 테두리접촉블럭(400)을 포함한다.The width adjusting part 301 is a part supporting the main frame 100 and the length frame 200 while being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 The width adjusting part 301 is connected to one side of each of the length frames 200, and when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 the width adjusting part 301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10. Have That is, the width adjusting unit 301 is extended by the length of the container frame 10 while being pressed by the load of the main body frame 100 and the length frame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it can also be open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10 by adding. Here, the width adjusting unit 301 includes a width adjusting frame 300, the edge contact block 400.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은 상기 컨테이너(10)의 Y축 방향 크기, 즉 상기 컨테이너(10)의 폭에 따라 전후로 신축되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은 각 상기 길이프레임(200)의 폭 방향 양 단부에 상호 대향되게 한 쌍씩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의 상 단부는 각 상기 길이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하 단부는 상기 길이프레임(200)의 폭방향 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은 상기 길이프레임(200) 상에서 폭 방향을 향해 상호 대향하게 펼침된 상태, 즉 상기 컨테이너(10)의 폭 방향을 향해 각각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은 앞서 설명한 상기 길이프레임(200)과 마찬가지로 신축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진다.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is a frame that is stretch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ainer 10 in the Y-axis direction, that is, the width of the container 10.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is provided in pairs to face each other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ength frame 200. Here, the upper end of the width adjustment frame 300 is hinged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length frame 200, the lower end is dispos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width direction end of the length frame 200. That is,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is disposed on the length frame 200 so as to face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downwardly inclined towar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10. In addition,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has a telescopic structure so as to be extensible like the length frame 200 described above.

이때,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은 상기 본체 프레임(100) 및 상기 길이프레임(200)의 하중을 전달받을 때, 상기 길이프레임(200)의 폭방향 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 펼침상태로 연장되는 구조, 즉 상기 길이프레임(200)의 폭방향 단부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접힘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하기의 도 9 및 도 10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At this time, when the width control frame 300 receives the load of the body frame 100 and the length frame 200, the structure that extends to the outwardly extended state than the width direction end of the length frame 200. That is, it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does not become a folded state disposed inward from the widthwise end of the length frame 200, this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s 9 and 10 below.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은 한 쌍의 제1폭조절대(310)와, 제2폭조절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폭조절대(310)는 상호 수평되게 이격 배치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 단부가 각각 상기 길이프레임(200) 및 상기 테두리접촉블럭(4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상기 제1폭조절대(310)의 길이방향 양 단부는 길이방향에 대한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폭조절대(320)는 한 쌍의 상기 제1폭조절대(310) 사이에 수평되게 배치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 단부가 각각 상기 길이프레임(200) 및 상기 테두리접촉블럭(4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폭조절대(320)의 길이방향 양 단부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1폭조절대(310)의 길이방향 양 단부와 서로 다른 수직선에 위치하게 한다. 이같이, 상기 제2폭조절대(320)는 상기 길이프레임(200)의 폭방향 단부보다 내측으로 상기 제1폭조절대(310)가 접힘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폭조절대(310) 및 상기 제2폭조절대(320)는 신축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로 이루어진다.First, referring to FIG. 9,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may include a pair of first width adjusting units 310. Here, the first width control unit 310 is hinged rotatably coupled to the length frame 200 and the edge contact block 400, respectively,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arranged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the first width adjusting unit 310 is located on the same vertical lin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second width control unit 320 is horizontally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width control unit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ends of the length frame 200 and the edge contact block ( 400 is rotatably hinged. In this case,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second width adjusting member 320 may be positioned at different vertical lines from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first width adjusting member 310. As such, the second width adjusting unit 320 serves as a support for preventing the first width adjusting unit 310 from being folded inward from the widthwise end of the length frame 200. Here, the first width control unit 310 and the second width control unit 320 is made of a telescopic structure to be stretchable.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의 다른 실시예로, 제3폭조절대(330) 및 제4폭조절대(34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폭조절대(330)와 상기 제4폭조절대(340)는 상호 수평되게 이격 배치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 단부가 각각 상기 길이프레임(200) 및 상기 테두리접촉블럭(4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3폭조절대(330)와 상기 제4폭조절대(340)의 각 길이방향 양 단부는 길이방향에 대한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호 보완적인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길이프레임(200)의 폭방향 단부보다 내측으로 접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3폭조절대(330) 및 상기 제4폭조절대(340)는 신축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0,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may include a third width adjusting unit 330 and a fourth width adjusting unit 340. Here, the third width adjusting member 330 and the fourth width adjusting member 340 are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length frame 200 and the border contact block 400, respectively. The hinge is rotatably coupled to. At this time, the both ends of eac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ird width adjuster 330 and the fourth width adjuster 340 are coupled to be arranged on a different vertical lin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serving as a complementary suppor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folded inward than the widthwise end of the length frame 200. Here, the third width control unit 330 and the fourth width control unit 340 is made of a telescopic structure to be stretchable.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는,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10) 상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100)이 중앙에 위치할 수 있게 하는 회전연결부재(35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연결부재(35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하중이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에 가해지면서 연장될 때,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이 상기 컨테이너(10)의 폭방향을 향해 동일한 길이로 펼침 회전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의 회전동작을 가이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width adjustment frame 300, the rotary connection member for allowing the main body frame 100 to be positioned on the container 10 ( 350 may be provided. That is, when the load of the main body frame 100 is extended while the load of the main body frame 100 is applied to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10 It guides the rotation of the width adjustment frame 300 to be in a state of being rotated toward the same length toward.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연결부재(350)는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을 연결시키는 한 쌍의 제1연결대(35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대(351)의 일 단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각 상기 제1연결대(351)의 타 단은 각각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의 상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같이,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이 한 쌍의 상기 제1연결대(351)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하중이 전달될 때, 도 12와 같이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은 동일한 반경으로 연동 회전되면서 펼침되게 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rotation connecting member 350 may be configured as a pair of first connecting rods 351 for connecting the pair of width adjusting frames 300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351 is hinged rotatably in a mutually connected state. And,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rod 351 is hinged rotatably to the upper end of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respectively. As such, when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is connected by a pair of the first connecting rods 351, when the load of the main frame 100 is transmitted,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as shown in FIG. Unfold and rotate in the same radius.

