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4181A - 야채육류볶음을 덧씌운 볶음생면 - Google Patents
야채육류볶음을 덧씌운 볶음생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34181A KR20120034181A KR1020120023321A KR20120023321A KR20120034181A KR 20120034181 A KR20120034181 A KR 20120034181A KR 1020120023321 A KR1020120023321 A KR 1020120023321A KR 20120023321 A KR20120023321 A KR 20120023321A KR 20120034181 A KR20120034181 A KR 201200341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at
- noodles
- stir
- vegetables
- vegetable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09434 Actinidia ch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40000001101 Actinidia delicios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9436 Actinidia delicios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6213 coffe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40000003613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4101 win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data:image/svg+xml;base64,PD94bWwgdmVyc2lvbj0nMS4wJyBlbmNvZGluZz0naXNvLTg4NTktMSc/Pgo8c3ZnIHZlcnNpb249JzEuMScgYmFzZVByb2ZpbGU9J2Z1bGwnCiAgICAgICAgICAgICAgeG1sbnM9J2h0dHA6Ly93d3cudzMub3JnLzIwMDAvc3ZnJwogICAgICAgICAgICAgICAgICAgICAgeG1sbnM6cmRraXQ9J2h0dHA6Ly93d3cucmRraXQub3JnL3htbCcKICAgICAgICAgICAgICAgICAgICAgIHhtbG5zOnhsaW5rPSdodHRwOi8vd3d3LnczLm9yZy8xOTk5L3hsaW5rJwogICAgICAgICAgICAgICAgICB4bWw6c3BhY2U9J3ByZXNlcnZlJwp3aWR0aD0nMzAwcHgnIGhlaWdodD0nMzAwcHgnIHZpZXdCb3g9JzAgMCAzMDAgMzAwJz4KPCEtLSBFTkQgT0YgSEVBREVSIC0tPgo8cmVjdCBzdHlsZT0nb3BhY2l0eToxLjA7ZmlsbDojRkZGRkZGO3N0cm9rZTpub25lJyB3aWR0aD0nMzAwLjAnIGhlaWdodD0nMzAwLjAnIHg9JzAuMCcgeT0nMC4wJz4gPC9yZWN0Pgo8dGV4dCB4PScxMDAuNScgeT0nMTcwLjA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NDB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5IPC90ZXh0Pgo8dGV4dCB4PScxMjYuMScgeT0nMTg2LjA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MjZ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4yPC90ZXh0Pgo8dGV4dCB4PScxMzguMCcgeT0nMTcwLjA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NDB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5PPC90ZXh0Pgo8L3N2Zz4K data:image/svg+xml;base64,PD94bWwgdmVyc2lvbj0nMS4wJyBlbmNvZGluZz0naXNvLTg4NTktMSc/Pgo8c3ZnIHZlcnNpb249JzEuMScgYmFzZVByb2ZpbGU9J2Z1bGwnCiAgICAgICAgICAgICAgeG1sbnM9J2h0dHA6Ly93d3cudzMub3JnLzIwMDAvc3ZnJwogICAgICAgICAgICAgICAgICAgICAgeG1sbnM6cmRraXQ9J2h0dHA6Ly93d3cucmRraXQub3JnL3htbCcKICAgICAgICAgICAgICAgICAgICAgIHhtbG5zOnhsaW5rPSdodHRwOi8vd3d3LnczLm9yZy8xOTk5L3hsaW5rJwogICAgICAgICAgICAgICAgICB4bWw6c3BhY2U9J3ByZXNlcnZlJwp3aWR0aD0nODVweCcgaGVpZ2h0PSc4NXB4JyB2aWV3Qm94PScwIDAgODUgODUnPgo8IS0tIEVORCBPRiBIRUFERVIgLS0+CjxyZWN0IHN0eWxlPSdvcGFjaXR5OjEuMDtmaWxsOiNGRkZGRkY7c3Ryb2tlOm5vbmUnIHdpZHRoPSc4NS4wJyBoZWlnaHQ9Jzg1LjAnIHg9JzAuMCcgeT0nMC4wJz4gPC9yZWN0Pgo8dGV4dCB4PScxMy4zJyB5PSc1My42JyBjbGFzcz0nYXRvbS0wJyBzdHlsZT0nZm9udC1zaXplOjIzcHg7Zm9udC1zdHlsZTpub3JtYWw7Zm9udC13ZWlnaHQ6bm9ybWFsO2ZpbGwtb3BhY2l0eToxO3N0cm9rZTpub25lO2ZvbnQtZmFtaWx5OnNhbnMtc2VyaWY7dGV4dC1hbmNob3I6c3RhcnQ7ZmlsbDojRTg0MjM1JyA+SDwvdGV4dD4KPHRleHQgeD0nMjguMicgeT0nNjIuOScgY2xhc3M9J2F0b20tMCcgc3R5bGU9J2ZvbnQtc2l6ZToxNXB4O2ZvbnQtc3R5bGU6bm9ybWFsO2ZvbnQtd2VpZ2h0Om5vcm1hbDtmaWxsLW9wYWNpdHk6MTtzdHJva2U6bm9uZTtmb250LWZhbWlseTpzYW5zLXNlcmlmO3RleHQtYW5jaG9yOnN0YXJ0O2ZpbGw6I0U4NDIzNScgPjI8L3RleHQ+Cjx0ZXh0IHg9JzM1LjAnIHk9JzUzLjY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MjN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NFODQyMzUnID5PPC90ZXh0Pgo8L3N2Zz4K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5042 Zier Koh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0000008529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21307 wh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0000002860 Daucus caro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claims 1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2243 Daucus carota subsp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05765 wild carrot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0000002840 Allium cepa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742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54 spic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085 Vigna mungo var mun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5616 Vigna mungo var. mung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28 appetit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789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403 cultur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18 vegetabl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95 Co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644 Cola acumin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24 Cola pachycar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29 Ow co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1 c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0 matu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6—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with gravy or sauc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2—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 A23L5/43—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using naturally occurring organic dyes or pigmen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Abstract
본 발명은 서민이 즐겨 먹는 밀면, 즉 냉면의 일종으로 밀가루, 때에 따라 옥수수분말과 감자분말과 전분, 또는 색상을 낼 면류로 천연재료인 자색고구마 등의 색상채소나 과일을 사용하여 외관상 식성을 자극시킬 수 있게 하는 기호식품으로 식단을 제공하고 있는 면류식품에 관한 특색 요리방법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대중음식점에서 제공하고 있는 밀면 등은 단단하게 건조시킨 국수와 달리 현장에서 반죽한 밀가루를 즉석에서 뽑아서 말리지 않고 뜨거운 물에 삶아 육수와 함께 제공하며 항상 육수를 만드는 비법으로 단골고객을 유치해 온 상술로 유지해 왔기 때문에 지금까지 육수제조방법이 비법으로 여겨온 식품분야의 기술로 존립하면서 경쟁을 해 왔다.
