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7640A -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640A
KR20120037640A KR1020100099221A KR20100099221A KR20120037640A KR 20120037640 A KR20120037640 A KR 20120037640A KR 1020100099221 A KR1020100099221 A KR 1020100099221A KR 20100099221 A KR20100099221 A KR 20100099221A KR 20120037640 A KR20120037640 A KR 20120037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image data
combustible
pad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2314B1 (ko
Inventor
최승욱
최선욱
Original Assignee
최승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욱 filed Critical 최승욱
Priority to KR1020100099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3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3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 기능이 탑재된 별도의 화재 센서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화재 발생시 물리/화학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기준 장치들의 변화를 영상 분석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경고를 울릴 수 있기 때문에 넓은 장소에서 화재를 감시하는 데에 유용하다.

Description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ire}
본 발명은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화재를 감시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통신 기능을 갖는 센싱 장치가 없더라도,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 상황을 인식 및 경고할 수 있는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은행, 관공서, 공장, 주차장, 공원 등에는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어 현장에서 사람이 지키지 않더라도 원격에 위치한 관리자가 해당 지역을 감시하여 보안, 경비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의 화면을 저장하여 차후 수사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한편, 감시 카메라와 더불어 화재를 감시하는 센서들이 감시 지역의 곳곳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사실을 원거리의 관제 시스템에 알려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즉, 감시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이 출력된 모니터를 통해 관리자가 화재 발생 사실을 인지할 수는 있으나, 관리자가 모니터를 24시간동안 계속 지켜보고 있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센서를 통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경보를 울려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화재를 감시하는 센서는 센싱 정보를 원거리에 전송하기 위해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재 센서들은 화재 센서가 설치된 곳 인근에서 발생한 화재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센서가 설치된 곳으로부터 비교적 거리가 먼 곳에서 화재가 시작되었다면, 센서가 설치된 곳까지 불길이 번져야지만 화재를 인지할 수가 있게 되어, 화재를 초기에 대처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화재 센서를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해야 하는데, 유무선 통신 기능을 탑재한 화재 센서를 여러 곳에 설치하는 것은 비용의 부담이 뒤따른다.
특히, 넓은 주차장이나 공원에서 즉각적인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설치해야 할 화재 센서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화재 센서를 통한 효과적인 화재 감시는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화재 센서 설치에 따른 불리함을 극복하고자, 감시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 발생을 인지하고 경보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된 바 있다.
종래의 영상 분석을 통한 화재 감시 기술 중에는, 화면의 색상을 분석하여 화재를 인지하는 기술이 있다. 즉, 붉은색의 화염이 영상의 일정 영역에 나타나게 되면, 이를 화재로 인지하여 경보를 울리게 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이러한 색상 분석을 통한 화재 감시 기술은, 화염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이 영상에 나타날 때에도 화재로 인식하여 경보를 울리게 되는 취약점이 있다. 예컨대 붉은색의 옷을 입은 사람이 카메라에 잡힐 경우, 붉은색의 옷을 화염으로 인지하여 화재 발생 경고가 울리게 되는 오류가 있는 것이다.
또한, 화염 발생시 방출되는 적외선 에너지를 감지하는 열영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별도의 화재 센서 없이 카메라만으로 화재 발생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열영상 카메라는 고가의 장비이기 때문에 설치에 부담을 느끼는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물리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기준 장치를 감시 지역에 설치하고, 카메라를 통해 기준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 지역 영상을 분석하여, 기준 장치에 변화가 발생하면 화재로 인식하여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무선 통신 기능이 탑재된 별도의 화재 센서 없이도 화재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은, 감시 영역의 다수 지점에 연소성패드를 부착하고, 상기 연소성패드와 인접하여 소정 높이에서 연소성지지부에 낙하추를 매달아 설치하며, 카메라로 촬영된 상기 감시 영역의 영상에서 상기 연소성패드와 낙하추에 변화가 발생하는지 확인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알리는 화재 감시 시스템이며, 상기 카메라에서 상기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압축 전송하면,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 수신부;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D/A변환부;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 및 상기 화재 판단부에서 화재 발생을 판단하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재 판단부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연소성패드가 연소되는 것으로 확인되고, 상기 낙하추가 낙하되는 것이 확인되면 화재 발생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화재 판단부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연소성패드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바뀌면 상기 연소성패드가 연소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낙하추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이 바뀌면 상기 낙하추가 낙하한 것으로 확인하여 화재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재 판단부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연소성패드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바뀌면 상기 연소성패드가 연소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낙하추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바뀌면 상기 낙하추가 낙하한 것으로 확인하여 화재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또, 상기 화재 판단부는, 상기 연소성패드의 연소 및 상기 낙하추의 낙하 상태가 기 지정된 소정 시간동안 지속되면 화재 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재 판단부에서 분석 하는 상기 연소성패드 및 낙하추의 화면 영역은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방법은, 감시 영역의 다수 지점에 연소성패드를 부착하고, 상기 연소성패드와 인접하여 소정 높이에서 연소성지지부에 낙하추를 매달아 설치하고, 카메라로 촬영된 상기 감시 영역의 영상에서 상기 연소성패드와 