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877A - Container type cultivation equipment of container type - Google Patents
Container type cultivation equipment of container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69877A KR20120069877A KR1020100131199A KR20100131199A KR20120069877A KR 20120069877 A KR20120069877 A KR 20120069877A KR 1020100131199 A KR1020100131199 A KR 1020100131199A KR 20100131199 A KR20100131199 A KR 20100131199A KR 20120069877 A KR20120069877 A KR 201200698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nt
- air
- carbon dioxide
- light source
- box
- Prior art date
Links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4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4994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28 Lactuc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3 photosyn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8—Greenhouses for treating plants with carbon dioxide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과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온도 및 습도 등의 조건을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시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는 박스와, 광원수단과, 이산화탄소 공급수단과, 공기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박스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출구와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식물묘를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수단은 상기 식물묘의 식물에 광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식물묘의 상부에 설치되는 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상기 광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이산화탄소 공급수단은 이산화탄소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의 공기조절수단은 상기 방출구에서 방출되는 상기 박스 내부의 공기와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혼합공기를 만든 후, 상기 혼합공기의 온도와 습도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일정하게 한 후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박스 내부로 상기 혼합공기를 공급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 container-type plant that can grow a plant by maintaining the conditions such as the concentration of light source and carbon dioxide, temperature and humidity at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plant to grow. It is about a cultivation device.
Container-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box, a light source means, a carbon dioxide supply means, air conditioning means. The box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o the outside and an inlet for entering the outside air into the inside, it is possible to mount the plant seedling inside.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means has a light sourc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lant seedling to supply light to the plant of the plant seedling,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ight source as the plant grows. 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supply means supplies carbon dioxide. In addition, the air control means intakes the air in the box and the carbon dioxide supplied from the carbon dioxide supply means and the outsid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to make the mixed ai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mixed air and the carbon dioxide After the concentration is constant, the mixed air is supplied into the box through the inlet.
Description
본 발명은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과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온도 및 습도 등의 조건을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시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 container-type plant that can grow a plant by maintaining the conditions such as the concentration of light source and carbon dioxide, temperature and humidity at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plant to grow. It is about a cultivation device.
도 2는 종래의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의 개념도이다.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는 컨테이너 내부에 식물재배장치를 설치하여 식물묘를 식재하여 식물을 성장시키는 장치이다. 도 2에 도시된 식물재배장치(10)는 개폐가능한 지붕(5)을 구비하며, 내부에 식물묘(1)를 거치시킨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지붕(5)을 통하여 태양광을 받아들여 식물을 성장시킨다. 식물재배장치(10) 내에서 식물이 성장하면 광합성에 의하여 내부의 공기는 이산화탄소가 줄어들며 광합성 활성이 감소한다. 그런데 식물의 성장은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온도 및 습도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그래서 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내부 공기의 온도가 올라가고 이산화탄소가 줄어들면 지붕(5)을 개방시켜 외부의 공기를 받아들이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켜서 내부 공기의 온도를 낮출 뿐 아니라 이산화탄소의 양을 증가시켜 식물을 성장시켰다.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container-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ontainer-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s a device for growing plants by planting plant seedlings by installing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side the container.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0 shown in FIG. 2 includes an
도 2에 도시된 식물재배장치의 경우 태양광을 사용하여 식물을 재배한다. 이 경우 태양광은 날씨의 상태나 기상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식물에 공급되는 태양광의 양이 동일하지 않고 항상 달라지게 된다. 그래서 식물의 성장이 불규칙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식물을 일정한 량으로 지속적으로 출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hown in FIG. 2, plants are grown using sunlight. In this case, sunlight depends on the weather conditions or weather conditions. Thus, the amount of sunlight supplied to plants is not the same and will always be different.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rowth of the plant is irregular.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lant can not be shipped continuously in a certain amount.
또한, 도 2에 도시된 식물재배장치의 경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의 공기와 혼합시킴으로써, 내부 공기의 온도와 습도 및 이산화탄소 양을 변화시켰다. 식물을 최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식물에 따라서 내부의 온도와 습도 및 이산화탄소 양을 적정하게 유지시켜야 한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식물재배장치의 경우 단순히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를 혼합하므로 내부 공기의 온도와 습도 및 이산화탄소 양을 원하는 조건으로 유지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hown in FIG. 2, the outside air is sucked and mixed with the inside air, thereby changing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arbon dioxide amount of the inside air. In order to grow plants optimally, the internal temperature, humidity, and amount of carbon dioxide must be properly maintained depending on the plants. However, in the cas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2, since the internal air and the external air are simply mix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nternal air and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cannot be maintained at desired conditions.
