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955A -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 및, 그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 및, 그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955A
KR20120048955A KR1020100110461A KR20100110461A KR20120048955A KR 20120048955 A KR20120048955 A KR 20120048955A KR 1020100110461 A KR1020100110461 A KR 1020100110461A KR 20100110461 A KR20100110461 A KR 20100110461A KR 20120048955 A KR20120048955 A KR 20120048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nvelope
time delay
modulation signal
magn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준규
오덕길
강상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10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8955A/ko
Priority to US13/290,556 priority patent/US20120114029A1/en
Publication of KR2012004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83Transmitters with multiple parallel path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03F1/0216Continuous control
    • H03F1/0222Continuous control by using a signal derived from the input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02A non-specified detector of a signal envelope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시간지연을 측정하기 위해 입력신호의 크기신호와 위상신호의 경로에 따른 시간지연을 비교하여 측정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은 변조된 정현파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된 정현파 신호가 서로 분리된 전송선로로 전송되도록 분배하는 단계와, 변조된 정현파 신호로부터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크기변조 신호 및 위상변조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고,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 간의 시간 차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시간지연을 측정하기 위해 입력신호의 크기신호와 위상신호의 경로에 따른 시간지연을 비교함으로써, 크기신호와 위상신호 간의 시간 차이를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 및, 그 측정장치{METHOD FOR MEASURING OF TIME DELAY IN ENVELOPE ELIMINATION AND RESTORATION LINEAR TRANSMITTER, AND APPARATUS THEREOF}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 및 그 판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신기에서 크기 신호와 위상 신호 간의 시간 차이를 측정하는 시간지연 측정방법 및 그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를 변경하지 않고, 멀티밴드, 멀티모드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무선 단말기의 송신기는 동작 주파수의 범위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과, 입력과 출력 간의 선형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무선 단말기의 송신기에는 폴라변조 송신기와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Envelope Elimination and Restoration, EER) 송신기가 있다.
폴라변조 송신기(Polar Modulation Transmitter)는 멀티밴드, 멀티모드에서 동작하며, 높은 효율을 가지는 송신기이다. 그러나, 폴라변조 송신기는 기저 대역(baseband) 신호 처리와 아날로그 신호 처리가 직접 연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주파수(Radio Frequency : RF) 또는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 IF) 대역에서 동작하는 효율이 좋은 송신기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종래의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는 정현파의 신호를 입력받아 전력 분배기를 통해서 포락선검출기(Envelope detector)와 리미터(limitter)로 분배한다. 포락선검출기의 크기변조 신호와 리미터 신호의 위상변조 신호를 전력 증폭기에서 결합한다. 그러나, 포락선 검출기와 전력 증폭기 간의 경로와 리미터와 전력 증폭기 간의 경로 차이로 인한 시간지연(time delay)의 불합치가 있으면 결합되는 신호가 왜곡된다.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시간지연을 측정하기 위해 입력신호의 크기신호와 위상신호의 경로에 따른 시간지연을 비교하여 측정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은 변조된 정현파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된 정현파 신호가 서로 분리된 전송선로로 전송되도록 분배하는 단계와, 변조된 정현파 신호로부터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크기변조 신호 및 위상변조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고,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 간의 시간 차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장치는 변조된 정현파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된 정현파 신호가 서로 분리된 전송선로로 전송되도록 분배하는 제1 분배부와, 변조된 정현파 신호로부터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크기변조 신호 및 위상변조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고,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 간의 시간 차이를 판단하는 시간지연 판단부를 포함한다.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시간지연을 측정하기 위해 입력신호의 크기신호와 위상신호의 경로에 따른 시간지연을 비교함으로써, 크기신호와 위상신호 간의 시간 차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시간불일치를 바탕으로 전송선로상에 지연선로를 추가하여 시간불일치를 보정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지연 측정방법의 흐름도,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변조된 신호의 참고도,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락선 검파된 신호의 참고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지연 측정장치의 구성도,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지연이 없는 경우의 시간지연 출력 참고도,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지연이 있는 경우의 시간지연 출력 참고도,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연선로가 추가된 시간지연 측정장치의 구성도,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연선로가 추가된 시간지연 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 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지연 측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을 측정하기 위해서, 먼저 펄스 변조된 정현파 신호를 서로 다른 전송선로로 분배한다(110). 입력되는 변조된 정현파 신호는 고주파수(Radio Frequency : RF) 또는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 IF)를 가진다. 정현파 신호는 펄스 변조(Pulse Modulation)가 된 상태에서 입력된다. 변조된 정현파 신호는 크기(Amplitude)와 위상(Phase) 성분을 포함한다.
