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788A - 전지 팩 - Google Patents

전지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788A
KR20120023788A KR1020117029849A KR20117029849A KR20120023788A KR 20120023788 A KR20120023788 A KR 20120023788A KR 1020117029849 A KR1020117029849 A KR 1020117029849A KR 20117029849 A KR20117029849 A KR 20117029849A KR 20120023788 A KR20120023788 A KR 20120023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ell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354B1 (ko
Inventor
?스케 야스이
도시히코 구로사키
도시키 이토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23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25Re-sealable arrangements comprising deformable valve members, e.g. elastic or flexible val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2Connection only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전지 팩은, 복수의 소전지(100)가 배열되어 케이스 내에 수용된 전지 모듈을 복수 개 구비하며, 전지 모듈은, 복수의 소전지(100)가 일렬로 배열된 조전지(200)를 단위로 하여, 조전지(200)가 복수 개 배열되어 구성된다. 전지 모듈은, 조전지(200)가 복수 개 병렬로 배열된 제 1 전지 모듈(300)과, 조전지(200)가 복수 개 직렬로 배열된 제 2 전지 모듈(400A, 400B)을 포함하며, 제 1 전지 모듈(300)과 제 2 전지 모듈(400A, 400B)이 조합되어 전지 팩이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지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복수의 전지로 구성된 전지 모듈을 복수 개 구비한 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전지를 케이스에 수용하여 소정의 전압 및 용량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전지 팩은, 여러 가지 기기, 차량 등의 전원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범용 전지를 병렬?직렬 접속하여, 소정의 전압 및 용량을 출력하는 조전지를 모듈화하고, 이 전지 모듈을 여러 가지로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용도에 대응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채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 모듈화 기술은, 전지 모듈에 수용하는 전지를 고성능화 함으로써 전지 모듈 자체의 소형?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전지 팩을 조립할 시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차량 등의 한정된 공간에 탑재할 시의 자유도가 향상되는 등, 여러 가지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조전지를 구성하는 각각의 전지는 반드시 성능이 균일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방전 중에는 최저 용량의 전지에 의해 조전지의 전류 용량이 제한되며, 또 충전 중에는 최저 용량의 전지에 의해 조전지 전체의 재충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한을 넘어 조전지를 충방전 시킨 경우, 최저 용량 전지의 열화로 인해 조전지의 사이클 수명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전지가 병렬?직렬 접속된 조전지에서, 인접하는 전지를 서로 복합적으로 상호 접속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술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특성이 불균일한 전지가 자동 평형화되므로, 특정의 전지가 성능 열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조전지의 사이클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본 특허 공표 공보 제 2002-533042 호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전지를 모듈화하고, 이 전지 모듈을 차량 등 한정된 공간의 크기에 맞추어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소정의 전압 및 용량을 출력하는 전지 팩을 유연하게 탑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통형 전지를 이차원 배열시켜 전지 모듈을 구성한 경우, 전지 모듈의 바깥치수는 이차원 배열된 원통형 전지의 행렬 수에 따라 정해지는데, 이 바깥치수를 기준으로, 전지 모듈을 나열시키는 개수나, 배치 방향(수직 설치 또는 수평 설치)을 바꿈으로써, 한정된 공간의 크기에 맞추어, 복수의 전지 모듈을 조합한 전지 팩을 탑재할 수 있다.
그러나, 전지 모듈의 바깥치수는, 원통형 전지의 높이나, 이차원으로 배열된 원통형 전지의 행렬 수로 규제되므로, 전지 모듈을 나열시키는 개수나 배치 방향을 바꾸어도 좁은 공간에 탑재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 한정된 공간에 전지 모듈을 탑재할 시의 자유도는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복수의 전지 모듈을 전지 팩에 있어서, 한정된 공간에 전지 모듈을 탑재할 시의 자유도를 향상시킨 전지 팩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소전지가 일렬로 배열된 조전지를 단위로 하여, 이 조전지를 복수 개 병렬로 배열한 제 1 전지 모듈과, 복수 개 직렬로 배열한 제 2 전지 모듈과의 2종류의 전지 모듈을 준비하고, 이 2 종류의 전지 모듈을 조합하여 전지 팩을 구성하는 것이다.