또한 식물이 광합성을 하면 이산화탄소가 소비되고 산소가 발생된다. 그래서 식물재배장치는 내부가 산소로 채워진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식물재배장치의 경우 지붕(5)을 개방시킴으로써, 내부의 산소로 외부로 방출시킨다. 이 경우 식물의 광합성에 의하여 발생된 산소가 이용되지 못하고 버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plants photosynthesize, carbon dioxide is consumed and oxygen is generated. So the plant cultivation system is filled with oxygen inside. By the way, in the case of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hown in Figure 2 by opening th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에 공급되는 광을 일정하게 최적의 조건으로 공급할 수 있는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light supplied to plants at constant and optimal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은 내부 공기의 온도와, 습도 및 이산화탄소의 량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at can constantly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air, the humidity and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서 발생하는 산소를 이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that can use the oxygen generated inside.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는 박스와, 광원수단과, 이산화탄소 공급수단과, 공기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박스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출구와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식물묘를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수단은 상기 식물묘의 식물에 광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식물묘의 상부에 설치되는 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상기 광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이산화탄소 공급수단은 이산화탄소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의 공기조절수단은 상기 방출구에서 방출되는 상기 박스 내부의 공기와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혼합공기를 만든 후, 상기 혼합공기의 온도와 습도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일정하게 한 후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박스 내부로 상기 혼합공기를 공급시킨다.Container-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box, a light source means, a carbon dioxide supply means, air conditioning means. The box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o the outside and an inlet for entering the outside air into the inside, it is possible to mount the plant seedling inside.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means has a light sourc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lant seedling to supply light to the plant of the plant seedling,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ight source as the plant grows. In addition, the carbon dioxide supply means supplies carbon dioxide. In addition, the air control means intakes the air in the box and the carbon dioxide supplied from the carbon dioxide supply means and the outsid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to make the mixed ai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mixed air and the carbon dioxide After the concentration is constant, the mixed air is supplied into the box through the inlet.
또한, 상기의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는 상기 박스 내부에서 상기 식물의 광합성에 의하여 생성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산소배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ainer-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n oxygen discharger for discharging the oxygen generated by the photosynthesis of the plant to the outside in the box.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광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인공광을 사용하므로 식물에 공급되는 광원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식물의 성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 출하량의 조절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no artificial light is used and no artificial light is used, the light source supplied to the plant can be made constant at all tim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hipment volume by keeping the growth of the plant constan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광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식물과 광원의 거리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즉 식물에 최적의 조건의 광원을 공급하므로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ight of the light source can be adjusted as the plant grows, the distance between the plant and the light source can be constant. That is, by supplying the light source of the optimum conditions to the plant it can promote the growth of the plan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의 외부 환경 즉 온도, 이산화탄소 농도, 습도 등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조건을 조성할 수 있다. 그래서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므로 식물의 수확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plant, that is, the temperatur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humidity and the like, so that the optimum conditions can be created. Thus, the growth of the plant can be increased by promoting the growth of the plan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산소배출기를 구비한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식물의 광합성으로 발생한 산소를 포집하여 이를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an oxygen discharge, it is possible to capture and utilize the oxygen generated by the photosynthesis of the pla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의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tainer-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container-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ure 1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container-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는 박스(20)와, 광원수단(25)과, 이산화탄소 공급수단(29)과, 공기조절수단(31)과, 산소배출기(35)를 구비한다.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박스(20)는 내부에 식물묘(1)를 거치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타입이며, 일측의 상부에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출구(23)가 형성되고, 일측의 하부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21)가 형성되어 있다.