본 발명의 볶음생면이란 육수로 경합해 온 방법을 총체적으로 탈피하여 일반 냉면과 비빔냉면과 같이 분리하여 식단을 짠 것과는 달리 비빔냉면이면서 육수를 첨가한 생면처럼 구분시키지 않고 비빔생면이면서 육즙이 풍부하여 물면처럼 즙액이 많아 일반 육수보다는 량은 적지만 비빔생면보다는 많은 중간형태의 면이면서 맛과 즙과 면이 어우러져 새로운 먹을거리로 창안한 덮는 생면이란 명칭으로 새로 개발한 식단에 관한 것이며 새 시대에 걸맞은 외식업계의 새로운 식단으로 많은 이들의 기호식품으로 각광을 받아 발전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볶이기, 키위, 볶음생면, 돼지목살, 후지 살, 끓이기, 와인, 배합출면, 혼합숙성, 색상재료분말,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품제조분야의 요리기술로서, 분식을 즐기는 이들을 위한 밀면, 즉 생면의 기존 요리방식은 생면을 삶아 그릇에 담고 육수를 붓고 대접하던 것을 육수 대신에 맛과 풍미를 돋우기 위한 방법으로 돼지고기와 야채를 양념류와 배합하여 걸쭉한 주물 럭으로 요리하여 볶아, 볶은 즙과 함께 삶은 생면 위에 덧씌워 새로운 먹을거리로 제공하도록 요리하는 음식분야의 요리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생면을 삶고 그릇에 담은 후 육수를 붓고 제공하던 일명 밀면, 즉 생면이 육수만으로 먹을거리로 제공하던 방법을 돼지고기와 채소를 썰고 볶아 걸쭉하게 만들어 면 위에 얹어 비비며 건저 먹도록 하므로 냉면도 아니고 비빔면도 아닌 새롭게 덧씌우는 면, 즉 볶음생면이란 명칭으로 제공할 수 있게 양념과 요리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요리기술로 개발한 신기술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육수를 붓는다는 고정관렴을 벗어나 걸쭉한 고기류를 갖은 양념으로 맛을 내고 즙액도 풍성하게 볶아 면 위에 얹으므로 육수로 채워 면을 건저 먹게 했던 기존 밀면을 비비면서 떠먹게 하므로 먹는 맛이나 씹히는 맛이 더 나도록 하는 혼합식 요리방법에 관한 기술을 배경으로 한 것이다.
본 요리기술은 과거에 육류가 고가로 인해 거의 채소위주로 요리한 후 돼지편육 몇 점만을 올려 제공해 온 것을 육류를 듬직하게 줄 수 있는 시대적인 변천에 따른 현실감을 가미한 음식제공도 본 기술의 배경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먹을거리의 패턴이 오래가지 못하고 자주 바뀐다는 점에서 항상 새로운 식단을 개발해야 하며 품목도 사회성을 띄우며 질병과도 연관이 깊어 질병발병에 따른 영향이 적으면서 오히려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점도 지녀야 장수할 수 있고 매상에도 깊은 연관이 있는 점을 간파하여 이를 최대한 활용한다는 점에서 생면을 사용하는 밀면 먹을거리 분야에 감기바이러스면역성을 높여 준다는 청국장을 첨가시키는 방법도 포함시키는 점을 과제로 택했다.
지금까지 질병이 닥치고 이와 연관이 있다면 무조건 상가 문을 닫아야 하는 위험성을 배제하면서 성분상 면역력에 기여할 수 있을 경우의 무한발전을 응용하는 점도 과제를 택해 해결하는 연구를 핵심과제로 하여 중국음식점에서 곽광을 받는 자장면과 같은 메뉴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하는 점도 본 발명의 과제로 하였다.
.
본 발명의 볶음 밀면, 볶음생면, 또는 덧씌운 밀면, 즉 덧면 등의 명칭을 유 도하므로 인해 외식산업에서 서민층이 즐겨 찾을 수 있으면서 새로운 먹을거리의 창출과 외식사업에 새로운 활성화를 불러일으키는 식단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이끌어내어 다양한 식단을 제공하므로 음식문화의 발전에 기여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우리음식문화에서 시간을 많이 요구하는 쌀밥식단에도 불구하고 밀가루음식을 기피하는 우리식생활에 요리하기 쉽고 단순하면서 재료의 다양화로 인하여 국민건강에 많은 도움을 주면서 청국장을 첨가하므로 청국장 발효균이 인체에 소화력을 증진시키고 면역도 증강시켜 감기몸살 등 잦은 질환의 발병빈도를 격감시키면서 간편한 식생활로 기여하는 메뉴로 발전시켜 즐겨 먹으면서 건강도 챙길 수 있는 새로운 야채육류볶음을 덧씌운 생면메뉴로 정착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에서 준비해야 하는 재료를 살피기 전에 먼저 본 음식의 명칭을 야채육류볶음을 덧씌운 생면이라 명명하고 간략하게 "볶음생면"이란 발음에 따라 기억하기 쉽도록 "복면", 또는 "덧면"으로 호칭하면서 부위별로 사용되는 재료를 준비하였는데 생면을 준비하기 전에 생면재료로 밀가루와 분말전분과 분말청국장과 필요에 따라 식욕을 돋우기 위한 자색고구마 등의 색소용 분말식품을 농도에 따라 색상 발현을 다양하게 발원하도록 적절히 혼합하여 원하는 색을 내도록 한다.