복수의 조전지를 직렬로 배열한 제 2 전지 모듈의 바깥치수 중 최소 폭은, 조전지를 구성하는 소전지의 최소 폭과 일치한다. 한편, 복수의 조전지를 병렬로 배열한 제 1 전지 모듈의 바깥치수 최소 폭은, 병렬로 배열하는 조전지의 개수에 따라 달라지나, 적어도 소전지의 최소 폭에 대하여 조전지의 개수 배가 된다. 이에 따라 제 1 전지 모듈과 제 2 전지 모듈과의 바깥치수 최소 폭 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전지 모듈을 넓은 공간에, 제 2 전지 모듈을 좁은 공간에 탑재함으로써, 전지 팩을 한정된 공간에 탑재할 시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지 모듈 및 제 2 전지 모듈은 모두 복수의 소전지가 일렬로 배열된 조전지를 단위로 구성되므로, 각 전지 모듈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전지 팩은, 복수의 소전지가 배열되어 케이스 내에 수용된 전지 모듈을 복수 개 구비한 전지 팩으로서, 전지 모듈은, 복수의 소전지가 일렬로 배열된 조전지를 단위로 하여, 조전지가 복수 개 배열되어 구성되며, 전지 모듈은, 조전지가 복수 개 병렬로 배열된 제 1 전지 모듈과, 조전지가 복수 개 직렬로 배열된 제 2 전지 모듈을 포함하며, 제 1 전지 모듈과 제 2 전지 모듈이 조합되어 전지 팩이 구성된다.
여기서 조전지는,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소전지가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조전지를 단위로 구성된 제 1 전지 모듈 및 제 2 전지 모듈을 조합하여 구성한 전지 팩에 있어서, 만일 조전지를 구성하는 소전지의 하나가 고장나도, 전지 팩의 전류 공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전지는 양극 및 음극의 전극 단자와, 소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출력하는 신호 단자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조전지로 구성되는 전지 모듈끼리의 전기적 접속이나 충방전 제어가 용이해진다.
또한 소전지는, 소전지 내에 발생한 가스를 전지 밖으로 배출하는 개방부(안전 밸브)를 구비하며, 조전지는, 소전지의 개방부와 연통된 배기 덕트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조전지를 구성하는 소전지의 하나가 이상 발열로 인해 안전 밸브가 작동되어 고온 가스가 소전지 밖으로 방출되어도, 고온가스를 주변의 소전지에 노출하는 일없이, 배기 덕트를 거쳐서 조전지 밖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만일 조전지를 구성하는 소전지의 하나가 고장나도, 다른 정상인 소전지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으므로, 안전성이 높은 전지 모듈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 팩을 바깥치수의 최소 폭이 다른 2 종류의 전지 모듈로 구성하고, 또한, 이 2 종류의 전지 모듈을, 복수의 소전지가 일렬로 배열된 조전지를 단위로 구성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 탑재할 시의 자유도가 큰 전지 팩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지 모듈에 사용하는 소전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전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전지의 사시도이고, (b)는 조전지의 단면도이며, (c)는 (b)의 A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전지 모듈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전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전지 모듈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전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의 (a) 내지 (d)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전지 모듈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전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복수의 전지 모듈을 구비한 전지 팩을 자동차에 탑재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제 1 전지 모듈과 제 2 전지 모듈을 조합한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를 일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와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지 모듈에 사용하는 전지(이하, "소전지"라 함)(10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지 팩은, 복수의 소전지(100)가 일렬로 배열된 조전지를 단위로 하여, 조전지를 복수 개 배열하여 구성되는 전지 모듈의 집합체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전지를 구성하는 소전지(100)는,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리튬 이온 이차전지를 채용할 수 있다. 이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노트북 PC 등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서 사용되는 범용 전지라도 된다. 이 경우, 고성능의 범용 전지를 전지 모듈의 소전지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지 모듈의 고성능화, 저비용화를 보다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소전지(100)는 내부 단락 등의 발생으로 인해 전지 내 압력이 상승했을 때, 가스를 전지 밖으로 방출하는 안전 기구를 구비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서 소전지(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극(1)과 음극(2)이 세퍼레이터(3)를 거쳐서 권회된 전극군(4)이 비수(非水) 전해액과 함께 전지 케이스(7)에 수용된다. 전극군(4)의 상하에는 절연판(9, 10)이 배치되고, 양극(1)은 양극 리드(5)를 거쳐서 필터(12)에 접합되며, 음극(2)은 음극 리드(6)를 거쳐서 음극 단자를 겸한 전지 케이스(7)의 바닥부에 접합된다.