식물묘(1)는 상추나 배추 등의 엽채류나, 과채류, 약용식물 등 다양한 농산물의 묘가 될 수 있다.The
광원수단(25)은 식물묘(1)의 식물에 광을 공급하기 위하여 식물묘(1)의 상부에 설치되는 광원(27)을 구비하며, 화살표 37과 같이 광원(2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광원(27)으로는 LED등, 형광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LED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27)을 식물의 가까이에 위치시키면 광원(27)에서 나오는 열로 인하여 식물의 성장에 방해가 된다. 또한 광원이 식물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면 빛이 약해져서 식물의 성장에 좋지 않다. 따라서 광원(27)을 식물에서 적당한 거리에 위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초기에 광원(27)을 식물에서 적당한 거리에 설치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식물이 성장하게 된다. 그래서 식물과 광원(27)과의 거리는 가까워진다. 본 발명의 경우 광원수단(25)은 광원(2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래서 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광원수단(25)은 광원(27)의 높이를 조절하여 광원(27)과 식물사이의 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하여 식물이 최적의 조건에서 자랄 수 있는 광원 조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인공적인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외부의 날씨 조건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광원을 식물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식물의 출하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means 25 is provided with a
이산화탄소 공급수단(29)은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 공기조절수단(31)에 공급한다. The carbon dioxide supply means 29 generates carbon dioxide and supplies it to the
공기조절수단(31)은 박스(20) 내부의 공기 조건을 식물이 성장하기에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식물은 광합성을 하면서 이산화탄소를 소비시키고 산소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광합성에 의하여 박스 내부의 공기는 데워진다. 그래서 산소를 다량 포함한 데워진 공기는 박스의 상부로 상승하여 방출구(23)로 유출된다. 공기조절수단(31)은 방출구(23)로 유출된 박스(20) 내부의 공기와, 이산화탄소 공급수단(29)에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와,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흡입하여 서로 혼합한다. 그리고 혼합공기의 온도와 습도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식물의 성장에 적합하게 유지시킨 후 유입구(21)로 혼합공기를 제공한다. 그러면 혼합공기가 박스(20) 내부에 공급되어 박스(20) 내부는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조건으로 된다.The air regulating means 31 serves to maintain the air condition inside the
산소배출기(35)는 박스(20) 내부에서 식물의 광합성에 의하여 생성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박스(20)의 일측에 설치된다. 박스(20) 내부는 광합성에 의하여 산소로 가득차게 된다. 따라서 산소배출기(35)를 사용하여 산소를 포집할 수 있다. 그러면 포집된 산소의 이용이 가능하다.The
박스(20) 내에 재배시킬 어린 식물묘(1)를 거치시킨다. 그리고 광원수단(25)을 사용하여 광원(27)을 적당한 높이에 위치시킨 후 식물묘(1)에 광을 조사한다. 식물이 자라면서 박스(20) 내의 공기조건은 온도가 올라가고 산소가 증가하며 이산화탄소 및 습도 등이 감소한다. 그러면 공기조절수단(31)이 박스(20) 내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온도를 낮추고 습도를 높인다. 그리고 이산화탄소 공급수단(29)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 혼합공기에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높인다. 그래서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온도, 습도 등이 식물이 자라기에 적당할 정도로 조절된 혼합공기를 유입구(21)를 통하여 박스(20) 내로 공급한다. 한편 식물의 크기가 점점 자라면 광원수단(25)은 광원(27)의 높이를 올려서 광원(27)과 식물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준다.The
20 : 박스 21 : 유입구
23 : 방출구 25 : 광원수단
27 : 광원 29 : 이산화탄소 공급수단
31 : 공기조절수단 35 : 산소배출기20: box 21: inlet
23: discharge port 25: light source means
27: light source 29: carbon dioxide supply means
31: air control means 35: oxygen exhaust
Claims (2)
상기 식물묘의 식물에 광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식물묘의 상부에 설치되는 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상기 광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광원수단과,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공급수단과,
상기 방출구에서 방출되는 상기 박스 내부의 공기와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혼합공기를 만든 후, 상기 혼합공기의 온도와 습도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일정하게 한 후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박스 내부로 상기 혼합공기를 공급시키기 위한 공기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o the outside and an inlet for entering the outside air to the inside is formed, and a box for mounting the plant seed inside,
A light source provided at a top of the plant seed to supply light to the plants of the plant seed, and a light source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ight source as the plant grows;
Carbon dioxide supply means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After inhaling the air in the box and the carbon dioxide supplied from the carbon dioxide supply means and the outside air from the discharge port to make the mixed air, and t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mixed air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carbon dioxide constant and the inlet Container-type plant cultivation device comprising an air conditioning means for supplying the mixed air into the box through.