여기서, 상기 길이프레임(200)에는 한 쌍의 상기 제1연결대(351) 일 단이 상호 연결된 힌지 부분에 연결되는 제1승강수단(352)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승강수단(352)은 상기 제1연결대(351)의 일 단이 연결된 힌지 부분을 상방으로 당기거나 하방으로 밀면서 펼침 또는 펼침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접힘될 수 있게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제1승강수단(352)은 상기 제1연결대(351)를 당김 또는 밀면서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하중에 상관없이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이 펼침 또는 접힘될 수 있게 한다.Here, the length frame 20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lifting means 352 connected to a hinge portion of which one end of the pair of first connecting rods 35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lifting means 352 generates a driving force so that the first lifting portion 352 can be folded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from the expanded or expanded state while pulling upward or pushing downward the hinge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351. . That is, the first lifting means 352 pulls or pushes the first connecting rod 351 so that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can be unfolded or folded regardless of the load of the main frame 100.

도 13은 상기 회전연결부재(350)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각각의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을 상기 길이프레임(200)에 연결시키는 한 쌍의 탄성력을 가지는 제2연결대(35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제2연결대(352)의 길이방향 일 단은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의 일 측부에 회전하게 핀 결합되며, 타 단은 각 상기 길이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된다. 따라서, 도 14와 같이 상기 제2연결대(352)에 의해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이 상기 길이프레임(200)에 탄성 지지되면서 동일한 반경으로 연동회전할 수 있게 된다.FIG. 13 illustrates a second connecting rod having a pair of elastic forces connecting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to the length frame 200, which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rotary connecting member 350. 352). Here, one lengthwise end of each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352 is pin-rotated to one side of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the other end is rotatably pinned to each of the length frame 200. . Therefore, as shown in FIG. 14,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length frame 200 by the second connecting rod 352 so as to rotate in the same radius.