필터(12)는 내측 캡(13)에 접속되며, 내측 캡(13)의 돌기부는 금속제의 밸브체(14)에 접합된다. 또 밸브체(14)는 양극 단자를 겸한 단자판(8)에 접속된다. 그리고 단자판(8), 밸브체(14), 내측 캡(13) 및 필터(12)가 일체로 되어, 가스켓(11)을 거쳐서 전지 케이스(7)의 개구부가 밀봉된다.
소전지(100)에 내부 단락 등이 발생하여 소전지(100) 내 압력이 상승하면, 밸브체(14)가 단자판(8)을 향하여 팽창되어, 내측 캡(13)과 밸브체(14)와의 접합이 분리되면, 전류 경로가 차단된다. 또한, 소전지(100) 내 압력이 상승하면 밸브체(14)가 파단된다. 이로써 소전지(100) 내에 발생한 가스는, 필터(12)의 관통공(12a), 내측 캡(13)의 관통공, 밸브체(14)의 파단 부위, 그리고 단자판(8)의 개방부(8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소전지(100) 내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안전 기구는 도 1에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구조의 것이라도 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전지(20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의 (a)는 조전지(200)의 사시도이며, 도 3의 (b)는 조전지(200)의 단면도이고, 도 3의 (c)는 도 3의 (b)의 A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렬로 배열된 복수(도면에서는 6개)의 소전지(통형 전지)(100)는 케이스(30) 내에 수용되며,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조전지(200)를 구성한다. 여기서 소전지(100)의 양극 단자(8)는 동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소전지(100)는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된다. 이로써 조전지(200)를 단위로 구성된 전지 모듈을 조합하여 구성한 전지 팩에 있어서, 만일 조전지(200)를 구성하는 소전지(100)의 하나가 고장나도, 전지 팩의 전류 공급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20)의 표면에 양극 접속판(21)과 음극 접속판(22)이 형성되며, 양극 접속판(21)은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20)에 형성된 개구부(20a)를 거쳐서 각 소전지(100)의 양극 단자(8)와 접속된다. 또한, 각 소전지(100)의 음극 단자(전지 케이스(7)의 바닥부)는 음극 버스바에 의해 접속되며, 음극 버스바(23)의 일부로부터 연장된 도통부(24, 24a)를 거쳐서, 평판(20)에 형성된 음극 접속판(22, 22b)에 접속된다. 이로써 각 소전지(100)는, 평판(20)에 형성된 양극 접속판(21) 및 음극 접속판(22)에 의해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된다.
또한,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20)은 소전지(100)의 일단부(본 실시형태에서는 양극 단자(8)측)에 밀착되어 배치되며, 소전지(100)의 개방부(8a)는,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극 접속판(21)의 개구부(21b)를 거쳐서, 평판(20)과 덮개(4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배기 덕트(50)로 연통된다. 이로써, 소전지(100)의 개방부(8a)로부터 배출되는 고온가스는, 평판(20)에 형성된 개구부(20a)를 통하여 배기 덕트(50)로 배출된다. 또한, 배기 덕트(50)는 복수의 소전지(100)에 대하여 거의 밀폐상태로 구획되므로, 배기 덕터(50)로 배출된 고온가스는 주변의 소전지(100)에 노출되는 일없이, 배기 덕트(50)를 통하여, 덮개(40)에 형성된 배출구(40a)로부터 조전지(200) 밖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평판(20)의 일단부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40)의 배출구(40a)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며, 양극 접속판(21)의 단부에 배치된 양극 전극 단자(21a) 및 음극 접속판(22)의 단부에 배치된 음극 전극 단자(22a)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로써, 조전지(200)끼리의 전기적 접속이 용이해진다. 또한, 평판(20)은 양극 및 음극의 전극 단자(21a, 22a)나, 소전지(100)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출력하는 신호 단자(도시 생략)가 형성된 배선기판이라도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조전지(200)는, 복수의 소전지(100)가 일렬로 배열되면 되고, 소전지(100)의 양극 단자(8) 방향이나, 소전지(100)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관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하는 소전지(100)의 양극 단자(8) 방향을 교대로 바꾸어 배열하고, 일렬로 배열된 소전지(100)를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양극 및 음극의 전극 단자(21a, 22a)나, 소전지(100)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출력하는 신호 단자는 반드시 조전지(200)에 내장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조전지(200)는 반드시 케이스(30)에 수용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조전지(200)에는 배기 덕트(50)가 형성되지 않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조전지(200)로 구성된 전지 모듈을 케이스에 수용함으로써, 전지 모듈에 대하여 배기 덕트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지 팩은 복수의 전지 모듈을 집합시켜 구성되며, 이 전지 모듈은 복수의 소전지(100)가 일렬로 배열된 조전지(200)를 단위로 하여, 조전지(200)를 복수 개 배열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전지 팩을 구성하는 전지 모듈은, 조전지(200)가 복수 개 병렬로 배열된 제 1 전지 모듈과, 조전지(200)가 복수 개 직렬로 배열된 제 2 전지 모듈의 2 종류의 전지 모듈로 이루어지며, 제 1 전지 모듈과 제 2 전지 모듈을 조합하여 전지 팩이 구성된다.