변조된 정현파 신호는 서로 분리된 전송 선로를 통해 분배된다. 이 경우, 각 전송선로에 동일한 조건으로 변조된 정현파 신호가 분배된다. 변조된 정현파 신호는 이후에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로 분리하기 위해 서로 분리된 전송선로로 분배된다. 각 전송선로의 길이는 서로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전송 선로는 광축 케이블(coaxial cable)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변조된 정현파 신호로부터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를 추출한다(13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조된 정현파 신호는 서로 분리된 전송선로로 각각 분배된다. 이 중, 하나의 전송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변조된 정현파 신호는 포락선 검파를 통해 크기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포락선 검파는 입력된 신호의 최대값을 연결하여 생성된 포락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 포락선 검파는 변조된 신호를 원래 신호로 바꾸는 복조(demodulation)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특히, 아날로그 변조에서 위상의 정보를 얻기 위해 포락선 검파가 이용된다. 포락선 검파와 관련해서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펄스변조된 신호의 참고도이고,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락선 검파된 신호의 참고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는 변조된 정현파 신호를 나타낸다. 펄스 변조(pulse modulation)는 주기적인 펄스를 음성 신호나 기타 신호파에 의해 변조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펄스변조에는 아날로그 펄스 변조와 디지털 펄스 변조가 있다. 아날로그 펄스 변조는 펄스의 진폭, 폭, 위치 등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연속 레벨 변조이다. 디지털 펄스 변조는 신호파(signal wave)의 진폭에 따라서 단위 펄스의 수나 위치가 변화하는 불연속 레벨 변조이다. 아날로그 펄스 변조로 변조된 정현파 신호가 도 2a에 나타나 있다.
변조된 정현파 신호의 최대점을 잇는 선으로 구성된 신호가 포락선 신호이다. 포락선 신호는 양의 값(positive value)을 가진다. 도 2a의 변조된 정현파 신호가 포락선 검파된 포락선 신호가 도 2b에 나타나 있다. 포락선 신호를 통해 변조된 정현파 신호의 크기 성분을 알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전송선로를 통해 전송되는 변조된 정현파 신호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신호를 제거함으로써 위상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변조된 정현파 신호의 일정한 크기 이상의 신호를 제거하면 등포락선의 신호가 된다. 이러한 등포락선의 신호를 통해 위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변조된 정현파 신호를 서로 분리된 전송선로를 이용하여 분배하고, 분배된 신호를 각각 포락선 검파 및 일정 신호 레벨로 리미팅 함으로써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를 추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간지연 측정방법은 크기변조 신호 및 위상변조 신호를 결합하여 증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는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변조된 정현파 신호의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를 결합하고 이를 증폭하여 목적지로 전송하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다음으로 크기변조 신호 및 위상변조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고,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 간의 시간 차이를 판단한다(150).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는 서로 다른 전송선로를 통해 포락선 검파가 이뤄진다. 포락선 검파를 통해 추출된 포락선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이 경우, 크기변조 신호의 포락선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의 포락선 신호를 서로 감산함으로써 시간지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시간지연이 발생하는 이유는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가 전송되는 경로 상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위성 통신에서는 입력된 신호의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가 결합되어 복원되고, 복원된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우,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가 서로 분리된 전송선로를 통해 전송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전송선로상의 길이의 차이로 인해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시간지연 측정방법은 크기변조 신호 및 위상변조 신호의 시간 차이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를 감산하여 시간지연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간지연 신호를 증폭한다. 