낙하추에 변화가 발생하는지 확인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알리는 화재 감시 방법이며, 상기 카메라에서 상기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압축 전송하면,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a)단계;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b)단계;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c)단계;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연소성패드가 연소되는지 확인하는 (d)단계;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낙하추가 낙하되는지 확인하는 (e)단계; 및 상기 연소성패드가 연소되고 상기 낙하추가 낙하된 것으로 확인되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f)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연소성패드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바뀌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연소성패드가 연소되는지 확인하며, 상기 (e)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낙하추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이 바뀌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낙하추가 낙하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연소성패드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바뀌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연소성패드가 연소되는지 확인하며, 상기 (e)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낙하추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바뀌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낙하추가 낙하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 상기 (f)단계는, 상기 (d)단계 및 (e)단계에서 상기 연소성패드의 연소 및 상기 낙하추의 낙하 상태가 기 지정된 소정 시간동안 지속되는지 확인되면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의 입력을 받아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연소성패드 및 낙하추의 화면 영역을 설정하는 (g)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감시 영역 곳곳에 기준 장치를 설치(즉 연소성패드와 연소성지지부에 낙하추를 매달아 설치)하고, 기준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 영역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기준 장치가 화재에 의해 물리적으로 변화를 일으키는지 확인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경고를 울릴 수가 있다. 따라서 유무선 통신 기능이 탑재된 화재 센서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영상 분석을 통해 즉각적으로 화재 발생 상황을 인식 할 수가 있으며, 화재 센서 설치에 따른 비용 부담이 줄어든다.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화재 센서를 설치하기 곤란한 주차장이나 공원 등의 넓은 감시 지역에서의 적용이 유리하다.
둘째, 촬영된 영상에서 연소성패드가 연소되어 색상이 변하는지 확인하는 첫 번째 판단과정과, 연소성지지부가 끊어져 낙하추가 낙하하는지 확인하는 두 번째 판단과정을 통해 화재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화재 발생 상황을 더욱 정확하게 알릴 수가 있다. 즉, 기존의 특정 색상이 화면에 나타나면 화재로 판단하여 경고를 울리는 기술에서는 화염 색상과 유사한 붉은색 옷을 입은 사람이 화면에 등장하였을 시에도 경고가 울리게 되는 오류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기준 장치인 연소성패드의 색상 변화 판단과 낙하추의 낙하 여부 판단이라는 두가지 검증 과정을 통해 화재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정상 상황에서 화재 경고가 울리게 되는 우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붉은색 옷을 입은 자가 연소성 패드를 가리더라도 낙하추가 낙하하지 않으면 화재로 판단하지 않으며, 누군가가 고의적으로 낙하추를 낙하시키더라도, 연소성패드의 색상이 변하지 않으면 화재로 판단하지 않기 때문에 오류 발생 가능성이 매우 적어지는 것이다.
셋째, 막연하게 화면상의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설치한 기준 장치에 변화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화재 발생 판단이 명확하고, 데이터 처리량도 적어진다. 즉, 기존의 영상 분석 방식에서는, 화면상에 화재 발생에 따른 특정 색상(붉은색)이 나타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화면의 전체 영역 변화를 감시해야만 했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량이 많아질 수 밖에 없으며, 특정 색상이 화면의 어느 곳에서든지 나타나기만 하면 화재로 인식하는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았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가 촬영된 감시 영역 영상에서 기준 장치들의 화면 영역(즉 연소성패드와 연소성지지부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을 설정해 주면, 설정된 영역의 변화만을 판단하면 되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량이 적어진다. 또한 설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화재로 오인될 만한 특정 색상이 나타나더라도 화재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오류 발생 확률이 매우 적어지는 것이다.
넷째, 감시 영역의 다수 지점에 기준 장치를 설치하면, 감시 영역의 어느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가장 인접한 위치의 기준 장치에서 변화가 발생하고 이를 인지할 수 있어서 즉각적인 화재 판단이 가능하다. 또한, 화재 발생시 화염이 번지면서 변화가 발생하는 기준 장치들의 경로가 파악되면 화재의 이동 경로까지 파악할 수가 있어서, 화재의 이동 경로에 따른 후속 대응이 가능하다.
다섯째, 연소성패드, 연소성지지부 및 낙하추를 설치되는 장소에 어우러지는 형상과 색상으로 구성하면, 기준 장치가 화재 감시라는 특정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거추장스러운 설치물로 인식되지 않고, 하나의 장식물로 인식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과 연계된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도2에 도시된 영상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기준 장치에 변화가 생긴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과 연계된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방법 중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처리하여 기준 장치의 화면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방법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는 각 구성부와 서버 및 시스템은 반드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구성부나 서버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의 집합으로 구현되거나 일부가 공유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30)은 은행, 관공서, 호텔, 공장, 주차장, 공원 등의 감시 지역에 설치된 카메라(2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출력함으로써, 원격지에서 관리자가 현장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관제 시스템이다. 이러한 화재 감시 시스템(30)은 보안업체, 경찰 상황실, 소방방재청 상황실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20)는 하나의 감시 지역에 여러대 설치(예컨대 빌딩에서 층마다 설치)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화재 감시 시스템(30)은 여러 감시 지역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2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1에서는 하나의 감시 지역에 설치되어 특정 감시 영역을 촬영하는 한 대의 카메라(20)를 도시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감시 지역에 설치된 카메라(20)는 특정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며, 압축 과정을 거쳐 통신망을 통해 화재 감시 시스템(30)으로 지속적으로 전송한다.