도 4의 (a) 내지 (e)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전지 모듈(30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제 1 전지 모듈(300)의 사시도이다.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도면에서는 6개)의 소전지가 일렬로 배열된 조전지(200)를 복수 개(도면에서는 4개) 병렬로 배열하여 제 1 전지 모듈(300)을 구성한다. 여기서 "병렬로 배열한다"란, 복수의 조전지(200)를, 복수의 소전지가 일렬로 배열하는 X방향(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Y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을 말한다.
제 1 전지 모듈(300)은 복수 개 병렬로 배열된 조전지(200)의 양극 및 음극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평판(20) 표면에 형성된 각 조전지(200)의 양극 전극 단자(21a) 및 음극 전극 단자(22a)가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된다. 또한, X방향으로 배열한 소전지(100)의 음극 단자(전지 케이스의 바닥부)는 음극 버스바(23)에 의해 접속되며, 음극 버스바(23)의 일부로부터 연장된 도통부(24)를 거쳐서, 평판(20)에 형성된 음극 접속판(22)에 접속된다.
여기서 평판(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조전지(200) 마다 배치하는 대신, 제 1 전지 모듈(300) 전체로 하나의 평판(20)을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케이스(30)도 조전지(200) 마다 케이스에 수용하는 대신, 제 1 전지 모듈(300) 전체로 하나의 케이스(30)에 수용하고 덮개(40)로 덮어도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20)의 일단부를 덮개(40)의 배출구로부터 외부로 연장시켜, 제 1 전지 모듈(300) 전체의 양극 및 음극의 전극 단자(21a, 22a)를 외부로 노출시켜도 된다. 이로써 제 1 전지 모듈(300)끼리, 혹은 후술하는 제 2 전지 모듈과의 전기적 접속이 용이해진다.
도 6의 (a) 내지 (e)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전지 모듈(400A)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제 2 전지 모듈(400A)의 사시도이다.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도면에서는 6개)의 소전지가 일렬로 배열된 조전지(200)를 복수 개(도면에서는 2개) 직렬로 배열하여 제 2 전지 모듈(400A)을 구성한다. 여기서 "직렬로 배열한다"란, 복수의 조전지(200)를, 복수의 소전지가 일렬로 배열되는 X방향(열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을 말한다.
제 2 전지 모듈(400A)은 복수 개 직렬로 배열된 조전지(200)의 양극 및 음극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평판(20) 표면에 형성된 각 조전지(200)의 양극 접속판(21) 및 음극 접속판(22)이 양극 및 음극의 전극 단자(21a, 22a)를 거쳐서,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된다. 또 각 조전지(200)의 소전지(100)의 음극 단자(전지 케이스(7)의 바닥부)는 음극 버스바(23)에 의해 접속되며, 음극 버스바(23)의 일부로부터 연장된 도통부(24, 24a)를 거쳐서, 평판(20)에 형성된 음극 접속판(22)에 접속된다.
여기서 평판(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조전지(200) 마다 배치하는 대신, 제 2 전지 모듈(400A) 전체로 하나의 평판(20)을 구성하여도 된다. 또 케이스(30)도 조전지(200)별로 케이스에 수용하는 대신, 제 2 전지 모듈(400A) 전체로 하나의 케이스(30)에 수용하고 덮개(40)로 덮어도 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20)의 일단부를 덮개(40)의 배출구로부터 외부로 연장시켜, 제 2 전지 모듈(400A) 전체의 양극 및 음극의 전극 단자(21a, 22a)를 외부로 노출시켜도 된다. 이로써 제 2 전지 모듈(400A)끼리, 혹은 제 1 전지 모듈(300)과의 전기적 접속이 용이해진다.