이는 설계자가 송신기를 제작할 때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시간지연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설계자는 위성 통신에 사용되는 송신기에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 간의 시간지연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지연 측정방법은 크기변조 신호 및 위상변조 신호를 재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는 기본적으로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를 결합하여 증폭하여 전송한다. 다만, 본 발명의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는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를 분배하여 시간차이를 비교분석하게 된다. 따라서,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를 분배함으로써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시간지연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지연 측정방법은 변조된 정현파 신호를 지연선로가 추가된 선로로 전송한다. 이 경우, 지연선로를 서로 분리된 전송선로 중 하나에 추가로 연결된다. 지연선로를 추가하는 것은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 간에 시간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정합하기 위한 것이다.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가 시간차이가 있는 상태에서 결합하면 원래의 신호가 왜곡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간이 더 빠른 신호를 판단하여 그 신호가 전송되는 전송선로에 지연선로를 추가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지연 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간지연 측정장치는 제1 분배부(310), 추출부(330), 시간지연 판단부(350), 전력 증폭부(390), 제2 분배부(360), 제3 분배부(370)를 포함한다. 제1 분배부(310), 제2 분배부(360), 제3 분배부(370)는 일종의 커플러(coupler) 또는 분배기(divider)이다. 제1 분배부(310)는 변조된 정현파 신호를 입력받아 추출부(330)로 출력한다. 제1 분배부(310)와 추출부(330)는 전송선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분배부(310)와 추출부(330) 간에는 서로 분리된 전송선로로 연결된다.
추출부(330)는 제1 포락선 검출부(331)와 리미터(333)로 구성된다. 추출부(330)는 전송선로를 통해 제1 분배부(310)에서 분배된 변조된 정현파 신호를 입력받는다. 추출부(330)의 제1 포락선 검출부(331)는 다이오드와 저주파 필터로 구성된다. 제1 포락선 검출부(331)는 변조된 정현파 신호의 파형의 최대치를 검출하여 포락선을 검출한다. 제1 포락선 검출부(331)를 통해 검출된 포락선 신호는 변조된 정현파 신호의 크기변조 신호이다. 제1 포락선 검출부(331)는 검출된 포락선 신호를 전송선로를 통해 제2 분배부(360)로 출력한다.
추출부(330)의 리미터(333)는 입력된 신호의 진폭을 일정한 한계로 통제하는 다이오드와 필터로 구성된다. 리미터(333)는 제1 분배부(310)와 제1 포락선 검출부(331)를 연결하는 전송선로와는 분리된 전송선로를 통해 제1 분배부(310)로부터 변조된 정현파 신호를 입력받는다. 리미터(333)는 사용자가 설정한 진폭 한계 이상의 신호를 제거함으로 등포락선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리미터(333)는 변조된 정현파 신호의 위상변조 신호를 출력한다. 리미터(333)는 위상변조 신호를 전송선로를 통해 연결된 제3 분배부(370)로 출력한다.
제2 분배부(3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종의 커플러(coupler) 또는 분배기(divider)이다. 제2 분배부(360)는 전송선로를 통해 추출부(330)의 제1 포락선 검출부(331)로부터 크기변조 신호를 입력받는다. 제2 분배부(360)는 입력된 크기변조 신호를 시간지연 판단부(350)의 제2 포락선 검출부(351)와 전력증폭부로 분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간지연 측정장치는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를 결합하여 증폭하고,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 간의 시간지연을 측정한다.
제3 분배부(37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종의 커플러(coupler) 또는 분배기(divider)이다. 제3 분배부(370)는 제2 분배부(360)와 연결된 전송선로와 분리된 전송선로를 통해 추출부(330)의 리미터(333)로부터 위상변조 신호를 입력받는다. 제3 분배부(370)는 입력된 위상변조 신호를 시간지연 판단부(350)의 제3 포락선 검출부(353)와 전력증폭부로 분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간지연 측정장치는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를 결합하여 증폭하고,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 간의 시간지연을 측정한다.