생면을 만들 품목별 사용량을 보면 본 발명의 생면을 뽑기 전에 준비할 재료배합비율도(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말청국장은 끈기가 낮아 보충할 량에 상응하는 분말전분 량을 첨가하고 색상을 위한 색상분말은 색상의 발현정도에 부합되는 색상분말재료를 1.0 내지 0.5%에서 가감 첨가하여 반죽용기에 칭량하여 담고 교반 기로 배합을 완료한 후 생수를 사용하여 반죽을 하고 숙성시켜 생면으로 추출될 수 있을 정도로 배합하고 숙성시간도 상황에 따라 조절하면서 면으로 뽑아낸다.
요리하는 순서는 먼저 재료별로 준비하는 재료준비(제1공정)를 완료한 다음은 생면칭량배합(제2-1공정)을 위해 상기 재료준비(제1공정)에서 본 발명의 생면을 뽑기 전에 준비할 재료배합비율도(도 2)와 같이 칭량하여 반죽할 용기에 담고 물을 소량씩 살포하며 반죽을 하고 자루에 담아 발로 밟았으나 최근에는 롤러를 사용하여 손쉽게 반복하여 된 반죽을 시행하고 있다.
가장 졸깃한 면을 만들려면 오랜 시간 숙성시켜야 하지만 여러 정황을 감안하고 반죽하여 일정시간 반죽숙성(제3-1공정)을 한 후 배합출면(제3-3공정)을 거쳐 끓는 물에 넣고 삶아 끓이기(제4-1공정)를 한 후 서빙을 위해 그릇담기(제5공정) 전에 서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1인분씩 두루마리형상으로 틀어 물기가 밑바닥에 고이지 않는 발 형상의 넓은 공간을 갖는 용기에 일시 보관한다.
한편 상기 재료준비(제1공정)의 다음에 실시하는 상기 생면칭량배합(제2-1공정)과 별도로 실시하는 야채칭량배합(제2-2공정)도 동시에 하는데 본 발명의 야채류 준비재료별 배합비율도(도 3)의 재료들인 배추 또는 양배추를 칭량하여 적절히 썰어 별도 혼합용 용기에 담고 무, 양파, 대파 및 당근도 채 썰어 담고 마늘은 으깨어 담아 혼합하여 상기 야채재료를 준비한다.
또 다른 용기에 옮겨 본 발명의 육류준비재료별 배합비율도(도 4)의 재료를 칭량하여 꺼낸 후 돼지고기는 얇게 썰어 담고 키위도 잘게 썰어 담으면 키위의 산성성분이 고기를 연하게 하고 와인, 진간장, 으깬 생강 및 양파즙액을 넣고 재차 혼합하면 연하게 된 고기 속에 상기 양념들이 스며들며 맛을 돋우고, 간을 맞추며 진간장, 또는 소금으로 조절해 주고 일부 손님의 기호에 따른 매운 맛을 내기 위해 붉은 맛을 시각적으로 느끼도록 고춧가루도 혼합한 상기 육류재료를 준비한다.