화재 감시 시스템(30)은 카메라(20)로부터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저장매체(39)에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부(38)로 출력함으로써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카메라(20)가 촬영하는 감시 영역에는 다수의 기준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기준 장치(10)란 화재가 발생하였을 시 물리/화학적인 변화를 일으켜 색상 또는 위치가 변하게 되어 영상 분석이 가능하도록 의도적으로 설치된 장치를 말한다.
기준 장치(10)에 대해서는 도2를 통해 더욱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도2는 카메라(20)가 촬영한 영상의 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호텔의 복도를 촬영하여 출력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텔 복도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기준 장치(10)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기준 장치(10)는 연소성패드(11), 지지대(14), 연소성지지부(12) 및 낙하추(13)를 포함한다.
연소성패드(11)는 화염에 의해 색상이 변하는 재질로 제작되어 복도의 벽에 부착된 것으로, 쉬운 예로는 종이가 될 수도 있다. 즉, 흰색의 종이인 경우 화염에 의해 산화되어 검정색으로 변하게 된다. 여기서 연소성패드(11)는 화재 발생시 화염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에 잘 타는 일반 종이가 아닌 특수 화학 물질이 코팅 된 타일일 수도 있다. 즉, 화염이 닿으면 색상은 변하되 타지는 않도록 하여 화염이 번지는 것을 막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소성패드(11)는 그 크기나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호텔 내부의 인테리어와 어우러지는 색상과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영상 분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본 색상 및 화염에 의해 변화된 색상이 연소성패드(11) 주변의 색상과는 확연히 구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14)는 연소성패드(11)와 인접한 곳에 설치되어 연소성지지부(12) 및 낙하추(13)를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지지대(14)는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떨어진 곳에 설치된다.
연소성지지부(12)는 불에 잘 타는 재질로 제작되며 낙하추(13)가 매달려 있도록 지지하는 줄이다. 이러한 연소성지지부(12)의 일단은 지지대(14)에 고정되고 타단에는 낙하추(13)가 매달려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연소성지지부(12)에 의해 낙하추(13)가 공중에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되며, 화재 발생시에는 연소성지지부(12)가 불에 타 끊어지면서 낙하추(13)가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낙하추(13)는 불에 타지 않는 재질로 제작되며, 지지대(14)에 고정된 연소성지지부(12)에 매달려 공중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되, 화재에 의해 연소성지지부(12)가 불에 타 끊어지면 바닥으로 떨어진다. 이러한 낙하추(13)는 화재 발생시 위치가 변함으로써 영상 분석이 가능토록 하는 수단이다. 낙하추(13) 역시 호텔 내부의 인테리어와 어우러지는 색상과 형상(종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활한 영상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복도의 벽면 및 바닥 색상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준 장치(10), 즉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연소성패드(11), 지지대(14), 연소성지지부(12) 및 낙하추(13)는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화재 감시를 위한 기준점이 되는 것이며, 동시에 복도를 꾸미는 장식물이 되는 것이다.
한편 기준 장치(10)는 설치되는 곳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도2에서 확인되는 기준 장치(10)가 호텔 복도에 설치된 것이라면, 도4에 도시된 기준 장치(10')는 공원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화재 센서를 설치하기 곤란한 공원에 다수의 기준 장치(10')를 설치한 것이며, 이러한 기준 장치(10')는 지면에 매설된 지지대(14')에 연소성패드(11')를 부착하고, 지지대(14')의 상측에 연소성지지부(12')를 고정시켜, 연소성지지부(12')에 낙하추(13')(등 형상)가 매달려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 도1을 참조하여 화재 감시 시스템(30)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감시 시스템(30)은 영상 데이터 수신부(31), 디코딩부(32), D/A변환부(33), 저장부(34), 화면 출력부(35), 화재 판단부(36) 및 경고 발생부(37)를 포함한다.
영상 데이터 수신부(31)는, 통신망과 통신 채널을 연결하여 카메라(20)에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 처리한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 수신부(31)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카메라(20)의 고유 ID도 함께 수신함으로써 어느 감시 지역에 설치되어 어느 감시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20)인지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카메라(20)는 해당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디지털 변환하고 해상도를 조절하여 압축한다. 영상 데이터의 압축은 웨이브렛(Wavelet),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1, MPEG-2, MPEG-4, MPEG-7, MPEG-21...), H264, 프렉탈(fractal) 등의 방식일 수 있으며, 352×240, 720×240, 720×480, 800×600, 1024×768, 1280×1024 중 어느 하나의 해상도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고 30, 15, 10, 5 fps의 프레임 레이트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다.