도 8의 (a) 내지 (d)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전지 모듈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전지 모듈(400B)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 2 전지 모듈은 조전지(200)를 복수 개 직렬로 배열하여 구성되나, "직렬로 배열한다"에는, 도 6의 (a) 내지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조전지(200)를, 복수의 소전지가 일렬로 배열되는 X방향(열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방향으로 배열되는 형태 외에, 도 8의 (a) 내지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도면에서는 2개)의 조전지(200)를, 소전지(통형 전지)(100)의 축방향(Z방향)으로 배열하는 형태도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평판(20) 표면에 형성된 각 조전지(200)의 양극 접속판(21) 및 음극 접속판(22)이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된다.
여기서 케이스(30)는, 조전지(200) 마다 케이스에 수용하는 대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전지 모듈(400B) 전체로 하나의 케이스(30)에 수용하고 덮개(40)로 덮어도 된다. 또한, 평판(20)의 일단부를 덮개(40)의 배출구로부터 외부로 연장시켜, 제 2 전지 모듈(400B) 전체의 양극 및 음극의 전극 단자(21a, 22a)를 외부로 노출시켜도 된다. 이로써 제 2 전지 모듈(400B)끼리, 혹은 제 1 전지 모듈(300) 또는 제 2 전지 모듈(400A)과의 전기적 접속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조전지(200)가 복수 개 병렬로 배열된 제 1 전지 모듈(300)의 바깥치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L1)는 소전지(통형 전지)의 지름과, 조전지(200)에서 일렬로 배열된 소전지 개수와의 곱에 의해, 높이(H1)는 소전지의 축방향 높이에 의해, 폭(W1)은 소전지의 지름과 제 1 전지 모듈(300)에서 병렬로 배열된 조전지(200) 개수와의 곱에 의해 각각 정해진다.
또한, 조전지(200)가 복수 개 직렬로 배열된 제 2 전지 모듈(400A)의 바깥치수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L2)는 소전지(통형 전지)의 지름과, 조전지(200)에서 일렬로 배열된 소전지의 개수와, 제 2 전지 모듈(400A)에서 직렬로 배열된 조전지(200) 개수와의 곱에 의해, 높이(H2)는 소전지의 축방향 높이에 의해, 폭(W2)은 소전지의 지름에 의해 각각 정해진다.
또한 조전지(200)가 복수 개 직렬로 배열된 제 2 전지 모듈(400B)의 바깥치수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L3)는 소전지(통형 전지)의 지름과 조전지(200)에서 일렬로 배열된 소전지 개수의 곱에 의해, 높이(H3)는 소전지의 축방향 높이와 제 2 전지 모듈(400B)에서 직렬로 배열된 조전지(200) 개수의 곱에 의해, 폭(W3)은 소전지의 지름에 의해 각각 정해진다.
즉, 복수의 조전지(200)를 직렬로 배열한 제 2 전지 모듈(400A, 400B)의 바깥치수 중 최소 폭(W2, W3)은, 조전지(200)를 구성하는 소전지(통형 전지)의 최소 폭(통형 전지의 지름)과 일치한다. 한편, 복수의 조전지(200)를 병렬로 배열한 제 1 전지 모듈(300)의 바깥치수 최소 폭(W1)은, 병렬로 배열된 조전지(200)의 개수에 따라 달라지나, 적어도 소전지의 최소 폭에 대하여 조전지(200)의 개수 배가 된다. 따라서 제 1 전지 모듈(300)과 제 2 전지 모듈(400A, 400B)의 바깥치수 최소 폭의 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전지 모듈(300)을 넓은 공간에, 제 2 전지 모듈(400A, 400B)을 좁은 공간에 탑재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 전지 팩을 탑재할 시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지 모듈(300) 및 제 2 전지 모듈(400A, 400B)은 모두 복수의 소전지가 일렬로 배열된 조전지(200)를 단위로 구성되므로, 각 전지 모듈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도 10은 복수의 전지 모듈을 구비한 전지 팩을 자동차에 탑재한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뒷좌석 밑에 있는 비교적 넓은 공간에는 제 1 전지 모듈(300)을 높이(H1)를 종방향으로 하여 배치하고, 앞뒤 좌석간의 바닥 밑에 있는 좁은 공간에는 제 2 전지 모듈(400A)을 최소 폭(W2)을 종방향으로 하여 배치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 전지 모듈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지 팩은, 소정의 전압 및 용량을 출력할 수 있도록, 바깥치수가 다른 2종류의 전지 모듈(제 1 전지 모듈(300)과 제 2 전지 모듈(400A, 400B)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구성하면 되고, 각 전지 모듈(300, 400A, 400B)의 개수나 배열 방법은, 전지 팩을 탑재할 공간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도 11의 (a) 및 (b)는 제 1 전지 모듈(300)과 제 2 전지 모듈(400B)을 조합한 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의 (a)는 비교적 넓은 공간에 대하여 제 1 전지 모듈(300)을 복수 개(도면에서는 8개) 병렬로 배치하고, 좁은 공간에 대하여 제 2 전지 모듈(400B)을 직렬과 병렬(도면에서는 3개×3개)로 배치한 것이다. 그리고 공간에 여유가 있으면, 제 2 전지 모듈(400B)의 일부를 2단으로 겹쳐도 된다.