도 15는 상기 회전연결부재(35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한쌍의 회전기어대(354)와 각각의 회전기어대(354)에 연결 설치되는 한 쌍의 제3연결대(356)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회전기어대(354)의 길이방향 일 단은 상기 길이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기어대(354)의 일 단에는 상호 이맞춤된 상태로 연동 회전되도록 기어부(355)가 마련된다. 상기 제3연결대(356)는 각각의 상기 회전기어대(354)를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에 연결시킨다. 즉, 상기 제3연결대(356)의 길이방향 일 단은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의 일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 단은 각 상기 회전기어대(354)의 길이방향 타 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도 16와 같이 하나의 상기 회전기어대(354) 회전에 대응되게 이맞춤된 다른 회전기어대(354) 역시 연동 회전하면서,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은 동일한 반경으로 펼침된다.FIG. 15 i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rotary connecting member 350, and includes a pair of rotary gear stages 354 and a pair of third connecting rods 356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each rotary gear stage 354. Can be. Here, one longitudinal end of each rotary gear stage 354 is hinged rotatably to the length frame 200. One end of the rotary gear stage 354 is provided with a gear unit 355 so as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fitted. The third connecting rod 356 connects each of the rotary gear stage 354 to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That is, one longitudinal end of the third connecting rod 356 is rotatably hinged to one side of the width adjustment frame 300, the other end is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ry gear stage 354 It is rotatably hinged. Therefore, as shown in FIG. 16, the other rotation gear stage 354, which is fitted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gear stage 354, also rotates in coordination, and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is unfolded with the same radius.

도 17은 상기 회전연결부재(35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승강대(357), 제4연결대(358), 제2승강수단(359)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대(357)는 각각의 상기 길이프레임(200)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4연결대(358)는 각각의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을 상기 승강대(357)에 연결시키는 한 쌍의 부재이다. 즉, 상기 제4연결대(358)의 길이방향 일 단은 각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의 일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 단은 상기 승강대(357)의 일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대(357) 및 상기 제4연결대(358)에 의해 상호 대향 배치된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이 연결됨으로써, 상호 연동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수단(359)은 상기 승강대(357)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상기 승강대(357)에 연결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2승강수단(359)은 상기 승강대(357)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승강대(357)를 당기거나 하방으로 밀면서 펼침 또는 펼침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접힘될 수 있게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제2승강수단(359)은 상기 승강대(357)를 당김 또는 밀면서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하중에 상관없이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이 펼침 또는 접힘될 수 있게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2승강수단(359)에 의해 상기 승강대(357)가 상방으로 이동시, 상기 제4연결대(358)에 의해 상기 승강대(357)에 대향되게 연결된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은 상호 연동 회전하면서 동일한 반경으로 펼침된다.17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rotary connecting member 350, it may be composed of a lifting table 357, a fourth connecting table 358, the second lifting means (359). Here, the lifting platform 357 is fastened to the respective longitudinal frame 200 to be slidably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ourth connecting rod 358 is a pair of members connecting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to the lifting platform 357. That is, one longitudinal end of the fourth connecting rod 358 is hinged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each of the width adjustment frame 300, the other end is rotatably hinged to one side of the lifting platform 357 Combined. The width adjustment frame 300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by the lifting table 357 and the fourth connecting table 358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by enabling mutual interlocking rotation. In addition, the second elevating means 359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platform 357 to elevate the elevating platform 357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lifting means 359 generates a driving force so that the second lifting means 359 can be folded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from an unfolded or unfolded state while pulling or pushing the elevating platform 357 in a state connected to the lifting platform 357. That is, the second lifting means 359 allows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to be unfolded or folded while pulling or pushing the lifting platform 357 regardless of the load of the main frame 100. Referring to FIG. 18, when the lifting platform 357 moves upward by the second lifting means 359,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connected to the lifting platform 357 by the fourth connecting rod 358 is opposite. ) Unfold with the same radius while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상기 테두리접촉블럭(400)은 각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의 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으로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하중이 전달시, 상기 컨테이너(10) 상 면부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테두리접촉블럭(400)은 상기 컨테이너(10) 상 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하우징이 가해질 때,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이 상기 컨테이너(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테두리접촉블럭(400)은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의 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접촉블럭(400)에는 상기 컨테이너(10) 상 면부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하중에 의한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의 상기 컨테이너(10) 폭 방향으로 펼침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도록 이동바퀴(410)가 장착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동바퀴(410)는 상기 컨테이너(10) 상 면부에서 상기 테두리접촉블럭(400)의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edge contact block 40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width adjustment frame 300, when the load of the body frame 100 to the width adjustment frame 300,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container 10 Will be sliding sliding. That is, when the housing of the main frame 100 is applied to the frame contact block 40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container 10, the width control frame 300 is the container 10 while slidingly mov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This, the edge contact block 400 is hinged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Here, the edge contact block 400 in the container 10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so that the sliding sliding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1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by the load of the main frame 100 to facilitate. The moving wheel 410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moving wheel 410 is rotatably mounted to facilitate the change of direction of the border contact block 400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container (10).