상기 박스 내부에서 상기 식물의 광합성에 의하여 생성된 산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산소배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Container-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oxygen discharger for discharging the oxygen generated by the photosynthesis of the plant to the out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1199A KR101376094B1 (en) | 2010-12-21 | 2010-12-21 | Container type cultivation equipment of container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1199A KR101376094B1 (en) | 2010-12-21 | 2010-12-21 | Container type cultivation equipment of container ty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9877A true KR20120069877A (en) | 2012-06-29 |
KR101376094B1 KR101376094B1 (en) | 2014-03-20 |
Family
ID=46687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1199A Active KR101376094B1 (en) | 2010-12-21 | 2010-12-21 | Container type cultivation equipment of container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609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28714A (en) * | 2018-11-20 | 2019-02-15 | 黄仙才 | A kind of agricultural greenhouse gas generating unit |
CN110100616A (en) * | 2019-05-29 | 2019-08-09 | 福建省中科生物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effort-saving high yield Chinese medicine implant system and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46001A (en) | 2014-06-20 | 2015-12-31 | 김진우 | Noise protection equipment container between layers or side |
KR102328952B1 (en) | 2019-03-15 | 2021-11-19 | 주식회사 지엘플래닛 | Block assembly and plants growth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KR102541333B1 (en) | 2020-11-30 | 2023-06-12 |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 Block for plant growth and blockfarm system using it |
KR102348096B1 (en) | 2021-07-26 | 2022-01-07 | 김헌기 | Green house for growing environment |
KR102348097B1 (en) | 2021-07-26 | 2022-01-07 | 김헌기 | Green house for growing environment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36744A (en) | 1999-02-24 | 2000-09-05 | Kazuo Matsuura |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
KR100671469B1 (en) * | 2004-02-19 | 2007-01-18 | 주식회사 바이오쏜 | Plant cultivation device |
JP2007289125A (en) | 2006-04-27 | 2007-11-08 |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 Plant cultivation method an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2010
- 2010-12-21 KR KR1020100131199A patent/KR101376094B1/en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28714A (en) * | 2018-11-20 | 2019-02-15 | 黄仙才 | A kind of agricultural greenhouse gas generating unit |
CN110100616A (en) * | 2019-05-29 | 2019-08-09 | 福建省中科生物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effort-saving high yield Chinese medicine implant system and method |
CN110100616B (en) * | 2019-05-29 | 2024-04-26 | 福建省中科生物股份有限公司 | Labor-saving high-yield Chinese medicinal material planting system and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6094B1 (en) | 2014-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6094B1 (en) | Container type cultivation equipment of container type | |
JP6760436B2 (en) | Plant cultivation methods and facilities | |
JP2019535248A (en) | Environmentally-isolated environmentally controlled cell for growing plants indoors | |
CN105472969B (en) | Hydroponic device and ciltivating process | |
CN202285653U (en) | Plant cultivation device with adjustable light intensity | |
GB2234415A (en) | Plant cultivation and apparatus therefor | |
CN110169351A (en) | A kind of leaf vegetables atomising cultivation device | |
JPH09294462A (en) | Apparatus for raising cutting seedling | |
KR20190022775A (en) |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and hydroponic cultivation method | |
JP6713107B2 (en) | Multi-stage seedling raising device | |
KR101263713B1 (en) | Plant cultivation equipment of being controled by mobile phone | |
JP2009273481A (en) | Carbon dioxide application device for greenhouse cultivation | |
US20230105146A1 (en) | Technologies for aeroponics | |
US20190124862A1 (en) | Accelerated Plant-Growing System | |
CN105724228A (en) | Simple full-automatic dimmable ultrasonic atomization plant cutting box | |
CN209057832U (en) | A kind of cray box for breeding | |
TW201620377A (en) | Plant growth system and optical radiation control method of light source for plant growth | |
CN205727459U (en) | A kind of Full-automatic simple tunable optical ultrasonic atomization plant cuttage case | |
KR100392515B1 (en) | The method and the apparatus for production of transplants using microhydroponic culture system | |
CN209931151U (en) | Aeroponic device | |
JPH1028475A (en) | Production of grafted nursery plant and environment-controlling chamber | |
KR102282854B1 (en) | Plant factory using LED lighting and its cultivation method | |
RU2281647C2 (en) | Method for hydroponic growing of c3 plants | |
JPH03187321A (en) | Plant culturing method in adiabatic darkroom | |
US20230292676A1 (en) | Intelligent illumination seedling incubator for sorghum cul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