디코딩부(32)는 이렇게 카메라(20)에서 압축하여 전송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 수신부(31)에서 수신하면, 압축을 해제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러한 디코딩부(32)는 카메라(20)에서 전송을 위해 압축한 압축 방식에 대응하여 압축을 해제한다.
D/A변환부(33)(Digital to Analog converter)는 디코딩부(32)에서 압축 해제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화면 출력이 가능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저장부(34)는 영상 데이터 수신부(31)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매체(39)에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저장부(34)는 영상 데이터 수신부(31)를 통해 수신된 압축된 형태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매체(39)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 카메라(20)의 고유 ID와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향후 어느 카메라(20)를 통해 수신된 영상 데이터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저장매체(39)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드 디스크 등의 통상의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또는 저장매체(39)는 카메라(2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데이터 D/B를 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 DBMS)을 구비하거나, DBMS가 구비된 데이터 서버와 상호 연동될 수 있다.
화면 출력부(35)는 D/A변환부(33)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8)(또는 관리자 단말(40)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화재 감시 시스템(30)은 여러 대의 카메라(2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화면 출력부(35)는 디스플레이부(38)에 출력될 화면의 배치나 크기를 제어하여 출력 처리한다. 예컨대 16개의 카메라(2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경우 화면 출력부(35)는 16개의 화면의 분할과 출력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하여 디스플레이부(38)를 통해 16개의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화면 출력부(35)를 통해 디스플레이부(38)에서 출력되는 화면에는 카메라(20)에서 획득한 감시 영역의 영상 뿐만 아니라, 영상을 획득한 위치를 나타내는 텍스트 문자열이나 카메라(20)의 고유 ID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특정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 화면 출력부(35) 카메라(20)가 설치된 위치를 매트릭스와 맵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38)의 일정 영역 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더불어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매트릭스와 맵을 이용하여 출력된 해당 카메라(20)의 위치에 표시된 아이콘 등을 점멸시켜 상황 발생 위치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38)는 개별적인 디스플레이 수단이거나, 다수의 소형 모니터가 적재되어 대형 상황판을 이루는 수단일 수 있으며, 실시하기에 따라 관리자 단말(40)과 연계된 모니터일 수도 있다.
화재 판단부(36)는 D/A변환부(33)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즉 화재가 발생하여 기준 장치(10)에 변화가 발생하는지 확인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예컨대 화재 판단부(36)는 감시 영역의 화면에서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변화하는지 감시한다. 즉, 화염에 의해 연소성패드(11)가 산화하여 색상이 변화되었다면, 화재 판단부(36)는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변화된 것을 확인함으로써 연소성패드(11)가 불에 탔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화재 판단부(36)는 낙하추(13)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이 바뀌는지 감시한다. 즉, 화염에 의해 연소성지지부(12)가 불에 타 끊어지면 낙하추(13)가 떨어지게 되는데, 화재 판단부(36)는 낙하추(13)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이 화면의 하단부로 일정 부분 이동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낙하추(13)가 낙하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또는 실시하기에 따라 화재 판단부(36)는 낙하추(13)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바뀌는지 감시할 수도 있다. 즉, 화염에 의해 연소성지지부(12)가 불에 타 끊어지면 낙하추(13)가 떨어지게 되는데, 화재 판단부(36)는 낙하추(13)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다른 색상으로 변화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낙하추(13)가 낙하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예컨대 낙하추(13)의 색상이 파란색이라면 낙하추(13)가 낙하하였을 경우 낙하추(13)가 원래 위치하던 화면 영역에는 복도 색상인 갈색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화재에 의해 연소성패드(11)가 산화하여 색상이 바뀌고, 연소성지지부(12)가 끊어져 낙하추(13)가 낙하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가 있다.