상기 체결부재(500)는 상기 테두리접촉블럭(400)을 상기 컨테이너(10)에 고정되게 한다. 즉, 상기 체결부재(500)는 상기 길이프레임(200)의 상기 컨테이너(10) 길이방향에 대한 연장 및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의 상기 컨테이너(10) 폭 방향에 대한 연장에 의해 상기 테두리접촉블럭(400)이 상기 컨테이너(10)의 상 면 모서리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10)의 코너 캐스팅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체결부재(500)는 각각의 상기 테두리접촉블럭(400) 상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500)는 일반적인 공지의 크레인 스프레더에 적용되고 있는 트위스트록을 적용하는 바, 상세한 구조 및 작동에 대해서는 생략한다.The fastening member 500 allows the edge contact block 400 to be fixed to the container 10. That is, the fastening member 500 is the edge contact by the ex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10 of the length frame 200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10 of the width adjustment frame 300 The block 400 is fixed to the corner casting of the container 10 in a state where it is located at the top edge of the container 10. The fastening member 500 is installed on each of the edge contact blocks 400. Here, the fastening member 500 is applied to the twist lock that is applied to a general known crane spreader bar, omit detailed structure �� operation.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에 의한 컨테이너(10)와의 체결 동작을 도 3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container crane with the container 10 by the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21.

먼저, 크레인의 트롤리에 상기 본체 프레임(100)을 연결 설치한 후, 도 19와 같이 상기 크레인의 조작을 통해 상기 본체 프레임(100)이 상기 컨테이너(10)의 상방에 위치되게 한다. 이렇게, 상기 본체 프레임(100)이 상기 컨테이너(10)의 상방에 위치하면, 다시 상기 크레인의 조작을 통해 상기 본체 프레임(10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First, the main frame 100 is connected to the trolley of the crane, and then the main body frame 100 is positioned above the container 10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rane as shown in FIG. 19. As such, when the main body frame 100 is positioned above the container 10, the main body frame 100 is moved downwar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rane.

그러면, 상기 테두리접촉블럭(400)이 상기 컨테이너(10) 상 면부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하중이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으로 전달된다. 이때, 각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은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의해 눌리면서 도 20과 같이 상기 컨테이너(10)의 가이드벽(11)에 닿을 때까지 펼침되도록 연장상태가 된다.Then, in the state in which the edge contact block 40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container 10, the load of the body frame 100 is transmitted to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At this time, each of the width adjustment frame 300 is extended by being pushed by the body frame 100 to reach the guide wall 11 of the container 10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은 상기 회전연결부재(350)에 의해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면서,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상기 컨테이너(10)의 폭 방향에 대해 중심부에 배치된다. 즉, 앞서 도시된 도 19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10)의 상면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100)가 폭방향에 대해 상호 수평상태가 아닌 상태로 배치되더라도, 상호 대향되게 상기 길이프레임(200)에 배치된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은 상기 회전연결부재(350)에 의해 상호 연동된 상태로 펼침되면서 동일한 길이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상기 컨테이너(10) 상면부의 폭방향에 대해 중심부에 수평상태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Here,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is extended to the same length by the rotation connecting member 350, the main body frame 100 is disposed in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10. That is, even if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container 10 and the main body frame 100 are arranged in a state that is not horizontal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19, they are disposed in the length frame 200 to face each other. The width adjustment frame 300 is extended in the same length while being unfolded in the interlocked state by the rotary connection member 350. Therefore, the main body frame 100 can be disposed in a horizontal state at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container 10.