또한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좁은 공간에 제 2 전지 모듈(400B)을 배치하는 것만이 아니라, 비교적 넓은 공간에 대하여 제 1 전지 모듈(300)을 복수 개(도면에서는 8개) 병렬로 배치하고, 더 남은 공간에 제 2 전지 모듈(400B)을 복수 개(도면에서는 3개) 배치하여도 된다.
여기서, 도 11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지 모듈(300)과 제 2 전지 모듈(400B)을 조합한 전지 팩은, 제 1 전지 모듈(300)을 구성하는 조전지(200)에 있어서 소전지의 축방향과, 제 2 전지 모듈(400B)을 구성하는 조전지에 있어서 소전지의 축방향이 서로 직교한다.
또한, 제 1 전지 모듈(300)은 병렬로 배열되는 조전지(200)의 개수에 제한이 없으므로, 제 1 전지 모듈(300)을 구성하는 조전지(200)의 개수는 제 2 전지 모듈(400B)을 구성하는 조전지(200)의 개수보다 많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했으나, 이러한 기재는 한정사항이 아니며, 물론 여러 가지 개변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전지 모듈(300) 및 제 2 전지 모듈(400A, 400B)을 구성하는 조전지(200)가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된 예를 설명했으나,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소전지(100)로서 원통형 전지를 사용했으나, 각형 전지라도 된다. 또한 소전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전동 바이크 또는 전동 놀이기구 등의 구동용 전원으로서 유용하다.
1 : 양극 2 : 음극
3 : 세퍼레이터 4 : 전극군
5 : 양극 리드 6 : 음극 리드
7 : 전지 케이스 8 : 단자판(양극 단자)
8a : 개방부 9, 10 : 절연판
11 : 가스켓 12 : 필터
12a, 13a : 관통공 13 : 내측 캡
14 : 밸브체 20 : 평판
20a, 21b : 개구부 21 : 양극 접속판
21a, 22a : 전극 단자 22 : 음극 접속판
23 : 음극 버스바 24 : 도통부
30 : 케이스 40 : 덮개
40a : 배출구 50 : 배기 덕트
100 : 소전지 200 : 조전지
300 : 제 1 전지 모듈 400A, 400B : 제 2 전지 모듈

Claims (11)

  1. 복수의 소전지가 배열되어 케이스 내에 수용된 전지 모듈을 복수 개 구비한 전지 팩에 있어서,
    상기 전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소전지가 일렬로 배열된 조전지를 단위로 하여, 이 조전지가 복수 개 배열되어 구성되며,
    상기 전지 모듈은 상기 조전지가 복수 개 병렬로 배열된 제 1 전지 모듈과, 상기 조전지가 복수 개 직렬로 배열된 제 2 전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지 모듈과 상기 제 2 전지 모듈이 조합되어 상기 전지 팩이 구성되는
    전지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전지는 일렬로 배열된 상기 복수의 소전지가 전기적으로 병렬로 접속되는
    전지 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전지는 양극 및 음극의 전극 단자와, 상기 소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출력하는 신호 단자를 구비하는
    전지 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지 모듈은 복수 개 병렬로 배열된 상기 조전지의 상기 양극 및 음극의 전극 단자가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제 2 전지 모듈은 복수개 직렬로 배열된 상기 조전지의 상기 양극 및 음극의 전극 단자가 전기적으로 직렬로 접속되는
    전지 팩.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전지는 상기 소전지 내에 발생한 가스를 전지 밖으로 배출하는 개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전지는 상기 소전지의 개방부와 연통된 배기 덕트를 추가로 구비하는
    전지 팩.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복수의 소전지의 일단측에 배치된 평판을 가지며,
    상기 소전지의 개방부는 상기 평판에 형성된 관통공을 거쳐서 상기 배기 덕트로 연통되는
    전지 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은 상기 소전지의 일단부에 밀착되어 배치되며,
    상기 배기 덕트는 상기 복수의 소전지에 대하여 밀폐상태로 구획되는
    전지 팩.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은 배선기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선기판에는 상기 조전지에 있어서 양극 및 음극의 전극 단자 및 상기 신호 단자에 각각 접속되는 배선이 형성되는
    전지 팩.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전지는 통형 전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전지 모듈은 상기 조전지가 일렬로 배열된 상기 복수의 소전지의 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복수 개 병렬로 배열되고,
    상기 제 2 전지 모듈은 상기 조전지가 상기 소전지의 열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또는 상기 통형 전지로 구성된 소전지의 축방향으로, 복수 개 직렬로 배열되는
    전지 팩.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조전지에 있어서 소전지의 축방향과, 상기 제 2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조전지에 있어서 소전지의 축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전지 팩.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조전지의 개수는 상기 제 2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상기 조전지의 개수보다 많은
    전지 팩.
KR1020117029849A 2010-02-24 2010-11-11 전지 팩 KR101325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38655 2010-02-24