화재 판단부(36)는 또한 연소성패드(11)의 색상 변화와 낙하추(13)가 낙하하였음을 모두 확인하였을 때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실시하기에 따라 화재 판단부(36)는 연소성패드(11)의 색상이 변하고 낙하추(13)가 낙하하였음이 소정 시간(10초)동안 지속되었을 경우에만 화재 발생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즉, 화재가 아닌 사람의 등장으로 인해 연소성패드(11)의 색상이 변화하거나 낙하추(13)의 위치가 변화할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에, 변화된 상태가 소정 시간동안 지속될 경우에만 화재 발생이라고 판단함으로써 경고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화재 판단부(36)는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설정된 화면 영역만 감시함으로써 데이터 처리량을 줄여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화면 출력부(35)를 통해 디스플레이부(38) 또는 관리자 단말(40)의 모니터로 감시 영역의 영상이 출력되면,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40)을 조작하여 화면 상에서 연소성패드(11)와 낙하추(13)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을 설정해줄 수 있는 것이며, 이후 화재 판단부(36)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화면 영역을 이전 프레임의 동일 영역과 비교하여 연소성패드(11)의 색상이 변하는지 또는 낙하추(13)가 낙하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량이 급격하게 감소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연소성패드(11)와 낙하추(13)의 색상이 고유한 특정 색상으로 미리 정해져 있을 경우 화재 판단부(36)에서는 미리 정해진 특정 색상을 화면에서 추적하여 해당 색상이 출력되는 위치가 연소성패드(11)와 낙하추(13)가 위치하는 영역임을 자동으로 인지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경고 발생부(37)는 화재 판단부(36)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였을 경우 경고 신호를 출력하여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경광등을 구동시켜 관리자의 이목을 집중시키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화재 감시 시스템(30)의 구체적인 기능 동작은 이하의 도5 내지 도8을 통해 설명하게 되는 화재 감시 방법에 의해 더욱 명확히 파악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5 내지 도8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즉, 도1에 도시된 화재 감시 시스템(30)에서 카메라(20)가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여 경고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1에 도시된 화재 감시 시스템(30)을 편의상 '시스템(30)'이라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시 방법 중, 시스템(30)에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연소성패드(11) 및 낙하추(13)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카메라(20)에서 기준 장치(10)를 포함하는 감시 영역을 촬영하고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시스템(30)으로 전송<S505>하면, 시스템(30)은 통신망을 통해 카메라(20)로부터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압축을 해제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S510>한다. 이때 시스템(30)은 카메라(20)에서 압축한 다양한 압축 방식에 대응하여 압축을 해제한다.
이후 시스템(30)은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로 변환<S515>한다. 이렇게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38) 또는 관리자 단말(40)의 모니터로 출력된다. 물론 카메라(20)에서 수신된 압축된 상태의 영상 데이터는 저장매체(39)에 저장함으로써 향후 수사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38) 또는 관리자 단말(40)의 모니터에서 감시 영역을 촬영한 화면이 출력되면,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40)을 조작하여 화면상에서 기준 장치(10), 즉 연소성패드(11)와 낙하추(13)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을 설정<S520>한다.
도2의 예시 화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38)에는 호텔의 복도를 촬영한 영상이 출력된다. 이때 연소성패드(11), 지지대(14), 연소성지지부(12) 및 낙하추(13)가 하나의 그룹을 이룬 기준 장치(10)들이 복도의 객실 도어 사이마다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는 출력된 화면을 확인하면서 연소성패드(11)와 낙하추(13)가 위치한 화면 영역을 설정해 준다. 설정 작업시에는 연소성패드(11)와 낙하추(13)가 그룹을 이루도록 설정한다. 즉, 도2를 참조하면 좌측에서 확인되는 기준 장치(10)부터 1그룹, 2그룹, 3그룹... 으로 각각의 연소성패드(11)와 낙하추(13)가 그룹을 이루도록 설정한다. 이는 6개의 연소성패드(11)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연소성패드(11)의 색상이 변하였을 경우 이와 같은 그룹에 속하는 낙하추(13)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설정 작업이 끝나면, 시스템(30)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여 경고를 울리도록 하며, 이에 대한 하나의 예시를 도6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6은 도5의 과정을 통해 연소성패드(11)와 낙하추(13)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 설정<S520>이 이루어진 이후 시스템(30)에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여 경고를 울리는 하나의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시스템(30)은 카메라(20)로부터 지속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압축 해제 및 D/A 변환 과정 등의 영상 처리 과정을 거쳐 디스플레이부(38)에 영상을 출력하고, 더불어 영상에 포함된 연소성패드(11)와 낙하추(13)에 변화가 생기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시스템(30)은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변화하는지 확인<S605>한다. 연소성패드(11)가 흰색의 종이일 경우, 연소성패드(11)는 불에 타 산화되면 검정색으로 변화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시스템(30)은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한 화면 영역의 색상이 흰색에서 검정색으로 변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연소성패드(11)가 녹색을 띄는 특수 화학 물질이 코팅되고 불에 타면 검정색으로 변하는 타일일 경우, 시스템(30)은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한 화면 영역의 색상이 녹색에서 검정색으로 변하는지 확인한다. 즉 연소성패드(11)의 기본 색상 및 산화 이후의 색상은 매우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시스템(30)은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변화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만약 연소성패드(11)의 색상이 변화한 것이 확인<S610>되면, 시스템(30)은 색상이 변화한 연소성패드(11)와 짝을 이루는 낙하추(13)의 화면 영역이 바뀌는지 확인<S615>한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그룹에 속하는 연소성패드(11)가 불에 타 색상이 변했다면, 시스템(30)은 해당 연소성패드(11)와 짝을 이루는 2그룹에 속하는 낙하추(13)의 화면 영역이 바뀌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낙하추(13)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이 바뀌는지 확인하는 과정에서는 낙하추(13)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기술이 적용될 수가 있다.
만약 낙하추(13)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에 변화가 없다면<S620>,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변화하는지 확인하는 과정<S605>를 다시 수행한다.