이렇게, 상기 폭조절 프레임(300)이 펼침되면서 상기 컨테이너(10)의 가이드벽(11)에 각각의 상기 테두리접촉블럭(400)이 접촉된 상태가 되면, 도 21과 같이 각 상기 길이프레임(200)을 연장시키면서 상기 테두리접촉블럭(400)이 상기 컨테이너(10)의 각 모서리부에 위치되게 한다.As such, when the width adjusting frame 300 is unfolded, each of the edge contact blocks 400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wall 11 of the container 10, as shown in FIG. E) and the edge contact block 400 is positioned at each corner of the container 10.

상기 컨테이너(10)의 각 모서리부에 각각의 상기 테두리접촉블럭(400)이 위치하면, 상기 체결부재(500)가 상기 컨테이너(10)의 코너 캐스팅에 고정된다. 그러면, 상기 스프레더에 의한 상기 컨테이너(10)와 상기 크레인의 연결 고정이 완료되어, 상기 컨테이너(10)는 상기 크레인의 조작에 의해 적재 또는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each of the edge contact blocks 400 is positioned at each corner of the container 10, the fastening member 500 is fixed to the corner casting of the container 10. Then, connection fixing of the container 10 and the crane by the spreader is completed, and the container 10 is loaded or unloaded by the operation of the crane.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는, 상기 컨테이너(1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길이프레임(200)에 각각 상기 컨테이너(10)의 폭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상기 폭조절부(301)가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10) 상에서 상기 폭조절부(301)가 상기 본체 프레임(100) 및 상기 길이프레임(200)의 하중에 의해 폭 방향 테두리에 배치되도록 연장된 후, 상기 길이프레임(200)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10)의 각 모서리부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는 바, 상기 컨테이너(10)의 폭 방향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본체 프레임(100)을 상기 컨테이너(10)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width adjusting unit 301 extends towar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10 in the length frame 200 that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10. Is installed connected. Therefore, the width adjusting part 301 on the container 10 is extended to be disposed at the widthwise edge by the load of the body frame 100 and the length frame 200, and then to the length frame 200 The bar 10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at each corner of the container 10, and thus the main body frame 100 can be easily fixed to the container 10 regardless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10.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컨테이너 11: 가이드벽
100: 본체 프레임 200: 길이프레임
300: 폭조절 프레임 400: 테두리접촉블럭
410: 이동바퀴 350: 회전연결부재
500: 체결부재 600: 길이조절 구동수단
10: container 11: guide wall
100: main frame 200: length frame
300: width adjustment frame 400: border contact block
410: moving wheel 350: rotary connection member
500: fastening member 600: length adjustment drive means

Claims (17)