JP2010038655 2010-02-24
PCT/JP2010/006627 WO2011104792A1 (ja) 2010-02-24 2010-11-11 電池パ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788A true KR20120023788A (ko) 2012-03-13
KR101325354B1 KR101325354B1 (ko) 2013-11-08

Family

ID=44506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849A KR101325354B1 (ko) 2010-02-24 2010-11-11 전지 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077015B2 (ko)
EP (1) EP2482361B1 (ko)
JP (1) JP5296884B2 (ko)
KR (1) KR101325354B1 (ko)
CN (1) CN102473871B (ko)
WO (1) WO201110479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5832B2 (en) 2016-01-15 2020-05-26 Lg Chem, Ltd.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s mounted in two layers
KR20220100657A (ko) * 2019-12-31 2022-07-15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2168A1 (en) * 2011-03-16 2013-12-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ctrical storage device
JP6004282B2 (ja) * 2011-07-29 2016-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5714716B2 (ja) * 2011-10-13 2015-05-07 株式会社ケーヒン 電源制御装置
US9570778B2 (en) 2012-04-17 2017-02-14 Daikin Industries, Ltd. Electrolytic solution, electrochemical devic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odule
US9806378B2 (en) * 2012-04-17 2017-10-31 Daikin Industries, Ltd. Electrolytic solution containing mixture of fluorinated chain carbonates, electrochemical devic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odule
JP5967477B2 (ja) 2012-07-13 2016-08-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
WO2014024433A1 (ja) * 2012-08-09 2014-02-1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電動車両並びに蓄電装置
DE102012219386A1 (de) * 2012-10-24 2014-04-24 Robert Bosch Gmbh Batterieanordnung und Kraftfahrzeug mit der erfindungsgemäßen Batterieanordnung
JP6079787B2 (ja) * 2012-11-30 2017-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
JP6184987B2 (ja) * 2013-01-29 2017-08-2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6162414B2 (ja) * 2013-01-30 2017-07-12 株式会社東芝 組電池装置
JP2016522552A (ja) * 2013-07-31 2016-07-2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寿命特性が向上した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
KR20150066077A (ko) * 2013-12-06 2015-06-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US20160093848A1 (en) * 2014-09-30 2016-03-3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odular approach for advanced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electrical characteristics
CA2976877C (en) 2015-02-18 2022-06-21 Ttb Holding Company Limited Lithium ion battery module with cooling system
CN107534114B (zh) 2015-03-06 2021-01-15 斯特林Pbes能源解决方案有限公司 具有热失控及排气管理系统的电池组模块
CN107887529B (zh) * 2016-09-30 2021-05-25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用于电池包的电池模组装置
CN110741490B (zh) * 2017-06-08 2022-12-09 三洋电机株式会社 电池模块
US11239524B2 (en) * 2017-12-26 2022-02-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ell module
EP3800684A1 (en) * 2019-10-03 2021-04-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Battery module
CN110718663B (zh) * 2019-10-12 2022-03-22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八研究所 一种空间飞行器用锂氟化碳电池静电防护装置及方法
GB2588587B (en) * 2019-10-18 2022-09-21 Dyson Technology Ltd Battery pack
CN112757882A (zh) * 2019-11-06 2021-05-07 观致汽车有限公司 电池包及其管理方法和系统
KR20210103090A (ko) * 2020-02-13 2021-08-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레일형 소켓이 구비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8555A (en) * 1993-12-27 1995-01-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JP3575734B2 (ja) * 1998-03-18 2004-10-13 朝日松下電工株式会社 電池ケース