시간지연 판단부(350)는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지연 신호 간의 시간차이를 비교분석한다. 시간지연 판단부(350)는 제2 포락선 검출부(351), 제3 포락선 검출부(353), 차동 증폭부(355)를 포함한다. 시간지연 판단부(350)의 제2 포락선 검출부(351)는 제2 분배부(360)를 통해 변조된 정현파 신호의 크기변조 신호를 입력받는다. 제2 포락선 검출부(351)는 입력된 크기변조 신호를 포락선 검파하고, 이를 차동 증폭부(355)로 출력한다. 시간지연 판단부(350)의 제3 포락선 검출부(353)는 제3 분배부(370)를 통해 변조된 정현파 신호의 위상변조 신호를 입력받는다. 제3 포락선 검출부(353)는 위상변조 신호를 포락선 검파를 하여 차동 증폭부(355)로 출력한다.
차동 증폭부(355)는 두 입력을 서로 감산하고, 그 결과를 증폭하는 차동 증폭기이다. 차동 증폭부(355)는 제2 포락선 검출부(351)로부터 크기변조 신호의 포락선 검파 신호를 입력받으며, 제3 포락선 검출부(353)로부터 위상변조 신호의 포락선 검파 신호를 입력받는다. 크기변조 신호의 포락선 검파 신호, 위상변조 신호의 포락선 검파 신호 및 감산 결과신호는 도 4a,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지연이 없는 경우의 시간지연 출력 참고도이고,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지연이 있는 경우의 시간지연 출력 참고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2 포락선 검출부(351)로부터 입려되는 크기변조 신호의 포락선 검파 신호와 제3 포락선 검출부(353)로부터 입력되는 위상변조 신호의 포락선 검파 신호 간에는 시간지연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제1 분배부(310)에서 제1 포락선 검출부(331) 및 제1 포락선 검출부(331)에서 제2 분배부(360)를 연결하는 전송선로에서 시간지연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제1 분배부(310)에서 리미터(333) 및 리미터(333)에서 제3 분배부(370)를 연결하는 전송선로에는 시간지연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두 신호를 감산한 감산 결과신호는 0의 값을 가지면, 두 신호 간에 시간지연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2 포락선 검출부(351)로부터 입려되는 크기변조 신호의 포락선 검파 신호와 제3 포락선 검출부(353)로부터 입력되는 위상변조 신호의 포락선 검파 신호 간에는 시간지연이 발생한다. 즉, 제3 포락선 검출부(353)로부터 입력되는 위상변조 신호의 포락선 검파 신호가 제2 포락선 검출부(351)로부터 입력되는 크기변조 신호의 포락선 검파 신호보다 시간이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두 신호를 감산하여 증폭한 신호를 비교해보면, 결과 값이 0이 아니다. 이 경우, 크기변조 신호의 포락선 검파신호가 전송중에 전송선로에서 지연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시간지연 판단부(350)는 차동증폭부의 출력을 외부의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와 같은 장치로 출력한다. 오실로스코프는 시간에 따른 입력전압의 변화를 화면에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에 따라, 송신기 설계자는 셜계된 송신기의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의 차동 신호를 보면서, 시간지연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가서, 전력 증폭부(390)는 두 입력을 결합하여 신호를 증폭하는 op-amp로 구성된다. 전력 증폭부(390)는 제2 분배부(360)로부터 크기변조 신호를 입력받고, 제3 분배부(370)로부터 위상변조 신호를 입력받는다. 입력된 두 신호를 결합하여 전송신호를 완성한다. 전송신호는 크기와 위상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전력 증폭부(390)는 결합된 신호를 증폭하여 외부로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시간지연 장치는 위성 통신에 사용되는 송신기로써, 예를 들어, 실외용 블록 업컨버터(block upconverter : 이하 'BUC 컨버터'라 함)의 일종이다. BUC 컨버터는 위성 신호의 업링크(uplink)의 전송에 사용된다. 이러한 BUC 컨버터는 주파수의 대역을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로 변환한다. 오늘날의 BUC 컨버터는 L-대역에서부터 Ku-대역, C-대역, Ka-대역까지 변환한다. 대부분의 BUC 컨버터는 PLL(phase-locked loop) 로컬 오실레이터를 사용하고, 외부적으로 올바른 전송 주파수를 유지하기 위해 10Mhz 주파수의 로컬 오실레이터를 사용하고 있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연선로가 추가된 시간지연 측정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연선로가 추가된 시간지연 측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 3의 시간지연 측정장치에서 제1 분배부(310)와 추출부(330)의 제1 포락선 검출부(331)를 연결하는 전송선로에 제1 지연선로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지연선로는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이다. 송신기 설계자는 차동 증폭부(355)의 출력을 판단하여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 간의 시간지연을 판단한다. 만약, 시간지연이 판단되고 특히 크기변조 신호의 시간이 위상변조 신호의 시간보다 빠른 경우에는 제1 분배부(310)와 추출부(330)의 제1 포락선 검출부(331) 사이에 제1 지연선로를 추가한다. 이에 따라, 위성 통신용 송신기 제작에 있어서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 간의 시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도 3의 시간지연 측정장치에서 제1 분배부(310)와 추출부(330)의 리미터(333)를 연결하는 전송선로에 제2 지연선로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지연선로는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이다. 송신기 설계자는 차동 증폭부(355)의 출력을 판단하여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 간의 시간지연을 판단한다. 만약, 시간지연이 판단되고 특히 위상변조 신호의 시간이 크기변조 신호의 시간보다 빠른 경우에는 제1 분배부(310)와 추출부(330)의 리미터(333) 사이에 제2 지연선로를 추가한다. 이에 따라, 위성 통신용 송신기 제작에 있어서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 간의 시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310 : 제1 분배부