크레인의 트롤리에 연결된 상태로 컨테이너와 결합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에 연결되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길이프레임과;
각 상기 길이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에 안착시, 상기 컨테이너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조절부; 및,
상기 폭조절부에 설치되며, 상기 폭조절부가 연장되면서 상기 컨테이너와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In the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coupled to the container while connected to the trolley of the crane,
A main frame connected to the trolley;
A pair of length frames install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frame;
A width adjusting part connected to each of the length frames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when seated in the container; And,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is installed in the width adjusting portion, including a fastening member coupled to the container while the width adjusting portion is extend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이프레임은 상기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에 대해 신축되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frame is a spreader of a container crane having a telescopic structure that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중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의 폭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연장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dth adjusting part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extends while being open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by the load of the main body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폭조절부가 상기 컨테이너의 폭 방향 테두리 부분에 걸림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컨테이너와 결합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member is a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coupled to the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width adjustment portion is disposed in the width direction edge portion of the containe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부는,
상 단부가 각 상기 길이프레임의 폭방향 양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컨테이너의 폭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로 신축 가능하도록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폭조절 프레임과,
상기 컨테이너의 상 면부에 안착되도록 각 상기 폭조절 프레임의 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컨테이너 상 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 및 상기 길이프레임의 하중이 가해질 때,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폭조절 프레임이 상기 컨테이너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이동바퀴가 장착된 테두리접촉블럭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width control unit,
An upper end portion rotatably hinged to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each of the length frames, the width adjusting frame having a telescopic structure so as to be stretchable while being inclined down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Is hinged rotatably hinged to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width adjustment frame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when the load of the body frame and the length frame is applied in the stat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sliding movement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including a frame contact block mounted to the wheel so that the width adjustment frame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 프레임은,
상호 수평상태로 이격 배치되며, 길이방향 양 단부는 길이방향에 대한 동일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각각 상기 길이프레임 및 상기 테두리접촉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제1폭조절대와,
한 쌍의 상기 제1폭조절대 사이에 수평상태로 배치되며, 길이방향 양 단부는 상기 제1폭조절대와 서로 다른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각각 상기 길이프레임 및 상기 테두리접촉블럭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제2폭조절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width adjustment frame,
A first width control having a pair of telescopic structures rotatably hinged to the length frame and the edge contact block, respectivel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horizontal state, and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Wow,
It is disposed in a horizontal state between the pair of the first width guide,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length frame and the edge contact block, respectively, so as to be located on a vertical line with respect to the different length direction and the first width guide A spreader of a container crane comprising a second width adjuster having a telescopic structure rotatably hinge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 프레임은,
길이방향 양 단부가 각각 상기 길이프레임 및 상기 폭조절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제3폭조절대와,
상기 제3폭조절대에 수평상태로 이격 배치되며, 길이방향 양 단부는 상기 제3폭조절대와 서로 다른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각각 상기 길이프레임 및 상기 폭조절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제4폭조절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width adjustment frame,
A third width adjusting member having a telescopic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rotatably hinged to the length frame and the width adjusting frame, respectively;
It is spaced apart in a horizontal state on the third width adjuster,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rotatable in the length frame and the width adjusting frame, respectively, so as to be located on a vertical lin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third width adjuster, respectively. A spreader of a container crane comprising a fourth width adjuster having a hinged telescopic structur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중이 가해질 때각 상기 폭조절 프레임이 상기 컨테이너의 폭방향을 향해 동일한 길이로 펼침 회전되도록 가이드하는 회전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nd a rotary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width adjusting frame and guiding the width adjusting frame to extend and rotate in the same length toward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ainer when the load of the main frame is applie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일 단이 상호 연결상태로 회전되게 힌지 결합되며, 타 단은 각각 상기 폭조절 프레임의 상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제1연결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rotary connection member,
A spreader of a container crane having one end hinged to rotate in an interconnected state, the other end of which includes a pair of first connecting rods rotatably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width adjusting fram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상기 길이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제1연결대의 일 단이 상호 연결된 상기 힌지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 부분을 상방으로 당기거나 하방으로 밀면서 펼침 또는 펼침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게 접힘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승강수단을 더 구비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rotatabl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hinge portion of which the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state of being installed in the length frame, so that the hinge portion is pulled upward or pushed downward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from the expanded or expanded state. A spreader of a container crane, further comprising a first lifting means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be folded.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일 단이 상기 폭조절 프레임의 일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며, 타 단은 각 상기 길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된 한 쌍의 탄성력을 가지는 제2연결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rotary connection member,
One end is rotatably pin coupled to one side of the width adjustment frame, the other end is a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including a second connector having a pair of elastic force rotatably pin coupled to each of the length fram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일 단이 상기 길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상태로 상호 이맞춤되어 연동 회전되도록 기어부가 마련된 한 쌍의 회전기어대와,
일 단이 각 상기 폭조절 프레임의 일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 단은 각 상기 회전기어대의 타 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제3연결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rotary connection member,
A pair of rotary gear units provided with a gear unit so that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 hing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ength frame;
One end is rotatably hinged to one side of each of the width adjustment frame, the other end is a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including a pair of third connecting rod rotatably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ry gea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결부재는,
상기 길이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 설치된 승강대와,
일 단이 각 상기 폭조절 프레임의 일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 단은 상기 승강대의 일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제4연결대 및,
상기 승강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승강대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게 하면서 펼침 또는 펼침상태에서 원상태로 복귀하게 접힘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승강수단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rotary connection member,
A lift table installed on the length frame to be slidable in a vertical direction;
One end is rotatably hinged to one side of each of the width adjustment frame, the other end is a pair of fourth connecting rod rotatably hinged to one side of the lifting platform,
And a second elevating means connected to the elevating platform, the elevating means generating a driving force so that the elevating platform can be moved upward or downward while being folded or unfolded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퀴는,
상기 테두리접촉블럭에서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moving wheel is,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rotatably mounted to facilitate the change of direction in the border contact block.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트위스트록 인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The fastening member is a twister lock container spread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길이프레임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길이프레임을 신축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길이조절 구동수단을 더 구비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frame is connected to the length frame, the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further comprises a length adjusting drive means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stretch the length fram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상 면부는 평평하며, 상기 상 면부의 테두리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가이드벽들이 더 형성된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is flat, the spreader of the container crane further formed with guide walls protruding upward from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KR1020110004520A 2011-01-17 2011-01-17 Spreader of container crane Active KR1013721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520A KR101372127B1 (en) 2011-01-17 2011-01-17 Spreader of container c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520A KR101372127B1 (en) 2011-01-17 2011-01-17 Spreader of container cr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075A true KR20120083075A (en) 2012-07-25
KR101372127B1 KR101372127B1 (en) 2014-03-07