CA2291831A1 (en) 1998-12-11 2000-06-11 Chaz G. Haba Battery network with compounded interconnections
JP4947839B2 (ja) * 2000-04-21 2012-06-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装置
JP3934899B2 (ja) * 2001-09-25 2007-06-2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装置
JP2003284251A (ja) 2002-03-19 2003-10-03 Nissan Motor Co Ltd 電源装置
JP4218267B2 (ja) * 2002-07-08 2009-0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集合電池
JP2004265830A (ja) * 2003-03-04 2004-09-24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組電池
KR100612305B1 (ko) * 2004-06-25 2006-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2008117756A (ja) 2006-10-13 2008-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及び電池搭載機器
WO2008044430A1 (en) * 2006-10-13 2008-04-17 Panasonic Corporation Battery pack and battery-mounted device
WO2008109764A1 (en) * 2007-03-07 2008-09-12 Johnson Controls -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battery
JP5231026B2 (ja) * 2008-01-10 2013-07-10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US8512893B2 (en) 2008-03-16 2013-08-20 Lenovo (Sinapore) Pte. Ltd. Mitigating rupture and thermal cascading of battery cells by judicious arrangement of cells inside a pack
JP4998348B2 (ja) * 2008-03-27 2012-08-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5518046B2 (ja) * 2008-04-14 2014-06-11 エー123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自在電圧の重畳収納可能な電池モジュール設計
WO2010030605A2 (en) * 2008-09-09 2010-03-18 Johnson Controls -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Interconnection washer assembly for a battery assembly
JP4935802B2 (ja) * 2008-12-10 2012-05-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とそれを用いた集合電池モジュー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5832B2 (en) 2016-01-15 2020-05-26 Lg Chem, Ltd.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s mounted in two layers
KR20220100657A (ko) * 2019-12-31 2022-07-15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장치
US11652262B2 (en) 2019-12-31 2023-05-16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2361B1 (en) 2017-01-11
JP5296884B2 (ja) 2013-09-25
JPWO2011104792A1 (ja) 2013-06-17
US9077015B2 (en) 2015-07-07
WO2011104792A1 (ja) 2011-09-01
US20120100401A1 (en) 2012-04-26
EP2482361A4 (en) 2014-06-25
US20150270517A1 (en) 2015-09-24
KR101325354B1 (ko) 2013-11-08
EP2482361A1 (en) 2012-08-01
US9444083B2 (en) 2016-09-13
CN102473871B (zh) 2015-11-25
CN102473871A (zh)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354B1 (ko) 전지 팩
EP3346517B1 (en) Battery system
US10211434B2 (en) Battery pack
JP6025319B2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
US9112202B2 (en) Battery module
KR101282519B1 (ko) 배터리 모듈
JP2019525397A (ja) 電池サブモジュールキャリア、電池サブモジュール、電池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
WO2011135762A1 (ja) 電池モジュール
EP2450980B1 (en) Battery module
US20140220396A1 (en) Battery pack
JP5566719B2 (ja) 二次電池装置
KR20120090027A (ko) 전지 모듈
US20130052514A1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KR101327689B1 (ko) 전지 모듈
WO2015019570A1 (ja) 電池ユニット
KR20130022593A (ko) 연결부재를 가지는 전지 모듈
US20120225335A1 (en) Battery module
US20190280353A1 (en) Cell Pack
JP6296360B2 (ja) 電池ユニット
JP2017216114A (ja) 蓄電モジュール
JP5430957B2 (ja) バッテリシステム
US20140315069A1 (en) Battery pack
US10069120B2 (en) Battery module
KR20210043991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한 전지 팩
JP2021158002A (ja) 電池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