상기 본 발명의 야채류 준비재료별 배합비율도(도 3)에 의해 진행된 야채칭량배합(2-2공정)인 볶음용 야채재료와 본 발명의 육류준비재료별 배합비율도(도 4)로 꺼내 얇게 썬 돼지고기와 키위와 액상커피와 와인과 진간장과 생강과 양파즙액으로 육류칭량배합(제2-3공정)된 볶음용 육류재료를 모두 별도용기에 옮겨 종합혼합을 하고 숙성시키는 혼합숙성(제3-2공정)을 하는데 숙성방법은 상온에서 만 하루를 재우면 돼지고기에 모든 양념들이 흠뻑 흡수되어 양념 맛을 돋우면서 혼합숙성(제3-2공정)이 완성되고 이어서 볶이기(제4-2공정)공정으로 넘긴다.
상기와 같이 양념 맛이 배었으면 미리 준비한 불판 솥, 또는 큰 프라이팬을 사용하여 대략 2 내지 5분정도 볶아 익히는 볶이기(제4-2공정)를 실시하는데 별도로 준비했던 끓이기(제4-1공정)의 익힌 생면을 그릇담기(제5공정)에서 개인별로 그릇에 담고 상기 그릇별로 담은 생면 위에 볶이기(제4-2공정)로 질퍽하게 볶아진 양념야채육류를 육수대신 얹어 주문받은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빙제공(제6공정)을 행하면 비록서 새로운 메뉴로 탄생되어 새로운 식품이 되는 것이다.
[실시 예1]
시식을 위해 생면재료로 밀가루와 분말전분과 분말청국장과 자색고구마분말을 재료준비(제1공정)로 생면반죽을 확보하고 본 발명의 생면을 뽑기 전에 준비할 재료배합비율도(도 2)와 같이 중력밀가루 850그램과 분말전분 70그램과 분말청국장 70그램에 홍색색상을 위해 자색고구마분말 10그램을 칭량하여 반죽할 용기에 담아 교반하고 자루에 담고 따뜻한 방에 담요로 덮어 반죽숙성(제3-1공정)을 시켰다.
한편 육류칭량배합(제2-3공정)은 별도 다른 용기에 본 발명의 육류준비재료별 배합비율도(도 4)의 배합비율로 재료준비(제1공정)에서 꺼내고 칭량하여 얻어진 돼지고기500그램을 얇게 썰어 용기에 담고 키위150그램도 잘게 썰어 담은 후 손으로 비벼 혼합시키면서 와인75그램과 진간장100그램과 액상커피50그램과 으깬 생강 및 양파즙액은 각각 50그램에 간을 보며 소금약간을 섞어 볶음용 육류재료를 만들고 또 다른 라인에서는 본 발명의 야채류준비재료별 배합비율도(도 3)의 배합비율로 꺼내어 칭량하여 얻어진 배추, 또는 양배추30그램을 잘게 썰고 무25그램과 양파와 대파는 각각20그램과 당근과 마늘은 합쳐 5그램도 모두 채를 치고 썰고 으깨면서 혼합하여 볶음용 야채재료를 만들었다.
또 다른 용기를 준비하여 상기 볶음용 육류재료와 상기 볶음용 야채재료를 모두 옮겨 담고 콜라와 커피용액을 추가하고 양념 맛을 재확인 후 보충하면서 질척한 볶음고기 덧씌움 재료로 숙성시키기 위하여 상온에서 만 하루 실내에 재워 혼합숙성(제3-2공정)을 하였는데 돼지고기는 완연히 질퍽하고 연하게 숙성되었다.
혼합숙성(제3-2공정)을 끝낸 후에 맛과 간을 재확인하면서 만족한 것만 선택하여 미리 준비한 불판 솥, 또는 큰 프라이팬을 사용하여 대략 3분정도 볶으며 익히는 볶음조제(제4-2공정)를 실시하고 손님의 주문에 따라 그릇담기(제5공정)와 서빙제공(제6공정)으로 새로운 형태의 자장면과 같은 익힌 생면 위에 얹는 요리로서 볶음생면, 즉 "복면"이란 아주 복스럽고 먹음직스런 메뉴가 탄생하게 되었다.