Family

ID=4671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520A Active KR101372127B1 (en) 2011-01-17 2011-01-17 Spreader of container c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127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574B1 (en) * 2015-12-18 2016-12-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Engaging apparatus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028897B1 (en) * 2018-04-30 2019-10-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Manhole cover lifter
CN110526130A (en) * 2019-09-24 2019-12-03 深圳空铁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Container Transport suspending protection device
CN113909388A (en) * 2021-10-11 2022-01-11 苏州泰昇机械科技有限公司 Mould processing is with material loading integral type auxiliary assembly of unloading
KR20240135234A (en) * 2023-03-03 2024-09-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Two point container fixing unit and container support device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18B1 (en) * 2014-05-16 2016-12-08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Container conn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276U (en) * 1982-07-13 1984-01-23 久保 省二 Container for storing dried noodles
JPS6241790U (en) * 1985-08-30 1987-03-12
JP2976315B2 (en) * 1991-09-02 1999-11-10 東芝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Lifting gripper
JP2582037Y2 (en) * 1993-08-27 1998-09-30 山九株式会社 Hanging equipme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574B1 (en) * 2015-12-18 2016-12-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Engaging apparatus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028897B1 (en) * 2018-04-30 2019-10-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Manhole cover lifter
CN110526130A (en) * 2019-09-24 2019-12-03 深圳空铁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Container Transport suspending protection device
CN113909388A (en) * 2021-10-11 2022-01-11 苏州泰昇机械科技有限公司 Mould processing is with material loading integral type auxiliary assembly of unloading
KR20240135234A (en) * 2023-03-03 2024-09-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Two point container fixing unit and container support device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127B1 (en) 201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127B1 (en) Spreader of container crane
US9533695B2 (en) Transport and loading system for rail-based vehicles
US4239438A (en) Device for lifting and carrying loads on top of pickup trucks
US9669749B2 (en) Lift gate loading ramp
US7722101B2 (en) Cargo shipping container spreader and method
US10449886B2 (en) Container transfer system
KR101000243B1 (en) Dock leveler
KR20110069445A (en) Quay wall system for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and mobile port and transportation device used therein
US20120163940A1 (en) Transport system
CN107667049A (en) liftable carrying equipment
KR20100043209A (en) Multi-function vehicle canopy
WO2018121714A1 (en) Vehicle carrier frame
HUE025664T2 (en) A freight carrier
CN101314336B (en) Carrier frame
JP6657271B2 (en) Mobile lifting equipment for container transport
RU2554036C2 (en) Vehicle cargo platform for transportation of hay and straw reels
FI126621B (en) Lifting stand to lift goods transport unit
KR100589613B1 (en) Vehicle mobile unloader
KR102039649B1 (en) Smart multi rack container
KR200457846Y1 (en) Leveling rear lift device for truck mounted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KR101498209B1 (en) Container Ship
KR200483239Y1 (en) Vertical lift gate
JP4364549B2 (en) Container transport vehicle
CN221233594U (en) Movable bottom plate and hydraulic tail plate linkage unfolding mechanism
KR20200087395A (en) The apparatus for carrying of automatic for dump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3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1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