330 : 추출부
331 : 제1 포락선 검출부
333 : 리미터
350 : 시간지연 판단부
351 : 제2 포락선 검출부
353 : 제3 포락선 검출부
355 : 차동 증폭부
360 : 제2 분배부
370 : 제3 분배부
390 : 전력 증폭부

Claims (17)

  1. 변조된 정현파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변조된 정현파 신호가 서로 분리된 전송선로로 전송되도록 분배하는 단계와;
    상기 변조된 정현파 신호로부터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크기변조 신호 및 위상변조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고, 상기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 간의 시간 차이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크기변조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변조된 정현파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위상변조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변조된 정현파 신호에서 설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차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크기변조 신호 및 위상변조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는 단계와;
    포락선이 검출된 상기 크기변조 신호 및 위상변조 신호의 시간 차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크기변조 신호 및 위상변조 신호의 시간 차이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방법은,
    상기 크기변조 신호 및 위상변조 신호를 결합하여 증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방법은,
    상기 크기변조 신호 및 위상변조 신호를 상기 포락선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결합하여 증폭하는 단계로 분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변조된 정현파신호를 지연선로가 추가된 선로로 전송하는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선로는,
    서로 분리된 전송선로 중 하나에 추가되는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정현파 신호는,
    고주파수 또는 중간 주파수를 가지는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
  10. 변조된 정현파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변조된 정현파 신호가 서로 분리된 전송선로로 전송되도록 분배하는 제1 분배부와;
    상기 변조된 정현파 신호로부터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를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크기변조 신호 및 위상변조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고, 상기 크기변조 신호와 위상변조 신호 간의 시간 차이를 판단하는 시간지연 판단부;
    를 포함하는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크기변조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변조된 정현파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는 제1 포락선 검출부; 및
    위상변조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변조된 정현파 신호에서 설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를 제거하는 리미터;
    를 포함하는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지연 판단부는,
    상기 크기변조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는 제2 포락선 검출부와;
    상기 위상변조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는 제3 포락선 검출부와;
    포락선이 검출된 상기 크기변조 신호 및 위상변조 신호의 시간 차이를 비교하고, 그 시간 차이를 증폭하는 차동 증폭부;
    를 포함하는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크기변조 신호 및 위상변조 신호를 결합하여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
    를 더 포함하는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크기변조 신호를 상기 제2 포락선 검출부와 상기 전력 증폭부로 분배하는 제2 분배부;
    를 더 포함하는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위상변조 신호를 상기 제3 포락선 검출부와 상기 전력 증폭부로 분배하는 제3 분배부;
    를 더 포함하는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배부와 상기 제1 포락선 검출부 사이에는 상기 크기신호의 시간을 지연시키는 제1 지연선로가 연결되는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배부와 상기 리미터 사이에는 상기 위상신호의 시간을 지연시키는 제2 지연선로가 연결되는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장치.