[실시 예2]
고객 중에 매운맛을 원하는 이들의 식성에 따라 특별히 요청할 경우를 대비하여 실시 예1과 같이 볶음용 야채재료와 볶음용 육류재료를 혼합하고 붉은 고춧가루를 추가하여 혼합 한 후 혼합숙성(제3-2공정)을 거쳐 별도로 준비한 콜라와 커피용액을 추가하면서 양념 맛을 재확인하여 질퍽한 볶음고기 덧씌움 재료로 불판 솥, 또는 큰 프라이팬을 사용하여 3분정도 볶으며 익히는 볶음조제(제4-2공정)를 실시하여 붉은 고춧가루로 매운맛을 돋으므로 매운 맛 식성 손님의 호감을 받으며 만족스런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 예3]
육류칭량배합(제2-3공정)에서 본 발명의 육류준비재료별 배합비율도(도 4)의 배합비율 중에 돼지고기500그램을 돼지고기를 싫어하는 이들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식성에 따라 쇠고기로 대체하여 500그램을 얇게 썰어 용기에 담고 키위150그램도 잘게 썰어 담은 후 손으로 비벼 혼합시키면서 와인75그램과 진간장100그램과 액상커피50그램과 으깬 생강 및 양파즙액은 각각 50그램에 간을 보며 소금약간을 섞어 볶음용 육류재료를 만들었다.
또 다른 라인에서는 본 발명의 야채류준비재료별 배합비율도(도 3)의 배합비율로 꺼내어 칭량하여 얻어진 배추, 또는 양배추30그램을 잘게 썰고 무25그램과 양파와 대파는 각각20그램과 당근과 마늘은 합쳐 5그램도 모두 채를 치고 썰고 으깨면서 혼합하면서 야채칭량배합(제2-2공정)으로 볶음용 야채재료를 만들었다.
다음은 깨끗한 다른 용기에 상기 육류재료와 상기 야채재료를 한데 담고 버 무리면서 배합한 후 일정시간 잠재우며 숙성시키는 혼합숙성(제3-2공정)을 거쳐 모든 양념이 숨을 죽여 숙성되었으면 큰 프라이팬을 사용하거나 콘 볶음용 솥에서 3 내지 5분간 볶는데 볶는 시간은 고기를 완전히 익히느냐, 아니면 덜 익히느냐에 따라 손님의 식성을 가늠하여 적절하게 수행하는 볶이기(제4-2공정)로 익힌 마른육수로 요리하여 그릇담기(제5공정)와 손님에게 제공하는 서빙식사(제6공정)도 즉각 실시할 수 있게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야채육류볶음을 덧씌운 생면을 제조하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생면을 뽑기 전에 준비할 재료배합비율도,
도 3은 본 발명의 야채류 준비재료별 배합비율도,
도 3은 본 발명의 육류준비재료별 배합비율도,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제1공정 : 재료준비,
제2-1공정 : 생면칭량배합,
제2-2공정 : 야채칭량배합,
제2-3공정 : 육류칭량배합,
제3-1공정 : 반죽숙성,
제3-2공정 : 혼합숙성,
제3-3공정 : 배합출면,
제4-1공정 : 익히기,
제4-2공정 : 볶이기,
제5공정 : 그릇담기,
제6공정 : 서빙제공,
Claims (1)
- 밀가루와 전분분말과 청국장분말과 자색고구마로 반죽하여 즉석에서 압출시켜 익힌 생면과 얇게 썬 돼지고기와 양념으로 세절한 배추, 양파, 대파, 당근과 으깬 마늘을 배합하여 제공되는 식단에 있어서,재료준비(제1공정)에서 생면재료인 밀가루와 분말전분과 분말청국장과 첨가량에 따라 색상을 갖는 자색고구마로 생면칭량배합(제2-1공정)하고 물로 반죽하고 면으로 배합출면(제3-1공정)하여 끓이기(제4-1공정)로 익힌 생면과상기 재료준비에서 야채재료만 잘게 썰어 혼합하는 야채칭량배합(2-2공정)과 상기 재료준비에서 육류재료만 택하여 얇게 썬 돼지고기를 으깬 키위와 커피용액과 와인과 생강과 양파즙액과 진간장으로 육류칭량배합(2-3공정)하여 상온에서 1일간 숙성시키는 혼합숙성(제3-2공정)과상기 혼합숙성 후 볶음용 솥, 또는 프라이팬에서 3 내지 5분의 강한 불로 상기 혼합숙성 된 야채육류재료를 볶이기(제4-2공정)하고 그릇담기(제5공정)에서 상기 익힌 생면을 담고 상기 야채육류 볶음을 얹어 육수대용으로 서빙제공(제6공정)되는 것인 특징인 야채육류볶음을 덧씌운 생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3321A KR101458101B1 (ko) | 2012-03-06 | 2012-03-06 | 야채육류볶음을 덧씌운 볶음생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3321A KR101458101B1 (ko) | 2012-03-06 | 2012-03-06 | 야채육류볶음을 덧씌운 볶음생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4181A true KR20120034181A (ko) | 2012-04-10 |