반면 낙하추(13)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에 변화가 있다면<S620>, 예컨대 화염에 의해 연소성지지부(12)가 불에타 끊어지고, 낙하추(13)가 바닥으로 떨어졌다면, 시스템(30)은 낙하추(13)의 위치를 추적하여 낙하추(13)가 바닥으로 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스템(30)은 연소성패드(11)의 색상이 변하고 낙하추(13)가 낙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화재가 발생하여 연소성패드(11)와 낙하추(13)에 변화를 준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S625>함으로써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시스템(30)은 낙하추(13)의 위치 변화를 추적하는 기술의 적용 없이 도5에 도시된 설정 과정에서 설정된 낙하추(13)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 변화를 통해 낙하추(13)의 변화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도7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시스템(30)은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변화하는지 확인<S705>한다.
만약 연소성패드(11)의 색상이 변화한 것이 확인<S710>되면, 시스템(30)은 색상이 변화한 연소성패드(11)와 짝을 이루는 낙하추(13)의 화면 영역 색상이 바뀌는지 확인<S715>한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그룹에 속하는 연소성패드(11)가 불에 타 색상이 변했다면, 시스템(30)은 해당 연소성패드(11)와 짝을 이루는 2그룹에 속하는 낙하추(13)의 화면 영역 색상이 바뀌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즉, 낙하추(13)의 파란색의 색상을 가지고 있고, 복도의 벽이 갈색으로 도배된 상태라고 가정할 때, 평상시에는 낙하추(13)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이 파란색을 유지하고 있을 것이다. 반면 낙하추(13)가 떨어졌을 경우 낙하추(13)가 위치하고 있던 화면 영역에는 그 배경인 복도가 보이게 될 것이다. 즉 낙하추(13)가 위치 했던 화면 영역의 색상이 파란색에서 갈색으로 변화하게 되는 것이며, 시스템(30)에서 이를 확인하면 낙하추(13)가 낙하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만약 낙하추(13)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에 변화가 없다면<S720>,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변화하는지 확인하는 과정<S705>를 다시 수행한다.
반면 낙하추(13)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에 변화가 있다면<S720>, 예컨대 화염에 의해 연소성지지부(12)가 불에타 끊어지고, 낙하추(13)가 바닥으로 떨어졌다면, 시스템(30)은 낙하추(13)가 위치했던 화면 영역의 색상이 파란색에서 갈색으로 바뀐 것을 확인함으로써 낙하추(13)가 바닥으로 떨어졌음을 인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스템(30)은 연소성패드(11)의 색상이 변하고 낙하추(13)가 낙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화재가 발생하여 연소성패드(11)와 낙하추(13)에 변화를 준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S725>함으로써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시스템(30)은 연소성패드(11)와 낙하추(13)에 변화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더라도, 변화가 일정 시간동안 지속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더 거침으로써 경고 발생의 오류 가능성을 줄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을 도8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즉, 도6의 과정에서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되고, 낙하추(13)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이 바뀐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시스템(30)은 시간 체크를 시작<S805>한다.
이후 시스템(30)은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복구되었는지 확인<S810>한다. 예컨대 도6의 과정 중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하는 곳에 검정색의 옷을 입은 사람이 순간적으로 위치하여 화재라 판단했을 가능성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연소성패드(11)가 산화하여 색상이 변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복구가 됐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색상이 복구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만약 연소성패드(11)의 색상이 복구된 것으로 확인<S815>되면, 예컨대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검정색에서 녹색으로 복구된 것이 확인되면, 화재 발생에 의해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변화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변화하는지 확인<S605>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반면 연소성패드(11)의 색상이 복구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S815>되면, 예컨대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검정색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시스템(30)은 변화된 낙하추(13)의 위치가 복구되었는지 확인<S820>한다. 즉, 검정색의 옷을 입은 사람이 연소성패드(11)가 부착된 곳 앞에서 낙하추(13)를 건드려 흔들었을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도6의 과정에서는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이 검정색으로 변화하였고 낙하추(13)의 위치하는 화면 영역이 변화한 것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오인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이라는 판단을 확정하기 전에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복구되고, 낙하추(13)의 위치가 복구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소정 시간동안 거치게 되는 것이다.
만약 낙하추(13)의 위치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화면 영역으로 원위치 된 것이 확인<S825>되면, 화재 발생에 의한 변화가 아니기 때문에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변화하는지 확인<S605>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반면 낙하추(13)의 위치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화면 영역으로 원위치 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S825>되면, 시스템(30)은 기 지정된 소정 시간(예컨대 10초)이 도래하였는지 확인<S830>한다. 소정 시간이 도래하지 않았다면<S835>, 연소성패드(11)의 색상이 복구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낙하추(13)의 위치가 복구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하고, 소정 시간이 도래하였다면<S835>, 시스템(30)은 화재에 의해 연소성패드(11)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변화하였고, 낙하추(13)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이 변화하였음으로 판단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S840>한다.