KR1020100110461A 2010-11-08 2010-11-08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 및, 그 측정장치 KR20120048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461A KR20120048955A (ko) 2010-11-08 2010-11-08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 및, 그 측정장치
US13/290,556 US20120114029A1 (en) 2010-11-08 2011-11-07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ime delay in envelope elimination and restoration transmi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461A KR20120048955A (ko) 2010-11-08 2010-11-08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 및, 그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955A true KR20120048955A (ko) 2012-05-16

Family

ID=4601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461A KR20120048955A (ko) 2010-11-08 2010-11-08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 및, 그 측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14029A1 (ko)
KR (1) KR201200489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755B1 (ko) 2015-01-28 2022-08-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포락선-추적 전력증폭기의 포락선 신호 지연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CN107359947B (zh) * 2016-11-07 2020-09-15 天地融科技股份有限公司 电路延时自检测装置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0910A (en) * 1997-11-03 2000-10-1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efficiency wideband power amplification
GB2389255B (en) * 2002-05-31 2005-08-31 Hitachi Ltd Apparatus for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building up output power
JP3844352B2 (ja) * 2003-08-07 2006-11-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装置
US7333780B2 (en) * 2004-03-03 2008-02-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lar modul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GB2432982A (en) * 2005-11-30 2007-06-06 Toshiba Res Europ Ltd An EER RF amplifier with PWM signal switching
JP2007189438A (ja) * 2006-01-12 2007-07-26 Fujitsu Ltd タイミング調整装置及びタイミング調整方法
KR20090036670A (ko) * 2007-10-10 2009-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포락선 트래킹 전력증폭 송신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14029A1 (en)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8943B1 (en) Transmission device and adjustment method thereof
US7358829B2 (en) Transmission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obile radio apparatus
EP3048737B1 (en) Detection path design for communication systems
KR101636016B1 (ko) 신호 수신 장치 및 그것의 위상 부정합 보상 방법
US8854129B2 (en) Timing alignment for modulated supply
EP1040571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rrecting phase error in linearization loop of power amplifier
CN101379695B (zh) 用于发射机包络延迟校准的方法和系统
US8928403B2 (en) Envelope path processing for envelope tracking amplification stage
US8456283B2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ressing a transmitted signal in a receiver of an RFID writing/reading device
GB2519361A (en) Reduced bandwidth of signal in an envelope path for envelope tracking system
US20110234315A1 (en) Power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Cancellation-Based Feed Forward Methods and Systems
KR100758271B1 (ko) 카오스 초광대역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거리 측정 장치및 그 방법
WO2016031108A1 (ja) Fmcwレーダー
US20120326777A1 (en) Amplifier circuit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KR20110016818A (ko) 무선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US8798191B2 (en) Transmiss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US9036737B2 (en) Polar modulation
KR20120048955A (ko) 포락선 제거 후 복원 선형화 송신기에서의 시간지연 측정방법 및, 그 측정장치
US20120294343A1 (en) RF I/Q Modulator with Sampling Calibration System
US8532590B2 (en) Digital phase feedback for determining phase distortion
CN104020386A (zh) 最小时间信号泄漏检测器
GB2545041A (en) Receiver with automatic gain control by an alternating current closed loop for radar applications
JP3271277B2 (ja) 定在波比測定装置
WO2007059484A2 (en) Linear rf transmitter and method of operation
JP2000201091A (ja) 周波数変換部及び無線送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