KR101458101B1 KR101458101B1 (ko) | 2014-11-05 |
Family
ID=46136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3321A KR101458101B1 (ko) | 2012-03-06 | 2012-03-06 | 야채육류볶음을 덧씌운 볶음생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810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1214A (ko) * | 2019-12-06 | 2021-06-16 | 장현숙 | 돼지고기를 주재료로 한 우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우동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7107A (ko) | 2017-02-22 | 2018-08-30 | 김혜정 | 보말분말이 함유된 생면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9950B1 (ko) * | 2006-07-12 | 2008-06-20 | 표재호 | 청국장 분말을 포함하는 국수의 제조방법 |
-
2012
- 2012-03-06 KR KR1020120023321A patent/KR10145810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1214A (ko) * | 2019-12-06 | 2021-06-16 | 장현숙 | 돼지고기를 주재료로 한 우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우동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8101B1 (ko) | 2014-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150818B (zh) | 一种调味酱及其制备方法 | |
KR101662303B1 (ko) | 육개장 짬뽕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육개장 짬뽕 | |
CN105581249A (zh) | 一种紫薯肉松锅巴及其制备方法 | |
Tan | Singapore heritage food | |
CN101785540A (zh) | 一种拌饭及其制备方法 | |
CN103976385A (zh) | 一种羊杂肠的制作方法 | |
CN101940328A (zh) | 叉烧肉的配比及制作工艺 | |
KR20060054746A (ko) | 돈강정의 제조방법 및 돈강정을 포함하는 프라이드치킨의제조방법 | |
CN102871024A (zh) | 烤制卤面、卤饭及卤汁的制作方法 | |
KR101458101B1 (ko) | 야채육류볶음을 덧씌운 볶음생면 | |
KR101190171B1 (ko) | 고춧가루를 함유한 조미료 조성물 | |
CN102113678A (zh) | 一种香味馅 | |
CN101946931B (zh) | 火锅及其制作方法 | |
KR101893301B1 (ko) | 볶음밥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 |
Öktem et al. | Standard recipes of traditional Turkish and Latvian meal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 |
KR20150099058A (ko) | 파스타샐러드 | |
KR20070081788A (ko) | 닭 가슴살 양념슬라이스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08380B1 (ko) | 통들깨육전 제조방법 | |
KR20130138053A (ko) | 떡볶이가 첨가된 주먹밥 | |
CN101028046A (zh) | 椰香鸡肉饭及其制作方法 | |
KR100823966B1 (ko) | 허브고추장 및 이를 이용한 굴비장아찌의 제조방법 | |
CN110447893A (zh) | 低脂高蛋白营养套餐配方及制作工艺 | |
CN109805341A (zh) | 一种孜然火锅蘸料及其制作方法 | |
CN111296751A (zh) | 捞汁面及其加工方法 | |
KR20190117166A (ko) | 치즈 깻잎 함박스테이크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