즉, 도8의 과정을 통해 화재가 아닌 상황을 화재 발생 상황으로 오인하여 경고를 발생하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30)은 실제 화재가 발생하였을 시 기준 장치(10)들의 변화가 각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화재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도 있다. 예컨대 2그룹의 기준 장치(10)에 변화가 생긴 이후 3그룹의 기준 장치(10)에 변화가 생긴 것이 확인되면 화재의 이동 경로가 파악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 감시 시스템(30) 및 방법에 따르면, 감시 영역 곳곳에 기준 장치(10)를 설치(즉 연소성패드(11)와 연소성지지부(12)에 낙하추(13)를 매달아 설치)하고, 기준 장치(10)를 포함하는 감시 영역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기준 장치(10)가 화재에 의해 물리적으로 변화를 일으키는지 확인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경고를 울릴 수가 있다. 따라서 유무선 통신 기능이 탑재된 화재 센서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영상 분석을 통해 즉각적으로 화재 발생 상황을 인식 할 수가 있으며, 화재 센서 설치에 따른 비용 부담이 줄어든다.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화재 센서를 설치하기 곤란한 주차장이나 공원 등의 넓은 감시 지역에서의 적용이 유리하다.
또한, 촬영된 영상에서 연소성패드(11)가 연소되어 색상이 변하는지 확인하는 첫 번째 판단과정과, 연소성지지부(12)가 끊어져 낙하추(13)가 낙하하는지 확인하는 두 번째 판단과정을 통해 화재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화재 발생 상황을 더욱 정확하게 알릴 수가 있다. 즉, 기존의 특정 색상이 화면에 나타나면 화재로 판단하여 경고를 울리는 기술에서는 화염 색상과 유사한 붉은색 옷을 입은 사람이 화면에 등장하였을 시에도 경고가 울리게 되는 오류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기준 장치(10)인 연소성패드(11)의 색상 변화 판단과 낙하추(13)의 낙하 여부 판단이라는 두가지 검증 과정을 통해 화재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정상 상황에서 화재 경고가 울리게 되는 우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연소성패드(11)가 산화하였을 시 판단 기준이 되는 색상의 옷을 입은 자가 연소성패드(11)를 가리더라도 낙하추(13)가 낙하하지 않으면 화재로 판단하지 않으며, 누군가가 고의적으로 낙하추(13)를 낙하시키거나 흔들더라도, 연소성패드(11)의 색상이 변하지 않으면 화재로 판단하지 않기 때문에 오류 발생 가능성이 매우 적어지는 것이다.
또, 막연하게 화면상의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설치한 기준 장치(10)에 변화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화재 발생 판단이 명확하고, 데이터 처리량도 적어진다. 즉, 기존의 영상 분석 방식에서는, 화면상에 화재 발생에 따른 특정 색상(붉은색)이 나타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화면의 전체 영역 변화를 감시해야만 했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량이 많아질 수 밖에 없으며, 특정 색상이 화면의 어느 곳에서든지 나타나기만 하면 화재로 인식하는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았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자가 촬영된 감시 영역 영상에서 기준 장치(10)들의 화면 영역(즉 연소성패드(11)와 연소성지지부(12)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을 설정해 주면, 설정된 영역의 변화만을 판단하면 되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량이 적어진다. 또한 설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화재로 오인될 만한 특정 색상이 나타나더라도 화재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오류 발생 확률이 매우 적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감시 영역의 다수 지점에 기준 장치(10)를 설치하면, 감시 영역의 어느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가장 인접한 위치의 기준 장치(10)에서 변화가 발생하고 이를 인지할 수 있어서 즉각적인 화재 판단이 가능하다. 또한, 화재 발생시 화염이 번지면서 변화가 발생하는 기준 장치(10)들의 경로가 파악되면 화재의 이동 경로까지 파악할 수가 있어서, 화재의 이동 경로에 따른 후속 대응이 가능하다.
더불어, 연소성패드(11), 연소성지지부(12) 및 낙하추(13)를 설치되는 장소에 어우러지는 형상과 색상으로 구성하면, 기준 장치(10)가 화재 감시라는 특정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거추장스러운 설치물로 인식되지 않고, 하나의 장식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10' : 기준 장치
11,11' : 연소성패드
12,12' : 연소성지지부
13,13' : 낙하추
14,14' : 지지대
20 : 카메라
30 : 화재 감시 시스템
31 : 영상 데이터 수신부
32 : 디코딩부
33 : D/A변환부
34 : 저장부
35 : 화면 출력부
36 : 화재 판단부
37 : 경고 발생부
38 : 디스플레이부
39 : 저장매체
40 : 관리자 단말

Claims (10)

  1. 감시 영역의 다수 지점에 연소성패드를 부착하고, 상기 연소성패드와 인접하여 소정 높이에서 연소성지지부에 낙하추를 매달아 설치하며, 카메라로 촬영된 상기 감시 영역의 영상에서 상기 연소성패드와 낙하추에 변화가 발생하는지 확인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알리는 화재 감시 시스템이며,
    상기 카메라에서 상기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압축 전송하면,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 수신부;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코딩부;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D/A변환부;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 및
    상기 화재 판단부에서 화재 발생을 판단하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화재 판단부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연소성패드가 연소되는 것으로 확인되고, 상기 낙하추가 낙하되는 것이 확인되면 화재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판단부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연소성패드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바뀌면 상기 연소성패드가 연소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낙하추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이 바뀌면 상기 낙하추가 낙하한 것으로 확인하여 화재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판단부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연소성패드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바뀌면 상기 연소성패드가 연소한 것으로 확인하고, 상기 낙하추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바뀌면 상기 낙하추가 낙하한 것으로 확인하여 화재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판단부는, 상기 연소성패드의 연소 및 상기 낙하추의 낙하 상태가 기 지정된 소정 시간동안 지속되면 화재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판단부에서 분석 하는 상기 연소성패드 및 낙하추의 화면 영역은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6. 감시 영역의 다수 지점에 연소성패드를 부착하고, 상기 연소성패드와 인접하여 소정 높이에서 연소성지지부에 낙하추를 매달아 설치하고, 카메라로 촬영된 상기 감시 영역의 영상에서 상기 연소성패드와 낙하추에 변화가 발생하는지 확인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알리는 화재 감시 방법이며,
    상기 카메라에서 상기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압축 전송하면,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a)단계;
    상기 압축된 영상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여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b)단계;
    상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c)단계;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연소성패드가 연소되는지 확인하는 (d)단계;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낙하추가 낙하되는지 확인하는 (e)단계; 및
    상기 연소성패드가 연소되고 상기 낙하추가 낙하된 것으로 확인되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f)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연소성패드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바뀌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연소성패드가 연소되는지 확인하며,
    상기 (e)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낙하추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이 바뀌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낙하추가 낙하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연소성패드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바뀌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연소성패드가 연소되는지 확인하며,
    상기 (e)단계는,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낙하추가 위치하는 화면 영역의 색상이 바뀌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낙하추가 낙하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는, 상기 (d)단계 및 (e)단계에서 상기 연소성패드의 연소 및 상기 낙하추의 낙하 상태가 기 지정된 소정 시간동안 지속되는지 확인되면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관리자의 입력을 받아 상기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연소성패드 및 낙하추의 화면 영역을 설정하는 (g)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시 방법.
KR1020100099221A 2010-10-12 2010-10-12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172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221A KR101172314B1 (ko) 2010-10-12 2010-10-12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221A KR101172314B1 (ko) 2010-10-12 2010-10-12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640A true KR20120037640A (ko) 2012-04-20
KR101172314B1 KR101172314B1 (ko) 2012-08-14

Family

ID=4613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221A KR101172314B1 (ko) 2010-10-12 2010-10-12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3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7507A (zh) * 2015-12-04 2016-03-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火灾监测方法及装置
KR20160032561A (ko) * 2014-09-16 2016-03-2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이벤트 발생 감지 방법
KR20180036299A (ko) * 2016-09-30 2018-04-09 한국가스안전공사 드론을 이용한 원거리 가스 누출 및 배관 외관 검사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6553A (zh) * 2016-07-25 2016-09-28 无锡福镁轻合金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安全智能检测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2922Y1 (ko) 2000-02-29 2000-08-16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케이블 공동구의 화재감지장치
KR100782036B1 (ko) 2005-08-01 2007-12-04 이현종 영상 처리를 이용한 화재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086221B1 (ko) 2010-03-11 2011-11-23 최승욱 재난 감시 시스템 및 재난 감시 시스템 운용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561A (ko) * 2014-09-16 2016-03-2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이벤트 발생 감지 방법
CN105427507A (zh) * 2015-12-04 2016-03-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火灾监测方法及装置
KR20180036299A (ko) * 2016-09-30 2018-04-09 한국가스안전공사 드론을 이용한 원거리 가스 누출 및 배관 외관 검사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314B1 (ko) 201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019B1 (ko) 합성 영상을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방법
US10643442B2 (en) Video monitoring system
JP4380252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101566839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가진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자가진단 방법
KR101200268B1 (ko) 능동적 대피 및 구조를 위한 영상 기반의 복합 화재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741107B1 (ko) Cctv를 이용한 화재 감시 방법 및 장치
JP6807548B2 (ja) 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1172314B1 (ko) 화재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086221B1 (ko) 재난 감시 시스템 및 재난 감시 시스템 운용 방법
EP3644290A1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KR100760209B1 (ko) 바닥센서부를 이용한 방범시스템
JP5779380B2 (ja) 監視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050823B1 (ko) 도어폰 연동 감시 장치, 시스템 및 그 감시 방법
JP6310243B2 (ja) 自動火災報知設備
KR101020670B1 (ko) 원격테스트 기능을 구비한 방범 시스템
KR101035312B1 (ko) 화면 분할 장치와 그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KR20070034385A (ko) 무인 방범 시스템 및 그 방법
JP4516715B2 (ja) 非常報知システム
KR101934534B1 (ko) 카메라의 동작 상태 판단이 가능한 ip 감시 카메라
JP6483414B2 (ja) 画像確認システムおよびセンタ装置
JP2008148138A (ja) 監視システム
KR101223606B1 (ko) 엘리베이터를 위한 지능형 영상 감시 시스템
US20090170558A1 (en) Mobile security device
JP4958432B2 (ja) 監視システム
KR101497106B1 (ko) 방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